KR102182806B1 -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06B1
KR102182806B1 KR1020200005202A KR20200005202A KR102182806B1 KR 102182806 B1 KR102182806 B1 KR 102182806B1 KR 1020200005202 A KR1020200005202 A KR 1020200005202A KR 20200005202 A KR20200005202 A KR 20200005202A KR 102182806 B1 KR102182806 B1 KR 10218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dron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론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론,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론
Priority to KR102020000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06B1/ko
Priority to PCT/KR2020/018125 priority patent/WO2021145565A1/ko
Priority to US17/793,125 priority patent/US20230343088A1/en
Priority to EP20913766.0A priority patent/EP4093022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Terrestrial scenes taken from planes or by dr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 드론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며,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송신하는 영상관리장치; 및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으로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을 포함하고, 영상관리장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고, 드론은 영상관리장치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수신한다.

Description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us and System for Managing Video Photographed by Drone}
본 발명은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말하고 무인 비행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드론은 군용 및 개인적인 취미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운송업 및 영화나 방송산업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성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
활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드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하기도 한다.
또한, 드론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드론은 조종 장치 또는 조종사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조종 장치 또는 조종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비행하여 원하는 영역의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나, 드론은 지상을 달리는 여타의 물체와 달리 이동 범위에 제약이 없다. 그리고 드론은 광범위한 지역에 배치되어 공중에서 자유롭게 비행하므로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만일 무인 비행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관리되지 않으면, 촬영된 영상에 노출된 일반인의 사생활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촬영된 영상에 노출된 일반인은 자신이 촬영되었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론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된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영상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대상에게 고지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대상의 요구 등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처리를 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 드론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며,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송신하는 영상관리장치; 및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으로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을 포함하고, 영상관리장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고, 드론은 영상관리장치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론은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더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정보는 촬영위치, 촬영시간 및 촬영방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행정보는 드론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 조종사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 결과를 드론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정보를 확인한 후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전에 영상관리장치의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처리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인정보 불포함에 관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에는 영상관리장치에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는, 드론 및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드론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및 그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수집하는 수집부;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 영상, 영상정보, 분석결과 및 열람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부, 수집부, 분석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부는 드론으로부터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정보는 촬영위치, 촬영시간 및 촬영방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행정보는 드론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 조종사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분석부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결과를 드론에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분석부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촬영정보와 비행정보가 검색조건에 따라 검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의 처리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정보와 비행정보의 검색조건은 특정 시간, 특정 위치, 드론의 고유 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인정하고, 열람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을 포함하는 열람정보를 드론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가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석결과가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인정하고, 열람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인증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단계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을 포함하는 열람정보를 드론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나의 효과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효과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하나의 효과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대상에게 고지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하나의 효과는,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대상의 요구 등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처리를 하여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것으로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드론(100), 영상관리장치(200) 및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그밖에 본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조종사 단말기(110) 및 네트워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드론(100)은 사람의 탑승없이 조종사 단말기(110)를 통해 원격으로 조종 가능하게 형성된다. 드론(100)은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드론(100)은 촬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100)은 센서, 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및 고도계 센서를 포함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 등을 통해 비행정보를 감지하여 생성할 수 있다. 드론(100)은 무선전파를 통해 제어신호, 상태신호를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드론(100)은 촬영정보 및/또는 비행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드론(100)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정보는 카메라의 방향(촬영 방향), 촬영위치, 촬영시간, 촬영 품질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그리고, 비행정보는 드론(100)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화각), 조종사(촬영자)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드론(10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와 촬영정보는 무선통신에 의하여 조종사 단말기(110), 영상관리장치(200) 및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될 수 있다. 드론(10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와 촬영정보는 드론(100) 내부에 자체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드론(100)에서 생성된 비행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조종사 단말기(110), 요청자 단말기(100), 운영자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드론(100)에서 감지된 비행정보는 드론(100) 내부에 자체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조종사 단말기(110)는 드론(100)을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드론(100)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거나 조종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예컨대, 조종사 단말기(110)는 드론(100)을 원격으로 조종하기 위하여 동일한 주파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HF(Ultra High Frequency) 송수신기, VHF(Very High Frequency) 송수신기, 3G(Generation) 송수신기, 4G 송수신기, 5G 송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종사 단말기(11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에 접속하여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다양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드론(100)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며,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송신하는 장치이다. 이에 의하여 드론(100)으로 촬영된 영상을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영상관리장치(200)는 특정의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관리장치(200)는 드론(100)을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수집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의 열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 결과를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에 송신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특정 시간 및 특정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삭제 처리를 요청하거나 마스킹 처리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영상을 삭제 처리하거나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관리장치(200)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영상관리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드론(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조종사 단말기(110) 내부에 통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정보를 열람 등에 의하여 확인함으로써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는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영상관리장치(200)를 통하여 제공되는 드론(100)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정보를 열람한 후에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영상관리장치(20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하여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수신한 영상정보를 열람하였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정보를 열람한 후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전에 영상관리장치(200)의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상관리장치(200)는 영상을 수신하고자 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적법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영상이 부적법한 대상으로 송신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관리장치(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전에 영상관리장치(200)의 인증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영상관리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스스로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개인정보 보호처리를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처리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에 송신함으로써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 하여금 개인정보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 보호처리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에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검색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에 해당 영상의 삭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에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검색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해당 영상의 마스킹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이란 드론(100)에 의해 촬영된 전체 영상 중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피사체로 촬영된 일부분의 영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 예컨대, 음영 처리, 모자이크 처리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불포함에 관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영상관리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상관리장치(200)는 수신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조종사 단말기(110)에 송신함으로써 드론(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사생활 침해를 하지 않는 적법한 영상임을 확인해 줄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에 접속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드론(100), 조종사 단말기(1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는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는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PDA폰 또는 통신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드론(100), 조종사 단말기(110), 영상관리장치(200) 및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각 조종사 단말기(110)의 조종사 또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영상관리장치(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네트워크(40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무선통신은 위성 통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은 L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200)는,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인증부(240), 영상 처리부(250), 저장부(260) 및 분석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분석부(270)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결과를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에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분석부(270)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집부(230)를 통해 수집된 영상정보,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저장부(260)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후에 정보를 업로드해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부(260)에 비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가입은 회원 가입뿐 아니라, 개인 식별 정보, 예컨대,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 생체인증정보 등을 이용한 비회원 로그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열람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열람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열람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검색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개인정보 처리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영상을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개인정보 삭제 처리 요청신호와 같이 개인정보 처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삭제 처리하기 위해 처리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마스킹 처리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영상을 마스킹 처리하기 위해 처리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드론(100),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 조종사 단말기(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접속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해 촬영정보가 검색 조건별로 검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검색 조건은 특정 시간, 특정 위치, 드론(10)의 고유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영상 및 영상정보의 처리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310)는 영상 정보의 촬영, 수집, 생성, 연계, 연동, 기록, 저장, 보유, 가공, 편집, 검색, 인쇄, 화면표출, 정정, 복구, 이용, 제공, 공개, 파기, 삭제, 확대, 축소, 방향이동, 로그기록, 전자지문 생성, 비식별화, 차폐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삭제 요구, 마스킹 요구, 외부 전송, 백업 관리, 위반 검토, 검색, 열람, 설정 변경, 접근 가능 인원(ID), 개인정보 수준, 데이터 태깅(영상데이터와 개인정보주체 태깅), 태깅여부 및 태깅 설정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통신부(22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로부터 열람신호,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드론(100)의 비행정보를 수신할 수 다.
수집부(230)는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및 그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를 통해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수집한다.
수집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드론(100)의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230)는 수신된 정보를 드론(100)의 고유 코드 정보와 연동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정보는 촬영위치, 촬영시간 및 촬영방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정보는 드론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 조종사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4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인증하고, 열람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인증한다. 예컨대, 인증부(24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인증한다. 또한, 인증부(240)는 해당 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2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열람신호를 검증한다.
인증부(24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을 포함하는 열람정보를 드론(100)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240)는 수집된 개인정보, 촬영된 영상 및 영상정보, 촬영정보, 비행정보 또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가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보를 봉인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처리부(250)는, 통신부(220)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영상을 처리한다.
여기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다양한 처리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인증부(240) 및 처리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60)는 조종사가 드론(100)를 조종하면 드론(100)에서 촬영된 영상 및 그 영상정보,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인증부(240)에서 수집된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26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Spin-Transfer Torque MRAM),FeRAM(Ferroelectric RAM), PRAM (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나노튜브 RRAM (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 (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60)의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260)는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분석부(270)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부(270)에 의해 분석된 결과는 저장부(260)에 저장되고 드론(100)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에 송신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은,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200), 영상,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300) 및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영상관리장치(200)가 드론(100)에 의하여 생성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및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드론(100)으로부터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드론(100)에 의해 생성된 촬영정보와 비행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드론(100)으로부터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영상정보,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는 드론(100)으로부터 조종사 단말기(11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신될 수 있다.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200)는 영상관리장치(200)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300)는 드론(100)으로부터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영상정보와 영상관리장치(200)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300)는 드론(100)으로부터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400)는 드론(100)으로부터 또는 조종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및 영상관리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분석결과를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400)는 분석결과가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열람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열람권한을 인증하는 인증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관리장치(200)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영상관리장치(30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신호를 수신한다(S510). 영상관리장치(200)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에 대해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520).
영상관리장치(200)는 가입자 정보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의 주변에서 비행 및 촬영 중인 드론(100)을 검색하는 것을 허용한다(S530). 그러면, 드론(100)이 미리 할당된 채널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영상정보, 촬영정보, 비행정보 및 분석결과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에 표시된다(S540),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에 표시된 영상정보,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 자신을 촬영하고 있거나 촬영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드론(100)을 특정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의 위치와, 드론(100)의 촬영정보(카메라의 방향, 촬영시간, 촬영위치 등) 및 비행정보(드론의 위치, 고도 등)에 기초하여 해당 개인정보 보호대상을 촬영하고 있거나 촬영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드론(100)을 별도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하여 선택된 드론(100)이 촬영 중이거나 촬영한 해당 영상을 조회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영상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S550).
그러면,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의 열람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해당 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S560). 예컨대,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 등을 포함하는 열람신호를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하여, 드론(100)의 촬영위치, 촬영시간, 촬영 방향 등의 촬영정보와 비교한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열람정보와 촬영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즉, 특정 시간 구간에서 드론(100)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범위에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된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열람권한을 가진다고 판단한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열람정보와 촬영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즉, 전체 시간 구간-예를 들어, 24시간-에서 드론(100)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범위에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열람권한을 가지지 못한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해당 영상에 대한 열람권한이 없음을 알릴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가 열람권한을 가지는 경우,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열람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저장부(260)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다(S570). 영상관리장치(200)는 열람신호에 포함된 위치정보, 시간정보 등을 검색조건으로 하여, 열람을 요청한 영상을 검색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해당 영상을 열람하는 경우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 별로 열람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언제, 어디에서, 누가, 어떤 파일을 수집, 저장, 열람, 제공 삭제했는지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인증부(240)를 통해 인증된 개인정보와 영상을 매핑하여 요청된 영상을 쉽게 호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촬영된 영상을 시계열적, 저장장소별, 식별정보별(얼굴 등..식별자와 속성자 구분), 비식별정보별(옷 색깔 등)로 구분하여, 개인정보의 열람 또는 파기 요구시 매핑 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을 가져올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열람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100)를 통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전송하여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송신할 수 있다(S580).
다음에, 영상관리장치(200)는 해당 영상의 촬영에 대한 동의 여부를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1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문의한다(S590).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해 해당 영상의 수집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관리장치(200)에 해당 영상에 대해 삭제 처리 또는 마스킹 처리 등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600).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해당 영상에 대한 삭제 또는 마스킹 처리 등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처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영상에 대해 삭제하거나 마스킹 처리 등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처리를 한다(S610).
반면에,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해당 영상에 의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다고 판단하고 해당 영상의 수집에 대해 동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300)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해당 영상의 수집에 대한 동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20).
이와 같이, 영상관리장치(200)는 영상의 수집에 대한 동의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고위험 데이터이자 민감한 개인정보를 대량으로 수집하는 것에 대해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해당 영상의 수집에 동의하는 경우 해당 영상을 보관할 수 있다(S630). 영상관리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을 '동의를 수반한 영상', '동의가 완성되지 않은 영상', '미동의 영상', '동의 불필요 영상'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 및 보관할 수 있다.
만약 영상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게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 '동의를 수반한 영상'으로 분류된다. 영상정보에 포함된 객체의 일부에게만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 '동의가 완성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영상정보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게 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미동의 영상'으로 분류한다. 또한, 동의가 필요없이 고지의무만 있는 영상의 경우 '동의 불필요 영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방범 등의 목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은 개인의 동의가 필요 없는 '동의 불필요 영상'에 해당한다.
또한, 영상관리장치(200)는 수집된 영상에 대해 처리목적, 저장기간, 삭제근거, 공개여부, 보호조치, 관리담당, 대리인, 정보보호책임자(DPO; Data Protection Officers) 등을 부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관리장치(200)는 쵤영된 영상의 수집, 기록, 구조화, 저장, 변형, 회수, 사용, 전송, 공개, 삭제 등 개인정보에 행해지는 모든 조작을 고지하고 동의 절차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0: 드론, 110: 조종사 단말기, 200: 영상관리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수집부, 240: 인증부, 250: 처리부, 260: 저장부, 270: 분석부, 300: 개인정보 보호대상 단말기, 400: 네트워크

Claims (33)

  1.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
    드론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및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며,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송신하는 영상관리장치; 및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으로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을 포함하고,
    영상관리장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고,
    드론은 영상관리장치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드론은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더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촬영정보는 촬영위치, 촬영시간 및 촬영방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비행정보는 드론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 조종사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 결과를 드론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정보를 확인한 후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영상관리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전에 영상관리장치의 인증절차를 거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영상관리장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처리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은 수신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개인정보 불포함에 관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영상관리장치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개인정보 불포함신호에는 영상관리장치에 개인정보 불포함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이 포함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시스템.
  16. 드론 및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드론으로부터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및 그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영상을 열람한 열람신호를 수집하는 수집부;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부;
    영상, 영상정보, 분석결과 및 열람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부, 수집부, 분석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수집부는 드론으로부터 촬영정보 및 비행정보를 더 수신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촬영정보는 촬영위치, 촬영시간 및 촬영방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비행정보는 드론의 비행위치, 카메라 방향, 각도, 조종사의 위치,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륙, 착륙, 비행경로, 비행시간 및 고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어부는 분석부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분석결과를 드론에 송신하게 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어부는 분석부에 의하여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게 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어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촬영정보와 비행정보가 검색조건에 따라 검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의 처리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촬영정보와 비행정보의 검색조건은 특정 시간, 특정 위치, 드론의 고유 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인정하고, 열람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인증부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을 포함하는 열람정보를 드론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6. 청구항 16에 있어서, 통신부가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 따라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장치.
  28.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드론으로부터 영상 및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정보 및 분석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드론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개인정보를 보호받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개인정보 보호대상이 영상정보를 열람한 열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열람신호를 드론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분석결과가 영상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을 개인정보 보호대상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인정하고, 열람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열람신호를 인증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인증단계는 개인정보 보호대상의 위치정보, 요청시간을 포함하는 열람정보를 드론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열람권한을 판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대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개인정보 처리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신호에는 개인정보의 삭제, 마스킹처리, 모자이크처리 및 블러링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200005202A 2020-01-15 2020-01-15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8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02A KR102182806B1 (ko) 2020-01-15 2020-01-15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CT/KR2020/018125 WO2021145565A1 (ko) 2020-01-15 2020-12-11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7/793,125 US20230343088A1 (en) 2020-01-15 2020-12-11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captured by drone
EP20913766.0A EP4093022A4 (en) 2020-01-15 2020-12-11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CAPTURED BY A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02A KR102182806B1 (ko) 2020-01-15 2020-01-15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806B1 true KR102182806B1 (ko) 2020-11-25

Family

ID=7364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02A KR102182806B1 (ko) 2020-01-15 2020-01-15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43088A1 (ko)
EP (1) EP4093022A4 (ko)
KR (1) KR102182806B1 (ko)
WO (1) WO202114556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65A1 (ko) * 2020-01-15 2021-07-22 주식회사 포드론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350159A1 (en) * 2020-05-08 2021-11-11 Konica Minolta, Inc.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KR102371766B1 (ko) * 2021-09-29 2022-03-07 (주)네온테크 비행 임무 빅데이터 분석 및 ai 처리를 위한 무인 비행체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행 임무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45296B1 (ko) 2021-10-14 2022-09-20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드론 영상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12B1 (ko) * 2015-12-04 2017-04-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KR20180104956A (ko) * 2017-03-14 2018-09-27 정남진 드론 관리 시스템
US20190197254A1 (en) * 2017-12-27 2019-06-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masking video and images captured a drone devic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372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WO2017129804A1 (en) * 2016-01-29 2017-08-03 Kiwisecurity Software Gmbh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video analytics to detect regions for privacy protection within images from moving cameras
US10192061B2 (en) * 2017-01-24 2019-01-29 Wipro Limited Method and a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privacy control in a surveillance video
KR102182806B1 (ko) * 2020-01-15 2020-11-25 주식회사 포드론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12B1 (ko) * 2015-12-04 2017-04-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영상정보 반출 관리시스템
KR20180104956A (ko) * 2017-03-14 2018-09-27 정남진 드론 관리 시스템
US20190197254A1 (en) * 2017-12-27 2019-06-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masking video and images captured a drone device camer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65A1 (ko) * 2020-01-15 2021-07-22 주식회사 포드론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350159A1 (en) * 2020-05-08 2021-11-11 Konica Minolta, Inc.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KR102371766B1 (ko) * 2021-09-29 2022-03-07 (주)네온테크 비행 임무 빅데이터 분석 및 ai 처리를 위한 무인 비행체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행 임무에 대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45296B1 (ko) 2021-10-14 2022-09-20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드론 영상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65A1 (ko) 2021-07-22
US20230343088A1 (en) 2023-10-26
EP4093022A1 (en) 2022-11-23
EP4093022A4 (en)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806B1 (ko) 드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Zhi et al. Security and privacy issues of UAV: A survey
US11170081B2 (en) System for verifying control history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270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nalyzing multimedia information
Horsman Unmanned aerial vehicles: A preliminary analysis of forensic challenges
US974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with unmanned aerial devices
Bouafif et al. Drone forensics: challenges and new insights
DE112017002624T5 (de) Flugmanagement und -steuerung für unbemannte luftfahrzeuge
KR20160146343A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블랙박스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2023003887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from illegal photography by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20397686A1 (en) Platform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ty Video Security Services that provide Elective and Resource Efficient Privacy Protection
Jiang et al. Protecting privacy from aerial photography: State of the ar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9460168B1 (en) Event visualization
US20160197837A1 (en) Method for Conveying Media to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Laperruque Preventing an Air Panopticon: A Proposal for Reasonable Legal Restrictions on Aerial Surveillance
Diaz Linares et al. IoT Privacy, Security and Forensics Challeng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ase Study
Mistry et al. Drone forensics: investigative guide for law enforcement agencies
Yueyan et al. Security and privacy issues of UAV: a survey
Kanagaraj et al. Raspberry pi-based spy robot with facial recognition
Basan et al. Analysis of the initial security of the robotics system
Kumar et al. Explanatory Case Study: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on DJI Spark Drone
JP2017531878A (ja) モバイル機器とそのユーザ識別の同時決定
Al-Room et al. Drone Forensics: A Case Study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s
Nayak et al. Investigating Drone Data Recovery Beyond the Obvious Using Digital Forensics
Diware et al. Remote surveillance system for mobil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