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501B1 -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501B1
KR102182501B1 KR1020190051595A KR20190051595A KR102182501B1 KR 102182501 B1 KR102182501 B1 KR 102182501B1 KR 1020190051595 A KR1020190051595 A KR 1020190051595A KR 20190051595 A KR20190051595 A KR 20190051595A KR 102182501 B1 KR102182501 B1 KR 10218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sheet
holes
optical film
fingerprint recogni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454A (ko
Inventor
최진연
오세진
이동철
김민호
김민수
김두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05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5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적외선을 투과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이 개시된다.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은 제1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1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제2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2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확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상기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상기 적외선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용 광학필름{OPTICAL FILM FOR FINGERPRINTING}
본 발명은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투과가 가능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전자기기가 보편화 되었다.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주소, 이메일, 금융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담고 있어 사용자 인증을 통한 보안성 확보가 중요하다.
사용자 인증 기술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예를 들어, 지문, 홍채, 안면 또는 음성 등의 정보일 수 있다. 특히, 지문 인증은 편의성과 높은 보안성으로 대다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택되어 가고 있는 추세다.
지문을 인식하는 방법은 정전식, 초음파식, 광학식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 스마트폰에는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얇고 작은 크기를 유지하면서 높은 인식률을 보이는 반도체 센서 기반의 정전식 지문 인식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초음파를 방사한 후 반사되는 초음파의 도달 시간을 측정해 지문의 높이 차를 인식하는 초음파식 지문 인식 기능도 스마트폰에 탑재되고 있다. 다만, 정전식 지문 센서는 광학식 지문 센서에 비해 한 번에 인식하는 지문 영역의 크기가 매우 작아 광학식에 비해 오인증률이 높아 보안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초음파식은 정확성과 내구성이 비교적으로 좋지만 제작이 다소 까다롭고 가격적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편, 광학식 지문 방식은 높은 신뢰도를 보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전자기기에 채택되고 있다. 광학식 지문 인식 방법은 장치의 투명한 지문 접촉부와 직접 접촉하는 지문의 릿지(ridge) 부분에서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소위 산란 방식과, 지문의 밸리(valley) 부분에 대응하는 지문 접촉부 표면에서 전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소위 전반사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은 다양한 광학필름이 구비되어 적외선이 투과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적외선을 활용하는 광학식 지문 인식 방식은 활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서도 적외선을 이용한 광학 지문 인증이 가능하도록 적외선을 원활히 투과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infrared)을 투과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은, 제1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1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제2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2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확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상기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상기 적외선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은 적외선을 원활히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에서 지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공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공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1)는 백라이트 유닛(10)과 액정패널(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10)은 액정패널(20)에 광을 조사하도록 액정패널(2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은 광원(11), 반사판(12), 도광판(13), 확산 시트(14), 프리즘 시트(15, 16) 및 반사편광 시트(17)를 포함한다.
광원(11)은 광을 방사한다. 광원(11)에서 방사되는 광이 액정패널(20)의 배면에 조사됨으로써 식별 가능한 화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11)은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및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라 함) 중 하나일 수 있다.
광원(11)에서 방사된 광은 도광판(13)에의 의해 면광원의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광원(11)은 배열구조에 따라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되는데, 직하형은 에지형에 비해 분할구동이 가능하여 에지형 보다 더욱 섬세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반사판(12)은 도광판(13) 후방에 배치되어 도광판(13) 후방으로 출사된 광을 도광판(13)으로 반사시켜 입사시킴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확산 시트(14)는 도광판(13)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내부에 광 확산을 위한 비드(bead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 시트(14)는 광 확산제 비드가 첨가되어 있는 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및 라디칼 발생형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택하여 단독 또는 혼합된 것임) 용액을 도포하여 광학산제 비드에 의해 광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확산 시트(14)는 균일 또는 불균일한 크기의 형상(예를 들어, 구형)의 돌기 패턴(또는 돌출부)이 형성되어 광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15, 16)는 표면에 형성된 광학패턴을 이용해서 입사된 광을 집광하여 액정 패널(20)로 출사시킬 수 있다. 프리즘 시트(15, 16)는 투광성 베이스 필름 상부에 정면 방향의 휘도 향상을 위하여 통상 45°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삼각 어레이(array) 형태의 광학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패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편광시트(17)는 프리즘 시트(15, 16) 상부에 구비되어 프리즘 시트(15, 16)로부터 집광된 광에 대해 일 편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은 하부로 반사시켜 광을 재순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정 패널(20)은 광원(11)에서 조사된 광을 전기 신호에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굴절시킨다. 굴절된 광은 액정 패널(20)의 전면에 배치된 컬러 필터와 편광 필터를 통과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상술한 백라이트 유닛(10)에 포함되는 구성은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10)은 광원(11), 반사판(12), 도광판(13), 확산시트(14), 프리즘 시트(15, 16) 및 반사편광시트(17)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광학필름은 복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광학필름 및 광학시트가 동일한 의미로 정의되거나, 광학시트가 복수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필름을 도시한다.
광학필름(200)은 제1 프리즘 시트(210), 제2 프리즘 시트(220) 및 확산 시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즘 시트(210) 및 제2 프리즘 시트(220)는 확산 시트(220)를 투과한 광을 집광한다.
제1 프리즘 시트(210)의 일 면에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1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리즘 시트(220)의 일 면에는 제2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2 프리즘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90
Figure 112019045293894-pat00001
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리즘 시트(210)의 타 면,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상기 일 면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타 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리즘 시트(210)의 타 면 및 제2 프리즘 시트(220)의 일 면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리즘 시트(220)의 타 면 및 확산 시트(230)의 일 면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은 감압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필름(200)은 제1 프리즘 시트(210), 제2 프리즘 시트(220) 및 확산 시트(230)가 접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은 표면이 불균일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시트(230)는 광원(11)에서 방사된 광을 확산할 수 있다. 확산 시트(230)는 제2 프리즘 시트(220)의 상기 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필름(200)은 적외선을 투과하는 관통공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광학필름(200)의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지문인식시스템(30)은 적외선(IR; infrared) 광원(300-1), 이미지 센서(300-2), 반사장치(300-3) 및 광학필름(300-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300-1)은 LED로 형성되며 적외선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광원(300-1)은 파장이 740 nm 이상인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은 상대적으로 긴 파장이므로 광의 손실이 적고, 난반사가 적어 이미지 센서(300-2)로부터 선명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2)는 지문 이미지를 센싱한다. 이미지 센서(300-2)는 지문에 반사된 적외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300-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반사장치(300-3)는 적외선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반사장치(300-3)는 적외선 광원(300-1)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굴절시키거나, 지문에 반사된 적외선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반사장치(300-3)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등 광의 방향을 굴절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장치(300-3)는 도 1에서 설명한 반사판(12)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을 투과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반사판(12)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필름(300-4)은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는 복수의 관통공(3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301)은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적외선의 진행방향(A 또는 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공(301)은 제1 프리즘 시트(310)의 내부, 제2 프리즘 시트(320)의 내부 및 확산 시트(330)의 내부에서 적외선 광 경로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은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 중 어느 한 곳에 반사되지 않고 투과(또는 통과)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관통공(301) 중 제1 복수의 관통공은 적외선 광원(300-1)에서 방사된 적외선의 진행 방향인 제3 방향(A)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301) 중 제2 복수의 관통공은 적외선 광원(300-1)에서 방사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굴절된 진행 방향인 제4 방향(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301)은 적외선의 진행방향에 따라 기정의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복수의 관통공(301)은 제1 프리즘 시트(310), 제2 프리즘 시트(320) 및 확산 시트(33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관통공(301)이 형성된 방향은 지문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진행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전후의 적외선의 진행 방향(A 또는 B)이, 제1 프리즘 시트(310)의 일 면, 제2 프리즘 시트(320)의 일 면 및 확산 시트(330)의 일 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정된 경우, 복수의 관통공(301)이 형성된 방향도 제1 프리즘 시트(310)의 일 면, 제2 프리즘 시트(320)의 일 면 및 확산 시트(330)의 일 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외선 광원(300-1)에서 방사된 적외선과 지문에 반사된 적외선은 복수의 관통공(301)을 통해 광학필름(300-4)을 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 지문인식시스템(30)이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광학 지문인식시스템(30)은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형화된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도 지문 인식이 가능하여 전자기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광학필름상에 형성된 상술한 복수의 관통공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관통공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410)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 4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 420')은 기정의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을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 420')은 기정의된 지름(Τ)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영역(420, 420')의 지름(Τ)은 10 mm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 중 적어도 둘 간의 가장 먼 거리는 기정의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관통공 중 적어도 둘 간의 가장 먼 거리는 10 mm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관통공 각각의 지름은 1 μm 내지 30 μm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 각각의 간격은 1.5 μm 내지 60 μm로 랜덤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통공 각각의 지름은 상기와 동일하며, 복수의 관통공 각각의 간격은 1.5 μm 내지 60 μm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공은 랜덤(random)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관통공의 간격은 적어도 관통공 직경의 1.5 배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배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의 간격이 관통공 직경의 1.5배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미지 센서에서 인접한 관통공들을 통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하나의 관통공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으로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관통공의 간격이 관통공 직경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문인식율이 감소되어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광학필름(200, 300-4)의 다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광학필름(200, 300-4)의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학 지문인식시스템(70)은 적외선 광원(700-1), 이미지 센서(700-2), 반사장치(700-3) 및 광학필름(700-4)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700-4)은 제1 프리즘 시트(710), 제2 프리즘 시트(720) 및 확산 시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프리즘(711)의 상단부 및 복수의 제2 프리즘(721)의 상단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프리즘(711)의 상기 상단부는 제1 프리즘 시트(710)의 일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프리즘(721)의 상기 상단부는 제2 프리즘 시트(720)의 일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필름(700-4)에서, 복수의 제1 프리즘(710)의 상단부 및 복수의 제2 프리즘(720)의 상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외선의 굴절률이 최소화되므로, 적외선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학 지문인식시스템(80)은 적외선 광원(800-1), 이미지 센서(800-2), 반사장치(800-3) 및 프리즘 시트(80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800-4)는 베이스필름(811) 및 복수의 프리즘(8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리즘 시트(800-4)는 복수의 관통공(8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801)은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적외선의 진행방향(C 또는 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은 베이스필름(811) 및 복수의 프리즘(812)을 동시에 투과(또는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801)은 기정의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공(801)의 직경은 10 μm로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801)간의 간격은 15 μm로 균일하게 배치되었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복수의 프리즘(812)의 정점 끝단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리즘(812)의 상기 끝단부는 프리즘 시트(800-4)의 일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프리즘(812)의 끝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외선의 굴절률이 최소화되므로, 적외선의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에 동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들에 있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1 백라이트 유닛: 10
광원: 11 반사판: 12
도광판: 13 확산시트: 14, 230, 330
반사편광 시트: 17 액정패널: 20 광학필름: 200, 300-4, 700-4 광학 지문인식시스템: 30, 70, 80
프리즘 시트: 15, 16, 210, 220, 310, 320, 710, 720, 800-4

Claims (13)

  1. 적외선(infrared)을 투과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1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된 제1 프리즘 시트;
    제2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제2 프리즘이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와 접착된 확산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상기 제2 프리즘 시트 및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상기 적외선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복수의 관통공 직경의 1.5 내지 2 배의 간격으로 배치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제1 프리즘 시트 내부, 상기 제2 프리즘 시트 내부 및 상기 확산시트 내부에서 연결되어 형성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제1 복수의 관통공은, 광원에서 방사된 적외선의 진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제2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광원에서 방사된 상기 적외선이 반사되어 굴절된 진행 방향인 제4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 각각은,
    기정의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 중 둘 간의 가장 먼 거리는 기정의된 거리로 설정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타 면 및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상기 타 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표면이 불균일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트는 내부에 광 확산을 위한 비드(beads)를 포함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기정의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프리즘의 상단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프리즘의 상단부는,
    평면으로 형성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프리즘의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제1 프리즘 시트의 상기 일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프리즘의 상기 상단부는 상기 제2 프리즘 시트의 상기 일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프리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프리즘 각각은 기정의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KR1020190051595A 2019-05-02 2019-05-02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KR10218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95A KR102182501B1 (ko) 2019-05-02 2019-05-02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95A KR102182501B1 (ko) 2019-05-02 2019-05-02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54A KR20200127454A (ko) 2020-11-11
KR102182501B1 true KR102182501B1 (ko) 2020-11-24

Family

ID=7345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595A KR102182501B1 (ko) 2019-05-02 2019-05-02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0844A (ja) * 2001-08-10 2003-02-28 Casio Comput Co Ltd 読取装置
US20180336389A1 (en) * 2017-05-18 2018-11-22 Chih-Yen Wu Optical element fabrication method and optical s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831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상보 스크래치 개선 프리즘 시트 및 그를 구비한 광학필름
CN105989325A (zh) * 2015-01-29 2016-10-05 深圳印象认知技术有限公司 蜂窝结构的指纹掌纹图像采集器及终端设备
KR101710097B1 (ko) * 2015-04-03 2017-0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2412975B1 (ko) * 2017-06-13 2022-06-23 아크소프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지문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0844A (ja) * 2001-08-10 2003-02-28 Casio Comput Co Ltd 読取装置
US20180336389A1 (en) * 2017-05-18 2018-11-22 Chih-Yen Wu Optical element fabrication method and optical s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5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37991A1 (zh) 屏下光学指纹识别系统及电子装置
WO2020035021A1 (zh) Lcd指纹识别系统、屏下光学指纹识别装置和电子装置
WO2020133479A1 (zh) 光学指纹识别模组及电子设备
CN210155472U (zh) 背光模组、显示器及电子装置
CN111095289B (zh) 屏下指纹识别装置以及终端设备
CN111507280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1123564U (zh) 一种光学膜层结构、背光模组、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08803781B (zh) 具有光学成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KR102250556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N212160687U (zh) 一种生物特征检测装置
KR102182501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N210573819U (zh) 一种背光模组、液晶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11288486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optical film,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film optical
CN212061207U (zh) 指纹识别用光学膜
CN110088673B (zh) 一种光学膜层结构、背光模组、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204164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KR102187694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N210573817U (zh) 生物特征检测模组和背光模组及电子装置
CN210402375U (zh) 背光模组、显示器、生物特征检测模组及电子装置
KR102284460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N209962256U (zh) 生物特征检测模组和背光模组、显示器及电子装置
CN210155679U (zh) 生物特征检测模组、背光模组及电子装置
KR102342062B1 (ko) 지문인식용 광학필름
CN210402365U (zh) 背光模组、显示器、检测模组及电子装置
CN210402366U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