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387B1 -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387B1
KR102182387B1 KR1020190078380A KR20190078380A KR102182387B1 KR 102182387 B1 KR102182387 B1 KR 102182387B1 KR 1020190078380 A KR1020190078380 A KR 1020190078380A KR 20190078380 A KR20190078380 A KR 20190078380A KR 102182387 B1 KR102182387 B1 KR 10218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entilation
toilet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찬
곽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7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94Door leaves with ventilated inner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출입을 위한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에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판을 갖는 화장실 도어가 형성되고 화장실 천장의 배기구를 통해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도어의 도어프레임은, 좌우측도어프레임 내부에 상하부로 통공형성된 좌우측배출통로가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정면 상하부 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부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통로가 통공형성되며, 상기 악취유입통로 내측 상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되는 송풍팬의 +,-전원단자와 대응되어 통전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를 갖고 송풍팬의 투입을 안내하고 고정지지하면서 악취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송풍력으로 좌우측배출통로로 유도하는 팬고정틀이 형성되고, 상측도어프레임은 상기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는 상측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측도어프레임 실내측에는 상측배출통로 연장선상에 배출장공이 형성되고, 우측도어프레임 외측면에는 도어판의 닫힘시 이를 감지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어 내측면에 형성된 설정조작부의 자동설정버튼에 의해 도어판 닫힘시 상기 다수개의 송풍팬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설정조작부의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버튼을 누를 때만 송풍팬이 작동되게 설정되며, 좌우측도어프레임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판체로 악취유입통로와 접하는 부위에는 다수개의 걸림바를 갖는 유입구를 갖는 좌우측가림판이 각각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환기도어프레임이고; 상기 상측도어프레임의 배출장공이 밀폐되게 고정결합되어 내측 중심부에 배출유도관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악취감지센서가 형성되는 배출판; 및 일단 하부에는 상기 배출판의 배출유출관과 관결합되는 덕트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상부에는 상기 설정조작부에 의해 연동되는 상부송풍팬이 형성되며, 화장실 천장에 고정설치되면서 타단이 환기팬의 배기구 하부까지 연장되는 덕트인 가이드배출덕트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를 이용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현실적을 실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기존 화장실의 큰 구조변경없이 화장실 도어의 교체와 간단한 시공만으로 손쉽게 기존 화장실에서의 환기 개선효과가 빠르고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Ventilation improvement type toilet door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도어를 이용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현실적을 실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기존 화장실의 큰 구조변경없이 화장실 도어의 교체와 간단한 시공만으로 손쉽게 기존 화장실에서의 환기 개선효과가 빠르고 월등하게 향상되는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 등과 같이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생활 공간에는 생존의 기본적인 대사를 수행하기 위한 화장실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실은 주로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공간이므로 예전에는 인간의 주거 시설과 격리된 위치에 시설하여 사용하다가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도시 인구가 증가되고, 주거 문화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으로 변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대부분 인간의 주거 공간내에 시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화장실은 실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화장실에 시설되는 변기나 세면기 등은 위생성이 확보되도록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또한 화장실이 종래의 배설물의 처리 기능 외에 반신욕이나 미용을 위해 장시간 머무르는 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내부 공간이나 시설이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대부분의 공동 주택 등의 화장실 내부에는 천장 패널에 배기 그릴이 설치되고, 이 배기 그릴이 설치된 상부 또는 측면에는 환풍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환풍기(fan)가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된 습기나, 악취 등을 제거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배기 그릴은 다수의 배기공을 갖는 구조이기는 하지만, 배기공 주변의 면적은 배기를 막는 구조이기 때문에 악취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기에 큰 문제가 없지만 악취가 심한 경우 악취를 신속하게 배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하로 관통하는 메인 배기공(11)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상부가 공동주택 천정의 배기 덕트(1)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 양측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안내홈(21)이 구비된 한 쌍의 안내레일(20)과; 각각 제1,2배기공(31,41)이 구비된 판상이며 상기 안내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배기공 또는 상기 케이스의 메인 배기공을 통해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2그릴(30,40)과; 상기 제1,2그릴을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강제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강제로 공기를 배기하는 환기팬(50)과; 공동주택용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감지하는 악취센서(60)와; 상기 악취센서의 감지값을 근거로 하여 기준값 이하의 악취시에는 상기 제1,2그릴이 상기 메인 배기공을 막아 상기 제1,2배기공을 통해 배기되도록 하고 기준값 이상의 악취시에는 상기 제1,2그릴을 벌어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메인 배기공을 통해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 양측에 대칭으로 장착되는 제1,2구동모터, 상기 제1,2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2구동기어(80,90), 상기 제1,2그릴의 상면에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2구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2구동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2그릴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1,2래크(32,4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보호망(12)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망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형성된 수납공(13)을 통해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형성된 지지턱(14)에 안착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부터 유해물질의 침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가 특허등록 제10-1070457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는, 악취가 심한 경우 전창의 제1,2그릴을 이동시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시킴으로써 악취의 신속 배출을 이룰수 있는 반면에, 악취의 신속 배출을 위한 통기면적이 구조적인 한계가 있어 좁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며, 악취의 배출이 화장실 내에서 환기팬이 장착된 부위에서만 이루어지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704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실 도어를 이용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현실적을 실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기존 화장실의 큰 구조변경없이 화장실 도어의 교체와 간단한 시공만으로 손쉽게 기존 화장실에서의 환기 개선효과가 빠르고 월등하게 향상되는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출입을 위한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에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판을 갖는 화장실 도어가 형성되고 화장실 천장의 배기구를 통해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도어의 도어프레임은, 좌우측도어프레임 내부에 상하부로 통공형성된 좌우측배출통로가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정면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부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통로가 통공형성되며, 상기 악취유입통로 내측 상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되는 송풍팬의 +,-전원단자와 대응되어 통전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를 갖고 송풍팬의 투입을 안내하고 고정지지하면서 악취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송풍력으로 좌우측배출통로로 유도하는 팬고정틀이 형성되고, 상측도어프레임은 상기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는 상측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측도어프레임 실내측에는 상측배출통로 연장선상에 배출장공이 형성되고, 우측도어프레임 외측면에는 도어판의 닫힘시 이를 감지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어 내측면에 형성된 설정조작부의 자동설정버튼에 의해 도어판 닫힘시 상기 다수개의 송풍팬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설정조작부의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버튼을 누를 때만 송풍팬이 작동되게 설정되며, 좌우측도어프레임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판체로 악취유입통로와 접하는 부위에는 다수개의 걸림바를 갖는 유입구를 갖는 좌우측가림판이 각각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환기도어프레임이고;
상기 상측도어프레임의 배출장공이 밀폐되게 고정결합되어 내측 중심부에 배출유도관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악취감지센서가 형성되는 배출판; 및
일단 하부에는 상기 배출판의 배출유출관과 관결합되는 덕트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상부에는 상기 설정조작부에 의해 연동되는 상부송풍팬이 형성되며, 화장실 천장에 고정설치되면서 타단이 환기팬의 배기구 하부까지 연장되는 덕트인 가이드배출덕트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를 이용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현실적을 실현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기존 화장실의 큰 구조변경없이 화장실 도어의 교체와 간단한 시공만으로 손쉽게 기존 화장실에서의 환기 개선효과가 빠르고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의 환기도어프레임의 체결모습을 보인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의 환기도어프레임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의 환기도어프레임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의 환기도어프레임의 시공시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의 작동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1)는, 공동주택용 화장실(2)의 출입과 환기를 위한 환기도어프레임(10)과, 화장실(2) 천장(20)의 배기구(22)를 통해 화장실(2)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21)과, 환기도어프레임(10)상부를 가이드배출덕트(23)와 연통시키는 배출판(24)과, 배출판(24)과 연통되어 환기팬(21) 하부까지 악취를 유도하는 가이드배출덕트(23)와, 환기도어프레임(10)에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장실 도어(1)의 환기도어프레임(10)은, 좌우측도어프레임(11,12) 내부에 상하부로 통공형성된 좌우측배출통로(11a,12a)가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도어프레임(11,12)의 정면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의 좌우측배출통로(11a,12a)와 연통되어 내부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통로(11b,12b)가 다수 개 통공형성되며, 상기 악취유입통로(11b,12b) 내측 상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되는 송풍팬(14)의 +,-전원단자(14a,14b)와 대응되어 통전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13a,13b)를 갖고 송풍팬(14)의 투입을 안내하고 고정지지하면서 악취유입통로(11b,12b)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송풍력으로 좌우측배출통로(11a,12a)로 유도하는 팬고정틀(13)이 형성되고, 상측도어프레임(15)은 상기 좌우측도어프레임(11,12)의 좌우측배출통로(11a,12a)와 연통되는 상측배출통로(15a)가 형성되며, 상측도어프레임(15) 실내측에는 상측배출통로(15a) 연장선상에 배출장공(15b)이 형성되고, 우측도어프레임(12) 외측면에는 도어판(30)의 닫힘시 이를 감지하는 누름스위치(16c)가 형성되어 내측면에 형성된 설정조작부(16)의 자동설정버튼(16a)에 의해 도어판(30) 닫힘시 상기 다수개의 송풍팬(14)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설정조작부(16)의 동작버튼(16b)에 의해 동작버튼(16b)을 누를 때만 송풍팬(14)이 작동되게 설정되며, 좌우측도어프레임(11,12)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판체로 악취유입통로(11b,12b)와 접하는 부위에는 다수개의 걸림바(17b,18b)를 갖는 유입구(17a,18a)가 형성된 좌우측가림판(17,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출판(24)은, 상기 상측도어프레임(15)의 배출장공(15b)이 밀폐되게 고정결합되어 내측 중심부에 돌출된 배출유도관(24a)이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상기 설정조작부(16)와 연결되어 송풍팬(14)의 작동에 관여하고, 작동후 송풍팬(14)의 정지에 관여하는 악취감지센서(24b,24c)가 각각 형성된다.
즉, 설정조작부(16)의 자동설정버튼(16a)이나 동작버튼(16b)을 작동시켜도 악취감지센서(24b,24c)에서 미리 설정된 치수만큼의 악취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수 개 송풍팬(14)은 작동되지 않으며, 설정조작부(16)의 자동설정버튼(16a)이나 동작버튼(16b)에 의해 다수 개 송풍팬(14)이 작동후 악취감지센서(24b,24c)에서 미리 설정된 치수만큼의 악취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수 개 송풍팬(14)은 일정시간후 바로 자동으로 정지된다.
상기 가이드배출덕트(23)는, 일단 하부에는 상기 배출판(24)의 배출유출관(24a)과 관결합되는 덕트결합공(23a)이 형성되고, 내측상부에는 상기 설정조작부(16)에 의해 연동되는 상부송풍팬(23b)이 형성되며, 화장실(2) 천장(20)에 고정설치되면서 타단이 환기팬(21)의 배기구(22) 하부까지 연장되는 덕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1)의 환기도어프레임(10)을 통해 화장실(2) 내부의 악취를 입체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통기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악취의 신속한 배출이 현실적을 실현 가능하게 이루어져 기존 화장실(2)의 큰 구조변경 없이 화장실 도어(1)의 환기도어프레임(10)의 교체와 배출판(24) 및 가이드배출덕트(23)의 간단한 시공만으로 손쉽게 기존 화장실(2)에서의 환기 개선효과가 보다 빠르고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화장실 도어
2 : 화장실
10 : 환기도어프레임 11,12 : 좌우측도어프레임
11a,12a : 좌우측배출통로 11b,12b : 악취유입통로
13 : 팬고정틀 13a,13b : +,-전원공급단자
14 : 송풍팬 14a,14b : +,-전원단자
15 : 상축도어프레임 15a : 상측배출통로
15b : 배출장공 16 : 설정조작부
16a : 자동설정버튼 16b : 동작버튼
16c : 누름스위치 17,18 : 좌우측가림판
17a,18a : 유입구 17b,18b : 걸림바
20 : 천장 21 : 환기팬
22 : 배기구 23 : 가이드배출덕트
23a : 덕트결합공 23b : 상부송풍팬
24 : 배출판 24a : 배출유도판
24b,24c : 악취감지센서
30 : 도어판

Claims (1)

  1. 좌우측도어프레임 내부에 상하부로 통공형성된 좌우측배출통로가 각각 통공형성되고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정면 상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내부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어 내부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통로가 통공형성되며 상측도어프레임은 상기 좌우측도어프레임의 좌우측배출통로와 연통되는 상측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측도어프레임 실내측에는 상측배출통로 연장선상에 배출장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형성된 설정조작부의 자동설정버튼에 의해 도어판 닫힘시 다수개의 송풍팬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설정조작부의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버튼을 누를 때만 송풍팬이 작동되게 설정되어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출입을 위한 환기도어프레임과, 환기 도어프레임에 일측이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판을 갖는 화장실 도어가 형성되고, 화장실 천장의 배기구를 통해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이 형성되며, 일단 하부에는 배출판의 배출유출관과 관결합되는 덕트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상부에는 상기 설정조작부에 의해 연동되는 상부송풍팬이 형성되며 화장실 천장에 고정설치되면서 타단이 환기팬의 배기구 하부까지 연장되는 덕트인 가이드배출덕트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환기도어프레임은, 상기 악취유입통로 내측 상부에는 슬라이딩 삽입되는 송풍팬의 +,-전원단자와 대응되어 통전을 이루는 +,-전원공급단자를 갖고 송풍팬의 투입을 안내하고 고정지지하면서 악취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송풍력으로 좌우측배출통로로 유도하는 팬고정틀이 형성되고, 우측도어프레임 외측면에는 도어판의 닫힘시 이를 감지하는 누름스위치가 형성되며, 좌우측도어프레임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판체로 악취유입통로와 접하는 부위에는 다수개의 걸림바를 갖는 유입구를 갖는 좌우측가림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측도어프레임의 배출장공이 밀폐되게 고정결합되어 내측 중심부에 배출유도관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악취감지센서가 형성되는 배출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KR1020190078380A 2019-06-28 2019-06-28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KR10218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80A KR102182387B1 (ko) 2019-06-28 2019-06-28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80A KR102182387B1 (ko) 2019-06-28 2019-06-28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387B1 true KR102182387B1 (ko) 2020-11-27

Family

ID=7364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80A KR102182387B1 (ko) 2019-06-28 2019-06-28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3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83B1 (ko) * 2006-07-28 2007-06-1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건축물 화장실 환기구조물
KR101070457B1 (ko) 2011-07-29 2011-10-06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JP5003772B2 (ja) * 2010-02-10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エアダクト及び電子装置
KR200469494Y1 (ko) * 2012-06-15 2013-10-17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20170046117A (ko) * 2017-04-18 2017-04-28 김남수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83B1 (ko) * 2006-07-28 2007-06-1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건축물 화장실 환기구조물
JP5003772B2 (ja) * 2010-02-10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エアダクト及び電子装置
KR101070457B1 (ko) 2011-07-29 2011-10-06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200469494Y1 (ko) * 2012-06-15 2013-10-17 이성국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20170046117A (ko) * 2017-04-18 2017-04-28 김남수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457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200455288Y1 (ko) 방화문의 도어 스토퍼 장치
WO2022039151A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20210056121A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개선장치
WO2016006809A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2144731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도어 환기장치
KR102182387B1 (ko)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형 화장실 도어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043408B1 (ko) 공동주택 화장실의 환기 개선을 위한 조립식 월
KR10196498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1063459B1 (ko)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KR200380422Y1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KR20100132744A (ko) 공동주택의 전실용 건조 수납장치
CN212880328U (zh) 可移动式紫外光消毒风箱
KR101038944B1 (ko) 공동 주택용 환기 개선 장치
KR102375897B1 (ko)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20150118455A (ko) 바닥층 환풍장치가 장착된 씽크대
KR100711749B1 (ko) 공동 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2244560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구조
JP7308521B2 (ja) 換気機能付き窓装置
CN219109282U (zh) 一种无水型公厕中的安全开合装置
KR102272054B1 (ko) 하이브리드 다목적 클린 컨테이너
JP5872318B2 (ja) エン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