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338B1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338B1
KR102182338B1 KR1020140142498A KR20140142498A KR102182338B1 KR 102182338 B1 KR102182338 B1 KR 102182338B1 KR 1020140142498 A KR1020140142498 A KR 1020140142498A KR 20140142498 A KR20140142498 A KR 20140142498A KR 102182338 B1 KR102182338 B1 KR 10218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passage
inter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024A (ko
Inventor
이성제
박태용
안용남
이세민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338B1/ko
Priority to EP15838386.9A priority patent/EP3081409B1/en
Priority to JP2016547560A priority patent/JP6298537B2/ja
Priority to PCT/KR2015/009115 priority patent/WO2016036079A1/ko
Priority to CN201580006267.4A priority patent/CN105980178B/zh
Priority to EP19179293.6A priority patent/EP3623185B1/en
Priority to EP19179515.2A priority patent/EP3569430B1/en
Priority to US15/305,361 priority patent/US10562370B2/en
Publication of KR2016004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107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eat exchangers, e.g. arrangements leading to a curved ai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냉풍통로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온풍통로에는 응축기를 설치한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 입구측에 제1블로어를 설치하고, 상기 온풍통로 입구측에 제2블로어를 설치하되 상기 제1블로어의 토출구와 제2블로어의 토출구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2블로어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와 온풍통로의 응축기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두 개의 블로어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냉풍통로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온풍통로에는 응축기를 설치한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 입구측에 제1블로어를 설치하고, 상기 온풍통로 입구측에 제2블로어를 설치하되 상기 제1블로어의 토출구와 제2블로어의 토출구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1), 압축기(1)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2), 응축기(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예컨대 팽창밸브(Expansion Valve)(3),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4) 등이 냉매 파이프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냉동사이클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방한다.
상기 에어컨시스템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가 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로 송출하고, 응축기(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로 보내어지고, 증발기(4)는 그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4)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1)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는 차량 실내측에 설치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방 역할을 하게 되는데, 즉,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4)를 거치면서 증발기(4)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 실내의 난방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미도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가열식히터(미도시)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2)는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방열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냉동사이클만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조케이스(10) 내부에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를 좌,우 구획되게 형성하고, 상기 냉풍통로(11)에는 냉방을 위한 증발기(4)를 설치하며, 상기 온풍통로(12)에는 난방을 위한 응축기(2)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출구측에는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토출구(15)와, 차실외로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방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의 각 입구측에는 개별작동하는 블로어(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가 좌,우(차량 폭방향)로 배치되므로, 상기 두 개의 블로어(20)도 좌,우로 배치된다.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이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상기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냉풍통로(11)(증발기)와 온풍통로(12)(응축기)가 좌,우(차량 폭방향)로 배치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크기가 증가하여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각 블로어(20)의 토출구가 좌,우(차량 폭바향)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11)(증발기)와 온풍통로(12)(응축기)의 상,하 배치가 어려워 결국 시스템의 소형화가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내의 냉풍통로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온풍통로에는 응축기를 설치한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 입구측에 제1블로어를 설치하고, 상기 온풍통로 입구측에 제2블로어를 설치하되 상기 제1블로어의 토출구와 제2블로어의 토출구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2블로어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와 온풍통로의 응축기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두 개의 블로어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수단, 증발기가 냉매순환라인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의해 냉풍통로 및 온풍통로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냉풍통로에는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에는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 입구측에 토출구가 연결되어 냉풍통로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블로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온풍통로 입구측에 토출구가 연결되어 온풍통로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블로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로어와 제2블로어는, 상기 제1블로어의 토출구와 제2블로어의 토출구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내의 냉풍통로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온풍통로에는 응축기를 설치한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냉풍통로 입구측에 제1블로어를 설치하고, 상기 온풍통로 입구측에 제2블로어를 설치하되 상기 제1블로어의 토출구와 제2블로어의 토출구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2블로어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와 온풍통로의 응축기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두 개의 블로어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블로어의 사이에 하나의 인테이크덕트를 설치하여 제1,2블로어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함으로써, 두 개의 블로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인테이크덕트를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의 사이에 바이패스도어를 설치하여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측으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상기 증발기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을 증대하고, 극저온 환경에서도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져 상기 증발기가 원활하게 흡열 하게 되고, 이로인해 시스템내의 냉매 온도 및 압력이 높아져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제1,2블로어측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은 도 3의 B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4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외기유입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기유입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은, 압축기(미도시) -> 응축기(102) -> 팽창수단(미도시) -> 증발기(104)를 냉매순환라인(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상기 증발기(104)를 통해 냉방을 수행하고 상기 응축기(102)를 통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압축기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104)로부터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102)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어 응축기(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매는 응축되고,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응축기(102)는, 냉매순화라인(냉매파이프)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한 후 방열핀(미도시)을 설치한 구조, 또는 복수개의 튜브(미도시)를 적층하고 각 튜브의 사이에 방열핀을 설치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냉매순환라인 또는 복수개 튜브를 따라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이때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팽창수단(미도시)은 상기 응축기(102)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104)로 보내게 된다.
상기 팽창수단으로는 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4)는 상기 팽창수단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저압의 액상 냉매를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증발기(104)에서 증발하여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기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04)의 내부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차량 실내의 난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응축기(102)의 내부를 순환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의 방열로 가열되어 뜨거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그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113)에 의해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가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벽(113)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인해, 상기 냉풍통로(111)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상기 증발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상기 응축기(102)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의 상,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증발기(104)와 상기 응축기(102)도 상,하로 배치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 모터(133,137)의 회전축이 향하는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증발기(104)와 응축기(102)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풍통로(111)에 설치되는 증발기(104)와 상기 온풍통로(112)에 설치되는 응축기(102)는 각각 수평으로 ?또賤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104)와 응축기(102)는 상기 구획벽(113)과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같이 구획벽(113)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13)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의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 일부를 상기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통로(114)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통로(114)의 일측에는 바이패스통로(11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도어(115)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도어(115)는 냉방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하고,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면서 증발기(104)에 의해 냉각된 냉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하고,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면서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난방모드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면서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을 증대하고, 극저온 환경에서도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져 상기 증발기(104)가 원활하게 흡열 하게 되고, 이로인해 시스템내의 냉매 온도 및 압력이 높아져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의 일부를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의 착상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02)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상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증발기(104)는, 상기 냉풍통로(111)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하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바이패스하는 온풍이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는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토출구(134)가 연결되어 냉풍통로(111)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블로어(130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토출구(138)가 연결되어 온풍통로(112)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블로어(1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블로어(13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4)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2)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1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렛링(131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블로어(130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8)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5)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6)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5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6)을 회전시키는 모터(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렛링(135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모터(133,137) 회전축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인렛링(131a)과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인렛링(135a)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스크롤케이스(131,135)는, 각각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32,136)을 중심으로 스크롤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132,136) 둘레의 공기통로는 스크롤 시작지점에서부터 끝지점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토출구(134,138)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 형상 끝지점에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온풍통로(111,112)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이러한 제1,2블로어(130a,130b)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111)의 증발기(104)와 온풍통로(112)의 응축기(102)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하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시말해, 상,하로 배치된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02)에 각각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를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는 냉풍통로(111)에 연결하고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온풍통로(112)에 연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스크롤케이스(131)는 스크롤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크롤케이스(131)내에서도 시계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한 후 냉풍통로(111)로 송풍되고,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스크롤케이스(135)는 스크롤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크롤케이스(135)내에서도 반시계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한 후 온풍통로(112)로 송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각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를 공용화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에 설치된 두 개의 모터(133,137)를 공용화할 수 있어 패키지 구성을 최소화 하면서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테이크덕트(1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상기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각각 개별 작동하는 두 개의 블로어(130a,130b)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41)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42)와,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내외기전환도어(147) 및 상기 제2블로어(130b)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외기유입구(141)는 인테이크덕트(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기유입구(142)는 인테이크덕트(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는 돔형 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도 돔형 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의 회전축은 상기 제1블로어(130a) 모터(133)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의 회전축은 상기 제2블로어(130b) 모터(137)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는, 돔형 도어 타입 뿐만 아니라, 플랫 도어 타입(센터 피봇 플랫 도어 또는 엔드 피봇 플랫 도어), 슬라이딩 도어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도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외기유입통로(143)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내기유입통로(144)와,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외기유입통로(145)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내기유입통로(14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는, 상기 제1외기유입통로(143)와 제1내기유입통로(144)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는, 상기 제2외기유입통로(145)와 제2내기유입통로(146)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두 개의 내외기전환도어(147,148)를 설치하여,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외기유입구(141,142)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상기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동시에 외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동시에 내기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블로어(130a)측으로는 내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블로어(130b)측으로는 외기를 공급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외기유입구(141)는 차량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는 차량실내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와 차량 실내를 연결하는 내기유입덕트(14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에는, 각각 에어필터(141a,142a)가 설치되어,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출구측에는,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한 냉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냉풍토출구(111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냉풍방출구(119a)와,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냉풍방출구(119a)를 개폐하는 냉풍 모드도어(120)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출구측에는,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온풍토출구(112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온풍방출구(119b)와, 상기 온풍토출구(112b)와 온풍방출구(119b)를 개폐하는 온풍 모드도어(121)가 구비된다.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와 온풍 모드도어(121)는 돔형 도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온풍방출구(119b)가 개방되어,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토출구(111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난방모드시에는 도 11과 같이 온풍토출구(112b)와 냉풍방출구(119a)가 개방되어,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냉매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응축기(102)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기(102)로 유입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냉매가 냉각되면서 액상으로 상변화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102)에서 배출된 액상냉매는, 상기 팽창수단으로 유입되어 감압 팽창 된다.
상기 팽창수단에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저온 저압의 무화 상태가 되어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된 냉매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증발기(104)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유입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이하, 냉방모드, 난방모드,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시의 공기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 냉방모드
냉방모드시에는, 도 10과 같이,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상기 냉풍토출구(111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는 상기 온풍방출구(119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토출구(111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
나.난방모드
난방모드시에는, 도 11과 같이,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토출구(112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
다.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
극저온 환경과 같이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시에는, 도 12와 같이,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토출구(112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04)의 흡열에 의해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온풍통로(112)의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을 증대하고, 극저온 환경에서도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며, 이로인해 시스템내의 냉매 온도 및 압력이 높아져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102: 응축기 104: 증발기
110: 공조케이스 111: 냉풍통로
112: 온풍통로 113: 구획벽
114: 바이패스통로 115: 바이패스도어
119a: 냉풍방출구 119b: 온풍방출구
120: 냉풍 모드도어 121: 온풍 모드도어
130: 송풍장치 130a: 제1블로어
130b: 제2블로어 131,135: 스크롤케이스
132,136: 송풍팬 133,137: 모터
134,138: 토출구
140: 인테이크덕트 141: 외기유입구
142: 내기유입구 142a: 내기유입덕트
143: 제1외기유입통로 144: 제1내기유입통로
145: 제2외기유입통로 146: 제2내기유입통로
147: 제1내외기전환도어 148: 제2내외기전환도어

Claims (11)

  1. 압축기, 응축기(102), 팽창수단, 증발기(104)가 냉매순환라인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113)에 의해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가 구획 형성되며,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상기 증발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상기 응축기(10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토출구(134)가 연결되어 냉풍통로(111)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블로어(130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토출구(138)가 연결되어 온풍통로(112)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블로어(13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획벽(113)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냉풍통로(111)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하는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상기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로어(13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4)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2)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테이크덕트(140)로부터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1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로어(130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8)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5)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6)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테이크덕트(140)로부터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5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6)을 회전시키는 모터(1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41)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42)와,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내외기전환도어(147) 및 상기 제2블로어(130b)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외기유입통로(143)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내기유입통로(144)와,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외기유입통로(145)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내기유입통로(146)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는, 상기 제1외기유입통로(143)와 제1내기유입통로(144)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는, 상기 제2외기유입통로(145)와 제2내기유입통로(146)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13)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의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 일부를 상기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통로(11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14)의 일측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도어(1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출구측에는,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한 냉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냉풍토출구(111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냉풍방출구(119a)와,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냉풍방출구(119a)를 개폐하는 냉풍 모드도어(120)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출구측에는,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온풍토출구(112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온풍방출구(119b)와, 상기 온풍토출구(112b)와 온풍방출구(119b)를 개폐하는 온풍 모드도어(1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에는, 각각 에어필터(141a,14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0140142498A 2014-09-01 2014-10-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8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98A KR102182338B1 (ko) 2014-10-21 2014-10-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EP15838386.9A EP3081409B1 (en) 2014-09-01 2015-08-31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JP2016547560A JP6298537B2 (ja) 2014-09-01 2015-08-31 車両用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PCT/KR2015/009115 WO2016036079A1 (ko) 2014-09-01 2015-08-3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201580006267.4A CN105980178B (zh) 2014-09-01 2015-08-31 用于车辆的热泵系统
EP19179293.6A EP3623185B1 (en) 2014-09-01 2015-08-31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EP19179515.2A EP3569430B1 (en) 2014-09-01 2015-08-31 Vehicle comprising a heat pump system
US15/305,361 US10562370B2 (en) 2014-09-01 2015-08-31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98A KR102182338B1 (ko) 2014-10-21 2014-10-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24A KR20160047024A (ko) 2016-05-02
KR102182338B1 true KR102182338B1 (ko) 2020-11-25

Family

ID=5602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98A KR102182338B1 (ko) 2014-09-01 2014-10-21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764B1 (ko) * 2017-11-22 2022-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4194005A (zh) * 2022-01-25 2022-03-18 泰铂(上海)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驻车空调以及包括该驻车空调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88A (ja) * 2009-12-11 2011-06-2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41932A (ja)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5421B2 (ja) * 1995-03-07 2002-09-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冷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488A (ja) * 2009-12-11 2011-06-2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41932A (ja)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24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3842B (zh) 车用热泵系统
JP6415489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CN107438527B (zh) 车辆空调系统
US11052726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US10562370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45681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182342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70416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401265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86726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32634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5849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8233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5925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23803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56814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80008977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456822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170455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23803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3657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552117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22722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1584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7541B1 (ko) 에어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