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262B1 - 압력용기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용기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262B1
KR102182262B1 KR1020200142671A KR20200142671A KR102182262B1 KR 102182262 B1 KR102182262 B1 KR 102182262B1 KR 1020200142671 A KR1020200142671 A KR 1020200142671A KR 20200142671 A KR20200142671 A KR 20200142671A KR 102182262 B1 KR102182262 B1 KR 10218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welding
pressure vesse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박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진 filed Critical 박영진
Priority to KR102020014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4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a shielding or a welding powder, e.g. a magnet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29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situated alongside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용기 용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설치되는 수직지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를 따라 승하강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승강체(120)와, 상기 승강체(12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수평지지부(130)와, 상기 승강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지지부(130)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수평이송부(150),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일단에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용접부(160)와, 상기 용접부(160)와 인접한 위치의 승강체(120)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착석하여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착석부(170)와, 상기 착석부(170)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이송부(150) 및 용접부(160)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8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측방향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재받침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160)는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전방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블럭(161)과, 상기 지지블럭(161)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며 와이어(163)가 권취된 와이어릴(162)과, 상기 지지블럭(16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용접토치(164)와, 상기 와이어릴(162)에 권취된 와이어(163)를 용접토치(16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공급기(165)와, 상기 지지블럭(16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모재에 용제인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플럭스공급기(166) 및 용접후 모재에 잔류하는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흡입유닛(167)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 용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력용기 용접장치{pressure vessel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소방용 압력용기 제작을 위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용기 용접시 쉽고 간편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금속재료를 가열, 가압 등의 조작으로 야금적으로 접합시키는 접합법이다. 용접은 금속학적으로 융접, 압접 및 납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융접은 접합할 양 금속부재, 즉 모재의 접합부를 국부적으로 가열시켜 이들을 융합함으로써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용접작업은 고난도의 작업으로써 숙련된 기술과 정밀성이 요구됨에 따라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소방용 가스 등을 충진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의 용접작업의 경우 내부에 충진되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난이도 기술 및 정밀성이 요구되며, 다양한 공정변수가 존재함으로 대부분 수동용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소방용 압력용기의 경우 통상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ubmerged arc welding)을 통해 정밀하게 용접을 행하고 있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이란 모재의 용접부위를 정련작용을 하는 분체형상의 플럭스(flux)로 용접부위를 두껍게 덮고 그 내부에 와이어를 송급한 상태에서,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큰 전류의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용접선상을 따라 나아가며 용접하는 자동용접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와이어가 용융되어 들어가는 지점이 깊고, 플럭스가 주변공기를 아크 부위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용접결함이 없는 건전한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생하는 아크가 눈에 보이지 않게 차폐됨은 물론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에서 작업현장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관련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의 전형적인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종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는, 이동대차(20), 이동대차(20)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송급기(30), 와이어송급기(30) 하부에 마련되는 용접토치(31), 이동대(2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플럭스공급기(40),이동대차(20)의 후방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릴(7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플럭스공급기(4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양의 플럭스가 용접토치(31)를 통해 토출되어 모재(5)의 용접부위(5a)를 일정두께로 덮으면, 와이어송급기(30)가 작동하여 와이어릴(7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71)을 당겨 토치(31)를 통해 용접부위(5a)를 덮고 있는 플럭스 내부로 밀어넣는다. 이 상태에서, 큰 전류가 인가되면 와이어(71)와 모재(5)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고, 발생된 열에 의해 와이어가 용융되면서 용접부위의 간극을 채우게 되며, 이후 이동대차(20)가 레일(6)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동하면서 용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 알려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는 모재의 용접부위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재에 대한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관련업계에서는 주로 평판구조의 모재를 용접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밀한 작업을 요하는 소방용 탱크나, 플랜트용 탱크 등 각종 탱크를 용접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곡률로 이루어지는 대형 배관이나 원형 탱크 등의 경우에는 일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써,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용접을 위한 플럭스를 모재의 용접부위에 일정두께로 덮어야 하는데 측면을 용접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재에 형성된 곡률로 인하여 용접이 불가능하여 작업자가 모재를 회전시킨 후 보재의 상측에서 수작업으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소방용 탱크 등의 압력용기 용접시에도 쉽고 간편하게 용접을 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 용접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압력용기도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용접시 사용되는 플럭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압력용기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압력용기 용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설치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를 따라 승하강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승강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부와, 상기 수평지지부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수평이송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인접한 위치의 승강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착석하여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승강부와 상기 수평이송부 및 용접부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측방향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재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전방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릴과, 상기 지지블럭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용접토치와, 상기 와이어릴에 권취된 와이어를 용접토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공급기와,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모재에 용제인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플럭스공급기 및 용접후 모재에 잔류하는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흡입유닛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 용접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용기를 눕힌 상태에서 승강부 및 수평이송부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눕힌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앉은 자세로 쉽고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용접시 사용되는 플럭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용접부에 흡입유닛을 구비하여 모재인 압력용기 상측을 덮는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용접을 행해도 앉은 자세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에 용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수평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용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모재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모재받침부의 고정받침블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지지부재를 이용한 용접탱크를 지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습이다.
도 10은 모재받침부의 구동축과 받침롤러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별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일정 곡률을 갖는 압력용기의 수작업 용접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진행하여도 앉은 자세에서 쉽고 간편하게 용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용접시 사용되는 필렉스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수직지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를 따라 승하강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승강체(120)와, 상기 승강체(12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수평지지부(130)와, 상기 승강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지지부(130)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수평이송부(150),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일단에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용접부(160)와, 상기 용접부(160)와 인접한 위치의 승강체(120)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착석하여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착석부(170)와, 상기 착석부(170)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이송부(150) 및 용접부(160)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8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측방향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재받침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기립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지지부(110)를 한 쌍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단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지지부(110)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직지지부(110)와 수직지지부(110) 사이에 승강체(12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체(120)는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110)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수평지지부(130)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부(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120)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130)는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승강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승강모터(141)와, 일단이 상기 승강체(120)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승강모터(141)에 결합된 기어와 치합되는 체인(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모터(141)의 구동에 따라 기어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체인(142)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놓아주는 형태로 상기 승강체(120)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체(1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체(120)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승강체(12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재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원활한 승하강을 위해 복수개의 승강롤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또한, 수평이송부(150)는 상기 승강체(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지지부(130)를 수평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승강체(120)의 상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모터(151)와, 상기 승강체(120)의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152) 및 상기 이송모터(151)와 상기 이송롤러(152)와 연결되어 이송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롤러(15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수평지지부(130)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벨트(153)와 연결된 상기 이송롤러(15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부(130)를 수평방향 즉, 전후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부(130)에는 용접을 직접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용접부(160)가 설치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용접부(160)는 수평지지부(130)에 설치되어 용접부위를 실질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부(160)는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전방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블럭(161)과, 상기 지지블럭(161)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며 와이어(163)가 권취된 와이어릴(162)과, 상기 지지블럭(161)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는 용접토치(164)와, 상기 와이어릴(162)에 권취된 와이어(163)를 용접토치(164)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공급기(165)와, 상기 지지블럭(16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모재에 용제인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플럭스공급기(166) 및 용접후 모재에 잔류하는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흡입유닛(16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럭(161)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형태로서 상기 승강체(120)의 전방 일단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럭(161)의 후방 일측에는 아크용접을 위한 와이어(163)가 권취된 와이어릴(16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161)의 전방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릴(162)에 권취된 와이어(163)를 공급할 수 있는 와이어공급기(16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공급기(165)는 와이어공급모터(165a))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163)를 잡아당기는 형태로 상기 용접토치(164)로 와이어(16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접토치(164)는 상기 와이어공급기(165)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공급기(165)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163)를 공급받을 수 있게 튜브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와이어공급기(165)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지지봉(164a))과, 상기 와이어지지봉(164a)의 타단에 설치되며 측면 일측에 상기 플럭스공급기(166)에서 공급되는 플럭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토치부재(164b)로 구성되어, 토치부재(164b)를 통해 용접부위로 플럭스가 공급되면 상기 와이어지지봉(164a) 내부에 위치한 와이어(163)가 플럭스가 덮힌 모재(압력용기)와 접촉되어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치부재(164b)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플럭스공급기(166)는 분말형태의 플럭스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한 호퍼형상의 저장통(166a)과, 상기 저장통(166a)과 상기 토치부재(164b)를 연결하는 호스(166b)로 이루어진다. 즉, 호스(166b)를 통해 상기 저장통(166a)에 저장된 플럭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저장통(166a)과 호스(166b)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플랙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6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위의 용접이 마무리되면 사용되지 않은 플럭스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상기 수평지지부(130)에는 흡입유닛(16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167)은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후방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회수통(167a)과, 상기 회수통(167a)과 튜브(167b)를 통해 연결되며 튜브(167b)의 말단에 플럭스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167c) 및 상기 흡입부재(167c)를 통해 플럭스가 흡입되어 상기 저장통(166a)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펌프(167d)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용접하고자 하는 부위의 용접이 마무리되면 용접부위 주변에 잔류하는 플럭스를 재사용할 수 있게 흡입부재(167c)를 용접부위에 위치시키고 이후 펌프(167d)를 구동시켜 용접부위 주변에 잔류하는 플럭스를 흡입하여 상기 회수통(167a)에 보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용접부(160)의 일측에는 착석부(170)가 설치된다. 상기 착석부(170)는 작업자가 착석하여 상기 컨트롤부(180)를 조정하여 승강부(140)와 수평이송부(150) 및 용접부(160)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일단에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통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착석부(170)의 일측에는 컨트롤부(1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부(180)는 상기 지지블럭(16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140) 및 수평이송부(150) 그리고 용접부(160)를 조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조절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부(170)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발판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상기 컨트롤부(180)에 마련된 조절스위치를 이용하여 용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모재받침부(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전방향 일측에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191)과, 상기 수직지지부(110)와 인접하게 위치된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모재인 압력용기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의 받침롤러(192b)가 구비된 고정받침블럭(192)과,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 마찬가지로 상기 모재인 압력용기를 하부에서 지지하거나 측면일측에 기립하게 위치되어 상기 압력용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받침블럭(193)과,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의 받침롤러(192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9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기 수평지지부(130)가 전진되는 방향의 수직지지부(110) 일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부(110)와 이격되게 한 쌍의 레일(191)이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일단 즉, 상기 수직지지부(110)가 위치된 방향의 일단에는 고정받침블럭(192)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의 상측에는 상기 압력용기를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받침롤러(192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받침부재(192a)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레일(191)과 레일(191)을 연결하도록 받침판(192c)이 위치되며, 상기 받침판(192c)의 상측에는 상기 모재와 접촉되면서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받침롤러(192b)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롤러(192b)는 롤러받침부재(192a)에 의해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의 하부가 스크류(192d)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의 하부에는 나사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받침롤러(192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단은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92d)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192d)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가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롤러(192b)와 받침롤러(192b)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한 쌍의 받침롤러(192b)가 압력용기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상에는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이 마련된다. 상기 이송받침블럭(193) 역시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 마찬가지로 상측에 모재와 접촉되면서 회전지지할 수 있는 받침롤러(192b)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스크류(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롤러받침부재(19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레일(191)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받침블럭(193)은 모재받침부(190)에 안착되는 압력용기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을 이송시켜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의 거리 조절을 통해 압력용기의 길이만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받침판(192c)과, 상기 받침판(192c)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19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퀴(192e) 및 상기 바퀴(192e)의 회전을 제한하여 받침판(192c)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부재(192f)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92f)는 상기 받침판(192c) 상측에 일단이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판(192c)에 나사결합된 하단이 상기 바퀴(192e)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바퀴(192e)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에는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와 롤러받침부재(192a) 사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압력용기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19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9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이송받침블럭(193)과 볼트 결합될 수 있게 플레이트(194a)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194a)의 상측으로 기립되는 기둥부재(194b) 및 상기 기둥부재(194b)의 상단에 마련된 베어링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축(194c)으로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의 외주면에 다리 등을 부착하였을 경우 부착된 다리에 의해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에 마련된 받침롤러(192b)로 압력용기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에 지지부재(194)를 부착시킨 후 상기 기둥부재(194b)의 상측에 마련된 회전지지축(194c) 일단을 상기 압력용기와 가용접시켜 일정 높이에서 압력용기를 회전지지하도록 한 후 용접이 마무리되면 가용접된 회전지지축(194c)과 모재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압력용기를 용접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95)는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에 마련된 받침롤러(192b)와 구동축(195a)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95)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받침롤러(192b)를 회전시켜 받침롤러(192b)에 의해 지지된 모재, 즉 압력용기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롤러(192b)와 상기 구동모터(195)를 연결하는 구동축(195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기둥형태로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192d)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경우 받침롤러(192b)는 구동축(195a)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축(195a)이 상기 받침롤러(192b)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95)가 구동될 경우 상기 받침롤러(192b)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192d)가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받침롤러(192b) 및 롤러받칩부재(192a)가 구동축(195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용접장치는 압력용기를 눕힌 상태에서 승강부(140) 및 수평이송부(150)를 통해 수평지지부(130) 및 용접부(16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눕힌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앉은 자세로 쉽고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일측에 용접시 사용되는 플럭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흡입유닛(167)를 구비하여 모재인 압력용기 상측에 덮은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등 용접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탄을 담체에 부착한 흡/탈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캐니스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수직지지부 120 : 승강체
121 : 승강롤러 130 : 수평지지부
140 : 승강부 141 : 승강모터
142 : 체인 150 : 수평이송부
151 : 이송모터 152 : 이송롤러
153 : 벨트 160 : 용접부
161 : 지지블럭 162 : 와이어릴
163 : 와이어 164 : 용접토치
164a : 와이어지지봉 164b : 토치부재
165 : 와이어공급기 165a : 와이어공급모터
166 : 플럭스공급기 166a : 저장통
166b : 호스 166c : 조절밸브
167 : 흡입유닛 167a : 회수통
167b : 튜브 167c : 흡입부재
167d : 펌프 170 : 착석부
180 : 컨트롤부 190 : 모재받침부
191 : 레일 192 : 고정받침블럭
192a : 롤러받침부재 192b : 받침롤러
192c : 받침판 192d : 스크류
192e : 바퀴 192f : 고정부재
193 : 이송받침블럭 194 : 이송부재
194a : 플레이트 194b : 기둥부재
194c : 회전지지축 195 : 구동모터
195a : 구동축

Claims (1)

  1.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설치되는 수직지지부(11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를 따라 승하강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승강체(120)와, 상기 승강체(12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수평지지부(130)와, 상기 승강체(12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지지부(130)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수평이송부(150),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일단에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용접부(160)와, 상기 용접부(160)와 인접한 위치의 승강체(120)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착석하여 압력용기의 상측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착석부(170)와, 상기 착석부(170)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승강부(140)와 상기 수평이송부(150) 및 용접부(160)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80)와, 상기 수직지지부(110)의 측방향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모재인 압력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재받침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받침부(190)는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전방향 일측에 상기 수직지지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191)과, 상기 수직지지부(110)와 인접하게 위치된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모재인 압력용기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의 받침롤러(192b)가 구비된 고정받침블럭(192)과, 상기 한 쌍의 레일(191)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 마찬가지로 상기 모재인 압력용기를 하부에서 지지하거나 측면 일측에 기립하게 위치되어 상기 압력용기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받침블럭(192)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받침블럭(193)과,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의 받침롤러(192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95)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받침블럭(192)은 상기 한 쌍의 레일(191)과 레일(191)을 연결하도록 받침판(192c)이 위치되며, 상기 받침판(192c)의 상측에는 상기 모재와 접촉되면서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받침롤러(192b)가 마련된 것으로, 상기 받침롤러는 각각 한 쌍의 롤러받침부재(192a)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받침부재(192a)는 하부에 스크류(192d)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192d)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받침부재(192a)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이송받침블럭(193)에는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압력용기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194)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194)는 하부에 상기 이송받침블럭(193)과 볼트 결합될 수 있게 플레이트(194a)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194a)의 상측으로 기립되는 기둥부재(194b) 및 상기 기둥부재(194b)의 상단에 마련된 베어링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지지축(19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용기 용접장치.
KR1020200142671A 2020-10-30 2020-10-30 압력용기 용접장치 KR10218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71A KR102182262B1 (ko) 2020-10-30 2020-10-30 압력용기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71A KR102182262B1 (ko) 2020-10-30 2020-10-30 압력용기 용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79A Division KR102182260B1 (ko) 2020-08-13 2020-08-13 압력용기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262B1 true KR102182262B1 (ko) 2020-11-24

Family

ID=7367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71A KR102182262B1 (ko) 2020-10-30 2020-10-30 압력용기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9828A (zh) * 2023-05-25 2023-06-27 南京斯迈柯特种金属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对接坡口结构、焊接装置及焊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00B1 (ko) * 2010-08-02 2010-11-01 이수연 엘보관 자동용접장치
KR101171577B1 (ko) * 2010-10-19 2012-08-07 (주)경동 파이프 용접 장치
KR101614248B1 (ko) * 2015-06-01 2016-04-20 세원셀론텍(주)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00B1 (ko) * 2010-08-02 2010-11-01 이수연 엘보관 자동용접장치
KR101171577B1 (ko) * 2010-10-19 2012-08-07 (주)경동 파이프 용접 장치
KR101614248B1 (ko) * 2015-06-01 2016-04-20 세원셀론텍(주)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29828A (zh) * 2023-05-25 2023-06-27 南京斯迈柯特种金属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对接坡口结构、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6329828B (zh) * 2023-05-25 2024-02-06 南京斯迈柯特种金属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对接坡口结构、焊接装置及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260B1 (ko) 압력용기 용접장치
CN108847360B (zh) 一种能够进行位置检测的圆形电容组装机
CN211680636U (zh) 一种水箱环缝和纵缝自动焊接机
CN101306488B (zh) 双弧四丝自动埋弧焊机及其制造方法
KR102182262B1 (ko) 압력용기 용접장치
CN201483164U (zh) 变位纵缝自动焊接机
CN101362244A (zh) 明弧添加特种合金粉自动堆焊设备
CN107160008A (zh) 一种用于环形焊缝的焊接专机
CN108890177A (zh) 一种不规则薄片工件自动焊接设备
KR101545554B1 (ko) 수직 이동 티그 자동용접장치 및 자동용접방법
KR101663892B1 (ko) 수직 및 수평 이동 용접장치
KR101685142B1 (ko) 자동 용접장치
KR20140000575A (ko) 파이프 용접 장치
CN108011276B (zh) 一种裁切焊接镀锡机
KR102011867B1 (ko) 관부의 플라즈마 내면 용접 장치
KR20140106157A (ko) 곡선을 갖는 작업대상의 용접장치
CN106334891A (zh) 一种内环焊缝自动焊接装置
CN107138834A (zh) 一种无轨快速管子内、外壁埋伏焊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208427968U (zh) 板单元智能焊接生产线
KR100607338B1 (ko) 용접선 추적 및 부재 취부장치를 구비한 멤브레인 형식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건조를 위한 플라즈마 자동용접 장치
JP2022143413A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2006297460A (ja) 裏当て支持装置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CN103302383A (zh) 自动氩弧焊机
CN211915764U (zh) 一种筒状焊件内纵缝焊接装置
CN104117810A (zh) 罐体外部自动焊接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