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62B1 - 변압기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62B1
KR102181262B1 KR1020190043848A KR20190043848A KR102181262B1 KR 102181262 B1 KR102181262 B1 KR 102181262B1 KR 1020190043848 A KR1020190043848 A KR 1020190043848A KR 20190043848 A KR20190043848 A KR 20190043848A KR 102181262 B1 KR102181262 B1 KR 10218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urrent
deterioration
measured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152A (ko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엔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엔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4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tection Of Transformer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변압기 온도와 전류 및 고조파를 측정 및 분석하여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및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분석 정보에서 전류와 온도 상승분, 전압비와 전류비, 고조파 비를 분석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를 포함하여 변압기 진단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진단장치{Transformer diagnostic equipment}
본 발명은 변압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압기 온도와 전류 및 고조파를 측정 및 분석하여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기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며,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주요 기기이다. 고장 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제작 단계에서는 물론 설치운용 시 지속적인 점검 및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변압기 고장의 주요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적인 원인 및 기계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적인 부분의 경우 온도, 전압, 전류 등의 감시요소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변압기 각 부분의 정보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에 일반적인 변압기 진단장치의 실시 예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변압기(1) 보호를 위하여 변압기 전류차동계전기(DCR, Differrential Current Relay)(계전기 번호 87T)(2)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변압기(1)의 1차측과 2차측에 변압기의 권선비에 반비례하는 전류 센서(CT)(3, 4)를 설치하고,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를 측정한다. 이어, 전류차동계전기(2)에서 1차측과 1차측의 전류비 차이가 발생하면 내부의 계전기 동작코일을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Trip)하여 변압기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한편, 변압기 진단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변압기의 외함을 접지하는 접지선과 중성선에서 접지로 연결되는 연결선의 일측에 전압 또는 전류 변환기를 부착하여 변환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신호전송기를 통해 분석장치로 전송한다. 전송된 전압 또는 전류를 분석장치의 데이터 처리모듈에서 FFT 파형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에 포함된 각종파형을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변압기 절연손상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을 추출하여 절연손상을 나타내는 고조파 파형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절연손상 시 파형패턴과 비교하여 변압기의 수리 여부를 판단하는 고조파형 분석에 의한 변압기 진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변압기 외함에 설치되어 주파수
신호를 측정하는 융합 센서부, 주파수 신호로부터 주파수 데이터 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주파수 데이터 값의 주파수 성분 값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변압기 초기 설치시 측정된 설비 고유주파수 성분 초기값과 비교하여 주파수 성분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변압기 감시진단 시스템을 구현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고조파 분석에 의한 전기설비 고장 진단장치로서, 전기설비장치의 접지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CT를 통해 측정하는 계측장치 모듈, 계측장치 모듈로부터 계측된 전류의 데이터를 주기적인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MySQL),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계측된 전류의 데이터에 FCM(Fuzzy C-means)을 기반으로 하는 pRBFNNs(polynomial-based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직류파, 기본파, 제3 고조파, 제5 고조파 및 제7 고조파의 파형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고장을 진단하는 지능형 알고리즘 분석진단 모듈, 지능형 알고리즘 분석진단 모듈의 사용자 제어 및 분석된 진단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웹(web) 기반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계측장치 모듈의 CT를 통해 전기설비 장치의 접지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취득하고, FCM을 기반으로 하는 pRBFNNs의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지능형 알고리즘 분석진단 모듈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5319(2013.04.09. 등록)(고조파형 분석에 의한 변압기 진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3813(2014.04.03. 등록)(변압기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5087(2016.05.23. 등록)(고조파 분석에 의한 전기설비 고장 진단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변압기 진단 장치 및 종래기술은 영상 고조파를 분석하거나 변압기 1차측과 2차측 전류 차이만을 이용하여 변압기를 진단하는 방식으로서, 변압기의 고장이 발생하기 이전에 열화 수명을 예측하거나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변압기 온도와 전류 및 고조파를 측정 및 분석하여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압기의 전류와 온도 상승분을 이용하여 변압기 열화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측/2차측 전압비와 전류비를 측정 및 분석하여 변압기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압기 1차측/2차측 고조파 비 측정 및 분석을 통해 변압기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는,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상기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분석 정보에서 전류와 온도 상승분, 전압비와 전류비, 고조파 비를 분석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변압기 전류와 온도 상승분을 기초로 열화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비와 전류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고조파 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정보 검출부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류센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압센서; 상기 변압기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변압기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검출한 변압기의 내부 온도 값과 상기 제2전류센서에서 측정한 2차측 전류값과 상기 제1전압센서에서 측정한 변압기 1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1저역필터;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검출한 변압기 외기 온도 값과 상기 제1전류센서에서 측정한 1차측 전류 값과 상기 제2전압센서에서 측정한 변압기 2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2저역필터; 상기 제1저역필터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1측정 값으로 출력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2저역필터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2측정값으로 출력하는 제2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과 제2증폭기의 출력을 동기화하는 시간 동기화기; 상기 시간 동기화기에서 출력되는 제1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시간 동기화기에서 출력되는 제2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측정 데이터 및 제2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압기의 수명 열화 및 소손을 예측하고, 측정값 및 분석결과 표시 제어와 변압기 이상에 대해 트립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표시하며,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표시 및 통신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트립 명령에 따라 차단기를 구동하는 차단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온도와 전류 및 고조파를 측정 및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의 진단장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Y-Δ 변압기의 영상 고조파 감쇠 다이아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0)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300), 상기 정보 검출부(300)에서 검출한 분석 정보에서 전류와 온도 상승분, 전압 비와 전류 비, 고조파 비를 분석하여 변압기(100)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150)는 변압기 전류와 온도 상승분을 기초로 열화 수명을 예측하거나, 변압기(100)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비와 전류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하거나, 변압기(100)의 1차측과 2차측의 고조파 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검출부(300)는 상기 변압기(100)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류센서(110, 120), 상기 변압기(100)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압센서(160, 170), 상기 변압기(100)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130), 상기 변압기(10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150)는 상기 제2온도센서(140)에서 검출한 변압기 내부 온도 값과 상기 제2전류센서(120)에서 측정한 2차측 전류값과 상기 제1전압센서(160)에서 측정한 변압기 1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1저역필터(201), 상기 제1온도센서(130)에서 검출한 변압기 외부 온도 값과 상기 제1전류센서(110)에서 측정한 1차측 전류 값과 상기 제2전압센서(170)에서 측정한 변압기 2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2저역필터(202), 상기 제1저역필터(201)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1측정 값으로 출력하는 제1증폭기(203), 상기 제2저역필터(202)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2측정값으로 출력하는 제2증폭기(204), 상기 제1증폭기(203)의 출력과 제2증폭기(204)의 출력을 동기화하는 시간 동기화기(205),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에서 출력되는 제1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06),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에서 출력되는 제2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07),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207)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측정 데이터 및 제2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압기(100)의 수명 열화 및 소손을 예측하고, 측정값 및 분석결과 표시 제어와 변압기 이상에 대해 트립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08), 상기 제어부(208)에서 출력되는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표시하며,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표시 및 통신부(209), 상기 제어부(208)에서 출력되는 트립 명령에 따라 차단기를 구동하는 차단기 구동부(2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진단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변압기(100)의 열화 수명을 예측하거나 열화 소손을 예측하기 위해서, 변압기(100)의 내부 또는 주변에 설치된 정보 검출장치들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이나 소손 예측을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정보 검출부(300)의 제1전류센서(CT)(110)는 상기 변압기(100)의 권선비에 반비례하는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변압기(100) 1차측의 전류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제2전류센서(CT)(120)는 상기 변압기(100)의 권선비에 반비례하는 전류 센서를 이용하여 변압기(100) 2차측의 전류를 검출한다. 또한, 제1전압센서(PT)(160)를 이용하여 변압기(100)의 1차측의 전압을 검출하고, 제2전압센서(PT)(170)를 이용하여 변압기(100)의 2차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제1온도센서(130)를 이용하여 변압기(100)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고, 제2온도센서(140)를 이용하여 상기 변압기(10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
이렇게 변압기의 열화 수명이나 소손, 이상 유무를 예측 및 판단하기 위해 각각 측정된 측정값은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150)에 입력된다.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150)의 제1저역필터(201)는 상기 제2온도센서(140)에서 검출한 변압기 내부 온도 값과 상기 제2전류센서(120)에서 측정한 2차측 전류값과 상기 제1전압센서(160)에서 측정한 변압기 1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한다. 여기서 제1저역필터(201)는 상기 측정된 3개의 측정 값(전압 값, 전류 값, 온도 값)을 각각 저역필터링한다.
아울러 제2저역필터(202)는 상기 제1온도센서(130)에서 검출한 변압기 외부 온도 값과 상기 제1전류센서(110)에서 측정한 1차측 전류 값과 상기 제2전압센서(170)에서 측정한 변압기 2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한다. 제2저역필터(202)도 제1저역필터(201)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3개의 측정 값(전압 값, 전류 값, 온도 값)을 각각 저열필터링한다.
다음으로, 제1증폭기(203)는 상기 제1저역필터(201)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1측정 값으로 시간 동기화기(205)에 전달한다. 아울러 제2증폭기(204)도 상기 제2저역필터(202)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2측정값으로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에 전달한다.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는 상기 제1증폭기(203)의 출력과 제2증폭기(204)의 출력을 동기화한다. 여기서 동기화란 1차측 측정 값(전압, 전류)과 2차측 측정 값(전압, 전류)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처리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동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1차측 측정값과 2차측 측정값을 동일한 시간에 입력받아 동일한 시간에 후단으로 전송하여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는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에서 출력되는 제1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제1 측정 데이터로 제어부(208)에 전달하고, 제2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207)도 상기 시간 동기화기(205)에서 출력되는 제2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제2 측정 데이터로 제어부(208)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207)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측정 데이터 및 제2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압기(100)의 수명 열화 및 소손을 예측하고, 측정값 및 분석결과 표시 제어와 변압기 이상에 대해 트립 명령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8)는 전류 값 연산, 고조파 연산, 여자전류 연산, 영상고조파 제거, 동일전류 제거, 1차측/2차측 전류값 비교 등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압기의 전류와 온도 상승분을 이용하여 변압기 열화 수명을 예측한다.
변압기 온도(H)는 전류(1차측과 2차측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H = I2Rtη).
순수한 변압기 온도 상승분(Tt)인 Tt = 변압기 내부온도(T2) - 변압기 외기 온도(T1)이다. 따라서 Tt = H = I2Rtη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변압기 온도 상승 곡선에 따른다. 변압기 온도(T2)가 정격온도 60℃에서 10℃를 초과할 때마다 변압기의 수명은 1/2로 줄어든다. 여기에는 고조파 성분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나, 고조파는 히스테리시스손과 와류손에 의해 열 상승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압기의 전류와 온도 상승분만으로 변압기의 열화 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나, 더욱 정확한 변압기 열화 수명 판단을 위해서 고조파 성분을 고려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압기의 열화 수명을 예측한다.
둘째, 변압기 1차측/2차측 전압비와 전류비를 이용하여 변압기 열화 소손을 예측한다.
예컨대, 변압기(100)의 1차측/2차측 권선비는 항상 일정하나, 1차측 내부 층간 단락이 발생하면 1차측 전압이 낮아진다. 이 경우 권선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를 감시하여 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손 예측 값은 미리 실험에 의해 기준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마련해 놓고 사용하면 전압비 또는 전류비만을 연산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실시간 추출할 수 있다.
셋째, 변압기 1차측/2차측 고조파 비를 이용하여 변압기 열화 소손을 예측한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절연에 문제가 없을 경우, 역상분 고조파 성분이 작으나 내부에 문제가 발생하면 역상분의 우수 고조파 크기가 증가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의 변압기는 고조파가 발생하는 부하 설비의 증가로 고조파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Y-Δ변압기에서, 전원 주파수의 3배수인 영상 고조파 성분이 변압기 Δ권선측에서 순환한다. 순환하는 전류는 변압기에서 열로 손실된다. 아울러 변압기 고압측 절연의 문제 발생 시 커패시턴스가 변하여 변압기 1차측과 2차측의 고조파 비율이 달라진다. 도 4에는 코일 권선의 절연재질 열화 등으로 2차 부하 측에서 발생하는 고조파양이 1차 전원 측으로 흘러들어가는 서 양측의 고조파 양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압기의 1차측 고조파(H1)와 2차측 고조파(H2)의 비(H1/H2)를 연산하고, 그 차이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변압기 열화 소손(열화 정도)을 예측할 수 있다. 고조파 비의 차이에 따른 열화 소손 예측치는 미리 실험을 통해 기준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해 놓고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열화 소손 예측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208)는 측정된 전류 값, 전압 값, 온도 값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 소손 예측 등을 수행하고, 예측치가 위험치인지를 판단한다.
이어, 각각 측정된 측정값과 예측치는 표시 및 통신부(209)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하며,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에서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특정 변압기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모듈은 LAN과 같은 통신 모듈, 또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8)는 상기 예측하고 검출한 변압기의 상태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하다고 판단이 되면, 차단기 구동부(210)에 트립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트립 명령을 수신한 차단기 구동부(210)는 즉시 릴레이를 통해 차단기를 구동시켜 변압기를 보호하고 부하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변압기 110, 120: 제1 및 제2 전류센서
130, 140: 제1 및 제2 온도센서 150: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
160, 170: 제1 및 제2 전압센서 201, 202: 제1 및 제2 저역필터
203, 204: 제1 및 제2 증폭기 205: 시간 동기화기
206, 207: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08: 제어부 209: 표시 및 통신부
210: 차단기 구동부

Claims (6)

  1.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 검출부; 및
    상기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한 분석 정보에서 전류와 온도 상승분, 전압비와 전류비, 고조파 비를 분석하여 변압기의 열화 수명 및 열화 소손을 예측하는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변압기 전류와 온도 상승분을 기초로 열화 수명을 예측하며,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비와 전류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하거나,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고조파 비를 기초로 열화 소손을 예측하며,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상기 정보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1차측 전압 및 전류 측정값과 2차측 전압 및 전류 측정값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처리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동기화하는 시간 동기화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진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정보 검출부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류센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전압센서; 상기 변압기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변압기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진단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변압기 수명/소손 진단부는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검출한 변압기의 내부 온도 값과 상기 제2전류센서에서 측정한 2차측 전류값과 상기 제1전압센서에서 측정한 변압기 1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1저역필터;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검출한 변압기 외기 온도 값과 상기 제1전류센서에서 측정한 1차측 전류 값과 상기 제2전압센서에서 측정한 변압기 2차측 전압 값을 저역 필터링하여 고주파 잡음을 감쇄하는 제2저역필터; 상기 제1저역필터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1측정 값으로 출력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2저역필터에서 출력되는 측정된 미세전류를 설정된 증폭레벨로 증폭하여 제2측정값으로 출력하는 제2증폭기; 상기 시간 동기화기에서 출력되는 제1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시간 동기화기에서 출력되는 제2측정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1측정 데이터 및 제2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변압기의 수명 열화 및 소손을 예측하고, 측정값 및 분석결과 표시 제어와 변압기 이상에 대해 트립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표시하며, 측정값 및 분석 결과를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표시 및 통신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트립 명령에 따라 차단기를 구동하는 차단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진단장치.







KR1020190043848A 2019-04-15 2019-04-15 변압기 진단장치 KR10218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48A KR102181262B1 (ko) 2019-04-15 2019-04-15 변압기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848A KR102181262B1 (ko) 2019-04-15 2019-04-15 변압기 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152A KR20200121152A (ko) 2020-10-23
KR102181262B1 true KR102181262B1 (ko) 2020-11-23

Family

ID=7303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848A KR102181262B1 (ko) 2019-04-15 2019-04-15 변압기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108B1 (ko) * 2022-10-17 2023-06-01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진단 및 감시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 전자 장치
CN116299048B (zh) * 2023-05-15 2023-08-25 山东海鲲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路边变压器漏电预警系统
CN116295812B (zh) * 2023-05-22 2023-08-18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力变压器的监测方法、监测装置和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52B1 (ko) * 2010-05-31 2011-09-28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변압기 절연지의 열화도 평가 장치
KR101521979B1 (ko) * 2014-05-08 2015-05-21 주식회사 디케이 고조파 분석 기능을 갖는 변압기용 온도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98B1 (ko) * 2006-09-29 2014-02-17 한빛이디에스(주) 변압기 초음파 진단장치
KR101255319B1 (ko) 2011-08-03 2013-04-15 한국전력공사 고조파형 분석에 의한 변압기 진단장치
KR101383813B1 (ko) 2012-09-28 2014-04-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변압기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25087B1 (ko) 2014-12-04 2016-06-01 피앤씨주식회사 고조파 분석에 의한 전기설비 고장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52B1 (ko) * 2010-05-31 2011-09-28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변압기 절연지의 열화도 평가 장치
KR101521979B1 (ko) * 2014-05-08 2015-05-21 주식회사 디케이 고조파 분석 기능을 갖는 변압기용 온도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152A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262B1 (ko) 변압기 진단장치
EP3137914B1 (en) Smart sensor network for power grid health monitoring
EP3268760B1 (en) Generator neutral ground monitoring device utilizing direct current component measurement and analysis
US8537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isolation of an IT-Grid
US72363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detecting and locating faults in a power system
KR101426792B1 (ko) Uhf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시스템 내장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시스템
KR101846195B1 (ko) 모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095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ort-circuit monitoring of a three-phase load
PH12014502021B1 (en) Performance test system for protective relay apparatus
KR102231150B1 (ko) 부싱 진단 시스템
KR101972325B1 (ko)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30497A (ja) 高圧受電設備の絶縁劣化診断装置
KR100795917B1 (ko) 절연감시시스템
KR101787885B1 (ko) 전압계측 오차 보상장치
US111317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 inter-turn short circuit in parallel windings
JP2004251763A (ja) 変圧器内部診断装置
KR101654382B1 (ko) 절연역률 측정 장치 및 방법
JP4504783B2 (ja) 絶縁監視システム
US11784503B2 (en) Passive arc detection and mitig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821962B2 (en) Method, devic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apparatuses
RU230483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й сети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от однофазных замыканий на землю
KR20240006294A (ko) 전력 설비의 결함 판정 방법 및 장치
KR101681998B1 (ko) 발전소 변압기 고전압측 상별 전류측정을 통한 개방위상상태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420088A (zh) 对电线圈装置的运行的监视
AU2022222030A1 (en)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and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