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28B1 -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 Google Patents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28B1
KR102181128B1 KR1020190023109A KR20190023109A KR102181128B1 KR 102181128 B1 KR102181128 B1 KR 102181128B1 KR 1020190023109 A KR1020190023109 A KR 1020190023109A KR 20190023109 A KR20190023109 A KR 20190023109A KR 102181128 B1 KR102181128 B1 KR 10218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nanofiber
fixing
nanofiber lay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1128B9 (en
KR20200104594A (en
Inventor
정영훈
윤용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티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2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28B1/en
Publication of KR10218112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28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양 용기에 고정 가능한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및 이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는 나노섬유 층; 상기 나노섬유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노섬유 층과 접합된 보강 패턴;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나노섬유 층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정 패턴을 포함한다.In the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fixable to the culture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fixing the same in the culture vessel,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anofiber layer; A reinforcing pattern disposed on the nanofiber layer and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And a fixing patter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Description

배양 용기에 고정 가능한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및 이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하는 방법{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본 발명은 나노섬유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양 용기에 고정 가능한 나노섬유 매트 및 이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nofiber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nofiber mat that can be fixed to a culture vessel and a method of fixing the same in a culture vessel.

세포 배양과 관련한 웰 플레이트(well plate)와 패트리 디쉬(petri dish) (이하, '세포배양용 디쉬'로 통칭) 등이 생물학 및 생화학적 연구, 약물의 개발 및 테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포배양용 디쉬는 일반적으로 접시 및 판과 같은 평판 형태를 가지며, 여기에 세포의 부착이 적합하도록 표면처리를 한 수준에 있다.Cell culture-related well plates and petri dishe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cell culture dishes')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iological and biochemical research, drug development and testing. . Such a cell culture dish generally has a plate shape such as a plate and a plate, and has a level of surface treatment to suit cell adhesion.

한편, 최근 이러한 세포배양 용기류 및 기저구조 (substrate) 중 세포의 배양과 관련한 측면에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가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전기방사된 나노섬유가 인체 내부의 세포외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의 섬유질 구조와 비슷하며, 그 크기도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유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세포의 배양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세포 배양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나노섬유에 약물을 포함시켜 이들이 점진적으로 방출되어 세포에 영향을 미치도록 함으로써 세포의 배양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배양효율을 높이는 등 다양한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se cell culture vessels and substrates, electrospun nanofibers are of high interest in terms of cell culture. This is because the electrospun nanofibers are similar to the fibrous structure of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inside the human body, and their size also has a high similarity compared to other materials. As a result, more effective cell culture quality can be obtained in the cultivation of cells, and additionally, drugs are included in the nanofibers so that they are gradually released to affect the cells, thereby inducing the culture of cells in a specific direction or increasing the culture efficiency. You can additionally obtain various effects such as.

이에, 나노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세포배양 매트가 다양한 실험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한 예로는 보편적으로 활용할 목적으로 웰 플레이트나 디쉬에 넣어 사용할 수 있는 매트를 상품화하여 판매 중에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는 실험실 수준에서 개별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해 얻고 세포를 배양하는 수준에 있다. 이러한 매트의 활용에 있어서는 많은 개선점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cell culture mats based on nanofibers ar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and as an example, a mat that can be put into a well plate or dish for universal use is commercialized and sold. Also, in general, nanofibers are obtained through electrospinning individually at the laboratory level and are at the level of culturing cells. In the use of such a mat, many improvements are required.

기존 등록특허(등록번호 제10-1486734호)의 나노섬유 인서트(보강 패턴을 가진 나노섬유 매트)는 기존의 세포배양용 나노섬유 매트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보강 패턴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제품은 기존의 나노섬유가 가지는 많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나, 그 활용에서 일부 개선이 요구되는 점을 가지고 있다.The nanofiber insert (nanofiber mat with a reinforcement pattern) of the existing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486734) is a structure in which a reinforcement pattern is instal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These product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many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nanofibers, but some improvement is required in their use.

구체적으로, 나노섬유 인서트는 세포를 인서트의 나노섬유 상에 파종(세포 서스팬션을 나노섬유 위에 도포 또는 부어주어 세포가 나노섬유에 부착되도록 함) 후 또는 전에 세포배양배지(cell culture medium)가 담신 세포배양용 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나노섬유 인서트는 배지와 유사한 밀도로 인해 배지내에 존재할 수 있으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은 곤란하다. 이로 인해 실험 중 인서트의 일부가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거나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는 시료의 경우 실험오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따라 나노섬유 인서트는 배양용기의 바닥 또는 중간 또는 특정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나노섬유 인서트의 정확한 위치 고정이 불가능하다.Specifically, the nanofiber insert is a cell containing a cell culture medium after or before seeding the cells onto the nanofibers of the insert (by applying or pouring the cell suspension onto the nanofibers so that the cells adhere to the nanofibers). It is contained in a culture vessel. At this time, the nanofiber insert may exist in the medium due to a density similar to that of the medium, but it is difficult to be fixed in a certain position. Due to this, a part of the insert may be exposed to the air during the experiment, or in the case of a sample that must be kept horizontal, it may act as a factor of experiment erro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xperimen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nanofiber insert must be fixed at the bottom or the middle of the culture vessel or at a position of a specific height, and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fix the nanofiber insert.

이에, 이러한 기존 나노섬유 인서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섬유 매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new nanofiber mat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such existing nanofiber insert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양 용기에 고정 가능한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that can be fixed to a culture vess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양 용기에 고정 가능한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ixing a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that can be fixed to a culture vessel in a culture vessel.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는 나노섬유 층; 상기 나노섬유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노섬유층과 접합된 보강 패턴;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나노 섬유 층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정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로서, 상기 나노섬유 층과 상기 보강 패턴은, 상기 나노섬유 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패턴과 함께 용융 고화된 형태, 용해 고화된 형태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일부가 상기 나노섬유 층으로 침투하여 고화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패턴은, 압축력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탄성 변형 구조 및 탄성 변형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f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nofiber layer; A reinforcing pattern disposed on the nanofiber layer and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And a fixing pattern dispos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nanofiber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wherei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reinforcement patter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nanofiber layer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attern, a melt-solidified form, a melt-solidified form, and a part of the reinforcing pattern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a form solidified by penetrating into the nanofiber layer, and the fixing pattern is applied with a compressive force.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an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and an elastic deformable material that is compressed and deformed and is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remo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변형 소재는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may include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elasticit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compliant mechanism), 플랙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이때,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두 개의 몸체부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wo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art physically connecting the two body parts.

이때, 상기 두 개의 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two body part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ody parts decreases,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may be reduc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배양 용기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배용 용기의 내부 단면적 미만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nofiber layer may have a size less than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ssel to be accommodated in the culture vessel.

이때,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상기 배양 용기 배에 배치하는 경우 나노섬유 층 및 배양 용기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패턴은 상기 나노섬유 층 및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 이상 돌출되되,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어 상기 고정 패턴의 말단이 상기 나노섬유 층과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 상에 또는 나노섬유 층상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on the culture vessel vessel,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culture vessel, and the fixing pattern protrudes more than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culture vessel,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so as to reduce the degree of protrusion, the fixing pattern may be compressed and deformed so that an end of the fixing pattern may be located on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culture vessel or on the nanofiber layer.

이때, 상기 나노섬유 매트는,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배용 용기 내에 배치하고, 상기 압축력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 패턴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in a container for ration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xing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s reduced, and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removed, the fixing pattern is restored by elasticity and fixed in the culture container.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패턴은 정사각 격자형, 원형 격자형, 마름모 격자형, 직사각 격자형, 지그재그형, 직선형 및 곡선형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ttern may have at least one shape selected from a square grid, a circular grid, a rhombus grid, a rectangular grid, a zigzag, a straight, and a curved.

이때, 상기 보강 패턴이 격자형인 경우, 상기 보강 패턴은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격벽으로만 구성된 격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inforcing pattern is a lattice type, the reinforcement pattern may have a lattice-type structure composed of only partition walls forming a lattice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나노섬유들이 랜덤하게 배열된 구조, 일 방향으로 정렬된 구조 또는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교차로 정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nofiber lay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anofibers are randomly arranged, a structure arranged in one direction, or a structu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위한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나노섬유 층, 상기 나노섬유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노섬유 층과 접합된 보강 패턴,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나노섬유 층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 가능한 탄성 변형 구조 및 탄성 변형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고정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에서,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여,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ixing a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in a culture vessel fo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nofiber layer, a reinforcing pattern disposed on the nanofiber layer and bonded with the nanofiber layer, and at least one of the reinforcing pattern. Nanofibers including a fixed pattern formed of at least on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than the nanofiber layer and is compressively deformed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nd can be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removed Placing in a container for serving in a state in which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s reduced; And fixing the nanofiber mat in the culture vessel by remov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 패턴이 복원되면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가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fixing in the culture vessel, when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is removed, the fixing pattern may be restored by elasticity, and the nanofiber mat may be fixed in the culture vessel.

이때,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 패턴에 핀셋(또는 트위저) 및 이와 유사한 기능의 장치로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placing in the vessel for ration, a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with tweezers (or tweezers) and a device having a function similar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 플랙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of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이때,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두 개의 몸체부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wo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art physically connecting the two body parts.

이때,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핀셋 또는 트위저로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placing in the vessel for vessels,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with tweezers or tweezer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two body part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ody parts decreases to reduc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t can be placed in the container for vessels.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나노섬유 매트에서,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용 용기 내의 제1 높이에 배치시키고,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여,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양 용기 내에 제1 높이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본 발명의 제2 나노섬유 매트에서,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용 용기 내의 제1 높이에 배치시키고,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여,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양 용기 내에 제2 높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양 용기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여러 나노섬유 매트가 고정 적층된 나노섬유 매트 세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s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s reduced,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at a first height in the vessel for delivery, , Remov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and fixing the nanofiber mat at a first height in the culture vessel; And in the second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ed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ed pattern is reduced,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at a first height in the vessel for delivery, and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ed pattern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mat set in which several nanofiber mats are fixedly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in a culture vessel including; fixing the nanofiber mat to a second height in the culture vessel.

제1 및 제2 나노 섬유 매트는 두 개의 다른 나노 섬유 매트를 의미하고, 제1 및 제2 높이는 배양 용기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의미한다.
The first and second nanofiber mats mean two different nanofiber mats, and the first and second heights mean different heights in the culture vessel.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노섬유 층 상에 형성된 보강 패턴 및 고정 패턴을 포함하여, 세포 배양 시 배양 효율을 높이고 세포 배양 후에도 안정적으로 매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나노섬유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는 고정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이의 압축과 복원에 의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웰 플레이트나 페트리 디쉬와 같은 세포 배양용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는 배양 용기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아울러,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3차원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로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보강 패턴을 격벽으로 이용함으로써 보강 패턴에 의해 구획된 영역들 각각을 세포배양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하는 세포배양용 매트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세포배양용 매트로 이용되는 경우, 보강 패턴에 의해 영역별로 세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다수의 세포 종류를 동시에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는 우수한 배양효율 뿐만 아니라 다종의 세포 배양 및 다양한 형태의 배양 구조체가 요구되는 시스템 등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nofiber mat that includes a reinforcing pattern and a fixing pattern formed on a nanofiber layer, which increases cultivation efficiency during cell culture and stably moves the mat even after cell culture. Since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ed pattern, it can be stably and easily fixed in a cell culture vessel such as a well plate or a Petri dish by compression and restoration thereof. In addition, since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fixed in the culture vessel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vessel,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particular, by using the reinforcing pattern as a partition wall, each of the regions partitioned by the reinforcing pattern can be easily used as a cell cultivation mat using as an area for cell cultivation. When used as a cell culture mat,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ultivate a plurality of cell types at the same time since the movement of cells can be restricted by region by a reinforcement pattern. Accordingly,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system that requires not only excellent culture efficiency, but also a variety of cell cultures and various types of culture stru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패턴의 압축 변형 및 탄성 변형과 이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의 배양 용기로의 고정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nofiber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compression deformation and elastic deformation of a fix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ing and separating the nanofiber mat into a culture vessel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deforma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anofib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step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anofiber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100)는 나노섬유 층(110), 보강 패턴(120) 및 고정 패턴(1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매트(100)는 생체 내 조직의 환경과 유사한 생체적합성을 갖는 세포배양용 나노섬유 매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nanofiber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nofiber layer 110, a reinforcing pattern 120, and a fixing pattern 130. In one embodiment, the nanofiber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having a biocompatibility similar to the environment of an in vivo tissue.

나노섬유 층(110)은 나노섬유로 형성되어, 다공성을 가진다. 나노섬유 층(110)은 체내 조직 중 세포외기질의 섬유질과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배양에 유용한 3차원 배양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The nanofiber layer 110 is formed of nanofibers and has porosity. Since the nanofiber layer 11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n extracellular matrix among internal tissues, it can impart a useful three-dimensional culture effect for cell culture.

나노섬유 층(110)의 두께는 수십 나노미터(nm)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나노섬유 층(110)의 두께가 수십 nm에서 10 ㎛ 미만인 경우, 나노섬유 층(110)의 얇은 두께로 인해 현미경으로 나노섬유에서 배양되고 있는 세포를 용이하게 관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나노섬유 층(110)의 두께가 10 ㎛ 내지 수백 ㎛인 경우, 세포에게 보다 두꺼운 3차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노섬유 매트(100)의 두께는 나노섬유 층(110)의 제조 공정 중에서 전기방사 혹은 용융 블로우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 층(110)을 구성하는 상기 나노섬유의 직경은 수십 nm 내지 수십 ㎛일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직경은 100 nm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several tens of nanometers (nm)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µm). Whe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s less than 10 μm at several tens of nm,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ells cultured in the nanofibers can be easily observed under a microscope due to the thin thicknes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s 10 μm to several hundred μm,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thicker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to cells.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mat 100 can be overcome by controlling the electrospinning or melt blow tim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s constituting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tens of nanometers to tens of µm.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diameter is preferably 100 nm to 1 μm.

나노섬유 층(110)은 배양 용기 내부에 배치되도록 나노섬유 층(110)이 삽입되는 배양 용기의 내부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고, 이에 의해 나노섬유 층(110)과 배양 용기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일례로, 나노섬유 매트(100)가 원(통)형의 배양 용기에 배치되는 경우, 나노섬유 층(110)은 원형일 수 있고, 나노섬유 층(110)의 직경은 원형 배양 용기의 내경 보다 10 ㎛ 내지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작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배양 용기가 원(통)형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가 배치되는 배양 용기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110)은 나노섬유 매트(100) 배치 시 간극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배양 용기의 단면적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The nanofiber layer 110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culture vessel into which the nanofiber layer 110 is inserted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culture vessel, whereby a gap may exist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culture vessel. have. As an example, when the nanofiber mat 100 is disposed in a cylindrical (cylindrical) culture vessel,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circular, and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 layer 110 is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culture vessel. It may be 10 μm to 500 μm, more preferably 30 μm to 200 μm. 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culture vessel is a cylindrical (cylindrical) type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ulture vessel in which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purpose. have. At this time, the nanofiber lay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hapes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ulture vessel disposed such that a gap exists when the nanofiber mat 100 is disposed.

나노섬유 층(110)은 나노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부직포형 섬유매트이거나, 나노섬유가 일 방향으로 정렬된 방향성 섬유매트일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 층(110)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방향으로만 정렬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직물형 섬유매트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나노섬유 층(110)은 상기 부직포형, 상기 방향성 또는 상기 직물형 섬유매트들 중 2 이상을 선택하여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때, 2 이상의 섬유매트들은 서로 다른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a nonwoven fabric mat in which nanofibers are irregularly arranged, or a directional fiber mat in which nanofiber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a fabric-type fiber mat including nanofibers aligned only in two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In contrast, the nanofiber layer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of the non-woven fabric, the directional, or the fabric-type fiber mats are selected and stacked, and at this time, the two or more fiber mats are formed of different compounds. I can.

상기 나노섬유는 고분자로 형성된다. 이때,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고분자는 열가소성을 가질 수 있다.The nanofiber is formed of a polymer. In this case, the polymer forming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may have thermoplasticity.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는 비흡수성 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흡수성 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나이론(nylon),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아미드(polyamind),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 PB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ht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트리블록 코폴리머(poly(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트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ethylene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탄 우레아(poly(urethane urea)),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카바졸)(poly(vinyl carbazol)),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니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니리덴 플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의 합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anofibers may be formed of a non-absorbable synthetic polymer. Examples of the non-absorbable synthetic polymer includ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nylon, polyacrylic acid (PA), and polyacrylonitrile. , Polyamind, poly(benzimidazol), PBI, polycarbonate, polyetherimide (PEI), poly(ethylene oxid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styrene (PS), polyethylene (PE), poly(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poly(styrene-butadiene-styrene)) triblock copolymer), polysulfone, poly(triethyleneterephthalate)), polyurethane, polyurethane urea),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carbazol)),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pyrrolido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polypropylene, It may be formed of synthetic polymers such as PP). Each of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다른 예로서, 상기 나노섬유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폴리락트산(polylatic acide, PLA), DegraPol (상품명, abmedica, 이탈리아),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글루탐산 (Poly(glutaci acid), PGA),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라타이드-코-ε-카프로락톤)(Poly(L-lactide-co-ε-caprolact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c acid, PG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nanofibers may be formed of a biodegradable polymer. Examples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include polylactic acid (PLA), DegraPol (trade name, abmedica, Italy), polycaprolactone (PCL), polydioxanone (PDO), polyglutamic acid (Poly(glutaci acid), PGA), poly(lactide-co-glycolide), PLGA), poly(latide-co-ε-caprolactone) (Poly(L-lactide-co- ε-caprolactone)), polyurethane (polyurethane), polyglycolic acid (PGA), and the like. Each of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나노섬유는 천연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의 예로서는, Bombyx mori silk fibroin, Casein, Cellulose acetate, Chitosan, Collagen, Fibrinogen, Gelatin, Wheat gluten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nanofibers may be formed of a natural polymer. Examples of the natural polymer include Bombyx mori silk fibroin, Casein, Cellulose acetate, Chitosan, Collagen, Fibrinogen, Gelatin, Wheat gluten, and the like. Each of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와 달리, 상기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는 용매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용해될 수 있다. 용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해당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이면 만족한다. 예로서, 상기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물, n-헥산, n-헵탄, 아세톤, 메틸알코올, 포름산, 1,1,1,3,3,3-헥사플로로-2-프로패놀(HFIP),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타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아세트산 부틸, 클로로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캐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있으며, 이 용매들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용해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In contrast, at least a part of the polymer for producing the nanofiber may be dissolved by a solvent. The range of the solvent is not limited, and any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polymer is satisfied. As an example, the polymer for producing the nanofibers is chloroform,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1,1,2-trichloroethane, water, n-hexane, n-heptane, acetone, methyl alcohol, formic acid ,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 ethanol,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trifluoroacetic acid, t-butyl acetate, chlorobenzene, ethyl There are acetate, methyl ethyl canton, tetrahydrofuran, and the like, and may be a polymer in which at least a part is dissolved by these solvents.

나노섬유 층(110)은 생체 반응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노섬유 층(110)에 포함되는 생체 반응성 성분은 다양한 성장 유도제, 생활성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나노섬유 층(110)은 자성재료를 포함하여 세포배양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자성재료에 추가적으로 자기력을 가질 수 있는 금속 입자나 탄소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입자는 그래핀이나 탄소나노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nanofiber layer 110 may further include a bioreactive component. The biorea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nanofiber layer 110 may include various growth inducing agents and bioactive factors, and these may be includ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lternatively, the nanofiber layer 11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to promote cell culture, and when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it may include metal particles or carbon particles that may additionally have magnetic force in the magnetic material. The carbon particles may include graphene or carbon nanotubes.

나노섬유 층(110)이 생체 반응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나노섬유의 방사를 위해 제작된 용액에 미리 방출하고자 하거나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품 및 재료를 혼합할 수 있으며, 제조 후 나노섬유의 내부에 비교적 균일하게 혼합한 물질이 분포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축이중노즐을 이용하여 내부 또는 표면에 그 약품 및 재료가 존재하는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nanofiber layer 110 further includes a bioreactive component, drugs and materials that are intended to be released in advance or that may affect cells may be mixed in a solution prepared for spinning nanofibers. It can be prepared so that the material mixed relatively uniformly is distributed inside the fiber. In some cases, nanofibers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in which the chemicals and materials are present inside or on the surfac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axial double nozzle.

보강 패턴(120)은 나노섬유층(11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나노섬유 층(110)과 접합된다. 보강 패턴(120)은 나노섬유층(110) 상에 형성되되, 나노섬유 층(110)의 차폐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나노섬유 층(11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접합"은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서로 다른 2개의 구성 요소가 물리적/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 정의한다.The reinforcing pattern 120 partially exposes the nanofiber layer 110 and is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110.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formed o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partially exposes the nanofiber layer 110 so as not to degrade the shielding function of the nanofiber layer 110. Here, "bonding" is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wo different components are physically/mechanically bond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보강 패턴(120)은 정사각 격자형, 원형 격자형, 마름모 격자형, 직사각 격자형 등의 격자 구조를 포함하여 지그재그형, 직선형 및 곡선형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다양한 선 패턴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자는 대칭성의 규칙에 따라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보강 패턴(120)이 격자형인 경우 본 발명의 보강 패턴(120)은 격자 구조를 이루는 선들이 형성하는 격벽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강 패턴(120)이 격자형인 경우, 보강 패턴(120)은 격자 구조의 외곽을 둘러싸는 별도의 프레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보강 패턴(120)은 격자 구조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가질 수도 있다.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cludes a combination of various line patterns having at least one shape selected from a zigzag type, a straight type, and a curved type, including a grid structure such as a square lattice type, a circular lattice type, a rhombus lattice type, and a rectangular lattice type. It can have various shapes through. The grid is a structure that is repeatedly arranged according to a rule of symmetry. When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a grid typ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only partition walls formed by lines forming a grid structure.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in a lattice shap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not have a separate fram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lattice structure.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have a frame surrounding the lattice structure.

보강 패턴(120)을 구성하는 패턴 선의 두께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밀리미터(mm)일 수 있고, 보강 패턴(120)을 구성하는 선 패턴의 폭은 수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attern line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several tens of micrometers (㎛) to several millimeters (mm), and the width of the line pattern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several to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 I can.

보강 패턴(120)이 나노섬유 층(110)에 접합됨으로써 이들 계면에는 접합부(MP)가 형성되고 접합부(MP)에 의해서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 층(1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110, a bonding portion MP is formed at these interfaces,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improved by the bonding portion MP. .

일례로, 나노섬유 층(110)과 보강 패턴(120)의 계면에서, 보강 패턴(120)은,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의 일부와 함께 용융 고화되어 나노섬유 층(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용융 고화된 부분이 접합부(MP)가 될 수 있다.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재료가 용융(melting)된 용융액 이 나노섬유 층(110)에 제공되면 나노섬유 층(110)이 국부적으로 녹아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재료와 함께 용융 또는 부분 용융된 후 고화됨에 따라, 접합부(MP)가 형성되고 접합부(MP)에 의해 나노섬유 층(110)과 보강 패턴(120)의 결합력이 강해진다. 상기 용융액은,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재료가 전부 용융된 상태 또는 반용융된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For exampl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melt-solidified together with some of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to be combined with the nanofiber layer 110 Can be. In this case, the melt-solidified portion may be the joint MP. In the step of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when a melt in which the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melted is provided to the nanofiber layer 110, the nanofiber layer 110 is locally melted and the reinforcing pattern ( As the material forming 120) is melted or partially melted and then solidified, the bonding portion MP is form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strengthened by the bonding portion MP. The molten liquid includes all of the materials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 a molten state or a semi-melted state.

이와 달리,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재료의 용융액이 나노섬유 층(110)에 제공되면 보강 패턴(120)은 나노섬유층(110)으로 부분적으로 침투하여 고화됨으로써 나노섬유층(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용액이 나노섬유 층(110)에 제공되면 보강 패턴(120)을 구성하는 고분자는 나노섬유층(110)으로 침투하여 고화됨으로써 나노섬유 층(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MP)에서는 보강 패턴(120)이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들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 즉 보강 패턴(120)이 나노섬유 층(110)의 기공들을 부분적으로 메우고 있는 형태가 되므로, 접합부(MP)에 의해 나노섬유 층(110)과 보강 패턴(120)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melt solution of the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provided to the nanofiber layer 110, the reinforcing pattern 120 partially penetrates into the nanofiber layer 110 and solidifies, thereby being combined with the nanofiber layer 110. I can. Alternatively, when a solutio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provided to the nanofiber layer 110,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penetrates into the nanofiber layer 110 and solidifies, thereby being combined with the nanofiber layer 110. I can. At this time, in the junction MP, the reinforcing pattern 120 surrounds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that is, the reinforcement pattern 120 partially fills the pores of the nanofiber layer 110. ,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increased by the joint MP.

이와 달리, 보강 패턴(120)은 나노섬유 층(110)을 구성하는 나노섬유들의 일부를 용해(dissolving)시킨 후 함께 고화됨으로써 나노섬유 층(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합부(MP)에서는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층(110)이 엉킨 상태로 결합되므로, 접합부(MP)에 의해 나노섬유층(110)과 보강 패턴(120)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combined with the nanofiber layer 110 by dissolving some of the nanofibers constituting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n solidifying together. At this time, sinc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are entangled in the bonding portion MP,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strengthened by the bonding portion MP.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재료는,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는 합성 고분자,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천연 고분자일 수 있다. 이때, 합성 고분자,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천연 고분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의 예로서는, ABS, PLA, PDO, PCL, PLGA, PGA, 폴리우레탄, PS, PE, 나일론, 실크, 콜라겐, 젤라틴, 아가로스, PDMS 등을 들 수 있다.The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a polymer resin. At this time, the polymer resin may be a synthetic polymer, a biodegradable polymer, or a natural polymer. At this time, the synthetic polymer, the biodegradable polymer, or the natural polym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forming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as an example of a polymer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BS, PLA, PDO, PCL, PLGA, PGA, polyurethane, PS, PE, nylon, silk, collagen, gelatin, agarose, PDMS, etc. Can be lifted.

한편,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는 용매와 함께 용액 상태로 보강 패턴(120)의 제조에 이용되는데,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가 불용성이거나 용해도가 낮은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용액을 구성하는 용매가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를 녹이지 않거나 일부만 녹이는 용매일 수 있다.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용액을 구성하는 용매는 보강 패턴(120)을 위해 선택된 재료인 고분자 수지와 함께 용액을 이루되,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는 영향이 없도록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가 불용성이거나 낮은 용해도를 갖는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용액을 구성하는 용매는 보강 패턴(120)을 구성하는 재료를 액상으로 만들되,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는 녹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용액을 구성하는 용매의 예로서는, 물,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물, n-헥산, n-헵탄, 아세톤, 메틸알코올, 포름산, 1,1,1,3,3,3-헥사플로로-2-프로패놀(HFIP),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타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아세트산 부틸, 클로로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캐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나노섬유의 고분자 재질에는 반응성이 적은 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Meanwhile, the polymer resi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used for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 a solution state with a solvent, and a solvent in which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s insoluble or has low solubility may be used.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solutio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a solvent that does not dissolve or only partially dissolve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solutio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forms a solution with a polymer resin that is a material selected for the reinforcing pattern 120, but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are not affected. )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vent in which the nanofibers are insoluble or have low solubility.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solutio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made of a material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 a liquid state, but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are not dissolved. Examples of the solvent constituting the solution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clude water, chloroform, dichloromethane, 1,2-dichloroethane, 1,1,2-trichloroethane, water, n-hexane, n-heptane, Acetone, methyl alcohol, formic acid,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 ethanol, dimethylformamide, dimethyl acetamide, trifluoroacetic acid, t-acetic acid Butyl, chlorobenzene, ethyl acetate, methyl ethyl canton, tetrahydrofuran, and the like. However, it is required to select a solvent with less reactivity for the polymer material of the nanofiber.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고분자는 나노섬유층(110)을 형성하는 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층(110)을 형성하는 재료가 동일한 경우,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층(110)이 용융 고화되어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접합(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 층(11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lymer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formed of substantially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forming the nanofiber layer 110. When the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is the sam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are melt-solidified to be physically firmly bonded (bonded).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formed of different types of polymers.

한편, 보강 패턴(120)은 생체 반응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 반응성 성분은 상기에서 설명한 생체 반응성 성분과 동일한 성분일 수 있다. 보강 패턴(120) 및 나노섬유 층(110)이 모두 생체 반응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포함되는 생체 반응성 성분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further include a bioreactive component. In this case, the bioreactive component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bioreactive component described above. When both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include a bioreactive component, the bioreactive components included in each may or may not be the same.

접합부(MP)는 나노섬유 층(110)의 표면과, 상기 표면과 마주하는 배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 즉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보강 패턴(120)이 형성된 영역의 나노섬유 층(110)의 표면과 배면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junction (MP) is at least a part betwee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ar surface facing the surface, that is, th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nanofiber layer 110 in a region in which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It can be formed to fill the gap.

접합부(MP)가 깊게 형성되는 경우, 보강 패턴(120)이 형성된 영역의 나노섬유층(110)의 표면과 배면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울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보강 패턴(120)에 의해서 다수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나노섬유매트(100)의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가 제공되어 세포 배양을 하는 경우, 배양되는 세포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나노섬유층(110)에서 보강 패턴(120)이 형성된 표면인 나노섬유층(110)의 제1 면에서 외부를 향해 보강 패턴(120)은 돌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 사이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물질, 예를 들어, 배양되는 세포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섬유매트(100)는 생체내 조직의 환경과 매우 유사하면서도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시키며 배양되는 세포의 이동을 제한 할 수 있어 각기 다른 세포가 구획별로 배양시킬 수 있는 나노섬유매트로서 적합하다. 특히, 나노섬유층(110)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의 배열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일 방향으로 정렬된 나노섬유층(110)을 이용함으로써 세포배양용 나노섬유매트로 이용하는 경우, 세포의 일방향 성장 및 이동을 관찰하기 용이하다.When the bonding portion MP is formed deeply, it may entirely fill between th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nanofiber layer 110 in the region where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formed. Accordingly, when different types of cells are provided to each area of the nanofiber mat 1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the reinforcing pattern 120 to perform cell culture, the cells to be cultured move to other areas. Can block things. In other words, the reinforcing pattern 120 not only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nanofiber layer 110,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formed, toward the outside, but i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t may be formed to fill between the second surfaces, and by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movement of substances, for example cells to be cultured, to other areas. In this way, the nanofiber mat 100 is very similar to the environment of a tissue in a living body, while minimizing changes in appearance and limiting the movement of cells to be cultured, so it is suitable as a nanofiber mat that allows different cells to be cultured for each compartment. Do.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f the nanofibers constituting the nanofiber layer 110 can be variously adjusted, but by using the nanofiber layer 110 aligned in one direction, when used as a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the growth and movement of cells in one direction is prevented. It is easy to observe.

또한, 접합부(MP)는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MP)의 나노섬유층(110)의 표면을 기준으로 한 깊이가 얕은 상태에서, 보강 패턴(120)에 의해서 다수의 영역들로 구획되는 나노섬유매트(100)의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가 제공되어 세포 배양을 하는 경우, 배양되는 세포가 보강 패턴 아래쪽의 나노섬유 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세포로 구성된 환경에서 세포의 거동 관찰 및 다중세포로 구성되는 조직의 배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lso, the junction MP may be formed to be shallow. In a state where the depth based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layer 110 of the junction MP is shallow, different types of different types of each region of the nanofiber mat 1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the reinforcing pattern 120 When cells are provided to culture cells, it is possible for cells to be cultured to move through the nanofiber layer under the reinforcement patter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behavior of cells in an environment composed of various cells and cultivate a tissue composed of multiple cells.

뿐만 아니라, 접합부(MP)에 의해, 피펫(pipette)을 이용하여 구획별로 다양한 세포 현탁액(cell suspension)을 분사해줄 경우 복잡한 형상을 가진 세포배양이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various cell suspensions are sprayed for each compartment using a pipette by the joint MP, cell culture having a complex shape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는 보강 패턴(1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 패턴(1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ttern 130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고정 패턴(130)은 나노섬유 매트를 세포 배양 용기 등의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패턴으로, 보강 패턴(120)의 적어도 일 측면 상에 나노섬유 층(110)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고정 패턴(130)은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 소재 및/또는 탄성 변형 구조로 형성되어, 압축력(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다시 복원(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fixing pattern 130 is a pattern for fixing the nanofiber mat to a container such as a cell culture container, and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110. The fixed pattern 130 is also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or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and can be compressed and deformed when a compression forc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elastic deformed) again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removed.

이때, 고정 패턴(130)은 고정 패턴(130)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100)의 크기가 배양 용기 보다 크되, 고정 패턴(130)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된 고정 패턴(130)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100)의 길이가 배양 용기 보다 작아지도록 나노섬유 층(11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례로, 고정 패턴(130)은 나노섬유 층(110)과 배양 용기 사이에 형성된 간극 이상 돌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섬유 층(110)과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이 50 ㎛인 경우, 고정 패턴(130)의 돌출된 정도는 50 ㎛를 초과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패턴(130)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된 고정 패턴은 나노섬유 층(1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돌출되는 경우 돌출 정도가 50 ㎛ 미만 일 수 있다. 즉, 고정 패턴(130)의 말단이 나노섬유 층(110)과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에 존재하거나 나노섬유 층(11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때문에, 고정 패턴(130)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배양 용기 내에 배치시키고, 고정 패턴(130)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함으로써 탄성 변형에 의해 배양 용기 내에 나노섬유 매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ttern 130 includes the fixing pattern 130 compressed when the size of the nanofiber mat 100 including the fixing pattern 1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culture vessel, and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130 The nanofiber mat 1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110 so that the length of the nanofiber mat 100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culture vessel. For example, the fixing pattern 130 may protrude more than a gap formed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culture vessel. For example, when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culture vessel is 50 μm,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fixing pattern 130 may exceed 50 μm. In this case,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130, the compressed fixing pattern may not protrude from the nanofiber layer 110, and when protruding, the degree of protrusion may be less than 50 μm. That is, the end of the fixing pattern 130 may exist in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culture vessel or may exist on the nanofiber layer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x the nanofiber mat 100 in the culture container by elastic deformation by placing it in the culture container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xing pattern 130 and remov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130.

즉,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는 고정 패턴(130)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고정 패턴(130)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나노섬유 매트(100)를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고정 패턴(130)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여 탄성에 의해 고정 패턴(130)이 복원되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나노섬유 매트(100)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in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osing the nanofiber mat 100 in the container for ship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xing pattern 130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130 decreases, and the fixing pattern It may be fixed in the culture vessel, including the step of fixing the nanofiber mat 100 in the culture vessel by the force generated as the fixing pattern 130 is restored by elasticity by remov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130.

일례로,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서로 마주하는 양 방향에서 압축하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이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 패턴(130)의 형상(탄성 변형 구조)은 1, 2 또는 3차원의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compliant mechanism), 플랙셔(flexure),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한 구조 및/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은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나 전체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운동성을 얻어내는 구조를 의미하고, 플렉셔는 국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이와 같은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 플랙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한 구조 및/또는 패턴을 가짐으로써, 압축 변형 및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that is compressively deformed when compressed in both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is remove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ixed pattern 130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is a structure and/or pattern based on at least one of a 1, 2, or 3 dimensional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Can have The compliant mechanism refers to a structure that obtains mobility by using elastic deformation of a part or the entire shape forming a shape, and the flexure may refer to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locally. The fixed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ressively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by having a structure and/or pattern based on at least one of such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패턴의 압축 변형 및 탄성 변형과 이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의 배양 용기로의 고정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compression deformation and elastic deformation of a fix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ing and separating the nanofiber mat into a culture vessel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deformation.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패턴 및 이의 압축 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다양한 패턴 및 형상의 보강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고정 패턴의 압축 및 탄성에 의한 배양 용기 내 고정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ape when compressed, and FIG. 2B is a compression of a fixing pattern of a nanofiber mat including reinforcing patterns of various patterns and shapes. And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and separation in the culture vessel by elasticity.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일례로,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두 개의 몸체부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ogether with FIG. 1, as an example,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two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two body parts. Can hav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핀셋이나 트위저와 같은 압축 기구 내에 배치하고, 상기 기구를 가압하여 외부 방향에서 내부 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몸체부를 압박하면,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나노섬유 층(110) 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던 고정 패턴(130)이 나노섬유 층(110)의 외곽부 인근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양 용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몸체부를 가압하고 있던 압축 기구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두 개의 몸체부는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에 의해 고정 패턴(130)이 다시 나노섬유 층(110)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배양 용기를 외부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가 배양 용기에 고정된다.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compression mechanism such as tweezers or tweezers, and when the two body parts are pr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y pressing the device, the gap between the two body parts is narrowed. do. As the gap between the two body parts becomes narrow, the fixing pattern 13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110 is located near the outer part of the nanofiber layer 110, and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culture vessel Can be placed on 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echanism that was pressing the two body parts is removed, the two body parts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ereby the fixing pattern 130 again protrudes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110. According to this, while pushing the culture vessel outward,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ulture vessel.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되는데, 고정 패턴(130)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배양 용기 내에 배치하고 고정 패턴(130)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면, 고정 패턴(130)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고정 패턴(130)과 나노섬유 층(110)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과 고정 패턴(130)의 탄성력에 의해, 나노섬유 매트(100)가 배양 용기 내에 밀착하고 고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when a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and the fixing pattern 130 is placed in the culture vessel in a state compr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130 is removed. When the fixing pattern 130 is restored by an elastic force, the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xing pattern 13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xing pattern 130, the nanofiber mat 100 Can be tightly attached and fixed in the culture vessel.

일례로, 고정 패턴(130)의 압축은 핀셋이나 트위저 등의 압축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compression of the fixing pattern 130 may be performed by a compression mechanism such as tweezers or tweezers.

또한, 배양 용기에 배치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는 고정 패턴(130)을 수직 방향으로 압축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나노섬유 매트(100)를 분리하거나 배양 용기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패턴(130)은 나노섬유 매트(10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핸들(handle) 역할을 하여 나노섬유 및 세포 등에의 파손 또는 저해 없이 나노섬유 매트(100)를 배양 용기에 장착하거나 배양 용기로부터 이동가능하다.
In addition,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in the culture vessel can be moved in the culture vessel or separate the nanofiber mat 100 from the culture vessel by compressing the fixing pattern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xing pattern 130 serves as a handle to hold the nanofiber mat 100 so that the nanofiber mat 100 is mounted on the culture vessel without damage or inhibition of the nanofibers and cells, or the culture vessel Can be moved from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 구조를 갖는 고정 패턴(130)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탄성 변형 구조를 갖는 다른 고정 패턴(13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탄성 변형 구조(및/또는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형태가 복원되는 형상이면 가능할 수 있다.In FIG. 2, the shape of the fixing pattern 130 having an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shape of the other fixing pattern 130 having an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and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elastic deformable structure (and/or material) to be deformed by compression force and the shape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removed. It may be possible if it is a shape that is restored.

일례로,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탄성 변형 구조를 갖는 고정 패턴(130)의 다른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의 형상이 이제 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탄성 변형 구조(및/또는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형태가 복원되는 형상이면 제한 없이 가능할 수 있다.As an example, FIG. 3 exemplarily shows another shape of the fixing pattern 130 having the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now,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and/or material) to be deformed by compression force. If the shape is restored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removed, it may be possible without limitation.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패턴의 형상을 나타낸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hape of the fixing patter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서로 마주하는 몸체부를 내측 방향으로 압축하는 경우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서 압축 변형되고 이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고정 패턴(130)의 압축 변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 자체의 형상 변형에 의해 좁아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연결부의 형상이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re compressed in the inward direction,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ed and deformed while reducing the spac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the structur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is removed. Has.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fixed pattern 130 may be narrowed by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body itself, as shown in FIG. 3, and unlike this,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s is reduced by bend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

뿐만 아니라, 고정 패턴(130)은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탄성 변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탄성 변형) 특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분자는 상기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 및 보강 패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고분자들을 이용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ttern 1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ncluding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elasticity may mean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a property that is trans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restored to an original shape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s an example, the polymer may use the same polymers as described in the nanofiber layer and reinforcemen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 패턴(130)이 탄성 변형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 패턴(130)을 압축하여 배양 용기 내에 배치하고 이에 가해진 압력을 제거하여 형상을 복원시킴으로써,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다.Even when the fixing pattern 130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ttern 130 is compressed and placed in a culture vessel and the shape is restored by removing the pressure applied thereto, thereby being fixed in the culture vessel. have.

또한, 본 발명의 고정 패턴(130)은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형성된 탄성 변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ttern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formed of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패턴(130)을 포함하고, 일례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가 고정 패턴(130)을 둘 포함하는 경우, 고정 패턴(130)은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보강 패턴(120)의 일 측면 및 일 측면과 마주하는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고정 패턴(130)은 불규칙적으로 비정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attern 130, for example, when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fixing patterns 130, the fixing patterns 130 are each facing each other. 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pattern 120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side. Alternatively, the fixing pattern 130 may be arranged irregularly and unaligned.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는 나노섬유 층(110) 상에 세포 배양에 활용되는 보강 패턴(120)과 함께 고정 패턴(130)을 포함하고 있어, 웰 플레이트나 페트리 디쉬와 같은 세포배양용 용기에 고정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세포를 배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 배양 시 목적하는 위치에 나노섬유 매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3차원 구조로 고정하여 3차원 배양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에서 나노섬유 층(110) 및 보강 패턴(120)의 변형 없이, 고정 패턴(130)만을 탄성 변형시켜 나노섬유 매트(100)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배양되는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attern 130 along with a reinforcing pattern 120 used for cell culture on the nanofiber layer 110, and is used for cell culture such as a well plate or a petri dish. Cells can be stably cultured because it can be fixed to a contain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anofiber mat 100 can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during cell cultur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three-dimensional culture effect by fixing it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x and separate the nanofiber mat 100 by elastically deforming only the fixed pattern 130 without deformation of the nanofiber layer 110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n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may not adversely affect the cells being cult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100) 일차적으로 세포 및 세균, 박테리아 등의 세포 배양 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배양 구조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nanofiber m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primarily in various fields requiring a three-dimensional culture structure as well as cell culture such as cells, bacteria, and bacteria.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3을 계속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 방법은, 먼저, 나노섬유 층(11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cludes the step of preparing a nanofiber layer (110).

나노섬유 층(110)은 일반적인 평판 집적판을 이용한 전기방사의 경우 임의배열(랜덤)의 나노섬유 제작이 가능하며, 드럼 집적판(콜렉터)을 이용한 전기 방사법으로 일 방향으로 정렬된 방향성 섬유매트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금속판 상에 나노섬유를 직접 주사 전기 방사법(direct-write electro spinning, DWES) 등으로 방사하여 특정 패턴을 가지거나 균일하거나 특정하게 조절된 두께와 밀도분포를 가지는 나노섬유 층을 제작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lectrospinning using a general flat plate integrated plate, the nanofiber layer 110 is capable of producing randomly arranged (random) nanofibers, and is a directional fiber mat aligned in one direction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using a drum integrated plate (collector). It can be manufactured,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nanofiber layer having a specific pattern or uniform or specific controlled thickness and density distribution by spinning nanofibers on a metal plate by direct-write electro spinning (DWES), etc. I can.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섬유 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anofibe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나노섬유 층(110)은 도 4의 상부 사진과 같이 랜덤하게 나노섬유들이 배열된 구조를 가지거나 도 4의 중부 사진과 같이 나노섬유들이 일방향으로 정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나노섬유 층(110)은 도 4의 하부 사진과 같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방향으로만 정렬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직물형(부직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nanofiber layer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anofibers are arranged randomly as shown in the upper photo of FIG. 4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anofiber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the central photo of FIG. 4. . Alternatively, alternatively, the nanofiber layer 110 may have a woven (non-woven fabric type) structure including nanofibers aligned only in two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as shown in the lower photograph of FIG. 4.

전기 방사 공정은 약 5 내지 30 kV의 전압을 이용하여 약 100 내지 200 ㎛ 두께의 유리, 금속판 상의 유리판, 또는 고분자 필름, 알루니뮨 호일, 금속 필름 등의 집적판에 나노섬유가 집적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리판과 노즐과의 거리는 3 내지 10 cm이고, 노즐의 내경은 100 내지 500 ㎛일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유량은 0.05 내지 0.5 ml/h일 수 있다. 실린더 타입의 측면 전극의 직경은 10 내지 20 cm일 수 있다.The electrospinning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nanofibers are accumulated in an integrated plate such as a glas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to 200 μm, a glass plate on a metal plate, or a polymer film, an aluminum foil, or a metal film using a voltage of about 5 to 30 kV. I can.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glass plate and the nozzle may be 3 to 10 c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may be 100 to 500 μm. In addition, the flow rate at this time may be 0.05 to 0.5 ml/h. The diameter of the cylinder-type side electrode may be 10 to 20 cm.

드럼 집적판을 이용한 전기 방사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드럼 집적판에 금속박판(예: 알루미늄 호일) 또는 고분자 박판(예: 랩 또는 고분자 필름)을 감고 상기 박판 상에 나노섬유를 방사한 후, 상기 나노섬유가 방사된 박판을 펼침으로써 일 방향으로 정렬된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층(110)을 준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2번의 전기 방사 공정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된 섬유매트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층(110)을 준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anufacturing by the electrospinning method using a drum integrated plate, a metal thin plate (eg, aluminum foil) or a polymer thin plate (eg, wrap or polymer film) is wound on the drum integrated plate, and nanofibers are spun on the thin plate, and then the nano The nanofiber layer 110 made of nanofibers aligned in one direction may be prepared by spreading the thin plate on which the fibers are spun. Additionally, by performing two electrospinning processes in different directions, a nanofiber layer 110 including fiber mats aligned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prepared.

이때, 일반적 전기 방사 공정 및 집적판으로서 드럼을 이용한 전기 방사 공정은 수 내지 수십 kV의 전압이 부가되며, 수에서 수백 mm의 집적판과 노즐간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노즐의 내경은 100 내지 500 ㎛일 수 있다. 유량은 0.01내지 1 ml/h일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노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드럼의 회전 속도는 수 내지 수천 rpm일 수 있으며, 속도가 수 내지 수백일 경우 나노섬유는 랜덤하게 드럼에 집적될 수 있는 반면, 속도가 수백에서 수천 rpm일 경우 정렬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가진다. 이때, 드럼의 반경에도 영향을 받아 정확한 관계는 드럼 표면의 선속도와 나노섬유 생성 속도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경우 정렬이 이뤄지며, 섬유 생성 속도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랜덤하게 집적된다.In this case, in the general electrospinning process and the electrospinning process using a drum as an integrated plate, a voltag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kV is add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integrated plate and the nozzle of several to several hundreds mm may be obtained.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may be 100 to 500 μm. The flow rate may be 0.01 to 1 ml/h, and several nozzles can be used simultaneous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may be several to several thousand rpm, and when the speed is several to several hundred, nanofibers may be randomly accumulated in the drum, whereas when the speed is hundreds to thousands of rpm, the degree of alignment tends to be high. At this time, the exact relationship is also influenced by the radius of the drum, and alignment is achieved when the linear velocity of the drum surface and the rate of nanofiber generation are the same or higher, and is randomly accumulated when the 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ate of fiber generation.

한편, 나노섬유 층(11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나노섬유의 형성 재료에는 생체 반응성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nanofiber layer 110, a bioreactive component may be further added to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nanofiber.

이어서, 나노섬유 층(110) 상에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ubsequently, it includes forming a reinforcing pattern 120 on the nanofiber layer 110.

보강 패턴(120)은 용융기반 3D 프린팅 기법의 하나인 용착조형을 포함한 다양한 프린팅이나 사출법을 통해 고분자 수지를 프린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 패턴(120)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장치는 용융액 또는 용액 상태의 고분자 수지를 프린팅하는 3D 인쇄 장치일 수 있다. 3D 인쇄 장치의 예로서는 용착조형(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formed by printing a polymer resin through various printing or injection methods including welding molding, which is one of the melt-based 3D printing techniques. In this case, the pattern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may be a 3D printing apparatus that prints a polymer resin in a molten liquid or a solution state. As an example of the 3D printing apparatus, a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apparatus can be used.

보강 패턴 형성 장치가 고온의 용융액을 나노섬유 층(110)으로 제공함에 따라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 일부도 용융액의 온도에 의해서 용융될 수 있다. 용융액과 나노섬유층(110)의 나노섬유가 냉각되어 고화됨에 따라서,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 층(110)이 단단하게 접합된다. 또는, 용융액이 용융되지 않은 나노섬유 층(110)으로 침투하여 고화될 수 있다. 나노섬유 층(110)이 다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융 열가소성 수지가 나노섬유 층(110)의 기공들의 일부를 메우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융 고화 또는 침투 고화되어 형성되는 접합부(MP)에 의해서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층(1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reinforcing pattern forming apparatus provides the high-temperature melt to the nanofiber layer 110, some of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may also be mel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melt. As the melt and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are cooled and solidifie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are firmly bonded. Alternatively, the melt may penetrate into the non-melted nanofiber layer 110 and be solidified. Since the nanofiber layer 110 has porosity, the molten thermoplastic resin may be bonded to fill some of the pores of the nanofiber layer 110.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improved by the bonding portion MP formed by melt solidification or penetration solidification as described above.

일례로, 보강 패턴(120)의 재료로 PCL(polycaprolactone)를 사용하는 경우, 용융 온도는 약 60 내지 120 ℃일 수 있고, 압력은 300 내지 1,000 kPa일 수 있다. 이때의 스캐닝 속도는 100 mm/분일 수 있다. 용착조형 공정에 이용한 노즐의 직경은 100 내지 500 ㎛이고, 상기 노즐과 나노섬유 층(110) 사이의 거리는 50 내지 500 ㎛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PCL (polycaprolacton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the melting temperature may be about 60 to 120°C, and the pressure may be 300 to 1,000 kPa. The scanning speed at this time may be 100 mm/min. The diameter of the nozzle used in the welding process may be 100 to 500 μ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50 to 500 μm.

한편, 보강 패턴(120)의 재료가 되는 고분자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보강 패턴(120)을 인쇄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용매는 나노섬유 층(110)의 나노섬유를 부분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용액이 나노섬유를 부분적으로 용해시키고 고화되면서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 층(11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액은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영역의 나노섬유는 용해시키되, 이외의 다른 영역까지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inting the reinforcing pattern 120 with a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a solvent used as a material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the solvent will partially dissolve the nanofibers of the nanofiber layer 110. I can. As the solution partially dissolves and solidifies the nanofiber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nanofiber layer 110 may be improv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ution dissolves the nanofibers in the area to be directly sprayed, but does not affect other areas.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섬유 층(110) 상에 용액 또는 용융액을 패턴 형성 장치(300)를 이용하여 인쇄함으로서 용이하게 보강 패턴(120)을 형성할 수 있고, 보강 패턴(120)과 나노섬유층(110) 사이의 결합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노섬유 매트(100)를 세포배양용으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by printing a solution or a melt on the nanofiber layer 110 using the pattern forming apparatus 300, the reinforcing pattern 120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reinforcing pattern 120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anofiber layers 110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the nanofiber mat 100 can be suitably used for cell culture.

일례로, 보강 패턴 형성 장치에는 고분자 수지와 함께 생체 반응성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a bioreactive component may be added to the reinforcing pattern forming apparatus together with a polymer resin.

또한, 보강 패턴(1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고정 패턴(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it includes forming the fixing pattern 13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일례로, 고정 패턴(130)은 보강 패턴(120)을 형성한 것과 동일하게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수지를 프린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pattern 130 may be formed by printing a biocompatible polymer resin having elasticity in the same manner as in which the reinforcing pattern 120 is formed.

이와 달리, 고정 패턴(130)은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 가능한 탄성 변형체를 보강 패턴(1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접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xed pattern 130 may be formed by bonding an elastic deformable body that is compressively deformed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nd an elastic deformable body that is recoverable by elasticity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remov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120.

이때, 예를 들어, 고정 패턴(130)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 플렉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ixing pattern 130 may be at least one of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나노섬유 매트
110: 나노섬유 층
120: 보강 패턴
130: 고정 패턴
100: nanofiber mat
110: nanofiber layer
120: reinforcement pattern
130: fixed pattern

Claims (18)

나노섬유 층;
상기 나노섬유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노섬유층과 접합된 보강 패턴;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나노섬유 층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고정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로서,
상기 나노섬유 층과 상기 보강 패턴은, 상기 나노섬유 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패턴과 함께 용융 고화된 형태, 용해 고화된 형태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일부가 상기 나노섬유 층으로 침투하여 고화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패턴은, 압축력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 가능한 탄성 변형 구조로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두 개의 몸체부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Nanofiber layer;
A reinforcing pattern disposed on the nanofiber layer and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And
As a nanofiber mat comprising a fixing pattern disposed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than the nanofiber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reinforcing pattern include a form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nanofiber layer is melt-solidifi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attern, a melt-solidified form, and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reinforcing pattern penetrates into the nanofiber layer and solidifies. Bonded to each other in at least one form,
The fixing pattern is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that is compressively deformed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nd can be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removed, and the elastically deformed structure includes two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hysically between the two body part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by,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소재는 탄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ocompatible polymer having elasticity,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 플랙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t least one of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ase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two body part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ody parts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배양 용기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배용 용기의 내부 단면적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nanofib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ize less than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ssel for vessel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ulture vessel,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상기 배양 용기 배에 배치하는 경우 나노섬유 층 및 배양 용기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패턴은 상기 나노섬유 층 및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 이상 돌출되되,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어 상기 고정 패턴의 말단이 상기 나노섬유 층과 배양 용기 사이의 간극 상에 또는 나노섬유 층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on the culture vessel vessel, a gap is formed betwee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culture vessel,
The fixing pattern protrudes more than the gap between the nanofiber layer and the culture vessel, but compressively deforms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decreases, so that the end of the fixing pattern is formed with the nanofib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gap between the culture vessels or on the layer of nanofibers,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는,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배용 용기 내에 배치하고, 상기 압축력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 패턴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nanofiber mat is disposed in a vessel container while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ixed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ed pattern is reduced, and when the compression force is removed, the fixed pattern is restored by elasticity and fixed in the culture vessel. Characterized by,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턴은 정사각 격자형, 원형 격자형, 마름모 격자형, 직사각 격자형, 지그재그형, 직선형 및 곡선형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shape selected from a square lattice type, a circular lattice type, a rhombus lattice type, a rectangular lattice type, a zigzag type,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type,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턴이 격자형인 경우, 상기 보강 패턴은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격벽으로만 구성된 격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reinforcing pattern is a lattice-shaped, the reinforcing pattern has a lattice-shaped structure consisting only of partition walls forming a lattice structure,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층은 나노섬유들이 랜덤하게 배열된 구조, 일 방향으로 정렬된 구조 또는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교차로 정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nanofiber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anofibers are randomly arranged, a structure arranged in one direction, or a structu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Nanofiber mat for cell culture.
나노섬유 층, 상기 나노섬유 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나노섬유 층과 접합된 보강 패턴, 및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일 측면에 상기 나노섬유 층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변형되고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 가능한 탄성 변형 구조로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두 개의 몸체부 및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 패턴을 포함하는 나노섬유 매트에서,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고정 패턴에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여, 상기 나노섬유 매트를 배양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
A nanofiber layer, a reinforcing pattern disposed on the nanofiber layer and bonded to the nanofiber layer,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attern are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nanofiber layer and compressive deformation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It is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that can be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removed, wherein the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includes two body part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art physically connecting the two body parts. In a nanofiber mat including a fixing pattern formed of, disposing the nanofiber mat in a container for serving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fixing pattern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s reduced; And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the nanofiber mat in the culture vessel by remov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A method of fixing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in a culture vess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용기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 패턴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 패턴이 복원되면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가 배양 용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fixing in the culture vessel,
When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attern is removed, the fixing pattern is restored by elasticity, and the nanofiber mat is fixed in the culture vessel,
A method of fixing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in a culture vess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 패턴은 핀셋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placing in the vessel for serving,
The fixing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ressed with tweezers,
A method of fixing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in a culture vess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구조는 컴플라이언트 메카니즘, 플랙셔 및 스프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astic deforma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t least one of a compliant mechanism, a flexure, and a spring structure,
A method of fixing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in a culture vessel.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두 개의 몸체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상기 고정 패턴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몸체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핀셋 또는 트위저로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배용 용기 내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 용기 내에 세포 배양용 나노섬유 매트를 고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placing in the vessel for serving,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two body portions is reduced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fixing pattern is reduced, and the two body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container for delivery while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with tweezers or tweezer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
A method of fixing a cell culture nanofiber mat in a culture vessel.
삭제delete
KR1020190023109A 2019-02-27 2019-02-27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KR102181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09A KR102181128B1 (en) 2019-02-27 2019-02-27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09A KR102181128B1 (en) 2019-02-27 2019-02-27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94A KR20200104594A (en) 2020-09-04
KR102181128B1 true KR102181128B1 (en) 2020-11-20
KR102181128B9 KR102181128B9 (en) 2021-08-19

Family

ID=7247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09A KR102181128B1 (en) 2019-02-27 2019-02-27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2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9023A (en) * 1997-01-16 2001-07-1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Cell culture system
JP2004516478A (en) 2000-12-20 2004-06-03 ナノスフィア リミテッド Test method and device used
US20040146965A1 (en) 2003-01-29 2004-07-29 Hach Company Petri dish
KR101486734B1 (en) * 2014-06-30 2015-01-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fiber mats with polymer fram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KR101529931B1 (en) 2011-05-23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member attac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9023A (en) * 1997-01-16 2001-07-10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Cell culture system
JP2004516478A (en) 2000-12-20 2004-06-03 ナノスフィア リミテッド Test method and device used
US20040146965A1 (en) 2003-01-29 2004-07-29 Hach Company Petri dish
KR101529931B1 (en) 2011-05-23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member attaching apparatus
KR101486734B1 (en) * 2014-06-30 2015-01-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anofiber mats with polymer fram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28B9 (en) 2021-08-19
KR20200104594A (en)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2387B1 (en) Nano-fiber ma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e thereof as cell culture mat or guided bone regeneration shielding membrane
Haigh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with polypropylene microfibers
Lee et al. Fabrication of patterned nanofibrous mats using direct-write electrospinning
Sun et al. Electrospun anisotropic architectures and porous structures for tissue engineering
JP6320276B2 (en) 3D printing technology for creating scaffolds for regenerative medicine
Li et al. Electrospun membranes: control of the structure and structure related applications in tissue regeneration and drug delivery
Vaquette et al. A simple method for fabricating 3-D multilayered composite scaffolds
KR101486734B1 (en) Nanofiber mats with polymer fram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CN110029059B (en) Cell co-culture system based on nanofiber membrane
US20100047310A1 (en) Bio-acceptable conduits and method providing the same
CA2965110A1 (en) Biomedical patches with aligned fibers
US20190275720A1 (en) 3d printing of fibrous structures
KR102091840B1 (en) 3D hydrogel layer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303021A (en) Density gradient type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50589B1 (en) Nanofiber hybrid membrane for culturing stem cells, medium and method for culturing stem cells using the same
KR101492771B1 (en) Nanofibrous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ill et al. Fabrication of designable and suspended microfibers via low-voltage 3D micropatterning
US20210047758A1 (en) Method to Produce Micro and Nanofibers with Controlled Diameter and Large Yield
KR101118128B1 (en) Scaffold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KR102181128B1 (en) nanofiber mat tightenable in culture container for cell culture and tightening method of the nanofiber mat within culture container
KR102211550B1 (en) Nanofiber culture mats with framework of polymer foam
US20190241849A1 (en) Expandable cell culture substrate
KR101723193B1 (en) Method of fabricating hydrogel scaffold using electrospinning and hydrogel scaffold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20180078673A1 (en) Cell culture support using water-soluble polymer
Unser et al. Electrospinning of nano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