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056B1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056B1
KR102181056B1 KR1020180088858A KR20180088858A KR102181056B1 KR 102181056 B1 KR102181056 B1 KR 102181056B1 KR 1020180088858 A KR1020180088858 A KR 1020180088858A KR 20180088858 A KR20180088858 A KR 20180088858A KR 102181056 B1 KR102181056 B1 KR 10218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frame
offic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540A (ko
Inventor
전승환
Original Assignee
전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환 filed Critical 전승환
Priority to KR102018008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0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있어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판넬; 상기 판넬 내부에 설치되는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Office partitions using surface heating elements}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활용성을 높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오피스텔과 같은 실내 공간의 효율적인 분할을 위해 파티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파티션에 대해 공간 분할의 기능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는데, 가령,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8788호에는 물품 수납통이 구비된 파티션이 개시되어 있으며, 또 다른등록특허 제10-1251039호에는 파티션 겸용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는 파티션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패널 사이 공간에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등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파티션을 통해 사무 공간에 대한 난방 기능의 수행까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1497호(발명의 명칭: 발열 수단이 구비된 파티션)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0049호(고안의 명칭: 면상발열체를 사용한 파티션) 등을 꼽을 수 있다.
상기의 기술들은 파티션의 내부 공간에 면상발열체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절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세부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파티션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바에 따라 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된 바 없으며,
종래의 파티션은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불가능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분리하고 다시 재설치 하는 번거로움 있었다.
따라서, 온도 조절 범위가 넓고 이동성 및 활용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파티션에 대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활용성을 높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있어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판넬; 상기 판넬 내부에 설치되는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제1 판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가 설치되는 제2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넬은 내면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자성체 및 내면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on/off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한 쌍의 제1 판넬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판넬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립형 프레임은 상기 제1 판넬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상기 면상발열체의 이상이 감지되거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를 off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지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체를 off 시키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상기 제1 판넬은 내면에 양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된 판넬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전면 제1 판넬 및 내면에 양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된 판넬 밀착홈을 포함하는 배면 제1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 밀착돌기가 삽입되는 본체 밀착홈 및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 밀착홈에 삽입되는 본체 밀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상기 제1 판넬은 상면에 형성되는 부속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면 제1 판넬 및 상면에 형성되는 부속홈을 포함하는 배면 제1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상기 부속결합부에 설치되는 부속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속 프레임은 상기 부속결합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하거나 한 쌍의 제1 판넬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서 판넬이 탈부착 될 수 있고, 자립형 스텐드를 더 포함하여 다른 장소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면상발열체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여 사무용 파티션의 온도를 극대화 또는 극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제1 판넬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결합부의 회동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자립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정면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배면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투영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 및 부속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 및 부속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 및 부속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제1 판넬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결합부의 회동된 모습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자립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은 본체 프레임(10), 판넬(20), 면상발열체(30), 전원부(40) 및 자립형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 프레임(10)은 사무용 피티션(1)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로써, 수직프레임(11) 및 수평프레임(12)을 포함하여 사각형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0)은 철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고 강도가 있는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1)은 지면에 수직으로 양측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은 결합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110)은 결합부(211)가 삽입되어 본체 프레임(10)에 판넬(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1) 하부에 형성되어 결합부(21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프레임(11) 상부, 수평프레임(12) 등 본체 프레임(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110)은 수직프레임(11)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직프레임(11)에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수개의 판넬(20)이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평프레임(12)은 지면에 수평으로 수직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불규칙한 간격으로도 이격될 수 있다.
판넬(20)은 본체 프레임(10)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판넬(20)은 아연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도가 있고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 강판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판넬(20)은 본체 프레임(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넬(20)이 본체 프레임(10)에서 탈부착이 용이하여 본체 프레임(10)에서 판넬을 이탈시켜 별도로 설치할 수 있어 이동성이 우수하여 필요시에 어디서든 편리하게 설치하여 난방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넬(20)은 제1 판넬(21) 및 제2 판넬(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넬(21)은 사각형 형태의 판으로 본체 프레임(10)에 부착되어 벽을 형성할 수 있고, 본체 프레임(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판넬(21)은 본체 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두개 이상일 경우 크기가 동일하거나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판넬(21)은 이러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성체(210) 및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210)는 제1 판넬(21) 내면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0)에 부착되어 제1 판넬(21)이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체 프레임(10)이 철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자성체(21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210)는 제1 판넬(21)을 별도로 설치하고자 할 때 제1 판넬(21)끼리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211)는 제1 판넬(21) 내면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10)의 결합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11)는 제1 판넬(21)을 별도로 설치할 때 한 쌍의 제1 판넬(21)이 마주보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판넬(21) 내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결합부(211)는 제1 판넬(21)에 힌지 결합 또는 바 결합되어 제1 판넬(21)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1)는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 수평부 타단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 제2 경사부 타단에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부, 제2 경사부 일단과 연결되는 곡선부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과 상기 곡선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넬(21)을 본체 프레임(10)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는 (a)와 같이 결합부(211)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제1 판넬(21)과 결합부(211)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결합시키고, 제1 판넬(21)을 별도로 설치하고자 할 때는 (b)와 같이 제1 판넬(21) 내면과 결합부(211)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제1 판넬(21)을 마주보게한 후 자립형 프레임(5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2 판넬(22)은 본체 프레임(10)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판넬(22)이 본체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부(40)의 전선 등을 용이하게 정리하고 고장 시에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판넬(22)은 상단 양측에 회동부가 형성되어 제2 판넬(22)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이 회동될 수 있다.
회동부는 수직프레임(11)에 형성된 가이드홈, 가이드홈에 하단이 삽입되는 이동바, 제2 판넬(22) 내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단에 이동바의 상단이 고정되는 이동바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판넬(22)을 열고자 하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바의 하단이 가이드홈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회동이 가능하고, 제2 판넬(22)을 닫고자 하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바의 하단이 가이드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동바삽입홈 및 가이드홈에 이동바가 삽입되면서 제2 판넬(22)이 완전히 본체 프레임(1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넬(20)은 제3 판넬(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판넬(23)은 본체 프레임(10) 하단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판넬(23)은 사무용 파티션(1)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사무용 파티션(1) 하단에 형성되어 받쳐줄 수 있다.
면상발열체(30)는 판넬(20) 내부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면상발열체(30)는 판넬(20) 중 제1 판넬(21) 및 제3 판넬(23)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면상발열체(30)는 탄소발열체이고, 전력에너지가 600w로 전력소비가 작아 열 효율이 높을 수 있다. 이는 면상발열체(30)를 형성하는 탄소의 품질을 높여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부(4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거나 배터리가 구비되어 면상발열체(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40)는 스위치(41), 연결부(42) 및 콘센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1)는 면상발열체(30)의 on/off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스위치(41)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면상발열체(30)의 전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42)는 면상발열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판넬(20)을 본체 프레임(10)에서 분리할 경우 전원부(40)와 면상발열체(30)의 연결도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전기적으로도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여 면상발열체(30)가 부착된 판넬(20)의 탈부착이 용이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42)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전원부(40)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면상발열체(30)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것으로 전기적 연결을 쉽게 연결 및 단절시킬 수 있다.
콘센트(43)는 다른 전자 기기 등이 연결되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자립형 프레임(50)은 제1 판넬(21)을 별도로 다른 공간에 이동시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 판넬(21)이 삽입되어 제2 판넬(22)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립형 프레임(50)은 삽입부(51) 및 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방향이 상측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제1 판넬(21)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52)는 삽입부(51) 하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자립형 프레임(50)은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한 쌍의 제1 판넬(21)을 설치할 수 있고, 한 쌍의 제1 판넬(21)을 지면에 세워 설치할 수 있다면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은 제어부(미도시) 및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면상발열체(30)에서 이상이 감지되거나, 면상발열체(30) 또는 사무용 파티션(1)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면상발열체(30)의 작동을 off 시킬 수 있다.
이때, 면상발열체(30) 또는 사무용 파티션(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체(3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전력 감지 센서, 전자파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타이머(미도시)는 면살발열체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타이머(미도시)는 설정된 시간이 다 될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여 면상발열체(30)의 작동을 off 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정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투영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본체 프레임(10)은 본체 밀착홈(13a) 및 본체 밀착돌기(13b)를 더 포함하며, 제1 판넬(21)은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밀착홈(13a), 본체 밀착돌기(13b),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 1 판넬(2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체 밀착홈(13a), 본체 밀착돌기(13b),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 1 판넬(2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 밀착홈(13a)은 본체 프레임(10) 전면에 형성되어 판넬 밀착돌기(21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 밀착홈(13a)은 판넬 밀착돌기(210a)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밀착홈(13a)은 판넬 밀착돌기(210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체 밀착돌기(13b)는 본체 프레임(10) 배면에 형성되어 판넬 밀착홈(210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 밀착돌기(13b)는 본체 밀착홈(13a)과 마찬가지로 판넬 밀착홈(210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넬(21)은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1 판넬(21a)은 판넬 밀착돌기(210a)를 포함할 수 있다.
판넬 밀착돌기(210a)는 전면 제1 판넬(21a)의 내면에 양단(양측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0)의 본체 밀착홈(13a)에 삽입될 수 있다.
배면 제1 판넬(21b)은 판넬 밀착홈(210b)을 포함할 수 있다.
판넬 밀착홈(210b)은 배면 제1 판넬(21b)의 내면에 양단(양측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0)의 본체 밀착돌기(13b)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이 본체 프레임(10)에 더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제1 판넬(21)을 자립형 프레임(50)을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하고자 할 때 전면 제1 판넬(21a)의 판넬 밀착돌기(210a)와 배면 제1 판넬(21b)의 판넬 밀착홈(210b)을 서로 결합하게 설치시킬 수 있다.
이에 별도로 설치하여 난방할 경우 면상발열체(3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 쌍의 제1 판넬(21)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어 열 효율,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 및 부속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 및 부속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의 판넬을 자립형 프레임 및 부속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은 부속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판넬(21)은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속 프레임(60),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부속 프레임(60),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속 프레임(60)은 제1 판넬(21)에 설치되어 사무용 파티션(1)에 사용자가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하거나, 제1 판넬(21)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 한 쌍의 제1 판넬(21)의 상측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부속 프레임(60)은 제1 부속판(61) 및 제2 부속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속판(61)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에 부속결합바(610)가 형성될 수 있다.
부속결합바(610)는 양측에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부속결합돌기(6100) 및 부속결합돌기(6100)를 받쳐주는 부속탄성부재(6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부속결합바(610)는 부속결합부(211a)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제2 부속판(62)은 제1 부속판(61)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후 전면측으로 회동될 경우 사용자가 물건을 걸 수 있는 부분으로 이용되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측으로 회동될 경우 제2 부속판(62)의 타단이 부속홈(211b)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판넬(21)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부속판(62)은 사용자가 물건을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넬(21)은 전면 제1 판넬(21a) 및 배면 제1 판넬(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제1 판넬(21a)은 부속결합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부속결합부(211a)는 상면 전면측에 형성되어 부속 프레임(60)의 부속결합바(610)가 탈부착될 수 있고, 부속 프레임(60)이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속결합부(211a)는 부속결합홈 및 부속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부속결합홈은 전면 제1 판넬(21a) 상면 전면측에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속결합판은 부속결합홈 양측면에 설치되어 부속 프레임(60)의 부속결합바(6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배면 제1 판넬(21b)은 부속홈(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부속홈(211b)은 배면 제1 판넬(21b) 상면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부속 프레임(60)의 제2 부속판(62)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무용 파티션(1)을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사무용 파티션을 자립적으로 별도로 설치할 경우 한 쌍의 제1 판넬(21) 사이를 더욱 밀착시켜 열 손실을 저감시켜 난방효율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서 판넬이 탈부착 될 수 있고, 자립형 스텐드를 더 포함하여 다른 장소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면상발열체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여 사무용 파티션의 온도를 극대화 또는 극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사무용 파티션
10: 본체 프레임
11: 수직프레임
110: 결합홀
12: 수평프레임
13a: 본체 밀착홈
13b: 본체 밀착돌기
20: 판넬
21: 제1 판넬
210: 자성체
211: 결합부
21a: 전면 제1 판넬
210a: 판넬 밀착돌기
211a: 부속결합부
21b: 배면 제1 판넬
210b: 판넬 밀착홈
211b: 부속홈
22: 제2 판넬
23: 제3 판넬
30: 면상발열체
40: 전원부
41: 스위치
42: 연결부
43: 콘센트
50: 자립형 프레임
51: 삽입부
52: 지지부
60: 부속 프레임
61: 제1 부속판
610: 부속결합바
6100: 부속결합돌기
6101: 부속탄성부재
62: 제2 부속판

Claims (10)

  1.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에 있어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판넬;
    상기 판넬 내부에 설치되는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1 판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가 설치되는 제2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한 쌍의 제1 판넬이 삽입되어 상기 제1 판넬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립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립형 프레임은,
    상기 제1 판넬이 수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넬은,
    내면에 양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된 판넬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전면 제1 판넬 및
    내면에 양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된 판넬 밀착홈을 포함하는 배면 제1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 밀착돌기가 삽입되는 본체 밀착홈 및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 밀착홈에 삽입되는 본체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은,
    내면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자성체 및
    내면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on/off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 및
    상기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상기 면상발열체의 이상이 감지되거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를 off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지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체를 off 시키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은,
    상면에 형성되는 부속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면 제1 판넬 및
    상면에 형성되는 부속홈을 포함하는 배면 제1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사무용 파티션은,
    상기 부속결합부에 설치되는 부속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속 프레임은,
    상기 부속결합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하거나 한 쌍의 제1 판넬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1020180088858A 2018-07-30 2018-07-3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10218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58A KR102181056B1 (ko) 2018-07-30 2018-07-3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58A KR102181056B1 (ko) 2018-07-30 2018-07-3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40A KR20200013540A (ko) 2020-02-07
KR102181056B1 true KR102181056B1 (ko) 2020-11-19

Family

ID=6956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58A KR102181056B1 (ko) 2018-07-30 2018-07-3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61B1 (ko) 2020-09-08 2021-01-26 주식회사 피치앤글로비스 절전형 탄소발열보드를 사용한 파티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82B1 (ko) * 2014-12-01 2015-04-07 주식회사 세계로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693A (ja) * 1994-06-08 1995-12-22 Dairin Shoji:Kk パーティション
KR0133373Y1 (ko) * 1995-09-13 1999-02-18 손동창 칸막이의 선반지지장치
KR20050002406A (ko) * 2003-06-30 2005-01-07 (주)투비디자인 전시 부스용 패널
KR20060012431A (ko) * 2004-08-03 2006-02-08 주식회사 한솔비전 콘센트가 구비된 파티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82B1 (ko) * 2014-12-01 2015-04-07 주식회사 세계로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40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056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CN217244030U (zh) 一种毛巾晾架
CN2253951Y (zh) 半封闭电热烘干架
CN212726065U (zh) 一种智能电力机柜
US20130214052A1 (en) Easy-t0-adjust water heater
CN214378699U (zh) 储能系统及其箱体
CN214595557U (zh) 烹饪器具
CN207400652U (zh) 保温板组件及烹饪器具
CN210298239U (zh) 一种室外一体化机柜设备柜
CN212880203U (zh) 带衣架的消毒箱
CN211269473U (zh) 一种防止褶皱的服装收纳辅助装置
CN207600001U (zh) 一种热水循环装置
CN213883007U (zh) 一种电热毛巾架
KR20190118039A (ko) 전기접속용 선형프로파일
CN213551180U (zh) 烹饪器具
CN204513547U (zh) 一种新型吊顶取暖器
CN208382307U (zh) 一种电暖器
KR101933591B1 (ko) 난방패널용 프레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난방장치
CN211345863U (zh) 热水器外壳及热水器
KR20140076868A (ko) 실외기의 전도방지 장치
CN217154317U (zh) 一种具有可拆卸烘衣架的电热油汀
CN216243845U (zh) 一种可自动调节亮度的智能镜柜
CN202048679U (zh) 一种热水器挂架
CN211772210U (zh) 一种衣物烘干架
CN211719460U (zh) 一种可快速安装的开关感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