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005B1 -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005B1
KR102181005B1 KR1020200001212A KR20200001212A KR102181005B1 KR 102181005 B1 KR102181005 B1 KR 102181005B1 KR 1020200001212 A KR1020200001212 A KR 1020200001212A KR 20200001212 A KR20200001212 A KR 20200001212A KR 102181005 B1 KR102181005 B1 KR 10218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offset
response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쉐어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어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쉐어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Abstract

기준 단말과 시간이 동기화된 서브 단말에서 동기화된 시간 및 시간표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송 시스템의 방송 단말은 오프셋의 증감을 조정하는 제어 버튼 및 저장 버튼을 포함하는 오프셋 설정 영역 및 기준 시간을 표시하는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단말 시간에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하고, 저장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된 오프셋을 저장하고,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BROADCAST SYSTEM AND METHOD HAVING 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 이벤트, 공연, 스포츠 등과 같이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행사 진행시, 서로 다른 공간에서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안내 방송 및 정보를 출력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험장은 입학, 입사, 어학능력 평가 등을 위한 시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응시자들이 시험을 보는 공간인 복수의 수험실을 포함한다. 복수의 수험실에는 응시자들에게 시험 시작 및 종료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방송, 듣기 평가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 시설이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방송실에 설치된 방송 단말(10)과 수험실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단말(10)은 오디오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20)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스피커(20)는 방송 단말(1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각 수험실에서 출력한다.
하지만,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방송 단말(10)과 복수의 스피커(20)를 연결하는 오디오 케이블의 길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이 수험실별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특정 오디오 케이블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특정 수험실에서만 방송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을 위한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고, 방송 단말(3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브 단말(40)을 각 수험실에 배치한 방송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방송 단말(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브 단말(40)에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이 수험실별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방송 시스템은 셧다운 등과 같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수험장 전체 또는 특정 수험실에서 방송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험장의 시험 감독관이 수동으로 방송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수험실 별로 방송 시작 및 종료 시간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0927호(명칭: 학습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준 단말과 시간이 동기화된 서브 단말에서 동기화된 시간 및 시간표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는 음성, 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데이터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단말은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송 단말의 단말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오프셋의 증감을 조정하는 제어 버튼 및 저장 버튼을 포함하는 오프셋 설정 영역 및 기준 시간을 표시하는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 및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시간 검출부로부터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단말 시간에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하고, 저장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 요청을 생성하는 연산 제어부, 연산 제어부의 오프셋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오프셋을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으로 갱신하는 오프셋 저장부 및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 및 오프셋 저장부에 저장된 오프셋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를 포함한다.
시간 설정 화면은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연산 제어부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화면 출력부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연산 제어부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화면 출력부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연산 제어부는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부로 오프셋 검출 요청을 전송하고, 시간 검출부로부터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단말 시간에 오프셋 검출 요청의 응답으로 수신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한 후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단말은 출력 시간 및 콘텐츠 데이터 정보가 연계된 시간표를 저장하는 시간표 저장부 및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콘텐츠 출력부는 연산 제어부에서 산출한 기준 시간에 대응되는 출력 시간에 연결된 콘텐츠 데이터 정보를 시간표 저장부로부터 검출하고,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콘텐츠 데이터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단말은 출력 시간 및 콘텐츠 데이터 정보가 연계된 시간표를 저장하는 시간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연산 제어부는 시간표 설정 요청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표 검출 요청 및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시간표 저장부는 시간표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시간표를 검출하고, 화면 출력부는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시간표 저장부에서 검출한 시간표를 포함하는 시간표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출력부는 시간표 저장부에서 검출한 시간표를 표시하는 시간표 테스트 요청을 생성하는 테스트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표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연산 제어부는 테스트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기준 시간을 시간표에 포함된 출력 시간으로 설정한 후 콘텐츠 출력부의 콘텐츠 데이터 출력을 진단하여 정상 출력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기준 단말은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자체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시간 동기화 대상인 방송 단말에서 출력된 시간 설정 화면을 촬영하는 촬영부,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 및 촬영부에서 촬영한 시간 설정 화면에 포함된 방송 단말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하는 정확도 산출부 및 촬영 영역, 자체 시간 표시 영역 및 정확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을 출력하되, 촬영 영역에 촬영부에서 촬영한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자체 시간 표시 영역에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을 출력하고, 정확도 표시 영역에 정확도 산출부에서 산출한 정확도를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한다.
촬영부는 시간 설정 화면 중에서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촬영하고, 정확도 산출부는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 표시 영역과 자체 시간 표시 영역을 검출하고, 기준 시간 표시 영역 및 자체 시간 표시 영역 중에서 지정된 좌표의 픽셀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정확도 산출부는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을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 표시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고, 좌표의 픽셀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출력 시간 설정 화면의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촬영하고, 정확도 산출부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의 인식 정보를 인식하여 기준 시간을 검출하고,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촬영한 시점에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오프셋 조정값을 산출하고,
오프셋 조정값 산출에 응답하여, 화면 출력부는 오프셋 조정값을 정확도 표시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정확도 산출부는 오프셋 조정값이 0이 될 때까지 오프셋 조정값 산출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은 방송 단말을 이용한 방송 방법으로,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간 설정 화면에 기준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시간 설정 화면에 표시된 제어 버튼 선택을 근거로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 시간 설정 화면에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 오프셋의 조정이 완료되면,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 및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 설정 화면의 인식 정보 표시 영역에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에서는 방송 단말의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시간 설정 화면의 기준 시간 표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시간 설정 화면의 저장 버튼을 선택되면 오프셋 조정 완료로 판단하여 오프셋 저장 요청이 생성되고, 오프셋 저장 요청 생성에 응답하여 오프셋을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기저장된 시간표 및 기준 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고,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시간표 중에서 기준 시간에 대응하는 출력 시간을 검출하고, 출력 시간에 연계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기준 단말과 방송 단말 간의 시간 동기화를 통해 복수의 방송 단말의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복수의 공간에서 분산 배치된 복수의 방송 단말이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복수의 공간에서 분산 배치된 복수의 방송 단말이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어, 동시 정보 출력을 중요시하는 입학, 입사, 어학능력 평가 등에서 외부 요인에 의한 지연, 중단 등의 방송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관리자의 시간 동기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확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기준 단말의 자체 시간 표시 영역과 방송 단말의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을 검출하고 검출한 두 영역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함으로써, 연산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간 표시의 오차로 인한 시간 동기화시 설정되는 시간들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시간 동기화시 증감 버튼을 통해 오프셋을 설정함으로써, 시간 동기화를 위한 오프셋을 빠르게 입력 및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은 시간표에 따른 방송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 테스트 대상인 시간표 항목들 사이의 공백 시간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어, 시간표에 따른 출력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방송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의 기준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방송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의 기준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하나의 기준 단말(200)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송 단말(100a~100c)의 시간을 동기화한다. 이때, 방송 시스템은 기준 단말(200)과 방송 단말(100)을 일대 일로 시간 동기화함으로써, 기준 단말(200)과 동기화된 복수의 방송 단말(100)들은 서로 시간이 동기화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 단말(100) 및 기준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방송 단말(100)은 각 수험실에 설치되어 시험 진행을 위한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을 출력한다.
방송 단말(100)은 기준 단말(200)과 일대 일로 연결되어 기준 단말(200)의 시간과 동기화됨에 따라 기준 단말(200)과 시간이 동기화된 다른 방송 단말(100)과 시간이 동기화된다. 다시 말해, 복수의 방송 단말(100)은 각각 기준 단말(200)과 일대 일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모든 방송 단말(100)이 기준 단말(200)과 시간이 동기화됨에 따라 복수의 방송 단말(100)의 시간이 동기화된다. 방송 단말(100)은 응시자에게 시험 시간을 안내하기 위해서 동기화된 시간을 포함하는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
방송 단말(100)은 시간표 및 동기화된 시간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을 출력한다. 즉, 방송 단말(100)은 시간표에 포함된 시간표 항목을 동기화된 시간을 비교하고, 동기화된 시간에 대응한 시간을 갖는 시간표 항목에 연계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는 음성, 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데이터이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단말(100)은 연산 제어부(110), 제1 시간 검출부(130), 제1 화면 출력부(120), 오프셋 저장부(140), 시간표 저장부(150), 콘텐츠 저장부(160) 및 콘텐츠 출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인증 정보 입력 화면 출력 요청을 전송한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단말(100)에 시험 관련 정보 및 시간을 포함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방송 단말(100)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설정 버튼을 선택하면, 연산 제어부(110)에는 설정 요청 메시지가 입력된다. 연산 제어부(110)는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인증 정보 입력 화면 출력 요청을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의 인증 정보 입력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인증 정보 입력 화면(도 6 참조)을 출력한다.
인증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연산 제어부(110)는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와 입력된 인증정보가 일하면 인증 성공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연산 제어부(110)가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증부와 같이 별도의 구성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증에 성공하면, 제1 시간 검출부(130)로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의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시간 검출부(130)는 방송 단말(100)의 단말 시간을 검출하여 연산 제어부(110) 및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 시간은 방송 단말(100)을 구성하는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이와 함께, 연산 제어부(110)는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시간 동기화를 위한 시간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전송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산 제어부(110)의 시간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방송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단말 시간 표시 영역(A1), 오프셋 설정 영역(A2),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 및 안내문 표시 영역(A5) 등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단말 시간 표시 영역(A1)은 제1 시간 검출부(130)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단말 시간 표시 영역(A1)을 통해 제1 시간 검출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단말 시간을 출력한다.
이때,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단말 시간 표시 영역(A1)을 통해 단말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단말 시간 설정 버튼(B2)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 시간 설정 버튼(B2)은 방송 단말(100)을 구성하는 컴퓨터의 시간을 설정(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단말(100)은 방송 단말(100)의 단말 시간을 설정(변경)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방송 단말(100)은 수험장을 대여해준 단체의 소유이기 때문에 수험장을 대여한 단체에서 단말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단말(100)은 단말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오프셋 설정을 통해 단말 시간에서 오프셋이 보정된 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안내 방송 및 듣기 평가 방송을 출력한다.
오프셋 설정 영역(A2)은 방송 단말(100)과 기준 단말(200) 사이의 시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오프셋을 설정 및 표시하는 영역이다. 오프셋 설정 영역(A2)은 설정된 오프셋, 오프셋을 초 단위로 증감시키는 (+) 버튼 및 (-) 버튼, 오프셋을 초 또는 밀리 초(msec) 단위로 증감시키는 (+) 버튼 및 (-) 버튼, 설정된 오프셋을 저장하는 저장 버튼, 인터넷을 통한 시간 동기화를 입력하는 "감지" 버튼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은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단말 시간을 오프셋만큼 증감시켜 기준 시간을 연산하고, 연산한 기준 시간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제1 화면 출력부(120)는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을 통해 기준 시간을 출력한다. 여기서,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은 후술한 기준 단말(200)기에서 오프셋 설정 및 정확도 산출시 촬영하는 영상에 포함되는 영역이다.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은 시간 동기화를 수행중인 방송 단말(100)의 인식을 위한 인식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때, 인식 정보는 QR 코드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에는 시간 동기화를 위해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인식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인식 정보는 조정된 오프셋이 반영된 기준 시간을 포함하며, 대략 5분 정도의 간격으로 갱신(변경)되는 QR 코드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기준 시간은 포함하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한다.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포함된 기준 시간을 검출하고,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를 통해 검출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한다.
안내문 표시 영역(A5)은 설정 영역에 관련된 안내문, 설명문 등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관리자는 기준 단말(200)에 표시된 정보를 근거로 시간 설정 화면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여 오프셋을 조정한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초 단위로 증가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초 단위로 증가시킨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초 단위로 감소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초 단위로 감소시킨다. 이때, 오프셋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된다.
연산 제어부(110)의 오프셋 연산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변경된 오프셋을 오프셋 표시 영역(A2)을 통해 출력한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밀리 초 단위로 증가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 밀리 초 단위로 증가시킨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밀리 초 단위로 감소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 밀리 초 단위로 감소시킨다. 연산 제어부(110)의 오프셋 증감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변경된 오프셋을 오프셋 표시 영역(A2)을 통해 출력한다.
이와 함께, 연산 제어부(110)는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연산한다. 즉,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이 (+) 값이면 제1 시간 검출부(130)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더한 기준 시간을 연산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이 (-) 값이면 제1 시간 검출부(130)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뺀 기준 시간을 연산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연산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기준 시간 출력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기준 시간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 설정 화면의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을 통해 기준 시간 출력 요청에 포함된 기준 시간을 출력한다.
한편, 방송 단말(100)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시간 설정 화면의 감지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인터넷을 통해 기준 서버의 시간을 수신하여 기준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관리자가 기준 단말(200)에 표시된 정보를 근거로 방송 단말(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시간 설정 화면의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오프셋 저장 요청이 생성된다. 오프셋 저장 요청 생성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 저장 요청을 오프셋 저장부(140)로 전송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설정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오프셋 저장 요청을 오프셋 저장부(140)로 전송한다.
오프셋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부(140)는 오프셋 저장 요청에 포함된 오프셋을 저장한다.
방송 단말(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시간표 설정이 선택되어 시간표 설정 요청이 생성되면,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표 저장부(150)로 시간표 검출 요청을 전송하고,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의 시간표 검출 요청에 응답하며, 시간표 저장부(150)는 저장된 시간표를 검출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이때. 시간표는 출력 시간,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 형태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 및 시간표 전송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표 설정 화면(P2)을 방송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P2)은 시간표가 표시되는 시간표 표시 영역(A6)과 버튼 표시 영역(A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버튼 표시 영역(A7)에는 방송 단말(100)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한 입력에 의해 수정된 시간표를 저장, 리셋, 새로 고침, 순서 변경하기 위한 저장 버튼, 리셋 버튼, 새로 고침 버튼, (-) 버튼 및 (+) 버튼 등이 표시된다. 버튼 표시 영역(A7)에는 시간표 중에서 선택된 항목을 테스트하기 위한 선택 테스트 버튼, 시간표에 포함된 전체 항목을 테스트하기 위한 전체 테스트 버튼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저장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수정. 삭제 추가를 통해 변경되어 시간표 표시 영역(A6)에 표시된 시간표를 포함하는 시간표 저장 요청을 시간표 저장부(150)로 전송한다. 시간표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시간표 저장부(150)는 기저장된 시간표를 시간표 저장 요청에 포함된 시간표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리셋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표 리셋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시간표 리셋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표 설정 화면의 시간표 표시 영역(A6)에 초기화된 시간표를 출력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새로 고침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표 새로 고침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시간표 새로 고침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표 설정 화면의 시간표 표시 영역(A6)에 최신상태의 시간표를 출력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표 항목 삭제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시간표 항목 삭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표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시간표 항목을 삭제한 시간표를 시간표 설정 화면의 시간표 표시 영역(A6)을 통해 출력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시간표 항목 추가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시간표 항목 삭제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시간표 항목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시간표 항목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시간표 표시 영역(A6)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추가된 시간표 항목은 시간표 표시 영역(A6)에 표시된 시간표에 추가되어 표시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선택 테스트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콘텐츠 출력부(170)와 연계하여 시간표 중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한 선택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선택 테스트 수행시 기준 시간을 선택된 항목의 시간으로 설정하고, 콘텐츠 출력부(170)의 콘텐츠 데이터 출력 여부를 진단하여 정상 출력 여부를 테스트한다.
시간표 설정 화면의 전체 테스트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콘텐츠 출력부(170)와 연계하여 시간표에 포함된 전체 항목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선택 테스트 수행시 기준 시간을 항목의 시간으로 설정하고, 콘텐츠 출력부(170)의 콘텐츠 데이터 출력 여부를 진단하여 정상 출력 여부를 테스트한다. 이후, 연산 제어부(110)는 다음 테스트 항목의 시간으로 기준 시간을 설정하고, 콘텐츠 출력부(170)의 콘텐츠 데이터 출력 여부를 진단하여 정상 출력 여부를 테스트한다.
여기서, 시간표 테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연산 제어부(110)가 기준 시간을 시간표 항목에 대응되는 시간으로 임시 설정한 후 콘텐츠 출력부(170)에서 설정된 시간표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이 완료된 후 닫기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는 시간표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연산 제어부(110)는 기준 시간을 연산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로 전송한다. 기준 시간 전송에 응답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는 시간표에 기준 시간에 대응하는 항목이 존재하면 항목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 검출 요청을 콘텐츠 저장부(160)로 전송한다. 콘텐츠 저장부(160)는 콘텐츠 데이터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로 전송하고, 콘텐츠 출력부(170)는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준 단말(200)은 복수의 방송 단말(100)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기준이 되는 휴대 단말이다. 기준 단말(200)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인 것을 일례로 한다.
기준 단말(200)은 방송 단말(100)에서 출력된 시간 설정 화면을 촬영한 영상과 자체 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기준 단말(200)은 시간 설정 화면의 기준 시간과 자체 시간을 비교하여 산출한 정확도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기준 단말(200)은 관리자가 방송 단말(100)의 시간 설정을 용이하게 하며, 방송 단말(100)들 간의 시간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를 참조하면, 기준 단말(200)은 촬영부(210), 해상도 설정부(220), 제2 화면 출력부(230), 제2 시간 검출부(240), 정확도 산출부(2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이 촬영 영역(A8), 자체 시간 표시 영역(A9), 정확도 표시 영역(A10) 및 해상도 설정/표시 영역(A11)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관리자의 기준 단말(200) 조작에 따른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촬영부(210)는 시간 동기화 대상인 방송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촬영한다.
이때, 해상도 설정부(220)는 촬영부(210)의 촬영시 해상도를 설정한다. 해상도 설정부(220)는 영상 크기 및 초당 프레임 수를 포함하는 해상도를 설정한다. 촬영부(210)는 해상도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방송 단말(100)에서 출력된 시간 설정 화면을 촬영한다.
촬영부(210)의 화면 촬영에 응답하여, 제2 화면 출력부(23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한다. 제2 화면 출력부(230)는 기준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단말(100)의 시간 설정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제2 화면 출력부(230)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의 촬영 영역에 촬영부(210)에서 촬영한 화면을 출력한다.
관리자의 기준 단말(200) 조작에 따른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시간 검출부(240)는 기준 단말(200)의 자체 시간을 검출한다. 제2 시간 검출부(240)는 검출한 자체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출력 요청을 제2 화면 출력부(230)로 전송한다.
시간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2 화면 출력부(230)는 시간 출력 요청에 포함된 자체 시간을 출력한다. 이때, 제2 화면 출력부(230)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의 자체 시간 표시 영역(A9)을 통해 시간 출력 요청에 포함된 자체 시간을 출력한다. 이때, 제2 화면 출력부(230)는 방송 단말(100)의 시간 설정 화면에 표시된 기준 시간과 동일한 크기, 색상, 비율 및 폰트로 자체 시간을 출력한다.
촬영 화면 출력 및 자체 시간 출력에 응답하여, 정확도 산출부(250)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에 표시된 자체 시간 및 촬영 영역에 표시된 시간 설정 화면 중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에 표시된 시간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확도 산출부(250)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의 자체 시간 표시 영역을 검출한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을 검출한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검출한 자체 시간 표시 영역과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이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정확도 산출부(250)는 자체 시간 표시 영역 및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이 동일한 색상,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비율을 갖도록 보정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픽셀 단위로 두 영상의 색상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한다. 이때, 정확도는 방송 단말(100)의 시간과 기준 단말(200)의 픽셀 단위로 색상을 비교하여 산출되며, 색상 차이가 나는 픽셀 수가 작을수록 큰값을 갖는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지정된 좌표의 픽셀 간 색상, 크기 및 비율의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하거나, 검출한 자체 시간 표시 영역과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에 대한 문자 인식을 통해 자체 시간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확도 산출부(250)는 방송 단말(100)에서 출력된 인식 정보를 인식하여 오프셋 조정값을 산출하고, 제2 화면 출력부(230)는 정확도 산출부(250)에서 산출한 오프셋 조정값을 정확도 표시 영역(A10)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촬영부(210)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인식 정보로부터 기준 시간을 검출한다. 이때, 정확도 산출부(250)은 기준 시간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출력, 촬영, 인식 및 검출 과정에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준 시간에 딜레이 시간을 반영할 수도 있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촬영부(210)에서 영상을 촬영한 시점에 제2 시간 검출부(240)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과 검출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오프셋 조정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오프셋 조정값은 자체 시간과 기준 시간 사이의 차이 값이며, 자체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빠른 경우 양(+)의 값이 되고, 자체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느린 경우 음(-)의 값이 된다.
관리자는 기준 단말(200)에 표시된 오프셋 조정값을 참조하여 방송 단말(100)의 오프셋을 조정한다. 정확도 산출부(250)는 오프셋 조정값이 '0'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기준 단말(200)에 표시된 자체 시간은 방송 단말(100)의 시간 설정 화면을 통해 초 단위의 오프셋 설정시 관리자가 기준으로 하는 정보이며, 정확도는 방송 단말(100)의 시간 설정 화면을 통해 밀리 초 단위의 오프셋 설정시 관리자가 기준으로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방송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준 시간을 출력한다(S100). 즉, 연산 제어부(110)는 제1 시간 검출부(130)로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의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시간 검출부(130)는 방송 단말(100)의 단말 시간을 검출하여 연산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단말 시간 전송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부(140)로부터 오프셋을 검출한다. 이때, 오프셋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되며, 이전에 오프셋이 설정된 경우 “0”이 아닌 다른 값일 수 있다.
연산 제어부(110)는 단말 시간에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산출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산출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기준 시간 출력 요청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기준 시간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단말 시간 표시 영역(A1), 오프셋 설정 영역(A2), 기준 시간 표시 영역(A3),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 및 안내문 표시 영역(A5) 등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
방송 단말(100)은 입력 장치를 통한 버튼 선택을 근거로 오프셋을 조정한다(S200).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초 단위로 증가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초 단위로 증가시킨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초 단위로 감소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초 단위로 감소시킨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밀리 초 단위로 증가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 밀리 초 단위로 증가시킨다. 시간 설정 화면에서 오프셋을 밀리 초 단위로 감소시키는 (-) 버튼 선택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을 1 밀리 초 단위로 감소시킨다. 연산 제어부(110)의 오프셋 증감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변경된 오프셋을 오프셋 표시 영역(A2)을 통해 출력한다.
방송 단말(100)은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출력한다(S300). 즉, 연산 제어부(110)는 단말 시간에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산출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산출한 기준 시간을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연산 제어부(110)의 기준 시간 전송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변경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기준 시간 표시 영역(A1)을 통해 출력한다.
방송 단말(100)은 입력 장치를 통해 버튼 선택을 근거로 오프셋 조정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방송 단말(100)은 오프셋 설정 영역(A2)에 포함된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오프셋 조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방송 단말(100)은 오프셋 조정의 미완료로 판단하면 상술한 S200 단계 및 S30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오프셋 조정 완료로 판단하면(S400; 예), 방송 단말(100)은 조정된 오프셋을 저장한다(S500). 즉, 관리자가 기준 단말(200)에 표시된 정보를 근거로 방송 단말(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시간 설정 화면의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오프셋 저장 요청이 생성된다. 오프셋 저장 요청 생성에 응답하여,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 저장 요청을 오프셋 저장부(140)로 전송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설정된 오프셋을 포함하는 오프셋 저장 요청을 오프셋 저장부(140)로 전송한다. 오프셋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부(140)는 오프셋 저장 요청에 포함된 오프셋을 저장한다.
방송 단말(100)은 S100 단계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 및 저장된 오프셋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S600). 즉, 연산 제어부(110)는 오프셋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프셋을 단말 시간에 반영한 시간을 콘텐츠 출력부(170)로 전송한다. 시간 전송에 응답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는 시간표 저장부(150)에 오프셋을 단말 시간에 반영한 시간에 대응하는 항목이 시간표에 존재하면 해당 항목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 검출 요청을 콘텐츠 저장부(160)로 전송한다. 콘텐츠 저장부(160)는 콘텐츠 데이터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출력부(170)로 전송하고, 콘텐츠 출력부(170)는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방송 단말(100)은 인식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방송 단말(100)은 시간 동기화를 위해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인식 정보를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인식 정보는 조정된 오프셋이 반영된 기준 시간을 포함하며, 대략 5분 정도의 간격으로 갱신(변경)되는 QR 코드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연산 제어부(110)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로 전송한다. 이때, 연산 제어부(110)는 기준 시간은 포함하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한다.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화면 출력부(120)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포함된 기준 시간을 검출하고, 인식 정보 표시 영역(A4)를 통해 검출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수험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벤트, 공연, 스포츠 등의 행상 진행시, 서로 다른 공간에서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안내 방송 및 정보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방송 단말 110: 연산 제어부
120: 제1 화면 출력부 130: 제1 시간 검출부
140: 오프셋 저장부 150: 시간표 저장부
160: 콘텐츠 저장부 170: 콘텐츠 출력부
200: 기준 단말 210: 촬영부
220: 해상도 설정부 230: 제2 화면 출력부
240: 제2 시간 검출부 250: 정확도 산출부

Claims (20)

  1.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송 단말의 단말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오프셋의 증감을 조정하는 제어 버튼 및 저장 버튼을 포함하는 오프셋 설정 영역 및 기준 시간을 표시하는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 및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 상기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단말 시간에 상기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저장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 요청을 생성하는 연산 제어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오프셋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오프셋을 상기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으로 갱신하는 오프셋 저장부;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 및 상기 오프셋 저장부에 저장된 오프셋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설정 화면은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는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인식 정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방송 단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인식 정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방송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셋 저장부로 오프셋 검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 상기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단말 시간에 상기 오프셋 검출 요청의 응답으로 수신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갱신하는 방송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시간 및 콘텐츠 데이터 정보가 연계된 시간표를 저장하는 시간표 저장부; 및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에서 산출한 기준 시간에 대응되는 출력 시간에 연결된 콘텐츠 데이터 정보를 상기 시간표 저장부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콘텐츠 데이터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
  6.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송 단말의 단말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오프셋의 증감을 조정하는 제어 버튼 및 저장 버튼을 포함하는 오프셋 설정 영역 및 기준 시간을 표시하는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 및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 상기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한 단말 시간에 상기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저장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오프셋 저장 요청을 생성하는 연산 제어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오프셋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오프셋을 상기 제어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정한 오프셋으로 갱신하는 오프셋 저장부;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단말 시간 및 상기 오프셋 저장부에 저장된 오프셋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콘텐츠 출력부; 및
    출력 시간 및 콘텐츠 데이터 정보가 연계된 시간표를 저장하는 시간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는 시간표 설정 요청의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표 검출 요청 및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시간표 저장부는 상기 시간표 검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시간표를 검출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시간표 설정 화면 출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시간표 저장부에서 검출한 시간표를 포함하는 시간표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방송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시간표 저장부에서 검출한 시간표를 표시하는 시간표 테스트 요청을 생성하는 테스트 버튼을 표시하는 버튼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표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테스트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기준 시간을 상기 시간표에 포함된 출력 시간으로 설정한 후 상기 콘텐츠 출력부의 콘텐츠 데이터 출력을 진단하여 정상 출력 여부를 테스트하는 방송 단말.
  8.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자체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상기 시간 동기화 요청에 응답하여 시간 동기화 대상인 방송 단말에서 출력된 시간 설정 화면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시간 설정 화면에 포함된 상기 방송 단말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하는 정확도 산출부; 및
    촬영 영역, 자체 시간 표시 영역 및 정확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지원 화면을 출력하되, 상기 촬영 영역에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시간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자체 시간 표시 영역에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정확도 표시 영역에 상기 정확도 산출부에서 산출한 정확도를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는 기준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시간 설정 화면 중에서 기준 시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촬영하는 기준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확도 산출부는 상기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 표시 영역과 상기 자체 시간 표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시간 표시 영역 및 상기 자체 시간 표시 영역 중에서 지정된 좌표의 픽셀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하는 기준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확도 산출부는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을 상기 촬영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 표시 영역에 표시된 기준 시간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고, 좌표의 픽셀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출하는 기준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출력 시간 설정 화면의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정확도 산출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의 인식 정보를 인식하여 기준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인식 정보 표시 영역을 촬영한 시점에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 검출한 자체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오프셋 조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오프셋 조정값 산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오프셋 조정값을 상기 정확도 표시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기준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확도 산출부는 상기 오프셋 조정값이 0이 될 때까지 오프셋 조정값 산출을 반복하는 기준 단말.
  14. 방송 단말을 이용한 방송 방법에 있어서,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간 설정 화면에 기준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시간 동기화를 위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시간 설정 화면의 인식 정보 표시 영역에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시간 설정 화면에 표시된 제어 버튼 선택을 근거로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
    시간 설정 화면에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변경된 기준 시간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출력하는 방송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방송 단말의 단말 시간에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상기 시간 설정 화면의 기준 시간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방송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간 설정 화면의 저장 버튼을 선택되면 오프셋 조정 완료로 판단하여 오프셋 저장 요청이 생성되고, 오프셋 저장 요청 생성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셋을 저장하는 방송 방법.
  19. 방송 단말을 이용한 방송 방법에 있어서,
    시간 검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시간 설정 화면에 기준 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시간 설정 화면에 표시된 제어 버튼 선택을 근거로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
    시간 설정 화면에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반영하여 기준 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조정된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셋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오프셋을 반영한 기준 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기저장된 시간표 및 상기 기준 시간을 근거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간표 중에서 상기 기준 시간에 대응하는 출력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출력 시간에 연계된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방법.
KR1020200001212A 2020-01-06 2020-01-06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2A KR102181005B1 (ko) 2020-01-06 2020-01-06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2A KR102181005B1 (ko) 2020-01-06 2020-01-06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005B1 true KR102181005B1 (ko) 2020-11-19

Family

ID=7367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12A KR102181005B1 (ko) 2020-01-06 2020-01-06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0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27B1 (ko) 2005-06-24 2007-03-09 (주)가비아 학습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1892A (ko) * 2008-02-26 2009-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6227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55031A (ko) * 2012-09-14 2015-05-20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재생 동기화
KR20180027016A (ko) * 2016-09-05 2018-03-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한 동영상 촬영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80124603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엑씽크 휴대용 단말기 시간 동기화 기술을 활용한 동영상 동시 재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27B1 (ko) 2005-06-24 2007-03-09 (주)가비아 학습 평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1892A (ko) * 2008-02-26 2009-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6227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55031A (ko) * 2012-09-14 2015-05-20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재생 동기화
KR20180027016A (ko) * 2016-09-05 2018-03-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한 동영상 촬영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80124603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엑씽크 휴대용 단말기 시간 동기화 기술을 활용한 동영상 동시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5830B2 (en)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ng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correcting method including detection of positional relationship of diagrams inside photographed images
US8711213B2 (en)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ng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correcting method
US9473741B2 (en) Teleconference system and teleconference terminal
JPH11509660A (ja) 投写表示装置におけるレーザポインタの位置決定
US845417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video capture interval for a calibration process in a multi-projector display system
WO2013008653A1 (ja)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US9002947B2 (en)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image alteration method
KR20210147868A (ko) 비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40009485A1 (en)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00333A1 (en) Projection screen, image synthesizing device, proj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6944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ttendance state management method
WO2022174706A1 (zh) 一种基于投影的远程直播的互动方法及系统
KR102181005B1 (ko) 시간 동기화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7140180A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1121866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US20020038462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US11589021B1 (en) Color correction for video communications using display content color information
JPH06105185A (ja) 輝度補正方法
CN110545411B (zh) 投影机、投影系统以及其传输延迟的侦测方法
KR20190071043A (ko) 디지털 사이니지 멀티패널 색감도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US11863337B2 (e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9140530A (ja) サーバ装置、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US11336460B2 (en) Method for verifying the display of a content item by a digital display device, and digital display system
EP4124027A1 (en) Program,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JP2023012077A (ja) オンライン会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