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599B1 -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599B1
KR102180599B1 KR1020180167077A KR20180167077A KR102180599B1 KR 102180599 B1 KR102180599 B1 KR 102180599B1 KR 1020180167077 A KR1020180167077 A KR 1020180167077A KR 20180167077 A KR20180167077 A KR 20180167077A KR 102180599 B1 KR102180599 B1 KR 10218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hread
row
touch pad
capac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827A (ko
Inventor
박종진
박시용
안성철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5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재질의 기판에 횡방향의 로우 패턴과 종방향의 컬럼 패턴이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체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며, 언제 어디서나 착용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Fiber Type Touch Pad Using Capaci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재질의 기판에 횡방향의 로우 패턴과 종방향의 컬럼 패턴이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체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며, 언제 어디서나 착용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과 섬유기술이 융합한 스마트 의류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의류 기술이 적용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Wearable Smart Device)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을 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을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가 이동 또는 활동 중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신체나 의복에 착용가능 하도록 규모가 작고 가볍게 개발되어 신체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사용자와 소통 가능한 차세대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종래의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에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종래의 사용자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의복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입력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스스로 웨어러블 집적묘화 입력장치를 개발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7-0143474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웨어러블 집적묘화 입력장치는 압저항 방식을 적용한 기술로, 제1 직물전극, 제2 직물전극, 제1 직물전극과 제2 직물전극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직접 묘화입력부가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 의류에 적용되어 세탁 시, 스페이서가 떨어지는 등 세탁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동되고, 전도성 물질을 패터닝 하는 방식이 아닌,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박음질하여 섬유재질만으로 제조됨으로써, 세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이질감이 없으며, 언제 어디서나 착용 가능한 형태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물재질의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단계;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컨텍트 셀과 이웃하는 컨텍트 셀을 잇는 셀 연결 목을 포함하는 컬럼 패턴이 복수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게 하는 컬럼 패턴 형성 단계;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절연용 패브릭을 부착시키는 절연용 패브릭 부착 단계;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용 패브릭의 하부면에, 서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컨텍트 셀로 이루어진 로우 패턴이 복수개의 행으로 각각 형성되게 하는 로우 패턴 형성 단계;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로우 패턴의 컨텍트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 컬럼 패턴과 상기 로우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로우 연결용 패턴을 형성하는 로우 패턴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컬럼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에서, 윗실은 상기 컬럼 패턴의 셀 연결목을 건너 뛰는 형태로 박음질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에서, 윗실은 비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에서, 윗실과 밑실이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 이후에, 연결목 상에 위치하는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컬럼 패턴, 상기 로우 패턴 및 상기 로우 연결용 패턴이 풀리지 않도록, 유전성 실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인 배열의 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천체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강유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유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컬럼 패턴들의 단부 및 상기 로우 패턴들의 단부에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 패턴을 형성하는 터미널 패턴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피널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과 밑실은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셀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 원형상, 격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직물재질의 기판에 횡방향의 로우 패턴과 종방향의 컬럼 패턴이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섬유재질로만 제조되므로, 이질감이 없으며 세탁 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자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되며, 단순한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동작이 인식되므로 직접 묘화가 가능하여 글씨나 그림의 표현이 가능한 이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 패턴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용 패브릭 부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 패턴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 패턴 연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자수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 패턴 연결 단계가 박음질되는 실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패턴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패턴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섬유형 터치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가 블루투스로 구비된 전자기기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도이고, 도 2는 기판 준비단계, 도 3은 컬럼 패턴 형성 단계, 도 4는 절연용 패브릭 부착 단계, 도 5는 로우 패턴 형성 단계, 도 6 및 도 7은 로우 패턴 연결 단계, 도 8은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 도 9는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 도 10은 터미널 패턴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은 직물재질의 기판에 종방향의 컬럼 패턴과, 횡방향의 로우 패턴이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며, 세탁 안정성이 우수하고, 언제 어디서나 착용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으로,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단계(S1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10)은 직물 재질이 이용되며, 임의의 직물 소재(textile material), 직조된 소재(woven material), 편물, 인공 시트(sheet) 또는 의류의 일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10)은 별도의 직물 재질로 마련되어, 의류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의류의 일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의 소재는 면, 실켓, 마, 양모, 공단, 옥스퍼드, 쟈가드 지지미, 스웨이드, 무지, 쿨론지, 시보리,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기모, 폴리우리탄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 소재로 제한되는 바가 아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110)에 컬럼 패턴(120)들이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는 컬럼 패턴 형성단계(S2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컬럼 패턴(120)은 다수개의 컨텍트 셀(121)과 이웃하는 컨텍트 셀들(121)들을 잇는 셀 연결목(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컬럼 패턴(120)들은 상기 기판(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실의 구체적인 예로는, SHIELDEX® 22/1 dtex rd, SHIELDEX® 33/1 dtex rd, SHIELDEX® 33/10 dtex rd z turns, SHIELDEX® 33/12 dtex z turns, SHIELDEX® 44/12 dtex z turns rd. - Antibac, SHIELDEX® 44/12 z turns, SHIELDEX® 78/18 dtex z-turns, SHIELDEX® 110/34 dtex z-turns, SHIELDEX® 110/34 dtex HC z-turns, SHIELDEX® 235/36 dtex HC, SHIELDEX® 22/1 dtex +113/32 PET, SHIELDEX® 110/34 dtex 2 ply, SHIELDEX® 11717 dtex 2 ply + B (Hobby Cone), SHIELDEX® 235/36 dtex 4 ply HCB, SHIELDEX® 235/34 dtex - super conductive, SHIELDEX® Monofilament Wire 80 Micron, SHIELDEX® Monofilament Wire 100 Micron, SHIELDEX® Monofilament Wire 150 Micron, SHIELDEX® Monofilament Wire 200 Micron, SHIELDEX® Monofilament Wire 250 Micron, SHIELDEX® Spun Yarns, Kazhtex® 전도성 고강도 재봉사 OEM , Kazhtex® Tektronix Suzhou 기능성 원단, Kazhtex® Tektronix 실버 파이버 소주 기능성 패브릭, Kazhtex® 순수 실버 섬유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전도성을 지니는 실이면 이에 제한되는 바는 아니다.
또한, 상기 컬럼 패턴(120)의 컨텍트 셀(121)은 다이아몬드 형상, 원형상, 격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의 하부면에 절연용 패브릭(110a)을 부착시키는 절연용 패브릭 부착 단계(S300)가 수행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용 패브릭(110a)의 하부면에, 로우 패턴(130)들이 복수개의 행으로 형성되는 로우 패턴 형성단계(S4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로우 패턴(130)은 서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컨텍트 셀(131)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우 패턴(130)의 컨텍트 셀들(131)은 상기 컬럼 패턴(120)의 컨텍트 셀들(121)과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로우 패턴(130)의 컨텍트 셀(131)은 다이아몬드 형상, 원형상, 격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용 패브릭(110a)의 하부면에, 로우 연결용 패턴(140)을 형성하는 로우 패턴 연결단계(S500)가 수행된다.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S500)는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로우 패턴(130)의 턴텍트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 컬럼 패턴(120)과 상기 로우 패턴(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로우 연결용 패턴(140)을 형성한다.
또한, 윗실은 상기 컬럼 패턴(120)의 셀 연결목(122)을 건너 뛰는 형태로, 다시 말해 상기 셀 연결목(122)을 덮는 형태로 박음질된다.
이때, 윗실은 비전도성 실 또는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S500)에서, 윗실과 밑실이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S550)가 더 수행된다.
상기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S550)는 연결목 상에 위치하는 로우 연결용 패턴(140a)를 커팅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컬럼 패턴(120)과 상기 로우 패턴(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S500) 이후에, 유전성 실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인 배열의 유전체 패턴(150)을 형성하는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기 유전체 패턴(150)은 상기 컬럼 패턴(120), 상기 로우 패턴(130) 및 상기 로우 연결용 패턴(130)이 풀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윗실은 강유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유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 패턴(120)들의 단부 및 상기 로우 패턴(130)들의 단부에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 패턴(160, 170)을 형성하는 터미널 패턴 형성단계(S70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패턴(160)은 상기 컬럼 패턴(120)들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터미널 패턴(160)과 상기 로우 패턴(130)들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터미널 패턴(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미널 패턴 형성단계(S700)에서 윗실과 밑실은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컬럼 패턴(120)의 컨텍트 셀(121) 및 상기 로우 패턴(130)의 컨텍트 셀(131)은 다이아몬드 형상, 원형상, 격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전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섬유에 디지털 정보 기술이 결합된 신개념 미래형 의류를 의미한다. 의복 본연의 역할인 쾌적성, 안전성, 내구성, 심미성, 관리의 편의성 등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감지/제어, 통신, 작용/동작, 저장, 신호처리 기능 등의 스마트 기능까지 갖춘 의류이다.
이때,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는 영상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의 입력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전용량 방 섬유형 터치패드가 구비되는 전자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은 손목, 팔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밴드형, 신발형, e-텍스타일을 포함한 의복형, 안경형 등으로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웨어러블 전자 건강관리 기기들(wearable electronic healthcare appliances) 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용도의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가 적용된 제품의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상기 섬유형 터치패드로부터 인식되는 입력 정보가 출력되는 단말기 및 상기 섬유형 터치패드로부터 입력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100)는 사용자가 손가락이 특정 위치에 닿으면, 각 꼭지점에서 터지되는 지점까지 각각의 저항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저항 값에 의해 x축과 y축의 위치가 인식되어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직물재질의 기판에 횡방향의 로우 패턴과 종방향의 컬럼 패턴이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섬유재질로만 제조되므로, 이질감이 없으며 세탁 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자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되며, 단순한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동작이 인식되므로 직접 묘화가 가능하여 글씨나 그림의 표현이 가능한 이점을 지닌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110 : 직물재질의 기판
110a : 절연용 패브릭
120 : 컬럼 패턴
130 : 로우 패턴
140 : 로우 연결용 패턴
150 : 유전체 패턴
160, 170 : 터미털 패턴

Claims (14)

  1. 직물재질의 기판을 준비하는 기판 준비단계;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컨텍트 셀과 이웃하는 컨텍트 셀을 잇는 셀 연결 목을 포함하는 컬럼 패턴이 복수개의 열로 각각 형성되게 하는 컬럼 패턴 형성 단계;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절연용 패브릭을 부착시키는 절연용 패브릭 부착 단계;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상기 절연용 패브릭의 하부면에, 서로 동일 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컨텍트 셀로 이루어진 로우 패턴이 복수개의 행으로 각각 형성되게 하는 로우 패턴 형성 단계;
    행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로우 패턴의 컨텍트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 컬럼 패턴과 상기 로우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로우 연결용 패턴을 형성하는 로우 패턴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 패턴과 상기 로우 패턴은 전도성 실로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에서,
    윗실은 상기 컬럼 패턴의 셀 연결목을 건너 뛰는 형태로 박음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에서,
    윗실은 비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전도성 실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단계에서, 윗실과 밑실이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되고,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 이후에, 연결목 상에 위치하는 로우 연결용 패턴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턴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컬럼 패턴, 상기 로우 패턴 및 상기 로우 연결용 패턴이 풀리지 않도록, 유전성 실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인 배열의 유전체 패턴을 형성하는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은 강유전성 실이 이용되고, 밑실은 유전성 실 또는 비전도성 실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패턴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컬럼 패턴들의 단부 및 상기 로우 패턴들의 단부에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터미널 패턴을 형성하는 터미널 패턴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패턴 형성 단계에서,
    윗실과 밑실은 모두 전도성 실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 셀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 원형상, 격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13. 제 12항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14. 제 12항의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80167077A 2018-12-21 2018-12-21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80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7A KR102180599B1 (ko) 2018-12-21 2018-12-21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77A KR102180599B1 (ko) 2018-12-21 2018-12-21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27A KR20200077827A (ko) 2020-07-01
KR102180599B1 true KR102180599B1 (ko) 2020-11-19

Family

ID=7160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77A KR102180599B1 (ko) 2018-12-21 2018-12-21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0709B (zh) * 2020-09-21 2024-05-17 深圳大学 一种基于电容按键的人机交互方法和交互系统
CN112130710B (zh) * 2020-09-22 2024-05-17 深圳大学 一种基于电容触摸屏的人机交互系统和交互方法
WO2022061500A1 (zh) * 2020-09-22 2022-03-31 深圳大学 一种基于电容触摸屏的人机交互系统和交互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6607A (ja) * 2014-09-30 2017-12-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ァブリック感知デバイス 本出願は、2014年9月30日に出願された米国特許仮出願第62/058,027号に対する優先権を主張するものであり、本明細書における参照によりその全体が本明細書内に組み入れられる。
JP2018139108A (ja) * 2017-01-27 2018-09-06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静電容量型の伸縮可能なタッチパッド
JP2018200210A (ja) * 2017-05-26 2018-12-20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加圧位置センサ,加圧位置検出方法,加圧位置検出装置および符号化織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735B1 (ko) * 2011-07-15 2017-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6607A (ja) * 2014-09-30 2017-12-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ァブリック感知デバイス 本出願は、2014年9月30日に出願された米国特許仮出願第62/058,027号に対する優先権を主張するものであり、本明細書における参照によりその全体が本明細書内に組み入れられる。
JP2018139108A (ja) * 2017-01-27 2018-09-06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静電容量型の伸縮可能なタッチパッド
JP2018200210A (ja) * 2017-05-26 2018-12-20 国立大学法人山梨大学 加圧位置センサ,加圧位置検出方法,加圧位置検出装置および符号化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27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599B1 (ko) 정전용량 방식 섬유형 터치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10660379B2 (en) Interactive fabric
CN107429443A (zh) 织造织物中的导电信号路径
US10400364B1 (en) Fabrics with conductive paths
JP7033063B2 (ja) 容量性グリッドを実装したテキスタイル構造体
CN107710432B (zh) 压电元件以及使用其的设备
US10145036B1 (en) Items with conductive yarn
KR101051311B1 (ko) 직물형 입력장치
CN107066128A (zh) 具电容感应功能的穿戴式装置及交互式机器宠物
KR101326796B1 (ko) 텍스타일 터치 센서
EP3740851B1 (en) Conductive fibers with custom placement conformal to embroidered patterns
WO2019221943A1 (en) Electronically functional yarn and textile
CN112595445A (zh) 点接触式可穿戴压力传感器
CN104819734A (zh) 一种织物电阻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471271B1 (ko) 온도감응형 섬유구조체
KR101789876B1 (ko) 텍스타일형 하이브리드 제어 장치
KR101435008B1 (ko) 웨어러블 컴퓨터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터의 전도성 섬유와 전자 모듈의 연결 방법
CN210295071U (zh) 一种柔性位置感知装置
CN113544630B (zh) 触敏编织线绳
CN112041802B (zh) 利用非交叉导线图案的电容式触摸传感器
CN103732817A (zh) 具有导电性的布料制造方法及利用该布料的手套制造方法
CN213985472U (zh) 点接触式可穿戴压力传感器
JP2023500239A (ja) 入力面で区別されるインタラクティブオブジェクトのためのタッチセンサ
CN111251668A (zh) 智能针织物及控制系统
CN209700002U (zh) 一种抗静电的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