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92B1 - 전원 분배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분배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92B1
KR102180392B1 KR1020190077015A KR20190077015A KR102180392B1 KR 102180392 B1 KR102180392 B1 KR 102180392B1 KR 1020190077015 A KR1020190077015 A KR 1020190077015A KR 20190077015 A KR20190077015 A KR 20190077015A KR 102180392 B1 KR102180392 B1 KR 10218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hase
front side
dispos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흥주
Original Assignee
선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흥주 filed Critical 선흥주
Priority to KR102019007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전원분배 공급 장치는 야외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분배하며,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 접지 상태 및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분전반, 방수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부와 상기 분전반을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로부터 상기 분전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수형 커넥터 및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가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방수형 콘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분배 공급 장치{CABINET PANNEL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전원 분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전원 분배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됨에 따라 각지자체에서는 각종 축제들을 유치하고 있고 올해 조사된 시군단위의 일정기간(2일 이상) 지역주민, 지역단체, 지방정부가 개최하며, 불특정 다수인이 함께 참여하는 문화관광 예술축제 등은 800백여 건이 이르고 있다.
이러한 각종 축제는 거의 대부분이 야외에서 행해지는데 모든 행사장에서는 다양한 전기제품들을 사용하므로 이에 필요한 전기시설을 필요로한다. 전기시설은 대부분 각 지역 전업사에서 설치하게 되는데 전기기술의 보편적 설치방법은 전선의 접속 시 피복을 벗기고 전선끼리 꼬아서 접속후 전열테이프로 테이핑을 하여 연장시키거나 결속 한다 이런 방식은 전선을 1회용으로 처리하여 행사가 끝난후 철거되어 폐자재로 분류되어 자재를 재활용하지 못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분전반 또한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식 야외용 분전반을 사용하는데 차단기의 결속방법은 스크류 나사로 이루어져있어 반복 사용 시 나사산 뭉개짐 현상등 안전을 해치는 요소로 적용되고 분전반 자체의 고정 장치도 있지 않아 각종 자연적 현상(비,바람,지진)으로 많은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야외 행사에서 사용되는 전원 공급 장치들은 우천시 누전 사고 등의 안전사고 발생이 문제되고 있으며, 전기 기술을 가진 전공들만이 설치할 수 있기에 설치비용 또한 높게 책정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8-0136232호(2018.12.24)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전원 분배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공급 장치는 야외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분배하며,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 접지 상태 및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분전반, 방수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부와 상기 분전반을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로부터 상기 분전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수형 커넥터 및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가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방수형 콘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은 상기 발전부로부터 3상 380볼트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15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분전반, 상기 제1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분전반 및 상기 제2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분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전반, 상기 제2 분전반 및 상기 제3 분전반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1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1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출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150A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전원 출력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서브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전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2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2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1 3상 입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3상 출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서브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전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3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3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3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2 3상 입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는 접지용 캡락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콘센트,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단상 차단기,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서브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단상 전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은 3상 380V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4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4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4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4 3상 전력 표시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을 출력하는 3상 전원 출력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3상 전원 출력부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3상 전원 차단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콘센트, 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단상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3 전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원 분배 공급 장치는 분전반들이 규격화 되어 있어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체결되고 연장되며, 방수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 방법이 쉽고 야외 행사 시 우천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1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1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2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2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3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3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4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4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공급 장치는 야외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분배하며,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 접지 상태 및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분전반, 방수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부와 상기 분전반을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로부터 상기 분전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수형 커넥터 및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가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방수형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1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1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2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2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3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3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분전반은 상기 발전부로부터 3상 380볼트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15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분전반(100), 상기 제1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분전반(200) 및 상기 제2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분전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전반(100), 상기 제2 분전반(200) 및 상기 제3 분전반(3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전반(100)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메인 차단기(111),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1 전압 표시부(112),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접지 표시부(113),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1 3상 전력 표시부(114),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출력 커넥터(115),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150A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전원 출력부(116),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부(117),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서브 차단기(121)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전원 출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전반(200)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메인 차단기(211),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2 전압 표시부(212),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접지 표시부(213),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2 3상 전력 표시부(214),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1 3상 입력 커넥터(215),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3상 출력 커넥터(216),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부(217),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서브 차단기(221)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전원 출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수형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방수형 단상 전원 콘센트(224), 상기 방수형 단상 전원 콘센트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전원 콘센트 차단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상 전원 출력부(222)는 32A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방수형 단상 전원 콘센트(224)는 16A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분전반(300)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메인 차단기(311),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3 전압 표시부(312),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3 접지 표시부(313),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3 3상 전력 표시부(314),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2 3상 입력 커넥터(315),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는 접지용 캡락 커넥터(316), 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콘센트(318),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단상 차단기(317),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서브 차단기(321)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단상 전원 출력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4 분전반의 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4 분전반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 공급 장치의 제4 분전반(400)은 3상 380V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4 분전반(400)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4 메인 차단기(411),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4 전압 표시부(412),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4 접지 표시부(413),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4 3상 전력 표시부(414), 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을 출력하는 3상 전원 출력부(423),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3상 전원 출력부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3상 전원 차단부(415), 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콘센트(422), 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단상 차단기(421)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3 전원 입력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분전반
111: 제1 메인 차단기
112: 제1 전압 표시부
113: 제1 접지 표시부
114: 제1 3상 전력 표시부
115: 제1 3상 출력 커넥터
116: 제1 3상 전원 출력부
117: 제1 전원 입력부
121: 제1 서브 차단기
122: 제1 단상 전원 출력부
200: 제2 분전반
211: 제2 메인 차단기
212: 제2 전압 표시부
213: 제2 접지 표시부
214: 제2 3상 전력 표시부
215: 제1 3상 입력 커넥터
216: 제2 3상 출력 커넥터
217: 제2 전원 입력부
221: 제2 서브 차단기
222: 제2 단상 전원 출력부
300: 제3 분전반
311: 제3 메인 차단기
312: 제3 전압 표시부
313: 제3 접지 표시부
314: 제3 3상 전력 표시부
315: 제2 3상 입력 커넥터
316: 접지용 캡락 커넥터
317: 제1 단상 차단기
318: 제1 단상 콘센트
321: 제3 서브 차단기
322: 제3 단상 전원 출력부
400: 제4 분전반
411: 제4 메인 차단기
412: 제4 전압 표시부
413: 제4 접지 표시부
414: 제4 3상 전력 표시부
415: 3상 전원 차단부
421: 제2 단상 차단기
422: 제2 단상 콘센트
423: 3상 전원 출력부
424: 제3 전원 입력부

Claims (8)

  1. 야외에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분배하며,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 접지 상태 및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분전반;
    방수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전부와 상기 분전반을 연결하여 상기 발전부로부터 상기 분전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수형 커넥터; 및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가 필요한 곳에 공급하는 방수형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전반은
    상기 발전부로부터 3상 380볼트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15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분전반;
    상기 제1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분전반; 및
    상기 제2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분전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전반, 상기 제2 분전반 및 상기 제3 분전반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상기 제1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1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1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출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150A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3상 전원 출력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서브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2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2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1 3상 입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3상 출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서브 차단기;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전원 출력부;
    방수형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 및 16A의 전원을 출력하는 방수형 단상 전원 콘센트; 및
    상기 방수형 단상 전원 콘센트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전원 콘센트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3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3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3 3상 전력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와 연결되며, 3상 380V의 전원을 입력하는 제2 3상 입력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는 접지용 캡락 커넥터;
    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단상 콘센트;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1 단상 차단기;
    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3 서브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산업용 방수 커넥터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3 단상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전반은 3상 380V 225A의 전원을 공급받고, 3상 60A의 전원 및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4 분전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분전반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4 메인 차단기;
    전면부에 배치되고, 현재 입력되고 있는 전압을 표시하는 제4 전압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접지 상태를 표시하는 제4 접지 표시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이 각각 사용되고 있는 전력을 표시하는 제4 3상 전력 표시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3상의 전원을 출력하는 3상 전원 출력부;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3상 전원 출력부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3상 전원 차단부;
    후면부에 배치되고, 방수 콘센트로 형성되며 단상 220V의 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단상 콘센트;
    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상 콘센트의 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2 단상 차단기; 및
    후면부에 배치되고, 캡락 방식으로 형성되며, 400A의 전원을 입력받는 제3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분배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77015A 2019-06-27 2019-06-27 전원 분배 공급 장치 KR10218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015A KR102180392B1 (ko) 2019-06-27 2019-06-27 전원 분배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015A KR102180392B1 (ko) 2019-06-27 2019-06-27 전원 분배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392B1 true KR102180392B1 (ko) 2020-11-18

Family

ID=7369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015A KR102180392B1 (ko) 2019-06-27 2019-06-27 전원 분배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930Y1 (ko) * 2005-08-09 2006-01-11 (주)세진전기 옥외용 분전반
KR200445377Y1 (ko) * 2007-08-13 2009-07-23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JP2014073010A (ja) * 2012-09-28 2014-04-21 Panasonic Corp 分電盤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180136232A (ko) 2017-06-14 2018-12-24 엘씨파워코리아(주) 차단기가 적층되는 전원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930Y1 (ko) * 2005-08-09 2006-01-11 (주)세진전기 옥외용 분전반
KR200445377Y1 (ko) * 2007-08-13 2009-07-23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JP2014073010A (ja) * 2012-09-28 2014-04-21 Panasonic Corp 分電盤および電力制御方法
KR20180136232A (ko) 2017-06-14 2018-12-24 엘씨파워코리아(주) 차단기가 적층되는 전원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3169A3 (en) Panel layout for an integrated power distribution system
HK1050083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configuration device
CN103760441B (zh) 一种配电箱多功能调试台
KR102180392B1 (ko) 전원 분배 공급 장치
Hussein et al. Power quality analysis based on simulation and MATLAB/Simulink
CN203366568U (zh) 一种低压故障排除程控模拟装置
JP2007295754A (ja) 配電システム
CN203260909U (zh) 安全可拆卸的配电柜柜体
CN206894016U (zh) 一种模块化开关柜
JP2003328472A (ja) Ac−dcコンバータを備える建物
CN206962298U (zh) 一种发电车快速接入装置
CN206340194U (zh) 嵌入式计算机网络教学平台
CN206422520U (zh) 光伏系统的防逆流保护装置
CN218989957U (zh) 一种新能源电力安全警示结构
CN208174070U (zh) 一种多功能便携式电源箱
Prasad et al. DESIGNING OVERVOLTAGE AND UNDERVOLTAGE TRIPPING CIRCUIT FOR DISTRIBUTED SYSTEM LOAD WITH GSM ALERT USING MICROCONTROLLER
CN216530574U (zh) 一种智能微电网调度操作实训平台
CN202931018U (zh) 一种变电站站用电系统的临时电源屏
CN207218105U (zh) 一种户内交流高压金属铠装移开式开关设备
JP3024940U (ja) 可搬式発電装置
Leitch et al. Non-grid electrification of 45 schools in the Eastern Cape, South Africa: an assessment
Tricker Wiring Regulations Pocket Book
Brooks et al. PV and the NEC
CN2894005Y (zh) 自动电源选择开关及分电箱
TR2022009069U5 (tr) Sifir atik kapsaminda yeni̇lenebi̇li̇r enerji̇ si̇stemleri̇ i̇çi̇n eği̇ti̇m taki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