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437B1 - 프로파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437B1
KR102179437B1 KR1020190072100A KR20190072100A KR102179437B1 KR 102179437 B1 KR102179437 B1 KR 102179437B1 KR 1020190072100 A KR1020190072100 A KR 1020190072100A KR 20190072100 A KR20190072100 A KR 20190072100A KR 102179437 B1 KR102179437 B1 KR 10217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fastening body
profile
fastening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19007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는, 방사상의 일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일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대향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방사상의 타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는 타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일측 끼움부의 안내 경사면마다 안착되도록 일단에 구동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벌림부재; 및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타측 끼움부마다 프로파일의 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림부재의 타단 당김시 상기 구동 경사면이 상기 안내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동 경사면이 형성된 벌림부재를 당기는 과정에서 벌림부재의 경사면이 일측 체결 몸체부재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 또는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을 밀면서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벌리게 되므로 일측,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일측, 타측 끼움부에 결합된 프로파일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체결장치 {CONNECTION JOINT DEVICE OF PROFILE ELEMENT}
본 발명은 프로파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을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구조물은 복수의 파이프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파이프 연결구를 통해 구성된다. 파이프는 중공의 금속 파이프가 사용되고, 파이프 연결구는 중공의 파이프 내부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포함하여, 파이프 연결구의 끼움봉에 파이프를 결합하여 파이프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다. 게다가 일단 설치된 프로파일 선반이나 프레임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고 기능성의 유지가 가능한 측면의 장점도 지닌다.
이러한, 프로파일과 같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891136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끼움봉 상부 및 끼움봉 하부의 간격을 위해 조절부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891136호(2018.08.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벌림부재의 당김 과정을 통해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결합된 프로파일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한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는, 방사상의 일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일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대향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방사상의 타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는 타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일측 끼움부의 안내 경사면마다 안착되도록 일단에 구동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벌림부재; 및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타측 끼움부마다 연장 프로파일의 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림부재의 타단 당김시 상기 구동 경사면이 상기 안내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연장 프로파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벌림부재는 각각이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에 직립된 원기둥 형상의 탄성체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는 상기 타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경사면은 상기 벌림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에는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그 사이에 연결 프로파일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벌림부재에 단부에 당김력을 발생시키는 장력조절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타측 체결 몸체부재는 평면 형상이 "+", "ㅏ" 및 "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동 경사면이 형성된 벌림부재를 당기는 과정에서 벌림부재의 경사면이 일측 체결 몸체부재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 또는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을 밀면서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벌리게 되므로 일측,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일측, 타측 끼움부에 결합된 프로파일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가 프로파일 양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가 벌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가 벌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어 비닐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어 돔 형태의 구조물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학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학대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가 프로파일 양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가 벌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에서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가 벌어지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어 비닐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통해 프로파일이 체결되어 돔 형태의 구조물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학대도이며, 도 13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학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는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 제1 벌림부재(120),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 및 제1 간격조절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함몰 형성된 본체(112)의 전후좌우에 제1 일측 끼움부(118)가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일측 끼움부(118)는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12)는 평면 구조인 바닥면(114)의 중심부에 제1 관통공(114a)이 형성된다. 제1 관통공(114a)은 이웃한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대향면을 연결하는 연결 프로파일(CP)의 양단부 중심부에 각각 체결되도록 제1 간격조절부재(140)의 나선부(142)가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바닥면(114)의 모서리 지점마다 제2 관통공(114b)이 형성되어 제2 관통공(114b)을 통해 연결 프로파일(CP)의 모서리 지점을 체결볼트(B)로 각각 체결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1 일측 끼움부(118)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11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일측 끼움부(118)가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므로 안내 경사면(116) 역시 4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일측 끼움부(118)에 따라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안내 경사면(116)은 제1 벌림부재(120)의 타단 당김시 구동 경사면(126)이 타고 이동하면서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제1 일측 끼움부(118)는 측면 형상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제1 타측 끼움부(134)를 맞대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1 일측 끼움부(118)는 제1 타측 끼움부(134)와 함께 조합되면서 원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원형 단면을 갖는 연장 프로파일(EP)의 단부에 틈 없이 삽입 가능하다.
제1 벌림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측 끼움부(118)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되면서 타단에 와이어 턴버클(wire turn buckle) 등과 같은 장력조절부재(160)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공(122)이 형성되고, 일단에 제1 일측 끼움부(118)의 사이마다 형성된 안내 경사면(116)마다 안착되도록 구동 경사면(12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벌림부재(120)는 후단에 설치공(124)이 형성되어 설치공(124)에 각각 삽입되는 개별적인 탄성체(128)를 통해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삽입홈(132b)에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동 경사면(126)은 제1 벌림부재(120)의 후단 저면 양쪽에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제1 벌림부재(120)가 당겨지게 되면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안내 경사면(116)과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가 외측면이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밀게 된다.
탄성체(128)는 제1 벌림부재(120)를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삽입홈(132b)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원형(원기둥) 형상을 갖는 스프링이다.
즉, 탄성체(128)는 당겨진 제1 벌림부재(120)에 탄성력을 부여하면서 제1 벌림부재(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는 도 5(f)에서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장 프로파일(EP)이 정사각형으로 연결되는 경우엔 장력조절부재(160)가 45°각도로 연결되지만, 도 5(g)에서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장 프로파일(EP)이 직사각형으로 연결되는 경우 장력조절부재(160)가 45°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결되므로 제1 벌림부재(120)가 탄성체(128)를 기점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함몰 형성된 본체(132)의 전후좌우에 제1 타측 끼움부(134)가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는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와 대향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132)는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와 결합되는 반대쪽 면 중심부에 제1 간격조절부재(140)가 장착되면서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안착홈(132a)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32)는 내벽면 중 제1 타측 끼움부(134)의 사이마다 탄성체(128)가 직립 상태로 고정되도록 삽입홈(132b)이 4 지점에 형성된다.
이때, 제1 타측 끼움부(134)는 제1 일측 끼움부(118)와 마찬가지로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제1 일측 끼움부(118)에 맞게 개수의 변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체(132) 중 제1 타측 끼움부(134)와 제1 타측 끼움부(134)의 사이마다 제1 벌림부재(120)가 위치되는 홈부(132c)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타측 끼움부(134)에는 보강살인 리브(136)가 일체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1 타측 끼움부(134)는 측면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일측 끼움부(118)를 맞대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간격조절부재(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진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단차(140a)와 나선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간격조절부재(140) 중 가장 직경이 큰 머리부에 공구 등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홈이 형성된다.
제1 간격조절부재(140)는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중심을 관통한 단부가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중심을 통과한 후 연결 프로파일(CP)에 고정되어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로부터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최대 벌림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제1 간격조절부재(140)가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본체(132)에 형성된 안착홈(132a)을 통해 삽입되어 삽입된 나선부(142)가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바닥면(114)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114a)을 통해 연결 프로파일(CP)의 중심부에 나선 체결된다.
이때, 제1 간격조절부재(140)의 중간단차(140a)에는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144)이 설치된다.
이때, 인장 스프링(144)은 선단은 본체(132)의 안착홈(132a) 바닥면에 지지되고 후단은 제1 간격조절부재(140)의 중간단차(140a)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를 통한 철조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를 연결 프로파일(CP)의 양단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연결 프로파일(CP)의 양단에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바닥면(11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B)로 제2 관통공(114b)을 통과시켜 연결 프로파일(CP)의 모서리 지점에 나선 체결시킨다. 그리고 제1 벌림부재(120)를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본체(132) 내벽면의 삽입홈(132b)에 삽입된 탄성체(128)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에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의 안착홈(132a)에 중간단차(140a)에 인장 스프링(144)이 삽입된 상태로 제1 간격조절부재(140)를 삽입하여 나사부(142)가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의 바닥면(114)에 형성된 제1 관통공(114a)을 거쳐 연결 프로파일(CP)의 중심부에 나선 체결되게 한다[도 5(a) 참조].
다음으로, 연결 프로파일(CP)의 양단에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를 각각 고정시킨 연결 구조물을 여러 셋트 구비한다[도 5(b) 참조].
다음으로, 철조 구조물의 바닥면을 구성하도록 이격된 연결 구조물과 연결 구조물의 사이에 횡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로 연결한다. 즉, 일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를 횡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로 연결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일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의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을 각각 삽입하여 가고정시킨다[도 5(c) 참조].
다음으로, 횡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로 연결한 일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 중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일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 단부에 수직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 하단을 각각 삽입하여 가고정시킨다[도 5(c) 참조].
다음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연장 프로파일(EP)의 상단에 일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 중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일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를 각각 삽입하여 가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일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와 타측 연결 구조물의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의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을 각각 삽입하여 가고정시킨다[도 5(d) 참조].
다음으로, 평행한 하측 연장 프로파일(EP)과 평행한 상측 연장 프로파일(EP)에 각각 발판(150)을 고정시킨다[도 5(e) 참조].
다음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와 프로파일 체결장치(100)를 와이어 턴버클(wire turn buckle) 등과 같은 장력조절부재(160)를 이용하여 "×" 자 형태로 연결하게 된다[도 5(f) 참조]. 즉,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에 구성된 제1 벌림부재(120)의 걸림공(122)과 이와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100)에 구성된 제1 벌림부재(120)의 걸림공(122)에 장력조절부재(160)의 양쪽 고리(162)를 각각 걸게 된다. 이때, 양쪽 고리(162)는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나선축에 의해 각각 연장되고 연장된 나선축의 단부는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나선홀이 형성된 회전부재(164)에 의해 나선 체결되어 회전부재(164)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쪽 고리(162)가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일률적으로 간격이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 양쪽 고리(162)를 연결한 회전부재(164)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쪽 고리(162)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제1 벌림부재(120)를 당기게 된다.
다음으로, 제1 벌림부재(120)가 당겨지면 제1 벌림부재(120)의 구동 경사면(126)이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제1 일측 끼움부(118)의 사이마다 각각 형성된 안내 경사면(116)을 따라 전진과,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 방향으로의 상승이 동시에 수행되면서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렇게, 제1 타측 체결 몸체부재(130)를 제1 일측 체결 몸체부재(110)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제1 일, 타측 끼움부(118, 134)에 결합된 연장 프로파일(EP)의 내주면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연장 프로파일(EP)이 정사각형인 경우는 상관없지만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연장 프로파일(EP)이 직사각형인 경우 제1 벌림부재(120)가 탄성체(128)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므로 제1 벌림부재(120)를 회전시켜 장력조절부재(1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도 5(g) 참조].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200)는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 제2 벌림부재(220),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 및 제2 간격조절부재(240)를 포함한다.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함몰 형성된 본체(212)의 전후좌우에 제2 일측 끼움부(216)가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는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212)는 중심부에 제2 간격조절부재(240)의 나선부(242)가 나선 체결되는 관통공(212a)이 형성된다.
더욱이, 제2 일측 끼움부(216)와 제2 일측 끼움부(216)의 사이마다 결합홈(214)이 함몰 형성되고, 결합홈(214) 내에 안내 경사면(214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일측 끼움부(216)가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므로 안내 경사면(214a) 역시 4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제2 일측 끼움부(216)에 따라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안내 경사면(214a)은 제2 벌림부재(220)의 타단 당김시 구동 경사면(226)이 타고 이동하면서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를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제2 일측 끼움부(216)는 측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의 제2 타측 끼움부(234)를 맞대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2 일측 끼움부(218)는 제2 타측 끼움부(234)와 함께 조합되면서 원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원형 단면을 갖는 연장 프로파일(EP)의 단부에 틈 없이 결합 가능하다.
제2 일측 끼움부(218)에는 보강살인 리브(216a)가 일체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2 벌림부재(22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일측 끼움부(218)의 사이마다 형성된 결합홈(214)에 각각 배치되면서 타단에 텐션 스프링 등과 같은 장력조절부재(260)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고리(222)가 형성되고, 일단에 제2 일측 끼움부(216)의 사이마다 형성된 결합홈(214)의 안내 경사면(214a)마다 안착되도록 구동 경사면(226)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벌림부재(220)는 후단 양쪽에 결속돌기(224)가 형성되어 결합홈(214)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소정거리만큼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동 경사면(226)은 제2 벌림부재(220)의 후단 저면 양쪽에 제2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210, 23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제2 벌림부재(220)가 당겨지게 되면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의 안내 경사면(214a)과,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의 안내 경사면(234a)과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가 외측면이 제2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210, 2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210, 230)를 동시에 밀게 된다.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함몰 형성된 본체(232)의 전후좌우에 제2 타측 끼움부(236)가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는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의 개수에 맞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는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와 대향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232)는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0)와 결합되는 반대쪽 면 중심부에 제2 간격조절부재(240)가 장착되면서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안착홈(232a)이 형성된다.
더욱이, 제2 타측 끼움부(236)와 제2 타측 끼움부(236)의 사이마다 결합홈(234)이 함몰 형성되고, 결합홈(234) 내에 안내 경사면(234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타측 끼움부(236)가 90°의 각도를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므로 안내 경사면(234a) 역시 4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제2 타측 끼움부(236)에 따라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안내 경사면(234a)은 제2 벌림부재(220)의 타단 당김시 구동 경사면(226)이 타고 이동하면서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를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타측 끼움부(236)에는 보강살인 리브(236a)가 일체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2 타측 끼움부(236)는 측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일측 끼움부(216)를 맞대면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간격조절부재(24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진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단차(240a)와 나선부(242)를 포함한다. 이때, 제2 간격조절부재(240) 중 가장 직경이 큰 머리부에 공구 등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십자홈이 형성된다.
제2 간격조절부재(240)는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의 중심을 관통한 단부가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의 중심에 체결되어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로부터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의 최대 벌림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제2 간격조절부재(240)가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의 본체(232)에 형성된 안착홈(232a)을 통해 삽입되어 삽입된 나선부(242)가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의 중심부에 나선 체결된다.
이때, 제2 간격조절부재(240)의 중간단차(240a)에는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를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244)이 설치된다.
이때, 인장 스프링(244)은 선단은 본체(232)의 안착홈(232a) 바닥면에 지지되고 후단은 제2 간격조절부재(240)의 중간단차(240a)에 지지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외곽의 연장 프로파일(EP)에는 "ㅏ" 형상과 "ㅓ" 형상의 프로파일 체결장치가 결합되고, 그 안쪽에는 "+" 형상의 프로파일 체결장치(200)가 결합된다.
이때, 도 12를 참조하면, "ㅏ" 형상과 "ㅓ" 형상의 프로파일 체결장치는 상하와, 상하 사이에 수평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가 연장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의 상하에 제2 벌림부재(220)가 설치되며,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 체결장치(200)를 통한 비닐 하우스 또는 또는 창고 등의 철조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연장 프로파일(EP)을 설정 간격마다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 프로파일(EP)의 상단에 원형으로 조합된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의 하단을 가고정시킨다.
이때, 가장 외곽의 연장 프로파일(EP)에는 "ㅏ" 형상과 "ㅓ" 형상의 프로파일 체결장치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의 대향된 양쪽 수평 방향의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 양단을 가고정시킨다.
이렇게,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의 상단에 직립된 상태의 연장 프로파일(EP)을 삽입한 후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의 대향된 양쪽 수평 방향의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 양단을 가고정시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와 프로파일 체결장치(200)를 텐션 스프링 등과 같은 장력조절부재(260)를 이용하여 "×" 자 형태로 연결하게 된다. 즉,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에 구성된 제2 벌림부재(220)의 걸림고리(222)과 이와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에 구성된 제2 벌림부재(220)의 걸림고리(222)에 장력조절부재(260)의 양쪽 고리(262)를 각각 걸게 된다. 이때, 장력조절부재(260)는 양단부에 양쪽 고리(262)가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양쪽 고리(262)와 인접한 위치에 절곡부(264)가 형성된 와이어로, 절곡부(264)가 텐션 역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장력조절부재(260)의 양쪽 고리(262)를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에 구성된 제2 벌림부재(220)의 걸림고리(222)에 걸게 되면 제2 벌림부재(220)가 절곡부(264)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당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2 벌림부재(220)가 당겨지면 제2 벌림부재(220)의 구동 경사면(226)이 제2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210, 230)의 결합홈(214, 234)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홈(214, 234) 내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214a, 234a)을 따라 전진과, 제2 일, 타측 체결 몸체부재(210, 230)의 벌어짐이 동시에 수행되면서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와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가 이격된다. 이렇게, 제2 타측 체결 몸체부재(230)와 제2 일측 체결 몸체부재(210)가 이격되면서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에 결합된 연장 프로파일(EP)의 내주면 양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돔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지면에 직립된 상태로 연장 프로파일(EP)을 설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 프로파일(EP)의 상단에 원형으로 조합된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의 하단을 가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의 대향된 양쪽 수평 방향의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 양단을 가고정시킨다.
이렇게,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의 상단에 직립된 상태의 연장 프로파일(EP)을 삽입한 후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의 대향된 양쪽 수평 방향의 제2 일, 타측 끼움부(216, 236) 단부에 수평 방향의 연장 프로파일(EP) 양단을 가고정시켜 돔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된 연결 구조물의 프로파일 체결장치(200)와 프로파일 체결장치(200)를 텐션 스프링 등과 같은 장력조절부재(260)를 이용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 자 형태로 연결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프로파일 체결장치
110, 210: 제1, 2 일측 체결 몸체부재
118, 216: 제1, 2 일측 끼움부
120, 220: 제1, 2 벌림부재
130, 230: 제1, 2 타측 체결 몸체부재
134, 236: 제1, 2 타측 끼움부
140, 240: 제1, 2 간격조절부재

Claims (8)

  1. 방사상의 일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일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와 대향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방사상의 타측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는 타측 체결 몸체부재;
    상기 일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일측 끼움부의 안내 경사면마다 안착되도록 일단에 구동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벌림부재; 및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의 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의 벌림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타측 끼움부마다 연장 프로파일의 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벌림부재의 타단 당김시 상기 구동 경사면이 상기 안내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연장 프로파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재는 각각이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에 직립된 원기둥 형상의 탄성체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는 상기 타측 끼움부의 사이마다 안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경사면은 상기 벌림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에는 상기 타측 체결 몸체부재를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체결 몸체부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그 사이에 연결 프로파일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재에 단부에 당김력을 발생시키는 장력조절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타측 체결 몸체부재는 평면 형상이 "+", "ㅏ" 및 "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체결장치.
KR1020190072100A 2019-06-18 2019-06-18 프로파일 체결장치 KR10217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00A KR102179437B1 (ko) 2019-06-18 2019-06-18 프로파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00A KR102179437B1 (ko) 2019-06-18 2019-06-18 프로파일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437B1 true KR102179437B1 (ko) 2020-11-16

Family

ID=7367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00A KR102179437B1 (ko) 2019-06-18 2019-06-18 프로파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79A (ko) * 2008-11-11 2010-05-20 최진선 파이프용 연결구
KR101509920B1 (ko) *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20170120394A (ko) * 2016-04-21 2017-10-31 김용래 파이프 연결구
KR101837375B1 (ko) * 2017-07-05 2018-04-19 김용래 프로파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79A (ko) * 2008-11-11 2010-05-20 최진선 파이프용 연결구
KR101509920B1 (ko) * 2013-09-04 2015-04-08 정재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20170120394A (ko) * 2016-04-21 2017-10-31 김용래 파이프 연결구
KR101891136B1 (ko) 2016-04-21 2018-08-24 김용래 파이프 연결구
KR101837375B1 (ko) * 2017-07-05 2018-04-19 김용래 프로파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0759A1 (en) Tubular frame structure connector system
KR101921006B1 (ko)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CZ333795A3 (en)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elements
KR20190095398A (ko) 기계관 및 구조관을 위한 기계적 커플링
US20120125870A1 (en) Spacer plate and support structure
US20150252570A1 (en) Swivel connector
US20170254347A1 (en) Mounting fixture of a connection fixture
EP3545144B1 (en) Node elements, kits, and methods
CN205065190U (zh) 锚固系统
KR102179437B1 (ko) 프로파일 체결장치
US20220170274A1 (en) Coupling system for mounting tiles to a building
US20150137058A1 (en) Post mounting assembly for post and rail constructions
KR101591391B1 (ko)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KR101846811B1 (ko) 건축외장패널용 지지장치
US20110248232A1 (en) Universal baluster connector
US20080253859A1 (en) Cage nut fastening system
KR102149173B1 (ko) 세트 앙카
GB2433302A (en) Connector
EP3260616B1 (en) Spatial structure
WO2014023982A1 (en) Connector system
JP7297252B2 (ja) 枠材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連結金具
WO2019084080A1 (en) CONNECTION FITTINGS FOR A TRANSPORTABLE SHELTER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KR200352927Y1 (ko) 전시용 구조물
KR102627313B1 (ko) 건축물 천장 및 내외벽용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