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836B1 -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836B1
KR102178836B1 KR1020180053284A KR20180053284A KR102178836B1 KR 102178836 B1 KR102178836 B1 KR 102178836B1 KR 1020180053284 A KR1020180053284 A KR 1020180053284A KR 20180053284 A KR20180053284 A KR 20180053284A KR 102178836 B1 KR102178836 B1 KR 10217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rotation
patient
moved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8925A (en
Inventor
홍경재
Original Assignee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836B1/en
Publication of KR2019012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환자의 치아모델;
환자의 치아모델 가운데 이동될 치아;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의 회전중심을 결정하기 위하여 설정한 기준축;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를 이동하여 바람직한 치아의 완성을 위한 완성된 위치에 이동하게 될 완성될 치아에 설정한 기준축;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과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이 만나는 회전중심점;
상기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환자의 치아모델 가운데 상기 이동될 치아를 상기 완성될 치아로 이동하도록 2개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가상 치아모델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중심축을 이용한 환자의 가상치아모델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ient's tooth model;
A tooth to be moved in the patient's tooth model;
A reference axis set to determine a center of rotation of the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An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A reference axis set on a tooth to be completed to be moved to a completed position for completing a desired tooth by moving the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An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A rotation center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meet;
Determining a virtual tooth model of a patient using a rotational center ax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rtual tooth model is completed by dividing the tooth to be moved into two or more steps to move the tooth to be moved to the tooth to be completed among the tooth model of the patient around the rotation center It's about how to do it.

Description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투명교정장치 제조방법{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corrected tooth model.

또한 이를 이용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t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is.

이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교정이 가능한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an orthodontic tooth model that can be efficiently corrected in correcting a patient's teeth through this.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첫째로는 아날로그식 진단을 거쳐 인체의 치아에 대한 석고모델을 만들어 치아에 대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톱으로 치아를 분리시켜 분리된 치아를 바람직한 치아의 형태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부착하여 이동시킨 치아모델을 구성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작하는 것에 있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치아를 원래있던 위치에서 조금씩 이동시켜 부착시킴으로 여러셋트의 교정진단셋업을 진행하였다.A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invention, first, through analog diagnosis, a gypsum model of the human body's teeth is made, and the teeth are separated with a saw based on the baseline for the teeth, and the separated teeth are moved little by little to a desirable tooth shape. It consists in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by constructing a tooth model that has been attached and moved. Several sets of orthodontic diagnostic setup were performed by moving the teeth in a preferred direction from their original position and attaching them.

이렇게 구성하면 환자의 치아의 이동에 있어 정확한 계산이 어렵고 치과의사의 개개인의 성향과 수작업에 의존하여 환자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This configuration made it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movement of the patient's teeth, and caused unnecessary pain to the patient by relying on the dentist's individual tendency and manual work.

기공사가 손으로 치아를 절단하여 움직였기 때문에 정확한 이동거리나, 이동각도 등의 계산이 어려웠다. Since the technician cut and moved the tooth by hand, it was difficult to calculate the exact distance and angle of movement.

그래서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여 발명하게 된 종래기술 또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ior art, which was invented by recognizing this problem, also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두번째로 진보된 또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와 각도로 치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 다.In order to alleviate such inconvenience, the second advanced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he tooth at a precise distance and angle because it is moved using a computer.

그러나 이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는 작업에서도 회전중심점이 미리 정해진 것으로 회전과 치체이동을 동시에 할 수 없이 개별적으로 회전이동과 치체이동을 거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시간소요와 함께 불리함이 있어왔다.However, even in such a work using a computer,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predetermined, so that rotation and tooth movement cannot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re have been disadvantages along with the time required to move in the desired direction through individual rotation and tooth movement.

즉 회전을 동반한 이동을 재현할 수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cannot reproduce the movement accompanied by rotation.

도1 내지 도4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4 as follows.

상기와 같이 컴퓨터에 의한 작업으로는 환자의 치아모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동될 치아(100)의 치아 이동은 회전이동이나 치체이동 만을 할 수 있으며 회전을 동반한 치체이동은 불가능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atient's tooth model, the tooth movement of the tooth 100 to be moved can only be rotated or moved, and the tooth movement accompanied by rotation was impossible.

도1 내지 도4에서 처럼 우선 치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동중인 치아(110,120)와 환자의 치아모델에서 이동될 치아(100)를 회전이동하여 완성될 치아(130)에 해당하는 교정치아모델을 제조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first, in the step of moving the tooth body, the teeth 110 and 120 in motion and the tooth 100 to be moved in the patient's tooth model are rotated to produce an orthodontic tooth model corresponding to the tooth 130 to be completed. Is to do.

종래기술은 이렇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교정치아모델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In the prior art, it took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a corrected tooth model due to this configuration.

또한, 이동될 환자의 치아의 실제이동 시에는 회전과 동시에 치체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실제의 치아이동과 상이하게 치아교정장치를 제조하게 되거나 회전과 동시에 치체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작업을 해야 할뿐만 아니라 이것으로 인하여 정교하게 작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환자의 치아에 대하여 이상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에 문제점이 있어왔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s tooth to be moved is actually moved, the tooth body is 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ooth correction device different from the actual tooth movement, or if the tooth body is 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a separate work is required. However, due to thi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establishing an ideal treatment plan for the patient's teeth, as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elaborate work.

즉, 작업자들이 치아를 하나하나 일일이 이동하여 단계별로 별도로 작업을 해서 투명교정기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교정치아모델을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In other words, it took a lot of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 orthodontic tooth model because the workers had to move the teeth one by one and perform separate work step by step to manufacture a transparent brace.

현재의 종래기술에서의 교정치아모델을 제조하는 작업으로써 치아 이동은 회전이동이나 단순 이동만을 재현할 수 있으며, 회전을 동반한 이동을 재현할 수 없다.As a work of manufacturing an orthodontic tooth model in the current prior art, tooth movement can only reproduce rotational movement or simple movement, and movement accompanying rotation cannot be reproduced.

교정치아모델을 제작하기 위하여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방법대로 하면 회전을 먼저 진행하고, 치아를 이동(치체이동)시키거나, 치아를 이동(치체이동이라 부름)을 먼저하고, 회전을 시켜 이동하는 것이다.In order to move the teeth in order to create an orthodontic tooth model, if you follow the conventional method, you must rotate first, move the tooth (tooth body movement), or move the tooth (called tooth body movement) first, and then rotate it. Is to do.

도5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Referring to Figure 5 as follows.

도5는 컴퓨터를 이용한 종래기술로서 회전중심점을 미리 정해놓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at a rotation center point is determined in advance as a prior art using a computer.

플로우챠트를 통하여 종래의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 flow chart as follows.

도6a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A.

환자 스캔데이타를 불러온다.(S1)Load patient scan data (S1)

환자의 스캔데이타로 치열 및 악궁의 평면을 설정한다.(S2)Set the plane of the dentition and arch with the patient's scan data (S2)

그리고는 앞에서의 환자의 스캔데이타로 가상베이스를 제작한다.(S3)Then, a virtual base is produced with the patient's scan data in front (S3).

상기 가상베이스를 제작한 후에 가상베이스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반경을 설정한다.(S4)After making the virtual base, unnecessary parts of the virtual base are cut out and the radius is set (S4).

상악 및 하악의 경계를 설정하고 치열을 분석한다.(S5) Set the boundarie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analyze the dentition (S5)

치열궁의 길이를 계산하고 이상적인 악궁을 정한다.(S6)Calculate the length of the dental arch and determine the ideal arch (S6)

치열을 분석하여 이상적으로 정해진 악궁에 따라 각 치아를 회전이동,치체이동으로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킨다.(S7)Analyze the dentition and move each tooth to the ideal position by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according to the ideally determined arch (S7).

각치아를 클릭하면 X,Y,Z축에 대한 회전중심축이 이미 정하여져있다. When you click each tooth, the rotation center axis for the X, Y, and Z axes is already set.

연속하여 도6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Subsequently,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B.

X축으로 회전 및 치체이동을 한다.(S10)Rotate and move the tooth along the X-axis (S10)

X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on the X plane (S20).

X평면에 이상적인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치체 및 회전이동을 반복한다.(S21)If it is not an ideal position on the X plane, the toothed body and rotation are repeated (S21).

이렇게 하여 X평면에 이상적 위치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반복한다.(S22)In this way, it repeats continuously until it reaches the ideal position on the X plane (S22).

그리고는 다시 Y평면에 이상적인 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S23)Then, it repeats until it becomes the ideal position on the Y plane again (S23).

그리고 난 후에는 다시 Z평면에 이상적인 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시도한다.After that, it tries repeatedly until it becomes the ideal position on the Z plane again.

S20단계에서 X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 경우에는 Y축으로 회전 및 치체를 이동한다. (S30) In the case of the ideal position on the X plane in step S20, the tooth is rotated and moved along the Y axis. (S30)

다음으로 Y 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가를 확인한다.(S40)Next, check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on the Y plane (S40).

물론 Y평면에 이상적인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이상적인 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시도한다.Of course, if it is not the ideal position on the Y plane, it will try repeatedly until it reaches the ideal position.

이상적 위치가 된 경우에는 Z축으로 회전 및 치체이동을 한다.(S50)In the case of an ideal position, rotate and move the teeth along the Z axis (S50)

Z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on the Z plane (S60)

물론 Z평면에 이상적인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이상적인 위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시도한다Of course, if it is not the ideal position on the Z plane, try repeatedly until the ideal position is reached.

하나의 치아가 이상적인 위치로 완성된 경우에는 이동하여야 할 다른 치아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한다.(S70)When one tooth is completed in an ideal positio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continued with respect to the other tooth to be moved (S70).

이동하여야 할 모든 치아에게 적용한 후에 셋업을 완료한다.(S80)After applying to all the teeth to be moved, the setup is completed (S80).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끝임없이 동일한 평면인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무한 반복한다.As you can see, it repeats infinitely after checking whether it is the same plane endlessly.

일반적으로는 아무리 숙련한 사람이어도 컴퓨터프로그램으로 회전이동과 치체이동을 각 평면에서 치아가 3차원 공간에서 교정이 이루워져야 하므로, X,Y,Z평면으로 이동하여 구성하면서 여러차례 반복을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In general, no matter how skilled a person can perform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with a computer program, the teeth must be correc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 each plane, so the time is repeated several times while moving to the X, Y, and Z planes. And costly.

또한 정확한 회전중심을 알 수 없어 힘과 모멘트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는 것이다.Also, the exact center of rotation cannot be known, so the force and moment cannot be accurately calculated.

교정치과 의사는 많은 경험을 통하여 어렴풋하게 알게되고 따라서 철사의 형태로 치아에 부착장치를 사용하여 치아의 이동하는 추이를 그 때 그 때마다 지켜보면서 힘의 모멘트나 힘을 추정하여 바람직한 치아로 교정하는 것이다.The orthodontist knows vaguely through a lot of experience, and therefore, using an attachment device to the tooth in the form of a wire, he observes the movement of the tooth each time and estimates the moment or force of the force and corrects it to a desirable tooth. will be.

이렇게 하므로 환자에게는 시행착오로 인한 통증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problems such as pain and time consuming due to trial and error occur to the patient.

이런 문제점으로 인하여 투명교정장치가 제대로 역할을 못하며 치료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던 것이다.Due to this problem,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did not function properly and the treatment time was increased.

종래기술은 회전중심점이 고정되어있어 교정기를 설계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회전모멘트와 힘을 알 수 없고 이로 인하여 환자에게 알맞는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design a brace because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fixed, and the exact rotation moment and force cannot be known,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rrective device suitable for the patient.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각 치아에 x,y,z 평면을 기준으로 3개의 이동 중심축이 정해져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ast, three movement center axes are defined for each tooth based on the x, y, and z planes.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었기 때문에, 회전이동-치체이동, 회전이동- 치체이동 등을 계속 반복해서 원하는 장소에 치아를 위치시킬 수 있었다. In order to move the tooth, it was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point based on this movement center axis, so it was possible to place the tooth in the desired place repeatedly, such as rotation movement-tooth movement, rotation movement-tooth movement, etc.

하지만 본 발명으로 처음과 마지막 치아의 위치를 알고, 실제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키면 원하는 자리로 치아를 이동 시킬 수 있으므로, 더 빠르게 셋업이 완료가 된다. However, if the present invention knows the location of the first and last teeth and rotates around the actual center of rotation, the teeth can be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so the setup is completed faster.

기존의 치아분석에 따른 플로우를 기재하면 하기와 같다.The flow according to the existing tooth analysis is as follows.

1.환자의 치아모델,X-RAY,사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점 분석 및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이 단계에서 가상 베이스 설정(Virtual base preparation)을 한다.1. Analyzing problems and establishing treatment plans using information such as patient's tooth model, X-RAY, and photos. At this stage, virtual base preparation is performed.

2.환자치아를 3차원으로 움직일 수 있는 Virtual file로 스캔한다.2. Scan the patient's teeth as a virtual file that can move in 3D.

모델분할(Model segmentation)을 통하여 이단계에서 모델 치아를 각각 분할하여 치근길이와 치아의 회전 중심 축이 결정된다.The root length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th are determined by dividing each model tooth at this stage through model segmentation.

3.이상적인 악궁을 선택한다.3. Choose the ideal arch.

4.움직일 치아를 클릭한다.4. Click the tooth to move.

5.X,Y,Z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한다.5. Rotation moves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point set in advance based on the X, Y, and Z axes.

실제적으로 회전이동하는 과정인 디지탈셋업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digital setup process, which is actually a process of rotating movement, is described below.

치아 클릭시 x평면에서 치아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을 정한다.When a tooth is clicked, the center of ro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ooth in the x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X평면에서 회전 이동 및 치체 이동을 한다.It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in the X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al center.

Y 평면에서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을 정한다.The center of ro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in the Y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Y 평면에서 회전이동과 치체이동을 별도로 진행한다.Separate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in the Y plane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al center.

Z평면에서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점을 결정한다.The center of ro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in the Z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이동과 치체이동을 한다.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are performed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al center point.

6. Virtual set up을 완료한다.6. Complete Virtual set up.

또한 실제의 치아이동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이동되지 않고, 회전과 이동이 동시에 진행이 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ctual tooth movement does not move as in the prior art, and rotation and movement must proceed simultaneously.

따라서 전체 치료계획을 만들어도 실제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치아를 하나하나 움직여서 단계별로 별도로 작업을 해서 투명교정장치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Therefore, even if the entire treatment plan is mad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make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by moving the teeth one by one for the actual tooth movement.

치아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동 중심점을 기준으로만 회전이 되었기 때문에, 회전이동-치체이동, 회전이동- 치체이동을 계속 반복해서 원하는 장소에 치아를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었다. In order to move the tooth, it was rotated only based on this movement center point, so it was possible to position the tooth in a desired position by repeating the rotation movement-tooth movement, rotation movement-tooth movement repeatedly.

하지만 본 발명은 처음과 마지막 치아의 위치를 알고, 실제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키면 원하는 자리로 치아를 이동 시킬 수 있으므로, 더 빠르게 셋업이 완료가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last teeth is known and rotated around the actual rotation center, the tooth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setup is completed faster.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518709 (2015.05.15)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10-1518709 (2015.05.15)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518711 (2015.05.15)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10-1518711 (2015.05.15)

제1의 목적은 교정할 치아모델을 바람직한 치아모델로 이동하는 교정을 결정하는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The first object is to shorten the time in determining the correction to move the tooth model to be corrected to the desired tooth model.

제2의 목적은 본 발명의 회전중심점을 정하여 회전을 동반하여 이동하는 과정으로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여 교정할 치아의 실제의 치아이동을 손쉽게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환자에게 정확한 교정장치를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e with rot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produce the actual tooth movement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by determining the orthodontic tooth model.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중심점을 이용한 환자의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determining a patient's corrected tooth model using a rotation center point is configured as follows.

제1실시예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을 구성한다.As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method is constructed.

환자의 치아모델;Patient's tooth model;

환자의 치아모델 가운데 이동될 치아;Teeth to be moved in the patient's tooth model;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의 회전중심을 결정하기 위하여 설정한 기준축;A reference axis set to determine a center of rotation of the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을 연장하여 설정한 연장선;An extension line set by ext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를 이동하여 바람직한 치아의 완성을 위한 완성된 위치에 이동하게 될 완성될 치아에 설정한 기준축;A reference axis set on a tooth to be completed to be moved to a completed position for completing a desired tooth by moving the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을 연장하여 설정한 연장선;An extension line set by ext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과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이 만나는 회전중심점;A rotation center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meet;

상기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환자의 치아모델 가운데 상기 이동될 치아를 상기 완성될 치아로 이동하도록 2개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 치아모델을 완성하여 회전중심점을 이용하여 환자의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다.By dividing the tooth to be moved into two or more steps to move the tooth to be moved to the tooth to be completed among the patient's tooth model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complete the orthodontic tooth model to complete the orthodontic tooth model of the patient us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It's the way you decide.

여기서 상기 교정치아모델의 2개 이상의 단계 각각을 이용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Her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solved throug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ing each of the two or more steps of the orthodontic tooth model.

상기 회전중심점을 구한 후에 회전모멘트를 구하는 단계를 더 두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After obtain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a further step of obtaining the rotation moment is provided to solve the problem.

제2실시예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As the second embodiment, the following method is used.

환자의 치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환자의 상기 획득된 치아정보로 획득된 치아를 3차원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상파일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a tooth obtained from the obtained tooth information of a patient into a virtual file that can be moved in 3D;

상기 변환된 가상파일에서 이동될 치아의 회전중심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rotation center of a tooth to be moved in the converted virtual file;

상기 결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치아를 이동시켜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Moving a tooth based on the determined center of rotation and placing it in an ideal position;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에서 상기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2개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교정하는 치아모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Dividing the step of arranging at the ideal position in the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into two or more steps to obtain tooth model information to be corrected by the patient;

를 구비하여 교정치아모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가진다.Having a method of obtaining corrected tooth model information.

여기서 획득된 상기 교정치아모델의 2개 이상의 단계 각각을 이용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가진다.It h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ing each of the two or more steps of the corrective tooth model obtained here.

상기 회전중심점을 구한 후에 회전모멘트를 구하는 단계를 더 두어 교정하는 치아모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After obtain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a step of obtaining a rotation moment is further added to obtain information on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제1의 효과는 본 발명의 회전중심점을 정하여 회전을 동반하여 이동하는 과정으로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여 교정할 치아의 실제의 치아이동을 손쉽게 재현할 수 있어 환자에게 정확한 교정장치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The first effect is the process of moving along with rotation by determining the rotational center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effective to manufacture an accurate orthodontic device for the patient because the actual tooth movement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can be easily reproduced by determining the orthodontic tooth model. .

작업이 효율화되는 것으로 회전과 치체이동을 동시에 하게되어 기존의 처리속도보다 급속도로 빨라진다.As work becomes more efficient, rotation and tooth movemen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which is faster than the existing processing speed.

제2의 효과는 정확한 회전중심으로 알아야 힘과 모멘트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 정확한 교정장치를 제작하거나 설계하는데 매우 큰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The second effect is that you need to know the exact center of rotation to accurately calculate the force and moment, so that there is a very great advantage in manufacturing or designing an accurate correction device.

종래기술에서는 정확한 회전 중심을 쉽게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기술자의 경험을 토대로 브라켓을 이용해서 치아에 회전 모멘트와 힘을 조절하면서 치아를 이동 시킨 것에 반하여,In the prior ar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exact center of rotation easily, s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technician, the teeth were moved while adjusting the rotation moment and force on the teeth using a bracket.

본 발명에서는 용이하게 회전 중심을 찾게 되어, 이에 따른 힘과 회전 모멘트의 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면 원하는 이동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can be easily found, and the ratio of the force and the rotation moment accordingly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sired movement can be accurately obtained when a force is applied.

즉, 정확한 회전 모멘트와 힘을 분석하여 치아의 회전중심에 따른 교정 장치를 만들 수 있게 된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ooth by analyzing the exact rotation moment and force.

회전 중심을 설정할 수 있으면 실제 치아이동을 셋업상에서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반복재현성을 가지고 있다.If the center of rotation can be set, the actual tooth movement can be reproduced on the set-up and has reproducibility.

제3의 효과는 기존 상하 28개의 치아를 모두 3개의 이동중심과 치체이동으로 치아이동을 진행하여 장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실제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중심을 바꿀 수 있어 작업시간이 최소 1/2 이하로 획기적으로 줄어든다.The third effect is that it took a long time to move the teeth with three movement centers and tooth body movements for all 28 upper and lower teeth, but the rotation center can be changed in the same way as in the real world, so the working time is at least 1/2 or less. It is drastically reduced.

제1도는 환자의 교정할 치아의 정보를 이용하여 교정할 치아 모델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기술로 교정할 치아 모델을 치체이동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치체이동 후에 교정할 치아를 회전해야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서 교정할 치아를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 치아교정모델을 결정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도1에서 도4까지의 이동에 따른 것에 대한 원인으로 회전중심점이 고정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6a도 및 6b도는 종래 컴퓨터 상에서 교정모델을 정하는 과정을 보이는 프로우챠트이다.
제7도는 교정할 치아 모델의 기준축을 정하고 연장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8도는 이상적인 치아모델의 기준축을 정하고 연장선으로 회전중심점을 구하는 도이다.
제9도는 제1실시예로써 교정할 치아모델에서 이상적인 위치에 해당되는 치아모델을 복수의 단계를 나누어 이동시키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11도는 회전중심점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정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2도는 본원발명의 교정모델을 정하는 과정을 보이는 프로우챠트이다.
제13a도는 F의 힘을 치관에 가할 때에 잇몸에서 1/3지점에 중심점이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3b 도는 13a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4도는 회전중심점을 치근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모멘트를 반시계방향으로 가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5도는 회전중심점이 치관에 있도록 하고 치근이 이동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회전모멘트를 가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6도는 회전중심점이 치근에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using information on a patient's teeth to be corrected.
2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oving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diagram showing how to rotate the tooth to be corrected after the tooth movement of FIG. 2.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tooth to be corrected in FIG. 3 is rotated to determine a tooth correction model at a desired posi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fixed as a cause of movement from FIGS. 1 to 4.
6a and 6b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calibration model on a conventional computer.
7 is a diagram showing an extension line after determining a reference axis of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Fig. 8 is a diagram in which the reference axis of the ideal tooth model is determined and the center of rotation is obtained with an extension line.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tooth model corresponding to an ideal position in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to be moved.
Fig. 10 relates to a second embodiment.
11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determination of the rotation center point around the rotation axis.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alibration mod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entral point is located at 1/3 of the gum when the force of F is applied to the crown.
FIG. 13B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FIG. 13A.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of a rotational moment counterclockwise to direct the rotational center point toward the root.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enter of rotation is on the crown and a rotational moment is applied so that the root appears to move.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enter of rotation is at the root.

구체적인 실시의 내용을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details of the specific implemen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iagram.

제1실시예로는 도7 내지 도9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환자의 치아모델(10)Patient's tooth model (10)

환자의 치아모델(10) 가운데 이동될 치아(100)Tooth 100 to be moved among the patient's tooth model 10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100)의 회전중심을 결정하기 위하여 설정한 기준축(142);A reference axis 142 set to determine a center of rotation of the patient's teeth 100 to be moved;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을 연장하여 설정한 연장선(144);An extension line 144 set by ext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100)를 이동하여 바람직한 치아의 완성을 위한 완성된 위치에 이동하게 될 완성될 치아에 설정한 기준축(152);A reference axis 152 set on a tooth to be completed to move to a completed position for completing a desired tooth by moving the tooth to be moved 100 of the patient;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을 연장하여 설정한 연장선(154);An extension line 154 set by ext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144)과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154)이 만나는 회전중심점(160);A rotation center point 160 where the extension line 144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and the extension line 154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meet;

상기 회전중심점(160)을 중심으로 환자의 치아모델(10) 가운데 상기 이동될 치아(100)를 상기 완성될 치아(130)로 이동하도록 2개 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 치아모델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중심점(160)을 이용한 환자의 교정치아모델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ooth model to be moved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teps to move the tooth to be moved to the tooth 130 to be completed among the patient's tooth model 10 with the rotation center point 160 as the center to obtain information to complete the orthodontic tooth model. It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patient's corrected tooth model us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160,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회전중심점을 구한 후에 회전모멘트를 구하는 단계를 더 둔다.After find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a step of finding the rotation moment is further performed.

회전중심점을 구하면 이에 따라 정확한 회전모멘트를 구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obtained, the exact rotation moment is obtained accordingly.

이렇게 결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교정모델을 정하는데 따른 시간은 종래의 도1 내지 도6에 의하여 결정하는 시간의 최소한 1/2정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time required to determine the calibration model by this method of determin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at least 1/2 of the time determined by the conventional FIGS. 1 to 6.

진단과정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교정장치를 제조하는데 유익한 결정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다.It corresponds to a decision method that is useful for manufacturing an accurate calibration device as well as rapid diagnosis process.

이렇게 결정하면 환자의 교정할 치아가 실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is decision will actually move the patient's teeth to be corrected.

실제 치아이동 경로는 그 회전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actual tooth movement path is to rotate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와 같은 교정치아모델로 인하여 2개 이상의 단계를 구성하여 단계 단계마다 해당되는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함으로써 환자가 치아에 여러단계의 투명교정장치를 착탈하여 일정한 기한 내에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orthodontic tooth model as described above, two or more steps are formed to manufacture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step, so that the patient can correct the patient's teeth within a certain time period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of several steps to the tooth.

제2실시예로는 도10에 의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s follows.

환자의 치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를 갖는다.It has a step (S100) of obtaining the patient's tooth information.

환자의 상기 획득된 치아정보로 획득된 치아를 3차원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상파일로 변환하는 단계(S200)를 갖는다.A step (S200) of converting the teeth obtained from the obtained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to a virtual file that can be moved in 3D is performed.

상기 변환된 가상파일에서 이동될 치아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단계(S300)를 갖는다.A step (S300) of determining a rotational center point of a tooth to be moved in the converted virtual file is performed.

상기 결정된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치아를 이동시켜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S400)를 갖는다.It has a step (S400) of moving the tooth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al center point and placing it in an ideal position.

환자의 상기 이동될 치아에서 상기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2개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교정하는 치아모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00)를 갖는다.A step (S500) of dividing the step of arranging at the ideal position of the patient's tooth to be moved into two or more steps to obtain information on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by the patient (S500).

이렇게 하여 교정치아모델정보를 획득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성한다.In this wa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is constructed by acquiring the corrected tooth model information.

획득된 상기 교정치아모델의 2개 이상의 단계 각각을 이용하여 투명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갖는다.It h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ing each of the two or more steps of the obtained corrected tooth model.

상기 회전중심점을 구한 후에 회전모멘트를 구하는 단계를 더 두어 환자의 교정하는 치아모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갖는다.After obtain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a step of obtaining a rotation moment is further provided to obtain information on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of the patient.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하여 배경기술에서 기존의 치아분석을 보기로 한다.In order to compar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tooth analysis will be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기존의 치아분석에 따른 플로우를 기재하면 하기와 같다.The flow according to the existing tooth analysis is as follows.

1.환자의 치아모델,X-RAY,사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제점 분석 및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이단계에서 가상 베이스 설정(Virtual base preparation)을 한다.1. Analyzing problems and establishing treatment plans using information such as patient's tooth model, X-RAY, and photos. In this step, virtual base preparation is performed.

2.환자치아를 3차원으로 움직일 수 있는 Virtual file로 스캔한다.2. Scan the patient's teeth as a virtual file that can move in 3D.

모델분할(Model segmentation)을 통하여 이 단계에서 모델 치아를 각각 분할하여 치근길이와 치아의 회전 중심 축이 결정된다.At this stage through model segmentation, the root length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th are determined by dividing each model tooth.

3.이상적인 악궁을 선택한다.3. Choose the ideal arch.

4.움직일 치아를 클릭한다.4. Click the tooth to move.

5.X,Y,Z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한다.5. Rotate and move based on the predetermined rotation center based on the X, Y, and Z axes.

실제적인 회전이동하는 과정인 디지탈셋업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The digital setup process, which is the actual rotational movement process, is described below.

치아 클릭시 X평면에서 치아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을 정한다.When a tooth is clicked, the center of ro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ooth in the X plane.

물론 X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가의 여부를 끊임없이 체크한다.Of course, it constantly checks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on the X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X평면에서 회전 이동 및 치체 이동을 한다.It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in the X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al center.

Y 평면에서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을 정한다.The center of ro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in the Y plane.

물론 Y 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가의 여부를 끊임없이 체크한다.Of course, it constantly checks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in the Y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Y평면에서 회전이동 및 치체이동을 한다.Rotation and tooth movement are performed in the Y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 center.

Z평면에서 최종 배열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 중심 결정한다.The rotation cent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in the Z plane.

물론 Z평면에 이상적인 위치인가의 여부를 끊임없이 체크한다.Of course, it constantly checks whether it is an ideal position on the Z plane.

정해진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이동 및 치체이동을 한다. Perform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al center.

6. Virtual set up을 완료한다.6. Complete Virtual set up.

본원발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치아의 분석은 하기와 같다.Analysis of the tooth to be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단계와 4단계 및 6단계는 기존의 치아분석과 동일하다.Steps 1, 4, and 6 are the same as conventional tooth analysis.

본원발명이 발명한 제5단계로는 The fifth step inv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선택한 치아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한다.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치아를 이동시켜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한다.Determine the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selected tooth. Move the tooth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point and place it in an ideal position.

실제로 치아이동은 치아를 중심으로 회전하기도 하고 치근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기도 하며(비조절성 경사이동), 치관(치아머리)의 끝 부분을 중심으로 이동(치근이동)하기도 한다.In fact, tooth movement rotates around the tooth, rotates around the root point (non-adjustable tilt shift), and sometimes shifts around the end of the crown (teeth head) (root movement).

여기에는 치아에 주어지는 힘 F와 치아를 반시계 방향으로 미는 회전 모멘트 크기에 따라 치아 이동의 형태가 달라진다 Here, the shape of tooth mov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force F applied to the tooth and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al moment pushing the tooth counterclockwise.

회전 모멘트와 힘의 비율에 따라서 회전 중심점이 달라져서 치아 이동이 바뀌게 된다.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rotational moment and force, the rotational center point is changed and the tooth movement is changed.

치과교정치료는 이러한 힘과 모멘트를 바꿔서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시키는 것이지만, 현재의 디지털 기술로는 그 힘을 반영한 과정을 반영하지 하고, 결과만 볼 수가 있으므로, 정확한 교정장치를 만드는 것이 난해하다. Orthodontic treatment is to change the force and moment to move the tooth in the desired direction, but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orthodontic device because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does not reflect the process that reflects the force and can only see the result. .

전 세계에 종래기술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업체는 3개 정도에 불과하다. There are only three companies in the world that have developed prior art programs.

또한 대부분 출원인처럼 실제 3D 프린터를 이용한 투명교정 장치를 만드는 Also, like most applicants,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real 3D printers

프로그램 회사는 없기 때문에, 작업의 불합리성에 대하여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지못한 상태이다.Since there is no program company, it is not aware of the problem of the irrationality of the work.

출원인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투명교정장치에 해당하는 계속하여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실제 치아이동과정이 디지털 설계과정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어 본 발명을 하게 된 것이다.Since the applicant has been continuously working on the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using such a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was realized by realizing that the actual tooth movement process differs from the digital design process.

11도는 본 발명의 투명교정장치를 위한 것으로 회전중심점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할 수 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11 is a view showing that the rotation center point can be determined around the rotation axis for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도를 중심으로 살피면 하기와 같다.If you look at 12 degrees, it is as follows.

본원발명에서 S10~S80단계는 배경기술의 S1~S8단계까지와 동일하다.Steps S10 to S8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steps S1 to S8 of the background technology.

여기에 대하여 설명은 배경기술에서의 설명한 것으로 설명을 대체한다.The description of this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in the background art.

다음 단계로는 치아클릭시 X평면에서 현재치아의 회전중심축과 X평면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한다.(S100) In the next step, when the tooth is clicked,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urrent tooth in the X plane and the final arrangement of the desired teeth in the X plane are determined, a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determined as the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100).

상기 S100단계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하는 단계에서는 하기와 같은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step S100, the final arrangement of teeth is determined a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determined at a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including the following three steps.

첫째 단계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X축 상에서 현재 치아의 회전중심축을 정하고 연장선을 긋는다.The first step is to determine the current center of rotation of the tooth on the X-axis in the above case and draw an extension line.

두번째 단계로는 X축 상에서 바람직한 상태로 이동될 치아의 회전중심축을 정하고 연장선을 긋는다.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in a desired state on the X axis and draw an extension line.

마지막 단계로는 만나는 교차점을 회전중심점으로 정한다.The final step is to determine the intersection point as the center of rotation.

Y축과 Z축 단계에서도 마찬가지의 단계를 갖는 것이다.The Y-axis and Z-axis steps have similar steps.

정해진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X평면에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과 치체를 동시에 회전이동한다.(S200)The rotation and tooth body are simultaneously rotated and mov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n the X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 center point (S200).

Y평면에서 현재치아의 회전중심축과 Y평면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한다.(S300)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urrent tooth in the Y plane and the desired final arrangement of the teeth in the Y plane are determined, a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determined as the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300).

정해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Y평면에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과 치체를 동시에 회전이동한다.(S400)The rotation and tooth body are simultaneously rotated and mov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n the Y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 center (S400).

Z평면에서 현재치아의 회전중심축과 Z평면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한다.(S500)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urrent tooth in the Z plane and the final arrangement of the teeth desirable in the Z plane are determined, a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s determined as the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500).

정해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Z평면에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과 치체를 동시에 회전이동한다.(S600)The rotation and tooth body are simultaneously rotated and mov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n the Z plane based on the specified rotation center (S600).

회전이동 또는 치체이동할 치아로 이동하여 상기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는 것이다.It moves to the tooth to be rotated or moved and repeats the above steps.

회전중심축을 치아의 상태에 따라 정하는 것이어서 그동안 회전중심점이 정하여 있는 것으로 회전이동과 치체이동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작업을 하던 것을 환자 치아의 현재의 위치에서의 중심축과, The rotation center axi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teeth, so the rotation center point has been determined, and the rotation movement and the tooth movement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atient's teeth.

환자 치아의 바람직한 위치에서의 중심축의 연장선이 만나는 점을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회전이동과 동시에 치체이동이 이루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본원발명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ime is shortened by allowing the tooth movement to be achieved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by using the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ral axis at the desired position of the patient's teeth meets as the rotational center point.

또한 인체의 치아는 회전이동과 동시에 치체이동이 일어나도록 치료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eth of the human body must be treated so that tooth movement occurs simultaneously with rotational movement.

제13a도 및 13b도는 비조절성경사이동으로 치아에 F의 힘을 가하면 치아뿌리와 잇몸부분의 치아길이의 잇몸으로부터 1/3이되는 지점이 회전중심이 되어 회전이동하게 된다.Figures 13a and 13b are non-adjustable biblical movements, and when a force of F is applied to the teeth, a point at 1/3 of the length of the tooth at the root and gum becomes the rotation center and rotates.

회전중심점 조절을 위하여 별도로 모멘트를 가하는 것이 없는 것을 비조절성경사이동이라고 칭한다.When there is no additional moment to control the rotation center point, it is called an unadjustable biblical motion.

이러한 회전중심점을 저항중심점이라고 한다.This center of rotation is called the center of resistance.

제14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모멘트M를 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Fig. 14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rotational moment M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잇몸부위에 회전모멘트를 가하면 저항중심은 치근단쪽으로 바뀌게 되고 회전모멘트가 클수록 회전중심은 멀어져서 치체이동으로 바뀔 수 있다.If a rotational moment is applied to the gum, the center of resistance changes toward the apical end, and the larger the rotational moment, the further the rotational center is, which can be changed to tooth movement.

회전모멘트가 좌측에서 가해지는 힘보다 커지면 일정비율(12:1)이상이 되면 치근이 회전을 하게 된다.If the rotational moment is greater than the force applied from the left side, the root rotates when it reaches a certain ratio (12:1) or more.

회전중심점은 치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을 치근이동이라고 한다.The center of rotation moves toward the crown. This is called root movement.

제15도는 치관을 회전중심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rown is rotated to the center of rotation.

제16도는 치근을 회전중심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of the root to the center of rotation.

이렇게 환자의 치아를 바람직한 치아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는 회전중심점이 매우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of rot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move the patient's teeth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teeth.

회전중심점이 저항중심인 치근과 잇몸까지의 거리의 잇몸에서 1/3되는 저항중심점으로 정하기도 한다.The center of rotation is also set as the center of resistance that is 1/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nd the gum, which is the center of resistance.

또한 바람직한 치아이동이 치관쪽을 회전중심점으로 정하거나 정반대방향인 치근단쪽을 회전중심점으로 하는 경우에는 회전모멘트와 힘의 비율이 정해지므로 교정장치의 강도나 교정장치를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referred tooth movement is to set the crown side as the rotational center point or the apical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center point, the ratio of the rotational moment and force is determin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orthodontic device or the orthodontic device can be accurately manufactured.

회전중심을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에는 회전중심을 알아야 회전모멘트를 줄수 있는 장치를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enter of rotation is that you need to know the center of rotation to accurately design a device that can give a rotation moment.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단어에 대하여 정의를 내리면 하기와 같다.The definitions for the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힘과 모멘트에 대하여1. About forces and moments

진단결과에 따라 치아가 조절성경사이동인지 비조절성 경사이동인지 치근이동인지 등에 따라 치과의사 또는 투명교정장치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곳에서는 이동할 치아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를 정하여야만 정확하게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Depending on the diagnosis result, depending on whether the tooth is adjustable, non-adjustable inclined movement or root movement, a dentist or a place that specializes in manufacturing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must accurately determine the force and moment for the tooth to be moved. .

즉 진단과정에서 치아의 회전중심을 어디에 두고 회전을 할 것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힘과 모멘트의 비율만 맞춰서 장치를 제작하거나 치과의사가 교정장치를 부착하게 되므로써 진단과정을 빠르게 할 뿐 만 아니라 힘과 모멘트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since it is easy to know where the rotation center of the tooth is to be rotated during the diagnosis process, not only the diagnosis process is accelerated, but also the strength of the diagnosis process is accelerated by making the devic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orce and the moment, or attaching the orthodontic device to the dentis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and moment ratio.

2.조절성경사이동에 대하여2. About the Adjustment Bible Saidong

그림처럼 앞쪽 잇몸부위를 누르고 뒤쪽 절단부위를 누르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기 때문에, F힘을 주면서 반시계방향 회전 모멘트를 가하면 저항중심은 치근의 길이에 상부잇몸에서 1/3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의학계에서 확률적으로 정한 것임.) As shown in the figure, a rotation moment is appli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pressing the front part of the gum and pressing the part of the back cut, so if an F force is applied and a counterclockwise rotation moment is applied, the center of resistance is located at 1/3 of the upper gum in the length of the root. (It is determined probabilistically by the medical community.)

회전모멘트의 힘을 크게할수록 회전의 중심은 치근단쪽으로 이동하게 되고,회전 모멘트가 클수록 회전 중심은 멀어져서 치체이동으로 바뀔 수 있다. (순수 후방이동)As the force of the rotational moment increases, the center of rotation moves toward the apical end, and as the rotational moment increases, the rotational center becomes farther and can be changed to tooth movement. (Pure backward movement)

그러다가 반시계방향 회전 모멘트가 F에 비해 훨씬 커지면 (12:1이상) 치근이 회전을 하게 됩니다. (치관쪽을 중심으로) 이것을 치근이동이라 한다. Then, whe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moment is much larger than F (12:1 or more), the root rotates. (Centering on the crown side) This is called root movement.

회전 중심은 치아 뿌리 끝 부분이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같이 가해준다.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tip of the root of the tooth, and a rotation momen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applied together.

이때 힘F와 회전 모멘트M의 비율이 1:8~1:10에 해당한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force F and the rotational moment M corresponds to 1:8~1:10.

3.비조절성경사이동에 대하여3. About the Uncontrolled Bible Saidong

치아에 힘을 주면 치아 뿌리쪽 즉 잇몸에서 1/3이 되는 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 중심을 저항중심이라 한다.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tooth, it rotates around the root of the tooth, that is, 1/3 of the gum, and this center of rotation is called the center of resistance.

치아에 힘을 주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됩니다. When you apply force to the tooth, it rotates clockwise.

만일 이럴 때, 교정기를 이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가하면 회전 중심이 좀더 치근단쪽으로 바뀌게 된다. In this case, if a rotational moment is appli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using a straightener, the center of rotation changes toward the apical end.

4.치근이동4. Root movement

반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를 매우 강하게 주면 치관끝을 기준으로 뿌리가 회전하게 된다.If the rotation momen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given very strong, the root rotates around the end of the crown.

힘F와 회전 모멘트 M 비율이 1:112 이상일 경우에 해당된다. This is the case when the ratio of the force F and the rotational moment M is 1:112 or mor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환자의 치아모델 100:이동될 치아 110,120:이동중인 치아 130:완성될 치아 142:이동될 치아의 기준축
144,154:기준축 연장선 152:완성될 치아의 기준축 160:회전중심점
170:저항중심 200:잇몸
M:회전모멘트 F:힘
10: patient's tooth model 100: tooth to be moved 110, 120: tooth in motion 130: tooth to be completed 142: reference axis of tooth to be moved
144,154: reference axis extension line 152: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160: rotation center point
170: resistance center 200: gum
M: rotational moment F: force

Claims (6)

환자의 치아정보를 획득하여 치아모델을 획득하는 치아모델 획득단계;
환자의 상기 획득된 치아정보로 획득된 치아를 3차원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상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가상파일에서 환자의 이동될 치체이동과 회전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을 연장하여 연장선(144,154)을 설정하는 단계;
환자의 이동될 치아를 이동하여 바람직한 치아의 완성을 위한 완성된 위치에 이동하게 될 완성될 치아에 기준축(152)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과 상기 완성될 치아의 기준축의 연장선이 만나는 회전중심점(160)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환자의 치아모델 가운데 상기 이동될 치아를 상기 완성될 치아(130)로 이동하도록 2개이상의 단계로 나누어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 치아모델을 완성하여 치체와 함께 치아회전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
A tooth model obtaining step of obtaining a tooth model by obtaining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move the tooth obtained by the obtained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3D
Converting to a virtual file;
Setting a reference axis to determine a rotational center point so that tooth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to be moved of the patient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converted virtual file;
Setting extension lines (144,154) by extending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Moving a tooth to be moved of the patient to set a reference axis 152 on a tooth to be completed to be moved to a completed position for completing a desired tooth;
Setting a rotation center point 160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moved and the extension line of the reference axis of the tooth to be completed meet;
By dividing the tooth to be moved into two or more steps to move the tooth to be moved to the tooth 130 to be completed, among the tooth model of the patient centering on the rotation center point, to obtain information to complete the orthodontic tooth model to simultaneously implement tooth rotation with the tooth body.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rrected tooth mod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점을 구한 후에 회전모멘트를 구하는 단계를 더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 rotation moment after obtaining the rotation center point. 제1항의 교정치아모델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투명교정장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rotational center point of the corrected tooth model of claim 1.
















환자의 치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상기 획득된 치아정보로 획득된 치아를 3차원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상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가상파일에서 치체이동과 회전이동을 할 치아의 회전중심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치아를 이동시켜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
하는 단계;
환자의 이동될 치아에서 상기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2개이
상의 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교정하는 치아모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치아모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Obtaining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move the tooth obtained by the obtained tooth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3D
Converting to a virtual file;
Determining a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to be moved and rotated in the converted virtual file;
Move the tooth based on the determined center of rotation and place it in an ideal position
Step to do;
Two steps of placing in the ideal position on the patient's tooth to be moved
A method for obtaining orthodontic tooth model information, comprising: obtaining information on a tooth model to be corrected of the patient by dividing it into the above steps.
환자의 스캔데이타를 불러오는 단계(S10);
상기 환자의 스캔데이터로 치열 및 악궁의 평면을 설정하는 단계(S20);
가상베이스를 만드는 단계(S30);
가상베이스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반경을 설정하는 단계(S40);
상악 및 하악의 경계설정 및 치열을 분석하는 단계(S50);
치열궁 길이 계산 및 이상적인 악궁을 정하는 단계(S60);
정해진 악궁에 따라 각 치아를 회전이동 및 치체이동으로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70);
각 치아를 클릭하여 X,Y,Z축에 대한 회전축이 정해지는 단계(S80);
치아클릭시 X평면에서 현재 치아의 중심축과 치아 최종 배열위치를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하는 단계(S100);
정해진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X평면에서 회전 및 치체이동하는 단계(S200);
Y평면에서 현재치아의 회전중심축과 Y평면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하는 단계(S300);
정해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Y평면에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과 치체이동하는 단계(S400);
Z평면에서 현재치아의 회전중심축과 Z평면에서 바람직한 치아의 최종배열을 정하고 회전중심축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회전중심점을 정하는 단계(S500);
정해진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Z평면에서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과 치체를 동시에 회전이동하는 단계(S6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치아모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Calling the patient's scan data (S10);
Setting the plane of the dentition and arch with the patient's scan data (S20);
Creating a virtual base (S30);
Cutting out unnecessary portions of the virtual base and setting a radius (S40);
Demarca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nd analyzing the dentition (S50);
Calculating the length of the dental arch and determining the ideal arch (S60);
Moving each tooth to an ideal position by rotational movement and tooth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rch (S70);
Clicking each tooth to determine a rotation axis for the X, Y, and Z axes (S80);
When the tooth is clicked, determining the current central axis of the tooth and the f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eth in the X plane, and determining a rotation center point based on a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100);
Rotating and moving teeth in the X plane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 center point (S200);
Determining a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urrent tooth in the Y plane and a final arrangement of the desired teeth in the Y plane, and determining a rotational center point as a point where the rotational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300);
Rotating and moving the tooth body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n the Y plane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 center (S400);
Determining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urrent tooth in the Z plane and a final arrangement of the teeth desired in the Z plane, and determining a rotation center point as a point where the rotation center axes meet each other (S500);
A method of obtaining corrected tooth model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S600) of simultaneously rotating and moving the tooth body around the rotation center point in the Z plane based on the determined rotation center.
제4항 또는 제5항의 교정치아모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투명교정장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of obtaining corrected tooth model information of claim 4 or 5.

KR1020180053284A 2018-05-09 2018-05-09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2178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84A KR102178836B1 (en) 2018-05-09 2018-05-09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84A KR102178836B1 (en) 2018-05-09 2018-05-09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25A KR20190128925A (en) 2019-11-19
KR102178836B1 true KR102178836B1 (en) 2020-11-13

Family

ID=6877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84A KR102178836B1 (en) 2018-05-09 2018-05-09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8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63B1 (en) * 2021-02-01 2022-01-03 (주)티에네스 Method for orthodontic clear aligner data generation and system thereof
KR20230129859A (en) 2022-03-02 2023-09-11 허경숙 Orthodontic automatic diagnosis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452B1 (en) * 2019-11-25 2022-01-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deal arch for orthodontic treatment
CN111658187B (en) * 2020-03-31 2022-02-01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Method for simulating pose change of digital tooth model
CN111407440B (en) * 2020-03-31 2022-02-01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and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437048B (en) * 2020-04-01 2022-01-25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Rotation center design inspection method, shell-shaped dental instrument design and preparation method
KR102526419B1 (en) * 2022-03-10 2023-05-02 마이라인 주식회사 Method of realizing normalized dentition reflecting dental compensatory movement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6B1 (en) 2014-11-03 2015-03-27 이진균 A device prooviding align teeth data and a method to produce a transparent braces using this
KR101518709B1 (en) * 2014-10-17 2015-05-15 홍경재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aligner
KR101547112B1 (en) 2014-12-05 2015-08-25 이진균 Device for generating transparent braces data
KR101616551B1 (en) * 2014-12-11 2016-04-29 주식회사 디오코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oth projecting angle in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sto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83B1 (en) * 2004-02-19 2006-05-25 차경석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KR101518711B1 (en) 2014-10-17 2015-05-15 홍경재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alig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09B1 (en) * 2014-10-17 2015-05-15 홍경재 Method for producing transparent aligner
KR101506476B1 (en) 2014-11-03 2015-03-27 이진균 A device prooviding align teeth data and a method to produce a transparent braces using this
KR101547112B1 (en) 2014-12-05 2015-08-25 이진균 Device for generating transparent braces data
KR101616551B1 (en) * 2014-12-11 2016-04-29 주식회사 디오코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oth projecting angle in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sto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63B1 (en) * 2021-02-01 2022-01-03 (주)티에네스 Method for orthodontic clear aligner data generation and system thereof
KR20230129859A (en) 2022-03-02 2023-09-11 허경숙 Orthodontic automatic diagnosi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25A (en)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83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a tooth mod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220338959A1 (en) Attachment structure
CN107106258B (en) Dental appliance having cavities for unerupted or erupting teeth
US85739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orthodontic reference objects
US9844419B2 (en)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KR102121963B1 (en) App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ranparent orthodontic model using orthodontics clinical bigdata
KR100583183B1 (en)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US8512037B2 (en)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KR20180073567A (en) TOOL POSITION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JP7471238B2 (en) How to digitally design artificial teeth
JP7423649B2 (en) Modeling of denture parts tailored to the patient
AU2019289638B2 (en) Method for designing a drilling template
WO2020096659A1 (en) Dental-abutment design system and method
KR101218390B1 (en) Device providing align teeth data
CN112288886B (en) Tooth position arrangement method of accurate digital tooth model
EP3216419A1 (en) Method for digital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CN108245264B (en) Method for simplifying computer-aided orthodontic path
EP3275397A1 (en) Real time prosthetic base adaptation
US11318004B2 (en) Dental device designed to measure dental arch parameters, and develop an algorith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deal positions of dental implants in edentulous patients
CN112185509A (en) Method for parametrizing tooth arrangement
JP7492378B2 (en) Method for creating tooth grinding data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program for creating tooth grinding data for orthodontic treatment
CN113962123A (en) Finite element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CR point of tooth
BR102013003227A2 (en) building system of custom orthondont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