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730B1 - Dielectric waveguide - Google Patents

Dielectric wavegu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730B1
KR102178730B1 KR1020187020019A KR20187020019A KR102178730B1 KR 102178730 B1 KR102178730 B1 KR 102178730B1 KR 1020187020019 A KR1020187020019 A KR 1020187020019A KR 20187020019 A KR20187020019 A KR 20187020019A KR 102178730 B1 KR102178730 B1 KR 10217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cladding
dielectric waveguide
dielectric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4066A (en
Inventor
크리스찬 러쉬
마르쿠스 디트만
카를로스 알메이다
차드 윌리엄 모건
리앙 후앙 (빈센트)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9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6Dielectric waveguides, i.e. without a longitudin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2Dielectric loaded (no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3Hollow waveguides with a complex or stepped cross-section, e.g. ridged or grooved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7Hollow waveguides with a circular, elliptic, or parabolic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9Casings being metall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aveguid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은 클래딩 및 전기 도전성 차폐부를 포함한다. 클래딩은 제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몸체를 갖는다. 몸체는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 재료로 충전되는, 자신을 관통하는 코어 지역을 정의한다. 클래딩은 추가로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원위단부들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차폐부는 리브들의 원위단부들과 결합되고 클래딩 주변을 둘러싸서 몸체의 외부 표면과 차폐부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에어 갭(air gap)들이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The dielectric waveguide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includes a cladding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The cladding has a body composed of a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body defines a region of the core passing through it, filled with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cladding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o the distal ends. The shield engages the distal ends of the ribs and surrounds the cladding so that air gaps are defined radiall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ield.

Description

유전체 도파관 Dielectric waveguide

[0001]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4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1510922442.6호 및 2016년 1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5/00256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0001]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10922442.6 filed on December 14, 2015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15/002565 filed on January 21, 2016, all of which The entirety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0002] 본원의 청구 대상은 일반적으로 유전체 도파관들에 관한 것이다. [0002] The subject matter herein relates generally to dielectric waveguides.

[0003] 유전체 도파관들은 경로를 따라 전자기파들의 형태로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된다. 유전체 도파관들은 통신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예컨대, 안테나를 라디오 주파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송신 라인들을 제공한다. 개방된 공간의 파동(wave)들은 모든 방향들로 전파되지만, 유전체 도파관들은 일반적으로 파동들을 제한하고 정의된 경로를 따라 파동들을 인도하며, 이는 도파관들이 비교적 긴 거리들에서 고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한다. [0003] Dielectric waveguides are used in communication applications to convey signals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along a path. Dielectric waveguides provide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devices, eg, for connecting an antenna to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and/or receiver. Waves in open space propagate in all directions, but dielectric waveguides generally limit the waves and guide them along a defined path, which allows the waveguides to transmit high frequency signals at relatively long distances. .

[0004] 유전체 도파관들은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둘 또는 그 초과의 유전체 재료들을 갖는다. 유전체는 인가된 전기장에 의해 분극될 수 있는 전기 절연 재료이다. 유전체 재료의 분극률(polarizability)은 유전 상수 또는 비유전율이라는 값으로 표현된다. 주어진 재료의 유전 상수는 정의상 1인 진공의 유전율에 대한 비(ratio)로서 표현되는 그의 유전체 유전율이다. 제 2 유전체 재료보다 큰 유전 상수를 갖는 제 1 유전체 재료는 제 2 유전체 재료보다, 분극화에 의해 더 많은 전하(electrical charge)를 저장할 수 있다. [0004] Dielectric waveguides include at least one dielectric material, and typically have two or more dielectric materials. Dielectrics ar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s that can be polarized by an applied electric field. The polarizability of a dielectric material is expressed in terms of a dielectric constant or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The dielectric constant of a given material is its dielectric permittivity expressed as the ratio to the permittivity of a vacuum, which is by definition 1.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dielectric material may store more electrical charge by polarization than the second dielectric material.

[0005] 일부 알려진 유전체 도파관들은 코어 유전체 재료 및 코어 유전체 재료를 둘러싸는 클래딩 유전체 재료를 포함한다. 코어 유전체 재료 및 클래딩 유전체 재료의 각각의 유전 상수들은, 치수들 및 다른 파라미터들에 더하여, 도파관을 통과하는 전자기장이 도파관 내에 어떻게 분포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알려진 유전체 도파관들에서, 전자기장은 통상적으로 코어 유전체 재료, 클래딩 유전체 재료 및 심지어 부분적으로는, 클래딩 유전체 재료의 외부(예를 들어, 도파관 외측의 공기 내에서)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분포를 갖는다. [0005] Some known dielectric waveguides include a core dielectric material and a cladding dielectric material surrounding the core dielectric material. The respectiv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core dielectric material and the cladding dielectric material, in addition to dimensions and other parameters, affect how the electromagnetic field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is distributed within the waveguide. In known dielectric waveguides, the electromagnetic field typically has a distribution extending radially through the outside of the core dielectric material, the cladding dielectric material, and even in part, the cladding dielectric material (eg, in the air outside the waveguide).

[0006] 유전체 도파관의 클래딩 외측에서 주변 환경으로 연장되는 전자기장의 부분들과 연관된 여러 이슈들이 있다. 첫째, 도파관 외측의 전자기장의 부분들은 다수의 유전체 도파관들이 케이블에 함께 번들링될 때 높은 크로스토크 레벨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크로스토크의 레벨은 도파관들을 통한 높은 변조 주파수 전파에 따라 증가한다. 둘째, 공기 중의 일부 전자기장은 도파관 내에서 전파되는 전자기장들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분산(dispersion)이라는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 효과로 이어진다. 분산은 신호의 일부 주파수 컴포넌트들이 신호의 다른 주파수 컴포넌트와 상이한 속도로 이동하여 신호 간 간섭을 초래할 때 발생한다. 셋째, 유전체 도파관은 인간의 손이 유전체 도파관을 터치하는 것과 같이 전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외부 물리적 영향들로 인한 간섭 및 신호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파관 외측의 전자기장의 부분들은 도파관의 굴곡(bend)들을 따라 손실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억제되지 않은 필드들(uncontained fields)은 도파관의 윤곽들을 따르는 대신 직선으로 방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0006] There are sever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portions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extending from outside the cladding of a dielectric waveguide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irst, portions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utside the waveguide can generate high crosstalk levels when multiple dielectric waveguides are bundled together in a cable, and the level of crosstalk increases with high modulated frequency propagation through the waveguides. Second, some electromagnetic fields in the air can travel faster than those propagating within the waveguide, which leads to an undesirable electrical effect called dispersion. Dispersion occurs when some frequency components of a signal travel at a different speed than other frequency components of the signal, resulting in interference between signals. Third, the dielectric waveguide may experience interference and signal degradation due to external physical influences interacting with an electromagnetic field, such as a human hand touching the dielectric waveguide. Finally, portions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utside the waveguide can be lost along the waveguide's bends, because uncontained fields tend to emit in a straight line instead of following the waveguide's contours. Because.

[0007] 이러한 이슈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하나의 잠재적 솔루션은 예컨대, 클래딩 층의 직경 또는 클래딩 층을 둘러싸는 유전체 외부 재킷 층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전체 도파관들의 전체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유전체 재료의 양을 증가시는 것은 보다 양호한 필드 봉쇄(field containment)를 제공하고 도파관 외측으로 전파되는 전자기장의 양 또는 범위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유전체 도파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도파관의 유연성 감소, 재료 비용들의 증가 및 주어진 영역 또는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도파관들의 수의 감소(예를 들어, 도파관들의 밀도 감소)를 포함하는 다른 단점들을 도입한다. [0007] One potential solution to at least some of these issues is to increase the overall diameter of the dielectric waveguides,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ladding layer or the diameter of the dielectric outer jacket layer surrounding the cladding layer. Increasing the amount of dielectric material provides better field containment and reduces the amount or extent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propagating out of the waveguide. However,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electric waveguide has other drawbacks, including reduced flexibility of the waveguide, increased material cost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waveguides that can fit in a given area or space (e.g., decreased density of waveguides). Introduce.

[0008] 다른 잠재적인 솔루션은 도파관의 외부 유전체 층과 결합되고 도파관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전기 도전성 차폐 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전성 재료로 유전체 도파관을 완전히 감싸는 것은, 전자기장들 중 일부들이 도전성 재료에서 표면 전류를 유도하기 때문에 도파관들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에너지 손실 레벨들(예를 들어, 삽입 손실 및/또는 리턴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높은 손실 레벨들은 전자기파가 도파관을 통해 전파되는 유효 길이를 단축시킨다. 또한, 전파되는 전자기파들과 상호작용하는 외부 금속 차폐 층들은 엄한 컷오프 주파수들을 갖는 바람직하지 않은 전파 모드들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특정 주파수들에서, 차폐 층들은 원하는 필드 전파를 완전히 중단하거나 "컷 오프"할 수 있다. [0008] Another potential solu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ing layer that is combined with the outer dielectric layer of the waveguide and surrounds the entire perimeter of the waveguide. However, completely enclosing a dielectric waveguide with a conductive material results in undesirable high energy loss levels in the waveguides (e.g., insertion loss and/or return loss) because som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s induce surface currents in the conductive material. Can cause. The high loss levels shorten the effective length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ropagating through the waveguide. In addition, outer metal shielding layers that interact with propagating electromagnetic waves can allow undesirable propagation modes with stringent cutoff frequencies. For example, at some specific frequencies, the shielding layers may completely stop or "cut off" the desired field propagation.

[0009] 수락 가능하게 낮은 손실 레벨들을 제공하고 원치않는 모드 전파를 회피하면서, 비교적 간결한 크기 및 외부 영향(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및 다른 간섭)에 대한 감소된 민감도를 갖는 고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Propagating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signals with a relatively concise size and reduced sensitivity to external influences (eg, crosstalk and other interference) while providing acceptable low loss levels and avoiding unwanted mode propagation There remains a need for a dielectric waveguide for.

[0010]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이 제공된다. 유전체 도파관은 클래딩 및 전기 도전성 차폐부를 포함한다. 클래딩은 제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몸체를 갖는다. 몸체는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 재료로 충전되는, 자신을 관통하는 코어 지역을 정의한다. 클래딩은 추가로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원위단부들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차폐부는 리브들의 원위단부들과 결합되고 클래딩 주변을 둘러싸서 몸체의 외부 표면과 차폐부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에어 갭(air gap)들이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0010] In one embodiment, a dielectric waveguide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is provided. The dielectric waveguide includes a cladding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The cladding has a body composed of a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body defines a region of the core passing through it, filled with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cladding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o the distal ends. The shield engages the distal ends of the ribs and surrounds the cladding so that air gaps are defined radiall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ield.

[0011]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이 제공된다. 유전체 도파관은 클래딩 및 전기 도전성 차폐부를 포함한다. 클래딩은 제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몸체를 갖는다. 몸체는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 재료로 충전되는, 자신을 관통하는 코어 지역을 정의한다. 클래딩은 추가로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원위단부들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리브들을 포함한다. 차폐부는 리브들의 원위단부들과 결합되고 클래딩 둘레로 둘러싸서 클래딩의 몸체의 외부 표면과 차폐부의 내부 표면 사이에 다수의 에어 갭들이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차폐부는 다수의 선형 벽들 및 인접한 선형 벽들 사이의 교차부의 코너들을 갖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리브들의 원위단부들은 차폐부의 코너와 결합된다. [0011] In another embodiment, a dielectric waveguide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is provided. The dielectric waveguide includes a cladding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The cladding has a body composed of a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body defines a region of the core passing through it, filled with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The cladding further comprises at least three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o the distal ends. The shield is engaged with the distal ends of the ribs and is wrapped around the cladding so that a number of air gaps are radially defi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cladd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ield. The shield has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with a number of linear walls and corners of intersections between adjacent linear walls. The distal ends of the ribs engage the corners of the shield.

[0012]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이 제공되며, 이 유전체 도파관은, 제 1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코어 지역 주위에 배열되는 클래딩, 및 코어 지역 내에 배열되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고, 코어 부재는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고, 클래딩은 코어 부재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원위단부들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들을 더 포함한다. 클래딩은 외부 쉘을 포함하며, 외부 쉘은 리브들의 원위단부들과 결합되고 코어 부재 주변을 둘러싸서 코어 부재의 외부 표면과 쉘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에어 갭들이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0012] In another embodiment, a dielectric waveguide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is provided, the dielectric waveguide comprising a cladding comprising a first dielectric material and arranged around a core region, and a core member arranged within the core region. Wherein the core member comprises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and the cladding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ribs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ember to distal ends. The cladding comprises an outer shell, the outer shell being engaged with the distal ends of the ribs and surrounding the core member so that air gaps are radially defi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0013] 도 1은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의 상부 사시도이다.
[0014]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2-2)을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도파관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0015] 도 3은 유전체 도파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0016]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의 단면도이다.
[0017]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의 단면도이다.
[0018]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의 단면도이다.
[0019]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의 사시도이다.
[0020]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의 사시도이다.
[0021]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전체 도파관의 단면도이다.
[0022] 도 10은 2개의 상이한 도파관 외부 직경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감쇠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0014]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ielectric waveguide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2-2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ielectric wavegu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waveguide shown in FIG. 8.
[0022]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ttenuation as a function of frequency for two different waveguide outer diameters.

[0023] 본원에서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은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도파관의 실시예들은, 원치않는 모드 전파 또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손실 레벨들을 도파관에 도입하지 않는 동시에, 크로스토크 및 다른 외부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도파관의 외측 상에 배치된 도전성 차폐부를 갖는다. 더 낮은 손실 레벨들은 도파관들이, 정의된 경로를 따라 더 멀리 신호들을 전달하도록 허용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에서, 유전체 연장 구조들은 클래딩 층을 넘어 연장되고 금속 호일과 같은 전기 도전성 차폐부를 지지한다. 연장 구조들은 선택적으로, 유전체 도파관의 클래딩 층의 부분으로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연장 구조들은 클래딩의 외부 표면 또는 경계로부터 떨어지거나 이격된 위치들에서 차폐부와 결합되고 이를 지지하여서, 공기-충전 갭들 또는 포켓들이 클래딩과 차폐부 사이에 정의된다, 연장 구조들은 가능한 많은 공기로 충전되는, 클래딩과 차폐부 사이의 공간 또는 가능한 한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 다른 유전체 재료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도파관의 길이를 따른 클래딩과 차폐부 사이의 체적 또는 공간 대부분은 공기가 차지할 수 있다. 이 전략은 유전체 도파관의 삽입 손실을 수락 가능하게 낮은 레벨로 유지하고, 주파수 컷오프들을 야기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전파 모드들의 발생을 회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고, 유전체 도파관의 합당한 외부 직경을 유지하고, 크로스토크 및 다른 외부 간섭에 대한 차폐를 제공한다. [0023] One or mor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relate to a dielectric waveguide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Embodiments of the dielectric waveguide have a conductive shiel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aveguide in a manner that reduces crosstalk and other external interference while not introducing unwanted mode propagation or undesirably high loss levels into the waveguide. Lower loss levels allow waveguides to carry signals further along a defined path.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dielectric elongate structures extend beyond the cladding layer and support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such as a metal foil. The elongated structures can optionally be extruded as part of the cladding layer of the dielectric waveguide. The elongated structures are joined and supported by the shield at locations separated or spaced from the outer surface or boundary of the cladding, so that air-filling gaps or pockets are defined between the cladding and the shield. May be configured to hold the space between the cladding and the shield or other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as low as possible. For example, air may occupy most of the volume or space between the cladding and the shield along the length of the dielectric waveguide. This strategy keeps the insertion loss of the dielectric waveguide at an acceptable low level, avoids or at least reduces the occurrence of undesirable propagation modes that can cause frequency cutoffs, maintains a reasonable outer diameter of the dielectric waveguide, and It provides shielding against torque and other external interference.

[0024] 도 1은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유전체 도파관(100)의 상부 사시도이다. 유전체 도파관(100)은 2개의 통신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유전체 도파관(100)의 길이를 따라 전자기파들 또는 전자기장들의 형태로 신호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들은 안테나들, 라디오 주파수 송신기들 및/또는 수신기들, 컴퓨팅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들, 스마트 폰들 등), 미디어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들, 서버들 등)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뎀들, 라우터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도파관(100)은 120 내지 160 GHz(gigahertz)와 같은 테라헤르츠 미만의 라디오 주파수 범위에서 고속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주파수 범위의 고속 신호들은 5 밀리미터 미만의 파장들을 갖는다. 유전체 도파관(100)은 변조된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변조된 RF 신호들은 데이터 쓰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직교 수학 도메인들에서 변조될 수 있다. 유전체 도파관(100)은 또한 본원에서 "도파관"(100)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100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electric waveguide 100 is configured to convey signals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or electromagnetic fields along the length of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not shown).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 antennas, radio frequency transmitters and/or receivers, computing devices (e.g., desktop or laptop computers, tablets, smart phones, etc.), media storage devices (e.g., hard drives). , Servers, etc.), network interface devices (eg, modems, routers, etc.), and the like.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may be used to transmit high-speed signals in a radio frequency range of less than terahertz, such as 120 to 160 GHz (gigahertz). High-speed signals in this frequency range have wavelengths of less than 5 millimeters.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may be used to transmit modulated radio frequency (RF) signals. Modulated RF signals can be modulated in orthogonal math domains to increase data throughput. Dielectric waveguide 100 may also be referred to herein as “waveguide” 100.

[0025] 도파관(100)은 수직 또는 높이(elevation) 축(191), 횡방향 축(192) 및 종방향 축(193)에 대해 배향된다. 축들(191-193)은 서로 수직이다. 높이 축(191)은 대체로 중력과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축들(191-193)은 중력에 대해 임의의 특정한 배향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파관(100)은 제 1 단부(102)와 제 2 단부(104) 사이의 길이를 연장하도록 길게 늘려진다(elongate).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길이를 따라 종방향 축(193)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도파관(100)은 도시된 선형 배향을 벗어나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 도파관(100)의 길이는, 연결될 2개의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 도파관(100)의 물리적 크기, 구조 및 재료들, 및 도파관(100)을 통해 전파되는 신호들의 주파수, 신호 품질 또는 무결성 요건들, 및 간섭을 야기할 수 있는 외부 영향들의 존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팩터들에 의존하여 1 미터 내지 50 미터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도파관(10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은 10-25 미터 범위의 길이들을 가지며 정의된 표준들에 따라 수락 가능한 신호 품질로 120 내지 160 GHz 사이의 주파수들을 갖는 고속 전자기 신호들을 전달할 수 있다. 단일 도파관(100)의 길이 보다 긴 거리만큼 이격되는 통신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해, 도파관(10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도파관들(100)과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대단 또는 측대측(side-to-side)). The waveguide 100 is orient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or elevation axis 191, a transverse axis 192 and a longitudinal axis 193. The axes 191-19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lthough the height axis 191 appears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gravity, it is understood that the axes 191-193 need not have any particula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gravity. The waveguide 100 elongates to extend a length between the first end 102 and the second end 10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waveguide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193 along its length, but the waveguide 100 may be configured to bend out of the linear orientation shown. The length of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mmunication devices to be connected, the physical size, structure and materials of the waveguide 100, and the frequency, signal quality or integrity requirements of the signals propagating through the waveguide 100. , And may range from 1 meter to 50 meter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presence of external influences that may cause interference. One or more embodiments of waveguide 100 disclosed herein have lengths in the range of 10-25 meters and carry high-speed electromagnetic signals having frequencies between 120 and 160 GHz with acceptable signal quality according to defined standards. I can. In order to connect communication devices spaced apart by a distance longer than the length of a single waveguide 100, the waveguide 100 may be combined with one or more other waveguides 100 (e.g., end-to-end or side Side-to-side).

[0026] 도파관(100)은 제 1 유전체 재료로 형성되는 몸체(106)를 갖는 클래딩(11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제 1 및 제 2 단부들(102, 104) 사이에서 도파관(100)의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몸체(1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단부들은 리세싱되거나 도파관(100)의 대응하는 단부들(102, 10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몸체(106)의 길이를 따라 자신을 관통하는 코어 지역(112)을 정의한다. 코어 지역(112)은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 재료로 충전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전체 재료들은 인가된 전자기장에 의해 분극될 수 있는 전기 절연체들이다. 몸체(106)의 제 1 유전체 재료는 코어 지역(112)의 제 2 유전체 재료를 둘러싼다. 클래딩(110)의 몸체(106)의 제 1 유전체 재료는 본원에서 클래딩 재료로서 지칭되고, 코어 지역(112)의 제 2 유전체 재료는 본원에서 코어 재료로서 지칭된다. 코어 재료는 클래딩 재료의 유전 상수 값과 상이한 유전 상수 값을 갖는다. 코어 지역(112)의 코어 재료는 고상 또는 기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등과 같은 고체 폴리머(solid polymer)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 재료는 공기(air)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스들일 수 있다. 공기는 약 1.0의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다. Waveguide 100 includes a cladding 110 having a body 106 formed of a first dielectric material. In an embodiment,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extends the entire length of the waveguide 1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102 and 104. Alternatively, one or both ends of body 106 may be recessed or protrude from corresponding ends 102, 104 of waveguide 100.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defines a core region 112 passing through it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106. The core region 112 is filled with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As used herein, dielectric materials are electrical insulators that can be polarized by an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of the body 106 surrounds the second dielectric material of the core region 112.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of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s referred to herein as a cladding material, and the second dielectric material of the core region 112 is referred to herein as a core material. The core material has a dielectric constant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ladding material. The core material of the core region 112 may be solid or gaseous. For example, the core material may be a solid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core material may be one or more gases such as air. Air has a low dielectric constant of about 1.0.

[0027] 코어 재료 및 클래딩 재료의 각각의 유전 상수들은 유전체 도파관(100) 내에서 전파되는 전자기장(또는 파)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도파관을 통한 전자기장은 적어도 1 내지 15 범위의 유전 상수들을 갖는 재료들에 대해서, 보다 큰 유전 상수를 갖는 재료 내에 집중된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 지역(112)의 코어 재료의 유전 상수는 클래딩 재료의 유전 상수보다 커서, 전자기장들은 일반적으로 코어 지역(112) 내에 집중되지만, 전자기장들 중 소량의 부분들이 클래딩(110)의 몸체(106) 내에 그리고/또는 몸체(106)의 외측에 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 재료의 유전 상수는 클래딩 재료의 유전 상수보다 작아서, 전자기장들은 일반적으로 클래딩(110)의 몸체(106) 내에 집중되고, 몸체(106)의 내부 및/또는 몸체(106)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코어 지역(112) 내에 소량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0027] The respectiv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core material and the cladding material affect the distribu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r wave) propagating within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In general, the electromagnetic field through the dielectric waveguide is concentrated in a material with a higher dielectric constant, for materials with dielectric constants in the range of at least 1-15. In one embodimen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ore material of the core region 112 is greater tha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ladding material,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s are generally concentrated within the core region 112, but a small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s are It may be distributed within the body 106 and/or outside the body 106. In another embodiment,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ore material is less tha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ladding material,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s are generally concentrated within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and/or the interior of the body 106 There may be a small number of portions within the core region 112 radially outwardly.

[0028] 일 실시예에서, 클래딩(110)은 추가로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rib)들(108)을 포함한다. 리브(108)는 외측 표면(116)에 고정된 근위단부(118)로부터 외측 표면(116)으로부터 떨어진 원위단부(120)로 연장되는 높이를 각각 갖는다. 리브들(108)은 제 1 및 제 2 단부들(102, 104) 사이에서 클래딩(110)의 몸체(106)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리브들(108)은 몸체(106)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클래딩(110)은 몸체(106) 및 그로부터 연장되는 리브들(108) 둘 모두를 포함하는 단일의 원-피스 구조이다. 대안적으로, 리브들(108)은 예컨대, 접착제 또는 다른 본딩제, 기계적 패스너 등을 통해 몸체(106)에 장착되는 별개의 이산 컴포넌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ladding 110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ribs 108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he ribs 108 each have a height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118 secured to the outer surface 116 to a distal end 120 away from the outer surface 116. The ribs 108 extend longitudinally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102, 104. In an embodiment, the ribs 108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106 so that the cladding 110 is a single one-piece structure comprising both the body 106 and the ribs 108 extending therefrom. . Alternatively, the ribs 108 may be separate discrete components that are mounted to the body 106 via, for example, an adhesive or other bonding agent, mechanical fastener, or the like.

[0029] 유전체 도파관(100)은 추가로, 클래딩(110) 주변을 둘러싸는 전기 도전성 차폐부(114)를 포함한다. 차폐부(114)는 차폐부(114)에 전기 도전성 성질들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금속들로 구성된다. 차폐부(114)는 크로스토크 및 신호 송신을 저하시키는 다른 형태의 간섭에 대하여 도파관(100)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폐부(114)는 클래딩(110)의 몸체(106)의 전체 외부 표면(116)과 직접 결합되지 않아서, 적어도 일부의 에어 갭들(127)이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 사이에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차폐부(114)는 클래딩(110)의 둘레 주위에서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과 결합된다. 원위단부들(120)이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리브들(108)은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차폐부(114)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여 그 사이에 에어 갭(127)을 정의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에서,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은 리브들(108)의 원위단부(120)와 결합되고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별 에어 갭들(127)이 인접한 리브들(108)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에어 갭들(127)은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은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의 (전부가 아닌) 일부 부분들과 결합된다. "에어 갭들"로서 설명되지만, 갭들(127)은 공기 대신에 또는 공기에 추가로, 공기 이외의 다른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스들이 차지할 수 있다. [0029]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further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114 surrounding the cladding 110. Shield 114 is comprised of one or more metals that provide electrically conductive properties to shield 114. The shielding portion 114 provides electromagnetic shielding for the waveguide 100 against crosstalk and other forms of interference that degrade signal transmiss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hield 114 is not directly coupled with the entir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 air gaps 127 ar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6 It is defined radially between 116 and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For example, shield 114 engages distal ends 120 of ribs 108 around the perimeter of cladding 110. Because the distal ends 120 are spaced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he ribs 108 mainta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hield 114 at a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116 Define an air gap 127 between them.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is engaged with the distal end 120 of the ribs 108 and not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 Thus, individual air gaps 127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adjacent ribs 108, and the air gaps 127 are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and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 Extends radially between.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engages some (but not all)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Although described as “air gaps”, the gaps 127 may be occupied by one or more gases other than air,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air.

[0030] 차폐부(114)는 클래딩(110)을 완전히 둘러싼다. 예를 들어, 차폐부(114)는 실질적으로 도파관(100) 및/또는 클래딩(110)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중공 실린더 또는 프리즘이다. 차폐부(114)는 그의 길이를 따라 차폐부(114)를 통하는 캐비티(130)를 형성한다. 캐비티(130)는 도파관(100)의 제 1 단부(102) 및 제 2 단부(104)에서 개방된다. 클래딩(110)이 캐비티(130)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차폐부(114)의 외부 표면(132)은 도파관(100)의 외부 경계를 정의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폐부(114)는 클래딩(110)의 형상과 일치(conform)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114)는 클래딩(110) 주위에 감겨질 수 있거나 또는 차폐부(114)는 열 및/또는 고압의 인가에 응답하여 압축되거나 또는 좁아지는 열-수축 튜빙(heat-shrink tubing)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폐부(114)는 강성 또는 반-강성 벽들을 갖는 금속 프리즘과 같이 클래딩(110)과 일치하지 않는 미리-형성된 용기일 수 있다. The shield 114 completely surrounds the cladding 110. For example, shield 114 is a hollow cylinder or prism that extends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waveguide 100 and/or cladding 110. The shield 114 forms a cavity 130 through the shield 114 along its length. The cavity 130 is opened at the first end 102 and the second end 104 of the waveguide 100. The cladding 110 is disposed within the cavity 130. In an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132 of the shield 114 defines the outer boundary of the waveguide 100.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shielding portion 114 may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ladding 110. For example, the shield 114 may be wound around the cladding 110 or the shield 114 may be compressed or narrowed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heat and/or high pressure heat-shrink tubing. tubing). Alternatively, the shield 114 may be a pre-formed container that does not match the cladding 110, such as a metal prism with rigid or semi-rigid walls.

[0031]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파관(100)은 추가로, 차폐부(114)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클래딩(1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재킷(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108)은 클래딩(110)으로부터 외부 재킷을 통해 연장되거나 외부 재킷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재킷은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에어 갭들은 재킷의 외부 표면과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 사이에 정의된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waveguid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jacket (not shown) that at least partially surrounds the cladding 110 radially inside the shield 114. Ribs 108 may extend through the outer jacket from cladding 110 or may exten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jacket. The outer jacket is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Air gaps are defi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jacket and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003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2-2)을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몸체(106)의 직경은 1 내지 10 mm,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4 mm일 수 있다. 코어 지역(112)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코어 지역(112)의 직사각형 형상은 대략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그것을 관통하여 전파되는 전자기파들의 필드 분극을 지지할 수 있다. 코어 지역(112)의 단면적은 0.08 내지 3 mm2,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1 mm2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지역(112)은 고체 코어 부재(solid core member)(122)로 충전된다. 코어 부재(122)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TFE,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이들의 결합들을 포함함)과 같은 (코어 재료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폴리머 재료로 구성된다. 코어 부재(122)는 코어 부재(122)의 외부 표면(124)과 코어 지역(112)을 정의하는 몸체(106)의 내부 표면(126) 사이에 어떠한 틈들 또는 갭들도 존재하지 않도록 코어 지역(112)을 충전한다. 클래딩(110)은 코어 부재(122)의 길이를 따라 코어 부재(122)와 결합되고 이를 둘러싼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코어 재료는 고체 코어 부재(122) 대신에 공기 또는 다른 가스-상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waveguide 100 shown in FIG. 1 taken along the line 2-2 shown in FIG. 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diameter of the body 106 may be 1 to 10 mm, or more specifically 2 to 4 mm. The core region 112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ore region 112 may support field polariz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through it in an approximately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region 112 may be 0.08 to 3 mm 2 , more specifically 0.1 to 1 mm 2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re region 112 is filled with a solid core member 122. The core member 122 is composed of at least one dielectric polymer material (defining the core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TFE, polystyrene, polyimide, polyamide, etc. (including combinations thereof). The core member 122 has the core region 112 so that there are no gaps or gaps between the outer surface 124 of the core member 122 and the inner surface 126 of the body 106 defining the core region 112. ). The cladding 110 is coupled to and surrounds the core member 122 along the length of the core member 122.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re material may be air or other gaseous dielectric material instead of the solid core member 122.

[0033]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TFE,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이들의 결합들을 포함함)과 같은 유전체 폴리머 재료로 구성된다. 이들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도파관(100)이 더 긴 거리들에 대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허용하는 낮은 손실 특성들을 갖는다. 클래딩 재료가 코어 재료와 상이하여서, 코어 부재(122)와 클래딩(110)의 몸체(106) 사이의 계면을 가로질러 도파관(100)의 유전 상수가 변한다. 실시예에서, 리브들(108)은 클래딩(110)의 몸체(106)와 동일한 유전체 폴리머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브들(108)은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체형 연장부들일 수 있다. 따라서, 리브들(108)은 몸체(106)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클래딩(110)은 단일의 원-피스 구조일 수 있다. 클래딩(110)은 압출, 금형, 연신(drawing), 융합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브들(108)은 몸체(106)와 별개로 형성되고, 접착제, 기계적 패스너 등에 의해 형성 이후에 몸체(106)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s made of a dielectric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TFE, polystyrene, polyimide, polyamide, and the like (including combinations thereof). These materials generally have low loss properties that allow waveguide 100 to transmit signals over longer distances. Since the cladding material is different from the core material,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waveguide 100 changes across the interface between the core member 122 and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n an embodiment, the ribs 108 are made of the same dielectric polymer material as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For example, the ribs 108 may be integral exten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hus, the ribs 108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106, so that the cladding 110 can be a single one-piece structure. The cladding 110 may b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 drawing, fusion, or the lik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ribs 108 are formed separately from the body 106 and may be fixed to the body 106 after formation by means of an adhesive, mechanical fastener, or the like.

[0034] 예시된 실시예에서, 클래딩(110)은 4개의 리브들(108)을 포함한다. 리브들(108)은 몸체(106)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다. 예를 들어, 근위단부들(118)로부터 원위단부들(120)까지의 리브들(108)의 높이들은 몸체(106)의 원형 단면의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는 축들 또는 광선들(133)을 따라 배향된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들(108)은 몸체(106)의 원주 주위에서 서로 균등하게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들(108)은 몸체(106)의 원주 주위에서 약 90도 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리브들(108) 중 적어도 일부는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동일한 방사상 높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리브들(108) 모두는 대체로 서로 동일한 높이뿐만 아니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코어 지역(112)의 직사각형(oblong) 형상을 무시한, 리브들(108) 및 몸체(106)를 포함하는 클래딩(110)의 단면 형상은, 몸체(106)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4개의 대칭 라인들(예를 들어, 광선들(133)을 따른 2개의 대칭 라인들, 높이 축(191)을 따른 하나의 라인 및 횡방향 축(192)을 따른 하나의 라인)을 따라 대칭적이다. 도 2에 도시된 클래딩(110)은 차폐부(114)의 캐비티(130)에서 중심에 로케이팅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ladding 110 includes four ribs 108. Ribs 108 extend radially from the body 106,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heights of the ribs 108 from the proximal ends 118 to the distal ends 120 are oriented along intersecting axes or rays 133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body 106 do. Also,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ibs 108 are evenly spac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06. More specifically, the ribs 10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106. At least some of the ribs 108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o the same radial height.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l four ribs 108 have a generally equal height as well as a generally equal wid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ladding 110 including ribs 108 and body 106, ignoring the oblong shape of the core region 112, is at least four symmetrical extend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ody 106 It is symmetrical along the lines (eg, two lines of symmetry along the rays 133, one line along the height axis 191 and one line along the transverse axis 192 ). The cladding 110 shown in FIG. 2 is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cavity 130 of the shield 114.

[0035] 차폐부(114)는 구리, 알루미늄, 은 등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금속들 또는 금속 합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폐부(114)는 유전체 폴리머 내에 금속 입자들을 분산시킴으로써 형성된 도전성 폴리머일 수 있다. 차폐부(114)는 금속 호일, 도전성 테이프, 시트 금속의 얇은 패널, 도전성 열 수축 튜빙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차폐부(114)는 클래딩(110) 주위에 호일 또는 테이프를 비교적 단단히 감거나 권취함으로써 클래딩(110)에 적용될 수 있다. 열 수축 튜빙의 경우에, 클래딩(110)이 캐비티(13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 후 열 및/또는 고압이 적용되어 차폐부(114)를 수축시키고 클래딩(110)의 윤곽들을 따르게 한다. 강성 또는 반-강성 벽들을 갖는 미리-형성된 차폐부(114)의 경우에, 클래딩(110)이 캐비티(130) 내로 로딩되고, 인터퍼런스 피트(interference fit), 접착제 또는 기계적 패스너를 통해 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Shield 114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etals or metal alloys including copper, aluminum, silver,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shield 114 may be a conductive polymer formed by dispersing metal particles in a dielectric polymer. The shielding part 114 may be in the form of a metal foil, a conductive tape, a thin panel of sheet metal, and conductive heat shrink tubing. The shield 114 can be applied to the cladding 110 by relatively tightly winding or winding a foil or tape around the cladding 110. In the case of heat shrink tubing, the cladding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avity 130, after which heat and/or high pressure is applied to shrink the shield 114 and follow the contours of the cladding 110. In the case of a pre-formed shield 114 with rigid or semi-rigid walls, the cladding 110 is loaded into the cavity 130 and in place via an interference fit, adhesive or mechanical fastener. Can be maintained.

[0036] 차폐부(114)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폐부(114)는 4개의 선형 벽들(136) 및 인접한 벽들(136) 사이의 교차부들의 코너들(138)을 갖는 직사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도 2에 도시된 코너들(138)은 형상이 비스듬하거나 경사지고 대응하는 인접한 벽들(136) 사이에서 90도 각도들을 형성하지 않는다. 코너들(138)은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과 결합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도 2의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은 편평하며, 차폐부(114)의 코너들(138)은 편평한 단부들(120)과 일치할 수 있어, 도시된 비스듬하거나 경사진 형상들을 발생시킨다. 차폐부(114)의 벽들(136) 각각은 2개의 인접한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벽들(136) 중 적어도 일부는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 갭들(127)이 몸체(106)로부터 이격된 벽들(136)을 따라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과 외부 표면(116)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Shield 114 has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hield 114 is rectangular (eg, rectangular or square) with four linear walls 136 and corners 138 of intersections between adjacent walls 136. The corners 138 shown in FIG. 2 are oblique or inclined in shape and do not form 90 degree angles between corresponding adjacent walls 136. Corners 138 are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distal ends 120 of ribs 108. The distal ends 120 of the ribs 108 of FIG. 2 are flat, and the corners 138 of the shield 114 may coincide with the flat ends 120, so that the illustrated oblique or inclined shape Raises them. Each of the walls 136 of the shield 114 extends linearly between the distal ends 120 of two adjacent ribs 108. In an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walls 136 are not directly bonded to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hus, air gaps 127 are defined radially between the inner surface 128 and outer surface 116 of the shield 114 along the walls 136 spaced from the body 106.

[0037] 예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개별 에어 갭들(127)이 차폐부(114)와 클래딩(110) 사이에 정의된다. 각각의 리브(108)는 제 1 측(140) 및 대향하는 제 2 측(142)을 포함한다. 에어 갭들(127)은 리브들(108)의 제 1 및 제 2 측들(140, 142) 둘 모두를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 1 에어 갭(127A)은, 제 1 리브(108A)와 제 1 리브(108A)에 인접한 제 2 리브(108B) 사이에서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의 세그먼트(144)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폐쇄된 영역 또는 공간이다. 폐쇄된 영역은 또한 제 1 리브(108A)의 제 2 측(142) 및 제 2 리브(108B)의 제 1 측(140)에 의해 정의된다. 폐쇄된 영역은 추가로, 몸체(106)의 세그먼트(144)에 대향하는 제 1 벽(136A)을 따른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에 의해 정의된다. 제 1 벽(136A)은 2개의 인접한 코너들(138A, 138B) 사이에서 연장된다. 인접한 코너들(138A, 138B)은 각각, 제 1 및 제 2 리브들(108A, 108B)의 원위단부들(120)과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에어 갭들(127)은 에어 갭(127A)과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separate air gaps 127 are defined between the shield 114 and the cladding 110. Each rib 108 includes a first side 140 and an opposite second side 142. Air gaps 127 are defined along both the first and second sides 140, 142 of the ribs 108. For example, the first air gap 127A is a segment 144 of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between the first rib 108A and the second rib 108B adjacent the first rib 108A. ) Is a closed area or space defined in part by. The closed area is also defined by the second side 142 of the first rib 108A and the first side 140 of the second rib 108B. The closed area is further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along the first wall 136A opposite the segment 144 of the body 106. The first wall 136A extends between two adjacent corners 138A, 138B. Adjacent corners 138A and 138B are coupled with distal ends 120 of the first and second ribs 108A and 108B,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ther air gaps 127 may have the same or at least similar size and shape as the air gap 127A.

[0038] 리브들(108)이 클래딩(110)의 몸체(106)로부터 차폐부(114)까지 연장되는 고체 유전체 재료들이지만, 실시예에서, 몸체(106)와 차폐부(114) 사이의 단면적 대부분은 공기가 차지한다. 따라서, 리브들(108)은 리브들(108) 사이에 비교적 큰 에어 갭들(127)을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얇은 폭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리브들(108)은 리브들(108)에 인가되는 인장력 및 다른 힘들로부터 구부러지거나 변형됨 없이 차폐부(114)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적으로 견실한 베이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넓게 되도록 설계된다. 적어도, 인접한 리브들(108) 사이에서 외부 표면(116)을 따른 각각의 세그먼트(144) 대부분은 차폐부(114)에 의해 결합되는 대신 공기에 노출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폐부(114)의 벽들(136)이 세그먼트들(144) 중 어느 것과도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리브들(108) 사이의 각각의 세그먼트들(144) 전체가 공기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리브들(108)은 몸체(106)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서,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은 원형 몸체(106)가 내접되는 가상 정사각형의 둘레를 넘어 돌출한다. 원위단부들(120) 중 적어도 하나가 가상 정사각형의 둘레를 넘어 돌출하지 않는 경우, 선형 벽들(13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의 세그먼트들(144)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 결합될 것이다. Although the ribs 108 are solid dielectric materials extending from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to the shielding part 114, in th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body 106 and the shielding part 114 Most are occupied by air. Thus, the ribs 108 may have relatively thin widths to provide relatively large air gaps 127 between the ribs 108. However, the ribs 108 are designed to be wide enough to provide a structurally sound base for supporting the shield 114 without bending or deforming from tension and other forces applied to the ribs 108. At least, most of each segment 144 along outer surface 116 between adjacent ribs 108 is exposed to air instead of being joined by shield 11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nce the walls 136 of the shield 114 are not joined with any of the segments 144, the entirety of each of the segments 144 between the ribs 108 is exposed to air. do. For example, the ribs 108 extend radially from the body 106 so that the distal ends 120 of the ribs 108 protrude beyond the circumference of the imaginary square to which the circular body 106 is inscribed. If at least one of the distal ends 120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perimeter of the imaginary square, one or more of the linear walls 136 is one of the segments 144 of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Or will be combined with more.

[0039] 공기는 코어 부재(122) 및/또는 클래딩(110)에 대해 사용되는 고체 폴리머들(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PTFE)의 유전 상수들보다 낮은 약 1.0의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다. 더 낮은 유전 상수로 인해, 클래딩(110) 주위에 공기를 제공하는 것은, 클래딩(110) 주위에 고체 폴리머 재킷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도파관(100)의 코어 지역(112) 및 클래딩(110) 내에서 전자기장 봉쇄를 개선시킨다. 코어 지역(112) 및 클래딩(110) 내의 전자기장들의 더 양호한 봉쇄는 전자기장들 중 일부가 도전성 차폐부(114)와 상호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실 및 바람직하지 않은 전파 모드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신호 송신을 개선한다. Air has a low dielectric constant of about 1.0, which is lower than th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solid polymers (eg,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TFE) used for the core member 122 and/or cladding 110 . Due to the lower dielectric constant, providing air around the cladding 110 is within the core region 112 and cladding 110 of the waveguide 100, compared to providing a solid polymer jacket around the cladding 110. To improve the containment of electromagnetic fields. Better containment of electromagnetic fields within core region 112 and cladding 110 improves signal transmission by reducing undesirable propagation modes and losses that may occur when som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s interact with conductive shield 114 .

[0040] 또한, 공기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봉쇄는 도파관(100)의 전체 직경이 고체 폴리머 재킷 층을 갖는 기준 도파관(reference waveguide) 보다 작게 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차폐부(114)는 16mm2의 총 단면적에 대해 4mm의 높이 축(191)을 따르는 높이 및 4mm의 횡방향 축(192)을 따르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더 낮은 유전 상수 및 공기의 필드 봉쇄 성질들로 인해, 몸체(106)와 유사한 클래딩과 차폐부(114)와 유사한 차폐부 사이에 고체 유전체 폴리머 외부 재킷을 갖는 기준 유전체 도파관은 에어 갭들(127)을 갖는 예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필드 봉쇄를 달성하기 위해 16 mm2보다 큰 전체 단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재킷의 고체 유전체 재료에 의존하여, 기준 도파관의 전체 영역의 단면적은 20 mm2 또는 그 초과일 수 있다. 기준 도파관의 증가된 크기는 감소된 유연성, 증가된 재료 비용, 주어진 크기의 도파관들의 번들에서 더 낮은 도파관 밀도 등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improved containment provided by air allows the overall diameter of the waveguide 100 to be smaller than a reference waveguide with a solid polymer jacket layer. For example, the shield 114 shown in FIG. 2 may have a height along the height axis 191 of 4 mm and a width along the transverse axis 192 of 4 mm for a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16 mm 2 . Due to the lower dielectric constant and the field-blocking properties of air, a reference dielectric waveguide with a solid dielectric polymer outer jacket between the body 106-like cladding and the shield 114-like shield will close the air gaps 127.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n overall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16 mm 2 to achieve the same field containment as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ving.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olid dielectric material of the jacket us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reference waveguide can be 20 mm 2 or more. The increased size of the reference waveguide is undesirable due to the reduced flexibility, increased material cost, lower waveguide density in a bundle of waveguides of a given size, and the like.

[0041] 도 3은 유전체 도파관(1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컴포넌트들과 유사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식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실시예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도파관(100)은,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직사각형 차폐부(114)의 코너들(138)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들(108)을 갖는 클래딩(110)의 대체로 원형 몸체(106)를 갖는다. 그러나,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차폐부(114)의 캐비티(130) 내에서 중심에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몸체(106)는 다른 3개의 코너들(138A, 138B, 138C)에 대한 몸체(106)의 위치보다 하나의 코너(138D)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클래딩(110)의 코어 지역(112)이 원형 몸체(106)의 중심에 있더라도, 코어 지역(112)은 차폐부(114)에 대해 오프셋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 지역(112)은 차폐부(114)에 대한 보다 중심 위치에서와 같이, 원형 몸체(106)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ielectric waveguide 100.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re identified by the same reference numbers. Like the embodiment of the waveguide 100 shown in FIGS. 1 and 2, the waveguide 1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the corners of the rectangular shield 114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It has a generally circular body 106 of cladding 110 with four ribs 108 extending radially at 138. However,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s not centered within the cavity 130 of the shield 114. For example, the body 106 is disposed closer to one corner 138D than the position of the body 106 relative to the other three corners 138A, 138B, 138C. Although the core region 112 of the cladding 110 is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body 106, the core region 112 is offset relative to the shield 114. In another embodiment, the core region 112 may be offset relative to the circular body 106, such as in a more central position relative to the shield 114.

[0042] 코너(138D)와 결합되는 리브(108D)는 다른 리브들(108A, 108B, 108C)보다 작은 방사상 높이를 갖는다. 또한,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2개의 벽들(136C, 136D)을 따라 차폐부(114)의 내부 표면(128)과 결합된다. 그러나, 차폐부(114)는 몸체(106)의 전체 둘레와 결합되진 않는다. 코너(138D)에 대향하고 몸체(106)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코너(138B)에 가깝게 배치된 2개의 큰 에어 갭들(127A, 127B)을 포함한 다수의 에어 갭들(127)이 몸체(106)와 차폐부(114) 사이에 정의된다. [0042] The rib 108D coupled with the corner 138D has a smaller radial height than the other ribs 108A, 108B, 108C. Further,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is coupled with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ield 114 along two walls 136C, 136D,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 However, the shield 114 is not couple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body 106. A plurality of air gaps 127 including two large air gaps 127A and 127B disposed opposite the corner 138D and close to the corner 138B furthest from the body 106 is the body 106 and the shield. It is defined between (114).

[0043] "중심 도파관"으로서 지칭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전체 도파관(100)의 실시예는 "코너 도파관"으로서 지칭되는, 도 3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실시예 및 전기 도전성 차폐부가 없는 기준 도파관과 함께 실험적으로 테스트되었다. 3개의 도파관들은 120-160 GHz의 범위에 걸쳐 테스트되었다. 140GHz에서 기준 도파관의 삽입 손실은 0.882dB/m(미터당 데시벨)로 측정된 반면에, 중심 도파관 및 코너 도파관의 삽입 손실들은 각각 0.950dB/m 및 1.267dB/m이었다. 중심 도파관 및 코너 도파관의 삽입 손실들은 어떠한 차폐부도 없는 기준 도파관보다 약간만 높았다. 따라서, 중심 도파관 및 코너 도파관 둘 모두는, 크로스토크 및 다른 간섭에 대한 차폐(이는 기준 도파관에는 없음)를 제공하면서, 수락 가능하게 낮은 손실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둘 중에서, 반사 손실과 관련하여, 0.950dB/m의 중심 도파관은 1.267dB/m의 코너 도파관보다 약간 양호한 것으로 테스트되었다. [0043] An embodiment of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shown in FIGS. 1 and 2, referred to as a “center waveguide”, is an embodiment of the waveguide 100 shown in FIG. 3 and referred to as a “corner waveguide”. It was tested experimentally with a reference waveguide without a conductive shield. Three waveguides were tested over a range of 120-160 GHz. At 140 GHz, the insertion loss of the reference waveguide was measured as 0.882 dB/m (decibels per meter), while the insertion loss of the center waveguide and the corner waveguide were 0.950 dB/m and 1.267 dB/m, respectively. The insertion losses of the center waveguide and the corner waveguide were only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waveguide without any shielding. Thus, both the center waveguide and the corner waveguide can have acceptable low loss levels while providing shielding against crosstalk and other interference (which is not present in the reference waveguide). Of the two, with regard to return loss, the center waveguide of 0.950 dB/m was tested to be slightly better than the corner waveguide of 1.267 dB/m.

[0044]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100)의 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원형 단면 형상 및 몸체(106)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리브들(108)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리브들(108)은 몸체(106) 주위에서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브들(108)은 약 120도 각도로 서로 이격된다. 몸체(106)로부터 원위단부들(120)까지의 리브들(108)의 방사상 높이들은, 차폐부(114)의 벽들(136)이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결합되지 않도록 몸체(106)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차폐부(114)를 지지하고 유지하도록 비교적 높을(또는 길) 수 있다. 도파관(100)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에어 갭들(127)을 정의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ree ribs 108 extending radially from the body 106. 1 and 2, the ribs 108 are evenly spaced circumferentially from each other around the body 106. More specifically, the ribs 10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angle of about 120 degrees. The radial heights of the ribs 108 from the body 106 to the distal ends 120 are such that the walls 136 of the shield 114 do not engage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106) can be relatively high (or long) to support and hold shield 114 at a sufficient distance. Waveguide 100 defines three air gaps 127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0045] 차폐부(114)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발생시키도록 리브들(108) 주위에 감겨진 금속 호일 또는 도전성 테이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폐부(114)는 리브들(108)과 일치하는 도전성 열 수축 튜빙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은 둥글게 되어서, 차폐부(1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경사진 코너들(138)과 대조적으로 곡선 코너들(138)을 갖는다.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일반적으로 차폐부(114)의 캐비티(130) 내에서 중심에 있다. Shield 114 may be a metal foil or conductive tape wound around the ribs 108 to generate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lternatively, shield 114 may be a conductive heat shrink tubing matched with ribs 108. As shown in Figure 4, the distal ends 120 of the ribs 108 are rounded, so that the shield 114 has a curved corner in contrast to the beveled corners 138 shown in Figures 1 and 2 Have 138.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s generally centered within the cavity 130 of the shield 114.

[0046]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100)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클래딩(110)의 몸체(106)는 4개의 코너들(150)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몸체(106)에 형성된 코어 지역(112)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클래딩(110)은 추가로 몸체(106)의 코너들(150)로부터 대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들(108)을 포함한다. 4개의 리브들(108) 각각은 코너들(150) 중 상이한 하나로부터 연장된다. 리브들(108)은, 차폐부(114)의 벽들(136) 중 어느 것도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직접 결합되지 않도록 몸체(10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차폐부(114)를 지지 및 유지한다. 도파관(100)은 도 5에서 4개의 에어 갭들(127)을 정의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FIG. 5,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four corners 150. The core region 112 formed in the body 106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ladding 110 further includes four ribs 108 extending generally radially from the corners 150 of the body 106. Each of the four ribs 108 extends from a different one of the corners 150. The ribs 108 hold the shield 114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dy 106 so that none of the walls 136 of the shield 114 are directly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Support and maintain. Waveguide 100 defines four air gaps 127 in FIG. 5.

[0047]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유전체 도파관(100)의 실시예들은 모두 3개 또는 4개의 리브들(108)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4개 초과의 리브들(108) 또는 4개 미만의 리브들(1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클래딩(110)의 몸체(106)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리브들(108)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100)의 단면도이다. 2개의 리브들(108) 중 제 1 리브(108A)는 차폐부(114)의 제 1 벽(136A)과 결합되고, 제 2 리브(108B)는 차폐부(114)의 제 2 벽(136B)과 결합된다.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은 차폐부(114)의 제 3 벽(136C) 및 제 4 벽(136D)과 결합된다. 차폐부(114)의 벽들(136A-D)은 차폐부(114)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반-강성일 수 있다. 벽들(136A-D)은 얇은 금속 패널들 또는 시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114)는 자체-지지되는 미리-형성된 용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딩(110)의 어떠한 부분들도 차폐부(114)를 지지하기 위해 차폐부(114)의 코너들(138)과 결합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브들(108A, 108B)은, 몸체(106)로부터 떨어져 있게 벽(136A-D)을 유지하기 위해 차폐부(114)를 지지하기 보다는, 차폐부(114)의 캐비티(130) 내에 클래딩(110)을 포지셔닝 및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클래딩(110)이 캐비티(130) 내에 쐐기로 고정(wedge)될 수 있어서, 클래딩(110)은 모든 4개의 벽들(136A-D)과 결합되고 차폐부(114)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도파관(100)은 몸체(106)와 차폐부(114) 사이에 4개의 에어 갭들(127)을 정의한다. [0047] The embodiments of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shown and described above all have three or four ribs 108, but other embodiments include more than four ribs 108 or less than four ribs. S 108 may be included. For examp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lectric waveguid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two ribs 108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Of the two ribs 108, the first rib 108A is coupled with the first wall 136A of the shield 114, and the second rib 108B is the second wall 136B of the shield 114 Is combined with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is engaged with the third wall 136C and the fourth wall 136D of the shield 114. The walls 136A-D of the shield 114 may be at least semi-rigid to support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ield 114. The walls 136A-D may be formed of thin metal panels or sheets. For example, shield 114 can be a self-supporting pre-formed container. As shown, no portions of the cladding 110 are engaged with the corners 138 of the shield 114 to support the shield 114.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ribs 108A, 108B, rather than supporting the shield 114 to keep the walls 136A-D away from the body 106, the shield 114 It is used to position and hold the cladding 110 within the cavity 130 of the. For example, the cladding 110 may be wedge within the cavity 130, so that the cladding 110 is joined with all four walls 136A-D and is perpendicular to the shield 114. Or it may be forbidden to move or rot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waveguide 100 shown in FIG. 6 defines four air gaps 127 between the body 106 and the shield 114.

[0048]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유전체 도파관들(섬유들라고도 함)은 낮은 손실들로 밀리미터-파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 10 Gbit/s)을 갖는 통신 링크들에 대해 유용할 수 있다. 이 섬유들의 아이디어는 도파관을 따라 전파되는 파동을 자극하는 것이다. 도파관이 순수 유전체로 구성되고 어떠한 금속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동하는 파의 전자기장 분포는 섬유 주위의 매체(일반적으로 공기) 내에서 그리고 유전체 내에서 전파되는 부분들로 세분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Dielectric waveguides (also called fibers) can be used to transmit millimeter-wave signals with low losses. This can be useful for communication links with high data rates (> 10 Gbit/s). The idea of these fibers is to stimulate waves propagating along the waveguide. When the waveguide is composed of a pure dielectric and does not contain any metal,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of the moving wave is subdivided into parts that propagate within the dielectric and within the medium around the fiber (usually air).

[0049] 유전체의 tanD로 인해, 섬유 내의 모든 필드 부분들이 감쇠된다. 트레이드-오프가 나타나는데, 높은 유전 상수를 가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필드는 주로 섬유 내에 포커싱된다. 이는, 이러한 필드 부분은 재료 손실들에 의해 감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실-팩터를 감소시키기 위해, 낮은 tanD를 갖는 재료가 사용할 수 있거나(이는 찾기 어려울 수 있음), 또는 유전 상수가 감소되어 섬유 주위의 필드 부분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필드가 환경적 영향들에 의해, 즉 섬유에 근접하게 되거나, 그것을 터치하거나, 또는 그것을 금속 오브젝트들에 근접하게 포지셔닝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ue to the tanD of the dielectric, all field parts in the fiber are attenuated. A trade-off appears: by using a material with a high dielectric constant, the field is mainly focused within the fiber. This means that this part of the field is attenuated by material losses. To reduce the loss-factor, a material with a low tanD can be used (which can be difficult to find), or the dielectric constant can be reduced to increase the field portions around the fiber. This means that the field can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influences, ie by coming close to the fiber, touching it, or positioning it close to metal objects.

[0050]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고체 재료로 제조된 코어 부재(122)를 갖는 도파관(1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코어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이들의 결함들을 포함함)과 같은 고체 폴리머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라, 코어 부재(122)의 유전 상수 값과 상이한 유전 상수 값을 갖는 클래딩은 본질적으로 에어 갭들(127) 내에 포함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에어 갭들(127)은 코어 부재(122)의 외부 표면과 코어 부재(122)로부터 이격된 쉘(113)의 내부 표면(128) 사이에 방사상으로 정의된다. 쉘(113)은 예를 들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물론, 전기 도전성 차폐부(114)에 대해 이전에 고려된 임의의 다른 단면 형상이 또한 쉘(113)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7, a waveguide 100 having a core member 122 made of a solid material is shown. For example, as mentioned above, the core material may be a solid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styrene, polyimide, polyamide, etc. (including their defec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ladding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e member 122 is essentially formed by air contained within the air gaps 127. These air gaps 127 are defined radiall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ember 122 and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ell 113 spaced from the core member 122. The shell 113 may have, for exampl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Further, of course, any other cross-sectional shape previously considered f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 114 may also be used for the shell 113.

[0051] 지지 리브들(108)은 코어 부재(122)와 쉘(113)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리브들(108)은 코어 부재(122)의 원주 주위에 등거리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리브들(108)은 도파관(100)의 신호 안내 특성들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얇게 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도파관(100)의 단면적 중 소량만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약 0.2 ㎜의 벽 두께는 2 mm2의 단면적을 갖는 코어 부재(122)와 함께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왔다. 물론 다른 값들이 또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Support ribs 108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member 122 and the shell 11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our ribs 108 are arranged equidistantly spac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re member 122. The ribs 108 are designed to be as thin as possible so as not to significantly affect the signal guiding characteristics of the waveguide 100, and thus cover only a small amou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veguide 100. For example, a wall thickness of about 0.2 mm yielded satisfactory results with a core member 122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of 2 mm 2 . Of course other values can also be chosen appropriately.

[0052] 또한,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쉘(113)이 전기 도전성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완성된 도파관(100)은 코어 부재(122), 리브들(108) 및 쉘들(113)에 대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형 압출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쉘(113)은 그럼에도,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전기 도전성 차폐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Also, in contrast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the shell 113 need not be electrically conductive. For example, the finished waveguide 100 may be fabricated as an integrally extruded part using the same material for the core member 122, ribs 108 and shells 113. However, the shell 113 can nonetheless be coated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ing layer on its outer surface.

[0053] 도 8은 코어 부재(122)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이 도파관 개념의 수정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코어 부재(122)의 직사각형 단면의 코너로부터 쉘(113)의 내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4개의 리브들(108)이 제공된다. 코어 부재(122)의 임의의 다른 형태의 단면,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대체로 다각형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0053] FIG. 8 shows a modification of this waveguide concept, in which the core member 122 has an esse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ur ribs 108 are provided extending from the corner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core member 122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113.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skill in the art that any other shaped cross section of the core member 122, for example an elliptical or generally polygonal, may also be selected.

[0054]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특정 실시예가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된다. 쉘(113)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도파관(100)의 외부 직경은 OD로 지정된다. 코어 부재(122)는 제 1 측 길이(a) 및 제 2 측 길이(b)를 갖는다. 리브들(108)의 벽 두께는 t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a = 2mm 및 b = 1mm의 치수들을 갖는 도파관(100)은 유리하게는, 벽 두께 t = 0.2mm 및 쉘(113)의 외부 직경 OD = 5.0mm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054]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waveguide 100 shown in FIG. 8. The outer diameter of waveguide 100 as defined by shell 113 is designated OD. The core member 122 has a first side length (a) and a second side length (b). The wall thickness of the ribs 108 is shown as t. 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a waveguide 100 having dimensions of a = 2 mm and b = 1 mm can advantageously be combined with a wall thickness t = 0.2 mm and an outer diameter OD of the shell 113 = 5.0 mm. have.

[0055] 또한, 이러한 도파관(100)의 감쇠는 외부 직경(OD)의 변동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10에 예시된다. 도 10은 신호 주파수(GHz 단위)의 함수로서 감쇠량(dB/m 단위)의 도면을 도시한다. 곡선들(1001 및 1002)은 각각 5.0 mm 및 5.5 mm의 외부 직경들(OD)에 속한다. 그래프로부터 도출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감쇠가 측정된다. 140 GHz의 송신 주파수에 대해, OD = 5.0 mm에 대한 곡선(1001)은 3.6783484 dB/m에 도달하는 반면에, OD = 5.5 mm에 대한 곡선(1002)은 3.672962 dB/m의 감쇠 값에 도달한다. 이는, 더 큰 외부 직경이 환경(ambience)으로의 전자기장의 누설을 더 낮추고 이에 따라 인접한 도파관에서 크로스-토킹 및 교란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OD = 5.0mm에 대해, 전자기장의 2.22%가 대기(ambient air) 중에 쉘(113) 외측에 있는 반면에, OD = 5.5mm 에 대해, 전자기장의 1.29%만이 대기 중에 쉘(113) 외측에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ttenuation of the waveguide 100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luctuation of the outer diameter OD. This is illustrated in FIG. 10. 10 shows a diagram of the attenuation amount (in dB/m) as a function of the signal frequency (in GHz). Curves 1001 and 1002 belong to outer diameters OD of 5.0 mm and 5.5 mm, respectively. As derived from the graph, approximately the same attenuation is measured. For a transmission frequency of 140 GHz, the curve 1001 for OD = 5.0 mm reaches 3.6783484 dB/m, while the curve 1002 for OD = 5.5 mm reaches an attenuation value of 3.672962 dB/m. . This is advantageous because the larger outer diameter lowers the leaka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nto the ambience and thus reduces cross-talking and disturbances in the adjacent waveguide. For example, for OD = 5.0 mm, 2.22%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outside the shell 113 in ambient air, whereas for OD = 5.5 mm, only 1.29%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in the atmosphere. It is on the outside.

[0056] 요약하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터치-민감도가 없는 저-손실 도파관을 실현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파관은 고체 저-손실 폴리머 코어(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및 큰 에어 셀들을 갖는 클래딩(프로파일 구조)을 포함한다. (재료의 유전 상수 및 캐리어 주파수에 의존하여) 올바른 코어 치수들을 선택함으로써, 큰 필드 부분이 에어-셀 클래딩에서 전파된다. 공기의 tanD는 0이고, 이에 따라 (t << λ의 폭을 갖는) 리브들의 작은 필렛들만이 파동 전파에 손실을 부가한다. 충분한 외부 직경(> λ)을 선택함으로써, 도파관 경계에 가까운 필드 강도는 어떠한 터치 민감도도 더 이상 검출 가능하기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다. In summary,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provide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low-loss waveguide without touch-sensitivity. The waveguide comprises a solid low-loss polymer core (eg, round or rectangular) and a cladding (profile structure) with large air cells. By choosing the correct core dimensions (depending on the dielectric constant and carrier frequency of the material), a large field portion is propagated in the air-cell cladding. The tanD of air is zero, so only small fillets of ribs (with a width of t << λ) add losses to the wave propagation. By choosing a sufficient outer diameter (> λ), the field strength close to the waveguide boundary is sufficiently low that no touch sensitivity is detectable any more.

[0057] 위의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및/또는 그의 양상들)은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응시키기 위한 다수의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치수들, 재료들의 유형들,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배향들, 및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수 및 포지션들은 소정의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결코 제한적이 아니고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다수의 다른 실시예들 및 수정들은 위의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들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그러한 청구항들에 부여되는 균등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라는 용어들은 각각의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어 등가물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제 1", "제 2" 및 "제 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며, 그들의 오브젝트들에 수치적 요건들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진 않는다. 추가로, 이하의 청구항들의 제한들은 의미 + 기능 포멧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며, 그러한 청구항 제한들이, 추가의 구조가 없는 기능의 서술에 이어 "~를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35 U.S.C. § 112(f)에 기초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the embodiments (and/or aspects thereof)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numer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adapt a particular situation or material to the teachings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imensions, types of materials, orientations of various components, and the number and positions of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define parameters of certain embodiments, and are by no means limiting and merely exemplary embodiments. . Numerous other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view of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grant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terms “including” and “in which” are used as plain English equivalents of the respective terms “comprising” and “wherein”. Further, in the following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only as labels and are not intended to impose numerical requirements on their objects. Additionall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are not written in a meaning + function format, unless such claim limitations expressly use the phrase "means for" following a description of a function without additional structure, 35 USC It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based on § 112(f).

Claims (26)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으로서,
제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몸체(106)를 갖는 클래딩(110) ― 상기 몸체(106)는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와 상이한 제 2 유전체 재료로 충전되는, 상기 몸체(106)를 관통하는 코어 지역(112)을 정의하고, 상기 클래딩(110)은 상기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원위단부(distal end)들(120)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rib)들(108)을 더 포함함 ―; 및
쉘(113, 114)을 포함하고,
상기 쉘(113, 114)은 상기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상기 쉘(113, 114)의 내부 표면(128) 사이에 에어 갭(air gap)들(127)이 방사상으로 정의되도록 상기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120)과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클래딩(110) 주변을 둘러싸고,
상기 리브들(108) 각각은 상기 유전체 도파관(100)의 제 1 및 제 2 단부들(102, 104) 사이에서 상기 클래딩(110)의 상기 몸체(106)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종방향으로(longitudinally) 연장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As a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A cladding (110) having a body (106) made of a first dielectric material, wherein the body (106) is filled with a second dielectr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a core region (112) passing through the body (106). ), the cladding 110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ribs 108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to the distal ends 120 Ham -; And
Including shells (113, 114),
The shells 113 and 114 are arranged so that air gaps 127 are radially defi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and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ell 113 and 114 Is coupled to the distal ends 120 of the ribs 108 and surrounds the cladding 110,
Each of the ribs 108 is longitudinally in a substantially full length of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102 and 104 of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 longitudinally) extended,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113, 114)은 상기 몸체(106)의 외부 표면(116)과 직접 결합되지 않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lls 113 and 114 are not directly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116 of the body 106,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도파관은:
상기 몸체(106)와 상기 쉘(113, 114) 사이에 정의되는 단면적 대부분은 공기가 차지하는 것,
상기 코어 지역(112)을 충전하는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는 공기 또는 고체 유전체 폴리머(solid dielectr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 및
상기 쉘(113, 114)은 랩(wrap), 열 수축 튜빙(heat shrink tubing), 또는 미리-형성된 용기(pre-formed contain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electric waveguide is:
Most of the cross-sectional area defined between the body 106 and the shells 113 and 114 is occupied by air,
The second dielectric material filling the core region 112 is at least one of air or a solid dielectric polymer, and
The shells 113 and 114 are at least one of a wrap, heat shrink tubing, or a pre-formed container
Configured to meet at least one of,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108)은 상기 몸체(106)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bs 108 extend radially from the body 106,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110)의 상기 몸체(106)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리브들(108)은 서로 원주방향으로(circumferentially) 균등하게 이격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ribs 108 are evenly spaced circumferentially from each other,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108)은 상기 리브들이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도록 단일의(unitary) 원-피스(one-piece) 클래딩으로서 상기 몸체(106)에 일체화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bs 108 are integrated into the body 106 as a unitary one-piece cladding such that the ribs are composed of the first dielectric material,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113, 114)의 내부 표면(128)은 캐비티(130)를 정의하고, 상기 클래딩(110)의 상기 몸체(106)는 상기 캐비티(130)의 중심에 위치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ner surfaces 128 of the shells 113 and 114 define a cavity 130, and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avity 130,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딩(110)의 상기 몸체(106)는 4개의 코너들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유전체 도파관(100)은 상기 코너들 중 상이한 코너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4개의 리브들(108)을 갖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106 of the cladding 11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four corners, and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has four ribs 108 each extending from a different corner of the corners. ,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도파관(100)은 적어도 3개의 리브들(108)을 포함하고, 상기 쉘(113, 114)은 인접한 리브들(108)의 원위단부들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벽들을 갖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electric waveguide 100 includes at least three ribs 108, the shell 113, 114 having walls extending linearly between distal ends of adjacent ribs 108,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108)은 상기 몸체(106)에 위치되는 각각의 근위단부와 각각의 원위단부 사이에 정의되는 방사상 높이를 갖고, 상기 리브들(108)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방사상 높이를 갖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ibs 108 have a radial height defined between each proximal end and each distal end positioned on the body 106, and at least some of the ribs 108 have the same radial height,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113, 114)은 다수의 선형 벽들 및 인접한 선형 벽들 사이의 교차부들에서의 코너들을 갖는 다각형(polygonal)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리브들의 원위단부들은 상기 쉘(113, 114)의 코너들과 결합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hells 113 and 114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corners at intersections between a plurality of linear walls and adjacent linear walls, and distal ends of the ribs are corners of the shells 113 and 114 Combined with,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108) 각각은 제 1 측 및 대향하는 제 2 측을 갖고, 상기 에어 갭들(127)은 상기 리브들(108)의 제 1 측 및 제 2 측 양자 모두를 따라 정의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ach of the ribs 108 has a first side and an opposite second side, and the air gaps 127 are defined along both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ribs 108,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갭들(127)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인접한 리브들(108) 사이의 상기 몸체(106)의 외부 표면의 세그먼트, 상기 2개의 인접한 리브들, 및 2개의 인접한 코너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벽들 중 하나를 따른 상기 쉘(113, 114)의 내부 표면(128)에 의해 정의되는 폐쇄된 영역이고, 상기 2개의 인접한 코너들 각각은 상기 2개의 인접한 리브들(108) 중 대응하는 리브와 결합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least one of the air gaps 127 is a segme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6 between two adjacent ribs 108, the two adjacent ribs, and walls extending between two adjacent corners. Is a closed area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128 of the shell 113, 114 along one of the two adjacent corners, each of which engages a corresponding one of the two adjacent ribs 108 ,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도파관은:
상기 코어 부재(122), 상기 적어도 2개의 리브들(108) 및 상기 쉘(113)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제조되는 것,
상기 쉘(113)은 본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
상기 코어 부재(122)는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
상기 코어 부재(122)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리브들(108)은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는 것, 및
상기 코어 부재(122)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리브들(108)은 상기 다각형의 코너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쉘(113)까지 연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electric waveguide is:
The core member 122, the at least two ribs 108 and the shell 113 are integr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shell 113 essentially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ore member 122 has a rectangular,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The core member 122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ribs 108 ar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re member 122 has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ribs 108 extend from each of the polygonal corners to the shell 113
Configured to meet at least one of,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113)은 전기 도전성 차폐 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전기 도전성 차폐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전파하기 위한 유전체 도파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hell 113 compris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ing layer or is formed by an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ing portion 114,
Dielectric waveguide 100 for propagating electromagnetic sign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7020019A 2015-12-14 2016-10-26 Dielectric waveguide KR1021787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22442.6 2015-12-14
CN201510922442.6A CN106876850A (en) 2015-12-14 2015-12-14 Dielectric waveguide
US15/002,565 2016-01-21
US15/002,565 US9912030B2 (en) 2015-12-14 2016-01-21 Dielectric waveguide having a core and a cladding body, where ribs extend from the cladding body
PCT/EP2016/075865 WO2017102157A1 (en) 2015-12-14 2016-10-26 Dielectric wave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066A KR20180094066A (en) 2018-08-22
KR102178730B1 true KR102178730B1 (en) 2020-11-13

Family

ID=5902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019A KR102178730B1 (en) 2015-12-14 2016-10-26 Dielectric waveguid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12030B2 (en)
EP (1) EP3391457B1 (en)
JP (1) JP6703109B2 (en)
KR (1) KR102178730B1 (en)
CN (2) CN106876850A (en)
WO (1) WO20171021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849A (en) 2015-12-14 2017-06-20 泰科电子公司 Dielectric waveguide component
CN106876850A (en) * 2015-12-14 2017-06-2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Dielectric waveguide
CN106876856B (en) 2015-12-14 2020-12-22 泰连公司 Waveguide assembly with dielectric waveguid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waveguide
KR101874694B1 (en) * 2016-03-28 2018-07-04 한국과학기술원 Waveguide for transmission of electomagnetic signal
US20180198184A1 (en) * 2017-01-11 2018-07-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ble for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DE102017116347A1 (en) * 2017-07-20 2019-01-24 Huber + Suhner Ag Waveguide for electromagnetic waves, waveguide connectors and communication link
US11329359B2 (en) 2018-05-18 2022-05-10 Intel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including a dielectric material with cavities therein surrounded by a conductive coating forming a wall for the cavities
WO2020118550A1 (en) * 2018-12-12 2020-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Dielectric transmission line and network device
WO2020126717A1 (en) 2018-12-21 2020-06-25 Huber+Suhner Ag Dielectric waveguide cable
FR3095701B1 (en) * 2019-05-03 2021-05-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adio wave transceiver system
CN110416678B (en) * 2019-07-19 2021-07-09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Non-metal waveguide lens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0429365B (en) * 2019-07-19 2021-07-30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Non-metal wave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EP3787100A1 (en) * 2019-08-30 2021-03-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Redirecting device for mm-waves, connection assembly
JPWO2022025141A1 (en) * 2020-07-29 2022-02-03
US11239539B1 (en) * 2020-09-04 2022-02-01 Knowles Cazenovia, Inc. Substrate-mountable electromagnetic waveguide
CN112596152B (en) * 2020-12-04 2021-10-12 江苏大学 Terahertz hollow waveguide
DE102022212905A1 (en) 2022-11-30 2024-06-06 Siemens Healthineers Ag Dielectric wavegu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5887A1 (en) * 2010-03-03 2011-09-08 Astrium Limited Waveguide
JP2014017457A (en) * 2012-07-11 2014-01-30 Kohoku Kogyo Co Ltd Fiber with added rare earth element, fiber laser and fiber type amplifi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9351A (en) 1952-03-01 1958-04-01 Bell Telephone Labor Inc Shielded dielectric wave guides
JPS5045652Y2 (en) 1971-04-05 1975-12-24
JPS5510046B2 (en) * 1973-08-27 1980-03-13
CH613565A5 (en) * 1977-02-11 1979-09-28 Patelhold Patentverwertung
JPS58191503A (en) 1982-05-01 1983-11-08 Junkosha Co Ltd Transmission line
US4875026A (en) 1987-08-17 1989-10-17 W. L. Gore & Associates, Inc. Dielectric waveguide having higher order mode suppression
US5333229A (en) * 1993-03-31 1994-07-26 W. L. Gore & Associates, Inc. Asymmetrical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waveguide and process for manufacture thereof
JPH07273511A (en) * 1994-04-01 1995-10-20 Junkosha Co Ltd Leakage dielectric line
JPH08195605A (en) * 1995-01-17 1996-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aveguide
JPH09258053A (en) * 1996-03-25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tical fiber
GB0129638D0 (en) * 2001-12-11 2002-01-30 Blazephotonics Ltd A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optical fibre waveguides
AUPR967201A0 (en) * 2001-12-20 2002-01-24 Liquip Sales Pty Limited A probe for a liquid level sensor
JP5045652B2 (en) 2008-11-21 2012-10-10 富士通株式会社 Correl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readable by correlation processing device
US9372214B2 (en) 2011-06-03 2016-06-21 Cascade Microtech, Inc. High frequency interconnect structures, electronic assemblies that utilize high frequency interconnect structur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9894750B2 (en) * 2012-12-20 2018-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oating connector shield
US9350063B2 (en) 2013-02-27 2016-05-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electric waveguide with non-planar interface surface and mating deformable material
US9112253B2 (en) 2013-03-19 2015-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electric waveguide combined with electrical cable
JP5941430B2 (en) * 2013-04-09 2016-06-29 湖北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rous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US9472840B2 (en) 2013-06-12 2016-10-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electric waveguide comprised of a core, a cladding surrounding the core and cylindrical shape conductive rings surrounding the cladding
US9601820B2 (en) * 2014-04-09 2017-03-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electric waveguide comprised of a core surrounded by a cladding and forming integrated periodical structures
CN106876850A (en) * 2015-12-14 2017-06-2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Dielectric waveguide
CN106876856B (en) 2015-12-14 2020-12-22 泰连公司 Waveguide assembly with dielectric waveguid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waveguide
CN106876849A (en) 2015-12-14 2017-06-20 泰科电子公司 Dielectric waveguide component
US20180198184A1 (en) * 2017-01-11 2018-07-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ble for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5887A1 (en) * 2010-03-03 2011-09-08 Astrium Limited Waveguide
JP2014017457A (en) * 2012-07-11 2014-01-30 Kohoku Kogyo Co Ltd Fiber with added rare earth element, fiber laser and fiber type amplifi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3109B2 (en) 2020-06-03
KR20180094066A (en) 2018-08-22
CN106876850A (en) 2017-06-20
JP2018537044A (en) 2018-12-13
EP3391457A1 (en) 2018-10-24
EP3391457B1 (en) 2022-03-02
US10749238B2 (en) 2020-08-18
CN108780937A (en) 2018-11-09
US20180301782A1 (en) 2018-10-18
WO2017102157A1 (en) 2017-06-22
US9912030B2 (en) 2018-03-06
US20170170539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730B1 (en) Dielectric waveguide
US9912029B2 (en) Waveguide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dielectric waveguides separated by a shield
US9912032B2 (en) Waveguide assembly having a conductive waveguide with ends thereof mated with at least first and second dielectric waveguides
CA2791833C (en) Waveguide
US8981216B2 (en) Cable assembly for communicating signals over multiple conductors
US9899721B2 (en) Dielectric waveguide comprised of a dielectric cladding member having a core member and surrounded by a jacket member
US20180268965A1 (en) Data cable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ata cable
KR20040108732A (en) Waveguide communication system
JP6949877B2 (en) Assembly for wave propagation in the frequency band between 1 GHz and 10 THz
US6107901A (en) Reduced-size waveguide device
US11901602B2 (en) Dielectric waveguide cable having a tubular core with an inner surface coated by a high permittivity dielectric
US10116034B2 (en) Twin axial cable structures for transmitting signals
US20130037320A1 (en) Hybrid Stripline RF Coaxial Cable
US20130037301A1 (en) Multi-Conductor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US20220263211A1 (en) Dielectric waveguide
WO2013025509A2 (en) Self-Supporting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Mirzaee et al. Metal-coated flexible dielectric waveguides for millimeter-wave multi-lane wireline communications
US20160172735A1 (en) Coax-waveguide adapter
WO2013025268A1 (en)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Demarest Waveguides and Resonators
WO2013025269A1 (en) Low attenuation stripline rf transmission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