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371B1 -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371B1
KR102178371B1 KR1020190059802A KR20190059802A KR102178371B1 KR 102178371 B1 KR102178371 B1 KR 102178371B1 KR 1020190059802 A KR1020190059802 A KR 1020190059802A KR 20190059802 A KR20190059802 A KR 20190059802A KR 102178371 B1 KR102178371 B1 KR 102178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drive shaft
dust removal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정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정승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19005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01D2259/455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for being employed as mobile cleaners for ambient air, i.e. the earth's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바퀴 회전 시 장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문제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재난상황에 준할 정도로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고, 이에 각종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바퀴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정화할 수 있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바퀴 회전 시 장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팬, 장착부와 연결된 구동축, 팬과 연결된 종동축, 구동축의 회전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되,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 및 기어 어레이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속도 조절부, 및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구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바퀴 회전 시 장착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제1 하우징, 장착부와 연결된 구동축, 제1 하우징과 연결된 종동축, 구동축의 회전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되,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 및 기어 어레이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속도 조절부, 및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구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본체, 차량 본체에 마련된 구동원, 및 상기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본체, 차량 본체에 마련된 구동원, 차량 본체에 장착되며, 구동축 및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마련된 종동축을 갖는 기어박스, 구동원의 회전동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 차량 본체에 장착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종동축과 연결된 팬을 포함하는 먼지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따르면, 차량 바퀴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4는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필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차량은, 통상 바퀴의 회전을 통해 주행 가능한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은 오토바이, 자동차, 트럭 및 버스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1)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며, 도 4는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필터(170-1, 170-2, 170-3)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1)은 차량 본체(10), 및 차량 본체(10)에 마련된 구동원(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원(30)은 통상의 엔진(engine) 및 모터(mot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구동원(30)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되고, 차량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회전축(40), 및 회전축(40)에 장착된 바퀴(20)를 포함한다. 구동원(30)이 작동 시, 구동원(30)의 동력에 의해 회전축(30) 및 바퀴(20)가 회전함에 따라, 차량(1)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또한, 바퀴(20)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휠(21) 및 휠(21)에 장착된 타이어(23)를 포함하며, 상기 휠(21)은 차량의 회전축(40)에 연결되어, 회전축(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1)은 바퀴(20)에 장착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100)(이하, '먼지제거 장치'라 약칭함)을 포함한다. 상기 먼지제거 장치(100)은 차량(1)의 모든 바퀴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고, 차량(1)의 전방 측의 한 쌍의 바퀴 또는 후방 측의 한 쌍의 바퀴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지제거 장치(100)는 장착부(120), 속도 조절부(150), 제1 하우징(110), 팬(180) 및 필터(170)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제거 장치(100)는 차량의 바퀴(20)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20), 및 바퀴(20) 회전 시 장착부(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부(120)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111a, 112a, 113a)을 갖는 제1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바퀴 회전 시 장착부(12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장착부(120)와 연결되며, 특히, 제1 하우징은 장착부(12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20)는 바퀴(20)의 휠(21)에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120)는 공지의 클램핑(clamping) 수단(스크류,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휠(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휠(21)에 고정되는 지점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먼지제거 장치(100)는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팬(180) 및 속도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속도 조절부(150)는 장착부(120)와 연결된 구동축(151), 팬(180)과 연결된 종동축(152), 구동축(151)의 회전을 종동축(152)으로 전달하되, 구동축(151)과 종동축(152)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154, 155, 156) 및 기어 어레이(154, 155, 156)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153)을 포함한다. 상기 속도 조절부(150)는 통상의 기어박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박스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여 기어 비에 따라 입/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먼지제거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17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7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적층 상태로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 내에 장착됨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제1 하우징(1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필터(170)는 제1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이 구동축(151)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즉, 구동축(151)이 회전함에 따라, 구도욱(151)과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공회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속도 조절부(150)가 구동축(151)가 함께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속도 비율 조정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 회전을 위하여, 속도 조절부(150)는 구동축(151) 및 제2 하우징(153)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140)을 포함한다. 또한,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이 종동축(152)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아이들(idle) 회전을 위하여, 속도 조절부(150)는 종동축(152) 및 제2 하우징(153)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어레이(array)는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될 때, 치합되는 기어 비에 의해 속도 조절부(150)의 입력 측(151)과 출력 측(152)의 회전속도의 비율이 조절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기어 어레이는 구동축(151)에 고정된 구동기어(154), 종동축(152)에 고정된 종동기어(156) 및 제2 하우징(15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기어(154) 및 종동기어(156)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기어(154)의 회전을 종동기어(156)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달 기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155)는 제2 하우징(15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달 기어(155)는 제2 하우징(153)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등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기어 어레이는, 구동축(151)의 회전속도보다 종동축(152)의 회전속도가 커지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153)을 둘러싼 상태로, 구동축(151)과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2 하우징(153)은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구동축(151)과 함께, 일체로 회전(동일한 회전속도)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53)은 구동축(151) 회전 시, 구동축(151)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아이들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팬(180)은 속도 조절부(180)에 의해, 구동축(151)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에 마련된 무게추(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130)는 제2 하우징(153)의 아이들 회전 시,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내부에 필터(130)가 장착되는 공간을 갖고,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다. 차량의 휠(21)의 구조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은 외관이 우수한 공기 역학적 특성을 갖도록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유동홀은 유입홀(111a, 113a) 및 유출홀(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홀(111a, 113a) 및 유출홀(112a)은 각각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유입홀(111a, 113a)을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예를 들어, 공기)는 필터(170)를 통과하여 유출홀(112a)을 통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유출홀(112a)은 제1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가 차량의 바퀴 측(예를 들어, 휠)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바퀴 측으로 공기가 토출될 경우, 바퀴 측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하우징(110)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측면(113) 및 측면(113)과 연결되며,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정면(111) 및 정면(1101)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휠(21)과 마주하는 배면(11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정면(111)의 유동홀(111a)과 측면(113)의 유동홀(113a)이 유입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배면(112)의 유동홀(112a)이 유출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은 유체의 유입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영역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입홀은 유체의 유입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영역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nozzle)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유입홀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인(vane)(11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5)은 유입홀 측으로 기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 및 빗물 등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5)은 통상의 팬(fan) 하우징에 적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회전방향을 따라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은 정면(111)의 유동홀(111a)로 유체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인(vane)(115)을 가질 수 있다.
이 밖에, 가이드 베인은 유출홀 측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1 하우징(110)의 회전을 고려하여, 공기 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170-1, 170-2 170-3)은 다양한 형상 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필터(170-1)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5의 (b)와 같이, 필터(170-2)는 중앙에 관통홀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5의 (c)와 같이, 필터(170-3)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필터(170-3)는 바퀴의 중심(예를 들어, 휠(21)의 중심)을 기초로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공지의 필터가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필터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바퀴에 장착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됨에 따라, 빗물 등의 수분의 유입에도 우수한 정화효율을 갖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지제거장치는,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20), 바퀴 회전 시 장착부(12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제1 하우징(1101) 및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170)를 포함한다.
또한, 먼지제거장치는 장착부(120)와 연결된 구동축(151), 제1 하우징(110)과 연결된 종동축(152), 구동축(151)의 회전을 종동축(152)으로 전달하되, 구동축(151)과 종동축(152)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154, 155, 156) 및 기어 어레이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153)을 포함하는 속도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하우징(153)이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110)이 구동축(151)에 장착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110) 외부에 제2 하우징(153)이 배치되고, 제1 하우징(110)이 종동축(152)에 장착되는 차이를 갖는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종동축(152)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0) 및 필터(170)의 회전속도는 각각 장착부(120)의 회전속도보다 크다.
속도 조절부(15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이 구동축(151)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151)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151)과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공회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속도 조절부(150)가 구동축(151)가 함께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 속도 비율 조정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 회전을 위하여, 속도 조절부(150)는 구동축(151) 및 제2 하우징(153)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140)을 포함한다. 또한,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이 종동축(152)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아이들(idle) 회전을 위하여, 속도 조절부(150)는 종동축(152) 및 제2 하우징(153)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조절부(150)는, 제2 하우징(153)에 마련된 무게추(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130)는 제2 하우징(153)의 아이들 회전 시,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다. 복수 개의 유동홀은 유입홀(111a, 112a) 및 유출홀(113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홀(111a, 112a)을 통해 제1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를 통과하여 유출홀(113a)을 통해 제1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꼬, 유출홀(113a)은 필터(170)를 통과한 공기가 구동축(151, 또는 종동축)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1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측면(113) 및 측면(113)과 연결되며,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정면(111) 및 정면(111)의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휠(21)과 마주하는 배면(112)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10)의 정면(111)의 유동홀(111a)과 배면(112)의 유동홀(112a)이 유입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측면(112)의 유동홀(112a)이 유출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필터(170)는 제1 하우징(110)의 정면 측 및 배면 측에 각각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2개의 필터(170) 사이에는 분리벽(119)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분리벽(119)에 의해, 제1 하우징(110) 내 공간을 2개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공간에 필터(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170)는 상기 공간의 체적 보다 작은 체적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공간의 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배면 측 유입홀(112a)을 통해 차량 바퀴 측에서 발생하는 분진(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등으로부터 발생)이 제1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어 정화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홀은 유체의 유입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영역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입홀은 유체의 유입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영역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nozzle)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유입홀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인(vane)(11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5)은 유입홀 측으로 기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 및 빗물 등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15)은 통상의 팬(fan) 하우징에 적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회전방향을 따라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지제거 장치는 제1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종동축(152)에 장착된 팬(18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180)은 종동축(152)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때, 필터(170)는 제1 하우징(110)의 정면 측 및 배면 측에 각각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2개의 필터(170) 사이에는 분리벽(119)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분리벽(119)에 의해, 제1 하우징(110) 내 공간을 2개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공간에 필터(1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180)은 필터(170)의 개수만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내에 2개의 필터(170)가 배치된 경우에, 2개의 필터(170) 사이 공간에 2개의 팬(18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10) 내 각각의 공간에 필터와 팬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은 차량 본체(10), 차량 본체에 마련된 구동원(30), 차량 본체에 장착되며, 구동축(351) 및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마련된 종동축(352)을 갖는 기어박스(350), 구동원(30)의 회전동력을 구동축(351)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301, 예를 들어, 벨트 등), 및 차량 본체(10)에 장착된 먼지 제거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박스(350)는 종동축(352)의 회전속도가 구동축(351)의 회전속도보가 커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먼지제거장치(300)는 차량 본체에 장착된 하우징(310), 하우징(310)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370) 및 하우징(310) 내부에 배치되며, 종동축(352)과 연결된 팬(3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외부 동력 없이, 차량 주행 시 구동원(30)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팬(3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차량
10: 차량 본체
20: 바퀴
100: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Claims (21)

  1.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바퀴 회전 시 장착부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팬;
    장착부와 연결된 구동축, 팬과 연결된 종동축, 구동축의 회전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되,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 및 기어 어레이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속도 조절부; 및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구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구동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종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에 마련된 무게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어 어레이는, 구동축의 회전속도보다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커지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을 둘러싼 상태로,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복수 개의 유동홀은 유입홀 및 유출홀을 포함하며,
    유입홀을 통해 제1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를 통과하여 유출홀을 통해 제1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유출홀은 제1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가 차량의 바퀴 측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유입홀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인(vane)을 갖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관통홀을 갖는 링 형상을 갖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필터는 바퀴의 중심을 기초로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열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바퀴의 휠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3.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바퀴 회전 시 장착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장착부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유동홀을 갖는 제1 하우징;
    장착부와 연결된 구동축, 제1 하우징과 연결된 종동축, 구동축의 회전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되, 구동축과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마련된 기어 어레이 및 기어 어레이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속도 조절부; 및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며,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구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구동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제2 하우징이 종동축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속도 조절부는, 하우징에 마련된 무게추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기어 어레이는, 구동축의 회전속도보다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커지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복수 개의 유동홀은 유입홀 및 유출홀을 포함하며,
    유입홀을 통해 제1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를 통과하여 유출홀을 통해 제1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되,
    유출홀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구동축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의 반경 방향을 따라 배출되도록 마련된,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유입홀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인(vane)을 갖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종동축에 장착된 팬을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21. 차량 본체;
    차량 본체에 마련된 구동원;
    차량 본체에 장착되며, 구동축 및 구동축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마련된 종동축을 갖는 기어박스;
    구동원의 회전동력을 구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
    차량 본체에 장착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종동축과 연결된 팬을 포함하는 먼지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90059802A 2019-05-22 2019-05-22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17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02A KR102178371B1 (ko) 2019-05-22 2019-05-22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02A KR102178371B1 (ko) 2019-05-22 2019-05-22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371B1 true KR102178371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02A KR102178371B1 (ko) 2019-05-22 2019-05-22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395U (ko) * 1997-07-02 1999-02-05 이완근 장비 부착용 공기 청정장치
KR101684353B1 (ko) * 2015-06-22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동력 집진장치
WO2017137673A1 (fr) * 2016-02-11 2017-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joliveur aerodynamique filtrant d'une roue d'un vehic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395U (ko) * 1997-07-02 1999-02-05 이완근 장비 부착용 공기 청정장치
KR101684353B1 (ko) * 2015-06-22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동력 집진장치
WO2017137673A1 (fr) * 2016-02-11 2017-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joliveur aerodynamique filtrant d'une roue d'un vehic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6431A (en) Side expansion scroll-type blowers
US6789999B2 (en) Center console dual centrifugal fan blower
US7238095B1 (en) Pneumatic grinder with improved muffling structure
US5000769A (en) System for ventilating a rail traction motor and for dynamically purifying the ventilation air
BR112012024525B1 (pt) Motor de combustão
SE458389B (sv) Remskiva med kylanordning
US3476219A (en) Overmatching rotor to stator retarder arrangement to combat cavitation
JP4727258B2 (ja) 流体力学的コンバータ
KR102178371B1 (ko)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TW201430221A (zh) 渦扇發動機和具有渦扇發動機的圖形卡
KR102135843B1 (ko) 차량용 먼지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5684276A (zh) 驱动装置
US20180051712A1 (en) Aerodynamically and acoustically improved car fan
JP2005168120A (ja) モータの冷却構造
JP3838929B2 (ja) 車両駆動用電動機
CN101149057A (zh) 多马达鼓风机及其叶轮
CN111980966A (zh) 离心式散热风扇
US4618334A (en) Belt pulle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2175217A (ja) エレクトリックホイ−ルドライブ装置
JP2010236626A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冷却装置
US5120196A (en) Impeller for a torque converter
SE519180C2 (sv) Separeringsanordning för vevhusgaser
US1511517A (en) Multiple fan
JP2004225642A (ja) 電動工具用冷却ファン及び冷却ファンを備えた電動工具
CN106837859B (zh) 风机叶轮和离心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