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15B1 -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715B1
KR102177715B1 KR1020140057886A KR20140057886A KR102177715B1 KR 102177715 B1 KR102177715 B1 KR 102177715B1 KR 1020140057886 A KR1020140057886 A KR 1020140057886A KR 20140057886 A KR20140057886 A KR 20140057886A KR 102177715 B1 KR102177715 B1 KR 10217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unit
reflect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0809A (en
Inventor
이동현
김진수
백승종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715B1/en
Publication of KR2015013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갖는 입사광을 이용하여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을 표시하면서 선형광 주위에 평면광을 출력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 장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고 입사광을 유도하는 광가이드부, 광가이드부 내부 또는 표면상의 패턴을 구비하는 입체효과 형성부, 광가이드부 내부에 입사광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서 제2면으로 나오는 출사광을 확산시켜 제2면의 제2영역 상에 광원을 덮는 평면광을 생성하는 확산유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패턴은 순차 배열되고 제1면 또는 제2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패턴유닛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패턴 유닛들은 입사광을 경사면에서의 굴절 및 반사에 의해 제1면이 향하는 제1면 방향 또는 제2면이 향하는 제2면 방향으로 유도하여 복수의 패턴유닛들의 각 패턴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경로의 선형광으로 변환하여 제2면의 제1영역 상에 생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that displays a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using incident light having directionality and outputs planar light around the linear light, wherein the light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first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light guide unit having two sides and guiding incident light,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having a pattern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 light source unit supplying incident light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unit, and outgo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second surface And a diffusion inducing unit for generating a plane light covering the light source on a second region of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patterns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each having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Of the pattern units, and the plurality of pattern units guide the inciden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r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urface by refraction and refl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It is converted into linear light of the first path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ttern extension direction, and is generated on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surface.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갖는 입사광을 이용하여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을 표시하면서 선형광 주위에 평면광을 출력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that displays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using incident light having directionality and outputs planar light around the linear light.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에 인가될 때 전류를 변환하여 빛을 방출하는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LED 소자를 이용한 광원은 형광등과 같은 종래 광원 대비 저전력, 높은 색온도, 장수명 등의 장점이 있다.LED (Light Emitting Diode) is a kind of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that emits light by converting the current when applied to the current. A light source using an LED element has advantages such as low power, high color temperature, and long life compared to a conventional light source such as a fluorescent lamp.

LED 광원을 구비하는 대부분의 백라이트 장치는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LED 광원이 배치되는 측면 조광형 구조를 가지며 반사필름과 도광판 사이에 게재되어 상향 누설되는 빛을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조광 평면에서의 휘도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Most backlight devices equipped with an LED light source have a side-illumin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are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luminance in the dimming plane by diffusing upwardly leaking light placed between the reflect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deviation.

그러나, 기존의 백라이트 장치는 도광판을 이용함으로써 도광판 자체의 두께로 인해 조명장치의 광효율이 떨어지고 장치의 두께를 박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도광판 자체가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유연한 조명장치나 표시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제품 설계 및 디자인 변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acklight device uses a light guide plate,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ighting device decreases due to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itself, there is a limit to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flexible lighting device or display device because the light guide plate itself is not flexib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roduct design and design transformation are not easy.

또한, 기존의 LED 광원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조명장치는 단순한 형태의 평면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입체효과를 갖는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광원을 입체적으로 배치해야 하므로 장치의 설치 공간이 커야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most lighting devices using conventional LED light sources are devices that provide flat lighting in a simple form, and in order to realize lighting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ust be arranged three-dimensionally, s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evice must be large and manufactur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st increases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패턴 설계를 통해 입사광을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선형광 주위에 평면광을 추가하여 광이미지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diversity of optical images and increasing light efficiency by converting incident light into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pattern design and displaying it, and adding flat light around the linear ligh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하학적 형상의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과 평면광을 조합하여 출력하면서 유연하거나 굴곡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flexible or curved applications while outputting a combination of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geometric shape and a planar ligh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구비하고 입사광을 유도하는 광가이드부, 광가이드부 내부 또는 표면상의 패턴을 구비하는 입체효과 형성부, 광가이드부 내부에 입사광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광원부에서 제2면으로 나오는 출사광을 확산시켜 제2면의 제2영역 상에 광원을 덮는 평면광을 생성하는 확산유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패턴은 순차 배열되고 제1면 또는 제2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패턴유닛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패턴 유닛들은 입사광을 경사면에서의 굴절 및 반사에 의해 제1면이 향하는 제1면 방향 또는 제2면이 향하는 제2면 방향으로 유도하여 복수의 패턴유닛들의 각 패턴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경로의 선형광으로 변환하여 제2면의 제1영역 상에 생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light guide unit for inducing incident light,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having a pattern, a light source unit that supplies incident light into the light guide unit, and a plane light that covers the light source on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surface by diffusing the emitte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second surface. It includes a diffusion induction part. Here, the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units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each having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pattern units transmit incident light to the first surface by refraction and refl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It is converted into a linear light of a first path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pattern extension direction of a plurality of pattern units by gu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is direction or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urface. Create on the area.

일실시예에서, 제2영역은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광원부의 광원 상부에 위치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일실시예에서, 확산유도부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를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includes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with a spaced area therebetween.

일실시예에서,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는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일단부와 제2면 상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타단부를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ve one end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clined outwardly on the second surface.

일실시예에서, 제1 반사체와 제2반사체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는 중공 형태를 구비하고, 중공 형태를 각각 갖는 복수의 확산유도부의 타단부는 제2면의 제2영역 상에 분산 배치된다. 제1반사체 및 상기 제2반사체 사이에는 확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ve a hollow shape in which both edges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inducing portions each having a hollow shape is on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surface. Distributed. A diffusion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일실시예에서, 조명 장치는 제1반사체 및 제2반사체의 타단부 상에 배치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재는 일단부에서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 사이를 통해 나오는 빛을 제2면과 평행한 소정 폭의 평면상에 확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The diffusion member may be disposed at one end to diffuse light emitted throug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on a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arallel to the second surface.

일실시예에서, 확산유도부는 광가이드부의 제2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의 복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쌍에서 제1쌍의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의 일단부와 제2쌍의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의 일단부는 광원부의 광원 상부에서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ffusion induc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irs of first and second reflectors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In a plurality of pairs,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of the first pair,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of the second pair may be integrally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 설계를 통해 입사광을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선형광 형성 시 의도하지 않은 광원 또는 핫스팟 광원을 이용하여 선형광 주위에 평면광을 추가함으로써 광이미지의 다양성과 광효율을 향상시킨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incident light into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pattern design and displaying it, and adding planar light around the linear light using an unintended light source or hot spot light source when forming the linear light, the diversity of optical images and A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효과 선형광을 이용하는 조명 장치에서 확산판, 확산시트 또는 패턴을 이용한 확산체를 사용하지 않고 선형광과 조합된 평면광을 출력하는 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ghting device that outputs flat light combined with linear light without using a diffuser plate, a diffusion sheet, or a diffuser using a pattern in a lighting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효과 선형광과 선형광 주위의 평면광을 조합하여 전면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광 조절이 가능하고 유연하거나 굴곡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front luminous intensity be improved by combin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and the plane light around the linear light, but also the light distribution can be adjusted, it is easily applicable to flexible or curved application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low manufacturing cost.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이용하여 입체광과 평면광을 조합한 다양한 색상의 광이미지를 표현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조명 장치는 실내외 조명장치나 차량용 램프 등에 유용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expresses a light image of various colors in which a three-dimensional light and a plane light are combined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is useful for indoor and outdoor lighting devices or vehicle lamp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조명 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a의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도 2a의 조명 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2a의 조명 장치의 입체효과 선형광의 생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조명 장치의 확산유도부의 변형예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광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에 채용가능한 입체효과 형성부의 패턴에 대한 예시도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조명 장치에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의 작동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lan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2B is a plan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4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5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a diffusion inducing uni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9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guide part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exemplary views of a pattern of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16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comparative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6
18 is an exemplary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ea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lan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광가이드부(10), 패턴층(20a) 및 확산유도부(50)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100)는 광원부(30), 인쇄회로기판(31) 및 반사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A,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0, a pattern layer 20a, and a diffusion guide unit 50. The ligh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ource unit 30, a printed circuit board 31, and a reflective layer 40.

광가이드부(10)는 입사광을 내부 반사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도한다. 광가이드부(10)가 제1면(또는 상부면)과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또는 하부면)을 구비하고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혹은 필름 형태를 구비할 때, 광가이드부(10)는 제1면과 제2면 및 이들의 가장자리들 사이를 연장하는 측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매질이 된다. 이 경우, 광가이드부(10) 내부로 입사되거나 광가이드부(10) 내부에서 조사되는 입사광은 매질 내부에서 전반사하며 일측(또는 제1측면)에서 타측(또는 제2측면)으로 이동한다.The optical guide unit 10 guides incident light from one side to the other by internal reflection. A plate or film having a first surface (or upper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r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When provided with a shape, the light guide portion 10 becomes a medium defined by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side surfaces extending between the edges thereof. In this case, incident light that is incident into the light guide unit 10 or irradiated from the light guide unit 10 is totally reflected inside the medium and moves from one side (or first side) to the other side (or second side).

광가이드부(10)는 글라스(Glass), 레진(Resin) 등의 재료로 마련된다. 광가이드부(10)를 레진으로 마련하는 경우, 광가이드부(10)의 재료는 실리콘 계열의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레진으로 이루어진 광가이드부(10)의 재료는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Vinylated organopolysiloxanes), 수소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Hydrogen organopolysiloxanes), 비닐기를 갖는 실리케이트(Vinylated silicates), 백금 경화 촉매(Platinum curing catalyst) 및 첨가제일 수 있다. 첨가제는 광개시제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The optical guide unit 1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or resin. When the optical guide portion 10 is formed of resin, the material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10 may include a silicon-based resin.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made of a silicone resin is vinylated organopolysiloxanes, hydrogen organopolysiloxanes, vinylated silicates, and platinum curing. It may be a catalyst (Platinum curing catalyst) and additives. Additives include photoinitiators and antioxidants.

또한, 광가이드부(10)를 레진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광가이드부(10)의 재료 조성은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20~40 중량%, 수소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20~40%, 비닐기를 갖는 실리케이트를 10~20 중량%, 백금 경화 촉매를 1~3 중량% 및 첨가제를 1~3 중량%를 가질 수 있다. 실리콘 계열의 레진층으로 광가이드부(10)를 구현하면, 조명 장치(100)의 내열성을 125℃ 이상으로 높여 차량 전조등에 요구되는 내열성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tical guide portion 10 is formed of a resin layer,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10 is 20-40% by weight of organopolysiloxane having a vinyl group, 20-40% of organopolysiloxane containing hydrogen, It may have 10 to 20% by weight of a silicate having a vinyl group, 1 to 3% by weight of a platinum curing catalyst, and 1 to 3% by weight of an additive. When the light guide unit 10 is implemented with a silicon-based resin layer, the heat resistance of the lighting device 100 may be increased to 125° C. or higher, thereby satisfying the heat resistance condition required for a vehicle headlight.

또한, 광가이드부(10)를 레진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조명 장치(100)는 레진층의 두께에 따라 소정의 유연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광가이드부(10)는 롤(Roll)에 감을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경우 레진층의 두께는 약 250㎛ 이하이다. 이러한 유연성을 이용하면, 광가이드부(10)는 응용 제품(Applications)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장치(100)가 차량용 램프 특히 후방 콤비네이션 램프나 전조등으로 이용되는 경우, 광가이드부(10)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 렌즈와 유사한 모양(평면상에서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렌즈는 사람의 눈 형상 혹은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도 16 및 도 17 참조)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light guide unit 10 is formed of a resin layer, the lighting device 100 may have a predetermined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For example, the optical guide unit 10 may have a degree of flexibility that can be wound on a roll, and in that case,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is about 250 μm or less. Using this flexibility, the optical guide unit 10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the lighting device 100 is used as a vehicle lamp, particularly a rear combination lamp or a headlamp, the light guide unit 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outer lens of the vehicle lamp (a shape on a plane). The outer lens may have a human eye shape or an approximately parallelogram shape (see FIGS. 16 and 17), but is not limited thereto.

패턴층(20a)은 광가이드부(10)의 제1면 상에 배치된다. 패턴층(20a)은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거나 재료의 응력에 의해 광가이드부(10)의 제1면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패턴층(20a)은 광가이드부(10)의 제1면에 접합되는 제2면과 제2면의 반대측인 제1면을 구비한다. 그리고, 패턴층(20a)은 제1면에 배열되는 패턴(도 5의 참조부호 22 참조)을 구비한다.The pattern layer 20a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10. The pattern layer 20a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layer or directly bond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by stress of a material. The pattern layer 20a includes a second surface bond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and a first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In addition, the pattern layer 20a includes a pattern (refer to reference numeral 22 in FIG. 5)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패턴은 입체효과 형성부(도 5의 참조부호 20 참조)를 구성하며, 입사광을 변환하여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을 생성한다. 패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pattern constitutes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see reference numeral 20 in FIG. 5), and converts incident light to generate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패턴층(20a)은 패턴의 가공 용이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로 마련된다. 패턴층(20a)의 재료로는 열가소성 고분자 또는 광경화성 고분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pattern layer 20a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nsuring the ease of processing and durability of the pattern. As a material for the pattern layer 20a, a thermoplastic polymer or a photocurable polymer may be used.

확산유도부(50)는 광가이드부(10)의 제2면 상에 배열된다. 확산유도부(50)는 제2면으로 나오는 출사광을 확산 유도한다. 확산유도부(50)가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경우, 확산유도부(50)는 확산 유도되는 출사광을 통해 제2면이 향하는 제2면 방향에서 평면광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유도부(50)는 중공부(52)를 가진 육면체 형태로서 중공부(52)의 일단이 노출되는 확산유도부(50)의 일단이 제2면에 접하는 경사진 슬롯(slot) 형상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s arrang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10.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diffuses and induc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surface. When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has a predetermined light transmittance,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mplements planar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to which the second surface faces through the diffusion-induced emission light.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s a hexahedral shape having a hollow part 52, and one end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to which one end of the hollow part 52 is exposed is inclined slot shap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확상유도부(50)의 일단으로 유입되는 출사광은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LED 소자의 입사광이 직접 혹은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LED 소자의 바로 위쪽으로 나오는 광으로서, 입체효과 선형광의 구현 시 원하지 않은 출사광일 수 있다.The outgoing light entering one end of the expansion induction part 50 is the light that is emitted directly above the LED device by 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of the LED device used as a light source directly or by a reflective layer, and is an unwanted outgoing light when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I can.

전술한 확산유도부(50)에 의하면, 광가이드부(10)의 제2면 방향에서 패턴층(20a)의 패턴에 의해 입체효과 선형광을 구현하면서 입체효과 선형광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부 광원을 가리는 평면광을 생성하여 선형광과 평면광이 조합된 광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iffusion induction unit 50, while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y a pattern of the pattern layer 20a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and some light sources are provided. By generating a shielding plane light, a combination of linear light and plane light can be expressed.

광원부(30)는 광가이드부(10)의 내부에 입사광을 공급한다. 광가이드부(10) 외부에서 광가이드부(10) 내부에 입사광을 공급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광가이드부(10)에 매립되어 광가이드부(10) 내부에 광을 조사하여 입사광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light source unit 30 supplies incident light into the light guide unit 10. It may be arranged to supply incident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unit 10 to the inside of the light guide unit 10, but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guide unit 10 is embedded in the light guide unit 10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 irradiating light to and supplying incident light.

광원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는 LED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30)는 직육면체 형태의 광가이드부(10)의 서로 마주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 부근에 제1면 또는 제2면에서 볼 때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12개의 LED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an LED package including at least one LE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30 is 12 LED packages arranged in a zigzag shape when viewed from the first or second sid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facing each other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light guide unit 10 It may include.

LED 소자는 상부형(Top view type) 또는 측면형(Side view type)일 수 있다. 측면형 LED 소자를 설치할 때, 광가이드부(10)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LED 소자를 소정 각도로 기울여져 실장될 수 있다. 상부형을 이용하는 경우, 광원부(30)는 옆으로 눕힌 상태로 솔더링(Soldering) 공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1)에 실장될 수 있다.The LED device may be of a top view type or a side view type. When installing the side-type LED device, the LED device may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djust the incident angle of the incident light on the first or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In the case of using the top type,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by a soldering process while lying on the side.

인쇄회로기판(31)은 광가이드부(10)의 제1면 상에 배치된다. 광원부(30)는 인쇄회로기판(31) 상에서 광가이드부(1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은 광원부(30)가 실장되는 패드부와, 광원부(30)에 전력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을 포함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31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embed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by the light guide unit 10.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includes a pad portion o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30 is mounted, and a wiring for transmitting power or a signal to the light source unit 30.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31)은 리지드(Rigid) 또는 플렉시블(Flexible) 타입일 수 있다. 리지드 인쇄회로기판인 경우, 인쇄회로기판(20)의 재료는 FR4(Flame Retardant Composition 4)일 수 있다. 리지드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면, 연성(Flexible)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may be a rigid or flexible type. In the case of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the materi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may be FR4 (Flame Retardant Composition 4). When using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반사층(40)은 인쇄회로기판(31)과 광가이드부(10) 사이에 배치된다. 반사층(40)은 반사 효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패턴층(20a)의 패턴에서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광가이드부(10)의 제1면이 향하는 제1면 방향으로 나오는 광원부(30)의 빛을 패턴층(20a) 및 광가이드부(10) 측으로 반사한다.The reflective layer 40 is dispos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and the optical guide unit 10. The reflective layer 40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reflection efficiency, and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is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by reflection and refraction in the pattern of the pattern layer 20a. Is reflected toward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light guide portion 10.

반사층(40)의 재료로는 빛의 반사 특성이 우수한 백색 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백색 안료로는 산화티탄(T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아연(ZnO), 황산바륨(BaSO4), 탄산칼슘(CaCO3), 탄산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 원료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반사층(40)은 은(Ag),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층(40)을 이용하면, 조명 장치(100)의 광 손실을 줄이고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을 더욱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As a material of the reflective layer 40,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dispersed white pigment having excellent light reflective properties may be used. As a white pigment, titanium oxide (Ti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zinc oxide (ZnO), barium sulfate (BaSO 4 ), calcium carbonate (CaCO 3 ), carbonates, etc. can be used, and synthetic resin raw materials As the furnac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crylic, polycarbonate, polystyrene, polyolefin, cellulose acetate, weather-resistant vinyl chloride,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reflective layer 40 may be formed of silver (Ag), aluminum (Al), stainless steel, or the like. When the reflective layer 40 is used, light loss of the lighting device 100 can be reduced and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more clearly expresse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1) 상에 측면형 또는 상부형 LED 소자를 기울어지게 실장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실장한 후 반사층(40)과 광가이드부(10)를 차례로 형성하고 LED 소자(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 광가이드부(10) 내부에 공급되는 LED 소자의 일부 입사광은 LED 소자의 출사면의 광출사각에 따라 광가이드부(10)의 제2면을 바로 통과하여 제2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출사광으로 전환되거나 LED 소자의 출사면 바로 앞 패턴이나 이 패턴 하부의 반사층(40)에서 반사하여 제2면을 통과한 후 제2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출사광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출사광은 확산유도부(50)에 의해 확산 유도되어 제2면 방향에서 제2면의 일부를 덮은 평면광으로 구현된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ide-type or top-type LED elements are mounted inclined or not incli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and then the reflective layer 40 and the light guide portion 10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LED element (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some incident light of the LED element supplied into the light guide unit 10 passes directly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according to the light exit angle of the LED element. It is converted to emission light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wo sides, or is converted to the output light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ide by reflecting from the pattern immediately in front of the emission side of the LED element or the reflective layer 40 under the pattern. . The outgoing light is diffused and guided by the diffusion inducing part 50 to be implemented as planar light covering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도 2b는 도 2a의 조명 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2B is a plan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가이드부(10), 입체효과 형성부, 광원부(30) 및 확산유도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B,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0,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a light source unit 30, and a diffusion induction unit 50.

확산유도부(50)는 제1반사체(도 8의 참조부호 51a 참조)와 제2반사체(도 8의 참조부호 51b 참조)를 구비한다.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는 광가이드부(10)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일단부와 제2면 상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타단부를 구비한다.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ncludes a first reflector (refer to 51a in FIG. 8) and a second reflector (refer to 51b in FIG. 8).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ve one end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clined to the outside on the second surface.

예를 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반사체와 제2반사체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된 중공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 형태를 각각 갖는 복수의 확산유도부(50)의 타단부(52a 내지 52f)는, 광가이드부(10)의 제2면의 제2영역 상에 분산 배치된다. 제1반사체 및 제2반사체 사이의 중공부인 이격영역에는 확산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more detail,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may have a hollow shape in which both edges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s 52a to 52f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inducing portions 50 each having a hollow shape are distributedly disposed on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10. A diffusion member may be filled in a spaced area that is a hollow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점 광원 형태의 확산유도부(50)의 타단부에서 타단부의 면적이나 밀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광이미지의 평면광이 부가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o which plane light of various optical images is added by adjusting the area or density of the other end of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oint light sources.

도 3은 도 2a의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100)에 있어서, 12개의 LED 패키지를 구비하는 광원부(30)에 전원이 공급되면, 광가이드부(10)의 제1측면 부근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6 LED 패키지들은 제1측면에서 제2측면으로 향하여 입사광을 조사하고, 광가이드부(10)의 제2측면 부근에 배치되는 제7 내지 제12 LED 패키지들은 제2측면에서 제1측면으로 향하여 입사광을 조사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30 including 12 LED packages, the first light guide unit 10 is disposed near the first side. The sixth LED packages irradiate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side to the second side, and the seventh to 12th LED packages disposed near the second side of the light guide unit 10 are from the second side to the first side. The incident light is irradiated toward it.

이때, 입사광은 광가이드부(10)와 굴절률 차이가 0.2 이하인 패턴층(20a)의 패턴 설계(패턴 피치, 패턴 배열 방향 등)에 따라 특정 광경로(제1경로)로 유도되면서 패턴에서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광가이드부(10)의 두께 방향으로 깊이감을 나타내는 입체효과 선형광(BL1)으로 변환된다.At this time, the incident light is reflected from the pattern while being guided to a specific optical path (first path) according to the pattern design (pattern pitch, pattern arrangement direction, etc.) of the pattern layer 20a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2 or less from the optical guide unit 10. And it is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L1 showing a sense of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by refraction.

본 실시예에서 입체효과 선형광(BL1)은 광가이드부(10)의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패턴의 서로 다른 패턴 배열 방향과 LED 패키지의 위치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 혹은 서로 반대 방향의 광경로(D1)으로 연장하는 12개의 입체효과 선형광으로 출력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L1 is the same, different directions, or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different pattern arrangement directions of patterns located in different areas of the light guide unit 10 and positions of the LED packages. It is output as 12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s extending to the furnace D1.

각 입체효과 선형광이 두 개의 선형광을 갖는 것은 각 LED 패키지가 두 개의 LED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LED 패키지가 하나의 LED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동일한 패턴 구조에서 각 입체효과 선형광은 하나의 선형광을 표시하게 된다.Each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has two linear lights because each LED package uses two LED elements, and when the LED package uses one LED element, each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has one line in the same pattern structure. It will display fluorescence.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100)에 있어서, 광원부(30)에 전원이 공급되면, LED 패키지 상부의 제2면 방향으로 나오는 출사광은 확산유도부(50)에 의해 확산 유도되어 광가이드부(10)의 제2면 상에 평면광(BL2)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light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bove the LED package is diffused and guided by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to be guided by the light guide unit ( A plane light BL2 is generated on the second surface of 10).

평면광(BL2)은 확산유도부(50)의 구조나 투명도에 따라 확산유도부(50)의 중공부(52) 부근에서 구현되는 평면광이거나 중공부(52)를 포함한 확산유도부(50) 전체에서 구현되는 평면광일 수 있다.The planar light BL2 is either planar light implemented near the hollow part 52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or is implemented in the entir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ncluding the hollow part 52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transparency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t may be a flat light.

한편, 도 1 내지 도 3의 조명 장치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확산유도부(50)가 배치되지 않은 LED 패키지의 상부로 출사되는 출사광이나 이러한 출사광에 의한 핫스팟(도 4의 LED 패키지의 상부 핫스팟 부분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실제로 광원부 바로 앞의 출사광이나 핫스팟 광 혹은 패턴을 지나 맞은편 측면에 부딪혀 나오는 출사광이 존재하며, 이러한 출사광이나 핫스팟의 광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확산유도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로 배치되는 확산유도부는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확산유도부(50)와 동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ighting devices of FIGS. 1 to 3,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outgoing light emitted to the top of the LED package in which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s not disposed, or a hot spot by such outgoing light (see the upper hot spot portion of the LED package in FIG. 4 ). ) Is omitted, but there is actually an outgoing light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a hot spot light, or an outgoing light hitting the opposite 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pattern, and a separate diffusion induction part is added to use the outgoing light or the light of the hot spot. Of course, it can be arranged as. The additionally disposed diffusion induction unit may b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diffusion induction unit 50 except that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is disposed symmetrically.

아울러, 도 1 내지 도 3의 조명 장치에서는 제2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하나의 확산유도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을 한정되지 않고, 직육면체 형태의 광가이드부의 제2면의 네 측면 모두에 확산유도부를 각각 설치하여 제2면 가장자리를 사각 틀 형태로 둘러싸는 평면광과 평면광 내부의 선형광을 표시하는 조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ighting device of FIGS. 1 to 3 shows a lighting device including one diffusion induction part disposed at one edge of the secon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light guide par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ing device that displays a plane light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 side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linear light inside the plane light by installing diffusion induction units on all four sides of the two sides, respectively.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확산유도부(50)가 중공부(52)를 통해 출사광을 확산유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중공부(52) 내부에 확산부재가 삽입되거나 충진되는 조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부재의 사용 전보다 더욱 균일한 평면광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has been described mainly to induce diffusion of the emitted light through the hollow portion 5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diffusion in the hollow portion 52 It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ing device into which the member is inserted or filled. In this case, a more uniform plane light can be realized than before the use of the diffusion member.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n operating stat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확산유도부(도 1 내지 도 3의 참조부호 50 참조)를 생략한 경우, 비교예의 조명 장치는 광원부(LED 패키지)의 상부에 핫스팟이 발생하고, 그에 의해 조명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서 불쾌한 눈부심을 제공하고, 조명의 얼룩, 휘도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refer to reference numeral 50 of Figs. 1 to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omitted, the lighting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hot spot on the top of the light source unit (LED package). As a result, unpleasant glare may be provided by the user who uses the lighting device, and there may be disadvantages such as uneven lighting and lowering of luminance.

또한, 비교예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광가이드부를 통해 광원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lighting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f power is cut off to th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guide, which may not be good in appearance.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광가이드부 상부의 확산유도부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에서의 원하지 않는 출사광이나 핫스팟의 광을 이용하여 평면광을 구현하고, 광원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 및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by using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guide part, the plane light is realized by using the unwant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or the light of the hot spot, and the performance and beauty are improved by preventing the light source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 can do it.

도 5는 도 2a의 조명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a의 조명 장치에서 광가이드부(10)와 확산유도부(50)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에 대응한다.5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FIG. 5 corresponds to a plan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A with the light guide unit 10 and the diffusion guide unit 50 removed.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광가이드부(10), 입체효과 형성부(20) 및 광원부(30)를 포함한다. 입체효과 형성부(20)는 패턴층(20a)의 제1면에 마련된 패턴(22)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0,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and a light source unit 30.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art 20 is composed of a pattern 22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20a.

입체효과 형성부(20)는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서 소정의 폭 방향 길이(W0)를 갖는 광가이드부(10)의 일면상에 배치되는 패턴(22)으로 구현된다. 패턴(22)은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효과 선형광의 형태나 모양에 따라 설계된다. 패턴 설계는 패턴의 피치나 폭 혹은 패턴 배열 방향, 패턴 연장 구조(직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원하는 값이나 범위로 제어하거나 제조하는 것을 지칭한다.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s implemented as a pattern 22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wise length W0 betwee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The pattern 22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r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to be implemented. Pattern design refers to controlling or manufacturing the pitch or width of a pattern, or a pattern arrangement direction, a pattern extension structure (straight line, curved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a desired value or range.

본 실시예에서 입체효과 형성부(20)는 광가이드부(10)의 일면 상의 서로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서로 인접한 두 패턴들은 서로 다른 배열 방향 혹은 서로 다른 연장 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두 패턴들의 경계에는 패턴절곡부(24)가 위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s disposed on different regions on on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Two adjacent patterns may have different arrangement directions or different extension directions, and a pattern bent part 24 may be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wo adjacent patterns.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장치(100)는 복수의 LED 패키지에서 각각 조사되는 입사광을 광가이드부(10)의 서로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된 패턴(22)을 통해 각 영역에서 서로 다른 광경로(D1 등)의 입체효과 선형광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3 참조).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ing device 100 transmits incident light irradi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through a pattern 22 disposed on different areas of the light guide unit 10 to have different light paths ( D1, etc.) can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see Fig. 3).

도 6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입체효과 선형광의 생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패턴층(20a)의 일부 단면 부분만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In FIG. 6, only a partial cross-sectional portion of the pattern layer 20a is enlarged.

도 6을 참조하면, 광원부의 특정 광원(Light Source, LS)에서 공급되는 입사광(BL0)은 광가이드부(도 1의 참조부호 10 참조) 및 패턴층(20a)의 굴절률과 외부 매질(대기)의 굴절률에 의해 정해지는 임계각 이하에서 광가이드부와 패턴층(20a)의 적층체 내부에서 반사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6, incident light BL0 supplied from a specific light source (LS) of the light source unit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unit (refer to reference numeral 10 in Fig. 1) and the pattern layer 20a and an external medium (atmosphere). It is reflected inside the stack of the light guide part and the pattern layer 20a below the critical angle determin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and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입사광(BL0)이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유닛의 경사면(221)과 만나면, 입사광(BL0)은 경사면(221)에서 굴절되거나 반사되며 그에 의해 임계각보다 큰 내부 입사각을 갖고 광가이드부의 제2면 방향(z방향) 또는 제1면 방향(-z방향)에서 적층체 외부로 방출된다.When the incident light BL0 meets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unit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the incident light BL0 is refracted or reflec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221, thereby having an internal incident angle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and It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ack in the two-sided direction (z direction) or the first sided direction (-z direction).

전술한 경우,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유닛은 경사면(221)에서 입사광(BL0)을 굴절시키거나 반사시켜 제1면 방향 또는 제2면 방향으로 입사광을 방출하는 간접 광원들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각 패턴유닛들에 의해 형성되는 간접 광원들은 조명 장치 외부의 소정의 기준점에서 볼 때 간접 광원들이 패턴 상의 제1경로를 따라 기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더 멀리 위치하는 것처럼 보인다. 기준점은 제2면 방향에서 조명 장치와 일정 거리 떨어진 사용자, 카메라 등이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se, the pattern units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function as indirect light sources that refract or reflect the incident light BL0 on the inclined surface 221 to emit incident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or second surface. Here, the indirect light sources formed by the respective pattern units appear to be gradually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along the first path on the pattern when viewed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utside the lighting device. The reference point may be a point where a user, a camera, and the like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ght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다시 말해서, 광원(LS)을 기준으로 패턴유닛들이 패턴 배열 방향(x방향)으로 순차 배열되고, 그리고 패턴 배열 방향에서 광원(LS)에 가까운 순서대로 제1영역(a1)의 제1패턴유닛(P11), 제2영역(a2)의 제2패턴유닛(P12) 및 제3영역(a3)의 제3패턴유닛(P13)이 있을 때, 광원(LS)에서 제2패턴유닛(P12)까지의 입사광의 제2광경로는, 광원(LS)에서 제1패턴유닛(P11)까지의 제1광경로보다 길고, 광원(LS)에서 제3패턴유닛(P13)까지의 제3광경로보다 작다.In other words, the pattern unit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pattern arrangement direction (x direction) based on the light source LS, and the first pattern units in the first region a1 ( P11), when the second pattern unit P12 in the second area a2 and the third pattern unit P13 in the third area a3 are present, the light source LS to the second pattern unit P12 The second optical path of the incident light is longer than the first optical path from the light source LS to the first pattern unit P11 and smaller than the third optical path from the light source LS to the third pattern unit P13.

즉, 제2패턴유닛(P12)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형성되는 제2간접광원(LS2)에서 제2패턴유닛(P12)까지의 제2거리(L2)는, 제1패턴유닛(P11)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간접광원(LS1)에서 제1패턴유닛(P11)까지의 제1거리(L1)보다 길고, 제3패턴유닛(P13)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형성되는 제3간접광원(LS3)에서 제3패턴유닛(P13)까지의 제3거리(L3)보다 짧다.That is, the second distance L2 from the second indirect light source LS2 to the second pattern unit P12 formed by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the second pattern unit P12 is It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L1 from the first indirect light source LS1 to the first pattern unit P11 formed by reflection and refraction, and is formed by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the third pattern unit P13. It is shorter than the third distance L3 from the indirect light source LS3 to the third pattern unit P13.

그것은 조명 장치 외부의 기준점에서 볼 때 선형광이 패턴 상의 제1경로를 따라 기준점에서 점진적으로 더 멀리 위치하는 간접 광원들에 의해 광가이드부의 두께 방향에서 제2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는 깊이감(입체효과)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It is a sense of depth in which the linear light enters inward from the second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art by indirect light sources located progressively further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along the first path on the pattern when viewed from a reference point outside the lighting device. ).

다시 말해서, 입체효과 형성부(20)는 제2면 방향 측에서 볼 때 패턴 설계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경로에서 특정 광폭으로 한정되어 유도되는 선형광이 광가이드부의 제2면 또는 패턴배열면의 반대면에서 광가이드부 안쪽으로 점진적으로 들어가는 깊이감을 갖는 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이미지는 제1경로를 따라가며 점진적으로 휘도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s limited to a specific width in the first path predetermined by the pattern design, and the induced linear ligh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or the pattern arrangement surface. An optical image having a sense of depth gradually entering the light guide unit from the opposite surface can be realized. Such an optical image may have a form in which luminance gradually decreases while following the first path.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효과 형성부(20)의 다수의 패턴유닛들은 소정의 외부 기준점에서 볼 때 선형광의 제1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배열되고 기준점에서 점진적으로 더 멀리 위치하는 간접 광원들로 각각 작용하며 그에 의해 입체효과 형성부(20)는 제1경로 상에서 입체효과를 갖는 선형광 즉, 입체효과 선형광(Line shaped beam having three-dimensional effect)을 구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attern units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first path of the linear light when viewed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reference point, and are formed into indirect light sources gradually located further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Each acts, and thereby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mplements a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is, a linear ligh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first path.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3 패턴유닛들(P11, P12 및 P13)에 있어서, 제2패턴유닛(P12)은 광원(LS) 측에서 볼 때 패턴층(20a)에서 제1패턴유닛(P11)의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패턴유닛이거나 제1패턴유닛(P11)과 소정 개수의 다른 패턴유닛들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패턴유닛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3패턴유닛(P13)은 광원(LS) 측에서 볼 때 제2패턴유닛(P12)의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패턴유닛이거나 제2패턴유닛(P12)과 소정 개수의 다른 패턴유닛들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패턴유닛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pattern units P11, P12, and P13, the second pattern unit P12 is the first pattern unit P11 in the pattern layer 20a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LS side. ), or a patter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ttern unit P11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other pattern units. Similarly, the third pattern unit P13 is a pattern unit located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pattern unit P12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LS sid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other pattern units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P12. It may be a pattern unit positioned between them.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조명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200)는, 광가이드부(10), 패턴에 의해 입체효과 형성부를 형성하는 패턴층(20a), 광원부(30), 반사층(40) 및 확산유도부(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 장치(200)는 패턴층(20a)과 반사층(40) 사이에 반사패턴(120), 접착패턴(130) 및 이격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200)는 광원부(3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1), 인쇄회로기판(31)을 지지하는 프레임 등의 지지부(160) 및 인쇄회로기판(31)을 통해 광원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light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0, a pattern layer 20a form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by a pattern, a light source unit 30, a reflective layer 40, and It includes a diffusion induction unit 50. In addition, the ligh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reflective pattern 120, an adhesive pattern 130, and a spaced region 140 between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reflective layer 40. In addition, the lighting device 200 is the light source unit 30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o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30 is mounted, a support unit 160 such as a frame suppor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power.

본 실시예에서 광가이드부(10), 패턴층(20a), 광원부(30) 및 반사층(4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조명 장치의 대응 구성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guide unit 10, the pattern layer 20a,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the reflective layer 4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lighting devi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확산유도부(50)는 베이스기재에 마련된 경사진 중공부(52) 및 중공부(52) 내벽의 광확산층(51)을 포함한다. 베이스기재는 광가이드부(10)의 제2면상에 배열되고, 글라스, 레진 등의 투명한 재료로 마련된다.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ncludes an inclined hollow portion 52 provided in the base material and a light diffusion layer 51 on an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52. The base material is arrang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10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resin.

중공부(52)는 광가이드부(10)에 매립된 광원부(30)의 바로 위에서 광원부(30)의 출사광 또는 핫스팟 광을 유도하도록 배치된다. 중공부(52)의 일단부는 광원부(30) 상에 정렬된다. 베이스기재를 관통하며 중공부(52)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내벽은 광가이드부(10)의 제2면 상에서 제2면 외측으로 경사진 직선상에서 곧게 연장될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52 is disposed to guide the outgoing light or hot spo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directly above the light source unit 30 embedded in the light guide unit 10. One end of the hollow part 52 is aligned on the light source part 30. The inner wall penetrating the base material and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portion 52 may extend straight on a straight line inclined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rface.

광확산층(51)은 중공부(52)의 내표면에 배열된다. 광확산층(51)은 광확산 재료를 중공부(52)에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마련될 수 있다. 광확산층(51)은 실리콘(sillicon), 실리카(silica), 클라스버블(glass bubble), PMMA, 우레탄(urethane), Zn, Zr, Al2O3, 아크릴(acryl)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가 베이스 재료 내부나 표면에 분산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광확산층(51)이 비드(Bead) 형태의 광확산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비드의 입경은 약 1㎛ 내지 약 2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ight diffusion layer 51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52.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may be provided by coating or coating a light diffusion material on the hollow portion 52.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silicon (sillicon), silica, glass bubble, PMMA, urethane, Zn, Zr, Al 2 O 3 , and acrylic. It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material is dispersedly disposed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When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includes a bead-shaped light diffusion material,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ead may range from about 1 μm to about 2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층(20a)은 입체효과 형성부의 패턴이 반사층(4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패턴층(20a) 상에 레진을 도포하여 광가이드부(10)를 형성할 때, 레진층에 의해 덮여지는 패턴이 그 고유의 기능(입사광의 반사 및 굴절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패턴(도 6의 참조부호 P11, P12 및 P13 참조)은 경사면에서 입사광을 굴절 및 반사하여 조명 장치 외부로 유도하도록 작용해야 하는데, 패턴층(20a)의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레진층으로 패턴을 덮으면 실질적으로 패턴의 경사면이 사라져 패턴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이 광가이드부(10)와 마주하지 않고 반사층(40)과 마주하도록 패턴층(20a)을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attern layer 20a is disposed so that the pattern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faces the reflective layer 40. This arrangement prevents the pattern covered by the resin layer from losing its inherent function (reflection and refraction function) when forming the optical guide part 10 by coating the resin on the pattern layer 20a. do. That is, the pattern (refer to reference numerals P11, P12, and P13 in FIG. 6) should act to guide the incident light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 by refracting and reflecting the incident light from the inclined surface, and is a resin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pattern layer 20a When the pattern is covere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ttern substantially disappears, and the pattern cannot perform its function.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evented by disposing the pattern layer 20a so that the pattern does not face the light guide unit 10 but faces the reflective layer 40.

반사패턴(120)은 반사층(40) 상에 설치된다. 반사패턴(120)은 반사층(40)과 패턴층(20a) 사이에 배열된다. 반사패턴(120)은 반사층(4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물질을 반사층(40) 상에 인쇄하여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패턴(120)을 이용하면, 반사층(40)의 반사 효율과 반사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provided on the reflective layer 40.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arranged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40 and the pattern layer 20a.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prepared by printing an ink material including the same material as the reflective layer 40 on the reflective layer 40. When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used, the reflective efficiency and reflective area of the reflective layer 40 can be controlled.

패턴층(20a)과 반사층(40)을 적층 배치할 때, 접착패턴(130)이 이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접착패턴(130)은 소정의 패턴(벌집 모양 등)을 갖고 반사층(40)의 반사율이나 반사 영역을 한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패턴(130)은 구현에 따라서 접착물질을 함유한 반사패턴(120)에 의해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reflective layer 40 are stacked and disposed, the adhesive pattern 130 may be used. In that case, the adhesive pattern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a honeycomb shape) and may be used to limit the reflectivity or reflective area of the reflective layer 40. The adhesive pattern 13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containing an adhesive material according to implementation.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200)는, 패턴층(20a)과 반사층(40)을 적층 배치할 때, 패턴층(20a)의 패턴이나 이들 사이의 접착패턴(130)에 의해 패턴층(20a)과 반사층(4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영역(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영역(140)은 공기층이나 진공층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영역(140)을 이용하면, 입체효과 선형광 자체나 그 주변의 광의 미세한 산란을 유도하여 또 다른 형상의 광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when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reflective layer 40 are stacked and disposed, the pattern layer 20a is formed by the pattern of the pattern layer 20a or the adhesive pattern 130 therebetween. ) And the reflective layer 40 may further include a spacing region 140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area 140 may be provided as an air layer or a vacuum layer, and when the separation area 140 is used, it is possible to express a different shape of an optical image by inducing a microscopic scattering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itself or surrounding light. have.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200)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1)에 실장된 광원부(30)는 반사층(40)의 개구부와 패턴층(20a)의 개구부를 통해 광가이드부(10) 내부까지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ight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30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is inside the light guide unit 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flective layer 40 and the opening of the pattern layer 20a. It can be arranged to extend to.

지지부(160)는 광원부(3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1) 뿐만 아니라 광가이드부(10), 반사층(40) 등을 지지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성 재료로 준비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6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ight guide unit 10 and the reflective layer 40 as well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31 o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30 is mounted. The support 160 may be prepar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전원부(180)는 광원부(30)에 연결되어 광원부(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0)는 배선 및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되는 상용 전원을 포함할 수 있으나, 구현에 따라서 차량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차량 배터리로 마련되는 경우, 광원부(30)는 차량 배터리에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unit 30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include a commercial power source connected through wiring and a connector, but may be provided as a vehicle battery depending on implementation. When provided with a vehicle battery,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attery and driven by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연성, 고내열성, 우수한 부착력, 고효율, 고신뢰성을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설계에 의한 입체효과 선형광 구현시 반사패턴(80), 접착패턴(130) 또는 이격영역(140)을 이용하여 광이미지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 장치를 차량 계기판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having flexibility, high heat resistance, excellent adhesion, high efficiency, and high reliability. In addition, when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y pattern desig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can change an optical image by using the reflective pattern 80, the adhesive pattern 130, or the spaced area 140. The devic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vehicle dashboards.

또한, 확산유도부(50)는 구현에 따라서 투명한 베이스기재를 관통하는 중공부(52)와 중공부(52)의 내벽에 배열되는 광확산층(51)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경우, 중공부(52)는 그 내벽이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확산층(51)은 중공부(52)의 내벽에 배열되는 반사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52 penetrating the transparent base material and a light diffusion layer 51 arranged on an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52 according to implementation. In that case, the hollow portion 52 may have a curved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inner wall.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may be a reflector arrang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5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중공부(52)의 일단부가 광가이드부의 제2면 상에서 광원 상에 정렬될 때, 중공부(52)의 일단부의 반대측인 타단부의 제2개구부의 제2단면적은 일단부의 제1개구부의 제1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2개구부는 평면광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제2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부(52)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확산유도부(50)의 제1면은 광가이드부의 제2면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면이고, 확산유도부(50)의 제2면은 제1면의 반대측 면으로서 광가이드부의 제2면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hollow portion 52 is aligned on the light source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the seco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hollow portion 52 is the first opening of one end. It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cross-sectional area of. Here, the above-described second opening may have a second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planar light is to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at one end of the hollow part 52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part,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s a first surface. As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t may be a surface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확산유도부(50)의 제1면에 위치한 중공부(52)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출사광이나 핫스팟 광을 중공부(52) 내부에서 확산 유도하여 확산유도부(50)의 타단부에서 원하는 크기나 형상의 평면광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확산층(51)를 이용하면, 광확산층(51)의 형상, 두께, 재질, 색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광원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확산유도부(50)의 베이스기재가 약간의 광 가이드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출사광은 중공부 내벽의 광확산층(51)을 통과하여 베이스기재의 소정 부분까지 확산 및 분산되는 평면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going light or hot spot light flowing into one end of the hollow portion 52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diffusion induction portion 50 is diffused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52, Plane light of a desired size or shape can be implemented at the end. In other words, when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is used, various surface light source images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shape, thickness, material, and color of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Particularly, when the base material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has a slight light guide function, the outgoing light passes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ayer 51 of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part and is converted into planar light that is diffused and distributed to a predetermined part of the base material. Can be.

도 8은 도 7의 조명 장치의 확산유도부의 변형예에 대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modified example of a diffusion induction uni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가이드부의 제2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1반사체(51a)와 제2반사체(51b)가 복수의 쌍으로 배치되는 확산유도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n which a first reflector 51a and a second reflector 51b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pairs. Include.

확산유도부(50)는 복수 쌍에서 제1쌍의 제1반사체(51a)와 제2반사체(51b)의 일단부와 제2쌍의 제1반사체(51a)와 제2반사체(51b)의 일단부가 광원부의 광원 상부에서 일체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ncludes one end of the first pair of first and second reflectors 51a and 51b and one end of the second pair of first and second reflectors 51a and 51b in a plurality of pairs. It may be formed to be integrally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쌍의 제1반사체(51a)와 제2반사체(51b)가 일단부(51c)와 일단부(51c)의 반대측인 타단부(51d)를 구비하고, 제2쌍의 제1반사체(51a)와 제2반사체(51b)가 일단부(51c)와 일단부(51c)의 반대측인 타단부(51e)를 구비할 때, 제1쌍의 반사체들의 일단부와 제2쌍의 반사체들의 일단부는 광원부의 광원 상부에 일체로 위치한다. 그리고, 제1쌍의 반사체들의 타단부와 제2쌍의 반사체들의 타단부는 복수의 평면광을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평면광은 도 18의 조명 장치에서와 같이 광가이드부의 제1영역의 선형광들을 광가이드부의 제2영역에서 2중 띠 형태로 둘러싸는 평면광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pair of first reflectors 51a and second reflectors 51b have one end 51c and the other end 51d opposite to the one end 51c, and the second pair of When the first reflector 51a and the second reflector 51b have one end 51c and the other end 51e opposite to the one end 51c, one end and a second pair of the first pair of reflectors One end of the reflectors of the light source is integrally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ir of reflectors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ir of reflectors represent a plurality of plane light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lanar lights may be planar lights that surround linear lights of the first area of the light guide unit in the form of a double band in the second area of the light guide unit, as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18.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확산유도부의 일부분(A1)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1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9.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가이드부(10), 패턴층(20a), 광원부(30), 인쇄회로기판(31), 패턴층(40), 확산유도부(50a, 50b), 반사패턴(120), 접착패턴(130) 및 이격영역(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part 10, a pattern layer 20a, a light source part 30, a printed circuit board 31, a pattern layer 40, a diffusion induction part 50a, 50b), a reflective pattern 120, an adhesive pattern 130, and a spacing region 140.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수단들은 확산유도부(50a, 50b)를 제외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조명 장치의 대응 구성수단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constituent means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nstituent means of the ligh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except for the diffusion induction parts 50a and 50b.

본 실시예에 따른 확산유도부(50a, 50b)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유도부(50a) 및 광확산부(50b)를 구비한다.The diffusion induction units 50a and 5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light induction unit 50a and a light diffusion unit 50b as shown in FIG. 10.

광유도부(50a)는 중공 파이프 또는 중공 플레이트 형태를 구비한다. 광유도부(50a)는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3)가 이들 사이에 중공부(52)를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3)는 적어도 일면이 반사면이 제1반사체 및 제2반사체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The light induction part 50a has a shape of a hollow pipe or a hollow plate. The light guide portion 50a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late 51 and the second plate 53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hollow portion 52 therebetwee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51 and the second plate 53 may have a reflectiv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respectively.

중공부(50)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광유도부(50a)의 제1면은 광가이드부의 제2면상에 광원부 상부에서 광원부의 광출사면 전방을 일정 길이만큼 덮도록 광원부 바로 상부측에 정렬된다.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ing portion 50a on which one end of the hollow portion 50 is located is arrang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to cover the front of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from the top of the light gui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광확산부(50b)는 광유도부(50a)의 제2면에 결합한다. 광유도부(50a)의 제2면에는 중공부(52)의 타단부가 노출되며, 중공부의 타단부는 광확산부(50b)에 의해 커버된다. 광확산부(50b)는 판상 부재로서 광가이드부의 제2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구현하고자 하는 평편광의 폭이나 길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폭이나 길이를 구비한다.The light diffusion part 50b is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induction part 50a. The other end of the hollow portion 52 is ex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50a,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portion is covered by the light diffusion portion 50b. The light diffusing part 50b is a plate-like member,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width or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flat polarized light to be implemented.

광확산부(50b)는 광유도부(50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광확산부(50b) 내부 전체로 확산시킨다. 이를 위해 광확산부(50b)의 재료는 글라스나 레진이 가능하며, 실리콘(sillicon), 실리카(silica), 클라스버블(glass bubble), PMMA, 우레탄(urethane), Zn, Zr, Al2O3, 아크릴(acryl)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료를 베이스 재료(글라스나 레진 등)의 내부나 표면에 분산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확산부(50b)가 비드(Bead) 형태의 광확산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비드의 입경은 약 1㎛ 내지 약 2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The light diffusion unit 50b diffuses the light flowing into the light diffusion unit 50b through the light guide unit 50a 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light diffusion unit 50b. For this, the material of the light diffusion unit 50b can be glass or resin, and silicon (sillicon), silica (silica), glass bubble (glass bubble), PMMA, urethane (urethane), Zn, Zr, Al 2 O 3 And acrylic (acryl) can be implemented by distributing and distribut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inside or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glass, resin, etc.). When the light diffusion part 50b includes a bead-type light diffusion material,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ead may range from about 1 μm to about 20 μm.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가이드부(10), 패턴층(20a), 반사층(40) 및 분리층(8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0, a pattern layer 20a, a reflective layer 40, and a separation layer 80.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패턴층(20a)의 배치 방향과 분리층(80)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패턴층(20a)의 배치 구조와 분리층(80)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any one of the lighting devic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except fo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separation layer 80. I can. That i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separation layer 80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패턴층(20a)은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이 광가이드부(10)를 형성하는 레진층에 의해 매립된다. 이 경우, 패턴층(20a)과 레진층 간의 굴절률 차이가 작으면, 패턴(22)의 반사 및 굴절 기능은 거의 상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층(20a)의 패턴(22)과 광가이드부(10) 사이에 분리층(80)을 배치한다.The pattern layer 20a is filled with a resin layer in which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20 forms the light guide portion 10. In this case, if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resin layer is small, the reflective and refractive functions of the pattern 22 may be substantially lost.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is embodiment, a separation layer 80 is disposed between the pattern 22 of the pattern layer 20a and the light guide part 10.

다시 말해서, 광가이드부(10)의 굴절률과 패턴층(20a)의 굴절률 차이가 0.2 이하인 경우,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패턴(22)의 경사면은 입사광의 굴절 및 반사 작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그러한 경우,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에서 광원부의 입사광을 조명 장치 외부로 유도할 수 없어 입체효과 선형광을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는 패턴(22)과 광가이드부(10) 사이에 분리층(80)를 두어 레진층으로 형성되는 광가이드부(10)와 패턴(22)을 분리함으로써 패턴(22)의 경사면에서 입사광의 반사 및 굴절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ttern layer 20a is 0.2 or les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ttern 22 positioned therebetween does not properly refraction and reflect the incident light.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ecause the incident light of the light source unit cannot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 in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Therefore,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ttern 22 and the light guide part 10 are separated by a separation layer 80 to separate the light guide part 10 and the pattern 22 formed of a resin layer. It is made so that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incident light on the inclined surface of (22) can be performed smoothly.

분리층(80)은 광가이드부(10)와 패턴층(20a) 간의 굴절률 차이가 일정 값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성 코팅층일 수 있다.The separation layer 80 may be a metallic coating layer disposed therebetween to prevent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light guide unit 10 and the pattern layer 20a from becoming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을 레진층으로 매립하거나 레진층으로 이루어지는 광가이드부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패턴층(20a)을 제1레진층으로 형성하고, 분리층(80)을 형성한 후 제2레진층으로 광가이드부(10)를 형성하여 패턴(22)을 광가이드부 내부에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ill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20 with a resin layer or to be disposed inside the optical guide portion made of a resin layer. That is, the pattern layer 20a is formed as a first resin layer, and after the separation layer 80 is formed, the optical guide unit 10 is formed with the second resin layer to bury the pattern 22 inside the optical guide unit. It is possible to do.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광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guide part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광가이드부(10)와 패턴층(20a)의 적층체를 단일 구조로 마련한 광가이드부(10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tack of the light guide unit 10 and the pattern layer 20a in any on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is a single structure. It includes an optical guide portion (10a) provided with.

광가이드부(10a)의 제1면에는 패턴(22)이 일체로 마련된다. 패턴(22)은 입체효과 형성부(20)를 구현한다. 이러한 광가이드부(10a)는 글라스의 제1면 일부를 커터로 절삭 가공하여 패턴(22)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A pattern 22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10a. The pattern 22 implement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The optical guide portion 10a may be provided in a manner of forming a pattern 22 by cutting a part of the first surface of the glass with a cutter.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품 수를 줄여 조명 장치의 간소화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simplifying the lighting device and reducing costs.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에 채용가능한 입체효과 형성부의 패턴에 대한 예시도들이다.13 to 15 are exemplary views of a pattern of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은 프리즘 또는 삼각형 단면 형상의 패턴 구조를 갖는다. 패턴(22)이 프리즘 형태를 구비하면, 패턴(22) 경사면(221)은 x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배열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다. 즉, 경사면(221)은 패턴층 또는 광가이드부의 제1면(12)과 직교하는 방향(z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만큼 기울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면(12)와 관련하여 광가이드부와 패턴층의 적층체에서의 패턴층을 간단히 광가이드부로 지칭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attern structure of a prism or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pattern 22 has a prism shape,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attern arrangement surface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21 may be design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a direction (z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urface 12 of the pattern layer or the light guide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12, the pattern layer in the stack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and the pattern layer is simply referred to as an optical guide portion.

경사면(221)의 경사각(θ)은 약 5°이상 약 85°이하일 수 있다. 경사각(θ)은 광가이드부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한정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경사면(221)에서 반사 및 굴절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각도를 고려할 때 약 5° 내지 약 85°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221 may be about 5° or more and about 85° or less. The inclination angle θ may be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guide unit, but basically has a range of about 5° to about 85° when considering the minimum and maximum angles at which reflection and refraction can be properly per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221. I can.

일례로써, 광가이드부의 굴절률이 약 1.30 내지 약 1.80 범위에 존재할 때, 경사면(221)의 경사각은 기준 방향(z방향 또는 x방향)에 따라 약 33.7°보다 크고 약 50.3°보다 작은 범위를 갖거나 약 49.7°보다 크고 약 56.3°보다 작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guide part is in the range of about 1.30 to about 1.8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21 has a range greater than about 33.7° and less than about 50.3° according to the reference direction (z direction or x direction), or It may have a range greater than about 49.7° and less than about 56.3°.

또한, 구현에 따라서, 광가이드부는 고굴절률 소재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고광도 LED(Light Emitting Diode) 제조의 경우, 특정 입사각의 빛이 다이(Die)를 지나 캡슐소재를 투과할 때 다이(n=2.50~3.50)와 통상의 고분자 캡슐소재(n=1.40~1.60) 사이의 n값(굴절률) 차이에 의해 내부 전반사가 발생하고 그에 의해 기기의 광추출 효율이 저하되는데, 이를 적절히 해소하기 위하여 고굴절률 고분자(n=1.80~2.50)를 이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광도 LED 제조에 이용되는 고굴절률 고분자를 활용하여 광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경우, 패턴(22)의 경사면(221)의 경사각은 광가이드부의 굴절률에 따라 약 23.6°보다 크고 약 56.3°보다 작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optical guide unit may be provided using a high refractive index materi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high-intensity LED (Light Emitting Diode), when light of a specific incident angle passes through the die and passes through the capsule material, the die (n=2.50~3.50) and the general polymer capsule material (n=1.40~1.60) ), total internal reflection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value (refractive index)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device decreases, and a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 (n=1.80~2.50) is used to properly solve this. That is, in the case of providing an optical guide part using a high-refractive-index polymer used in manufacturing a high-intensity LED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is greater than about 23.6° and about 56.3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guide part. It can have a range less than °.

전술한 굴절률에 따른 경사각은 스넬의 법칙에 따른 것으로,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The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described above is according to Snell's law, and thi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as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4045368005-pat00001
Figure 112014045368005-pat00001

수학식 1에서 sinθ1은 제1굴절률(n1)을 갖는 제1매질에서의 빛의 입사각 또는 굴절각이고, sinθ2는 제2굴절률(n2)에서의 빛의 굴절각 또는 입사각일 수 있다.In Equation 1, sinθ 1 may be an incidence angle or a refraction angle of light in the first medium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n1, and sinθ 2 may be a refraction angle or an incidence angle of light in the second refractive index n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체 표시장치의 광가이드부에 있어서, 입체효과 형성부의 패턴의 경사면은 입사광을 적절하게 반사시키거나 굴절시킬 수 있는 경사각으로서 작게는 약 5°정도, 크게는 약 85°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ptical guide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ttern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is an inclination angle capable of appropriately reflecting or refracting incident light, and is about 5° as small as about 85 degrees. It can be prepared in degrees.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22)은 인접한 패턴유닛들 간의 폭(w) 대 높이(h)를 소정 비율로 한정할 수 있다. 폭(w)은 인접한 두 패턴유닛들 사이의 일정 간격 즉 피치(pit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광의 깊이감이 강조되도록 패턴을 설계하는 경우, 폭(w)은 높이(h)와 같거나 작도록 마련된다. 또한, 선형광에서 상대적으로 긴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패턴을 설계하는 경우, 폭(w)은 높이(h)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attern 22 may limit the width w to the height h between adjacent pattern units at a predetermined ratio. The width w may be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a pitch between two adjacent pattern units. For example, when a pattern is designed to emphasize the depth of linear light, the width w is provid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h. In addition, when a pattern is designed to represent a relatively long image in linear light, the width w may be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h.

패턴(22)의 폭 대 높이의 비율(h/w)을 1보다 작게 설계하면, 패턴(22)의 폭 대 높이의 비율(h/w)이 1 이상인 것에 비해 오목부의 깊이가 낮아 패턴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If the width-to-height ratio (h/w) of the pattern 22 is designed to be less than 1,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lower than that of 1 or more, and pattern manufacturing is difficult. It can be easy.

전술한 패턴(22)의 폭(w)은 약 1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이러한 폭(w)은 x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두 패턴유닛들 사이의 평균 간격일 수 있으며, 패턴 설계나 배열 구조 혹은 원하는 광이미지 형상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The width w of the above-described pattern 22 may be about 10 μm to about 500 μm. The width w may be an average interval between two adjacent pattern units in the x direction, and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pattern design, an arrangement structure, or a desired shape of an optical image.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턴(22)의 폭(w)과 높이(h)를 특성조절용 인자로 이용하여 패턴(22)을 설계함으로써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효과 선형광에 의한 다양한 광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designing the pattern 22 by using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of the pattern 22 as a characteristic adjustment factor, various optical images by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to be implemented are efficiently and It can be easily controlled.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학 부재에 있어서,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은 다각형 단면 형상의 패턴 구조를 구비한다. 즉, 패턴(22)의 경사면(221)은 꺾은선 그래프 형상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14, in the optical member of this embodiment,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has a pattern structure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has a line graph shape.

패턴(22)의 경사면(221)은 광가이드부의 두께 방향 또는 광가이드부의 제1면(12)과 직교하는 방향(z방향)에서 꺽은선 그래프의 선분 개수에 따라 복수의 경사각(θ1, θ2)을 가질 수 있다. 제2경사각(θ2)은 제1경사각(θ1)보다 클 수 있다. 제1 또는 제2 경사각(θ1, θ2)은 약 5°보다 크고 약 85°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설계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is a plurality of inclined angles (θ1, θ2)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ne segments in the line grap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2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z direction). Can have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The first or second inclination angles θ1 and θ2 may be designed within a range greater than about 5° and less than about 85°.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형성부(20)는 서로 인접한 두 패턴유닛들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22)이 제1패턴유닛(Cm-1), 제2패턴유닛(Cm) 및 제3패턴유닛(Cm+1)(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임)을 포함할 때, 입체효과 형성부(20)는 제1패턴유닛(Cm-1)과 제2패턴유닛(Cm) 사이 및 제2패턴유닛(Cm)과 제3패턴유닛(Cm+1)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art 2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spacer 222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pattern units. For example, when the pattern 22 includes a first pattern unit (Cm-1), a second pattern unit (Cm), and a third pattern unit (Cm+1)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s a spa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ttern unit (Cm-1) and the second pattern unit (Cm) and between the second pattern unit (Cm) and the third pattern unit (Cm+1) It may include a part 222.

이격부(222)의 폭(w1)은 패턴(22)의 폭(w)보다 작다. 입체효과 형성부(20) 상에서의 자연스러운 선형광 구현을 위해 이격부(222)의 폭(w1)은 수㎛ 이하이거나 패턴의 폭(w)의 약 1/5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spaced portion 222 is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pattern 22. In order to realize a natural linear light on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art 20, the width w1 of the spacer 222 may be several μm or less, or may be designed to be less than about 1/5 of the width w of the pattern.

또한,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형성부(20)는 광가이드부의 제1면(12)과 거의 평행한 단절면(223)을 패턴(22) 상에 구비할 수 있다. 단절면(223)은 실질적으로 입사광의 반사나 굴절에 의해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작용하지 못하는 부분으로서, 패턴(22)에 의해 구현되는 선형광이 단절면(223)에 대응하는 단절 부분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단절면(223)의 폭(w2)은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형상의 입체효과 선형광의 구현을 위해 수㎛ 이하에서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cut surface 223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12 of the optical guide unit on the pattern 22. The cut surface 223 is a part that does not act so that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by reflection or refra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linear light implemented by the pattern 22 has a cut part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 223. Therefore, the width w2 of the cut surface 223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a range of several μm or less in order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having a natural and continuous shape.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체 표시장치에 있어서,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은 렌티큘러(Lenticular), 반원형 단면 또는 반타원형 단면 형태를 구비한다. 패턴(22)은 광가이드부의 두께 방향 또는 광가이드부의 제1면(12)과 직교하는 방향(z방향)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221)을 구비한다. 패턴(22)은 z방향의 패턴 중심선(미도시)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has a lenticular, semi-circular cross-section, or semi-elliptical cross-sectional shape. The pattern 22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2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art 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2 of the light guide part (z direction). The pattern 22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based on a pattern center line (not shown) in the z direction.

패턴(22)의 경사면(221)은 반원형 단면 구조로 인하여 입사광(BL0)이 만나는 경사면 상에서의 위치가 입사광(BL0)의 입사 위치에 따라 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패턴(22)의 경사면(221)은 원호 상의 임의의 점에 접하는 면이 되므로, 패턴(22) 상의 임의의 점에 접하는 접선은 광가이드부의 제1면(12)과 직교하는 방향(z방향)에서 소정 경사각(θ)으로 놓일 수 있다. 경사각(θ)은 입사광(BL0)이 부딪히는 경사면상의 위치에 따라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 where the incident light BL0 meets varies according to the incident position of the incident light BL0 due to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is, since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attern 22 of this embodiment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an arbitrary point on an arc,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an arbitrary point on the pattern 22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12 of the optical guide part. It may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in the direction (z direction). The inclination angle θ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90° depending on the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 where the incident light BL0 strikes.

본 실시예에서 입체효과 형성부(20)의 패턴(22)은 서로 인접한 두 패턴유닛들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222)는 패턴층 또는 광가이드부의 제1면(12)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두 인접한 패턴유닛들 사이의 패턴 비형성부로서 제1면(12)의 일부분으로 제1면(12)과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격부(222)는 패턴 설계나 제조공정의 편의를 위해 마련된 패턴유닛들 사이의 유격으로서 광가이드부의 재료나 제조공정 또는 패턴 설계에 따라 생략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ttern 22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222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pattern units. The spacing part 222 is a pattern non-forming part between two adjacent pattern units having a concave shape from the first surface 12 of the pattern layer or the light guide part, and is a part of the first surface 12. Can extend parallel to. The spacer 222 is a gap between pattern units provided for convenience of pattern design or manufacturing process,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optical guide unit, manufacturing process, or pattern design.

한편, 이격부(222)를 배치하는 경우, 이격부(222)의 폭(w1)은 패턴(22)의 패턴유닛의 폭(w)보다 작게 설계된다. 이격부(222)의 폭(w1)은 패턴(22)의 폭(w)의 약 1/5 이하이거나 수㎛ 이하일 수 있다. 이격부(222)의 폭(w1)이 패턴(22)의 폭(w) 이상이면, 패턴(22)에서 단절 부분을 갖는 선형광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cer 222 is disposed, the width w1 of the spacer 222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pattern unit of the pattern 22. The width w1 of the spaced portion 222 may be about 1/5 or less or several μm or less of the width w of the pattern 22. If the width w1 of the spaced portion 22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 of the pattern 22, a linear light having a cut portion in the pattern 22 may be implemented.

특히, 패턴(22)이 렌티귤러 형태인 경우, 선형광의 용이한 구현을 위해 패턴(22)의 폭(w)(또는 직경) 대 높이의 비율(h/w)은 약 1/2 이하이거나 그 경사면의 경사각(θ)이 약 60°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attern 22 is in a lenticular shape, the ratio of the width (w) (or diameter) to the height (h/w) of the pattern 22 is about 1/2 or less for easy implementation of linear light. It may be designe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is about 60° or less.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각 패턴의 단면은 삼각형, 다각형 또는 반원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패턴이 광가이드부 내부를 진행하는 빛을 굴절 또는 반사하여 제1면 방향이나 제2면 방향으로 방출하는 구조라면, 전술한 직선, 곡선 및 꺾은선 그래프 형상의 단면 구조 외에 이들의 조합 형상이나 기타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each patter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mainly in the case of a triangular, polygonal, or semicirc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In the case of a structure emitting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r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a combination shape or any other structure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straight, curved and line graph shapes.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6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300)는, 입사광을 유도하는 광가이드부, 광가이드부의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입체효과 형성부(20) 및 광가이드부의 제2면 상에 배치되는 확산유도부(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ligh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 guide unit for inducing incident light,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nd a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It includes a diffusion induction unit 50 disposed on the top.

입체효과 형성부(20)는 광가이드부(10)의 서로 다른 영역상에 배치되고 일체로 연장하는 패턴(22)을 구비하고, 패턴(22)은 선형광의 광경로를 한정하기 위한 방향으로 순차 배열되는 복수의 패턴유닛들을 포함하며, 각 패턴유닛은 제1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구비한다.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 includes patterns 22 disposed on different regions of the optical guide unit 10 and extending integrally, and the pattern 22 is in a direction for defining the optical path of the linear ligh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units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each pattern unit h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확산유도부(50)는 패턴(22)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광원부의 다수의 LED 패키지를 덮어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열된다.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50 is arranged so as not to be visible from the front by covering a plurality of LED packages of the light source unit disposed at the edge of the pattern 22.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 LED 패키지 상부측에 배열되는 확산유도부(50)에 의해 LED 패키지가 가려진 상태에서, 확산유도부(50)는 LED 패키지에 의한 핫스팟 광이나 원하지 않는 위치에서 방출되는 출사광을 확산 유도하여 평면광을 구현한다. 물론, 고리 형상의 평면광의 가운데 부분에는 각 LED 패키지의 입사광을 변환한 다수의 입체효과 선형광이 표시될 수 있다(도 17 참조).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while the LED package is covered by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D package,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50 absorbs hot spot light by the LED package or the emission light emitted from an unwanted position. Plane light is realized by inducing diffusion. Of course,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s converted from incident light of each LED package may be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annular planar light (see FIG. 17).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차량용 램프인 전조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명 장치(300)는 아우터 렌즈(310)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렌즈(310)는 광가이드부 및 확산유도부(5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 확산유도부(5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headlamp, which is a vehicle lamp, the lighting device 300 may be implemented to further include an outer lens 310. In this case, the outer lens 31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light guide unit and the diffusion guide unit 50,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iffusion guide unit 50 according to implementation.

도 17은 도 16의 조명 장치에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의 작동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mparative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각 LED 패키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두 개 또는 세 개의 입사광을 출력하며, 이러한 입사광은 패턴에 의해 입체효과 선형광으로 변환되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17, in the lighting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each LED package includes two or three LED elements, and outputs two or three incident lights, and the incident light is a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y a pattern. Is converted to and displayed.

한편, 비교예의 조명 장치(300A)에서는 확산유도부(도 16의 참조부호 50 참조)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LED 패키지 상부측에서 LED 패키지에 의한 출사광의 핫스팟이 관찰된다. 이러한 출사광의 핫스팟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확산유도부를 이용하여 평면광으로 변환하여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ighting apparatus 300A of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refer to reference numeral 50 in FIG. 16) is not provided, a hot spot of the emitted light by the LED package is observ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D package. The hot spot of the outgoing light may be converted into planar light us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ed.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예시도이다.18 is an exemplary view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300B)는 세 개의 링형 반사체의 적층 구조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가장자리 부분에 이중 링 형상의 평면광을 구현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lighting device 3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lements a double ring-shaped planar light at the edge of the lighting device using a stacked structure of three ring-shaped reflectors.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LED 패키지는 두 개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두 개의 입사광을 출력하며, 이러한 입사광은 패턴에 의해 입체효과 선형광으로 변환되어 표시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LED package includes two LED elements and outputs two incident lights, and these incident lights are converted into three-dimensional effect linear light by a pattern and display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여러 개의 확산유도부 혹은 반사체 형상을 사용하여 다수의 면광원 띠를 가진 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확산유도부나 반사체의 두께, 색, 재질을 조절하여 평면광이 띠 형태로 구분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 별도의 차폐 띠를 입체효과 형성부 외의 기구물에 설치하여 중첩 배치함으로써 상기한 다중 띠 형태의 평면광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optical image having a plurality of surface light source bands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 plurality of diffusion induction parts or reflector shapes.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thickness, color, and material of the diffusion induction part or the reflector,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planar light can be classified in the form of a strip.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ulti-band type of flat light.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a number of suitab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modification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광가이드부
20: 입체효과 형성부
20a: 패턴층
22: 패턴
221: 경사면
30: 광원부
40: 반사층
50: 확산유도부
80: 분리층
10: light guide part
20: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20a: pattern layer
22: pattern
221: slope
30: light source unit
40: reflective layer
50: diffusion induction part
80: separation layer

Claims (1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는 광가이드부;
상기 광가이드부 내부 또는 표면상의 패턴을 구비하는 입체효과 형성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가이드부 내부에 매립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상기 제2면으로 나오는 출사광을 확산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확산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순차 배열되고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패턴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유닛의 연장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 방향은 서로 평행이고,
상기 확산유도부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반사체와 상기 제2반사체는 상기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2면 상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Board;
A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ptical guide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substrat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having a pattern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mbedded in the light guide unit; And
And a diffusion induction part disposed on a second area of the light guide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part, and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rt to the second surface,
The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units each having an inclined surface arranged in sequence and having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ttern unit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includes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with a spaced area there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have one end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clined outwardly on the secon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체와 상기 제2반사체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는 중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 형태를 각각 갖는 복수의 확산유도부의 타단부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제2영역 상에 분산 배치되는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ve a hollow shape in which both edges facing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induction units each having the hollow shape are distributed and disposed on the second area of the optical guide unit. Ligh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체 및 상기 제2반사체의 타단부 상에 배치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제1반사체와 상기 제2반사체 사이를 통해 나오는 빛을 상기 제2면과 평행한 소정 폭의 평면상에 확산시키는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ffusion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wherein the diffusion member transmits light e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from one end to the second surface. A lighting device that diffuses on a plane of a predetermined width parallel to the.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사층;
상기 기판과 대향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는 광가이드부;
상기 광가이드부 내부 또는 표면상의 패턴을 구비하는 입체효과 형성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가이드부 내부에 매립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상기 제2면으로 나오는 출사광을 확산시키고, 상기 광원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확산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순차 배열되고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패턴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유닛의 연장 방향과 상기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 방향은 서로 평행이고,
상기 확산유도부는 서로 마주하며 이격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반사체와 제2반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유도부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제2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기 제1반사체와 상기 제2반사체의 복수 쌍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Board;
A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ptical guide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substrat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unit having a pattern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mbedded in the light guide unit; And
And a diffusion induction part disposed on a second area of the light guide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part, and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part to the second surface,
The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pattern units each having an inclined surface arranged in sequence and having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ttern unit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diffusion induction unit includes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with a spaced area therebetween,
The diffusion induc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guide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체는 제1-1 반사체 및 제1-2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반사체는 상기 제1-1 반사체와 쌍을 이루는 제2-1 반사체 및
상기 제1-2 반사체와 쌍을 이루는 제2-2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반사체, 상기 제2-1 반사체, 상기 제1-2 반사체 및 상기 제2-2 반사체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광원부의 광원 상부에서 일체로 배치되는 조명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eflector includes a 1-1 reflector and a 1-2 reflector,
The second reflector is a 2-1 reflector paired with the 1-1 reflector, and
Including a 2-2 reflector paired with the 1-2 reflector,
One end of each of the 1-1 reflector, the 2-1 reflector, the 1-2 reflector, and the 2-2 reflector is integrally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패턴과 상기 광가이드부 사이의 분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레진층이며, 상기 입체효과 형성부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제1면에 접합되는 패턴층으로 마련되고, 상기 패턴은 상기 패턴층의 제1면에 마련되며, 상기 패턴층의 제1면은 상기 분리층을 게재하고 상기 레진층으로 매립되는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layer between the pattern and the light guide portion,
The optical guide portion is a resin laye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forming portion is provided as a pattern layer bond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portion, the pattern is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Is a lighting device in which the separation layer is placed and the resin layer is embedded.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은 제1광원 및 제2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서로 다른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의 제1입사광을 제1선형광으로 변환하는 제1패턴 및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의 다른 제1입사광을 다른 제1선형광으로 변환하며, 상기 제1선형광의 진행 방향과 상기 다른 제1선형광의 진행 방향은 서로 다른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and a second light source, and the patterns are provided in different regions, and a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for converting first incident ligh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nto first linear fluorescence A lighting device that converts the different first incident light from and into different first linear fluorescent light, where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linear light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other first linear fluorescent ligh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7886A 2014-05-14 2014-05-14 Lighting Device KR102177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86A KR102177715B1 (en) 2014-05-14 2014-05-14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86A KR102177715B1 (en) 2014-05-14 2014-05-14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09A KR20150130809A (en) 2015-11-24
KR102177715B1 true KR102177715B1 (en) 2020-11-11

Family

ID=5484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86A KR102177715B1 (en) 2014-05-14 2014-05-14 Ligh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7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398A (en) 2019-09-20 2021-03-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and lamp
KR20220046090A (en) * 2020-10-07 2022-04-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ing apparatus and lamp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96B1 (en) * 2012-04-27 2012-07-13 백산철강(주) Optical sheet with enhanced light concentration and light diffusio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909B1 (en) * 2010-03-04 2012-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Backlight unit of direct illumination type
KR101977717B1 (en) * 2012-06-18 2019-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Illumin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96B1 (en) * 2012-04-27 2012-07-13 백산철강(주) Optical sheet with enhanced light concentration and light diffusio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09A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948B2 (en) Optical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244427B1 (en) Lighting device
JP6987762B2 (en) Lighting equipment and vehicle lamps including it
KR102264379B1 (en) Optical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JP6223746B2 (en) Single-sided light-emitting transparent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is light guide plate
CN104813098A (en) Illuminat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mprising same
CN103115284A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0197238B2 (en) Lighting apparatus
JP5119379B2 (en) Surface illumination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illumination device
KR102177715B1 (en) Lighting Device
JP6023057B2 (en) Optical sheet, optical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272025A1 (en) Lighting device and cove lighting module using the same
US11754252B2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KR102249863B1 (en) Illuminating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498129B1 (en) Lighting device
KR102172685B1 (en) Lighting Device
JP7048599B2 (en) Lighting equipment
JP2018124491A (en) Reflector plate, led illumination device, decorative panel for architectural interior decoration, method of positioning led light sources with respect to reflector plate of led illumination device, method of extracting light from led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led illumination device
KR102249869B1 (en) Lighting member using side reflection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142533B1 (en) Lighting device
KR20210049737A (en) Lighting device
KR20180081986A (en) Lighting apparatus
US20140218966A1 (en) Lighting device and cove lighting module using the same
KR20150092654A (en) Lighting member and lighting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