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690B1 -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690B1
KR102177690B1 KR1020190038515A KR20190038515A KR102177690B1 KR 102177690 B1 KR102177690 B1 KR 102177690B1 KR 1020190038515 A KR1020190038515 A KR 1020190038515A KR 20190038515 A KR20190038515 A KR 20190038515A KR 102177690 B1 KR102177690 B1 KR 10217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in
pincode
inpu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732A (ko
Inventor
최동민
최창
최준호
정일용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6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핀정보 입력장치는 핀정보와 상기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인 설정 간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의 배치 상태를 제어하며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와 상기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간접 정보가 상기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정보는 하나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나 위치값이 차례대로 배열된 숫자 정보이다.

Description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PUT APPARATUS OF PIN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핀(PIN)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핀정보와 관련된 간접 정보인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한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핀[Switch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은 변환 가능한(switchable) 키패드(keypad)를 사용한 인증 기법이다.
즉, 사용자 인증을 위해 개인식별번호(즉, 핀코드)(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각각 표시되는 숫자키 이외에도 특정키(예, 'show'키)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show'키는 초기 상태의 숫자 키 배열과 다르게 무작위로 숫자 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보여주기 위한 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show'키를 누를 때마다 키패드는 무작위로 배열된 숫자 키 배열과 초기 숫자 키 배열이 번갈아 표시한다.
따라서, SwitchPIN은 'show'키를 눌렀을 때 무작위로 배열된 숫자 키의 배열 정보를 사용자가 기억하여 초기 숫자 키 배열을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 핀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숫자인 1, 5 ,7, 9를 핀정보로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먼저 'show'키를 터치하여, 키패드가 도 1a의 초기 상태와 다른 숫자 키 배열을 갖는 상태(예, 이 상태를 '무작위 배열 상태'라 함)(도 1b 참고)를 표시하도록 한 후, 이 무작위 배열 상태에서 핀정보인 1, 5, 7, 9에 각각 해당하는 위치의 숫자인 6, 7, 4, 9를 기억한다. 이후, 다시 'show'키를 눌러 도 1c와 같이 키패드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만든 후 기억한 숫자인 6, 7, 4, 9를 입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정보(1, 5, 7, 9)의 입력이 이루지도록 한다
도 1d는 도 1a의 초기 상태에서 'show'키를 눌렸을 때, 키패드가 도 1b와 다른 숫자 키 배열을 갖는 무작위 배열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1d에서, 핀정보인 1, 5, 7, 9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의 숫자는 9, 2, 3, 5 이므로, 사용자는 이 9, 2, 3, 5를 기억하여 도 1c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이 번호(9, 2, 3, 5)를 입력하여야 정확한 핀정보(1, 5, 7, 9)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로 인정된다.
도 1e는 키패드가 숫자 대신에 알파벳을 이용한 상태로서, 숫자 키 대신에 각 정해진 알파벳이 표시되는 알파벳 키를 구비한 키패드를 도시한 한 예로서, 사용자는 핀정보를 숫자 대신에 알파벳으로 정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0644203(공고일자: 2006년 11월 10일, 박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시의 PIN 인증방법) 한국 공개특허 특2003-0025945(공개일자: 2003년 03월 29일, 발명의 명칭: 가변식 자판 배열 핀패드)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핀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핀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핀정보의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는 핀정보와 상기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인 설정 간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출력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의 배치 상태를 제어하며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와 상기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간접 정보가 상기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정보는 하나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나 위치값이 차례대로 배열된 숫자 정보이다.
상기 기준 코드는 알파벳 문자, 도형, 또는 특수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핀정보의 각 핀코드는 숫자, 알파벳 문자 및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각 핀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는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핀코드 후보는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코드 후보는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핀코드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의 위치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가 차례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 또는 반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해당 핀코드 후보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모두 채택하여 복수 개의 핀코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의 합산 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코드 후보 영역과 상기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배치를 무작위로 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력 간접 정보를 입력하는 간접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상기 간접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포함하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출력되는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의 배치 상태에 따른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하여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간접 정보 입력부의 선택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가 상기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입력 간접 정보의 입력이 정확한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정보는 하나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나 위치값이 차례대로 배열된 숫자 정보이다.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각 핀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코드 후보는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코드 후보는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포함할 수 있ㄷ사.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의 위치 관련 정보를 각 핀코드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로 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가 차례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 또는 반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를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로 정 할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0'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해당 핀코드 후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모두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로서 채택하여 상기 각 핀코드에 대해 복수 개의 위치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의 합산 값을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로 정할 수 있다.
상기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은 간접정보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핀정보를 바로 입력하는 대신에, 핀정보와 관련 있는 위치 관련 정보를 입력하므로, 핀정보의 입력 시 타인에게 핀정보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의핀정보 입력방식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방법의 동작 순서도로서, 도 3a는 핀정보 설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b는 핀코드 판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에서 간접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숫자 키가 3셋트로 배열될 때의 예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에서 간접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숫자 키가 4셋트 이상으로 배열될 때 핀코드입력 안내부의 구획 상태의 한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에서, 핀정보 입력장치(100)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와 같은 휴대 단말기나 거치형 단말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이러한 핀정보 입력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20)에 연결된 제어부(130), 제어부(130)에 연결된 출력부(140), 그리고 제어부(130)에 연결된 저장부(150)를 구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110-150)은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들 구성 요소(110-150)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핀정보 입력장치(100)와 외부의 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사이, 또는 핀정보 입력장치(100)와 휴대 단말이나 고정 단말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모듈(112)은 핀정보 입력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통신부(110)는 이들(111-113)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핀정보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등을 이용하는 입력부[예, 터치패드]나 물리적인 힘으로 동작되는 입력부[예, 키 패드(key pa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사용자 입력부(120)는 핀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과 설정된 핀정보에 해당하는 간접 정보인 위치 관련 정보의 입력을 실시한다.
본 예에서, 사용자의 의해 설정되는 핀정보는 한 개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한 개의 핀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기준 코드는 각 핀코드에 대한 간접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위한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알파벳 문자, 도형, 또는 특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실제 핀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는 숫자, 알파벳 문자 및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의 정보(즉, 핀코드가 나타내는 정보)는 모두 상이하거나 적어도 두 개가 동일할 수 있다.
본 예의 간접 정보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핀코드에 관련된 위치 관련 정보로서, 각 핀코드에 관련된 위치 관련 정보가 차례대로 배열된 정보(예, 숫자 정보)로 이루어지며,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정보이거나 위치값일 수 있다.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정보는 각 핀코드의 행렬 위치[즉, x축 위치 및 y축 위치(xy 위치)이거나 y축 위치 및 x축 위치(yx 위치]이다.
이때, 각각의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 동일한 순서(즉, xy 또는 yx)로 배열된다. 이하에서,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가 배열되는 순서는 '배열 순서'라 지칭한다.
각 핀코드에 관련된 위치 관련 정보가 위치값인 경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의 합산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핀코드의 위치 정보가 (13)일 때, 이 핀코드의 위치값은 '4(=1+3)'가 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1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의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부(140)는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출력부(140)는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핀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인 핀정보 설정 화면과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인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
출력부(1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 개의 화소가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화소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예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 표시를 위한 구조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하, '터치 센서'라 함]이 구비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고, 이런 경우, 출력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20)의 구조도 구비한다.
본 예의 터치 센서는 압력, 정정용량 또는 온도 등을 이용한 센서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출력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출력부(140)에는,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간접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의 한 예는 핀코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와 각 핀코드에 대응하는 간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구비한다.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는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행렬 구조로 구획된 복수 개의 영역(1211)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 개의 영역(1211)은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가 표시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고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하,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이라 함)과 핀코드 후보군의 각 구성요소인 핀코드 후보의 정보가 표시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영역(이하, '핀코드 후보 영역'이라 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기준 코드 후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 코드를 포함하고 있어 기준 코드 후보는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포함한다.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는 정해진 기준 코드 후보의 개수(예, 6개)와 동일하며, 각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즉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키값) 역시 각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예, A, B, C, D, E, F)와 동일하다. 따라서, 각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모두 상이하다.
핀코드 후보군은 사용자에 위해 각각 선택된 핀코드의 후보들의 집합으로서,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를 포함한다.
이때, 핀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군은 한 세트이거나 복수 개의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핀코드 후보군의 세트가 한 개인 경우, 핀코드 후보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의 정보는 모두 상이하다.
하지만, 핀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군의 세트가 복수 개(예, 3개)인 경우, 핀코드 후보 영역에서,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의 개수는 복수 개(예, 3개)가 된다.
예를 들어, 핀코드 후보군이 0~9의 숫자로 이루어지고, 두 세트의 핀코드 후보군(즉, 0~9의 제1 셋트와 0~9의 제2 셋트)이 핀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된 경우, 핀코드 후보 영역은 제1 셋트를 위한 10개의 영역과 제2 셋트를 위한 10개의 영역이 존재하여, 총 핀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는 20개이다.
이때, 제1 셋트를 위한 10개의 영역은 0~9의 숫자 중 서로 다른 하나의 숫자를 표시하며, 제2 셋트를 위한 나머지 10개의 영역 역시 0~9의 숫자 중 서로 다른 하나의 숫자를 표시한다. 따라서, 핀코드 후보 영역에 두 셋트의 후보군이 표시되는 경우, 동일한 정보(예, 9)를 표시하는 핀코드 후보 영역은 2개이다.
도 4a에 표시된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는 하나의 예이다.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기준 코드 후보의 종류는 알파벳 문자이고, 기준 코드 후보의 개수는 6개이며, 이들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즉, 값)는 A, B, C, D, E, F이다.
따라서, 각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는 A, B, C, D, E, F 중 하나가 표시되며, 핀코드 후보 영역에는 3세트가 표시되어 있어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핀코드 후보가 3개씩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는 총 36개의 영역이 행렬 구조(6×6 구조)로 구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예에서,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에 표시되는 기준 코드 후보의 종류, 개수 및 정보 그리고 핀코드 후보의 종류, 개수 및 정보는 이미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다
간접정보 입력부(122)는 핀코드에 대응하는 간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0~9의 숫자가 각각 표시된 숫자키와 삭제키를 구비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와 달리, 출력부(140)가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입력부(120)의 기능을 일부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입력부(12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간접정보 입력부(122)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를 이용하여 핀코드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에 표시된 기준 코드 후보와 핀코드 후보의 위치를 확인하여, 자신이 설정한 기준 코드와 각 핀코드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확인된 기준 코드에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즉, 위치)에 위치한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이용하여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정해진 배열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각 핀코드에 대한 간접 정보를 차례로 입력한다.
제어부(130)는 간접정보 입력부(122)의 터치 위치에 따른 터치 신호나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간접 정보(예, 입력 간접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입력 간접 정보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간접 정보와 비교한다.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한 입력 간접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핀코드에 대한 정확한 간접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정보를 이미 알고 있고, 자신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150)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의 배열 상태 및 각 영역에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의 정보와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알고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130)는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한 후 핀코드의 배열 순서대로 차례로 판정된 위치 관련 정보를 배열하여 저장부(150)에 핀정보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한다.
즉, 제어부(130)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의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해 각각의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하고, 핀코드의 배열 순서대로 차례로 판정된 위치 관련 정보를 배열하여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때, 위치 관련 정보가 위치 정보일 때,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배열 순서(xy순서 또는 yx 순서)에 맞게 설정 간접 정보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위치 관련 정보가 위치 정보일 때, 기준 코드가 표시된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된 핀코드 후보영역의 개수가 0인 경우[즉, 사용자에 설정된 기준 코드가 위치한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이하, '기준 코드 영역'이라 함) 바로 위나 아래의 핀코드 후보 영역에 해당 핀코드의 정보가 표시된 경우] 또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된 핀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가 0인 경우(즉, 기준 코드 영역 바로 좌측이나 우측의 핀코드 후보 영역에 핀코드의 정보가 표시된 경우), x축 방향의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는 각각 '0'이 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의 설정 동작에 의한 설정 조건에 따라 '0'을 생략할 수 있어, 설정 간접 정보는 '0'을 구비하지 않게 된다. 한 예로서, 각 핀코드에 대한 위치 정보가 (01), (11), (23), (40)일 경우, 이 핀코드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는 '111234'가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해당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는 모두 채택된다.
예로서, 기준 코드 영역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해당 핀코드 후보 영역(예, 해당 핀코드 후보 영역의 정보는 숫자 1)이 총 2개이고, 이들 2개의 핀코드 후보 영역의 위치 정보가 (12), (21)이면, 이들 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두 개의 숫자 배열은 모두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된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핀코드에 대한 위치 정보가 (01), (12), (23), (40)이거나 (01), (21), (23), (40)이며, 이들 위치 정보에서 두 번째의 핀코드는 기준 코드 영역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위치 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01122340'나 '01212340'는 모두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하므로,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의 번호를 차례대로 입력해야 된다. 이 경우, '0'이 생략되는 설정 조건인 경우, 설정 간접 정보는 '112234'나 '121234'가 된다.
또한,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력부(14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핀정보의 설정을 위한 핀정보 설정 화면을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핀정보 설정 화면 역시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와 유사하게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각 구획된 영역 역시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이 존재한다. 이때, 핀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의 종류와 각 후보의 정보는 서로 동일하지만,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핀정보 설정 화면에서의 핀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에서의 핀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보다 적다.
핀정보 설정 화면에서의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서, 각 영역에 표시되는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와 같다.
도 4b는 핀코드 후보 영역의 개수가 3셋트를 초과할 경우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의 구획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부(15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저장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정보, 핀코드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의 배열 순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간접 정보, 기준 코드 후보의 종류, 기준 코드 후보의 개수 및 종류, 핀코드 후보의 종류, 기준 코드 후보의 개수 및 종류 등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 도 3a 및 도 3b와 함께 도 4a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출력부(140)는 영상 표시 기능과 함께 입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도 3a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핀정보 입력장치(100)에서 핀정보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으로 인해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130)의 동작 역시 시작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먼저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2), 핀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3).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핀정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S13),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로 핀정보 설정 화면을 출력한다(S14). 이때, 핀정보 설정 화면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이미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읽어와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판단하고(S15), 판정된 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즉, 기준 코드나 핀코드)을 판정한다(S16).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판정된 순서(즉,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한다(S16).
이미 저장부(150)에는 출력부(140)로 출력되는 핀정보 설정 화면의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의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 코드와 핀코드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핀정보 설정 완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7).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핀정보 설정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S17), 제어부(130)는 핀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판정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순서대로 배열한 후, 배열된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핀정보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18).
하지만,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설정 시간동안 핀정보 설정 완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17), 제어부(130)는 단계(S15)로 넘어가 핀정보 설정 화면을 이용한 사용자의 핀정보의 입력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핀정보의 설정 동작을 실행한다.
다음, 도 3b와 도 4a를 참고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를 이용하여 핀코드를 판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동작이 시작된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가 핀코드 판정동작 상태로 넘어가면, 제어부(130)는 핀코드에 관련된 간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간접정보 입력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2, S23). 이때, 간접정보 입력 명령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핀정보 입력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금융기관의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생성되어 제어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간접정보 입력 명령이 입력되면(S23),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로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와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구비한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S23). 이때, 출력부(140)로 출력되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의 핀코드 안내부(121)의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배치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무작위로 정해진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에 설치된 배치 영역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배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와 달리, 출력부(140)에 입력부(120)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만을 구비한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따라서, 간접정보 입력부(122)는 사용자 입력부(121)에 구비되어 있거나 사용자 입력부(121)에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 각각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와 기준 코드 후보의 종류와 정보는 이미 저장부(150)에 설정되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의 저장 정보에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에 표시되는 핀코드 후보의 정보와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의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배치 상태를 이용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핀정보에 대한 입력된 간접 정보를 판정하여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24).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기준 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핀정보의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의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해 각각의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한다.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코드의 배열 순서대로 차례로 판정된 위치 관련 정보를 배열하여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정해져 있는 배열 순서나 '0'의 포함 여부에 맞게 핀정보에 대한 현재의 설정 간접 정보를 판정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130)는 간접정보 입력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판정해 선택된 정보(예, 숫자나 삭제키)를 판단한 후(S25), 판단된 정보를 핀코드에 해당하는 입력 간접 정보(즉, 위치 정보나 위치값)로서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26). 이때, 사용자에 의해, 삭제키의 동작이 행해지면, 마지막에 입력된 간접 정보는 저장부(150)에서 삭제된다.
이미 저장부(150)에는 간접 정보 입력부(122)의 각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의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위해 선택된 정보를 판단하게 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핀코드에 관련된 간접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에서 핀정보의 기준 코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기준 코드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핀코드(즉, 핀정보의 핀코드)에 대한 위치 정보나 위치값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확인한 위치 정보나 위치값을 각 핀코드의 배열 순서대로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이용해 차례대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핀코드 입력 안내부(121)와 간접정보 입력부(122)가 출력되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정보가 'A1234'라고 가정한다. 또한, 핀코드에 대한 위치 관련 정보는 위치 정보이고, 위치 정보의 배열 순서는 xy 순서로 가정하며, 위치 정보 중 '0'은 생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A1234'의 핀정보 중에서 'A'는 기준 코드이고, '1234'는 핀코드이다.
이러한 경우, '1234'인 핀코드에 각각 대응하는 간접 정보를 정해진 배열 순서로 순차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는 기준 코드인 'A'가 표시되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이하, 'A 영역'이라 함)을 판정하여, A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1'을 탐색한다.
따라서, 도 4a에서, A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1'는 A 영역 바로 상단(y축 방향)에 위치하므로, 1의 위치 정보는 y축 방향으로 1, x축 방향으로 0이 되어, 핀코드 '1'에 대응하는 간접 정보는 '1'이 된다.
핀코드 '2'의 경우, A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2'는 y축 방향으로 1, x축 방향으로 1이 되어, '2'의 간접 정보는 (11)이 되고, 핀코드 '3'은 A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같은 거리에 두 개가 존재한다. 즉, 하나는 y축 방향으로 1, x축 방향으로 2이고, 다른 하나는 y축 방향으로 2, x축 방향으로 1의 거리에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각각의 간접 정보는 (12) 또는 (21)이 된다. 이로 인해, 핀코드 '3'에 대한 간접 정보는 이들 (12)과 (21) 모두 허용된다.
마지막으로, 핀코드 '4'의 경우, A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상단에 위치한 '4'가 가장 인접한 곳에 위치한 '4'이고, 이 '4'에 대한 위치 정보는 y축 방향으로 1, x축 방향으로 1이다. 따라서, 핀코드 '4'에 대한 간접 정보는 (11)이 된다.
따라서, 핀정보의 핀코드 '1234'에 대한 전체적인 설정 간접 정보는 '1111211' 또는 '1112111'이므로, 사용자는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통해 '1111211' 또는 ''1112111'를 입력해야 제어부(130)로부터 올바른 핀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정받게 된다.
다시, 도 3b로 넘어가, 제어부(130)는 간접정보 입력부(122)로부터 신호 입력 여부를 판정해(S27), 설정 시간동안 간접정보 입력부(122)로부터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즉 사용자의 동작으로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가 없는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된 입력 간접 정보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한다(S28).
입력 간접 정보와 설정 간접 정보가 서로 동일한 경우(S28), 제어부(130)는 간접정보 입력부(122)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간접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핀정보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정해진 다음 단계의 동작을 제어한다(S29)
하지만, 입력 간접 정보와 설정 간접 정보가 서로 상이한 경우(S28), 제어부(130)는 핀정보에 대응하는 간접 정보의 입력이 잘못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핀정보 오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핀정보 오입력 알림 화면을 출력부(140)로 출력한다(S210).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면의 출력 상태를 확인한 후 설정된 핀정보에 해당하는 올바른 간접 정보의 입력 동작을 재 실시하게 된다.
위에 기재한 본 예의 핀정보 입력장치(100)는 제어부(130)에서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생성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핀정보에 대한 간접 정보를 판정해 설정 간접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여 입력 간접 정보와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 판정한다.
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는, 핀정보 입력장치(100)와는 별개로 외부에 위치하고,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핀정보 입력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해당 핀코드 입력 안내부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부로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출력하고 저장하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간접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를 통해 입력된 간접 정보인 입력 간접 정보와 설정 간접 정보의 비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기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을 통해 입력 간접 정보와 설정 간접 정보와의 비교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설정 간접 정보는 서버로부터 전송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핀정보를 이용하 제어부(130)에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가 구비되는 경우, 서버에 구비된 제어부와 저장매체는 각각 본 실시예의 제어부와 저장부에 대응되어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핀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핀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관련 정보로 이루어진 간접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핀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또한, 입력되는 간접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주변 사람들에게 노출되더라도 노출된 정보와 핀정보의 대응 관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므로, 핀정보의 노출 염려가 크게 줄어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121: 핀코드 입력 안내부
122: 간접정보 입력부

Claims (19)

  1. 핀정보와 상기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인 설정 간접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출력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의 배치 상태를 제어하며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와 상기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간접 정보가 상기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핀정보는 하나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나 위치값이 차례대로 배열된 숫자 정보이며,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각 핀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는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핀코드 후보는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코드 후보는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포함하고,
    각 핀코드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의 위치 관련 정보인
    핀정보 입력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기준 코드는 알파벳 문자, 도형, 또는 특수 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핀정보 입력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핀정보의 각 핀코드는 숫자, 알파벳 문자 및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핀정보 입력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가 차례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 또는 반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인 핀정보 입력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0'을 포함하지 않는 핀정보 입력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 영역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는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해당 핀코드 후보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모두 채택하여 복수 개의 핀코드를 갖는 핀정보 입력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의 합산 값인 핀정보 입력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코드 후보 영역과 상기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의 배치를 무작위로 정하여 출력하는 핀정보 입력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력 간접 정보를 입력하는 간접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상기 간접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를 판정하는
    핀정보 입력장치.
  12. 제어부는 핀코드 입력 안내부를 포함하는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출력되는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의 배치 상태에 따른 핀정보의 위치 관련 정보를 판정하여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간접 정보 입력부의 선택 동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 간접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 간접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간접 정보가 상기 설정 간접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입력 간접 정보의 입력이 정확한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핀정보는 하나의 기준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나 위치값이 차례대로 배열된 숫자 정보이며,
    상기 핀코드 입력 안내부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각 핀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고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핀코드 후보 영역과 기준 코드 후보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준 코드 후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핀코드 후보는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코드 후보는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간접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한 셋트의 핀코드 후보군의 핀코드 후보 영역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의 위치 관련 정보를 각 핀코드에 대한 설정 간접 정보로 정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가 차례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 또는 반대로 배열된 위치 정보를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로 정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0'을 삭제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 1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핀코드 후보 중에서, 상기 기준 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기준 코드 후보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각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핀코드 후보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핀코드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해당 핀코드 후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모두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정보로서 채택하여 상기 각 핀코드에 대해 복수 개의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핀코드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와 y축 방향으로의 위치 정보의 합산 값을 상기 각 핀코드의 위치 관련 정보로 정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간접 정보 입력 화면은 간접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핀정보 입력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038515A 2019-04-02 2019-04-02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15A KR102177690B1 (ko) 2019-04-02 2019-04-02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15A KR102177690B1 (ko) 2019-04-02 2019-04-02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32A KR20200116732A (ko) 2020-10-13
KR102177690B1 true KR102177690B1 (ko) 2020-11-11

Family

ID=7288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15A KR102177690B1 (ko) 2019-04-02 2019-04-02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57B1 (ko) * 2010-10-01 2011-06-29 이재덕 비밀번호 노출방지용 금융자동화기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 방법
KR101754017B1 (ko) * 2016-03-07 2017-07-04 쿠팡 주식회사 이중 매핑에 의한 비밀번호 인증 보안 향상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45A (ko) 2003-02-06 2003-03-29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가변식 자판 배열 핀패드
KR100644203B1 (ko) 2004-06-17 2006-11-1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시의 pin 인증방법
KR101132368B1 (ko) * 2010-04-26 2012-07-13 (주)에이케이씨에스 비밀번호 키의 이동값을 이용하는 비밀번호 안전 입력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안전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257B1 (ko) * 2010-10-01 2011-06-29 이재덕 비밀번호 노출방지용 금융자동화기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 방법
KR101754017B1 (ko) * 2016-03-07 2017-07-04 쿠팡 주식회사 이중 매핑에 의한 비밀번호 인증 보안 향상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32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593B1 (ko) 키보드를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US879191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nput control method, storing character input program
KR10045094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
EP1934688A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device
CN100437443C (zh) 用于数据输入的方法和系统
KR102177690B1 (ko) 핀정보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89368B2 (ja) 暗証番号又はパスワード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59809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generating text on an electronic equipment
KR1012120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 연결 장치 및 방법
JP2002366288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JP477519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KR102214052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80049B2 (en) Alphabetic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647393B2 (ja) 表示機器および表示方法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20030002983A (ko) 단어의 초성을 이용한 단어 검색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이를 적용한 단어검색 방법
KR20060109578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쿼티 키패드 문자입력모드 전환방법
CN101581974B (zh) 字符输入法及使用所述输入法的电子系统
JP5368841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61622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635554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40053044A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KR1006440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체키 운용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1791887B1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