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640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640B1
KR102177640B1 KR1020140056772A KR20140056772A KR102177640B1 KR 102177640 B1 KR102177640 B1 KR 102177640B1 KR 1020140056772 A KR1020140056772 A KR 1020140056772A KR 20140056772 A KR20140056772 A KR 20140056772A KR 102177640 B1 KR102177640 B1 KR 10217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amper
extension frame
button
pip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563A (ko
Inventor
권오규
정주석
김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640B1/ko
Priority to US14/476,125 priority patent/US9254069B2/en
Publication of KR2015012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45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받아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유닛과,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과, 연장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모듈과, 파이프 모듈과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와,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헤드유닛과 파이프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유로전환장치는 파이프 모듈이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파이프 모듈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방향 전환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하여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한 본체와,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바닥면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는 헤드유닛과,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 프레임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진공 청소기 중에는 연장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되 연장관을 통해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모듈을 포함하여, 파이프 모듈을 통해 헤드 유닛을 통해 청소할 수 없는 곳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청소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파이프 모듈의 분리 여부에 따라 헤드유닛과 파이프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흡입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팬모터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받아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유닛과, 상기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모듈과, 상기 파이프 모듈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파이프 모듈의 분리에 따라 상기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상기 파이프 모듈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본체, 상기 헤드유닛 및 상기 파이프 모듈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전환덕트와, 상기 전환덕트에 내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상기 헤드유닛과 상기 파이프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도록 하는 댐퍼와, 상기 연장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모듈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댐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전환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전환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댐퍼의 축과 연결되며 상기 전환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캠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의 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가 각각 마련된 한 쌍의 힌지부들과,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힌지부들의 외주측을 연결하는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환덕트는 상기 헤드유닛과 연결되는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제 2 흡입유로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제 2 흡입유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유로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캠은 그 외주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레버는 그 하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캠 돌기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캠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댐퍼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댐퍼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환덕트는 상기 댐퍼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댐퍼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상기 댐퍼 구동부로부터 연장되되 서로 일부 어긋나도록 대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모듈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가 연결되는 파이프 몸체와, 상기 파이프 몸체의 일측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파이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파이프 몸체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연장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에 결합된 파이프 모듈의 상기 연장관 상단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에 결합된 파이프 모듈의 상기 연장관 상단을 락킹하는 락킹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의 일단은 상기 파이프 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파이프 모듈을 연장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함에 따라 본체의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헤드유닛과 파이프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바닥 청소 모듈과 파이프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바닥 청소 모듈과 파이프 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본체 및 휠 조립체의 결합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파이프 모듈이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유로전환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유로전환장치의 댐퍼 및 캠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유로전환장치의 댐퍼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파이프 모듈의 분리 여부에 따른 버튼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파이프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호스의 이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사용자가 바닥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청소 모듈(100)과, 바닥 청소 모듈(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 청소 모듈(1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바닥 청소 모듈(100)을 통해 청소할 수 없는 다양한 곳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모듈(200)와, 바닥 청소 모듈(100)과 파이프 모듈(200)를 연결하여 바닥 청소 모듈(100)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파이프 모듈(200)에 전달되도록 하는 연결호스(300)를 포함한다.
바닥 청소 모듈(100)은 바닥 청소 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수용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청소할 바닥면에 접촉하여 공기와 함께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헤드유닛(120)과, 본체(110)의 상측에 장착되어 헤드유닛(120)을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유닛(130)과,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10)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는 휠 조립체(140)와, 본체(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파이프 모듈(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파이프 모듈(2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연결호스(300)가 고정되는 파이프 몸체(210)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파이프 몸체(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 모듈(200)로부터 돌출되는 연장관(230)을 포함한다.
연결호스(300)는 일정 범위 내에서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지며, 연결호스(300)의 하단은 본체(110)에 연결되고, 연결호스(300)의 상단은 파이프 모듈(200)에 연결된다.
바닥 청소 모듈(100)에 있어서 본체(110)는 휠 조립체(140)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하우징(111)과, 제 1 하우징(111, 도 4 참조)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팬모터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112,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112)의 상부에는 집진유닛(130)이 설치되며, 제 2 하우징(112)의 후방측에는 후술할 유로전환장치(160)가 배치되어 유로전환장치(160)를 통해 연장관(220)의 하단이 제 2 하우징(112)에 연결된다.
헤드유닛(120)은 그 하면에 마련되며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받아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미도시)를 포함하며, 흡입구에는 카펫 등의 청소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미도시)가 배치된다. 또한 헤드유닛(120)은 그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헤드유닛(120)이 청소될 바닥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캐스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유닛(120)은 본체(110)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10)가 좌우로 회전하더라도 헤드유닛(120)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집진유닛(130)은 헤드유닛(120) 또는 파이프 모듈(2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한다. 집진유닛(130)은 본체(110) 및 연장 프레임(15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집진유닛(130)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휠 조립체(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본체(110)의 제 1 하우징(111)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휠(141)과, 두 휠(14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브래킷(142)과, 휠 브래킷(142)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43)을 포함한다.
두 휠(141)은 각각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휠 브래킷(142)에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브래킷(143)은 두 휠 장착부(142a)의 하부에 고정되어 두 휠 장착부(142a)가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전방측에는 헤드유닛(120)이 고정되어 헤드유닛(120)이 휠 조립체(14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에 힘을 가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5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장 프레임(150)의 전방측에는 상술한 집진유닛(13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장 프레임(150)의 후방측에는 상술한 파이프 모듈(20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이프 모듈(200)의 결합을 위해 연장 프레임(150)의 후방측에는 파이프 모듈(200)의 파이프 손잡이(151) 및 파이프 몸체(2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52)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연장 프레임(150)의 상단에는 개방된 연장관(220)의 상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관(220)의 상단을 덮는 덮개부(153)와, 덮개부(153)의 인집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장관(220)의 상단을 락킹하는 락킹레버(15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153) 및 락킹레버(154)는 연장관(220)의 선단과 대응하도록 각각 반원 형상의 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이프 모듈(200)을 연장 프레임(150)의 안착홈(152)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개방된 연장관(220)의 상단은 덮개부(153)에 의해 덮여 가려져, 연장관(22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된다. 연장관(220)의 상단이 덮개부(153)에 의해 덮여진 후에는 락킹레버(154)를 회전시켜 락킹레버(154)에 의해 연장관(220)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모듈(200)은 연장 프레임(150)에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파이프 모듈(2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 몸체(210)와, 파이프 몸체(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이프 몸체(210)로부터 이격된 부위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관(220)을 포함한다.
파이프 몸체(210)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파이프 손잡이부(251)가 마련된다.
연결호스(300)는 파이프 몸체(210)의 개방된 하단(도면 기준)을 통해 파이프 몸체(210) 내측에 고정되어 연결호스(300)의 일부가 파이프 몸체(2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몸체(210)의 상단(도면 기준)에는 연장관(22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연장관(220)을 파이프 몸체(210)로부터 돌출시켜 파이프 모듈(20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호스(300)는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파이프 모듈(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벨로우즈 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호스(300)는 그 하단이 후술할 유로전환장치(160)를 통해 제 2 하우징(112)에 연결되고 그 상부 일부가 파이프 몸체(2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바닥 청소 모듈(100)은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헤드유닛(120)과 파이프 모듈(200)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전환장치(16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를 형성하는 전환덕트(161)와, 전환덕트(161) 내에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위치에 따라 전환덕트(161) 내부의 유로를 전환하는 댐퍼(1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162)는 전환덕트(16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덕트(161) 내부의 유로를 개폐한다.
또한 유로전환장치(16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댐퍼(162)의 축에 설치되어 댐퍼(16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댐퍼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전환덕트(161)는 댐퍼(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댐퍼(162)가 동작하는 원통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댐퍼 구동부(161a)와, 댐퍼 구동부(161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헤드유닛(120)과 연결되는 제 1 흡입유로(161b)와, 댐퍼 구동부(161a)의 일측 상부로 연장되어 연결호스(300)와 연결되는 제 2 흡입유로(161c)와, 팬모터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112)과 연결되는 배출유로(161d)를 포함한다.
댐퍼(162)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댐퍼 구동부(161a) 내에 회전 가능 하게 설치되며 댐퍼 구동부(161a) 내에서 회전하면서 그 회전 각도에 따라서 제 1 흡입유로(161b)와 제 2 흡입유로(161c)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고 다른 하나를 개방하여 댐퍼 구동부(161a)를 통해 개방된 유로와 배출유로(161d)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162)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힌지돌기(16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힌지부(162a)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부(162a)의 외주측을 연결하는 댐퍼부(162c)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댐퍼부(162c)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162d)를 포함한다.
댐퍼 스프링은 파이프 모듈(200)이 분리되어 후술할 전환레버(165)를 통해 댐퍼(162)에 전달되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댐퍼(162)가 제 1 흡입유로(161b)를 폐쇄하도록 회전하게 한다.
상술한 본체(110)는 파이프 모듈(200)가 연장 프레임에 결합되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 1 흡입유로(161b)와 제 2 흡입유로(161c) 중 어느 하나가 배출유로(161d)와 연결되도록 한다. 즉, 파이프 모듈(200)이 장착한 상태에서는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파이프 모듈(200)에는 전달되지 않고 헤드유닛(120)에만 전달되도록 하다가, 파이프 모듈(200)이 바닥 청소 모듈(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반대로 흡입력이 헤드유닛(120)에는 전달되지 않고 파이프 모듈(200)에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10)는 연장 프레임(1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이프 모듈(200)이 연장 프레임(150)에 장착됨에 따라 파이프 모듈(200)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163)과, 버튼(163)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164)과, 버튼(16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전환레버(165)와, 전환덕트(16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환레버(165)에 의해 회전하는 캠(166)을 포함한다. 캠(166)은 그 회전 중심이 댐퍼(162)의 힌지돌기(162b)와 연결되어 댐퍼(162)와 함께 회전한다.
캠(166)에는 그 외주측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캠 돌기(166a)가 마련되며 전환레버(165)의 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캠 돌기(166a)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홈(165a)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전환레버(165)의 이동에 따라 캠 돌기(166a)가 캠 홈(165a)을 따라 이동하면서 캠(166)이 회전하고 그에 따라 댐퍼(162)가 회전한다.
한편 버튼(163)은 연장 프레임(150)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163a)와, 연장 프레임(1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튼(163)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163b)를 포함하며, 상술한 버튼 스프링(164)은 이동가이드부(163b)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파이프 모듈(200)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청소 모듈(100)의 연장 프레임(150)에 장착하면, 파이프 모듈(200)이 연장 프레임(1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파이프 몸체(210)에 의해 버튼(163)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버튼(163)과 함께 전환레버(165)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캠(166)은 전환레버(165)의 캠 홈(165a)에 걸려있는 캠 돌기(166a)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캠(166)의 회전에 따라 댐퍼(16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흡입유로(161c)는 폐쇄하고 제 1 흡입유로(161b)는 개방한다. 따라서 제 1 흡입유로(161b)와 배출유로(161d)는 댐퍼 구동부(161a)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은 배출유로(161d), 댐퍼 구동부(161a) 및 제 1 흡입유로(161b)를 통해 헤드유닛(120)에 전달되어 헤드유닛(120)을 통해 바닥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파이프 모듈(200)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청소 모듈(100)로부터 분리하면, 버튼(163)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버튼 스프링(164)이 탄성 복원되면서 버튼(163) 및 전환레버(165)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캠(166)에 작용하던 힘은 해제된다. 그에 따라 댐퍼(162)를 탄성 지지하고 있던 댐퍼 스프링이 탄성 복원되면서 댐퍼(162)를 이전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흡입유로(161b)는 폐쇄하고 제 2 흡입유로(161c)는 개방한다. 따라서 제 2 흡입유로(161c)와 배출유로(161d)는 댐퍼 구동부(161a)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은 배출유로(161d), 댐퍼 구동부(161a) 및 제 2 흡입유로(161c)를 통해 파이프 모듈(200)에 전달되어 파이프 모듈(200)을 통해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흡입유로(161b)제 2 흡입유로(161c)는 상하로 연장되되, 그 일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대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흡입유로(161b)와 제 2 흡입유로(161c)가 동일 직선 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거나, 완전히 어긋난 상태에서 대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흡입유로(161b)와 제 2 흡입유로(161c)가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댐퍼(162)는 댐퍼 구동부(16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제 1 흡입유로(161b)와 제 2 흡입유로(161c)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하는 댐퍼(162)에 있어서 댐퍼(162)의 이동 방향과 전환레버(165)의 이동 방향이 동일할 경우에는 전환레버(165)와 댐퍼(16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스프링(164)은 버튼(163)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파이프 모듈(200)이 바닥 청소 모듈(100)에 장착됨에 따라 버튼(163)이 파이프 모듈(20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역으로 버튼 스프링(164)이 버튼(163)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하고, 파이프 모듈(200)이 바닥 청소 모듈(100)에 장착됨에 따라 버튼(163)이 파이프 모듈(20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호스(300)는 그 상단이 파이프 몸체(210)의 내부에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호스(300)의 상단이 파이프 몸체(2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연결호스(300)의 이동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 만큼 파이프 모듈(200)을 바닥 청소 모듈(100)로부터 보다 멀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닥 청소 모듈 110: 본체
120: 헤드유닛 130: 집진유닛
140: 휠 조립체 141: 휠
142: 휠 브래킷 150: 연장 프레임
160: 유로전환장치 161: 전환덕트
162: 댐퍼 163: 버튼
164: 버튼 스프링 165: 전환레버
166: 캠 200: 파이프 모듈
210: 파이프 몸체 220: 연장관
300: 연결호스

Claims (15)

  1. 팬모터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받아 바닥을 청소하는 헤드유닛과,
    상기 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모듈과,
    상기 파이프 모듈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파이프 모듈의 분리에 따라 상기 팬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상기 파이프 모듈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본체, 상기 헤드유닛 및 상기 파이프 모듈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전환덕트와, 상기 전환덕트에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상기 헤드유닛과 상기 파이프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도록 하는 댐퍼와, 상기 연장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 모듈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버튼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댐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전환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연장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연장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모듈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호스가 연결되는 파이프 몸체와, 상기 파이프 몸체의 일측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파이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몸체가 상기 연장 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는 상기 파이프 몸체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댐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전환덕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댐퍼의 축과 연결되며 상기 전환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캠을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의 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가 각각 마련된 한 쌍의 힌지부들과,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힌지부들의 외주측을 연결하는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덕트는 상기 헤드유닛과 연결되는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제 2 흡입유로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제 2 흡입유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유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그 외주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레버는 그 하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돌기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캠 홈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댐퍼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댐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장치는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버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덕트는 상기 댐퍼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댐퍼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입유로와 상기 제 2 흡입유로는 상기 댐퍼 구동부로부터 연장되되 서로 일부 어긋나도록 대향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에 결합된 파이프 모듈의 상기 연장관 상단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그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에 결합된 파이프 모듈의 상기 연장관 상단을 락킹하는 락킹레버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는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진공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의 일단은 상기 파이프 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140056772A 2013-09-05 2014-05-12 진공 청소기 KR10217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72A KR102177640B1 (ko) 2014-05-12 2014-05-12 진공 청소기
US14/476,125 US9254069B2 (en) 2013-09-05 2014-09-03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72A KR102177640B1 (ko) 2014-05-12 2014-05-12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63A KR20150129563A (ko) 2015-11-20
KR102177640B1 true KR102177640B1 (ko) 2020-11-11

Family

ID=5484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772A KR102177640B1 (ko) 2013-09-05 2014-05-12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30585A1 (en) * 2022-10-19 2024-04-25 Origyn LLC Vacuum cleaner with hand nozz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931B2 (ja) 1997-05-21 2002-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100570294B1 (ko) 2005-01-06 2006-04-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유로전환 밸브조립체
JP2011083608A (ja) 2009-10-15 2011-04-28 Dyson Technology Ltd 直立型電気掃除機
KR101064029B1 (ko) 2008-10-09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719A (ko) * 1994-04-29 1995-11-22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흡입방향 전환장치
KR101472775B1 (ko) * 2007-10-08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유로변환밸브를 갖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20100006787A (ko) * 2008-07-10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20100111603A (ko) * 2009-04-07 2010-10-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유로 전환 장치
KR20120083048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로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931B2 (ja) 1997-05-21 2002-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100570294B1 (ko) 2005-01-06 2006-04-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유로전환 밸브조립체
KR101064029B1 (ko) 2008-10-09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JP2011083608A (ja) 2009-10-15 2011-04-28 Dyson Technology Ltd 直立型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63A (ko)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4069B2 (en) Vacuum cleaner
ES2339510T3 (es) Aspiradora de polvo vertical (upright).
JP7100692B2 (ja) 掃除機
US827209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818600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090056065A1 (en) Upright vacuum cleaner
EP3610767B1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AU200820297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uction path diverting valve
US82013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10004371B2 (en) Cleaner
US8453294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path switching apparatus
US9060662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20200315414A1 (en) Floor tool unit, surface treating appliance and vacuum cleaner
EP2992800B1 (en) Vacuum cleaner
KR102177640B1 (ko) 진공 청소기
JP2009504305A (ja)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用の角度調節装置
AU2014379437A1 (en) A head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JP4743668B2 (ja) サイクロン式電気掃除機
KR102083800B1 (ko) 진공 청소기
US8677556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6851182B2 (ja) 電気掃除機
KR20150109903A (ko) 진공 청소기
KR100627907B1 (ko)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구
JP6519291B2 (ja) 電気掃除機
KR102153348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