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48B1 -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48B1
KR102177548B1 KR1020180090455A KR20180090455A KR102177548B1 KR 102177548 B1 KR102177548 B1 KR 102177548B1 KR 1020180090455 A KR1020180090455 A KR 1020180090455A KR 20180090455 A KR20180090455 A KR 20180090455A KR 102177548 B1 KR102177548 B1 KR 10217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nsor
livestock
sensor module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104A (ko
Inventor
이동현
정광화
이동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9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는,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반대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상기 본체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 및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형의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AIR COMPONENT ANALYZER FOR CATTLE SHED}
본 발명은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하나의 본체에 탈착할 수 있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라 함은 소, 돼지, 닭 또는 오리와 같은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축사는 자연의 기상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동시에, 가축의 사육 및 관리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축산 농가가 대형화 되고 기업화 됨에 따라, 축사 시설 또한 대규모로 건축되고 다량의 가축을 밀집된 축사 내부 환경에서 집단 사육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축사 내부의 환경은 축사 외부 환경의 변화, 유독 가스 및 오염 물질의 존재 여부와 같이 작은 요소들에 의하여 매우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축사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가축에게 쾌적한 사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가축의 배설물이나 비료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유화수소(H2S)등의 각종 유해 가스를 측정하고 배출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축사 또는 퇴비화 시설 내부의 공기 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각종 센서들을 시설 내부에 직접 분산 배치하여 공기 성분을 측정하였다. 하지만, 축사 또는 퇴비화 시설의 크기가 클 경우, 전체적으로 센서를 설치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었으며, 설치된 센서는 시설 내부의 환경, 즉 습도, 온도 및 유해 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고장이 잦아 유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는 트렌스미터 역시, 시설 내부의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센서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 문제가 발생하거나 쉽게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큰 축사 또는 퇴비화 시설에 설치된 센서나 트렌스미터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난 센서나 트렌스미터를 파악하기가 어렵거나, 일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유지보수 하기 어려운 곳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고, 전문가에게 센서 교체 작업을 맡겨야 할 정도로 전체 시스템이 복잡하여, 센서 또는 트렌스미터의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 시간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사 또는 퇴비화 시설이 대형화 됨에 따라, 시설 내부의 각 구획마다 온도와 습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 때, 각 구획 별로 온도와 습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물질 성분의 휘발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의해 정확한 공기 성분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유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탈착할 수 있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시설 내부의 공기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반대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상기 본체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 및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형의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 각각의 중심에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파여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복수의 오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상기 홈에 삽입될 경우 서로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각각,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중 물질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와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신호를 상기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컨트롤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트렌스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센서의 일면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하는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각각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홀과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서로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큐브(cube) 또는 실린더(cylindrical)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온도, 습도,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유화수소(H2S), 인화수소(PH3), 비화수소(ASH3), 염화수소(HCl) 및 염소(C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타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판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는 복수의 센서 모듈을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로부터 간편하게 탈착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는 축사 시설 내부의 각 구획 별로 온도 또는 습도 차가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정확한 공기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표현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표현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수용부에 오링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센서 모듈과 수용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과 다르게 변형되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공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기재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02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표현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는 본체(1001), 진공 펌프(1010), 센서 모듈(1020)을 포함한다.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로 구성된다.
본체(1001)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1)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본체(1001)의 일측면(1001a)에는 흡입구(1002)가 형성되고, 일측면(1001a)과 반대되는 타측면(1001b)에는 배출구(1003)가 형성된다.
진공 펌프(1010)는 배출구(1003)와 유체 연결되며, 본체(1001) 내부로 축사 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으로 만든다.
본체(1001)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흡입구(1002)를 통해 축사 내부의 공기가 본체(1001)로 유입되며, 진공 펌프(1010)의 지속적인 흡입에 의해 공기는 배출구(1003)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 펌프(1010)의 일 측은 배출구(1003)와 제1관(1003a)에 의해 수밀 연결되며, 진공 펌프(1010)의 타 측은 제2관(1003b)과 수밀 연결된다. 따라서, 축사 내부의 공기는 배출구(1003)를 통과하여 제1관(1003a), 진공 펌프(1010) 및 제2관(1003b)의 순서를 따라 흐른다. 제2관(1003b)을 거친 축사 내부의 공기는 다시 축사 내부로 배출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공기 정화 장치로 흘러갈 수도 있다.
진공 펌프(10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제1관(1003a)에 의해서만 본체의 배출구(1003)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제1관(1003a)이 없어도 본체의 배출구(1003)와 진공 펌프(1010)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체의 상면(1001c)에는 접속 단자들(1028)이 배치되며,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접속 단자들(1028)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본체의 상면(1001c)에 장착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 모듈(1020)은 축사 내의 공기가 본체의 흡입구(1002)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본체의 흡입구(1002)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의 일측면(1001a) 또는 타측면(1001b)을 피하여, 본체의 상면(1001c)에 장착된다. 따라서, 접속 단자들(1028) 역시, 센서 모듈(1020)과의 접속을 위해 본체의 상면(1001c)에 형성된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축사 내의 공기가 본체의 흡입구(1002)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체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접속 단자들(1028) 역시 센서 모듈(1020)이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본체(100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1001c)과 반대되는 측에 있는 하면(미도시)에 접속 단자들(1028)이 본체(1001)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본체의 하면(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일측면(1001a) 또는 타측면(1001b)이 아니더라도 본체의 좌측면(1001d) 또는 좌측면과 반대되는 측에 있는 우측면(미도시)에 접속 단자들(1028)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여기에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본체의 상면(1001c)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면(1001c)에는 복수의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이 형성되며,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이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을 각각 덮어서 본체의 외부와 수밀(water-tight)되도록 구성된다.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은 본체(1001) 내부로 유입된 축사 내의 공기 중 일부를 센서 모듈(1020)에 포함된 센서(1023)로 흐르도록 하여 센서 모듈(1020)이 축사 내 공기 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1)에 형성된다.
센서 모듈(1020)에 포함된 센서(1023)가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을 통해 유입되는 축사 내 공기와 접촉하는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센서 모듈(1020)의 구성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은 모두 각자 내부에 다른 종류의 센서를 장착하지만, 센서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의 종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에서는 센서 모듈(1020)의 하면(1021b)을 위에서 볼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다.
센서 모듈(1020)은 각각 케이스(1021), 센서(1023), 트렌스미터(1024) 및 복수의 단자 접속부(1025)를 포함한다.
케이스(1021)는 센서 모듈(1020)의 외형을 이루고, 케이스(1021)의 내부에는 센서(1023), 트렌스미터(1024) 및 단자 접속부(1025)가 배치된다.
다만,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는 케이스(1021) 내부에 배치되되,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의 일면 또는 일부분이 케이스(102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센서(1023)는 본체(1001) 내부로 유입된 축사 내의 공기가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을 통해 전달될 경우, 공기에 포함된 물질 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1023)의 일면이 케이스(1021)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1025)는 본체(1001)에 배치된 접속 단자들(1028)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자 접속부(1025)의 일면이 케이스(102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에는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의 일면이 센서 모듈(1020)의 하면(1021b)에서 케이스(102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 모듈(1020)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는 센서 모듈(1020)의 하면(1021b)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의 노출되는 구조는 반드시 도 2의 도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1023)가 본체(1001) 내부로 유입된 축사 내 공기의 성분을 측정할 있는 구조라면, 센서 모듈(1020)의 어떤 면 또는 어떤 방향으로라든지 센서(1023)와 단자 접속부(1025)가 케이스(10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23)의 일면 또는 일부분을 노출하기 위해 케이스의 하면(1021b)에는 홀(1022)이 형성되며, 센서 모듈(1020)이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의 상면(1001c)에 장착될 경우, 케이스의 하면(1021b)에 형성된 홀(1022)과 본체의 상면(1001c)에 형성된 관통공(1004a)은 서로 맞닿게 된다. 따라서, 홀(1022)과 관통공(1004a)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1022)과 관통공(1004a)이 서로 접촉하면, 홀(1022)과 관통공(1004a)은 유체 연결되며, 본체(1001) 내부로 유입된 축사 내 공기는 관통공(1004a)과 홀(1022)을 거쳐 센서(1023)와 접촉할 수 있다.
센서(1023)는 온도, 습도,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유화수소(H2S), 인화수소(PH3), 비화수소(ASH3), 염화수소(HCl) 및 염소(C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그외의 유독 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모두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에는 모두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가 장착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유화수소(H2S), 인화수소(PH3), 비화수소(ASH3), 염화수소(HCl) 및 염소(Cl2)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중 서로 다른 4개의 센서가 각각의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체(1001)에 장착되는 센서 모듈(1020)의 개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01)에 한 개의 센서 모듈(1020a) 만을 장착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센서 모듈들을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센서를 장착한 복수의 센서 모듈들(1020a, 1020b, 1020c, 1020d)을 하나의 본체(1001)에 장착하여, 축사 내 공기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 성분들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단자 접속부(1025)는 복수의 단자 접속홈들(1025a, 1025b, 1025c 1025d, 1025e)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 접속홈들(1025a, 1025b, 1025c 1025d, 1025e)은 도 6에 도시된 전원 단자핀(1028a), 접지 단자핀(1028b), 양극 및 음극 전기신호 단자핀(1028c, 1028d) 및 센서 종류 인식 단자핀들(1028e)이 각각 접속된다.
또한, 단자 접속부(1025)는 센서(1023) 및 트렌스미터(10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자 접속부(1025)는 본체(1001)에 형성된 접속 단자들(1028)과 결합하여 센서(1023)와 트렌스미터(1024)에 전력을 공급하고, 양 측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상호 전달한다.
트렌스미터(1024)는 센서(1023)에 의해 측정된 공기성분 측정 신호를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를 컨트롤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미도시)로 유,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트렌스미터(1024)는 센서(1023)가 측정한 측정 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패턴 형태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트렌스미터(1024)는 센서(1023)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트렌스미터(1024) 자체에서 전기적 신호를 받아 회로가 정상 작동하지 않으면,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를 컨트롤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미도시)에 알람 신호를 유,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트렌스미터(1024)는 센서(1023)가 측정한 측정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의 본체(1001) 및 다른 구조물에 의해 무선 신호의 방출이 방해되지 않기 위하여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의 최외측으로 트렌스미터(1024)가 돌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렌스미터(1024)는 인쇄회로기판, 전기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온도나 습도, 유해 가스, 먼지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1021)의 외부로 노출되는 센서(1023)의 일면과 가급적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면(1021b)에 센서(1023)의 일면을 노출시키는 홀(1022)이 형성되면, 트렌스미터(1024)는 케이스의 상면(1021a)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트렌스미터(1024)의 배치 구조를 통해 트렌스미터(1024)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21)는 축사 내에 존재하는 먼지, 수분과 유독 가스로부터 센서(1023)와 트렌스미터(1024)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021) 내부에 장착된 센서(1023)가 케이스(102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즉 홀(1022)이 형성된 부분 이외에는 케이스(1021)는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021)는 직육면체인 큐브(cube) 또는 원통형인 실린더(cylindrical) 형태로 형성된다. 하지만, 케이스(1021)의 형태는 본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1)의 내부에는 흡입구(1002)로부터 배출구(1003)까지 직선의 공기 유동 경로(d)가 형성된다.
직선으로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d)는 흡입구(1002)를 통해 본체(1001) 내부로 유입된 축사 내 공기를 시간당 일정한 유량으로 배출구(1003)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센서(1023)가 공기를 일정량 별로 측정하여 공기에 포함된 물질 성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공기 유동 경로(d)는 흡입구(1002)와 배출구(1003)를 일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복되는 구성은 도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표현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수용부(1105c)에 오링(1108)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센서 모듈들(1120a, 1120b, 1120c, 1120d)이 보다 본체(1101)에 확실하게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을 포함한다.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은 본체(1101)의 일면에 형성되며, 도 4를 참조할 때, 본체의 상면(1101c)에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이 형성된다.
각각의 수용부(1105a, 1105b, 1105c, 1105d)에는 센서 모듈들(1120a, 1120b, 1120c, 1120d)이 장착되므로, 수용부(1105a)에 장착되는 센서 모듈(1120)에 의해 축사 내의 공기가 본체(1101)의 흡입구(1002)로 유입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본체의 일측면(1101a) 또는 타측면(1101b)을 피하여, 본체의 상면(1101c)에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이 형성된다.
수용부에는 접속 단자들(1028)이 배치되고, 관통공들(1004a, 1004b, 1004c, 1004d)이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수용부(1105c)는 센서 모듈(1120)의 일부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1101)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거나 파여진 홈(1105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가 홈(1105c)으로 형성된 경우, 각각의 홈(1105a, 1105b, 1105c, 1105d)에는 관통공(1004a, 1004b, 1004c, 1004d)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020)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12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홈(1105c)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120)의 케이스(1021)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홈(1105c)은 센서 모듈(1120)의 케이스(1021) 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형성되므로, 센서 모듈(1120)의 일부분, 즉 센서 모듈(1120)의 하부가 홈(1105c)에 삽입된다.
센서 모듈(1120)이 홈(1105c) 에 삽입되면, 관통공(1004c)은 센서 모듈(1120)의 하면(1021b)에 형성된 홀(1022)과 접촉하면서 외부로부터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센서 모듈의 하면(1021b)에 형성된 홀(1022)을 통해 센서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센서(1023)는 관통공(1004c)을 통하여 유입되는 축사 내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물질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홈(1105c) 내부에는 센서 모듈(1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 단자들(1028)이 배치된다.
도 4와 같이, 홈(1105c) 내부에는 접속 단자들(1028)이 센서 모듈(1120)의 단자 접속부(1025)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센서 모듈(1120)이 홈(1105c)에 장착될 때, 센서 모듈(1120)의 단자 접속부(1025)와 접속 단자들(1028)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및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할 때, 이러한 접속 단자들(1028)은, 전원 단자핀(VCC)(1028a), 접지 단자핀(GND)(1028b), 양극 전기신호 단자핀(Serial (+))(1028c), 음극 전기신호 단자핀(Serial (-))(1028d) 및 센서 종류 인식 단자핀(1028e)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본체의 상면(1101c)에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축사 내의 공기가 본체(1101)의 흡입구(1002)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체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1101c)과 반대되는 측에 있는 하면(미도시)이나, 본체의 좌측면(1101d) 또는 좌측면과 반대되는 측에 있는 우측면(미도시)에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은 홈(1105c)을 형성하도록 본체(1101)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수용부들(1105a, 1105b, 1105c, 1105d)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자석들(1027a, 1027b, 1027c, 1027d)을 더 포함한다. 이 제1 자석들(1027a, 1027b, 1027c, 1027d)은 수용부(1105c)가 센서 모듈(1120)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된다.
또한, 센서 모듈들(1120a, 1120b, 1120c, 1120d) 각각은 수용부(1105c)와 접촉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다른 극성 갖는다. 즉,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이 양극일 경우,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은 음극으로 구성되고,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이 음극일 경우,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은 양극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용부가 홈(1105c)으로 형성될 때, 센서 모듈(1120)이 홈(1105c)에 삽입될 때,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에 의해 센서 모듈(1120)은 홈(1105c)에 더욱 강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의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센서 모듈(1120)은 홈(1105c)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은 홈(1105c)에서 관통공(1004c)이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를 따라 홈(1105c)의 각 모서리에 4개가 배치되어 있고,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의 하면(1021b)에 형성된 홀(1022)의 주변부를 따라 센서 모듈(1120)의 모서리에 4개가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로써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이 서로 인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한 위치에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1027a, 1027b, 1027c, 1027d) 및 제2 자석(1026a, 1026b, 1026c, 1026d)이 배치되는 개수 역시, 본 설명 및 도면의 도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개수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관통공(1004a)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오링(O-ring)(1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관통공(1004c)의 외주면을 따라 오링(1108)이 장착된다. 수용부가 홈(1105c)으로 형성되고, 센서 모듈(1120)이 홈(1105c)에 장착될 때, 오링(1108)은 센서 모듈의 하면(1021b)에 형성된 홀(1022)과 관통공(1004c)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없애고, 홀(1022)과 관통공(1004c)이 수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센서 모듈(1120)이 홈(1105c)에 장착되면, 본체(1101) 내부의 공기는 관통공(1004c)을 통해 본체(1101)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오링(1108)은 센서 모듈(1120)의 홀(1022)과 홈(1105c)에 형성된 관통공(1004c)이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 또는 충격 완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발열판(1106) 및 온도계(1107)를 더 포함한다.
발열판(1106)은 본체(1101)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1101)에 센서 모듈(1120)이 장착되는 면과 다른 면에 발열판(1106)이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의 상면(1101c)에 센서 모듈(1120)이 장착되고, 본체의 하면(미도시)에 발열판(1106)이 장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설명 및 도 4 및 도 5의 도시에 의해 발열판(1106)의 배치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발열판(1106)은 센서 모듈(1120)이 장착되는 면과 다른 면이면 본체의 하면이 아닌 다른 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온도계(1107) 역시 본체(1101)의 일면에 장착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본체 외부에서 사용자가 본체 내부의 온도를 알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온도계(1107)는 본체(1101) 내부의 온도를 디지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지만, 아날로그 방식으로 온도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계(1107)는 디지털, 적외선, 방사, 액정 온도계 등 다양한 온도계가 모두 포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의 좌측면(1101d)에 온도계(1107)가 장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설명 및 도 4 및 도 5의 도시에 의해 온도계(1107)의 배치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온도계(1107)는 사용자의 눈에 띄기 쉬운 곳이면, 본체(1101)의 어느 면에라도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축사 시설 또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의 외부 환경에 따라 축사 시설 내부 또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의 본체(1101) 내부 온도가 변하면, 온도계(1107)가 이를 감지하고, 발열판(1106)에 신호를 보내어 발열판(1106)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의 본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즉, 발열판(1106)과 온도계(1107)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계(1107)가 본체(1101) 내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의 온도 값을 측정할 경우, 온도계(1107)는 발열판(1106)이 작동하도록 발열판(1106)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온도계(1107)가 본체(1101) 내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초과의 온도 값을 측정할 경우, 온도계(1107)는 발열판(1106)이 작동을 멈추도록 발열판(1106)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별도의 제어부나 제어장치의 개입이 없어도 온도계(1107)가 측정한 온도 값에 따라, 온도계(1107)가 스스로 발열판(1106)에 작동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 요소들이 축사 시설 내부 또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의 본체(1101)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휘발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물질 성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온도계(1107)는 센서 모듈(1120)의 트렌스미터(1024)와 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온도계(1107)가 측정한 본체(1101) 내부의 온도 정보는 트렌스미터(102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미도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축사 시설 내부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반복되는 구성은 도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센서 모듈과 수용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의 본체(1201)는 하우징(121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210) 내부에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의 본체(1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211)이 내장된다.
다만, 센서 모듈(1220)이 장착되는 본체(1201)의 상면과 흡입구(1002)가 형성되는 본체의 일면은 하우징(1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본체(1201)에 센서 모듈(1220)을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흡입구(1002)가 축사 시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쇄회로기판(1211)은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00)를 컨트롤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C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으로 제어부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1211)에는 통신 단자, 통신회로 또는 통신 칩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인쇄회로기판(1211)은 접속 단자들(1028)과 전선(1212)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 단자들(1028)을 통해 센서 모듈(1220)에 전원을 제공하고, 전기적인 접지 극을 제공한다. 또한, 센서가 측정한 측정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 신호들을 제어부로 릴레이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11)은 1차 또는 2차 전지와 같은 예비 전원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가 정전과 같은 상황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할 경우, 예비 전원부를 통해 비상 전원을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로 공급하여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가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1220)은 제1 결합부(1222a, 1222b)를 더 포함하고, 홈(1105c)은 제2 결합부(1202a, 1202b)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222a, 1222b)는 센서 모듈(1220)의 케이스(1221)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제1 결합부(1222a, 1222b)가 케이스(1221)의 양 측면에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그루브(groove)로써,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수용부가 홈(1105c)으로 형성될 경우, 홈(1105c)의 양 벽면에 2개의 제2 결합부(1202a, 120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케이스(1221)가 홈(1105c)에 삽입될 경우, 제1 결합부(1222a, 1222b)와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1221)에 제1 결합부(1222a, 1222b)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홈(1105c)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1 결합부(1222a, 1222b) 및 제2 결합부(1202a, 1202b)가 형성되는 위치나 개수는 본 설명 및 도 8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1222a) 및 제2 결합부(1202a)가 각각 케이스(1221)와 홈(1105c)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1222a) 및 제2 결합부(1202a)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면, 케이스(1221)와 홈(1105c)의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도 8에서는 제1 결합부(1222a, 1222b)는 그루브로 형성되고,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1221)가 홈(1105c)에 삽입될 때,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제1 결합부(1222a, 1222b)에 슬라이딩하여 체결된다. 물론, 제1 결합부(1222a, 1222b)가 돌기로 형성되고,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그루브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제1 결합부(1222a, 1222b) 및 제2 결합부(1202a, 1202b)의 결합 방식은 본 설명 및 도 8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22a, 1222b) 및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상호 스냅 결합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222a, 1222b) 및 제2 결합부(1202a, 1202b)는 치합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120)는 센서 모듈(1220)이 홈(1105c)에 삽입될 경우, 제1 결합부(1222a, 1222b) 및 제2 결합부(1202a, 1202b)가 서로 체결되어 센서 모듈(1220)이 홈(1105c)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는 사용자가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는 센서 모듈과 본체를 제공하여 초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다양한 센서를 장착한 여러 개의 센서 모듈들을 하나의 본체에 장착할 수 있고, 발열판을 사용하여 일정한 환경 하에서 공기의 성분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공기 중에 포함된 물질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는 다양한 센서를 장착한 복수의 센서 모듈을 한 개의 본체에 집중적으로 장착하여, 축사 시설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들의 개수를 대폭 줄이고, 축사 시설 내부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1001: 본체
1002: 흡입구
1003: 배출구
1010: 진공 펌프
1020: 센서 모듈

Claims (10)

  1.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반대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상기 본체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 및
    상기 배출구와 유체 연결된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형의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 각각의 중심에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과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다른 극성을 가지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파여진 홈으로 형성되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복수의 오링들;을 더 포함하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상기 홈에 삽입될 경우 서로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고정시키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각각,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 중 물질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와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신호를 상기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를 컨트롤하고 모니터링하는 제어부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트렌스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센서의 일면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하는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각각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홀과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서로 유체 연결되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큐브(cube) 또는 실린더(cylindrical) 형태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습도,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유화수소(H2S), 인화수소(PH3), 비화수소(ASH3), 염화수소(HCl) 및 염소(C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인,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타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판;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더 포함하는,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KR1020180090455A 2018-08-02 2018-08-02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KR10217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55A KR102177548B1 (ko) 2018-08-02 2018-08-02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455A KR102177548B1 (ko) 2018-08-02 2018-08-02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04A KR20200015104A (ko) 2020-02-12
KR102177548B1 true KR102177548B1 (ko) 2020-11-11

Family

ID=6956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455A KR102177548B1 (ko) 2018-08-02 2018-08-02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31B1 (ko) * 2020-11-03 2021-07-06 주식회사 리그린텍 모듈식 공기질측정장치
KR102232415B1 (ko) * 2020-12-28 2021-03-29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악취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5668B2 (ja) 2007-12-27 2012-05-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臭気測定装置
KR101857967B1 (ko) * 2017-07-19 2018-05-16 주식회사 위드텍 공기 오염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248A (ko) * 2016-01-18 2017-07-26 코웨이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질 측정 장치
KR101814666B1 (ko) * 2016-04-18 2018-01-04 주식회사 그린솔루스 악취물질 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악취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5668B2 (ja) 2007-12-27 2012-05-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臭気測定装置
KR101857967B1 (ko) * 2017-07-19 2018-05-16 주식회사 위드텍 공기 오염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04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548B1 (ko) 축사용 공기성분 분석장치
US20180346130A1 (en) Cockpit and Crew Rest Air Quality Sensor
CN106470593A (zh) 可分离式监测装置和方法
US6198400B1 (en) Portable gas detection and/or monitoring apparatus for a hostile environment
EA021718B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датчик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измеренного физического параметра
CA2595120A1 (en) Modular system and apparatus for testing gas detectors
BR112021004903A2 (pt) analisador de gás, e, sistema
US9110028B2 (en) Sorbent media exhaustion indicator
GB2559704B (en) Gas monitoring apparatus for use with interchangeable sensor modules
US20160202205A1 (en) Washable analyte meters, sealed conn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RU2375701C1 (ru) Прецизионный двухканальный спектральный флуориметр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и измерения динамики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го флуоресцентного сигнала нано- и микрообъектов
CN102869955A (zh) 无线传感器单元和用于无线传感器的维护方法
US20160363515A1 (en) Device for taking air samples for the environmental microbiological control
CN209264021U (zh) 可自由配置的便携式气体检测仪
KR20220157546A (ko) 스마트축사용 환경측정 센서
KR20100001011A (ko) 축사용 복합센서 통합모듈
TW202338348A (zh) 氣體測量裝置、氣體測量方法及空氣淨化系統
CN112040696B (zh) 具有静电防护功能的网通装置
CN220170988U (zh) 传感器装置
US11879944B2 (en) Wireless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removable power module
KR100758532B1 (ko) 환경인자 감지기
CN116804645A (zh) 气体测量装置、气体测量方法及空气净化系统
IT202000018679A1 (it) Dispositivo rilevatore di gas
KR102631833B1 (ko) 재사용 가능한 가스센서유닛이 구비된 가스검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스검출장치
US11761939B1 (en) Modular health exposure sens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