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36B1 -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36B1
KR102177536B1 KR1020200061196A KR20200061196A KR102177536B1 KR 102177536 B1 KR102177536 B1 KR 102177536B1 KR 1020200061196 A KR1020200061196 A KR 1020200061196A KR 20200061196 A KR20200061196 A KR 20200061196A KR 102177536 B1 KR102177536 B1 KR 10217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disk
system environment
maintenance
copy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트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트림
Priority to KR102020006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47Migra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Replica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4Retarge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G06F9/4862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the task being a mobile agent, i.e. specifically designed to migrate
    • G06F9/4868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the task being a mobile agent, i.e. specifically designed to migrate with creation or re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를 이용하여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은 체결된 계약사항에 따라 IT 제품을 구비하는 구비단계, 그리고 상기 계약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구축단계, 그리고 시스템 유지보수에 대한 고객의 요청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을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지보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축단계 및 유지보수단계는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복사장치가 상기 IT 제품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상기 시스템 환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ETHOD OF IT SYSTEM}
본 발명은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를 이용하여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시스템을 구축된다는 것은 사무실 등에 업무 처리에 필요한 다양한 IT 제품들이 대량으로 구비되어, 업무와 관련된 정보처리시스템 확보, 각 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 구축 및 이를 통한 사무의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PC, 노트북 등의 IT 제품들이 대량적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는 기업, 공공기관 등에 IT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 등이 포함된 시스템 환경이 일괄적으로 적용된 저장미디어가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IT 시스템에 각 종 문제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저장미디어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의 복구를 통한 유지보수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근래 저장미디어 시장은 100 기가바이트를 훌쩍 넘겨 1 테라바이트 이상의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기업, 공공기관, 각 종 정보기관에서는 이러한 대용량의 저장미디어를 대량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러한 저장미디어가 탑재된 서버/PC 등의 시스템 환경의 구축, 재사용, 폐기 등을 수행할 경우에 상당한 고충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리고 IT 시스템의 구축과 유지보수의 일환으로 하드디스크의 백업과 삭제하는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하드디스크의 백업 등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46058호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컴퓨터의 시스템 백업/복구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는 있으나, 대량의 IT 제품들이 구비된 사무실 등에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어, 대량의 IT 제품들이 구비된 사무실 등에 IT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들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IT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을 신규 또는 유지보수 대상인 IT 제품에 일괄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IT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의 대량화, 시스템화를 실현함은 물론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기 위한 복사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저장미디어의 종류 및 인터페이스와 상관없이 시스템 환경의 복사가 수행될 수 있어 시스템 환경 구축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기 위한 복사장치는 복수의 저장미디어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장착슬롯과 각각 독립적인 컨트롤러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저장미디어에 시스템 환경을 구축/유지보수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은 체결된 계약사항에 따라 IT 제품을 구비하는 구비단계, 그리고 상기 계약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구축단계, 그리고 시스템 유지보수에 대한 고객의 요청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을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지보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축단계 및 유지보수단계는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복사장치가 상기 IT 제품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상기 시스템 환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IT 제품은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장치는, 다수의 LAN 포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부 및 상기 시스템 환경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시스템 환경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사장치는,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포트를 갖는 제1 내지 제3장착부와, 이웃한 두 장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되는 장착슬롯을 구분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하드디스크는 상기 제1장착슬롯에 장착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복사될 하드디스크는 상기 제2 및 제3장착슬롯에 장착되며, 상기 복사장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의 복사 또는 삭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3장착슬롯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복사장치를 통해 시스템 환경을 일괄적으로 복사, 삭제함으로써, IT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의 대량화, 시스템화를 실현함은 물론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저장미디어의 종류 및 인터페이스와 상관없이 복사/삭제가 수행될 수 있어, 저장미디어가 별로 인터페이스 장비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저장미디어의 분리가 난해한 노트북이나 분리 자체가 불가능한 테블릿 PC 또한 용이하게 복사/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장치에 복수의 장착슬롯과 각각 독립적인 컨트롤러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저장미디어에 시스템 환경을 구축/유지보수 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대한 시계열적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제1장치와 제2장치의 기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제1장치의 전면 측을 기준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제2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제2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제2장치의 세 가지 복사 방식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를 이용하여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와 체결된 계약사항에 따라 IT 제품을 구비하는 구비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계약사항은 각 종 IT 제품을 공급하는 공급계약, 각 종 IT 제품에 대한 렌탈을 제공하는 렌탈계약 또는 각 종 IT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계약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결된 계약사항에 따라 구비되는 IT 제품으로는 PC, 일체형 PC, 노트북, 서버, 스토리지 등을 포함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은, 상기 계약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구축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OS는 윈도우,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OS/2, MAC OS 등을 포함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중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는데, 특히 OA(사무자동화)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한컴오피스, MS오피스, 포토샵, 일러스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각 종 설정을 포함한다는 것은 클라이언트가 파일 복사, 텍스트 편집, 데이터 정렬, 프린터 조작 등의 일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 프로그램과 특정 언어로 쓰여진 수행문을 읽어 해독하기 쉬운 수행문을 만들어내기 위한 언어처리 프로그램(어셈블리, 컴파일러, 연결 편집 루틴) 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은, 시스템 유지보수에 대한 고객의 요청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을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지보수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의 잘못된 연산 코드나 기억 보호가 깨지는 문제, 바이러스 감염, 악성코드, 트로이 목마, 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드디스크의 복구는 물론, 관공서, 금융기관, 사무실 등에서 하드디스크 내에 저장된 중요한 기밀자료를 일괄적으로 삭제한 후 일괄적으로 시스템 환경의 재구축이나 하드디스크 내에 저장된 운영체제의 변경, 각 종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축단계 및 유지보수단계는,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복사장치가 상기 IT 제품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상기 시스템 환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한 시스템 환경에 각 종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대비하여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는 과정과 각 종 오류가 실제 발생하였을 때 미리 백업해둔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을 재구축하거나, 각 종 오류가 발생한 부분 또는 상기한 시스템 환경 전부를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한 시스템 환경에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는 2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고, 제1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를 제1장치(1)로, 제2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복사/삭제 장치를 제2장치(2)로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장치(1)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1장치(1)는 상기 IT제품(PC, 노트북, 테블릿 PC)의 하드디스크 분리 작업 없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삭제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미디어 분리에 따른 제품손상 및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저장미디어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M.2 NVMe SSD는 물론, HDD, SSD, mSATA, NGFF, CF, SD, PCle, eMMC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미디어에 대해 간략하게 하드디스크로 통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치(1)를 통전하기 위한 구동버튼(10)이 상기 제1장치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치(1)는 모든 PC, 노트북 등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타겟 하드디스크(Target Hard Disk)의 종류 및 인터페이스와 상관없이 복사/삭제가 수행될 수 있는바, 타겟 하드디스크 별로 인터페이스 장비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의 분리가 난해한 노트북이나 분리 자체가 불가능한 테블릿 PC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드디스크의 복사/삭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호환 문제로 방치된 IT제품에 대해서도 하드디스크의 복사/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장치(1)는 원본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이미지 파일로 백업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물리적인 소스 하드디스크(Source Hard Disk) 없이도 상기 제1장치(1)에 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의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1장치(1)는 소스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이미지 파일로 백업하여 저장하기 위해 mSATA, SSD 등의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제1저장부(150)를 포함하고, 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타겟 하드디스크로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LAN 포트(12)를 포함하는 제1네트워크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AN 포트(12)가 상기 제1장치(1)의 전면 하단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제1장치(1)와 타겟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대상제품을 LAN선으로 연결하여 소스 하드디스크로부터 타겟 하드디스크(H)로의 복사 또는 상기 타겟 하드디스크(H)의 삭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제1장치(1)의 전면 하단에 상기 LAN 포트(12)가 16개의 포트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상기 LAN 포트(12)의 개수를 16포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다른 다양한 개수의 LAN 포트(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장치(1)는 제1입력부(100), 제1디스플레이부(110), 제1메모리부(140), 제1제어부(130) 및 제1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입력부(100)는 사용자가 복사/삭제 작업을 수행의 시작, 종료, 복사/삭제 방식의 선택, 삭제/결과 리포트 발행 등에 대한 지시를 내렸을 때 상기 지시에 대한 입력을 받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스크린 형식으로 채용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의 사용자 UI의 터치를 통해 후술하는 타겟 하드디스크(H)의 복사/삭제 작업 등을 손쉽게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입력부(100)의 사용자 UI의 실시예로는 윈도우 기반의 Full GUI를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제1장치(1)의 각 종 데이터(타겟 하드디스크(H)의 복사/삭제 작업 진행의 정도 등)가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미지)으로 출력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식의 LCD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제1장치(1)에서는 제1LCD 디스플레이(11)로 명명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메모리부(140)는 상기 제1장치(1)의 운용상에 있어 임시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RAM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제어부(130)는 상기 제1입력부(100),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제1메모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저장부(15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데이터를 복사/삭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저장부(1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 형태의 소스 하드디스크의 내용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장치(1)는 크게 두 가지의 복사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데, 첫 번째 복사 방식으로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모든 타겟 하드디스크(H)에 복사시키는 싱글 이미지 클론 방식(Single Image Clone)과 두 번째 복사 방식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 별로 각각의 이미지 파일을 따로 설정하여 복사시키는 멀티 이미지 클론 방식(Multi Image Clone)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복사 방식을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제공함으로써 각 환경에 적합한 IT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첫 번째 복사 방식인 싱글 이미지 클론 방식을 통해 동종(同種)의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의 대량 구축 및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두 번째 복사 방식인 멀티 이미지 클론 방식을 통해 이종(異種)의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의 구축 및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 이미지 클론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장치(1)의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시스템 환경이 포함된 이종(異種)의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스토리지 내에서 저장영역을 달리하여 복수의 시스템 환경이 포함된 이종(異種)의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스 하드디스크의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장치(1)는 타겟 하드디스크(H)의 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데, 총 5가지의 삭제 방식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는 1Pass 방식으로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모든 섹터 상에 임의의 데이터를 한 번 덮어쓰는 방법으로 빠른 삭제가 가능한 방식이다.
두 번째로는 3Pass 방식으로 미 국방성 국제표준 삭제 규격 중 하나인 U.S DoD 5220.22-M(E) 방식으로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모든 섹터 상에 임의의 데이터를 한 번 덮어 쓴 후에 덮어 쓴 그 데이터의 보수로 한 번 더 덮어쓴 후 임의의 데이터 값을 한 번 더 덮어쓰는 방식이다. 즉, 데이터를 덮어쓰는 횟수가 총 3회이다.
세 번째로는 7Pass-1 방식으로 미 국방성 국제표준 삭제 규격 중 하나인 U.S DoD 5220.22-M(ECE) 방식으로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모든 섹터 상에 3Pass 방식을 한 번 거친 후 임의의 데이터를 덮어쓴 후에 3Pass 방식을 한 번 더 수행하는 방식이다. 즉, 데이터를 덮어쓰는 횟수가 총 7회이다.
네 번째로는 7Pass-2 방식으로 미 국방성 국제표준 삭제 규격 중 하나인 US NSA erasure 방식으로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모든 섹터 상에 16진수로 난수화하여 덮어쓰는 단계를 총 7회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로는 35Pass 방식으로 Peter Gutmann 방식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모든 섹터 상에 난수화된 데이터를 총 35번 덮어쓰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이다. Peter Gutmann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구체적인 실시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타겟 하드디스크(H) 복사/삭제 작업 후에 상기 제1장치(1)는 복사/삭제 결과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상기 복사/삭제 결과 리포트에는 어떠한 복사/삭제 방식이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복사/삭제 방식 정보, 복사/삭제 일자 정보, 복사/삭제 작업 소요 시간 정보, 저장미디어에 대한 각종 정보(저장미디어의 종류, 용량, 베드섹터 개수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삭제 결과 리포트는 타겟 하드디스크(H) 삭제 작업에 대한 증빙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장치(2)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2장치(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치(2)는 본체(20)의 상부 측에 타겟 하드디스크(H)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포트(26)를 갖는 제1 내지 제8장착부(21a)(21h)와, 이웃한 두 장착부(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되는 장착슬롯(22)을 구분하는 칸막이(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장치(2)는 각 장착부(21)의 하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슬롯(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일 측이란 도 5 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23)가 구비되는 쪽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슬롯(22)은 상기 제2장치(2)의 일 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8장착슬롯(22a)(22h)을 포함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장착슬롯(22)은 제1 내지 제8장착슬롯(22a)(22h)을 포함하고, 칸막이(23) 또한 제1 내지 제8칸막이(23a)(23h)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0)의 후면에는 전원 케이블 포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착슬롯(22)의 저면에는 4개의 가이드 홈(27)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가이드 홈(27)은 상기 타겟 하드디스크(H)가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26)를 갖는 장착부(21) 측으로 상기 가이드 홈(27)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후술할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될 수 있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27)의 하단 측에 쿨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홈(27)은 상기 쿨러가 하드디스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식힐 수 있도록 열이 잘 통과될 수 있게 도와주는 구성이기도 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27)은 제1가이드 홈(27a)과 제2가이드 홈(27b)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다양한 크기를 갖는 HDD에 대응하여 구성된 것이다.
예컨대 2.5인치의 HDD의 경우에는 제1가이드 홈(27a)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인터페이스 포트(26)와 결합될 수 있으며, 3.5인치의 HDD의 경우에는 제1가이드 홈(27a) 및 제2가이드 홈(27b) 모두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인터페이스 포트(26)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23)는 이웃한 두 장착슬롯(22)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칸막이(23)는 각 타겟 하드디스크(H)를 구획하는 기능과 더불어 어떤 충격으로 인하여 타겟 하드디스크(H)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장착부(21a)에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소스 하드디스크가 장착되고, 제2 내지 제7장착부(21b)(21h)에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복사될 타겟 하드디스크(H)가 장착된다.
여기서 장착된다는 의미는 상기 장착부(21)의 인터페이스 포트(26)에 상기 타겟 하드디스크(H)가 연결되되, 상기 장착슬롯(22)에 안착되어 측면 측으로 상기 칸막이(23)가 받쳐주면서 장착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2장치(2)를 통하여 동시에 7개의 타겟 하드디스크(H)에 대한 복사/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장치(2)는 타겟 하드디스크(H)의 복사/삭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장치(2)를 PC 등의 대상제품에 네트워크 연결하여 복사/삭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 타겟 하드디스크(H) 자체를 제2장치(2)의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하는 형태이므로 바이러스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장치(2)는 제2입력부(200), 제2디스플레이부(210), 제2인터페이스부(220), 제2메모리부(240), 제2제어부(230) 및 제2저장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2입력부(200)는 사용자가 복사/삭제 작업을 수행의 시작, 종료, 복사/삭제 방식의 선택, 로그 레코드 발행 등에 대한 지시를 내렸을 때 상기 지시에 대한 입력을 받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는 4개의 입력버튼(25)을 포함하는데, 화살표가 그려진 2개의 버튼은 조작하여 메뉴의 상하단을 이동시키게 되고, OK 버튼을 통해 상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ESC 버튼을 통해 메튜 선택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뉴는 사용자가 복사/삭제 작업을 수행의 시작, 종료, 복사/삭제 방식의 선택, 로그 레코드 발행 등을 지시하기 위해 구성된 각각의 메뉴들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제2장치(2)의 각 종 데이터(타겟 하드디스크(H)의 복사/삭제 작업 진행의 정도 등)가 출력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인터페이스 포트(26)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26)는 SATA 포트를 포함하여 하드디스크를 SATA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ATA 방식의 인터페이스에 관하여는 통상의 기술자가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어렵지 않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인 바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IDE 등의 방식의 경우에도 SATA 변환 젠더를 통하여 인터페이스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메모리부(240)는 상기 제2장치(2)의 운용상에 있어 임시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RAM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제어부(230)(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2입력부(200),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10) 및 상기 제2메모리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저장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데이터를 복사/삭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장치(2)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의 복사 또는 삭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할 시스템 환경의 복사 방식과 삭제 방식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환경의 복사와 삭제 중에서 먼저 시스템 환경의 복사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기 시스템 환경의 복사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의 복사 방식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로는 빠른 복사 방식으로 소스 하드디스크 전체가 아닌 파일시스템과 파일데이터만 복사하는 방식이다.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빠른 복사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장치(2)의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소스 하드디스크의 파일시스템과 파일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을 분석하는 분석 알고리즘과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로 상기 소스 하드디스크의 파일시스템과 파일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일시스템과 파일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을 분석하는 분석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기 공지된 기술을 참조하여 어렵지 않게 실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장치(2)가 상기 파일시스템과 파일데이터의 복사를 지원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의 포맷으로는 FAT(File Allocation Table), NTFS(New Technology FileSystem), EXT2/3(Second/Third Extended FileSystem), HFS/HFS+(Hierarchical File System/Hierarchical File System Plus) 등이 존재한다.
그 다음으로 두 번째 복사 방식은 도 8의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 복사 방식으로 소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계없이, 파티션이 지정된 영역을 비트단위로 모두 복사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그 다음으로 세 번째 복사 방식은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복사 방식으로 소스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영역, 파티션 등 형식에 관계없이 소스 하드디스크를 전체를 동일하게 복사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 환경의 삭제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네 가지의 삭제 방식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삭제 방식으로는 빠른 삭제 방식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데이터 영역 인덱스만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네 가지의 삭제 방식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삭제 방식으로는 전체 삭제 방식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전체 섹터를 삭제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그리고 세 번째 삭제 방식으로는 복구불가 삭제 방식으로 상기 제1장치(1)의 3Pass 방식과 동일하게 보안이 요구되는 타겟 하드디스크(H) 내의 각종자료를 복구 불가능하게 비트단위로 완전하게 삭제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삭제 방식으로는 보안 삭제 방식으로 타겟 하드디스크(H)의 HPA 영역까지 삭제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상기한 상기 제2장치(2)의 네 가지의 삭제 방식은 타겟 하드디스크(H)의 영역 별로 삭제하는 방식을 구분한 것이고, 네 가지의 삭제 방식(영역) 중 한 가지를 선택한 후에 전술한 제1장치(1)의 삭제 방식과 같이 데이터를 덮어쓰는 횟수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내지 제8장착슬롯(22)을 각각 제어하는 제2 내지 제8컨트롤러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각 장착슬롯(22)에 장착된 각 타겟 하드디스크(H)의 복사/삭제 작업 중에 상기 제어모듈에 걸리는 부하를 각 컨트롤러가 나누어 수행하게 되어 안정적이면서 빠른 복사/삭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1)의 전면에는 인터페이스 포트(26)를 구비하고 있으며, SATA 방식이 아닌 IDE HDD 등의 경우에는 SATA 변환 젠더 등을 통해 연결하여 복사/삭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21)의 상부에는 3가지 색상을 발하는 알림 LED(28)를 구비하고, 일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LED(28) 최상부에는 노란색 빛을 발하는 LED를 구비하여 상기 제3장치의 통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중단에는 녹색 빛을 발하는 LED를 구비하여 복사/삭제의 완료 시 점등시켜 복사/삭제의 완료를 알릴 수 있으며, 하단에는 빨간 빛을 발하는 LED를 구비하여 복사/삭제의 실패나 오류 발생 시 복사/삭제의 실패나 오류를 알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치(2)의 본체(20) 전면에는 제2디스플레이부(210)와 제2입력부(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복사/삭제의 작업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입력부(200)를 통해 복사/삭제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디스플레이부(210)와 제2입력부(200)는 상기 제2장치(2)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10)에는 상기 제2장치(2)와 연결된 타겟 하드디스크(H)의 개수 정보, 타겟 하드디스크(H)의 용량 정보, 복사가 진행된 데이터 사이즈 정보,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정보(복사 또는 삭제 정보), 작업이 진행된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구비된 제2LCD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하여 상기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C로 실시간 확인 가능한 로그 레코드를 지원할 수도 있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치(2)의 본체(20) 전면에 USB 포트(29)를 구비하여, 로그 레코드 정보를 표시할 PC와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그 레코드 정보는 어떠한 복사/삭제 방식이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복사/삭제 방식 정보, 복사/삭제 일자 정보, 복사/삭제 작업 소요 시간 정보, 저장미디어에 대한 각종 정보(저장미디어의 종류, 용량, 베드섹터 개수 등)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장치(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슬롯(22)의 전후면이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칸막이(23)가 제2장치(2)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되어 있는 타겟 하드디스크(H)의 측면 측 낙하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 개방부 측으로의 낙하(특히 인터페이스 포트(26) 측이 아닌 전면측으로의 낙하)를 방지할 수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슬롯(22)은 상기 칸막이(23)에 의해 전후방 양측에 개방부를 갖는 공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타겟 하드디스크(H)를 전면 측 개방부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부(21)의 후방 측에 위치한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타겟 하드디스크(H)가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이 되고, 상기 장착슬롯(22)에 안착된 후에는 상기 전면 측 개방부를 막아 인터페이스 포트(26)와 연결된 타겟 하드디스크(H)가 어떠한 충격에 의해 상기 전면 측 개방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측 개방부 측에 구비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전면 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드(B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타겟 하드디스크(H)가 트리거(B1)의 노출상부(B10)를 가압하여, 상기 트리거(B1)의 접점부(B12)와 액추에이터(B3)의 단자부(B30)가 접촉하였을 때 구동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승강수단(B32)이 작동하여 상기 가드(B2)가 장착슬롯(22)의 저면에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블록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27)을 둘러싸되 디스크 형태로 상기 장착슬롯(22)의 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저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출상부(B10)를 포함하는 트리거(B1)를 포함하는데, 타겟 하드디스크(H)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노출상부(B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저면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트리거(B1)의 내장하부(B11)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내장하부(B11)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부(B12)와 액추에이터(B3)의 단자부(B30)가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B1)의 하단에는 타겟 하드디스크(H)의 가압(누름 압력)이 해제될 경우, 접점부(B12)와 단자부(B30)를 다시 이격시키기 위해 탄성체 등과 같은 소정의 복귀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복귀수단은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트리거(B1)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형 측면을 구비할 수 있는데, 경사형 측면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내장하부(B11)의 승하강 시에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마모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출상부(B10)의 상단에는 상단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라운드 처리로 인하여 하드디스크가 상기 노출상부(B10)를 가압할 때, 상기 노출상부(B10)를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방향에 대해 하드디스크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하드디스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출상부(B10)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부(B13)재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하드디스크를 노출상부(B10)로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가압하게 되었을 때 상기 하드디스크가 장착슬롯(22)의 저면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B13)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노출상부(B10) 내부에 구비시켜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블록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B1)의 하강에 따라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가드(B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B32)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B3)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적인 구동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B1)의 접점부(B12)와, 상기 접점부(B12)와 상기 노출상부(B10)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단에 배치된 단자부(B30)가 접촉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적인 구동신호의 발생과 관련하여서는 기 공지된 터치 스위치의 작동 원리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B3)는 신호전달부(B31)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신호전달부(B31)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B32)으로 전달되며, 자명하게도 상기 신호전달부(B31)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B32)은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드(B2)를 상기 저면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승강수단(B32)은 실린더방식, 크랭크방식, 권상기방식, 리프트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 또는 기 공지된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1장치 10 : 구동버튼
11 : 제1LCD 디스플레이 12 : LAN 포트
100 : 제1입력부 110 : 제1디스플레이부
120 : 제1네트워크부 130 : 제1제어부
140 : 제1메모리부 150 : 제1저장부
2 : 제2장치 20 : 본체
21 : 장착부 22 : 장착슬롯
23 : 칸막이 24 : 제2LCD 디스플레이
25 : 입력버튼 26 : 인터페이스 포트
27 : 가이드 홈 28 : 알림 LED
29 : USB 포트 200 : 제2입력부
210 : 제2디스플레이부 220 : 제2인터페이스부
230 : 제2제어부 240 : 제2메모리부
250 : 제2저장부

Claims (4)

  1. 체결된 계약사항에 따라 IT 제품을 구비하는 구비단계;
    상기 계약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에 OS, 응용프로그램, 각 종 설정을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구축단계; 및
    시스템 유지보수에 대한 고객의 요청사항에 따라, 상기 IT 제품을 추가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지보수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구축단계 및 유지보수단계는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복사장치가 상기 IT 제품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을 복사하거나 상기 시스템 환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IT 제품은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장치는, 상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포트를 갖는 제1 내지 제3장착부와, 이웃한 두 장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되는 장착슬롯을 구분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장치는 각 장착부의 하단에서 일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장착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슬롯은 상기 복사장치의 일 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장착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저장된 하드디스크는 상기 제1장착슬롯에 장착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환경이 복사될 하드디스크는 상기 제2 및 제3장착슬롯에 장착되며,
    상기 복사장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의 복사 또는 삭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3장착슬롯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슬롯은 상기 칸막이에 의해 양측에 개방부를 갖는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사장치는 상기 장착슬롯에 상기 하드디스크가 안착됨에 따라 일 측 개방부를 막는 블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수단은, 상기 일 측 개방부 측에 구비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일 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드, 디스크 형태로 상기 제1장착슬롯의 저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저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출상부를 포함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의 하강에 따라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가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형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노출상부의 상단에는 상단이 라운드 처리되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1196A 2020-05-21 2020-05-21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KR10217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96A KR102177536B1 (ko) 2020-05-21 2020-05-21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96A KR102177536B1 (ko) 2020-05-21 2020-05-21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536B1 true KR102177536B1 (ko) 2020-11-11

Family

ID=7345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96A KR102177536B1 (ko) 2020-05-21 2020-05-21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826B1 (ko) * 2021-06-03 2021-10-19 주식회사 이스트림 저장 미디어를 이용한 it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723A (ko) * 2004-05-13 2005-11-17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KR20060062587A (ko) * 2004-12-04 2006-06-12 소프트온넷(주)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응용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휴대용디지털 저장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7292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디바이스 블록의 사용자 환경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723A (ko) * 2004-05-13 2005-11-17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KR20060062587A (ko) * 2004-12-04 2006-06-12 소프트온넷(주)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응용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휴대용디지털 저장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7292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디바이스 블록의 사용자 환경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826B1 (ko) * 2021-06-03 2021-10-19 주식회사 이스트림 저장 미디어를 이용한 it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627B2 (en) Secure data erasure system for erasing a plurality of data storage devices
US20210165582A1 (en) Shared network-available storage that permits concurrent data access
US10540105B2 (en) Tape library emulation with automatic configuration and data retention
US8422677B2 (en) Storage virtua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encryption functions
JP4977595B2 (ja) リモートコピーシステム、リモートコピー環境設定方法、データリストア方法
KR100890573B1 (ko) 에뮬레이팅된 저장 시스템
JP4648751B2 (ja) 記憶制御システム及び記憶制御方法
US8219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py pair relationship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volumes
US20070245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lurality kinds of event markers of a continuous data protection
JP2005071103A (ja) サブシステム論理分割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417887B2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ttributes such as encryption attributes in virtual storage areas
JP2007140962A (ja) ディスクアレイ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JP2006048313A (ja) 複数の管理者から管理される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管理方法
CN2816934Y (zh) 一种具有独立处理运算能力的指纹u盘
KR102177536B1 (ko) It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방법
CN117396872A (zh) 数据安全保护方法、设备、系统、安全控制框架及存储介质
US20110113079A1 (en) Information switch module and related file transfer method
US20120284474A1 (en) Enabling recovery during data defragmentation
US20050138247A1 (en) Emulation system and emulation method
TW201443647A (zh) 具有資料管理的層疊式資料儲存系統及其操作方法
US10162531B2 (en) Physical allocation unit optimization
WO2015196820A1 (zh) 创建jbod文件系统的方法及装置
KR102159835B1 (ko) 보조기억장치의 복구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8566551B2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39679A (ko) 에물레이터를 갖는 휴대용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