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477B1 -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477B1
KR102177477B1 KR1020180075974A KR20180075974A KR102177477B1 KR 102177477 B1 KR102177477 B1 KR 102177477B1 KR 1020180075974 A KR1020180075974 A KR 1020180075974A KR 20180075974 A KR20180075974 A KR 20180075974A KR 102177477 B1 KR102177477 B1 KR 10217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ghting
positive
powe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335A (ko
Inventor
송보선
양병문
Original Assignee
(주) 선일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일일렉콤 filed Critical (주) 선일일렉콤
Priority to KR102018007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2Three-po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조명에서 각각의 조명기기 간에 연장설치를 수행함에 있어서, 안정된 연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LIGHTING DEVICE IN LINEAR LIGHTING AND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LIGHTING DEVICES}
본 발명은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조명에서 각각의 조명기기 간에 연장설치를 수행함에 있어서, 안정된 연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소모가 적고 다양한 색 연출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등이 조명기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LED 조명기기는 작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고, 그 수명도 획기적으로 길기 때문에 조명기기로서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상기 LED 조명기기는 길이가 제한적인 통상적인 형광등과는 달리 사용되는 공간이나 환경에 따라 각각의 LED 조명기기 간에 전원 연결을 통해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커넥터와 같은 연결 장치를 2개의 LED 조명기기 사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와 같은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LED 조명기기 간을 연장하여 설치할 경우, 접속부위의 체결이 탄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접속부위의 접촉불량으로 인하여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LED 조명기기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LED 조명기기 간에 연장설치를 수행할 때 접속부위의 안정된 체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조명기기와 연결 장치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증가시켜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였고, LED 조명기기 간을 연장하여 설치할 때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므로 하나의 접점에 오류가 있어도 조명기기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36400호(2011.05.23.)는 LED 조명등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단위로 제작된 LED조명등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할 때, 콘센트와 콘넥터를 이용한 착탈방식으로 각각의 조명등을 결합시켜, 작업이 용이하며 빛의 단절됨이 없이 상품에 효율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접속부위의 안정된 체결구조를 통하여 각각의 LED 조명기기 간을 연장하여 설치할 때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는 것은 물론 발열상승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몸체 내부로 금속단자가 내장되어 양측으로 돌출된 끼움부를 형성한 콘넥터가 마감캡의 삽입부를 통과해 콘센트와 끼움결합 시켜 조명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술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특징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8878호(2008.06.26.)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열핀을 구비하고 있어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LED의 열화를 방지하고, 기판이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소자를 기판의 소켓에 꽂아 장착함으로써 상기 LED 소자의 탈착이 용이하여 LED 소자의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기판의 양 끝단에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어 여러 개의 기판을 쉽게 연결할 수 있어 LED 조명장치의 길이를 쉽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LED 조명기기 간을 연장설치할 때 상호간의 안정된 체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기판의 양 끝단에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를 구비하여 여러 개의 기판을 쉽게 연결하여 연장할 수 있는 상기 선행기술의 기술적 구성과는 전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콘센트와 콘넥터를 이용한 착탈방식으로 각각의 조명등을 결합시키는 구성, 기판의 양 끝단에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를 구비하여 여러 개의 기판을 쉽게 연결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각각의 LED 조명기기를 연장하여 설치할 때 접속부위의 안정된 체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에 의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는 구성,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좋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선형조명에서 LED 조명기기 간을 연장하여 설치할 때,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되고 탄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와 연결 장치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증가시켜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원선의 분기를 통하여 전원선의 저항을 줄이고, 각각의 LED 조명장치를 연장하여 설치할 때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연결대상 조명기기 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각각에 구비된 양극, 음극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단자가 결합될 때 상기 단자가 빠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해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중 일측의 조명기기가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중 다른 일측의 조명기기가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각각은,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각각에 구비된 단자의 수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의 접속구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제2 접속부의 접속구 각각은, 상호간의 대응하는 위치별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는,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각각에 구비된 단자의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상기 조명기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는, 내측 양측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각각에 구비된 단자가 상기 접속구에 끼워져 접속될 때 상기 보강부에 의해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는, 내부에 복수 개의 LED가 구비된 조명기기 본체 및 상기 조명기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 장치 또는 조명기기의 연장설치를 위한 연결 장치가 접속되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또는 상기 연결 장치가 결합될 때 단단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해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는, 양극, 음극 및 양극의 순서, 또는 양극 및 음극이 조합된 형태로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자는 상기 단자의 형상 및 대응 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의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 또는 상기 연결 장치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전원 연결 장치는, 조명기기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에 결합되는 전원 연결 장치 본체 및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기기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조명기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는, 상기 조명기기에 결합될 때 상기 단자가 빠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접촉불량으로 인해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는, 상기 조명기기에 구비된 단자의 수, 형상 및 대응 위치에 맞추어 형성된 접속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구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의 상면 및 상기 조명기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는, 내측 양측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기에 구비된 단자가 상기 접속구에 끼워져 접속될 때 상기 보강부에 의해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따르면, 선형조명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되고 탄탄한 체결구조를 통하여 조명기기에 구비된 단자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저항이 커지고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LED 조명기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와 연결 장치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증가시켜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였고, 단자 접속 구조의 개선으로 인한 전원선의 분기를 통하여 전원선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으며, 하나의 접점에 오류가 있어도 조명기기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자의 접속 구조가 개선되었기 때문에, 선형조명에서 LED 조명기기 간에 연장설치를 수행할 때,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으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를 통해 결속되는 조명기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조명기기의 일측에 결속되는 전원 연결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조명기기와 도 5의 전원 연결 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를 이용한 조명기기 간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자 구조의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 장치(100)는 선형조명에서 각각의 조명기기 간을 연장하여 설치할 때 사용되며, 각각의 조명기기 사이의 안정된 연결구조를 통하여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 장치(100)를 이용한 선형조명의 연장설치는 2개의 조명기기 사이의 연결에 그치지 않고, 직렬 형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 장치(100)는 본체(110) 및 접속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20)는 제1 접속부(121)와 제2 접속부(12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121) 및 제2 접속부(122) 각각에는 복수의 접속구(123) 및 보강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는 직사각형 형태의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120)가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하기의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부(120)를 통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230) 사이에 결합되며, 각각의 조명기기(200)의 하부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조명기기(200) 사이에 연장설치될 때 상기 조명기기(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도 7 내지 도 9 참조).
한편, 상기 본체(110)는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단자(23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각각의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 사이의 접속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접속부(120)는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 각각에 구비된 양극, 음극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단자가 결합될 때 각각의 단자와의 단단한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접속부(120)와 단자 사이의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120)는 조명기기(200)와 연결 장치(100)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3개로 형성하여 접속 구조를 개선하였기 때문에, 단자 접속 구조의 개선으로 인한 전원선의 분기를 통하여 전원선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2개의 조명기기(200)를 연장하여 설치할 때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므로 하나의 접점에 오류가 있어도 조명기기(200)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도 10 참조).
한편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 중 어느 하나의 조명기기가 접속되는 제1 접속부(121)와, 상기 제1 접속부(121)의 반대 측에 구비되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 중 다른 하나의 조명기기가 접속되는 제2 접속부(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접속부(121) 및 상기 제2 접속부(122) 각각에는, 연결대상이 되는 조명기기(200) 각각에 구비된 단자(230)의 수에 맞추어 동일한 수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자(230)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접속구(123)가 더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121)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123)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제2 접속부(122)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123)는, 상호간의 대응하는 위치별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123)는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 각각에 구비된 단자(230)의 형상이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본체(110)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구(123)의 내측 양면 각각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124)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124)는 연결대상이 되는 조명기기(200) 각각에 구비된 단자(230)가 상기 접속구(123)에 끼워져 접속될 때, 상기 단자(230)와 상기 접속구(123)의 접촉면이 느슨하게 결합되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핀 형태의 결합이나 면대면의 전극 접속을 수행하는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 사이가 면밀하게 밀착되지 않고 간격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간격에 의하여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강부(124)를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100)를 통해 결속되는 조명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기(200)는 내부에 복수 개의 LED가 형성되어 있는 선형조명으로서, 댁내, 사무실, 전시 공간 등에서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장치(100)를 조명기기(200) 사이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2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LED에서 사용하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안정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기기(200)는 조명기기 본체(210), 조명 출력부(220), 단자(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기기 본체(210)는 내부에 복수 개의 LED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기 도 5의 전원 연결 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LED에서 방출하는 빛을 하부 방향으로 출력한다.
상기 조명 출력부(2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기 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기기 본체(210) 내부에 형성된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 반사 및 확산하여 하방으로 비춘다.
상기 단자(230)는 상기 조명기기 본체(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기기(200)가 연장설치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하기 도 5의 전원 연결 장치(300)가 접속되며, 상기 조명기기(200)가 연장설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 장치(100)가 접속된다.
이때 연결대상이 되는 각각의 조명기기(200)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단자(230)는 상기 연결 장치(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접속부(120)에 접속되며, 상기 조명기기(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단자(230)는 양극, 음극, 양극의 순서로 적어도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자(230)는 양극, 음극, 양극의 순서 이외에, 양극 및 음극이 조합되어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다른 결합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왜냐하면 상기 조명기기(200)를 상기 연결 장치(100)를 통해 연장하여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조명기기(200)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조명기기(200)의 일측에 결속되는 전원 연결 장치(30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연결 장치(300)는 상기 조명기기(200)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230)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기(20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 연결 장치(300)는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 및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는 상기 조명기기(20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단자(230)와 접속될 수 있도록 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230)에 접속되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는 L자 형태로 절곡된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의 수평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와 접속되어 상기 조명기기(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는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의 수에 맞추어 동일한 수의 접속구(3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구(321)는 상기 연결 장치(100)에 형성된 접속구(123)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의 형상이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321)의 내측 양면 각각에는 보강부(3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32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가 상기 접속구(321)와 접속할 때 상기 단자(230)와 상기 접속구(321)의 접촉면이 느슨하게 결합되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의 사용 예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조명기기와 도 5의 전원 연결 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도 1의 연결 장치를 이용한 조명기기 간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자 구조의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내부 공간에 복수의 LED가 구비된 조명기기(200)를 댁내, 사무실, 전시공간 등의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명기기(200)의 일측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 장치(300)를 접속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기(200)의 일측에 구비된 단자(230)와 상기 전원 연결 장치(300)에 구비된 접속구(321)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조명기기(200)에 상기 전원 연결 장치(300)를 접속한 후, 상기 조명기기(200)를 연장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 사이에 연결 장치(100)를 접속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장치(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접속부(120)와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를 각각 접속함으로써, 상기 조명기기(200)를 연장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조명기기(200)를 연속적으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단자(230)는 양극, 음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가장 바람직하게는 양극, 음극, 양극의 순서로 적어도 3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음)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 장치(100)를 통해 연결대상이 되는 2개의 조명기기(200) 각각을 접속할 때, 상기 연결 장치(100)에 구비된 접속부에 단단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 장치(100)와 각각의 조명기기(200)는 단단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접촉불량으로 인한 접촉저항이 커지거나 발열상승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기기(200)와 연결 장치(100)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3개로 형성하여 접속 구조를 개선하였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접속 구조의 개선으로 인한 전원선의 분기를 통하여 전원선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2개의 조명기기(200)를 연장하여 설치할 때 상기 조명기기(200)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므로 하나의 접점에 오류가 있어도 상기 조명기기(200)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장치(100)의 접속부(120)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구(123)에는 보강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명기기(200)에 구비된 각각의 단자(230)가 끼워져 접속될 때, 상기 단자(230)의 접촉면이 상기 보강부(124)에 의해 단단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장치(100)와 상기 조명기기(200) 간의 접촉 불량의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선형조명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되고 탄탄한 체결구조를 통하여 조명기기에 구비된 단자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저항이 커지고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LED 조명기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기와 연결 장치가 상호간에 보다 단단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단자의 수를 증가시켜 단자의 접속 구조를 개선하였고, 단자 접속 구조의 개선으로 인한 전원선의 분기를 통하여 전원선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조명기기의 접속방향에 관계없이 극이 바뀌지 않으며, 부하를 동핀이 배분하여 인가되도록 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접점(단자)에 오류가 있어도 조명기기의 동작에 지장이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 장치 110 : 본체
120 : 접속부 121 : 제1 접속부
122 : 제2 접속부 123 : 접속구
124 : 보강부 200 : 조명기기
210 : 조명기기 본체 220 : 조명 출력부
230 : 단자 300 : 전원 연결 장치
310 : 전원 연결 장치 본체 320 :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

Claims (12)

  1.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를 구비한 연결대상 조명기기 간을 연결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있어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중 일측의 조명기기에 구비된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구(123)가 구비되는 제1 접속부(121); 및
    상기 제1 접속부(121)의 반대측에,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 중 다른 일측의 조명기기에 구비된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구(123)가 구비되는 제2 접속부(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는 양극의 전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양극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121) 및 상기 제2 접속부(122)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로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 양극의 접속구(123)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점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에서 전원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121) 및 제2 접속부(122)에 각각 구비되는 접속구(123)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 및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의 단자와 결합되는 측면(A)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단자와 동일한 선상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121) 및 제2 접속부(122)는,
    상기 접속구(123)의 내측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상 조명기기의 단자가 상기 접속구(123)에 끼워질 때 밀착 접촉되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보강부(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연결 장치.
  8.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 장치 또는 조명기기의 연장설치를 위한 조명기기 연결 장치에 접속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에 있어서,
    내부에 복수 개의 LED가 구비된 조명기기 본체(210); 및
    상기 조명기기 본체(210)의 양측에 각각 양극, 음극, 양극의 순서로 배열하여 형성된 단자(23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230)는,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230)와 동일한 선상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접속구(123)를 구비한 접속부(120)가 양측에 형성된 조명기기 연결 장치(100),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230)와 동일한 선상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접속구(321)를 구비한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가 일측에 형성된 전원 연결 장치(300),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되며,
    상기 조명기기는,
    양극의 전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양극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명기기 연결 장치(100)에 구비된 접속부(120)의 양극의 접속구(123)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점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전원 연결 장치(300)에 구비된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의 양극의 접속구(321)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점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전원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9. 삭제
  10.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를 구비한 조명기기와 연결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전원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 및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기기의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조명기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는, 상기 전원 연결 장치 본체(310)의 일측에, 상기 조명기기에 구비된 양극, 음극, 양극으로 배열된 3개의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구(3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기는 양극의 전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양극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 연결 장치 접속부(320)는, 양극의 접속구(321)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점에 오류가 발생하여도 상기 조명기기의 전원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조명에서의 전원 연결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75974A 2018-06-29 2018-06-29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KR10217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74A KR102177477B1 (ko) 2018-06-29 2018-06-29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74A KR102177477B1 (ko) 2018-06-29 2018-06-29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35A KR20200003335A (ko) 2020-01-09
KR102177477B1 true KR102177477B1 (ko) 2020-11-12

Family

ID=6915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974A KR102177477B1 (ko) 2018-06-29 2018-06-29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39B1 (ko) * 2005-12-27 2007-06-25 (주)선일일렉콤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JP6278311B2 (ja) * 2014-02-13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18B1 (ko) * 2007-07-23 2010-10-18 왕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00007670U (ko) * 2009-01-21 2010-07-29 황규복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접속단자.
JP4719305B1 (ja) * 2010-08-27 2011-07-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39B1 (ko) * 2005-12-27 2007-06-25 (주)선일일렉콤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JP6278311B2 (ja) * 2014-02-13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35A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4671U (ja) Ledランプ
CN101968168B (zh) 两段式顶部安装卡缘连接器以及元件组件
JP3154200U (ja) Ledランプ
WO2011136166A1 (ja) 蛍光灯形発光素子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10048433B2 (en) Flat panel lighting apparatus
US20140160747A1 (en) Inter-connectable modular lighting fixtures
US11015771B2 (en) LED plant illumination lamp module
TWI477713B (zh) 轉換燈座結構
JP2015069846A (ja) 発光モジュール、管形発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200490065Y1 (ko) 방향전환연결이 가능한 직관형 led 램프
JP2010080313A (ja) Led照明器具
KR101140162B1 (ko) 직관형 엘이디 램프 조립체
KR20110123989A (ko) 엘이디 모듈 램프
JP2010244872A (ja) Led照明機器
US20060098442A1 (en) Removable LED lampholder
US20130062631A1 (en) Light emitting structure,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2065783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기적 연결장치
KR102177477B1 (ko)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US8733972B2 (en) Lighting apparatus
KR200448368Y1 (ko) 플러그형 led 전구 연결 접속구
WO2011059022A1 (ja) 光源および照明器具
US9759417B2 (en) LED device
TWM460429U (zh) 板對板連接器及燈條模組
KR200453771Y1 (ko) Fpl형 엘이디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