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455B1 -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455B1
KR102177455B1 KR1020160040891A KR20160040891A KR102177455B1 KR 102177455 B1 KR102177455 B1 KR 102177455B1 KR 1020160040891 A KR1020160040891 A KR 1020160040891A KR 20160040891 A KR20160040891 A KR 20160040891A KR 102177455 B1 KR102177455 B1 KR 10217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tation
frame
input
size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337A (ko
Inventor
문진영
강규창
권용진
박경
박종열
이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4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Abstract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는 어노테이션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프레임마다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어노테이션 생성부 및 상기 프레임마다 시각화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하는 어노테이션 시각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VIDEO ANNOT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디오 시간 구간 동안 존재하는 객체나 객체의 이벤트에 대한 어노테이션을 반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는 초당 수십 프레임의 정지 영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노테이션을 수동으로 생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기존 어노테이션 저작도구들이 객체 추적 기능을 이용해서, 첫 프레임에서 객체 영역에 대한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면, 객체 존재 구간 내에서 추적으로 어노테이션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추적 기능 자체가 그림자나 다른 객체에 전혀 관계 없는 영역에 어노테이션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객체뿐만 아니라 객체의 이벤트에 대한 어노테이션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데, 객체는 객체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에 추적이 되지만, 이벤트는 객체의 행동이나 특정 상태의 지속 구간이기 때문에 이벤트를 추적하기는 어렵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123204 호의 "지능형 지속 위협 탐지 방법 및 장치" 는 동영상 상황정보를 어노테이션 하기 위하여, 경과시간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타임드 텍스트에서 제공하는 경과시간에 관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경과시간에 해당하는 동영상 내의 소정 장면을 추출하고, 소정 장면 내에 등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장인물의 얼굴로부터 화자와 비화자를 인식한 후, 인식된 화자와 비화자 및 타임드 텍스트의 텍스트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영상의 소정 장면 내의 동작 형태를 파악하고, 동작 형태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소정 장면의 상황에 관한 장면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123204 호는 어노테이션이 생성되는 공간 영역 및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객체나 이벤트의 시간 구간 내에서 객체나 이벤트의 공간 영역에 대한 어노테이션을 반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노테이션 저작도구가 고성능의 객체 추적 기능의 도움 없이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는 어노테이션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프레임마다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어노테이션 생성부 및 상기 프레임마다 시각화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하는 어노테이션 시각화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어노테이션 입력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포함하도록 드래깅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내에서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 변화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공간 영역만을 이용하여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은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프레임마다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마다 시각화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를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포함하도록 드래깅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내에서 상기 공간 영역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만을 이용하여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공간 영역이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객체나 이벤트의 시간 구간 내에서 객체나 이벤트의 공간 영역에 대한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노테이션 저작도구가 고성능의 객체 추적 기능의 도움 없이 어노테이션을 반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노테이션 입력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노테이션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어노테이션은 시각적으로 추적 가능한 객체뿐 만 아니라 객체의 행동이나 이벤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는 어노테이션 입력부(110), 어노테이션 생성부(120) 및 어노테이션 시각화부(130)를 포함한다.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비디오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으로 출력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이동 경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중간 경로를 사용자의 터치 또는 마우스로 드래깅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시작프레임 및 종료프레임에서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입력부(110)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에서만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은 시작점에서 입력된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입력 받은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시작프레임과 종료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출력 프레임 구간에 비례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출력 프레임 구간과 이동 경로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등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노테이션 생성부(120)는 입력 정보에 기반한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 시각화부(130)는 생성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0).
즉, 단계(S210)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0)는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1).
즉, 단계(S211)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1)는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비디오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으로 출력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S210)는 어노테이션의 이동 경로를 입력 받을 수 있다(S212).
즉, 단계(S212)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2)는 어노테이션의 중간 경로를 사용자의 터치 또는 마우스로 드래깅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S210)는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3).
이 때, 단계(S213)는 어노테이션의 시작프레임 및 종료프레임에서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3)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에서만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의 크기는 시작점에서 입력된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은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S220).
즉, 단계(S220)는 입력 받은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0)는 시작프레임과 종료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S221).
즉, 단계(S221)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S222).
이 때, 단계(S221)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23).
즉, 단계(S223)는 출력 프레임 구간에 비례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프레임 별로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0)는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224).
즉, 단계(S224)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등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4)는 출력 프레임 구간과 이동 경로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등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0)는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S225).
즉, 단계(S225)는 입력 정보에 기반한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은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S230).
즉, 단계(S230)는 생성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어노테이션 입력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210)는 먼저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1).
즉, 단계(S211)는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1)는 어노테이션을 출력할 비디오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으로 출력 프레임 구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S210)는 어노테이션의 이동 경로를 입력 받을 수 있다(S212).
즉, 단계(S212)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2)는 어노테이션의 중간 경로를 사용자의 터치 또는 마우스로 드래깅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S210)는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3).
이 때, 단계(S213)는 어노테이션의 시작프레임 및 종료프레임에서의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단계(S213)는 어노테이션의 시작점에서만 공간 영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어노테이션의 공간 영역은 시작점에서 입력된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어노테이션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220)는 먼저 시작프레임과 종료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S221).
즉, 단계(S221)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S222).
이 때, 단계(S221)는 공간 영역의 크기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23).
즉, 단계(S223)는 출력 프레임 구간에 비례하여 공간 영역의 크기가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0)는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224).
즉, 단계(S224)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등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224)는 출력 프레임 구간과 이동 경로에 기반하여 어노테이션의 이동 속도를 등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20)는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S225).
즉, 단계(S225)는 입력 정보에 기반한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어노테이션 입력부
120: 어노테이션 생성부
130: 어노테이션 시각화부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는 어노테이션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프레임마다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어노테이션 생성부; 및
    상기 프레임마다 시각화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하는 어노테이션 시각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내에서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 변화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노테이션 입력부는
    상기 이동 경로를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포함하도록 드래깅하여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노테이션 생성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6.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어노테이션의 출력 프레임 구간, 이동 경로 및 공간 영역을 입력 정보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프레임마다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마다 시각화된 어노테이션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프레임 구간의 시작 프레임과 종료 프레임 내에서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 변화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시작 프레임의 공간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를 시작점, 중간 경로 및 종료점을 포함하도록 드래깅하여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공간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등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노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어노테이션 방법.
KR1020160040891A 2016-04-04 2016-04-04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17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91A KR102177455B1 (ko) 2016-04-04 2016-04-04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91A KR102177455B1 (ko) 2016-04-04 2016-04-04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37A KR20170114337A (ko) 2017-10-16
KR102177455B1 true KR102177455B1 (ko) 2020-11-11

Family

ID=6029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91A KR102177455B1 (ko) 2016-04-04 2016-04-04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286B1 (ko) 2020-11-24 2021-06-28 주식회사 비투엔 어노테이션 자동 진단 시스템
KR20240048076A (ko) 2022-10-05 2024-04-15 주식회사 엠티이지 음성 입력을 이용한 어노테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18B1 (ko) * 2018-11-26 2022-02-1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움직임 객체 gt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79B1 (ko) * 2006-12-22 2010-06-1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용 애노테이션 프레임워크
KR101398700B1 (ko) 2012-12-20 2014-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동영상 데이터를 위한 주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507272B1 (ko) * 2014-02-12 2015-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형 비디오에서 이동 객체의 의미적 어노테이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70B1 (ko) * 2012-03-26 2013-1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tv의 비디오 어노테이션 및 증강 방법 및 그 시스템
US9147221B2 (en) * 2012-05-23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Image-driven view management for annot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79B1 (ko) * 2006-12-22 2010-06-1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용 애노테이션 프레임워크
KR101398700B1 (ko) 2012-12-20 2014-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동영상 데이터를 위한 주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507272B1 (ko) * 2014-02-12 2015-03-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형 비디오에서 이동 객체의 의미적 어노테이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286B1 (ko) 2020-11-24 2021-06-28 주식회사 비투엔 어노테이션 자동 진단 시스템
KR20240048076A (ko) 2022-10-05 2024-04-15 주식회사 엠티이지 음성 입력을 이용한 어노테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37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947452A (zh) 車輛定損的資料處理方法、裝置、處理設備及客戶端
KR102177455B1 (ko) 비디오 어노테이션 장치 및 방법
TW201947451A (zh) 車輛定損的交互處理方法、裝置、處理設備及客戶端
MY19214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552644B2 (en) Mo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DE60312508D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digitalen bildauswahl
JP2020010322A (ja) 映像コンテンツに対する自動触覚生成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15662A (ko) 스테레오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2008090818A (ja) 効率的にモーションブラー効果を提供する3次元グラフィックスレンダリング方法及び装置
WO2023045207A1 (zh) 任务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
EP29609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signals
CN111192190B (zh) 消除图像水印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317519A1 (en) Object detection and extraction from image sequences
WO2021254223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16536647A5 (ko)
JP2016213677A (ja) 遠隔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6812A (ko) 조밀한 모션 필드들을 통한 기저 비디오 시퀀스로의 이미지 편집들 전파
US2017004605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deo enhanced photo browsing
ATE499666T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salienzkarte eines bildes
US10460414B2 (en)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and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detecting method
JP2013126153A (ja) キャプチャ画像記録装置及びキャプチャ画像記録方法
US10665203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method
US20140270710A1 (en) Optimized audio enabled cinemagraph
US20150160836A1 (en) Extracting demonstrations from in-situ video content
JP201800551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