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366B1 -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366B1
KR102177366B1 KR1020180171856A KR20180171856A KR102177366B1 KR 102177366 B1 KR102177366 B1 KR 102177366B1 KR 1020180171856 A KR1020180171856 A KR 1020180171856A KR 20180171856 A KR20180171856 A KR 20180171856A KR 102177366 B1 KR102177366 B1 KR 10217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ir
cradle
helmet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722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주)셀리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리턴 filed Critical (주)셀리턴
Priority to KR102018017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면 무선 방식으로 충전시키며 거치 시 소독 기능을 실시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로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는, 헬멧부에 부착되어 머리의 온도 검출, 두피나 헤어의 물기 검출,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 검출, 및 헬멧부 내측의 냄새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헤어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헬멧부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머리의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장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상기 크래들 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크래들 장치의 크래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멧부 내측을 소독하는 소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CRADLE APPARATUS FOR HAIR MANAGEMENT APPARATUS HAVING DISINF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들 장치에 헤어 관리 장치를 거치할 때 헤어 관리 장치의 내측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라는 3단계의 모주기를 거쳐 성장, 탈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40~50대 이상의 중년층 또는 노년층 외에도 20대나 30대의 청소년 또는 사회 초년층에게서도 탈모 증세가 심화되고 있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사회 활동에의 수치심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탈모가 진행 중이거나 아니면 두피가 약해서 탈모 우려가 예상되는 사람들이 양한방의 피부과를 비롯하여 전용 탈모 치료샵이나 미용실 등에서 탈모 치료 관리를 받고 있다. 탈모 치료를 위해 양한방의 피부과, 탈모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에서는 별도의 레이저 조사기를 갖추어, 레이저를 두피에 조사하거나 아니면 미세 생체전류를 두피에 공급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피 관리 방법은 피부과, 탈모 전용 치료샵, 미용실 등의 일정한 규모를 갖춘 업소에서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탈모 치료를 위한 두피 관리를 받기는 쉽지 않다. 또한, 탈모 치료를 위한 두피 관리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또한 장기간 시행되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피부과, 전용 탈모 치료샵, 미용실 등에서 두피 관리를 받기 위한 시간을 별도로 내기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받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도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금전적 부담으로 인해 탈모 치료를 장시간 지속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546080호(2006.01.18 등록, 발명의 명칭: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탈모치료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크래들 장치에 헤어 관리 장치를 거치할 때 헤어 관리 장치의 내측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는,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면 무선 방식으로 충전시키며 거치 시 소독 기능을 실시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로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는, 헬멧부에 부착되어 머리의 온도 검출, 두피나 헤어의 물기 검출,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 검출, 및 헬멧부 내측의 냄새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헤어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헬멧부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머리의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장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상기 크래들 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크래들 장치의 크래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멧부 내측을 소독하는 소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크래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독모드에서 소독용 광원을 턴온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장치는, 상기 크래들 장치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거나 탈부착 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탈부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크래들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독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내측을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장치는, 주변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장치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거나 탈부착 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크래들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주변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제어부는, 상기 크래들 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사용시간 및 고장여부; 및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정비상태로서 소독 여부, 소독 시간, 및 소독 횟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별 헤어의 상태에 따라, 전체의 머리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머리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각기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며,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음성, 지문, 및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휴대단말기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별 헤어 관리 장치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사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헤어 관리 장치의 토탈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별 사용 정보 및 토탈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각 광원의 수명이나 성능 저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원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의 광원을 지정된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별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을 해당 사용자별 동작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래들 장치에 헤어 관리 장치를 거치할 때 헤어 관리 장치의 내측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 세트의 탈모치료장치를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D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의 B-B'선 확대도.
도 7은 도 6의 E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착용조절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헤드밀착부를 도시한 요부 투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후방밀착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측방밀착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7은 상기 도 26에 있어서,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헤어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1은 상기 도 30에 있어서, 추가로 실시하는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 세트의 탈모치료장치를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C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D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E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착용조절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헤드밀착부를 도시한 요부 투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후방밀착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의 측방밀착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 세트는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헬멧 형상의 탈모치료장치(1)와, 탈모치료장치(1)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거치대(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는 탈모 치료에 도움이 되는 파장의 광을 머리에 조사함으로서 탈모치료 및 예방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에 착용가능한 헬멧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는 헬멧 형상을 가지는 탈모치료장치(1)를 설정위치에 설정방향으로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미사용 시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거치한 상태로 보관, 관리할 수 있다.
탈모치료장치(1) 전용의 거치대(2)를 구비함으로써, 탈모치료장치(1) 미사용 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방향으로 보관하는 것과 비교해 보관,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돔 형상의 입체적인 외관을 가지는 탈모치료장치(1)를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방향으로 보관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분실, 손상, 낙하 등으로 인한 수명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와 거치대(2)에는 안착유도부(76)와 무선충전부(85)가 구비된다.
안착유도부(76)는 자력을 이용해 능동적으로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 상의 설정위치에 설정방향으로 안착가능하게 유도하는 장치부로, 탈모치료장치(1)와 거치대(2) 각각에 설치되는 자석부재(77)와 안착유도부재(78)를 포함한다. 자석부재(77)와 안착유도부재(78)에 대해서는, 이하 탈모치료장치(1)와 거치대(2)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충전부(85)는 탈모치료장치(1)가 거치대(2)에 안착된 상태에서 탈모치료장치(1)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탈모치료장치(1)와 거치대(2) 각각에 설치되는 전류생성코일부(87), 전자기장형성부(86)를 포함한다. 전류생성코일부(87)와 전자기장형성부(86)에 대해서는, 이하 탈모치료장치(1)와 거치대(2)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는 헬멧부(10), 광조사부(20), 헤드밀착부(30), 착용조절부(60), 안착유도부(76)의 자석부재(77), 무선충전부(85)의 전류생성코일부(87), 유선충전부(88)를 포함한다.
헬멧부(10)는 머리에 안착가능한 헬멧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헬멧부(1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반구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을 가진다. 광조사부(20)는 탈모 치료를 위한 광원(21)을 구비하여 헬멧부(10)에 설치된다.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조사부(20)에서 발산된 광은 머리로 조사되고, 광원(21)의 파장 영역에 따라 두피 조직의 활성화, 청결, 발모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헤드밀착부(30)는 착용자의 머리에서 헬멧부(10)가 임의로 기울어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헬멧부(10)와 연결되고, 착용자의 머리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밀착부(30)는 후두밀착부(40)와 측두밀착부(50)를 포함한다. 후두밀착부(40)는 착용자의 후두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측두밀착부(50)는 착용자의 측두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시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서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착용조절부(60)는 헬멧부(10)와 헤드밀착부(30)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헬멧부(10)와 헤드밀착부(30) 중 머리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착용조절부(60)는 머리와의 접촉력에 의해 변형되는 유연성을 가지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착용조절부(60)의 쿠션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와 헬멧부(10), 헤드밀착부(30)의 사이에 착용조절부(60)의 두께에 해당되는 유격이 형성되어 공기 순환, 땀배출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헬멧부(10), 헤드밀착부(30)가 밀착됨으로 인한 답답함, 갑갑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자석부재(77)는 자력에 의해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 상의 설정위치에 설정방향으로 안착가능하게 유도하기 위한 장치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모치료장치(1) 상의 제1지점(P1)이 거치대(2) 상의 제2지점(P2)과 마주하게 유도하기 위한 장치부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거치대(2) 상의 제1지점(P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자석부재(77)는 자력에 의해 거치대(2)에 설치된 안착유도부재(78)측으로 이끌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이 마주하는 정위치, 정방향으로 안착, 정렬된다.
또한, 자석부재(77)는 자석을 포함하여 헬멧연결부(41)에 내장됨으로써, 착용자의 후두부 내지 목부에 자기장을 작용시켜 통증 완화 및 혈액순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 혈액에 포함된 여러가지 이온들은 자석부재(77)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및 이에 의해 유도된 전류로 인해 원활하게 활성화되어, 자율신경에 순영향을 끼치고, 혈액순환 촉진, 질병 개선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전류생성코일부(87)는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탈모치료장치(1)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조사부(20)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B)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하여 탈모치료장치(1)의 헬멧연결부(41)에 설치된다.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헬멧연결부(41)는 거치대(2)의 후방펜스부(74)(이하 설명)와 마주하게 되고, 전류생성코일부(87)는 후방펜스부(74)에 설치된 전자기장형성부(86)와 마주함과 동시에 설정간격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생성코일부(87)와 전자기장형성부(86)가 근접하게 마주한 상태에서, 전류생성코일부(87)는 전자기장형성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게 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생성코일부(87)에 전류가 생성되어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무선으로 배터리(B)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선충전부(88)는 탈모치료장치(1)를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 상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선충전부(88)는 전원공급장치의 단자가 삽입,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후두밀착부(4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후두밀착부(40)에 내장된 배터리(B)와 연결된다.
유선충전부(88)를 형성함으로써, 거치부(2) 없이도 탈모치료장치(1)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무선충전부(88)와 비교해 보다 신속하게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모치료장치(1)를 충전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무선 또는 유선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멧부(10)는 착용자의 머리 부위를 기준으로 전두커버부(11), 정수리커버부(12), 측후두커버부(13)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전두커버부(11)는 착용자의 전두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전두부 탈모 치료를 위한 광조사부(20)의 제1광조사부(22)가 배치된다. 정수리커버부(12)는 착용자의 정수리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전두커버부(11)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정수리부 탈모 치료를 위한 광조사부(20)의 제2광조사부(25)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헬멧부(10)를 머리에 안착, 착용한 상태에서 제1광조사부(22)와 제2광조사부(25)를 이용해 탈모가 주로 발생되는 전두부와 정수리부 전반에 걸쳐 탈모 치료용 광을 조사하면서 탈모 치료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광조사부(22) 또는 제2광조사부(25)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서 탈모 치료를 수행할 수도 있다.
측후두커버부(13)는 착용자의 측두부 및 후두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정수리커버부(12)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전두커버부(11)와 함께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전두커버부(11)와 정수리커버부(12)가 머리 상의 정위치에, 즉 전두부와 정수리부에 각각 안정되게 안착,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후두커버부(13)는 후두커버부(14), 밀착강화연결부(15), 측두커버부(16)를 포함한다.
후두커버부(14)는 착용자의 후두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정수리커버부(12)의 후방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밀착강화연결부(15)는 헤드밀착부(30)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후두커버부(14)의 하부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착강화연결부(15)는 헤드밀착부(30)의 후방밀착지지부(42)와 연결된다(도 12 참조, 이하 설명).
측두커버부(16)는 후두커버부(14)의 좌우측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부가 정수리커버부(12)와 연속하여 연결되고, 전방부가 전두커버부(11)와 연속하여 연결된다. 측두커버부(16)의 하부는 헤드밀착부(30)의 상부와 이격간격을 가진다. 헤드밀착부(30)는 밀착강화연결부(15)를 통해 후두커버부(14)와 연결되고, 측두커버부(16)와는 이격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헤드밀착부(30)는 측두커버부(16)와의 간섭없이 측방향 너비를 자유롭게 확장, 축소할 수 있다.
도 3, 도 5,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멧부(10)는 내피부(111), 외피부(113), 이격연결부(114), 광원수용부(117)을 포함한다.
내피부(111)는 헬멧부(10) 중 머리와 접하는 내측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내측에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수용부가 반구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을 가진다. 내피부(111)는 광조사부(20)에서 발산된 특정 파장의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가능한 자외선 차단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피부(111) 중 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외피부(113)보다 이마측으로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두커버부(11) 상에서 외피부(113)보다 하향 연장된 부분을 광간섭차단부(112)라 칭한다. 광간섭차단부(112)를 포함하는 이러한 내피부(111)의 구조에 의해 머리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외피부(113)와 함께 형성하는 전두커버부(11)의 두께로 인한 시야 간섭 및 축소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두커버부(11)를 이루는 내피부(111)와 외피부(113)의 사이에는 전원표시부(19)(이하 설명)가 설치되며, 광간섭차단부(112)는 전원표시부(19)의 투광창부(292)보다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광조사부(20)에서 머리측으로 발산되는 광은 광간섭차단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되고, 전원표시부(19)에서 조사된 광은 광간섭차단부(112)의 타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광조사부(20)에서 머리를 향해 발산되는 광과, 전원표시용 광원(291)에서 발산된 광의 간섭이 광산섭차단부(112)에 의해 감소, 차단된다. 여기서, 광이 차단된다는 것은 빛의 투과가 100% 차단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작은 차단율을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즉, 차단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외피부(113)는 내피부(111)와의 사이에 광조사부(20)를 탑재가능한 광원수용부(117)를 형성함과 동시에 헬멧부(1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내피부(111)의 외부에 내피부(111)에 대응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격연결부(114)는 내피부(111)와 외피부(113)를 설정간격을 두고 상호 결속시키는 장치부로, 내피부(111)와 외피부(113)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격연결부(114)는 내피부(111)와 외피부(113) 상에 복수개의 개소에 분산되게 배치된다. 일례로, 이격연결부(114)는 헬멧부(10)의 전방부, 후방부, 상부, 측부에 걸쳐 복수개가 분산되어 배치됨으로써 내피부(111)와 외피부(113)간의 결합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연결부(114)는 기판고정부(115)와 측부고정부(116)를 포함한다.
내피부(111)와 외피부(113)의 사이에는 광조사부(20)가 배치되며, 기판고정부(115)는 이러한 광조사부(20)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기판고정부(115)에 의해 내피부(111)와 외피부(11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광조사부(20)의 정위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고정부(115)는 헬멧부(10)의 전방부, 후방부, 상부, 측부에 걸쳐 복수개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착용자는 헬멧부(10)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 주로 양손으로 측두커버부(16)를 파지한 상태로, 헬멧부(10)에 이탈력이나 착용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측부고정부(116)는 이와 같이 외력을 주요하게 작용하게 되는 측두부에 대응되게, 즉 측두커버부(16) 상에 위치된다.
측부고정부(116)는 기판고정부(115)와 비교해 보다 높은 밀도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부고정부(116)는 측두커버부(16)의 강성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 기판고정부(115)보다 확장된 좌우방향 너비(두께)를 가질 뿐만 아니라, 기판고정부(115)보다 상호 근접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측부고정부(116)는 광조사부(20)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기판고정부(115)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측부고정부(116)로 인한 광조사부(20)의 강성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두부에 무리한 외력이 작용 시 측부고정부(116)에 가압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측부고정부(116)가 휘어지거나 파단되더라도 광조사부(20)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광조사부(20)의 수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광원수용부(117)는 광조사부(20)가 수용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내피부(111)와 외피부(113)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광조사부(20)는 복수개의 광원(21)이 탑재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광원수용부(117)에 수용되고, 기판고정부(115)에 의해 정위치 고정된다.
도 5,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20)는 제1광조사부(22), 제2광조사부(25), 전원표시부(29)를 포함한다.
제1광조사부(22)는 착용자의 전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두부 탈모 치료를 위한 광을 조사한다. 제2광조사부(25)는 착용자의 정수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정수리부 탈모 치료를 위한 광을 조사한다. 제1광조사부(22), 제2광조사부(25) 각각에는 착용자의 머리에 탈모치료용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21)이 구비된다.
광원(21)은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다양한 사양이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광원(21) 중 일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는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다.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의 경우, 모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두피 조직을 활성화함으로써 탈모 치료 효과를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의 경우, 두피 및 모낭의 청결을 유지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760nm 내지 900nm 파장의 적외선의 경우, 상기 서술한 2개의 파장 영역대를 가지는 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광조사부(22)는 복수개의 광원(21)이 전두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즉 제1광조사부(22)는 복수개의 광원(21)이 전두부 전체를 커버하는 형상을 이루게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단순히 몇개의 광원(21)을 포함하거나 광원(21)이 전두부의 일측에 편중되게 배치되는 것과 비교해, 제1광조사부(22)를 이용해 M자 탈모 등 전두부의 탈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광조사부(22)는 전두중앙조사부(23)와, 전두측부조사부(24)를 포함한다.
전두중앙조사부(23)는 전두부의 중앙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광원(21)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전두측부조사부(24)는 전두부의 좌우측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광원(21)이 전두중앙조사부(23)와 함께 전두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제2광조사부(25)는 복수개의 광원(21)이 정수리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 9 상에 미도시되어 있으나, 제2광조사부(25)는 제1광조사부(2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광원(21)이 정수리부 전체를 커버하는 형상을 이루게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단순히 몇개의 광원(21)을 포함하거나 광원(21)이 정수리부의 일측에 편중되게 배치되는 것과 비교해, 제2광조사부(25)를 이용해 정수리부의 탈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광조사부(25)는 정수리중앙조사부(26), 정수리후부조사부(27), 정수리측부조사부(28)를 포함한다.
정수리중앙조사부(26)는 정수리부의 중앙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광원(21)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정수리후부조사부(27)는 정수리부의 후방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광원(21)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정수리측부조사부(28)는 정수리부의 좌우측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광원(21)이 정수리중앙조사부(26), 정수리후부조사부(27)와 함께 정수리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전원표시부(29)는 광조사부(20)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부로, 헬멧부(10)의 가장자리부에 조명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원표시부(29)는 광조사부(20)의 전원이 온(on)인 상태에서 점등되고, 광조사부(20)의 전원이 오프(off)인 상태에서 소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표시부(29)는 전원표시용 광원(291)과 투광창부(292)를 포함한다.
전원표시용 광원(291)은 전두커버부(11)의 광원수용부(117) 상에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전원표시용 광원(291)으로는 광원(21)과 다른 발광색을 가지는 파장영역을 가지면서도, 시인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청색 계열의 LED를 적용할 수 있다.
투광창부(292)는 전원표시용 광원(291)에서 조사된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광원수용부(117)의 가장자리부에 외피부(113)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다. 투광창부(292)는 전두커버부(11) 상에 배치됨에 있어서, 전두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투광창부(292)에서 조사되는 빛을, 즉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전방과 좌측방향, 우측방향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투광창부(292)가 하부를 향하여 전원표시용 광원(291)을 조사함으로써, 간접 조명의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투광창부(292)의 구조에 의해 착용자의 주변인이 착용자를 마주한 상태에서 전원표시용 광이 주변인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직사광으로 인한 눈피로 유방을 방지할 수 있다.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보관, 관리할 때에도 이러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내피부(111) 중 전두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광간섭차단부(112)가 외피부(113)보다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광간섭차단부(112)에 의해 전원표시용 광원(291)에서 발산된 광과, 광조사부(20)에서 발산된 광의 조사 영역이 광간섭차단부(112)의 일측과 타측으로 명확히 구분될 수 있고, 상호 간의 간섭이 감소, 차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두밀착부(40)는 헬멧연결부(41)와 후방밀착지지부(42)를 포함한다.
헬멧연결부(41)는 헬멧부(10)와 측두밀착부(50) 간의 연결을 매개함과 동시에 후두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장치부로, 후방밀착지지부(42)에 의해 헬멧부(10)의 하부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헬멧부(10)의 밀착강화연결부(15)와 연결되고, 목측으로 하향 연장된다. 도 3, 도 4,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멧연결부(41)는 후두밀착내피부(411), 후두밀착외피부(412), 후방이동구속부(413), 하부경사부(414), 상부경사부(415)를 포함한다.
후두밀착내피부(411)는 헬멧연결부(41) 중 착용자의 머리와 접하는 부분으로, 후두부를 따라 하향 연장된다. 후두밀착내피부(411)의 상부는 헬멧부(10)의 내측에서 내피부(111)와 접하고, 후방밀착지지부(42)에 의해 내피부(1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헬멧연결부(41)와 헬멧부(10)의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두밀착내피부(411)는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에 위치되게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일례로, 후두밀착내피부(411)는 평탄한 패널 형상을 가지고 직립되게 설치되되, 하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후두밀착내피부(411)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헬멧연결부(41)는 착용자의 후두부 중 하부와 접하게 되는데, 후두밀착내피부(411)가 상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후두부의 하부에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후두밀착내피부(411)가 상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가 머리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어, 탈모치료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머리를 전후로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편안하게 취할 수 있다.
후두밀착외피부(412)는 후두밀착부(4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후두밀착내피부(411)의 외측에 배치되고, 후두밀착내피부(411)와의 사이에 후방밀착지지부(42), 자석부재(77), 전류생성코일부(87) 등을 수용가능한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후두밀착내피부(411)와 연결된다. 후두밀착외피부(412)는 헬멧부(10)의 외피부(113) 하측에 위치된다.
후방이동구속부(413)는 외피부(113)와 면접촉되며 후두밀착외피부(412)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장치부로, 외피부(113)와 마주하는 후두밀착외피부(41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헬멧연결부(41)는 후방밀착지지부(42)에 의해 밀착강화연결부(15)를 기준으로 하부가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 있다.
헬멧연결부(41)가 후방으로 젖혀질 시 후방이동구속부(413)가 밀착강화연결부(15)의 하부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착강화연결부(15)의 하단부를 마감하는 외피부(113)와 접하면서 그 상향이동이 구속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헬멧연결부(41)의 후방 젖힘이 설정 각도 이내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후두밀착내피부(411)와 내피부(111)간의 접촉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하부경사부(414)와 상부경사부(41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거치대(2)의 후방펜스부(74)(이하 설명)와 마주하게 되는 장치부로, 헬멧연결부(41)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하부경사부(414)와 상부경사부(415)는 각각 후방펜스부(74)의 하부펜스부(741)와 상부펜스부(742)와 마주한다.
하부경사부(414)는 헬멧연결부(41)의 하부에 형성되고, 탈모치료장치(1)의 중앙부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외면부 형상을 가진다. 상부경사부(415)는 하부경사부(414)의 상부에 연속하여 위치되고, 헬멧연결부(41)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외면부 형상을 가진다. 후두밀착외피부(412)는 하부경사부(414)와 상부경사부(415)의 후방부를 이루게 되고,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후방밀착지지부(42)는 밀착강화연결부(15)를 기준으로 헬멧연결부(41)를 전후방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금속 판재가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도 4,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밀착지지부(42)는 종연장부(43), 헬멧결합부(44), 후방밀착결합부(45), 탄성조절부(46)를 포함한다.
종연장부(43)는 금속재 등과 같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소재를 포함하고, 판재의 형상을 가지고 밀착강화연결부(15)와 헬멧연결부(41)의 사이를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연장부(43)는 종연장본체부(431), 하부탄지부(432), 상부탄지부(433)를 포함한다.
종연장본체부(431)는 설정 너비를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종연장본체부(431)의 두께, 너비, 길이에 따라 탄성력을 가변 적용할 수 있다. 하부탄지부(432)는 종연장본체부(431)의 하부에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하부탄지부(432)에 의해 헬멧연결부(41)의 하부를 전방을 향해 안정되게 상향 지지할 수 있고, 후두부의 하부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상부탄지부(433)는 종연장본체부(431)의 상부에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후두밀착내피부(411)와 후두밀착외피부(4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한정된 공간부 상에서, 상부탄지부(433), 종연장본체부(431), 하부탄지부(432)는 함께 후방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어 후두밀착외피부(412)에 근접하게 위치됨으로써, 후두밀착내피부(411)와 후두밀착외피부(412)와의 사이에 자석부재(77), 전류생성코일부(87), 측방밀착지지부(52) 등과 함께 공간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헬멧결합부(44)는 후방밀착지지부(42) 중 헬멧부(10)의 밀착강화연결부(15)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상부탄지부(433)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헬멧결합부(44)는 체결돌기 등에 의해 관통되어 밀착강화연결부(15) 상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밀착결합부(45)는 후방밀착지지부(42) 중 헬멧연결부(4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하부탄지부(432)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후방밀착결합부(45)는 체결돌기 등에 의해 관통되어 헬멧연결부(41) 상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조절부(46)는 후방밀착지지부(42)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부로, 종연장부(43)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후방밀착지지부(42)는 횡연장부(43)의 두께, 너비, 길이 등에 따라 탄성력이 1차적으로 결정되고, 탄성조절부(46)의 너비, 길이 등에 따라 탄성력이 2차적으로 결정된다.
탄성조절부(46)의 너비, 길이를 축소시킬수록 탄성력을 보다 강화하여 적용시킬 수 있고, 반대로 탄성조절조절부(46)의 너비, 길이를 확장시킬수록 탄성력을 보다 약화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조절부(46)에 의해 하나의 금속 판재만으로, 상호 독립된 복수개의 금속판재가 횡방향으로 병렬되게 배치된 구조와 작용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두밀착부(50)는 밀착연장부(51), 측방밀착지지부(52), 이동안정화부(53), 휨방지리브부(56)를 포함한다.
밀착연장부(51)는 착용자의 측두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장치부로, 측방밀착지지부(52)에 의해 헬멧연결부(41)의 좌우측부와 연결되고, 헬멧부(10)의 하측에서 측두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밀착연장부(51)는 좌측두부, 우측두부 각각에 밀착되는 좌우측 한 쌍이 구비된다. 도 6, 도 7,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연장부(51)는 측두밀착내피부(511), 측두밀착외피부(512)를 포함한다.
측두밀착내피부(511)는 밀착연장부(51) 중 착용자의 머리와 접하는 부분으로, 측두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좌우측 한 쌍의 측두밀착내피부(511)는 하부가 상부보다 좁은 상호 이격간격을 가지게 배치된다. 일례로, 좌우측 한 쌍의 측두밀착내피부(511)는 평판 패널 형상을 가지고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호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좌측 측두밀착내피부(511)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 우측에 위치되고, 우측 측두밀착내피부(511)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 좌측에 위치된다.
밀착연장부(51)는 착용자의 측두부 중 하부와 접하게 되는데, 측두밀착내피부(511)가 상기와 같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가 머리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편안하게 취할 수 있다.
측두밀착외피부(512)는 측두밀착부(5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측두밀착내피부(511)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두밀착내피부(511)와의 사이에 측방밀착지지부(52), 휨방지리브부(56) 등을 수용가능한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측두밀착내피부(511)와 연결된다.
측방밀착지지부(52)는 헬멧연결부(41)를 기준으로 밀착연장부(51)를 측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금속 판재가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측방밀착지지부(52)는 헬멧연결부(41)와 밀착연장부(51)를 연결하고, 밀착연장부(51)를 측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2,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밀착지지부(52)는 횡연장부(521), 후부결합부(524), 측방밀착결합부(525)를 포함한다.
횡연장부(521)는 금속재 등과 같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소재를 포함하고, 판재의 형상을 가지고 헬멧연결부(41)와 밀착연장부(51)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연장부(521)는 중간연장부(522)와 측부탄지부(523)를 포함한다.
중간연장부(522)는 헬멧연결부(41)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중간연장부(522)의 길이방향 중간부 상에는 헬멧연결부(41)와 결합되는 후부결합부(524)가 형성된다. 측부탄지부(523)는 헬멧연결부(41)의 외부로 연장되는 중간연장부(522)의 측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측부탄지부(523)에 의해 밀착연장부(51)를 측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측두부의 하부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후부결합부(524)는 측방밀착지지부(52) 중 헬멧연결부(4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횡연장부(521)의 연장방향 중간부 상에 형성된다. 후부결합부(524)는 체결돌기 등에 의해 관통되어 헬멧연결부(41) 상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측방밀착결합부(525)는 측방밀착지지부(52) 중 밀착연장부(5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횡연장부(521)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측부탄지부(523)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측방밀착결합부(525)는 체결돌기 등에 의해 관통되어 헬멧연결부(41) 상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안정화부(53)는 밀착연장부(51)의 측방향 젖힘이 헬멧연결부(41) 상의 설정지점을 기준으로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부로, 헬멧연결부(41)와 밀착연장부(51)간의 접촉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안정화부(53)는 기준단턱부(54), 이동단턱부(55)를 포함한다.
기준단턱부(54)는 헬멧연결부(41) 상의 설정지점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단턱부(54)는 후두밀착외피부(412)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동단턱부(55)는 헬멧연결부(41)와 접하는 밀착연장부(51)의 후단부 상에 기준단턱부(5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동단턱부(55)는 기준단턱부(54)에 의해 헬멧연결부(41)의 좌우측단부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홈부 상에 위치되고, 그 단부가 기준단턱부(54)와 접한다.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착용자가 한 쌍의 밀착연장부(51)를 상호 이격되는 측방향으로 젖힐 시, 이동단턱부(55)의 단부가 기준단턱부(54)와 밀착되고, 그 밀착부를 기준으로 하여 밀착연장부(51)의 젖힘이 연속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좌우측 한 쌍의 밀착연장부(51)가 이동안정화부(53)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정도로 상호 대칭되게 젖혀질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이 매회마다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휨방지리브부(56)는 측방밀착지지부(52) 중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부탄지부(523)의 틀어짐, 굽힘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밀착연장부(51)의 내부에 측방밀착지지부(52)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휨방지리브부(56)는 밀착연장부(51) 중 측방밀착지지부(52)의 상부,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측방밀착지지부(52)와 그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휨방지리브부(56)는 측두밀착외피부(512) 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측두밀착외피부(512)의 굽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측방밀착지지부(52)의 가장자리부와 연속하여 접하여 측방밀착지지부(52)의 유동을 구속함으로써, 측방밀착지지부(52)의 틀어짐, 굽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조절부(60)는 전두착용조절부(61), 측두착용조절부(66), 측후두착용조절부(67)를 포함한다.
전두착용조절부(61)는 착용자의 이마와 접촉되는 쿠션부로, 머리와의 접촉력에 의해 변형되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전두커버부(11)의 내피부(111)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두착용조절부(61)는 제1광조사부(22)와 간섭되지 않게 이마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전두착용조절부(61)는 설정두께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두측용조절부(61)는 작용력에 의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어, 전두커버부(11)의 내피부(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마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전두착용조절부(61)는 이마와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할 수 있고, 쿠션력에 의해 헬멧부(10)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측두착용조절부(66)는 착용자의 측두부 상부와 접촉되는 쿠션부로, 머리와의 접촉력에 의해 변형되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측후두커버부(13)의 내피부(111)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두착용조절부(66)는 제2광조사부(25)와 간섭되지 않게 측두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측두착용조절부(66)는 측부고정부(116)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측두착용조절부(66)는 설정두께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연장방향 중간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측두착용조절부(66)는 측후두커버부(13)의 내피부(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두부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게 중간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측두착용조절부(66)는 측두부의 상부와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할 수 있고, 쿠션력에 의해 헬멧부(10)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측후두착용조절부(67)는 착용자의 후두부 및 측두부의 하부와 접촉되는 쿠션부로, 머리와의 접촉력에 의해 변형되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헤드밀착부(30)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후두착용조절부(67)는 후두밀착부(40)와 측두밀착부(50)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측후두착용조절부(67)는 설정두께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두밀착부(40)의 후두밀착내피부(411)와 측두밀착부(50)의 측두밀착내피부(5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측후두착용조절부(67)는 후두밀착내피부(411)와 좌우측 한 쌍의 측두밀착내피부(511)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측후두착용조절부(67)는 후두부 및 측두부의 하부와 연속하여 접할 수 있고, 쿠션력에 의해 헬멧부(10)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두착용조절부(61), 측두착용조절부(66), 측후두착용조절부(67) 각각은, 착탈쿠션부(62)와 쿠션결합부(65)를 포함한다.
착탈쿠션부(62)는 쿠션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설정두께를 가진다. 쿠션소재로는 솜 등이 내부에 내장된 섬유재 쿠션부재, 우레탄, 고무 등을 발포하여 형성한 쿠션부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쿠션결합부(65)는 헬멧부(10), 헤드밀착부(30) 상의 설정위치에 형성되고, 착탈쿠션부(6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쿠션부(62)는 벨크로부재 등에 의해 쿠션결합부(6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쿠션부(62)의 쿠션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머리와 헬멧부(10), 헤드밀착부(30)의 사이에 착탈쿠션부(62)의 두께에 해당되는 유격이 형성되어 공기 순환, 땀배출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머리에 헬멧부(10), 헤드밀착부(30)가 밀착됨으로 인한 답답함, 갑갑함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착탈쿠션부(62)가 땀 등으로 오염 시, 쿠션결합부(65)로 분리시켜 세탁한 후 다시 쿠션결합부(65)에 부착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하고, 청결하게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머리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여러가지 착탈쿠션부(62)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쿠션부(62)는 제1설정두께(d1)를 가지는 제1착탈쿠션부(63)와, 제1설정두께(d1)보다 두꺼운 제2설정두께(d2)를 가지는 제2착탈쿠션부(64)를 포함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착용자의 머리크기에 맞추어 쿠션결합부(65) 상에 제1착탈쿠션부(63)와 제2착탈쿠션부(6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착용감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착탈쿠션부(62)는 서로 다른 재질, 색상, 디자인(형상, 연장 형태)을 가지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착용자는 취향 등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착탈쿠션부(62)를 선택하여 쿠션결합부(65)에 부착, 적용할 수 있고, 필요 시 다른 착탈쿠션부(62)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마사지샵 등에서 여러 명이 각자의 머리크기나 취향 등에 맞추어 편안하게 공용할 수 있고, 청결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는 안착부(70), 펜스부(73), 안착유도부(76)의 안착유도부재(78), 살균조명부(80), 무선충전부(85)의 전자기장형성부(86)를 포함한다.
안착부(70)는 탈모치료장치(1)가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장치부로, 거치대(2)의 상부에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부(70)기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를 안착부(70)에 안착 시 탈모치료장치(1)의 안착이 거치대(2) 상의 정위치에 정방향으로 매회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펜스부(73)는 탈모치료장치(1)를 안착부(70) 상의 정위치에 구속하기 위한 장치부로, 안착부(70)의 가장자리부 상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탈모치료장치(1)를 안착부(7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펜스부(73)는 횡방향에서 탈모치료장치(1)의 외면부와 접하게 되고, 탈모치료장치(1)는 펜스부(73)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유동, 이탈이 구속된다.
안착유도부재(78)는 자력에 의해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 상의 설정위치에 설정방향으로 안착가능하게 유도하기 위한 장치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모치료장치(1) 상의 제1지점(P1)이 거치대(2) 상의 제2지점(P2)과 마주하게 유도하기 위한 장치부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거치대(2) 상의 제2지점(P2)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지점(P2)은 펜스부(73) 상에 설치된다. 즉, 안착유도부재(78)는 펜스부(73)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자석부재(77)는 자력에 의해 거치대(2)에 설치된 안착유도부재(78)측으로 이끌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이 마주하는 정위치, 정방향으로, 즉 헬멧연결부(41)가 펜스부(73)와 마주하는 정위치, 정방향으로 안착, 정렬된다.
살균조명부(80)는 탈모치료장치(1)를 살균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장치부로, 안착부(7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탈모치료장치(1)를 안착부(70)에 안착 시 탈모치료장치(1)의 중공된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미사용 시 거치대(2)에 안착, 보관하는 동안 살균조명부(80)를 이용해 탈모치료장치(1)의 내피부(111) 및 착용조절부(60)를 살균시킬 수 있다.
전자기장형성부(86)는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탈모치료장치(1)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조사부(20)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B)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석의 구조를 가지고 거치대(2)의 펜스부(73)에 설치된다.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전류생성코일부(87)는 거치대(2)의 펜스부(73)에 설치된 전자기장형성부(86)와 마주하게 되고, 설정간격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생성코일부(87)와 전자기장형성부(86)가 마주한 상태에서, 전류생성코일부(87)는 전자기장형성부(86)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게 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생성코일부(87)에 전류가 생성되어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무선으로 탈모치료장치(1)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기장형성부(86)가 전자석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작동 시 전자기장형성부(86)가 자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금속재를 내장한 탈모치료장치(1)에, 보다 구체적으로 헬멧연결부(41)에 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기장형성부(86)의 작용에 의해 탈모치료장치(1)의 거치대(2)에의 안착, 유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70)는 원형안착부(71), 안착유도경사부(72)를 포함한다.
원형안착부(7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헬멧 형상을 가지는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원형안착부(71)는 거치대(2)의 상면부 상에 탈모치료장치(1)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어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는, 전두커버부(11)의 하부, 측두밀착부(50)의 하부, 후두밀착부(40)의 하부가 연속하여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측두밀착부(50)의 하부는 전두커버부(11)의 하부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후두밀착부(40)의 하부는 측두밀착부의 하부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전두커버부(11)의 하부, 측두밀착부(50)의 하부, 후두밀착부(40)의 하부가 연속하여 이루는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는 전체적으로 전방부에서 후방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안착부(71)는 상기와 같은 탈모치료장치(1)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전방부에서 후방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와 방향으로 원형안착부(71) 상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도 3,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안착부(71)는 전방안착부(711), 중간안착부(712), 후방안착부(713)를 포함한다.
전방안착부(711)는 착용자의 전두부에 대응되게, 즉 전두커버부(1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전방안착부(711)는 전체적으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이루되, 그 전단부는 전두커버부(11)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고, 그 후단부는 전방안착부(711)의 전단부보다 큰 경사각도로 중간안착부(71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중간안착부(712)는 전방안착부(711)의 후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전방안착부(71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중간안착부(712)는 착용자의 측두부에 대응되게, 즉 측두밀착부(50)의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중간안착부(712)는 전체적으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이루되, 그 전단부는 측두밀착부(5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고, 그 후단부는 중간안착부(712)의 전단부보다 큰 경사각도로 후방안착부(713)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방안착부(713)는 중간안착부(712)의 후방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중간안착부(712)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후방안착부(713)는 착용자의 후두부에 대응되게, 즉 후두밀착부(40)의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전방안착부(711), 중간안착부(712), 후방안착부(713)가 상기와 같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연속하여 하향 경사지면서도 후방으로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거치 시, 헬멧부(10)나 측두밀착부(50)를 파지한 상태로 탈모치료장치(1)의 후방부를, 즉 후두밀착부(40)를 원형안착부(71) 상에 안착시키면, 원형안착부(71)의 경사면에 의해 후두밀착부(40)가 자연히 후방안착부(713)측으로 유도, 안내된다.
예를 들어,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를 중간안착부(712)에 안착시키면, 중간안착부(712)의 경사면을 따라 후두밀착부(40)가 자연히 후방안착부(713)측으로 유도, 안내된다. 이후 탈모치료장치(1)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면 헬멧부(10)와 측두밀착부(50)가 전방안착부(711), 중간안착부(712) 각각에 대응되는 정위치에 자연히 안착될 수 있다.
안착유도경사부(72)는 원형안착부(71)의 내측부에, 다른 표현으로는 내경부측에 원형안착부(71)보다 높게 형성되고, 원형안착부(71)의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안착유도경사부(72)와 원형안착부(71)는 함께 원형안착부(71)의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안착유도경사부(7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거치함에 있어서,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를 원형안착부(71) 상에 안착시키는 외에, 안착유도경사부(72) 상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초기 안착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즉,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를 안착유도경사부(72)에 초기 안착시키더라도 안착유도경사부(72)의 경사면에 의해 후두밀착부(40)가 자연히 후방안착부(713)측으로 유도, 안내된다. 안착유도경사부(72)에 의하면, 이와 같이 탈모치료장치(1)의 초기 안착 범위를 중간안착부(712), 후방안착부(713)에 안착유도경사부(72)를 더 포함한 만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의 거치대(2)에의 거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부(73)는 후방펜스부(74)와 전방펜스부(75)를 포함한다.
후방펜스부(74)는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와 접하는 장치부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70)의 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후두밀착부(40)의 하부가 후방안착부(713)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두밀착부(40)의 후면부는 후방펜스부(74)와 마주하게 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펜스부(74)는 하부펜스부(741)와 상부펜스부(742)를 포함한다.
하부펜스부(741)는 안착부(70)의 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되, 후두밀착부(40)와 마주하는 전면부가 후방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착부(7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펜스부(742)는 하부펜스부(741)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전면부가 하부펜스부(741)의 연장선보다 전방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착부(7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탈모치료장치(1)의 거치대(2) 거치 시, 하부펜스부(741)와 상부펜스부(742)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후두밀착부(40)와 접하게 되고, 후방펜스부(74)가 단순한 평탄면을 이루는 경우와 비교해, 보다 다각도에서 후두밀착부(40)에서 구속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가 거치대(2)와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접하며 그 안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펜스부(742)의 전면부를 하부펜스부(741)의 연장선보다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에 있어서,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 보다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면, 후두밀착부(40)가 후방안착부(713)에 안착됨에 동시에 상부펜스부(742)와 후방안착부(713)의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탈모치료장치(1)의 안착, 삽입이 다단,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2) 상에 안착된 탈모치료장치(1)는 상부펜스부(742)에 의해 직상방으로의 이탈이 구속된다. 탈모치료장치(1)는 상부펜스부(742)에 의해 직상방으로의 이탈이 구속됨에 따라, 거치대(2)에 안착 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되게 유도, 이동된 안착 경로를 역방향으로 거슬러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향되게 유도, 이동되는 분리, 이탈 경로를 중첩되게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착부(70)와 펜스부(73)에 의하면,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하부 형상을 가지고, 점차 중량의 무게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가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유도, 안내되는 설정 경로를 따라 후방부부터 전방부측으로 순차적으로 그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방부부터 후방부측으로 순차적으로 그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착탈시키는 동작이 일관성있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 후방은 도 3, 도 4에 도시된 도면 상에서 전방, 후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도 2, 도 9, 도 15에 도시된 입체적인 사시도에 대응시킴에 있어서는 헬멧부(10) 또는 안착부(7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헬멧부(10) 또는 안착부(70)의 반경방향 내측, 외측에 해당된다.
즉, 하부펜스부(741)는 후방안착부(713)의 후방부를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하부경사부(414)의 하측에서 하부경사부(414)와 상향되게 마주하고, 상부펜스부(742)는 후방안착부(713)의 후방부를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부경사부(415)의 상측에서 상부경사부(415)와 하향되게 마주한다. 따라서, 탈모치료장치(1)의 후두밀착부(40)를 후방안착부(713)에 초기 안착시킴에 있어서, 하부펜스부(741)와 상부펜스부(742)에 의해, 후두밀착부(40)의 측방향 이탈,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전방펜스부(75)는 탈모치료장치(1)의 전면부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간섭차단부(112)와 마주하는 장치부로, 안착부(70)의 전방부에 광간섭차단부(112)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광간섭차단부(112)는 탈모치료장치(1)의 전두커버부(11)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전방안착부(711)에 안착된다.
전방펜스부(75)는 전방안착부(711)의 전방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광간섭차단부(112)의 전면부와 마주하게 된다. 광간섭차단부(112)는 전방펜스부(75)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탈이 구속된다. 전방펜스부(75)는 전두커버부(11) 중 광간섭차단부(112)를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되는 횡방향 두께를 가짐으로써,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두커버부(11)의 외피부(113)와 전방펜스부(75)는 연속된 곡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곡면 형상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려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광간섭차단부(112)와 전방펜스부(75)의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시킴에 있어서, 자연히, 전두커버부(11)를 구성하는 외피부(113) 내지 전원표시부(29)의 하단부를 손가락 끝마디에 걸치거나 외피부(113)를 파지한 상태에서 광간섭차단부(112)를 전방안착부(711)에 최종 안착시키고, 파지력을 해제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게 된다.
탈모치료장치(1)의 거치대(2) 안착 시 상기와 같은 안착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유도함으로써, 전방안착부(711)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탈모치료장치(1)를 파지한 힘을 해제하거나, 직접 전방안착부(771)에 접촉시키면서 파지력을 해제하는 경우와 비교해, 낙하로 인해 헬멧부(10)에 충격력이 가해지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석부재(77)는 하부경사부(414)에 설치되고, 안착유도부재(78)는 하부펜스부(74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초기 안착 시, 탈모치료장치(1)의 헬멧연결부(41)가 원형안착부(71)와 안착유도경사부(72)의 경사면에 의해 후방안착부(713)측으로 유도, 안내됨과 동시에, 자석부재(77)와 안착유도부재(78)간의 인력에 의해 후방펜스부(74)측으로 당겨져 이끌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에 안착 시 자석부재(77)는 자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거치대(2)에 설치된 안착유도부재(78)측으로 이끌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탈모치료장치(1)는 하부경사부(414)가 하부펜스부(741)와 마주하는 정위치, 정방향으로 안착, 정렬된다.
탈모치료장치(1)가 목적한 정위치, 정방향에 대응되지 않고 어긋나거나 틀어져 안착되더라도, 안착유도부재(78)가 자석부재(77)를 끌어당겨 하부경사부(414)가 하부펜스부(741)와 마주하도록 능동적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헬멧연결부(41)가 후방펜스부(74)와 밀접하게 마주하는 안착 상태를 탈모치료장치(1)의 매회 안착 시마다 신뢰성있게 구현, 유지할 수 있다.
헬멧연결부(41)의 상부경사부(415)와 후방펜스부(74)의 상부펜스부(742)에는 무선충전부(85)의 전류생성코일부(87)와 전자기장형성부(8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안착유도부재(78)와 자석부재(77)간의 작용에 의해 탈모치료장치(1)의 매회 안착 시마다 상부경사부(415)가 상부펜스부(742)와 밀접하게 마주하게 되므로, 탈모치료장치(1)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85)의 기능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 도 6,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조명부(80)는 살균베이스부(81), 살균광조사부(82), 광투과커버부(84)를 포함한다.
살균베이스부(81)는 살균광조사부(82), 광투과커버부(84)를 설치, 고정가능한 설치면을 제공하는 장치부로, 원형을 이루어 연장되는 안착부(70)의 내측부에 안착부(70)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 3, 도 6,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베이스부(81)는 평탄부(811)와 광누출방지턱부(816)를 포함한다.
평탄부(811)는 살균광조사부(82)와 광투과커버부(84)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안착부(70)의 내측부에 평탄하게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탄부(811)는 기판안착부(812), 기판결합부(813), 커버안착부(814), 조립홀부(815)를 포함한다.
기판안착부(812)는 기판을 포함하는 살균광조사부(82)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살균광조사부(82)를 복수개의 개소에서 결속가능하게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기판결합부(813)는 살균광조사부(82)가 체결부재(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장치부로, 기판안착부(812)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체결부재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살균광조사부(82)를 관통하여 기판결합부(813)에 체결함으로써, 살균광조사부(82)를 기판안착부(812)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안착부(814)는 광투과커버부(84)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기판안착부(812)의 가장자리부에 기판안착부(812)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광투과커버부(84)는 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하부가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커버안착부(814)는 이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조립홀부(815)는 광투과커버부(84)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치부로, 커버안착부(814) 상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광투과커버부(84)의 하부에 형성된 착탈조립부(842)를 조립홀부(815)에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광투과커버부(84)를 커버안착부(814)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광누출방지턱부(816)는 광투과커버부(84)와 평탄부(811)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커버하는 장치부로, 평탄부(811)의 가장자리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광누출방지턱부(816)는 광투과커버부(84)의 하부 및 커버안착부(814)를 따라 원형을 이루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광누출방지턱부(816)에 의해, 살균광조사부(82)에서 조사된 광이 광투과커버부(84)와 평탄부(811)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70)와, 돔 형상을 가지는 광투과커버부(84)가 함께 연속된 곡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탈모치료장치(1)를 거치대(2)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거치대(2) 만으로 무드등과 같은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정도로 수려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살균광조사부(82)는 탈모치료장치(1)의 살균을 위한 살균용 광원(83)을 구비하여 살균베이스부(81)에 설치된다. 살균용 광원(83)으로는 살균 기능을 구현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LED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살균용 광원(83)으로는 다양한 사양을 가지는 여러가지 LED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LED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살균광조사부(82)는 살균용 광원(83) 외에 무드등과 같은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투과커버부(84)는 살균조명부(8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투광소재를 포함하고, 살균광조사부(82)를 커버링하며 살균베이스부(81)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커버부(84)는 탈모치료장치(1)의 내피부(111)에 대응되는 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내피부(111)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커버부(84)는 조명커버부(841)와 착탈조립부(842)를 포함한다.
조명커버부(841)는 살균광조사부(82)를 커버링하는 장치부로,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되고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을 가진다. 조명커버부(841)를 살균베이스부(8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살균광조사부(82)는 조명커버부(841)의 내부에 수용되고, 살균광조사부(82)에서 발산된 광은 조명커버부(841)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착탈조립부(842)는 살균베이스부(81)의 조립홀부(815)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장치부로, 조명커버부(84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조립부(842)는 탄성연장부(843)와 탄성고리부(844)를 포함한다.
탄성연장부(843)는 살균베이스부(81)의 조립홀부(815)를 하향 관통하는 장치부로, 조명커버부(841)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연장부(843)는 조립홀부(8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다. 탄성고리부(844)는 커버안착부(814)의 저면부에 걸리는 장치부로, 탄성연장부(843)의 하부에 조명커버부(84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명커버부(84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탄성고리부(844)가 조립홀부(815)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탄성연장부(843)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탄성고리부(844)를 조립홀부(815)에 대응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탄성고리부(844)를 조립홀부(815)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향력을 작용시키면, 탄성연장부(843)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탄성고리부(844)가 조립홀부(815)를 관통할 수 있고, 조립홀부(815)를 관통한 상태에서는 탄성연장부(8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립홀부(815)로부터 어긋나게 위치되면서 커버안착부(814)에 견고하게 결속된다.
광투과커버부(84) 또는 살균광조사부(82)의 점검, 교체 등을 위해 광투과커버부(84)를 살균베이스부(8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착탈조립부(842) 또는 착탈조립부(842)가 형성된 조명커버부(841) 부분을 손가락으로 가압함으로써, 탄성고리부(844)를 조립홀부(815)에 대응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조명커버부(841)나 착탈조립부(842)에 연속하여 상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탄성고리부(844)를 조립홀부(815)를 상향 통과시켜 커버안착부(814)로부터 분리, 이탈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크래들 장치(950)는 상기 거치대(2)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헤어 관리 장치(910)는 상기 헬멧부(10)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광조사부(914)는 상기 광조사부(20)에 해당하는 개념이며, 무선전력수신부(915)는 상기 무선충전부(85)를 포함하거나 이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정보&상태출력부(916, 956)는 상기 전원표시부(29)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소독부(952)는 상기 살균조명부(80), 상기 살균광조사부(82), 및 상기 살균용 광원(83)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또한 무선전력송신부(955)는 상기 전류생성코일부(87)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910)는, 센서부(911), 조작 입력부(912), 제어부(913), 광조사부(914), 무선전력수신부(915), 및 정보&상태출력부(916)를 포함한다.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는 크래들 장치(950)에 거치되어 무선 방식으로 충전된다. 다만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거치되지 않더라도 유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911)는 상기 헬멧부(10)의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되어 온도(예 : 머리의 온도 검출), 습도(예 : 헤어의 물기 검출), 조도(예 : 헬멧부를 착용했는지 여부 검출), 및 가스(또는 냄새 발생여부를 검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예시한 정보들(예 : 온도, 습도, 조도, 가스 등)을 검출하는 센서들은 단지 하나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헤어 관리 장치(910)의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사용자의 터치, 음성, 지문, 및 리모콘(예 : 전용 리모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모콘 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리모콘 등)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상기 헬멧부(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헬멧부(10)의 외측과 내측의 경계부, 또는 리모콘(예 : 전용 리모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모콘 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리모콘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914)는 상기 헬멧부(10)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예 : 720LEDs, 450LEDs 등) 광원(21)이 형성된다.
상기 광원(21)은 엘이디(LED) 타입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 광원(21)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 영역은 다르게 형성되며, 또한 각 광원(21)의 발광 색상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의 파장과 색상 등의 광 종류가 다른 복수의 광원(21)이 미리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광조사부(914)는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21)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 색상, 및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탈모 치료, 모발 성장, 및 혈액 순환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914)는 전체의 머리(또는 두피)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에 미치는 영향을 균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수신부(915)는 상기 헬멧부(10)가 상기 크래들장치(950)에 거치될 때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6)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6)는 사운드, 진동, 및 광(라이트)에 등에 의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헬멧부(1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그 경계부에 스피커, 모터, 및 광원 등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센서부(911), 조작입력부(912), 광조사부(914), 무선전력수신부(915), 및 정보&상태출력부(916)를 통합 제어하여,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13)는 내부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메모리(미도시)는 외장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조작 입력부(912)를 통해 입력된 정보(예 : 음성, 지문,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 ID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즉, 사용시간, 동작모드 등)를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어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즉, 사용시간, 동작모드 등)를 관리함으로써, 각 광원(21)에 대한 수명(또는 성능 저하)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의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광조사부(914)의 광원(21)을 사용자별로 맞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광조사부(914)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상기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원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914)의 광원(21)을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또는 테이블 상에 덮어놓는 경우)에는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21)을 해당 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6)를 통해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시간, 배터리상태, 동작모드, 헤어(모발)상태, 및 헤어관리안내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7에 있어서 카메라부(9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917)는 사용자가 상기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 시 헤어(또는 두피)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913)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별 헤어(또는 두피)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카메라부(917) 및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헤어(또는 두피)의 젖은 상태, 마른 상태,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헤어 색상, 머리 온도, 피지 정도, 및 탈모 형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9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는 상기 광조사부(914)의 복수의 광원들 사이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헤어 관리를 시작하기 전과 헤어 관리를 종료한 후에 촬영된 헤어(또는 두피)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헤어 관리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913)는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피지 정도, 및 탈모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헤어 관리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8에 있어서 제1 통신부(9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918)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980), 인터넷공유기(970), 크래들장치(950),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970)를 통한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연결한다.
상기 제1 통신부(918)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적외선(IR) 등)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GSM, LTE 등의 이동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918)를 통해 상기 제어부(913)는 구동 프로그램(또는 구동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상기 크래들장치(950),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크래들장치(950),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9에 있어서 온도 조절부(9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919)는 상기 헬멧부(10)를 머리에 착용 시,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머리의 온도나 습도(예 : 머리의 물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머리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범위보다 과열된 경우, 또는 머리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범위보다 저하된 경우, 상기 제어부(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머리의 온도를 지정된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온도 조절부(919)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팀 분사, 팬(FAN), 히터, 냉각 펌프(예 : 냉각수 순환), 및 열전소자 등을 적용하여 상기 헬멧부(10) 내부의 머리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전소자는 크기와 구동 방식을 고려할 때,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 및 전력 소모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마지막 수단으로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온도 조절부(919)는 사용자가 헤어 관리를 시작할 때 머리의 상태를 빠르게 안정시킴으로써 헤어 관리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안한 마음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0에 있어서 긴장&피로제거부(9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긴장&피로제거부(920)는, 사용자가 긴장하거나 피로하여 불편한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받을 경우 헤어 관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향기 분사, 영양제 분사, 지압, 저주파 마사지, 및 음악(또는 화이트노이즈 등) 등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긴장&피로제거부(92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향기나 영양제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 장치(미도시), 전동모터나 공기압에 의해 돌기가 상하로 입출되어 두피를 누를 수 있는 돌출 장치(미도시), 저주파 전기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저주파 전기 장치(미도시), 및 요가나 카페 또는 태교용으로 사용되는 음악이나 화이트노이즈를 출력하는 음악 재생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긴장&피로제거 방식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좋아하는 향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지압 세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저주파 전기의 주파수와 강도, 및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긴장&피로제거 방식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950)는, 조명부(951), 소독부(952), 크래들제어부(953), 탈부착감지부(954), 무선전력송신부(955), 및 정보&상태출력부(956)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951)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 주변을 조명한다.
예컨대 상기 조명부(951)는 상기 크래들제어부(953)의 제어에 따라 조명모드에서 조명용 광원(예 : 백색 광원 LED)을 턴온시켜 주변을 조명한다.
상기 소독부(952)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부(즉, 헬멧부(10)의 내부)를 소독한다.
예컨대 상기 소독부(952)는 상기 크래들제어부(953)의 제어에 따라 소독모드에서 소독용 광원(예 : UV, Ultraviolet rays)을 턴온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독부(952)는 스팀 분사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즉, 헬멧부(10))가 거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951)를 제어하여 주변을 조명하고,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독부(952)를 제어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부(즉, 헬멧부(10)의 내부)를 소독한다.
상기 탈부착 감지부(954)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즉, 헬멧부(10))가 거치(즉, 탈부착)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탈부착 감지부(954)는 별도의 스위치(또는 버튼)(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거치(즉, 탈부착)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송신부(955)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크래들장치(950)에 거치될 때 전자기장에 의한 전력을 송신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56)는 사운드, 진동, 및 광(라이트)에 등에 의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크래들장치(95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그 경계부에 스피커, 모터, 및 광원 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56)를 통해 전원 온/오프 상태,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시간 및 고장여부, 정비상태(예 : 소독 여부, 소독 시간, 소독 횟수 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2에 있어서 제2 통신부(95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부(957)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를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980), 인터넷공유기(970), 헤어 관리 장치(910),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970)를 통한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연결한다.
상기 제2 통신부(957)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적외선(IR) 등)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GSM, LTE 등의 이동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957)를 통해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구동 프로그램(또는 구동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크래들 장치(950)의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3에 있어서 고장 감지부(958)와 냄새 제거부(95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장 감지부(958)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광조사부(914)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예컨대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원격제어하여 상기 고장 감지부(958)를 통해 상기 광조사부(914)의 각 광원들에 대한 상태(예 : 온/오프, 파장, 에너지 세기 등)를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상기 고장 감지부(958)는 카메라, 조도센서, 및 가스(냄새)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냄새 제거부(959)는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거치되어 있을 때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측에 배어 있는 냄새를 제거한다.
예컨대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를 여러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때 상기 고장 감지부(958)를 통해 냄새가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냄새 제거부(959)를 통해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즉, 헬멧부(10))의 내측에 배어 있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을 분사하거나, 탈취제를 분사할 수 있다. 또는 팬(FAN)을 가동하여 냄새를 흡수하여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냄새 제거부(959)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향이나 탈취제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미도시), 및 팬(FAN)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헤어 관리 장치(910)의 조작(구동) 스위치가 온 될 경우(S101의 예)(즉, 전원 스위치가 온 될 경우),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되는지 체크한다(S102).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되면(S102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광조사부(914)를 최대(MAX)의 에너지로 조사하도록 작동한다(S103).
여기서 상기 최대(MAX)의 에너지란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따라 허용되는 최대(MAX)의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별 상기 최대(MAX)의 에너지의 절대값은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되지 않으면(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크래들 장치(950)에 결합(또는 거치)되는지 체크한다(S104).
이에 따라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크래들 장치(950)에 결합(거치)되면(S104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통신 연결된 크래들 장치(950)나 휴대단말기(980) 등에 의해 원격제어 상태로 전환된다(S107).
그러나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머리에 착용되지도 않고(S102의 아니오) 또한 크래들 장치(950)에도 결합(거치)되지 않으면(S104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부(즉, 광조사부)를 바라볼 수 있음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조사부(914)를 최소(MIN)의 에너지로 조사하도록 작동한다(S105).
하지만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912)를 통해 수동 조작으로 광조사부(914)의 에너지를 업/다운시킬 경우(예 : 광조사부의 광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조사부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 ,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수동 조작에 대응하여 업/다운된 에너지로 광을 조사한다(S106).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될 경우(S201의 예), 헤어가 젖은 상태인지 체크한다(S202).
상기와 같이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헤어가 젖은 상태이면(S202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온도 조절부(919)를 통해 헤어를 건조시킨다(S203). 왜냐하면 헤어가 젖은 상태에서 상기 광조사부(914)에 의해 광이 조사되면 헤어 관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헤어가 젖은 상태가 아니면(S2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센서부(911)나 카메라부(917)를 통해 헤어 상태를 스캔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아울러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S204).
상기 지정된 서버(미도시)는 상기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헤어 상태를 분석한다(S205).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나 서버(미도시)는 상기 카메라부(917) 및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헤어(또는 두피)의 젖은 상태, 마른 상태,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헤어 색상, 머리 온도, 피지 정도, 및 탈모 형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미도시)에서 상기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수신한다(S206).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헤어 분석 결과를 정보&상태출력부(916)나 통신 연결된 크래들 장치(950)나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헤어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식(또는 모드)으로 광조사(즉, 사용자별 광조사)를 실시한다(S207).
도 27은 상기 도 26에 있어서,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헤어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헤어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헤어 스캔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S301의 예), 머리의 전체 영역을 복수개로 가상 분할한다(S302).
예컨대 상기 가상 분할하는 영역의 개수와 각 영역의 범위는, 카메라나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와 같이 가상 분할된 각 영역별 상태를 분석한다(S303).
이 때 상기 제어부(913)는 영역별 순차적으로 광조사를 온/오프 제어하여 스캔을 수행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분할될 영역별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헬멧부 내부의 온도 범위 등)를 설정한다(S304)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헤어 굵기, 헤어 갯수, 지성 or 건성 상태, 머리 온도, 피지 정도, 및 탈모 형태 등에 따라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헬멧부 내부의 온도 범위 등)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머리 영역별로 설정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헬멧부 내부의 온도 범위 등)으로 광조사를 실시한다(S305).
이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역별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을 설정하여 광조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을 설정하여 광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될 경우(S401의 예), 긴장(또는 피로) 완화 기능의 작동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402).
예컨대 상기 긴장(또는 피로) 완화 기능은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등급(예 : 저가 등급, 일반 등급, 프리미엄 등급 등)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장치(예 : 프리미엄 등급의 헤어 관리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가 머리에 착용된 후 긴장(또는 피로) 완화 기능이 작동할 경우(S402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에 포함된 긴장&피로제거부(920)의 성능을 체크한다(S403).
그리고 상기 긴장&피로제거부(920)의 성능을 체크한 결과에 따라, 단계별 음악(또는 화이트노이즈 등) 출력, 향기(머리 영양제) 분사, 및 머리 혈자리 지압(또는 저주파 마사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한다(S404 ~ S406).
이는 사용자가 긴장하거나 피로하여 마음이나 신체가 불편한 상태에서 헤어 관리를 받을 경우 헤어 관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긴장&피로제거 방식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좋아하는 향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지압 세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저주파 전기의 주파수와 강도, 및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긴장&피로제거 방식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헤어 관리 장치(910)의 조작입력부(912)를 통해 장치가 조작될 경우(S501의 예), 상기 조작입력부(912)를 통해 입력된 정보(예 : 터치, 음성, 지문, 리모콘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자동 인식이 가능한지 체크한다(S502).
만약 상기 사용자 자동 인식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S5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정보(예 : 비밀번호, 아이디, 사용자 선택메뉴 입력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한다(S503의 예).
상기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인식되면(S502의 예, S503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저장된 사용자별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헬멧부 내부의 온도 범위 등)을 인출하여 광조사를 실시한다(S504).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및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누적 저장하고, 아울러 사용자별 헤어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헤어 관리시마다 매번 누적 저장한다(S505).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누적 저장된 사용자별(및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누적 저장된 사용자별 헤어 상태를 분석한 결과와 효과를 출력한다(S506).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및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 및 사용자별 헤어 상태를 분석한 결과와 효과를 정보&상태출력부(916)나 통신 연결된 크래들 장치(950)나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으면(S502의 아니오, S503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를 디폴트(예 : anyone)로 설정하고(S507), 단지 헤어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누적 저장하고(S508), 누적된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출력한다(S509).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정보&상태출력부(916)나 통신 연결된 크래들 장치(950)나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제어부(953)는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는지 체크한다(S601).
이에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면(S601의 예),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S603).
예컨대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955)를 작동할 경우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는 경우에만 무선전력송신부(955)를 작동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면(S601의 예),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측(즉 헬멧부(10)의 내측)에 대한 소독을 실시한다(S604).
예컨대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상기 소독부(952)를 제어하여 소독모드에서 소독용 광원(예 : UV, Ultraviolet rays)을 턴온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분사한다. 이에 상기 소독부(952)는 스팀 분사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지 않으면(S601의 아니오),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조명부(951)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조명용 광원(예 : 백색 광원 LED)을 턴온시켜 주변을 조명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951)는 수동(예 : 버튼 입력이나 휴대단말기를 통한 원격제어)에 의해 조명 기능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31은 상기 도 30에 있어서, 추가로 실시하는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제어부(953)는 크래들 장치(950)에 헤어 관리 장치(910)가 결합되면(S601의 예), 헤어 관리 장치(910)의 내측을 탈취하고 향(또는 탈취제) 분사를 실시한다(S605). 즉, 상기 헤어 관리 장치(910)의 상태를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작업을 실시한다.
아울러 상기 크래들제어부(953)는 결합(또는 거치)된 헤어 관리 장치(910)와 통신을 연결하고(S606), 통신 연결된 헤어 관리 장치(910)를 원격 제어하여 각 광원들의 상태(예 : 온/오프, 파장, 에너지 세기 등)를 순차적으로 체크한다(S607). 즉, 각 광원들의 상태를 점검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 상태(즉, 광원들의 점검 상태) 및 유지 작업 실시 결과(즉, 유지 작업 실시 여부)를 출력한다(S608).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토탈(total) 헤어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정보&상태출력부(956)나 통신 연결된 헤어 관리 장치(950)나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 : 탈모치료장치 2 : 거치대
10 : 헬멧부 11 : 전두커버부
12 : 정수리커버부 13 : 측후두커버부
14 : 후두커버부 15 : 밀착강화연결부
16 : 측두커버부 20 : 광조사부
21 : 광원 22 : 제1광조사부
23 : 전두중앙조사부 24 : 전두측부조사부
25 : 제2광조사부 26 : 정수리중앙조사부
27 : 정수리후부조사부 28 : 정수리측부조사부
29 : 전원표시부 30 : 헤드밀착부
40 : 후두밀착부 41 : 헬멧연결부
42 : 후방밀착지지부 43 : 종연장부
44 : 헬멧결합부 45 : 후방밀착결합부
46 : 탄성조절부 50 : 측두밀착부
51 : 밀착연장부 52 : 측방밀착지지부
53 : 이동안정화부 54 : 기준단턱부
55 : 이동단턱부 56 : 휨방지리브부
60 : 착용조절부 61 : 전두착용조절부
62 : 착탈쿠션부 63 : 제1착탈쿠션부
64 : 제2착탈쿠션부 65 : 쿠션결합부
66 : 측두착용조절부 67 : 측후두착용조절부
70 : 안착부 71 : 원형안착부
72 : 안착유도경사부 73 : 펜스부
74 : 후방펜스부 75 : 전방펜스부
76 : 안착유도부 77 : 자석부재
78 : 안착유도부재 80 : 살균조명부
81 : 살균베이스부 82 : 살균광조사부
83 : 살균용 광원 84 : 광투과커버부
85 : 무선충전부 86 : 전자기장형성부
87 : 전류생성코일부 88 : 유선충전부
111 : 내피부 112 : 광간섭차단부
113 : 외피부 114 : 이격연결부
115 : 기판고정부 116 : 측부고정부
117 : 광원수용부 291 : 전원표시용 광원
292 : 투광창부 411 : 후두밀착내피부
412 : 후두밀착외피부 413 : 후방이동구속부
414 : 하부경사부 415 : 상부경사부
431 : 종연장본체부 432 : 하부탄지부
433 : 상부탄지부 511 : 측두밀착내피부
512 : 측두밀착외피부 521 : 횡연장부
522 : 중간연장부 523 : 측부탄지부
524 : 후부결합부 525 : 측방밀착결합부
711 : 전방안착부 712 : 중간안착부
713 : 후방안착부 741 : 하부펜스부
742 : 상부펜스부 811 : 평탄부
812 : 기판안착부 813 : 기판결합부
814 : 커버안착부 815 : 조립홀부
816 : 광누출방지턱부 841 : 조명커버부
842 : 착탈조립부 843 : 탄성연장부
844 : 탄성고리부
910 : 헤어 관리 장치 911 : 센서부
912 : 조작입력부 913 : 제어부
914 : 광조사부 915 : 무선전력수신부
916 : 정보&상태출력부 917 : 카메라부
918 : 제1 통신부 919 : 온도조절부
920 : 긴장&피로제거부 950 : 크래들 장치
951 : 조명부 952 : 소독부
953 : 크래들제어부 954 : 탈부착 감지부
955 : 무선전력송신부 956 : 정보&상태출력부
957 : 제2 통신부 958 : 고장감지부
959 : 냄새제거부 970 : 인터넷 공유기
980 : 휴대단말기

Claims (9)

  1.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면 무선 방식으로 충전시키며 거치 시 소독 기능을 실시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로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는,
    헬멧부에 부착되어 머리의 온도 검출, 두피나 헤어의 물기 검출,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 검출, 및 헬멧부 내측의 냄새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헤어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헬멧부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머리의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 장치는,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상기 크래들 장치에 거치될 때, 상기 크래들 장치의 크래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헬멧부 내측을 소독하는 소독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될 때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광조사부의 고장을 체크하는 고장 감지부; 및 상기 헤어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하여 상기 고장 감지부를 통해 상기 광조사부의 각 광원들에 대한 상태를 순차적으로 체크하는 크래들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크래들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독모드에서 소독용 광원을 턴온시키거나,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장치는,
    상기 크래들 장치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거나 탈부착 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탈부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크래들제어부에 의해 상기 소독부를 제어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내측을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 장치는,
    주변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 장치에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거나 탈부착 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가 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크래들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주변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제어부는,
    상기 크래들 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사용시간 및 고장여부; 및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정비상태로서 소독 여부, 소독 시간, 및 소독 횟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별 헤어의 상태에 따라,
    전체의 머리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머리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각기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별 헤어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며,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음성, 지문, 및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휴대단말기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별 헤어 관리 장치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사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헤어 관리 장치의 토탈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별 사용 정보 및 토탈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각 광원의 수명이나 성능 저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원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의 광원을 지정된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헬멧부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별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을 해당 사용자별 동작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0180171856A 2018-12-28 2018-12-28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7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56A KR102177366B1 (ko) 2018-12-28 2018-12-28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56A KR102177366B1 (ko) 2018-12-28 2018-12-28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722A KR20200083722A (ko) 2020-07-09
KR102177366B1 true KR102177366B1 (ko) 2020-11-13

Family

ID=7160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856A KR102177366B1 (ko) 2018-12-28 2018-12-28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062B1 (ko) * 2021-04-13 2023-02-23 울산과학기술원 스마트 헬멧 거치대
KR102690932B1 (ko) * 2021-12-24 2024-08-05 주식회사 셀리온 Dc전원 온열매트의 무선리모컨을 구비한 아답터통합형 시스템
CN114886426B (zh) * 2022-05-17 2023-03-28 广州杜工智能健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人体体表微弱磁信号的采集系统
CN116421895B (zh) * 2023-05-05 2023-09-15 广州黄埔光圈靶向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眼部氧供应的生物光子护眼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30A (ja) * 2006-06-27 2009-12-03 パロマー・メデイ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手持ち光美容装置
US20170028216A1 (en) * 2015-07-28 2017-02-02 Photonmd, Llc Phototherapy devices for treatment of dermatological disorders of the scalp
KR101807533B1 (ko) * 2016-06-08 2017-12-11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엘이디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60B1 (ko) * 1988-09-30 1992-07-04 삼성코닝 주식회사 미세한 선폭의 회로패턴 형성방법
KR20120008584U (ko) * 2011-06-05 2012-12-13 이민규 살균 작용을 갖는 휴대폰 충전 거치대
EP3069762B1 (en) * 2015-03-20 2018-08-08 Capillus LLC Laser therapy apparatus
RU2018102304A (ru) * 2015-06-23 2019-07-23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Консьюмер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для роста воло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30A (ja) * 2006-06-27 2009-12-03 パロマー・メデイ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手持ち光美容装置
US20170028216A1 (en) * 2015-07-28 2017-02-02 Photonmd, Llc Phototherapy devices for treatment of dermatological disorders of the scalp
KR101807533B1 (ko) * 2016-06-08 2017-12-11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엘이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722A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303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6B1 (ko)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77363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204824B1 (ko) 헤어 상태 분석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204820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7B1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7736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205417B1 (ko)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8B1 (ko)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77362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205415B1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9352A (ko) 목 관리 장치
KR102110233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205416B1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5B1 (ko) 긴장 제거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65722B1 (ko) 헤어 관리 장치용 크래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04822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204821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204823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204819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65721B1 (ko) 헤어 관리 장치
KR20200089031A (ko) 목 관리 장치
KR20200089355A (ko)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20200089356A (ko) 목의 긴장 해소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20200089032A (ko) 목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