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59B1 -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59B1
KR102175959B1 KR1020180140289A KR20180140289A KR102175959B1 KR 102175959 B1 KR102175959 B1 KR 102175959B1 KR 1020180140289 A KR1020180140289 A KR 1020180140289A KR 20180140289 A KR20180140289 A KR 20180140289A KR 102175959 B1 KR102175959 B1 KR 10217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fastening member
vehicle
coupled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6229A (en
Inventor
신성수
김민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59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를 가진 차체 구조에 배치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로서, 각 사이드멤버에 장착되고, 서브프레임을 상기 사이드멤버 측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함으로써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 사이에 로드패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벌크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disposed on a vehicle body structure having a pair of side members and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and is mounted on each side member, so that the subframe is fixed to the side member side. Configured fastening member; And at least one bulkhead configured to form a load path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wall of the side member by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Description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점 강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rigidity of the input point.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는 메인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서브 프레임은 차체의 전방 하단에 연결되는 프론트 서브프레임과 차체의 후방 하단에 연결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 vehicle body is composed of a main frame and a sub-frame, and the sub-frame is composed of a front sub-frame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a rear sub-frame connected to the rear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프론트 서브프레임은 엔진, 변속기, 현가장치 등을 지지하고, 차량의 전방구조 강성을 확보하면서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리어 서브프레임은 후륜 차축, 리어 서스펜션 등을 지지하고, 차량의 후방구조의 강성을 확보하면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front subframe supports the engine, transmission, and suspension, and serves to facilitate load transfer while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front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rear subframe supports the rear axle, rear suspension, etc., and serves to facilitate load transfer by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종래의 서브프레임 장착구조는 서브프레임을 차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를 지지하는 모자덮기형 벌크헤드를 포함한다. 모자덮기형 벌크헤드는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X방향(차량의 길이방향), Y방향(차량의 폭방향), Z방향(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A conventional subframe mounting structure includes a fastening member that fixes the subframe to a side member of a vehicle body, and a cap-covered bulkhead that supports the fastening member. The cap-covered bulkhead has a hexahedral structur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along the X direction (the length of the vehicle), the Y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Z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하지만, 종래의 모자덮기형 벌크헤드는 각 면들의 두께에 따라 입력점 강성(stiffness at mounting points)이 좌우되고, 각 지지면들이 하중의 중심점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므로 그 입력점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모자덮기형 벌크헤드는 Y방향에 대해 직접적인 지지면이 없기 때문에 X방향 및 Z방향에 비해 그 강성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p-covered bulkhead, stiffness at mounting points depends on the thickness of each surface, and since each support surface is offset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load, the input point stiffness is weak. In particular, the cap-covered bulkhea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s rigidity is very weak compared to the X and Z directions because there is no direct support surface in the Y direction.

모자덮기형 벌크헤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Y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추가한 Y방향 보강형 벌크헤드가 출시된 바 있다. 하지만, Y방향 보강형 벌크헤드는 외팔보 구조에 의해 X방향 하중 및 Z방향 하중을 지지함에 따라 X방향 및 Z방향에 대한 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ap-covered bulkhead, a Y-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has been released that adds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Y-direction load. However, as the Y-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supports the X-direction load and the Z-direction load by a cantilevered structure, the rigidity in the X-direction and Z-direction is weak.

또한, Y방향 보강형 벌크헤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Y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면 및 Z방향의 길이를 연장한 X방향 보강형 벌크헤드가 출시된 바 있으며, X방향 보강형 벌크헤드는 플로어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X방향 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 X방향 보강형 벌크헤드는 후륜구동차량의 리어 서브프레임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X방향 보강형 벌크헤드는 플로어를 관통함에 따라 수밀, 배기가스 유입, 외관품질의 저하, C02 용접 품질 저하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Y-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a support surface that supports the Y-direction load and the X-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extending the length in the Z-direction have been released. By penetrating through the floor, it reinforces the rigidity against the load in the X direction. The X-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is mainly used for the rear subframe of rear-wheel drive vehicles. However, as the X-direction reinforced bulkhead penetrates the floor, it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watertightness, inflow of exhaust gas, deterioration in appearance quality, and quality of C02 welding.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입력점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성, 수밀성, 용접성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input point stiffness and sufficiently securing assembling property, watertightness, weldability,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를 가진 차체 구조에 배치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로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disposed on a vehicle body structure having a pair of side members and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각 사이드멤버에 장착되고, 서브프레임을 상기 사이드멤버 측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 및 A fastening member mounted on each side member and configured to fix the subframe to the side member side; And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함으로써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 사이에 로드패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벌크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t least one bulkhead configured to form a load path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by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상기 벌크헤드는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결합부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lkhead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sidewall of the side member,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upport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벌크헤드를 지지하는 로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패널은 상기 사이드멤버에 결합될 수 있다. It further includes a lower panel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bulk head, and the lower panel may be coupled to the side member.

상기 로어패널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The lower panel may have a base and a pair of flang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상기 로어패널의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바닥벽에 결합되고, 상기 로어패널의 각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of the lower panel may be coupled to a bottom wall of the side member, and each flange of the lower panel may be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면 및 상기 로어패널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측 결합면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have an upper coupling surface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and a lower coupling surface coupled to a flange of the lower panel.

상기 상측 결합면은 상기 하측 결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The upper coupling surface may be offset from the lower coupling surface toward the sidewall of the side member.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크로스멤버의 횡단벽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support may extend parallel to the transverse wall of the cross member.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과 상기 크로스멤버의 어느 한 횡단벽이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and any of the cross members of the cross member may be aligned in a line.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크로스멤버의 각 횡단벽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align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f the cross members of the cross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벌크헤드가 서브프레임이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사이드멤버를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체결부재 및 사이드멤버 사이에 연속적인 하중 전달경로(load path)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X방향 지지강성이 증대될 수 있고, 특히 Y방향 입력점강성이 대폭 강화됨으로써 로드노이즈를 대폭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구지수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khead can implement a continuous load path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by directly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to which the subframe is fastened, through which X-direction support stiffness This can be increased, and in particular, since the Y-direction input point stiffness is greatly strengthened, not only can the load noise be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 durability index thereof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의 벌크헤드의 제2결합부 및 로어패널이 사이드멤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의 벌크헤드, 체결부재, 로어패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의 벌크헤드, 체결부재, 로어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가 차량의 사이드멤버 및 크로스멤버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upling part of a bulkhead of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of FIG. 1A and a lower panel are mounted on side member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lk head,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lower panel of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assembled.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lkhead, a fastening member, and a lower panel of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4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ide member and a cross member of a vehicl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obstructs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10)는, 서브프레임(미도시)을 차체 측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1)와,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벌크헤드(12)와, 체결부재(11) 및 벌크헤드(12)들을 지지하는 로어패널(13, lower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1A to 3,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member 11 for fixing a subframe (not shown) to a vehicle body side, and a fastening member 11 And at least one bulk head 12 directly connecting the side members 14 and a lower panel 13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bulk head 12.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10)는 차체 전방구조 또는 차체 후방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차체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차체 전방구조 및 차체 후방구조 각각은 차체의 플로어(미도시)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멤버(14)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14)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15)를 가질 수 있다. 각 사이드멤버(14)는 한 쌍의 측벽(14a) 및 바닥벽(14b)을 가진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크로스멤버(15)는 한 쌍의 횡단벽(15a) 및 바닥벽(15b)을 가진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vehicle body structures such as a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or a vehicle body rear structure. Each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the vehicle body rear structure may have a pair of side members 14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oor (not shown) of the vehicle body, and a cross member 15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14. have. Each side member 14 may have a channel-shaped cross section with a pair of side walls 14a and a bottom wall 14b, and the cross member 15 includes a pair of cross-walls 15a and 15b. It may have a channel-shaped cross section with

일 예에 따르면, 사이드멤버(14)는 리어 사이드멤버일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10)는 차체 후방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ide member 14 may be a rear side member, and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ehicle body rear structure.

다른 예에 따르면, 사이드멤버(14)는 프론트 사이드멤버일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10)는 차체 전방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ide member 14 may be a front side member, and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ront structure of a vehicle body.

체결부재(11)는 각 사이드멤버(14)에 장착될 수 있고, 체결부재(11)는 서브프레임(미도시)을 사이드멤버(14) 측에 고정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1 may be mounted on each side member 14, and the fastening member 11 may fix a subframe (not shown) to the side member 14 si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11)는 헤드부(11a) 및 나사부(11b)를 가진 고정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1)의 나사부(11b)가 로어패널(13) 및 사이드멤버(14)를 통과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11)의 나사부(11b)가 사이드멤버(14)의 아래로 돌출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미도시)이 체결부재(11)의 나사부(11b)에 체결됨으로써 서브프레임(미도시)은 차체의 사이드멤버(14)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11 may be composed of a fixing bolt having a head portion 11a and a screw portion 11b. The threaded portion 11b of the fastening member 11 can pass through the lower panel 13 and the side member 14, and the threaded portion 11b of the fastening member 11 can protrude below the side member 14. have. The sub-frame (not shown) can be fixed to the side member 14 of the vehicle body by fastening the sub-frame (not shown) to the screw portion 11b of the fastening member 11.

다른 예에 따르면, 체결부재(11)는 프로젝션 너트, CO2 웰드너트, 프레스 증육너트 등과 같이 서브프레임(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11 may be configured of various types for fixing a subframe (not shown), such as a projection nut, a CO2 weld nut, a press thickening nut, or the like.

로어패널(13)은 베이스(13a) 및 베이스(13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어패널(13)은 사이드멤버(14)의 채널형 단면에 대응하는 채널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로어패널(13)의 베이스(13a)는 사이드멤버(14)의 바닥벽(14b)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로어패널(13)의 각 플랜지(13b)는 사이드멤버(14)의 각 측벽(14a)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어패널(13)의 베이스(13a) 및 플랜지(13b)들이 사이드멤버(14)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사이드멤버(14)와 로어패널(13)의 결합강도를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멤버(14)의 바닥벽(14b)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e lower panel 13 may include a base 13a and a pair of flanges 13b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3a. Accordingly, the lower panel 13 may have a channe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haped cross-section of the side member 14. The base 13a of the lower panel 13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wall 14b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an adhesive, etc., and each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is a side member ( It can be bonded to each side wall (14a) of 14) through spot welding, an adhesive, or the like. In this way, the base 13a and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14,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ide member 14 and the lower panel 13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member 14 to the bottom wall 14b.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은 그 중간부에 형성된 절곡부(13c)를 가질 수 있고, 플랜지(13b)는 절곡부(13c)에 의해 그 길이방향에 따른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may have a bent portion 13c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and the flange 13b may be reinforc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bent portion 13c.

로어패널(13)은 관통공(13d)을 가질 수 있고, 체결부재(11)의 나사부(11b)가 로어패널(13)의 관통공(13d)을 통과하고, 헤드부(11a)의 저면이 프로젝션용접, CO2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로어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panel 13 may have a through hole 13d, the threaded portion 11b of the fastening member 1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d of the lower panel 1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11a is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nel 13 through projection welding, CO 2 welding, an adhesive, or the like.

각 벌크헤드(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 및/또는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벌크헤드(12)의 하단측 플랜지(18)가 로어패널(13) 또는 사이드멤버(14)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플랜지(18)가 각 벌크헤드(12)의 상단 및 하단에 대칭적으로 마련됨으로써 조립 시에 벌크헤드(12)의 상하 구분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Each bulkhead 12 may include a flange 18 formed at its top and/or bottom, as shown in FIG. 2. The lower side flange 18 of each bulkhead 1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nel 13 or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adhesive, or the lik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flange 18 is provided symmetrically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bulkhead 12, so that the bulkhead 12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bulkhead 12 when assembling.

각 벌크헤드(12)는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를 연결함으로써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 사이에 하중이 전달되는 하중 전달경로(load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벌크헤드(12)가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의 외면에 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Each bulkhead 12 may form a load transmission path through which a load is transmitt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member 14 by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member 14. . A pair of bulk heads 12 may be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벌크헤드(12)는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1)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22)와, 제1결합부(21)로부터 제2결합부(22)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bulk head 1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22 and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23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제1결합부(21)는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의 외면 형상에 대응한 반원형으로 곡률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는 복수의 슬롯(21a)을 가질 수 있고, 제1결합부(21)는 각 슬롯(21a)을 통해 CO2용접(92)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may be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in a curved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art 21 may have a plurality of slots 21a,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1 is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11 as CO2 welding 92 is made through each slot 21a. I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 11a.

지지부(23)는 제1결합부(21)로부터 사이드멤버(1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부(23)가 제1결합부(21)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부(23)는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벌크헤드(12)는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부(23)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벌크헤드(12)들의 지지부(23)들이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브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체결부재(11)로 전달된 하중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지지부(23)들을 통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23 may exten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21 toward the side member 14.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1A to 7, a pair of support portions 23 may exten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23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11 and a side member 14. )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sidewalls 14a. Through this, the pair of bulk heads 12 may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3 arranged radially from the head portions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In this way, since the support portions 23 of the bulk heads 12 are radially arranged from the head portion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subframe (not shown) to the fastening member 11 is radial It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the support portions 23 arranged in a manner.

제2결합부(22)는 각 지지부(23)의 단부에서 절곡되고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스폿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지부(23)는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22)를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제1결합부(21)가 체결부재(11)에 결합됨과 더불어 제2결합부(22)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됨으로써 각 지지부(23)는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각 지지부(23)는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 사이에 연속적인 하중 전달경로(load path)를 구현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bent at the end of each support portion 23 and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or the like. Accordingly, each support portion 23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11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each support portion 23 can directly connect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member 14, and thus each support portion ( 23) can implement a continuous load transmission path (load path)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member 14.

일 실시예 따르면, 제2결합부(22)는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 및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스폿용접(91),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may be coupled to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91, an adhesive, or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합부(22)는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에 결합되는 하측 결합면(31) 및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면(32)을 가질 수 있다. 상측 결합면(32)은 하측 결합면(31)으로부터 외측으로 오프셋됨으로써 상측 결합면(32) 및 하측 결합면(31)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22)의 하측 결합면(31)이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에 결합되고 상측 결합면(32)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됨에 따라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의 외면은 제2결합부(22)의 상측 결합면(32)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flushed with)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의 외면과 제2결합부(22)의 하측 결합면(31)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a lower coupling surface 31 coupled to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an upper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You can have (32). The upper engaging surface 32 is offset outwardly from the lower engaging surface 31 so that the upper engaging surface 32 and the lower engaging surface 31 may be formed stepped. 1B, the lower coupling surface 31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the upper coupling surface 32 is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14. As it is coupled to (14a),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can be flushed with the upper coupling surface 3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2, through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the lower engaging surface 31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 may be more firmly and stably coupled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의 외면 및 제2결합부(22)의 상측 결합면(32)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로어패널(13) 및 벌크헤드(12)들이 사이드멤버(14)의 채널형 단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어패널(13)이 사이드멤버(14)의 바닥에 결합됨으로써 Z방향의 버팀면의 갯수를 증가할 수 있으므로 그 내구성능의 포텐션(potential)이 개선될 수 있다. The lower panel is bond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adhesive, etc., by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the upper engaging surface (3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2). 13 and the bulkheads 12 can be firmly fixed to the channel-shaped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 14. In this way, since the lower panel 13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ide member 14, the number of support surfaces in the Z direction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durability performance can be improved.

각 벌크헤드(12)는 다양한 포밍공정을 통해 제1결합부(21), 지지부(23), 제2결합부(22)들이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인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Each bulkhead 12 secures its own rigidity sufficiently by forming a unitary one-piece structure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1, the support part 2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 through various forming processes. can do.

도 4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1)의 중심과 크로스멤버(15)의 어느 한 횡단벽(15a)이 가상선(X1)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브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X방향 하중성분, Y방향 하중성분, Z방향 하중성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X방향 하중성분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중으로 지칭되고, Y방향 하중성분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중으로 지칭되며, Z방향 하중성분은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중으로 지칭된다. 특히, Y방향 하중은 로드노이즈에 지배되는 하중 성분이 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하중이 체결부재(11)으로 전달되면 복수의 지지부(23)를 통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으로 전달될 수 있고,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으로 전달된 하중은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하중 전달경로(load path)가 체결부재(11), 벌크헤드(12), 사이드멤버(14), 크로스멤버(15) 순으로 연속적일 수 있으므로 X방향 지지강성이 증대될 수 있고, 특히 Y방향 입력점강성이 대폭 강화됨으로써 로드노이즈를 대폭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구지수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11 and any one transverse wall 15a of the cross member 15 may be aligned in a line along an imaginary line X1. Accordingly,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not shown) may have an X-direction load component, a Y-direction load component, and a Z-direction load component. Here, the X-direction load component is referred to as a load appl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Y-direction load component is referred to as a load applied along the vehicle's width direction, and the Z-direction load component is appli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referred to as the load that becomes. In particular, the Y-direction load may be a load component dominated by load noise.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from the subframe (not shown) to the fastening member 11,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3, and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 The load transmitted to the cross member 15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nsverse wall 15a. That is, since the load path can be continuous in the order of the fastening member 11, the bulkhead 12, the side member 14, and the cross member 15, the X-direction support stiffness can be increased. As the Y-direction input point stiffness is greatly strengthened, not only can the load noise be significantly improved, but its durability index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아래의 [표 1]은 종래예 및 본 발명에 대한 입력점 강성, 내구지수, 중량, 용접성 등을 비교한 결과표이다. [Table 1] below is a result table comparing input point stiffness, durability index, weight, weldability, etc. for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예Conventional example 본 발명The present invention 비고Remark Y 입력점 강성Y input point stiffness 1,000kgf/mm1,000kgf/mm 1,900kgf/mm1,900kgf/mm +90% 증대+90% increase 내구지수Durability Index 1.481.48 2.952.95 +90% 증대+90% increase 중량weight 740g/대740g/unit 580g/대580g/unit -160g/대-160g/unit 용접성Weldability 스폿용접+CO2용접Spot welding + CO2 welding 스폿용접Spot welding 용접품질 개선Welding quality improvement

상술한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Y방향 입력점 강성은 1,900 kgf/mm로서, 종래예의 Y방향 입력점 강성인 1,000kgf/mm에 비해 대략 90%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내구지수는 2.95로서, 종래예의 내구지수인 1.48에 비해 대략 90%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중량은 580g/대로서 종래예의 중량인 740g/대에 비해 대략 160g/대 정도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예에 비해 Y방향 입력점 강성, 내구지수 등이 대폭 강화되고, 그 중량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above-described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Y-direction input point stiff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900 kgf/mm, which is approximately 90% higher than the Y-direction input point stiffness of 1,000 kgf/mm of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the du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x is 2.95, which can be seen to increase by approximately 90% compared to 1.48, the durability index of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80g/unit, which decreases to about 160g/uni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eight of 740g/unit. I ca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Y-direction input point stiffness, durability index, and the like are significantly enhanced and the weight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ample.

또한, 본 발명은 벌크헤드(12)의 제1결합부(21) 및 체결부재(11)의 결합 이외에 벌크헤드(12), 로어패널(13), 사이드멤버(14)들 사이의 결합부분에 전반적으로 스폿용접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CO2용접이 많이 이용되는 종래예에 비해 전체적으로 그 용접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and the coupling member 11 of the bulk head 1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bulk head 12, the lower panel 13, and the side members 14. As a whole, spot welding can be applied,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lding quality can be improved as a who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ample in which CO 2 welding is frequently used.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벌크헤드(12)의 각 제2결합부(22)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부합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각 제2결합부(22)가 스폿용접 등을 통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직접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어패널(13)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벌크헤드(12)의 제2결합부(22)가 크로스멤버(15)의 각 횡단벽(15a)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 쌍의 체결부재(11)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X2)이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가상선(X2)은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과 평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중 전달경로(load path)가 한 쌍의 사이드멤버(14) 및 크로스멤버(15) 사이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10)의 국부적인 강성 증대 뿐만 아니라 차체 구조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5 to 7, each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each bulkhead 12 may be formed flat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nform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Accordingly,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22 may be directly weld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or the like. Accordingly, the lower panel 13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each bulkhead 12 may be aligned so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f the transverse walls 15a of the cross member 15, through which a pair of fastening members 11 An imaginary line X2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oss member 15 may be located between the transverse walls 15a of the crossmember 15, and the imaginary line X2 may be parallel to the transverse wall 15a of the crossmember 15. I ca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 path can be smoothly transferred between the pair of side members 14 and the cross member 15, thereby increasing the local rigidity of th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0 In addition, the overall rigidity of the body structure can be increased.

한편, 종래의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는 하중 전달경로가 불연속적인 폐구간을 형성함에 따라 CO2용접이 전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이로 인해 그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그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CO2용접에 의한 결합부분은 국부경화에 따른 파단문제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subframe mounting structure, as the load transmission path forms a discontinuous closed section, CO2 welding is generally used, and as a result, the assembly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coupling portion by CO2 welding may have a disadvantage of causing a fracture problem due to local hardening.

반면에,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하중 전달경로가 완전한 폐구간 구조가 아니므로 벌크헤드(12), 로어패널(13), 사이드멤버(14)들 사이의 결합부분에 전반적으로 스폿용접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양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11) 및 사이드멤버(14)가 연속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하중이 전체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입력점 강성의 강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벌크헤들(12)들과 크로스멤버(15)의 연결강성을 강화함으로써 비틀림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transmission path is not a complete closed s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7, spot welding is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bulkhead 12, the lower panel 13, and the side members 14 as a whole. As it can be, assembling property can be goo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astening member 11 and the side member 14 are continuously connected, the load can be distributed as a whole, so that the reinforcement of the input point stiffnes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torsional rigidity can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rigidity of (15).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60)를 도시한다. 8 and 9 illustrate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60)는, 서브프레임(미도시)을 차체 구조에 대해 고정하는 체결부재(61)와, 체결부재(61) 및 사이드멤버(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벌크헤드(62)와, 체결부재(61) 및 벌크헤드(62)들을 지지하는 로어패널(63)을 포함할 수 있다. 8 and 9,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member 61 for fixing a subframe (not shown) to a vehicle body structure, and a fastening member 61. ) And at least one pair of bulk heads 62 directly connecting the side members 14 and a lower panel 63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61 and the bulk heads 6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61)는 헤드부(61a) 및 나사부(61b)를 가진 고정볼트로 구성될수 있다. 체결부재(61)의 나사부(61b)가 로어패널(63) 및 사이드멤버(14)를 통과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61)의 나사부(61b)가 사이드멤버(14)의 아래로 돌출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미도시)이 체결부재(61)의 나사부(61b)에 체결됨으로써 서브프레임(미도시)은 차체의 사이드멤버(14)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61 may be composed of a fixing bolt having a head portion 61a and a screw portion 61b. The threaded portion 61b of the fastening member 61 may pass through the lower panel 63 and the side member 14, and the threaded portion 61b of the fastening member 61 may protrude below the side member 14. have. The sub-frame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61b of the fastening member 61, so that the sub-frame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side member 14 of the vehicle body.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61)는 프로젝션 너트, CO2 웰드너트, 프레스 증육너트 등과 같이 서브프레임(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61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for fixing a subframe (not shown), such as a projection nut, a CO2 weld nut, a press thickening nut, or the like.

로어패널(63)은 베이스(63a) 및 베이스(63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63b)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로어패널(63)은 사이드멤버(14)의 채널형 단면에 대응하는 채널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로어패널(63)의 베이스(63a)는 사이드멤버(14)의 바닥벽(14b)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로어패널(63)의 각 플랜지(63b)는 사이드멤버(14)의 각 측벽(14a)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어패널(63)의 베이스(63a) 및 플랜지(63b)들이 사이드멤버(14)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사이드멤버(14)와 로어패널(63)의 결합강도를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멤버(14)의 바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e lower panel 63 may include a base 63a and a pair of flanges 63b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63a, and thus the lower panel 63 is formed on the channel-shaped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 14. It may have a corresponding channel-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base 63a of the lower panel 63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wall 14b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an adhesive, etc., and each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is a side member ( It can be bonded to each side wall (14a) of 14) through spot welding, an adhesive, or the like. In this way, the base 63a and the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14, thereby reinforc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ide member 14 and the lower panel 63 as well as the 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member 14 to the floor.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벌크헤드(62)는 체결부재(61) 및 사이드멤버(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체결부재(61) 및 사이드멤버(14) 사이에 하중이 전달되는 하중 전달경로(load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벌크헤드(62)가 체결부재(11)의 헤드부(11a)의 외면에 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bulk head 62 directly connects the fastening member 61 and the side member 14, thereby transferring a loa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61 and the side member 14. path) can be formed. A pair of bulk heads 62 may be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fastening member 11.

각 벌크헤드(62)는 체결부재(61)의 헤드부(61a)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41)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42)와, 제1결합부(41)로부터 제2결합부(42)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bulk head 62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41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61a of the fastening member 61 and one or more coupling portions coupled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 42) and one or more support portions 23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제1결합부(41)는 체결부재(61)의 헤드부(61a)의 외면 형상에 대응한 반원형으로 곡률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는 CO2용접, 스폿용접 등을 통해 체결부재(61)의 헤드부(61a)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may be configured in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head portion 61a of the fastening member 61 in a curved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61a of the fastening member 61 through CO2 welding, spot welding, or the like.

지지부(43)는 제1결합부(41)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43)가 제1결합부(41)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부(43)는 사이드멤버(14)의 축선에 대해 직교함과 동시에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벌크헤드(62)는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과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지지부(4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벌크헤드(62)의 지지부(43)들이 맞대기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므로 Y방향 지지강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3 may extend outwar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41. 8 and 9, a pair of support portions 43 may exten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and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43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side member 14 At the same time, the cross member 15 may extend parallel to the transverse wall 15a. Through this, the pair of bulkheads 62 may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43 arranged in a line with the transverse wall 15a of the cross member 15.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s 43 of each bulkhead 62 can be coupled through butt welding, the Y-direction support stiffness can be greatly increased.

각 제2결합부(42)는 각 지지부(43)에 대해 절곡될 수 있고, 각 제2결합부(42)는 로어패널(63)의 플랜지(63b) 및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스폿용접,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지부(43)는 제1결합부(41) 및 제2결합부(42)를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제1결합부(41)가 체결부재(61)에 결합됨과 더불어 제2결합부(42)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됨으로써 각 지지부(43)는 체결부재(61) 및 사이드멤버(14)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각 지지부(43)는 하중 전달경로(load path)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Each second coupling portion 42 may be bent with respect to each support portion 43, and each second coupling portion 42 is a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and a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 Can be bonded through spot welding, adhesives, etc. Accordingly, each support portion 43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61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is coupl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each support portion 43 can directly connect the fastening member 61 and the side member 14, and thus each support portion ( It can be seen that 43) substantially performs the function of a load path.

제2결합부(42)는 로어패널(13)의 플랜지(13b)에 결합되는 하측 결합면(51) 및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면(52)을 가질 수 있다. 상측 결합면(52)은 하측 결합면(51)으로부터 외측으로 오프셋됨으로써 상측 결합면(52) 및 하측 결합면(51)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42)의 하측 결합면(51)이 로어패널(63)의 플랜지(63b)에 결합됨에 따라 로어패널(63)의 플랜지(63b)의 외면은 제2결합부(42)의 상측 결합면(52)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flushed with)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로어패널(63)의 플랜지(63b)의 외면과 제2결합부(42)의 하측 결합면(52)은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may have a lower coupling surface 51 coupled to the flange 13b of the lower panel 13 and an upper coupling surface 52 coupled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have. The upper engaging surface 52 is offset outwardly from the lower engaging surface 51, so that the upper engaging surface 52 and the lower engaging surface 51 may be formed stepped. As the lower coupling surface 51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is coupled to the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The upper coupling surface 52 and the lower coupling surface 52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may be flushed with It can be more firmly and st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각 벌크헤드(62)는 제1결합부(41), 지지부(43), 제2결합부(42)들이 단일체(unitary one-piece structure)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인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Each of the bulkheads 62 may sufficiently secure its own rigidity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41, the support portion 4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42 are formed in a unitary one-piece structure.

로어패널(63)의 플랜지(63b)의 외면 및 제2결합부(42)의 상측 결합면(52)이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에 스폿용접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로어패널(63) 및 벌크헤드(62)들이 사이드멤버(14)의 채널형 단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63b of the lower panel 63 and the upper engaging surface 52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2 are coupled to the sidewall 14a of the side member 14 through spot welding, etc. ) And the bulkheads 62 may be firmly fixed to the channel-shaped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 14.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벌크헤드(62)들의 지지부(43)들이 체결부재(61)의 헤드부(61a)로부터 크로스멤버(15)의 횡단벽(15a)과 평행함에 따라 서브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체결부재(61)로 전달된 하중은 지지부(43)들, 사이드멤버(14)의 측벽(14a)을 거쳐 크로스멤버(15)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the support portions 43 of the bulk heads 62 are sub-parallel from the head portion 61a of the fastening member 61 to the transverse wall 15a of the cross member 15.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frame (not shown) to the fastening member 61 may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cross member 15 through the support portions 43 and the side walls 14a of the side members 14.

그외 나머지 구성, 작용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similar to or the same as thos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so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60: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11. 61: 체결부재
12, 62: 벌크헤드
13, 63: 로어패널
14: 사이드멤버
15: 크로스멤버
21, 41: 제1결합부
22, 42: 제2결합부
23, 43: 지지부
31, 51: 하측 결합면
32, 52: 상측 결합면
10, 60: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11. 61: fastening member
12, 62: bulkhead
13, 63: lower panel
14: side member
15: cross member
21, 41: first coupling portion
22, 42: second coupling portion
23, 43: support
31, 51: lower coupling surface
32, 52: upper coupling surface

Claims (11)

한 쌍의 사이드멤버 및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를 가진 차체 구조에 배치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로서,
각 사이드멤버에 장착되고, 서브프레임을 상기 사이드멤버 측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 사이에 로드패스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벌크헤드; 및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벌크헤드를 지지하고,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진 로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벌크헤드는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결합부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면 및 상기 로어패널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하측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상측 결합면은 상기 하측 결합면으로부터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을 향해 오프셋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A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disposed in a vehicle body structure having a pair of side members and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A fastening member mounted on each side member and configured to fix the subframe to the side member side;
At least one bulkhead configured to connect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to form a load path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member; And
Including; a lower panel suppor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bulk head, and having a base and a pair of flang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The bulkhead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sidewall of the side member,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has an upper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and a lower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flange of the lower panel,
The upper coupling surface i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that is offset toward the side of the side member from the lower coupling surf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 사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portion i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패널의 베이스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바닥벽에 결합되고, 상기 로어패널의 각 플랜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벽에 결합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of the lower panel is coupled to the bottom wall of the side member, and each flange of the lower panel is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id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크로스멤버의 횡단벽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portion is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extending parallel to the cross member of the cross-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중심과 상기 크로스멤버의 어느 한 횡단벽이 일렬로 정렬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subfram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and one of the transverse walls of the cross member are aligned in a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크로스멤버의 각 횡단벽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align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f the cross members of the cross member.
KR1020180140289A 2018-11-14 2018-11-14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2175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89A KR102175959B1 (en) 2018-11-14 2018-11-14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89A KR102175959B1 (en) 2018-11-14 2018-11-14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29A KR20200056229A (en) 2020-05-22
KR102175959B1 true KR102175959B1 (en) 2020-11-09

Family

ID=7091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289A KR102175959B1 (en) 2018-11-14 2018-11-14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344A (en) 2021-05-06 2022-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racket Combination type Sub Frame Mounting Unit and Vehicl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46A (en) * 2003-09-24 2005-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chassis rear cross member mounting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29A (en)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2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periphery of rear suspension
KR100462091B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030137163A1 (en) Vehicle floor structure
JP2006082742A (en) Rear body structure
JP5238816B2 (en) Pickup truck c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5851491U (en) Double-ring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102175959B1 (en)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JP2002120754A (en) Vehicular frame structure
JP2006312351A (en) Body structure for vehicle
JP4616015B2 (en) Triangular window reinforcement structure
US20200148270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03104237A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US11325654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18043743A (en) Vehicle body upper structure
KR20230073512A (en) Towing pipe connection structure
JPH11192977A (en) Body frame reinforcing structure for automobile
CN215851501U (en) Rear lower body support assembly
JP2010241318A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JP2001247058A (en) Car body structure
CN217864346U (en) Auxiliary frame with reinforcing structure and vehicle with auxiliary frame
JPH08282532A (en) Frame for vehicle
KR100756633B1 (en) Trunk gate
KR100885219B1 (en) Structure of cross member for vehicle
JPH08142911A (en) Frame structure for low floor bus
KR20220009286A (en) Sidesill strucutr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