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79B1 -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79B1
KR102175479B1 KR1020180150337A KR20180150337A KR102175479B1 KR 102175479 B1 KR102175479 B1 KR 102175479B1 KR 1020180150337 A KR1020180150337 A KR 1020180150337A KR 20180150337 A KR20180150337 A KR 20180150337A KR 102175479 B1 KR102175479 B1 KR 10217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arketing
consumer
information
uniqu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785A (ko
Inventor
이미경
알룸 나비드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18015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고유코드 생성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명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처리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에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마케팅 제공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부착되는 고유코드를 기초로 개별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여 온라인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MARKETING BASED ON CONSUMER BEHAVIOR ANALYSIS}
본 발명은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부착되는 고유코드를 기초로 개별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여 온라인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으로 다양한 정보가 소통되고 인터넷 인프라가 발달하고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고객들은 온라인에서의 정보나 입소문에 근거해 오프라인에서 구매나 소비활동을 결정하고, 반대로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습득한 정보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구매를 하기도 하는 등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는 빠른 속도로 허물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비나 구매 행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에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이의 간극은 아직도 크다. 특히, 기업들은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를 고민하거나 구매해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 여정의 중요한 순간에 소비자 데이터를 취합하고 정제 활용해,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보다 적절한 고객 서비스로 선순환시키는 것을 원하지만, 오프라인 공간에서 기업이 예비 고객이나 진성 고객과의 접점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처럼 의료 전문가나 약국 등 진료 및 유통 채널에 의해 주로 소비자와의 접점이 간접적으로 이뤄지고 산업 특성상 소비자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취합이나 마케팅 활동이 특히 여의치 않는 부문의 경우 이와 같은 간극이 더욱 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에게 실제로 제품의 사용법이나 이용 권고 사항, 부작용 등 필요한 정보가 잘 전달됐는지, 실제 권고대로 잘 따르고 있는지, 또는 어떠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할지 등 소비자가 실제 제품을 활용하는 과정이나 그 전후 과정에 걸쳐 개인적인 고객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점차 극대화되고 있다.
타겟 마케팅(Target Marketing)이란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홍보 마케팅을 줄이는 대신 타겟을 세분함으로써 특정 고객층만을 공략하는 마케팅 기법을 말한다. 종래에는 수입차나 명품과 달리 대량 생산되는 상품을 구입하는 특정 대중을 상대로는 사실상 타겟 마케팅이 불가능하였다. 타겟 마케팅을 하려면 타겟이 되는 대상을 특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오프라인(Offline) 상에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일대일 설문조사 등을 수행하여 그 대상을 특정하는 방법 외에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특정 대중을 상대로 한 타겟 마케팅뿐만 아니라 대중들이 소비하는 상품 판매량을 조사하거나 실제로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거나 구매한 자인지 확인하는 과정 또한 오프라인 상에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일대일 설문조사를 수행하거나 많은 마케팅 비용을 지불해 멤버십 제도 등 이벤트 프로모션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적, 지역적 한계가 명확하며, 참여자들의 성의 있고 진실한 답변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마케팅 활동의 결과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력을 동원하여 설문조사 등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조사내용을 취합하고 취합된 자료를 가공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필요한 시기에 즉각적으로 소비자, 시청자 등의 반응이나 선호도 등을 알아볼 수가 없었다. 궁극적으로, 개개인의 구매상황에 적합한 개인적인 마케팅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3922 (2011.10.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07281 (2003.01.2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부착되는 고유코드를 기초로 개별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여 온라인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유코드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 각각에 디지털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고 상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개별 상품의 유통, 거래 및 마케팅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한,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추적되는 개별 상품정보와 상품에 대해 오프라인 상에서 개별 소비자가 상품 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기계학습을 통해 개별 소비자에게 최적의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고유코드 생성부,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처리부, 소비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마케팅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 생성부는 바코드, 큐알코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방식이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고유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처리부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특정 상품에 대해 자동 부여되는 상품 특정 아이디, 유통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마케팅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 처리부는 상기 상품 특정 아이디에 따른 상품 유형 또는 상품 위치를 포함하는 상품 특성을 검출하고 상기 상품 특성을 기초로 형성된 상품 그룹에 대한 그룹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정보 처리부는 상기 그룹 아이디가 동일한 특정 상품군에 대해서 상기 이벤트정보 각각을 상기 상품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상품군의 유통 정보 및 마케팅 제공 정보에 대한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정보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을 스캔한 소비자의 과거 스캔이력 및 마케팅에 따른 상품 구매확률을 포함하는 소비자 과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상기 그룹 아이디와 매칭된 상품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군을 세분화하고 제공된 마케팅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세분화된 고객군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반복적인 기계학습을 통한 상기 소비자 행동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마케팅의 타겟 및 종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특정 소비자의 특정 행동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특정 마케팅을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은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부착되는 고유코드를 기초로 개별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여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에 적절한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고유코드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 각각에 디지털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고 상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개별 상품의 유통, 거래 및 마케팅에 대한 실시간 추적과정에서 축적되는 해당 상품의 가변 정보에 따라 개별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마케팅 정보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실시간 추적되는 상품정보와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생성하는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개별 소비자를 식별하고, 특정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맥락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소비자군을 세분하고 각 소비자군 별로 제공되는 상품 관련 정보의 효과를 머신러닝을 이용해 예측하여 최적의 마케팅 캠페인을 추천하며 개인화된 마케팅 캠페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코드 생성부의 고유코드 생성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단말의 상품정보 생성과정 및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시스템(100)은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이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 사용자 단말(120), 상품(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는 상품(130)별로 고유한 디지털 아이덴티티(identity)에 해당하는 고유코드를 각각 부여하고, 상품(130)의 유통과정을 추적하거나, 오프라인에서 소비자 단말을 통해 상품(130)의 고유코드가 스캔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PC 또는 주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 이벤트정보 및 마케팅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은 판매자에 의해 입력된 개별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마케팅정보를 저장하고 소비자 단말은 소비자의 고유코드 스캔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저장된 상품정보 및 마케팅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네트워크,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내장 카메라 등을 통해 상품(130)의 고유코드를 스캔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상품(130)은 오프라인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류의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130)은 고유코드가 각각 부여된 개별 상품에 해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상품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130)은 각각 개별적으로 부여된 고유코드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에 부여된 고유코드는 QR 코드, 바코드 형태로 상품에 부착되거나 태그될 수 있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형태로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 가능하도록 상품에 부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의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을 위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상품정보, 이벤트정보 및 마케팅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가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이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4에 있는 사용자 행동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방법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는 적어도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 또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14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의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이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는 고유코드 생성부(310), 상품정보 처리부(320), 이벤트정보 처리부(330), 마케팅 제공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고유코드 생성부(310)는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는 오프라인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 각각에 대한 고유한 아이디로서 온라인에서 상품을 추적할 수 있는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유코드 생성부(310)는 오프라인상 상품에 부착 또는 태그되는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지속적으로 고유코드가 중복되지 않고 고유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유코드 생성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방식이 적용 가능하도록 고유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코드 생성부(310)는 상품에 인쇄 또는 태그(tag)된 바코드, 큐알코드 또는 내장된 NFC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에 의한 스캔 방식이 적용 가능한 고유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정보는 상품명, 가격, 상품의 유통기한, 생산자, 유통경로, 상품이미지, 상품설명 또는 기타 상품에 대한 서지적인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는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터넷 웹, 클라우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특정 고유코드를 부여받은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판매자 입력에 따라 상품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특정 상품에 대해 자동 부여되는 상품 특정 아이디를 포함하여 상품에 대한 유통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마케팅 정보를 상품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생성된 상품 특정 아이디에 따른 상품 특성을 검출하고 상품 특성을 기초로 상품 그룹을 형성하여 상품 그룹에 대해 그룹 아이디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 특성은 상품에 대한 특징적인 요소이며, 예를 들어, 상품의 유형, 상품이 제공되는 장소, 상품의 용도, 유통 정보, 저장된 마케팅 정보 또는 상품의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군에 대해 상품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품 그룹에 고유한 그룹 아이디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상품의 유통 경로 또는 마케팅 정보가 중복되는 상품들로 이루어진 상품군에 대해서 상품 그룹으로 형성하여 동일한 그룹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정보 처리부(320)는 특정 상품이 가진 적어도 하나의 마케팅 정보를 분석하여 마케팅 관련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마케팅 관련성이 특정 기준 이상이면 해당 상품을 관련 마케팅군으로 그룹화하여, 관련 마케팅군에 대해서는 동일한 그룹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소비자 단말에 의해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시점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그룹 아이디가 동일한 특정 상품군에 대해서 이벤트정보 각각을 상품정보와 비교하고 특정 상품군의 유통 정보 및 마케팅 정보에 대한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품이 스캔되면 이벤트정보를 생성하고 그룹아이디와 매칭되는 상품정보와 이벤트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에 해당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고 저장된 상품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그룹아이디와 매칭하여 상품 위치, 유통 정보 및 마케팅 정보를 추출한 후 스캔장소, 스캔시점 및 제공된 마케팅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이를 통해 상품의 유통 정보 및 마케팅 제공 정보에 관한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동일한 유통 정보를 기초로 형성된 동일 그룹아이디의 특정 스캔 시점에 따른 특정 스캔 장소를 분석하고 해당 그룹아이디의 상품정보에서 추출한 특정 시점의 유통 정보를 비교하여 올바른 매칭이 이루어지는지(즉, 상품이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유통과정을 통해 적합한 장소에 제공되었는지)여부를 결정하는 등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관련 마케팅군으로 생성된 그룹아이디의 상품정보에서 추출한 상품에 저장된 마케팅 정보와 해당 상품의 소비자 스캔에 따라 제공된 맞춤형 마케팅 정보를 비교하고 올바른 매칭이 이루어지는지(즉, 마케팅이 특정 상품에 저장된 마케팅 정보 중에서 제대로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등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품을 스캔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소비자 식별자를 통해 소비자의 과거 스캔이력 및 마케팅에 따른 상품 구매확률을 포함하는 소비자 과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비자의 과거 스캔이력은 과거의 스캔 장소, 스캔 시간, 스캔 상품 및 스캔 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소비자 단말이 특정 고유코드를 스캔하면 소비자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가지는 소비자 식별자의 검출을 시도하고, 검출되지 않으면 즉각적으로 해당 소비자의 소비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고유 코드 스캔에 따라 해당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소비자 식별자를 생성 또는 검출하여 해당 소비자의 과거 스캔이력을 포함하는 소비자 과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소비자 단말이 특정 상품을 스캔하면 해당 소비자에 대한 특정 마케팅 제공에 따라 이어지는 특정 상품의 구매확률을 추출할 수 있다. 이벤트정보 처리부(330)는 소비자 과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마케팅 제공부(340)의 마케팅 제공에 있어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마케팅 제공부(340)는 상품정보와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소비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저장된 특정 소비자의 스캔 장소, 스캔 시점 및 스캔 회수 등의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학습된 내용을 가지고 해당 소비자의 다음 이벤트정보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관련된 마케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이벤트정보에 따라 예측되는 소비자의 다음 스캔 장소 또는 다음 스캔 상품의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최적의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제공부(340)는 상품 가격, 상품의 위치, 브랜드 또는 이미지 등의 상품정보와 해당 상품의 이벤트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스캔 장소, 스캔 주체 및 스캔 시점 등을 실시간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소비자에 관한 프로필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의 주소, 소비자의 최근 스캔 상품 정보 등의 다양한 소비자 관련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품정보 및 이벤트정보와 함께 활용하고 최적의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그룹 아이디와 매칭된 상품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고객군을 세분화하고 제공된 마케팅에 따라 가변하는 상품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세분화된 고객군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특정 그룹 아이디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해서 스캔 장소와 스캔 주체 등의 이벤트정보를 통해 고객군을 해당 상품에 대한 고관여군 또는 저관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제공부(340)는 특정 가격의 특정 그룹 아이디에 대해서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시점에 특정 소비자에 의해서 스캔이 자주 혹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이를 기초로 상품에 대한 고객군을 고관여군 또는 저관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특정 그룹 아이디에 대한 소비자의 스캔 회수를 분석하여 특정 기준 회수 이상이면 해당 소비자를 고관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특정 그룹 아이디에 대한 스캔 장소를 분석하여 특정 스캔 장소에서 일정 기준 회수 이상 스캔이 발생되면 해당 스캔 장소의 소비자들을 고관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제공부(340)는 세분화된 고객군에 따라 제공된 마케팅에 따라 가변하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군을 실시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지속적인 마케팅 제공에 따라 저관여군에 속한 소비자의 스캔 회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소비자를 고관여군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케팅 제공부(340)는 고관여군과 저관여군에 대해서 제공되는 마케팅의 종류를 차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반복적인 기계학습을 통한 소비자 행동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마케팅의 타겟 및 종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맞춤형 마케팅의 타겟은 마케팅이 제공되는 소비자를, 맞춤형 마케팅의 종류는 광고제공, 할인제공, 유사상품 추천 등의 일정 기준에 따른 마케팅 분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상품정보와 이벤트정보의 실시간 업데이트에 따라 소비자 행동 패턴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적용하여 특정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케팅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상품에 대한 그룹아이디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그룹 아이디에 대한 이벤트정보의 기계학습을 통해 특정 그룹 아이디에 대한 가변하는 고관여군 또는 저관여군의 고객군을 타겟으로 맞춤형 마케팅을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케팅 제공부(340)는 소비자의 특정 행동에 대해서는 특정 마케팅을 고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마케팅 제공부(340)는 소비자의 행동 분석을 통해 특정 행동에 대해서 높은 확률로 이어지는 다음 행동을 예측하고 적절한 마케팅을 고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제공부(340)는 소비자의 스캔 시점, 스캔 회수 및 복수의 스캔들 사이 시간 간격의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스캔 시점, 회수 및 간격에 대해서 높은 확률로 구매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고 적절한 특정 마케팅을 고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마케팅 제공부(340)는 기계학습을 통해서 소비자의 특정 행동에 이어지는 다음 행동을 예측하고 맞춤형 특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고유코드 생성부(310), 상품정보 처리부(320), 이벤트정보 처리부(330) 및 마케팅 제공부(34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이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은 고유코드 생성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다(단계 S410).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은 상품정보 처리부를 통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명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20).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은 이벤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소비자 단말에 의해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소비자 단말에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 식별자,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을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은 마케팅 제공부를 통해 상품정보와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소비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40).
도 5는 도 4에 있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상품의 고유코드를 인식 및 인증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소비자 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시간 상품 스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특정 룰 엔진을 통해 실시간 스캔 정보를 수신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소비자 행동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고유코드와 매칭되는 상품에 대해서 상품정보 처리부 및 이벤트정보 처리부에 의해서 각각 상품 아이디, 프로파일 그룹 아이디(클래스 ID) 및 이벤트 로그(이벤트정보)를 매칭시켜 소비자에게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코드 생성부의 고유코드 생성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고유코드 생성부를 통해서 상품 각각에 대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유코드는 QR코드, NFC 및 기타데이터 식별자와 모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고유코드 생성부는 다양한 데이터 식별자들에 대해서 코드 포맷 컨버팅을 수행하여 맞춤형 마케팅 제공을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고유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단말의 상품정보 생성과정 및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상품정보 처리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다양한 프로파일을 담은 상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자에 의해서 상품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상품정보에 대해서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는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와 상품을 매칭시킬 수 있고 상품을 지칭하는 상품 특정 아이디를 생성하고 동일 또는 유사 상품군에 대해서 그룹 아이디(클래스ID)를 생성하여 상품에 대한 추적 및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시스템
110: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120: 사용자 단말
130: 상품
14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고유코드 생성부 320: 상품정보 처리부
330: 이벤트정보 처리부 340: 마케팅 제공부
350: 제어부

Claims (9)

  1. 상품에 대한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고유코드 생성부;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처리부;
    소비자 단말에 의해 상기 고유코드가 스캔되면 스캔 주체, 스캔 장소 및 스캔 시점을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을 스캔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소비자 식별자를 통해 상기 소비자의 과거 스캔이력 및 마케팅에 따른 상품 구매확률을 포함하는 소비자 과거 정보를 추출하는 이벤트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이벤트정보들로 기계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해 상기 소비자 단말에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는 마케팅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저장된 특정 소비자의 스캔 장소, 스캔 시점 및 스캔 회수를 포함하는 이벤트정보로 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해당 소비자의 다음 이벤트정보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되는 소비자의 다음 스캔 장소 또는 다음 스캔 상품의 고유코드에 매칭되는 마케팅을 제공하거나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의 주소, 소비자의 최근 스캔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정보 및 이벤트정보와 함께 활용하여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맞춤형 마케팅을 제공하고,
    반복적인 기계학습을 통한 상기 소비자 행동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마케팅의 타겟 및 종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특정 소비자의 특정 행동에 대해서는 특정 마케팅을 고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 생성부는
    바코드, 큐알코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방식이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고유코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처리부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특정 상품에 대해 자동 부여되는 상품 특정 아이디, 유통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마케팅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처리부는
    상기 상품 특정 아이디, 상기 유통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케팅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특성을 검출하고 상기 상품 특성을 기초로 분류된 상품 그룹에 대한 그룹 아이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정보 처리부는
    상기 그룹 아이디가 동일한 특정 상품군에 대해서 상기 이벤트정보 각각을 상기 상품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통해 상기 특정 상품군의 유통 정보 및 마케팅 제공 정보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 제공부는
    상기 그룹 아이디와 매칭된 상품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군을 세분화하고 제공된 마케팅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상기 세분화된 고객군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0337A 2018-11-29 2018-11-29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37A KR102175479B1 (ko) 2018-11-29 2018-11-29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337A KR102175479B1 (ko) 2018-11-29 2018-11-29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85A KR20200071785A (ko) 2020-06-22
KR102175479B1 true KR102175479B1 (ko) 2020-11-06

Family

ID=7114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337A KR102175479B1 (ko) 2018-11-29 2018-11-29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7809A (zh) * 2021-05-27 2021-07-27 微积分创新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一物一码用户消费行为自动聚类方法及应用系统
KR20220170134A (ko) * 2021-06-22 2022-12-29 김지현 온오프 사용자 행위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40042718A (ko) *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저스트원더 고객 선호도 예측에 기반한 상품 마케팅 방법
KR102545937B1 (ko) * 2022-11-25 2023-06-22 주식회사 넥스트비젼 재구매율 향상을 위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14B1 (ko) * 2016-06-30 2017-12-20 이재원 고객 맞춤형 홍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281A (ko) 2002-11-21 2003-01-23 (주)한정보기술 온라인/오프라인 통합형 네트워크 마케팅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1124696B1 (ko) * 2010-04-12 2012-03-20 송길영 상품 관련 인터넷 게시물에 기반한 광고 방법
KR20110113922A (ko)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에이에프투지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한 상품 마케팅 관리 방법 및 관리 시스템
KR20130118193A (ko) * 2012-04-14 2013-10-29 박재우 신뢰할수있는이벤트방법및시스템
KR101568650B1 (ko) * 2013-01-15 2015-11-13 김형수 스마트폰을 이용한 매장내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8485A (ko) * 2013-05-24 2014-12-04 서명성 일반적인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및 판매활동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KR101856305B1 (ko) * 2016-01-21 2018-05-09 이징호 라이프 스코링 시스템
KR102471443B1 (ko) * 2017-04-18 2022-1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광고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14B1 (ko) * 2016-06-30 2017-12-20 이재원 고객 맞춤형 홍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785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479B1 (ko) 소비자 행동분석 기반의 맞춤형 마케팅 제공 장치 및 방법
Bag et al. Journey of customers in this digital era: Understanding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user engagement and conversion
Fan et al. Demystifying big data analytics for business intelligence through the lens of marketing mix
Shah et al. Research trends on the usage of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vertising
Ngai et al. Machine learning in marketing: A literature review,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agenda
TW201203156A (en) Online and offline advertising campaign optimization
JP2021043581A (ja) 店舗利用情報配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店舗利用情報配信システム並びに店舗利用情報配信方法
CN103177129A (zh) 互联网实时信息推荐预测系统
CN116862592B (zh) 一种基于用户行为的sop私域营销信息自动推送方法
KR102458510B1 (ko) 실시간 보완 가능한 마케팅 시스템
CN111784405A (zh) 基于人脸智能识别knn算法的线下门店智能导购方法
Böttcher et al. Towards the digital self-renewal of retail: The generic ecosystem of the retail industry
Weingarten et al. Shortening delivery times by predicting customers’ online purchases: A case study in the fashion industry
KR101734053B1 (ko) 출석 관리 장치
JP2017091054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JP7231585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Singh Implementation benefit to business intelligence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KR102404247B1 (ko) 고객 관리 시스템
Santos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Retail Point of Sal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KR20220129271A (ko) Utm 기반의 소비자 행동 퍼널 분석을 이용한 마케팅 방법
JP2012014352A (ja) 需要予測装置及び需要予測方法
CN114331569A (zh) 一种商业空间内不同场景的用户消费行为分析方法及系统
JP7164508B2 (ja) 補正された効果に基づいてアイテムを選択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アイテム効果推定プログラム
KR20230070886A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오프라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40122199A1 (en) Method and system of collecting, storing and sharing digital coupons, rebates and offers utilizing a uniform data format communicated between multiple providers, platforms, and provision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