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30B1 -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30B1
KR102174830B1 KR1020190063570A KR20190063570A KR102174830B1 KR 102174830 B1 KR102174830 B1 KR 102174830B1 KR 1020190063570 A KR1020190063570 A KR 1020190063570A KR 20190063570 A KR20190063570 A KR 20190063570A KR 102174830 B1 KR102174830 B1 KR 10217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ignition transformer
unit
section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백
Original Assignee
아이피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15Quick-heating soldering irons having the tip-material forming part of the electr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 트랜스의 각 접점부위에 입력선과 출력선을 납땜하는 납땜공정과, 상기 입력선과 출력선을 포함하는 점화 트랜스 회로를 검사하는 회로 검사공정과, 및 상기 회로 검사공정에 의해 판정된 양품과 불량품의 점화 트랜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Automatic soldering system for ignition trans}
본 발명은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 트랜스의 각 접점부위에 입력선 또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선 또는 출력 커넥터를 납땜하는 납땜공정과, 상기 입력선 또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선 또는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점화 트랜스 회로를 검사하는 회로 검사공정과, 및 상기 회로 검사공정에 의해 판정된 양품과 불량품의 점화 트랜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나 경유 및 가스 등 연소물의 연소를 통해 열기를 생성하는 연소장치, 예를 들어 보일러에는 연소실 내에 점화봉에 고전압을 순간 방전시켜 연소물의 착화를 도모한다.
상기 연료봉의 착화를 위해 점화봉에 순간 방전되는 고전압은, 상용의 교류 전원(110V 내지 220V)을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점화봉으로 순간 방전하는 점화 트랜스를 통해 구현된다.
상기 점화 트랜스는, 본체 내에 점화 코일과 입력단과 출력단이 형성된 회로기판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회로기판의 입력단에 단부를 납땜한 입력선 또는 입력선과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가 형성되고, 본체의 타측에는 회로기판의 출력단에 단부를 납땜한 출력선 또는 출력선과 연결되는 출력 커넥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화 트랜스의 제조시 입력선 또는 입력 커넥터의 단부와 출력선 또는 출력 커넥터의 단부를 회로기판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납땜하는 공정이 불가피하게 요구되며,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인두기를 통해 해당 납땜 부위를 납땜하는 수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작업자가 일일이 납땜을 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납땜작업효율은 떨어지고, 땜납이 녹으면서 납땜가스가 발생되는데 작업자가 납땜가스를 마시게 되면 인체에 해롭다.
이에 당분야에서는, 작업자가 해당 지점에 납땜을 요하는 물품을 공급하면, 인두헤드가 하강하면서 납땜하도록 한 반자동 형태의 납땝장치들이 보급되었고, 이는 납땜 자체의 공정에 따른 편리성의 확보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납땜장치는 납땜을 요하는 물품의 연속적인 공급과 배출이 구현되지 아니한 관계로 작업자가 매번 납땜을 요하는 제품을 납땜장치에 낱개씩 공급하고, 또 납땜을 마친 제품을 배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므로 생산성이 낮은 한계성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 납땜장치에는 인두촉의 표면에 잔류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상기 인두촉의 표면에 잔류된 슬러지에 의해 납이 오염되어 납땜 품질이 저하되는 한계성을 갖는다.
KR 10-1583327 B1 KR 10-1798922 B1 JP 59102260 U JP 2010194553 A KR 2019950002804 Y1 KR 10-1246299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 트랜스의 각 접점부위에 입력선 또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선 또는 출력 커넥터를 납땜하는 납땜공정과, 상기 점화 트랜스 회로를 검사하는 회로 검사공정과, 및 상기 회로 검사공정에 의해 판정된 양품과 불량품의 점화 트랜스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며, 특히 점화 트랜스를 등각 회전시켜 각 구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향상된 공간 활용도를 갖도록 한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은,
등각 회전유닛을 통해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복수의 지그들을 등각 방사구조로 배치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등각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지그의 선회궤적상에 공급구간과, 납땜구간과, 검사구간, 및 선별 배출구간이 형성된 턴테이블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납땜구간에 배치되어, 지그에 안착되어 납땜구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접점부위를 납땜하는 납땜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검사구간에 배치되어, 검사구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회로를 검사하여 회로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검사부; 및
상기 턴테이블부의 검사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 검사부를 통해 판정된 점화 트랜스의 불량 여부에 따라 지그에서 점화 트랜스들을 취출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리 배출하는 선별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는 상부 개방형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의 내벽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외측벽을 지지하는 지지핀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납땜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실납을 용융시키는 인두촉; 및 실납타래에 권취된 실납을 인두촉에 전개하여 공급하는 실납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납 공급유닛은 하나 이상의 피딩롤러를 통해 실납타래에 권취된 실납을 전개하여 인두촉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부에 지그를 방사구조로 배치하여, 턴테이블의 등각 회전에 의해 점화 트랜스는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납땜부와, 회로 검사부와, 마킹부와, 선별 배출부에 의해 납땜공정과 회로 검사공정과 마킹공정과 선별 배출공정을 순차적으로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화 트랜스의 제작에 따른 연속성이 확보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특히 좁은 공간에서 이러한 일련의 공정의 수행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종래 점화 트랜스의 접점부위에 납땜을 실시한 다음, 이를 검사장치에 낱개씩 투입하여 점화 트랜스 회로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고, 또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품을 분리하여 배출함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이 단축되고, 특히 본 발명은 턴테이블부를 통해 각 점화트랜스가 등각 선회하면서 각 공정을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실납 공급유닛을 개량하여 실납에 배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실납의 순간적인 가열에 의한 폭발현상이 방지되고, 또 슬러지 제거유닛에 의해 인두촉은 항시 청결한 상태로 납땜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의해 납땜되는 점화 트랜스와 상기 점화 트랜스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지그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에 마련된 실납 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에 마련된 슬러지 제거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선별 배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의해 납땜되는 점화 트랜스와 상기 점화 트랜스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지그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에 마련된 실납 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납땜부에 마련된 슬러지 제거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에 있어, 선별 배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납땜 시스템(1)은, 점화 트랜스(10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11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예비 결속된 입력선(120) 또는 입력 커넥터의 단부와 출력선(130) 또는 출력 커넥터의 단부를 자동으로 납땜하고, 또 납땜된 회로를 검사하여 선별 배출하는 점화 트랜스 전용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입력선(120) 또는 입력 커넥터와, 출력선(130) 또는 출력 커넥터가 납땜되어 제조되는 점화 트랜스(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10)과 점화코일(미도시)을 수납한 점화 트랜스(100)와; 상기 회로기판(110)의 입력단에 납땜되는 한 쌍의 입력선(120) 또는 입력선과 결속되는 입력 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110)의 출력단에 납땜되는 한 쌍의 출력선(130) 또는 출력선과 결속되는 출력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1)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12)을 통해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턴테이블(11)에 복수의 지그(13)들을 등각 방사구조로 배치된 턴테이블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턴테이블(11)의 등각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지그(13)의 선회궤적상에는, 공급구간(10A)과, 납땜구간(10B)과, 마킹구간(10C)과, 검사구간(10D), 및 선별 배출구간(10E)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화 트랜스(100)를 안착한 각 지그(13)들은 턴테이블(11)의 등각 회전에 의해 공급구간(10A)과, 납땜구간(10B)과, 마킹구간(10C)과, 검사구간(10D), 및 선별 배출구간(10E)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납땜구간(10B)에는 점화 트랜스(10)의 접점부위, 즉 회로기판(110)의 입력단과 출력단, 그리고 상기 입력단에 예비 결속된 입력선(120), 출력단에 예비 결속된 출력선(130)을 납땜하는 하나 이상의 납땜부(20)가 배치되고, 상기 검사구간(10D)에는 검사구간(10D)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100)의 회로를 검사하여 회로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검사부(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 배출구간(10E)에는 검사구간(10D)을 통해 판정된 점화 트랜스(100)의 불량 여부에 따라, 지그(13)에서 점화 트랜스(100)에서 취출하고 취출된 점화 트랜스(100)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부(50)가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턴테이블부(10)의 선회 궤적상에 마킹구간(10C)을 형성하고, 상기 마킹구간(10C)에 점화 트랜스(100)의 표면에 마킹정보를 표식하는 마킹부(30)를 배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1)은 등각 회전하는 점화 트랜스(100)의 접점부위를 납땜하는 납땜공정과, 상기 점화 트랜스의 외벽에 마킹정보를 마킹하는 마킹공정과, 상기 점화 트랜스의 회로를 검사하여 회로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검사공정, 및 상기 회로 검사공정에 의해 판정된 양품의 점화 트랜스와 불량품의 점화 트랜스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100)의 주요구성 요소들의 세부 구성과 작용을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턴테이블(11)에 등각 방사구조로 배치되어 점화 트랜스(100)를 안착하여 고정하는 지그(13)는, 도 1에서 보는 보는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의 안착공간이 형성된 지그본체(13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본체(13a)의 안착공간 내에 복수의 탄성 지지핀(13b)들을 방사구조로 배치하여,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점화 트랜스(100)는 탄성 지지핀(13b)들에 의해 방사구조로 탄성 지지 구속되어서,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13)에 납땜과정에 생성되는 납연기를, 납땜구간(10B)의 상부에 배치된 셕션유닛(28)으로 송풍 유도하며, 용융된 납땜의 신속한 냉각을 도모하는 송풍구(13c)들을 형성하여서, 상기 납땜구간(10B) 내에서 접점부위의 납땜과정에 송풍구(13c)들을 통해 공기를 상향 토출함으로써, 용융된 납의 신속한 냉각과 함께, 납연기가 셕션유닛(28)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부(10)의 등각 회전에 의해 납땜구간(10B)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10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예비 결속된 입력선(120) 또는 입력선과 결속된 입력 커넥터와, 출력선(130) 또는 출력선과 결속된 출력 커넥터를 납땜하는 납땜부(20)는, 도 5와 같이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2)과; 상기 베이스(21)에 고정되어 실납(S)을 용융시키는 인두촉(23); 및 하나 이상의 피딩롤러(24b)를 통해 실납타래(25)에 권취된 실납(S)을 인두촉(23)에 전개하여 공급하는 실납 공급유닛(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텐테이블부(10)의 등각 회전에 의해 지그(13)에 안착된 점화 트랜스(100)가 납땜구간(10B)에 위치하면, 상기 베이스(21)는 하강하여 점화 트랜스(10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가열된 인두촉(23)을 접단하고, 이와 동시에 실납 공급유닛(24)은 가열된 인두촉(23)에 실납(S)을 공급하여 예열된 입력선(120)의 단부, 또는 출력선(130)의 단부가 회로기판(110)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납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해당 지그에 마련된 송풍구(13c)에서는 공기를 상향 토출하여, 용융된 실납의 신속한 냉각을 통해 접점부위의 신속한 납땜을 도모하고, 또 납땜과정에 생성된 납연기가 상부에 배치된 셕션유닛(28)으로 신속히 유입하여 포집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납땜부(20)를 통한 납땜과정 중에 실납(S)은 인두촉(23)에서 제공되는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이러한 고온 노출에 의해 실납(S)의 중공부 내에 충진된 플럭스(F)는 급속히 팽창하면서 외부로 순간 유출되는 소위, 폭발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납(S)의 폭발현상이 발생되면, 인두촉(23)에 정량의 실납의 공급이 어려워 납땜이 불량해지고, 또 폭발에 의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및 점화 트랜스 등의 오염이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과 같이 상기 실납 공급유닛(24)에, 인두촉(23)에 공급되는 실납(S)에 간헐적으로 플럭스(F)가 충진된 중공부와 연통하는 배기공(H)들을 형성하는 배기공 형성구조를 부가하여서, 실납(S)의 내부에 충진된 플럭스(F)가 폭발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배기공 형성구조는, 상기 실납 공급유닛(24)을 구성하는 피딩롤러(24b)의 외벽에 형성되어, 인두촉(23)에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실납(S)의 피막층을 국부적으로 절취하여서, 실납(S)의 표면층에 배기공(H)을 국부적으로 형성하는 절취돌기(24b-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납 공급유닛(24)에 실납(S)의 외경을 국부적으로 감싸는 안내로(24a-a)가 형성된 가이드 블록(24a)을 배치하고, 상기 피딩롤러(24b)의 외경 양측에는 가이드 블록(24a)에 노출된 실납(S)의 양측을 국부 가압 절취하여 실납(S)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배기공(H)을 형성하는 절취돌기(24b-a)들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피딩롤러(24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납(S)은 해당 피딩롤러(24b)에 마련된 절취돌기(24b-a)들에 의해 국부적으로 절취되고, 결과적으로 인두촉(23)에 공급되는 실납(S)의 외벽에는 플럭스(F)가 충진된 중공부와 연통하는 배기공(H)들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실납(S)은 피딩롤러(24b)에 의해 과도하게 절취되지 아니하고 피딩롤러(24b)의 양측에 형성된 절취돌기(24b-a)에 의해 양측이 국부적으로 절취되어 배기공(H)이 형성되므로, 실납(S)은 완전히 절단되지 아니하면서 정형화된 형상을 유지하면서 배기공(H)의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납 공급유닛(24)의 피딩롤러(24b)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인두촉(23)에 공급되는 실납(S)은 피딩롤러(24b)에 의해 배기공(H)들이 형성된 관계로, 인두촉(23)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전열을 제공받아 가열되더라도, 고온 가열된 플럭스(F), 및 고온 가열에 의해 중공부 내에 생성된 가스는 배기공(H)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납땜부(20)는 납땜구간(10B)에 순차적으로 진입되는 각 점화 트랜스(100)의 접점부위를 지속적으로 납땜하더라도, 배기공(H)에 의해 실납(S)의 중공부 내에 충진된 플럭스(F), 및 플럭스(F)의 순간 가열에 의해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실납(S)이 폭발하거나 실납(S)의 폭발에 의해 주위가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납땜부(20)에 납땜에 의해 인두촉(23)의 표면에 잔류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 유닛(26)을 배치한다.
상기 슬러지 제거유닛(26)은, 외경에 브러쉬모(26b)들이 형성된 브러쉬 롤러(26a)로 구성되며, 인두촉(23)은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26a) 사이에 절입되어, 브러쉬 롤러(26a)에 형성된 브러쉬모(26b)와의 물리적인 간섭에 의해 표면에 잔류된 슬러지가 제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러쉬 롤러(26a)에는 복수의 분출공(26c)들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롤러(26a) 내에는 세정액이 충진 공급하여서, 상기 브러쉬 롤러(26a)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모(26b)에는 세정액들이 도포되어 인두촉(23)의 보다 안정적인 청결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롤러(26a)의 하부에는 포집조(27)를 형성하고 상기 포집조(27)에는 브러쉬 롤러(26a)에 형성된 브러쉬모(26b)를 간섭하는 간섭바(27a)를 배치한다.
상기 간섭바(26a)는, 도 7과 같이 강선을 나선으로 권취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브러쉬모(26b)의 탄력적인 간섭을 도모한다.
상기 슬러지를 제거한 브러쉬모(26b)는 간섭바(27a)와의 간섭에 의해 슬러지를 탈리하고 탈리된 슬러지는 포집조(27) 내에 포집되어서, 슬러지가 브러쉬모(26b)에 잔류하는 현상이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납땜부(20)는 실납 공급유닛(24)에 마련된 배기공 형성구조에 의해 실납(S)의 중공부에 충진된 플럭스(F)와 생성된 가스에 의한 실납의 폭발현상이 예방되고, 또 상기 인두촉(23)은 항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납땜과정에 생성된 연기는 지그(13)에 마련된 송풍구(13c)와, 납땜부(13c)에 마련된 셕션유닛(28)에 의해 안정적인 포집이 가능하므로, 항시 위생적인 작업환경이 조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납땜부(20)가 배치된 납땜구간(10B)을 통과하면서 납땜이 완료된 점화 트랜스(100)는, 턴테이블부(10)의 등각 회전에 의해 마킹부(30)가 마련된 마킹구간(10C)를 통과하면 외벽에 각종 마킹정보들이 마킹되고, 이후 회로 검사부(40)가 배치된 검사구간(10D)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회로 검사부(40)는 검사포트를 통해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접점 및 전류를 통전하여서, 점화 트랜스(100)에 수납된 점화코일과, 상기 점화코일과 통전하는 출력선과 입력선의 통전상태, 그리고 점화코일을 통해 출력되는 파형을 검사하여서, 해당 점화 트랜스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공정을 마친 점화 트랜스(100)는 턴테이블부(10)에 의해 등각 회전하여 선별 배출구간(10E)으로 이동한 다음, 선별 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 선별하여 배출된다.
상기 선별 배출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품 배출구(51a)와 불량품 배출구(51b)가 각각 구획하여 형성된 배출 가이드(51)와; 지그(13)에 안착된 점화 트랜스(100)를 협지 및 취출하여, 수평, 수직 이동을 통해 회로 검사부(40)에 의해 판정된 판정값, 양품 배출구(51a)와 불량품 배출구(51b) 중 어느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점화 트랜스(100)를 배출하는 캐리어 유닛(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유닛(52)은 지그(13)에 안착된 점화 트랜스(100)를 협지하는 클램프(52a)와; 상기 클램프(52a)를 수직 및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 배출부재(52b)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배출부재(52b)로는 수평, 수직의 공압 실린더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턴테이블부(10)를 통해 지그(13)에 점화 트랜스(100)를 안착시켜 등각 회전을 통해 구간 이동시키면서, 구간 이동되는 점화 트랜스(100)에 입력선(120)과 출력선(130)을 납땜하는 납땜공정과; 표면에 마킹정보를 마킹하는 마킹공정과; 회로기판(110)과 입력선(120) 및 출력선(130)의 회로를 검사하는 회로 검사공정과; 회로 검사공정에 의해 검출된 판정값에 따라 점화 트랜스(100)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 배출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게 된다.
1.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10. 턴테이블부 10A. 공급구간
10B. 납땜구간 10C. 마킹구간
10D. 검사구간 10E. 선별 배출구간
11. 턴테이블 12. 구동유닛
13. 지그 13a. 지그본체
13b. 지지핀 13c. 송풍구
20. 납땜부 21. 베이스
22. 이송유닛 23. 인두촉
24. 실납 공급유닛 24a. 가이드 블록
24a-a. 안내로
24b. 피딩롤러 24b-a. 절취돌기
25. 실납타래 26. 슬러지 제거유닛
26a. 브러쉬 롤러 26b. 브러쉬모
26c. 분출공 26d. 세정액
27. 포집조 27a. 간섭바
28. 셕션유닛
30. 마킹부 40. 회로 검사부
50. 선별 배출부 51. 배출 가이드
51a. 양품 배출구 51b. 불량품 배출구
52. 캐리어 유닛 52a. 클램프
52b. 이송 배출부재
100. 점화 트랜스 110. 회로기판
120. 입력선 130. 출력선
S. 실납 H. 배기공
F. 플럭스

Claims (4)

  1. 등각 회전유닛을 통해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복수의 지그들을 등각 방사구조로 배치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등각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선회하는 지그의 선회궤적상에 공급구간과, 납땜구간과, 검사구간, 및 선별 배출구간이 형성된 턴테이블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납땜구간에 배치되어, 지그에 안착되어 납땜구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접점부위를 납땜하는 납땜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검사구간에 배치되어, 검사구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회로를 검사하여 회로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검사부; 및
    상기 턴테이블부의 검사구간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 검사부를 통해 판정된 점화 트랜스의 불량 여부에 따라 지그에서 점화 트랜스들을 취출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리 배출하는 선별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납땜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실납을 용융시키는 인두촉; 및 실납타래에 권취된 실납을 인두촉에 전개하여 공급하는 실납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실납 공급유닛에, 인두촉에 공급되는 실납에 간헐적으로 플럭스가 충진된 중공부와 연통하는 배기공들을 형성하는 배기공 형성구조를 부가하고,
    상기 배기공 형성구조는, 상기 실납 공급유닛에 실납의 외경을 국부적으로 감싸는 안내로가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배치하고, 피딩롤러의 외경 양측에는 가이드 블록에 노출된 실납의 양측을 국부 가압 절취하여 실납의 중공부와 연통하는 배기공을 형성하는 절취돌기들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부 개방형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의 내벽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 내에 진입된 점화 트랜스의 외측벽을 지지하는 지지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납 공급유닛은 하나 이상의 피딩롤러를 통해 실납타래에 권취된 실납을 전개하여 인두촉에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KR1020190063570A 2019-05-30 2019-05-30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KR10217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70A KR102174830B1 (ko) 2019-05-30 2019-05-30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70A KR102174830B1 (ko) 2019-05-30 2019-05-30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830B1 true KR102174830B1 (ko) 2020-11-05

Family

ID=7324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70A KR102174830B1 (ko) 2019-05-30 2019-05-30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3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260U (ja) 1982-12-24 1984-07-10 下村 泰造 自動ハンダ付け装置における鏝先きクリ−ニング装置
KR950002804U (ko) 1993-07-22 1995-02-16 홍경표 P.p사 휠 브라쉬
JP2001001222A (ja) * 1999-06-18 2001-01-09 Sony Corp 受け渡し式の加工検査装置
JP2010194553A (ja) 2009-02-23 2010-09-09 Calsonic Kansei Corp 半田付け装置
KR101246299B1 (ko) 2010-12-17 2013-03-21 주식회사 에이스컴텍 자동 납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땜방법
KR101575690B1 (ko) * 2014-11-07 2015-12-08 주식회사 디에스티시스템 레이저 솔더링 장치
KR101583327B1 (ko) 2014-02-13 2016-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납땜장치
KR101694471B1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다품종 단자용 브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공법
KR101798922B1 (ko) 2017-05-15 2017-11-17 (주)은성전장 자동납땜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260U (ja) 1982-12-24 1984-07-10 下村 泰造 自動ハンダ付け装置における鏝先きクリ−ニング装置
KR950002804U (ko) 1993-07-22 1995-02-16 홍경표 P.p사 휠 브라쉬
JP2001001222A (ja) * 1999-06-18 2001-01-09 Sony Corp 受け渡し式の加工検査装置
JP2010194553A (ja) 2009-02-23 2010-09-09 Calsonic Kansei Corp 半田付け装置
KR101246299B1 (ko) 2010-12-17 2013-03-21 주식회사 에이스컴텍 자동 납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납땜방법
KR101583327B1 (ko) 2014-02-13 2016-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납땜장치
KR101575690B1 (ko) * 2014-11-07 2015-12-08 주식회사 디에스티시스템 레이저 솔더링 장치
KR101694471B1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다품종 단자용 브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공법
KR101798922B1 (ko) 2017-05-15 2017-11-17 (주)은성전장 자동납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062B (zh) 一种带线充电器自动化生产工艺
CN110231501B (zh) 一种探针卡、包括探针卡的测试设备、测试方法
KR102174830B1 (ko) 점화 트랜스용 자동 납땜 시스템
CN108515329B (zh) 汽车头灯自动装配系统
EP02096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42558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libly marking articles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RU249573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чатых радиаторов и с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324086A (zh) 一种焊接绕组的焊点无损检测方法
US6268697B1 (en) Flash discharge tube having exterior trigger electrode
CN205496862U (zh) 一种焊接固定装置
KR102278774B1 (ko) 프로브 카드 리페어 방법
KR102322550B1 (ko) 프로브 카드 리페어 장치
JP3334731B2 (ja) 電子部品端子間の接続方法及び接続装置
KR102286901B1 (ko) 프로브 카드 리페어 장치용 그리퍼
KR100674492B1 (ko) 퓨즈용 공기 냉각 납땜 장치 및 방법
CN109570795B (zh) 一种高温放射源焊接方法
CN113084293A (zh) 焊锡笔及印制电路板锡孔的维修方法
US5575417A (en) Solid state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RF insulator-encapsulated contact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es
EP1691207A1 (en) Method for qualifying joints and contacts of electric circuits
CN219810976U (zh) 一种用于继电器的无壳体固定式引脚连线装置
KR20240043050A (ko) 부스바 가공 및 검사장치
CN101209510A (zh) 用相同金属材料作焊丝的氩弧焊堆焊修补技术
CN110880435B (zh) 一种用于继电器的引脚连线装置及连线方法
JPS6074542A (ja) 集積回路部品用自動検査装置
CN110666274B (zh) 焊接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