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06B1 - 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 Google Patents

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06B1
KR102174806B1 KR1020197000606A KR20197000606A KR102174806B1 KR 102174806 B1 KR102174806 B1 KR 102174806B1 KR 1020197000606 A KR1020197000606 A KR 1020197000606A KR 20197000606 A KR20197000606 A KR 20197000606A KR 102174806 B1 KR102174806 B1 KR 10217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coating liquid
layer
compound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6090A (en
Inventor
히로시 기타
다츠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H01L51/0005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포액은,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in the range of 1 ppm or more and the saturation concentration for the organic solv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ide.

Description

도포액, 그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본 발명은 도포액, 그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기 재료에 부착된 수분이나 산소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양호한 성능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도포액, 그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ting liqui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 ink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in particular, it efficiently removes moisture or oxygen adhering to an organic material, and is excellent. It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 coating liquid capable of producing a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 ink for producing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1. 유기 전자 디바이스의 보급 상황과 현상의 과제1. Dissemin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and challenges

유기 화합물을 이용한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organic elec,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troluminescent diode: 「OLED」, 「유기 EL 소자」라고도 함), 유기 광전 변환 소자, 및 유기 트랜지스터 등의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그들의 기술적 진전에 수반하여, 여러 가지 산업ㆍ시장 분야에서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organic compound, for exampl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ic elec,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etc.) can be used.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EL devic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s, and organic transistors have been developed, and with their technological progress, their spread in various industrial and market fields is progressing. .

예를 들어, 유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형적 예인 유기 EL 소자는, 디스플레이나 조명, 인디케이터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용이 개시되어, 이미 액정 디스플레이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함께 현재의 생활에 파고 들어가, 앞으로 비약적 보급 확대기를 맞이하려고 하고 있다.For example, an organic EL device,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isplays, lighting, and indicators, and has already penetrated into the present life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Enter, and in the future, we are going to reach a period of rapid expansion of supply.

그러나, 유기 EL 소자 등의 유기 전자 디바이스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그 연구ㆍ개발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수없이 잔존하고 있다. 특히,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유래하는 여러 가지 문제가, 각종 유기 전자 디바이스에 공통되거나 혹은 특유의 문제로서 잔존하고 있다. 이들 해결해야 할 문제는, 양자 효율이나 발광 수명 등의 성능의 한층 더한 향상과, 생산성의 한층 더한 향상 즉 비용 절감에 직결되는 궁극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such as organic EL elements, numerous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main. In particular, various problems resulting from the use of organic compounds remain common to or unique to various organic electronic devices. These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problem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further improvement in performance such as quantum efficiency and light emission life, and further improvement in productivity, that is, cost reduction.

상기 궁극적 과제 중, 성능면의 과제에 대해서는, 전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유기 EL 소자는, 이미 스마트폰의 메인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나, 50인치를 초과하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상품이 되어 시장에 나오고 있는 것, 조명ㆍ사이니지에 있어서도, 백색 소자에서 139Lm/W라고 하는, 형광등의 약 2배의 발광 효율이 달성되고 있는 것이나 적색 인광 소자나 녹색 인광 소자에서는 휘도 반감 수명이 100만 시간의 장수명화가 달성되고 있고, 가장 어려운 청색 인광 소자에서도 10만 시간을 초과하는 결과도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정교하고 치밀한 층 구성이나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이미 실용에 충분한 레벨에는 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Among the ultimate challenges above, regarding the performance issues, in electronic displays, organic EL elements are already used in the main display of smartphones, and large displays exceeding 50 inches are becoming products and appearing on the market. In lighting and signage, the luminous efficiency of 139Lm/W in white devices, which i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fluorescent lamps, has been achieved, but the luminance half-life of 1 million hours in red phosphorescent devices and green phosphorescent devices has been achieved. In view of the fact that even in the most difficult blue phosphorescent device, results exceeding 100,000 hours are produced, it is considered that the level has already reached a level sufficient for practical use by performing elaborate and fine layer construction and film formation with great care.

한편, 생산성, 즉 비용면의 과제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래의 유기 EL 소자의 이점인, RGB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양산에 이르고 있지 못하는 것이나, 생산 부하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어 있는 도포법에 의한 제조 방법이, 용매나 유기 재료의 정제 및 취급에 있어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크다.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roductivity, that is, cost, as described later, the RGB side-by-side display,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original organic EL device, has not reached mass production for large-sized displays, and reduced production load. The manufacturing method by the coating metho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still has a large room for improvement in the purification and handling of solvents and organic materials.

즉, 생산성이 낮은 것을 해결하는 것은, 유기 EL 소자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다른 유기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유기 광전 변환 소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That is, it can be said that solving the problem of low productivity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developing an organic EL device. In addi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for other organic electronic devices, such as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 특히 생산성에 관한 궁극적 과제의 관점에서, 유기 전자 디바이스의 전형적 예인 유기 EL 소자의 제조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So, in the following,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the ultimate problem related to productivity,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an organic EL element which is a typical example of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demonstrated.

2. 유기 기능층 형성법에 관한 문제점2. Problems with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ation method

우선, 유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방법, 즉 진공 증착법(「진공 증착 성막법」이라고도 함)과 습식 도포법(「웨트 코팅법」, 「습식 도포 성막법」이라고도 함)에 기인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problem caused by the method of forming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that is, the vacuum evaporation method (also referred to as the ``vacuum vapor deposition method'') and the wet coating method (also referred to as the ``wet coating method'' and the ``wet coating film forming method'') will be described. do.

2.1. 유기 기능층에 대한 수분과 산소의 영향2.1. Effects of moisture and oxygen on organic functional layers

유기 EL 소자는, 유기 기능층의 하나인 발광층 중에 존재하는 발광 재료(일반적으로는 「도펀트」라고도 함)에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고, 그 재결합이 일어났을 때 생기는 여기자가, 기저 상태로 복귀될 때 광을 방출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In the organic EL device,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into a light-emitting material (generally referred to as a ``dopant'') present in a light-emitting layer, which is one of the organic functional layers, and excitons generated when the recombination occurs are returned to the ground state. The basic principle is to emit light.

이 여기자는, 그 이름 그대로 여기 상태에 있는 매우 활성의 화학종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물 분자나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분해나 변성 등의 화학 변화 또는 상태 변화를 일으키기 쉽고, 발광성이 감소해 버린다. 즉, 발광 수명이 감소되어 버리는 요인의 하나이다.Since this exciton is a very active species in an excited state as its name suggests, it readily reacts with water molecules or oxygen molecules to cause chemical changes or state changes such as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and luminescence decreases. That is, it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crease the light emission lifetime.

즉, 발광층과 같은 유기 기능층을 형성할 때에는, 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전혀 수분이나 산소가 들어가지 않는 환경 하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That is, when form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such as a light emitting layer, it is necessary to perform it in an environment where no moisture or oxygen enters in the forming process.

한편, 유기 EL 소자에서는, LED와는 달리,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존재 상태는 결정이 아니라 아몰퍼스(비정질)인 것이 고효율 발광의 조건이 된다. 따라서, 균질의 아몰퍼스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성막 중에 있어서의 유기 화합물의 분자 상태(아몰퍼스 상태) 및 그 주위의 환경이 일정할 것이 요망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EL device, unlike LEDs, the presence of the organic compound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layer is not crystal but amorphous (amorphous) is a condition for highly efficient light emission. Therefore, in order to form a homogeneous amorphous film, it is desired that the molecular state (amorphous state) of the organic compound during film 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 constant.

따라서, 상술한 수분이나 산소에 의한 폐해 방지와 유기 화합물을 아몰퍼스 상태로 할 필요성 등의 이유로부터, 이제까지의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는 유기 EL 소자의 유기 기능층에 대한 성막 방법은, 진공 증착법에 따른 것이었다. 이미 양산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용 유기 EL 디스플레이도, 대형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도, 유기 기능층의 성막 방법에는 증착법이 채용되고 있다.Therefore, from the reasons such as the above-described prevention of damage due to moisture or oxygen an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organic compound an amorphous state, the deposition method for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of the organic EL device exhibiting good performance so far was according to the vacuum evaporation method. . The organic EL displays for smartphones, which are already mass-produced, and organic EL displays used in large-sized televisions, also employ a vapor deposition method for form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2.2. 진공 증착법에 의한 유기 기능층 형성의 문제점2.2. Problems of forming organic functional layer by vacuum evaporation method

그러나, 진공 증착법에 의해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는 경우, 발광색 재현 방식에 관한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 device by a vacuum evaporation method,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color reproduction method.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는 자발광이며, 발광색은 발광층을 구성하는 발광 재료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적색(Red: R), 녹색(Green: G), 청색(Blue: B)의 화소마다, 각각의 발광색의 유기 EL 소자를 만들고, 그것을 어레이화하여 디스플레이로 하는 방법(RGB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이 채용되어 왔다.Organic electroluminescence is self-luminous, and since the luminous color is uniquely determined by the light-emit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emitting layer, basically, red (Red: R), green (Green: G), and blue (Blue: B) A method (RGB side-by-side method) has been employed in which an organic EL element of each luminous color is made for each of the pixels, and arrayed to form a display.

RGB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의 경우, RGB 각각의 화소로, 상이한 발광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대면적에서 행하기 위해, 쉐도우 마스크를 화소마다 어긋나게 하면서 각 화소를 형성해 가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때, 발광층 등의 형성(성막) 방법이 진공 증착법이기 때문에, 증착원으로부터의 복사열로 쉐도우 마스크가 열팽창되어, 화소 어긋남을 일으켜 버린다고 하는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RGB side-by-side method, it is necessary to form different light emitting layers for each of the RGB pixels, and in order to perform this in a large area, a method of forming each pixel while shifting the shadow mask for each pixel is common. At this time, since the formation (film form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or the like is a vacuum evaporation method, there is a decisive problem in that the shadow mask is thermally expanded by radiant heat from the evaporation source, resulting in pixel shift.

이 결정적인 문제 때문에, 스마트폰용 소형 내지 중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는, RGB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으로 년간 수억 패널 생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0인치를 초과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쉐도우 마스크의 열변형으로부터 발단된 제조 수율이 낮아, 대규모 생산은 행해지지 않고 있다.Due to this critical problem, small to medium-sized displays for smartphones are produced by the RGB side-by-side method and hundreds of millions of panels per year, but for large displays exceeding 50 inches, the manufacturing yield derived from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shadow mask. It is low, and large-scale production is not performed.

한편, 풀 컬러를 재현하는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서, 유기 EL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백색광을, 컬러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RGB로 색 분할되어 풀 컬러로 재현되는 방식(컬러 필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미 양산화되어 있는 대형 디스플레이는, 화소마다, 백색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가 어레이화된 것이며, 컬러 필터 방식으로는 독립적인 화소로 콘트라스트가 높은 발광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유기 EL 소자 애초의 이점ㆍ특징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for reproducing full color, a method in which white light obtained from an organic EL element is passed through a color filter to be color-divided into RGB and reproduced in full color (color filter method) is adopted. Large-scale displays that have already been mass-produced have an array of organic EL elements that emit white light for each pixel, and the color filter method provide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organic EL elements that can obtain high-contrast light emission with independent pixel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fully exercised.

2.3. 습식 도포법에 의한 유기 기능층 형성의 가능성2.3. Possibility of forming organic functional layer by wet coating method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기능층은 4층 내지 7층 정도의 적층 구조를 채용하고, 또한 전체의 층(막) 두께는 100 내지 200nm 정도이다. 이 이상 지나치게 얇으면, 하지층이 되는 전극의 표면 조도의 영향으로, 양극과 음극이 부분적으로 단락되어 버려, 전류 누설 현상이 일어나 버린다.The organic functional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EL element adopts a lamination structure of about 4 to 7 layers, and the overall layer (film) thickness is about 100 to 200 nm. If it is too thin than this,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partially short-circuit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electrode serving as the underlying layer, resulting in a current leakage phenomenon.

또한, 이보다 두꺼우면, 유기 EL 소자의 전하 전도 기구가 옴의 법칙과 달리, 차일드 법칙에 준한 공간 전하 제한 전류(space charge limited current: SCLC)이기 때문에, 흐르는 전류 밀도는 전극간 거리의 3승에 반비례해 버린다는 점에서, 대폭적인 구동 전압 상승이 일어나, 소비 전력이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In addition, if it is thicker than this, since the charge conduction mechanism of the organic EL device is a space charge limited current (SCLC) according to the Child's Law, unlike Ohm's Law, the flowing current density is the third power of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Since it is inversely proportional, there arises a problem that a large drive voltage rise occurs and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유기 EL 소자의 유기 기능층은 저분자 화합물을 증착 성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저분자 화합물 대신에, 폴리페닐렌비닐렌이나 폴리플루오렌 등과 같은 π 공액계 고분자를 캐리어 이동과 발광의 양쪽에 활용하는 발광 폴리머(light emitting polymer: LEP)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폴리머 재료는 증착 성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핀 코트나 다이 코트, 플렉소 인쇄, 잉크젯 프린팅 등의 습식 도포법(습식 성막법, 웨트 코팅법)에 의해 유기 기능층을 제작하게 된다.Although it is common for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of an organic EL device to deposit a low-molecular compound, instead of a low-molecular compound, a π-conjugated polymer such as polyphenylene vinylene or polyfluorene is used for both carrier movement and light emission. There is also a method of using a light emitting polymer (LEP). Since a polymer material cannot be deposited by vapor deposition, an organic functional layer is produced by a wet coating method (wet film forming method, wet coating method) such as spin coat, die coat, flexo printing, and inkjet printing.

또한, 증착 가능한 저분자 화합물이라도, 화합물의 분자 구조와 용해시키는 용매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나노미터 오더로 평활한 도포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2010년에 코니카 미놀타는, 저분자 화합물을 4층 적층 도포하여, 고효율 발광하는 인광 백색 소자의 시작품을 발표하였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mooth coating film on the order of nanometers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compound and the solvent to dissolve, even for a low-molecular compound capable of evaporation.In 2010, Konica Minolta applied four layers of low-molecular compounds. Thus, a prototype of a phosphorescent white device emitting high-efficiency light was presented.

현재에는, 전세계 기업이나 연구 기관에서, 이 방법, 즉 저분자 재료를 습식 도포법(웨트 코팅법)에 의해 유기 EL 소자로 제작하는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t present,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e organic EL devices by this method, that is, a wet coating method (wet coating metho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그러나,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용매나 유기 재료(용질)의 정제 및 취급에 있어서, 도포액 중에 함유되는 용존하기 쉬운 수분이나 산소에 기인하는 문제는 충분히 해결되어 있지 않다.However, as described later, in the purification and handling of a solvent or an organic material (solute), the problem caused by easily dissolved moisture or oxygen contained in the coating liquid is not sufficiently solved.

일본 특허 제4389494호 공보Japanese Patent No.4389494

본 발명은, 상기 문제ㆍ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는, 유기 재료에 부착된 수분이나 산소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양호한 성능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도포액, 그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ircumstance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s a coating liquid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moisture, oxygen, etc. adhering to an organic material to produce an electronic device with good performanc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n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문제의 원인 등에 대하여 검토하는 과정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특정한 범위 내임으로써, 수분이나 산소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도포액,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이 도포액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성능의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ause of the above problem, etc., are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and dissolved carbon dioxide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When the concentration is within a specific range, it has been found that a coating liquid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moisture, oxygen, and the lik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n be provid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ached. Further, by using this coating liqui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k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s,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with good performance.

즉, 본 발명에 관한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That is, the said subject concerning this invention is solved by the follow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기본적 방침과 연구ㆍ개발의 경위에 대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olic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ill be described later.

1.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1. It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A coat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within a range of 1 ppm or more and a saturation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solvent or less.

2.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5 내지 1000pp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도포액.2.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item 1, wherein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5 to 1000 ppm under the above conditions.

3. 상기 도포액 중에 산소가 1ppm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용존 산소 농도의 1.0 내지 100000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도포액.3. In the case where 1 ppm or more of oxygen is present in the coating liqui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contained within a range of 1.0 to 100000 times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Described coating liquid.

4. 상기 도포액이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도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4.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3, wherein the coating liquid is a coating liqui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5.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발광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항에 기재된 도포액.5.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item 4,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light emitting device.

6. 상기 유기 화합물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6.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5, wherein the organic compound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7. 상기 도포액이 잉크젯용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7.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6, wherein the coating liquid is an ink jet ink.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제조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이며,8.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ating liquid which manufactures the coating liquid in any one of Claims 1-7,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comprising a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9.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 후에,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에 기재된 도포액의 제조 방법.9.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fter the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the coating liquid is prepare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10.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중의 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도포액의 제조 방법.10. A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according to item 8 or 9, comprising a step of separating a substance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11. Ink for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compri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7.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12.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7.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13.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7.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변환 소자.14.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any one of items 1 to 7.

(본 발명에 관한 기본적 방침과 연구ㆍ개발의 경위)(Basic polic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전술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채용해야 할 기술로서는, 필연적으로 다음에 게재하는 선택이 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Under the technical background described above or below, it is estimated that the technology to be employ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 element will inevitably be the next choice.

<제조 방법에 관한 기본적 방침><Basic policy on manufacturing method>

(1) 유기 EL 화합물은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분자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않음)(1) It is preferable to use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as an organic EL compound (high molecular compound is not preferable)

(2) 성막법은 도포법을 사용한다(증착법은 바람직하지 않음)(2) The film forming method uses a coating method (deposition method is not preferable)

(3) 도포액 중의 용매는 범용 용매가 바람직하다(고가의 탈수 고순도 용매는 바람직하지 않음)(3) The solvent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a general-purpose solvent (expensive dehydration high purity solvent is not preferred)

(4) 용해는 단분자 상태가 바람직하다(미결정 분산액은 바람직하지 않음)(4) Dissolution is preferably in a monomolecular state (microcrystalline dispersion is not preferred)

(5) 화합물의 정제에는 흡착-탈착 평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열평형은 바람직하지 않음)(5) It is preferable to us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for purification of the compound (thermal equilibrium is not preferable).

우선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 방침으로 하였을 때, 방침 (3) 내지 (5)를 모두 만족하는 방법을 창출하는 것이 당면의 기술 과제이며, 그것을 달성하는 것이 가장 가치가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며, 그것을 달성하는 수단에 대하여, 연구ㆍ개발을 거듭해 왔다.First of all, with the basic policies as described above, creating a method that satisfies all policies (3) to (5) is the current technical task, and I believe that achieving it is the most valuable technology, and achieving it. For the means to do it,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repeated.

그 결과, 상기 「(3) 도포액 중의 용매는 범용 용매가 바람직하다」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탈수, 탈산소 용매를 사용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며, 용액 중의 특수한 가스가 존재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포화에 가까운 농도로 가스가 용입되어 있는 것이, 후천적으로 혼입되어 오는 수분이나 산소 등에 대하여 로버스트니스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내어, 매우 단순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본 발명의 본질을 이루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스란 이산화탄소이다.As a resul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3) a general purpose solvent is preferable for the solvent in the coating liquid,'' it is not enough to simply use a dehydration or deoxygenation solvent, and the presence of a special gas in the solution, preferably It was found that the fact that the gas is introduced at a concentration close to saturation increases the robustness of the moisture or oxygen that has been acquired, and although it is very simple, it was found that it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gas is carbon dioxide.

종래의 도포 성막 소자에 있어서는, 도포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 장시간 보관하고, 용존 산소와 분위기의 질소를 평형에 의해 교체하거나, 질소 가스를 버블링이나 가압함으로써, 산소를 방출시키거나,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도포 용액의 탈산소화를 행하고 있었다.In a conventional coating film forming element, the coating solution is stored in a nitrogen atmosphere for a long time, and dissolved oxygen and nitrogen in the atmosphere are exchanged by equilibrium, or by bubbling or pressurizing nitrogen gas to release oxygen, or a method similar thereto. By using, the coating solution was deoxygenated.

그런데, 도포 프로세스에서, 일순이라도 대기에 접촉되면, 도포 용액은 즉시 산소나 수분을 빨아 버려, 모처럼 최선의 주의를 기울여 조제한 탈수ㆍ탈산소의 도포 용액을 못쓰게 되어, 유기 EL 소자의 특성, 특히 발광 수명에 큰 열화를 초래해 버린다.However, in the coating process, if the coating solu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even for a moment, the coating solution immediately sucks up oxygen or moisture, and the dehydration and deoxygenation coating solution prepared with the utmost care cannot be u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EL devices, especially light emission. It causes great deterioration in life.

우리들이 발견한 현상은, 도포 용액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물이나 산소는 제거해 두지만, 그 용액에 포화 농도에 가까운 이산화탄소를 용입시킴으로써, 용액 자체가 물이나 산소를 흡수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The phenomenon we found is that water or oxygen is removed in the initial state of the coating solution, but by infiltrating carbon dioxide close to the saturated concentration into the solution, the solution itself becomes difficult to absorb water or oxygen.

우리들이 본 발명을 이룬 경위를 간단하게 소개한다.A brief introduction to how we achieved the present invention.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저분자 화합물을 도포 성막하는 개발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초임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에 의해 유기 EL 재료를 정제하는 기술을 찾아내었다(일본 특허 제4389494호 공보).As described above, in the development of coating and forming a film with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a technique for purifying an organic EL material by supercritical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f carbon dioxide was found (Japanese Patent No.4389494). ).

그러나, 성막 프로세스에서 공기에 접촉되거나, 도포 장치에 미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수분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하여, 소자를 만들 때마다 성능의 변동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However, there has been found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fluctuates each time an element is fabricated due to contact with air in the film forming process or contamination by moisture or the like adhered to the coating device in a small amount.

본 발명자들은 과제의 해결을 목표로 예의 검토한 결과,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용액으로부터 가스상의 이산화탄소로서 빠져 나갈 때, 완전히 용존 산소를 함께 용액계 밖으로 가지고 간다는 것, 또한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물도 이산화탄소와의 수소 결합에 의해 빠져 나간다는 것, 또한 포화에 가까운 농도로 잔존해 있는 이산화탄소가, 산소나 물의 용액계 내로의 혼입을 방지해 준다는 것을 지견하고, 초임계 HPLC로부터 정제되어 나오는 용리액을 그대로 도포한바, 고성능으로, 거의 성능의 변동이 없고 안정되게 양호한 소자를 제작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a thorough study aiming at solving the problem. As a result, whe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scapes from the solution as gaseous carbon dioxide, it completely takes dissolved oxygen out of the solution system, and that water contained in trace amounts is also Knowing that it escapes by hydrogen bonding and that carbon dioxide remaining at a concentration close to saturation prevents the incorporation of oxygen or water into the solution system, the eluent purified from supercritical HPLC was applied as it is.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a device with high performance, almost no change in performance, and stably good, and came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보통 용해된 유기 EL 재료의 유기 용매 용액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버블링시키면, 접촉시킴으로써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현됨을 알아냈다.Further, it was found that not onl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ut also when carbon dioxide gas is bubbled into an organic solvent solution of an organic EL material that is usually dissolved, the same effect is exhibited even by contacting it.

여기까지의 설명을 총괄하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Summarizing the description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the following technical elements.

더 덧붙이자면, 여기까지의 설명은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한 도포 성막법에 의한 유기 EL 소자에 관한 기재였지만, 이것은 대표적이며 또한 가장 효과적인 애플리케이션의 하나에 지나지 않으며, 저분자 화합물을 도포하여 성막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유기 박막 태양 전지,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화합물을 사용한 전극 등에도 동일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up to this point has been a description of an organic EL device by a coating film forming method us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but this is only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d most effective application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coated with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to form a film, Needless to say, the same technique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organic thin-film solar cell, an organic transistor, an electrode using an organic compound, and the like.

(a) 저분자 화합물을 용해시킨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포화에 가까운 농도로 함유하는 도포용 용액(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carbon dioxide at a concentration close to saturation in a solution in which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is dissolved

(b)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상태에서 용액에 접촉시킨 도포용 용액(b) Coating solution in which carbon diox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olution in a supercritical state

(c) 용질이 흡착-탈착 평형을 거쳐 용매에 분산된 도포용 용액(c) Coating solution in which the solute is dispersed in a solvent through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즉, 초임계 이산화탄소 HPLC 정제한 용리액을 완전히 농축 건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a) 내지 (c)는 동시에 달성되지만, 본 발명은 그것이 전제가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용존시키는 것과, 흡착-탈착 평형을 거쳐 용매에 분산(즉 완전 용해)되어 있는 것이라면, 방법은 불문한다.That is, by using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PLC purified eluent in a state that is not completely concentrated and dried, the above (a) to (c) are achieved at the same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prerequisite, but dissolved with carbon dioxide, and adsorption-desorption The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undergone equilibrium and is dispersed (ie completely dissolved) in a solvent.

본 발명의 상기 수단에 의해, 유기 재료에 부착된 수분이나 산소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양호한 성능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도포액, 그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A coating liquid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moisture, oxygen, etc. adhering to an organic material by the abov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an electronic device with good performan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 ink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uminescence device and a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본 발명의 효과의 발현 기구 내지 작용 기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는 되어 있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찰하고 있다.The mechanism for express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mechanism of action is not clearly defined, but is speculated as follows.

본 발명의 도포액은,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임으로써, 도포 전후의 용액 중에 용존되어 있는 이산화탄소가, 가스상의 이산화탄소로서 빠져 나갈 때, 용존 산소를 함께 용액계 밖으로 갖고 나가고, 또한 용액 중에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물도 이산화탄소와의 수소 결합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포화에 가까운 농도로 잔존해 있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산소나 물의 용액계 내로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성능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는, 도포액 중의 산소나 물의 제거, 및 도포액 내로의 산소나 물의 혼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포액 중에 용존시키고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분무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of 1 ppm or more and a saturation concentration of the organic solvent or less under the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so that the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solution before and after coating When it escapes as gaseous carbon dioxide, dissolved oxygen is taken out of the solution system together, and water contained in a trace amount in the solution is also removed by hydrogen bonding with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remaining at a concentration close to saturation can prevent the incorporation of oxygen or water into the solution system. As a result, a high-performance electronic device can be manufactured, and the yield can be improved. Carbon dioxi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solved in the coating solution for the purpose of removing oxygen or water in the coating solution and preventing the incorporation of oxygen or water into the coating solution, and is not used as a medium for spraying, for example. .

도 1은, 증착막과 도포막의 비교: 막 중의 유기 화합물 미립자의 입경 분포 해석 결과이다.
도 2는, 증착막과 개량 도포막의 비교: 막 중의 유기 화합물 미립자의 입경 분포 해석 결과이다.
도 3은,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의 충전 칼럼을 사용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기 EL 소자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표시부(A)의 모식도이다.
도 6은, 화소의 회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 풀 컬러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벌크 헤테로 접합형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탠덤형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구비하는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b는,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c는,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d는,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e는,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1 is a comparison between a vapor-deposited film and a coated film: analysis resul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ne particles of organic compounds in a film.
Fig. 2 is a comparison of a vapor deposition film and an improved coating film: analysis resul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ne particles of organic compounds in the film.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using a packed column in a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made of an organic EL element.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isplay portion A.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ircuit of a pixel.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ssive matrix system full color display devic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including a bulk heterojunction typ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including a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having a tandem bulk heterojunction layer.
10A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10B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10C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10D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10E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도포액은,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은,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공통 또는 대응하는 기술적 특징이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in the range of 1 ppm or more and the saturation concentration for the organic solv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ide. This feature is a technical feature common to or correspon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each claim.

본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의 관점에서,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5 내지 1000pp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5 to 1000 ppm under the above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manifest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포액 중에 산소가 1ppm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용존 산소 농도의 1.0 내지 100000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도포액을 사용하여 작성한 디바이스의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1 ppm or more of oxygen is present in the coating liqui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contained within the range of 1.0 to 100000 times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of a device prepared using the coating liquid. desirable.

상기 도포액이,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도포액인 것이, 양호한 성능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발광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ating liquid is a coating liquid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an electronic device of favorable performanc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electronic device is a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유기 화합물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재료인 것이, 발광 소자 수명 및 발광 효율의 점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compound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light emitting device life and light emission efficiency.

상기 도포액이, 잉크젯용 잉크인 것이, 다채로운 디바이스를 제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iquid is an ink jet ink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various devices.

본 발명의 도포액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 후에,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포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성막 프로세스에서 공기에 접촉되거나, 도포 장치에 미량으로 부착되어 있는 수분이 도포액 중에 이물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한 유기 화합물을 농축 건고시킨 후에, 도포 성막에 어울리는 용매에 재용해시켜, 도포액을 제작하는 등의 공정을 행할 필요도 없다.After the process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the coating liqui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That is,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entering the coating liquid by contacting air in the film forming process or moisture adhering to the coating device in a small amount.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tep of preparing a coating liquid by re-dissolving the purified organic compound in a solvent suitable for coating film formation after concentrating to dryness.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중의 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정제 공정의 효율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Having a step of separating a substance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of the purification step.

본 발명의 도포액은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에 적합하게 함유된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contained in an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본 발명의 도포액은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광전 변환 소자의, 각 유기 기능층의 형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for formation of respective organic functional layers of electronic devices,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이하, 본 발명과 그 구성 요소, 및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ㆍ양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내지」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ppm」은 「질량ppm」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ts constituent elements, and forms and aspec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to" is used by the meaning including the numerical value described before and after that as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ppm" represents "ppm by mass".

(본 발명의 도포액의 개요)(Summary of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포액은,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in the range of 1 ppm or more and the saturation concentration for the organic solv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id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기본적 방침 (1) 내지 (5)에 기초하여 검토하여, 완성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examining based on the following basic policies (1) to (5).

(1) 유기 EL 화합물은 저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다(고분자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않음)(1) The organic EL compound is preferably a low-molecular compound (high-molecular compound is not preferable)

(2) 성막법은 도포법을 사용한다(증착법은 바람직하지 않음)(2) The film forming method uses a coating method (deposition method is not preferable)

(3) 도포액 중의 용매는 범용 용매가 바람직하다(고가의 탈수 고순도 용매는 바람직하지 않음)(3) The solvent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a general-purpose solvent (expensive dehydration high purity solvent is not preferred)

(4) 용해는 단분자 상태가 바람직하다(미결정 분산액은 바람직하지 않음)(4) Dissolution is preferably in a monomolecular state (microcrystalline dispersion is not preferred)

(5) 화합물의 정제에는 흡착-탈착 평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열평형은 바람직하지 않음)(5) It is preferable to us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for purification of the compound (thermal equilibrium is not preferable).

이하에 있어서, 우선, 상기 각 방침의 근거가 되는 기본적 사고법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고, 그 후, 구체적 기술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In the following,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basic thinking method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each of the above policies, and thereafter, a specific technique is described.

1.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저분자 화합물의 우위성1. Advantages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s over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s

습식 도포법에 의한 유기 기능층의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에 대한 저분자 화합물의 우위성을 설명한다.In the formation of the organic functional layer by the wet coating method, the superiority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to the high molecular compound will be described.

(제1 요인): 순도의 우위성(Factor 1): The superiority of purity

저분자 화합물을 고분자 화합물(소위 폴리머)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잘 알 수 있다. 우선, 저분자 화합물은 승화 정제를 적용하기에는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적합하며, 재결정도 분자량 분포가 작아 바람직하다. 또한, 저분자 화합물의 정제 방법에는, 정제 효율이 낮은(이론단수가 낮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When comparing a low molecular compound with a high molecular compound (so-called polymer), the difference can be clearly seen. First,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is suitable for application of sublimation purification because of its small molecular weight, and a smal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recrystallization is preferable. In addition, a method for purifying a low-molecular compound is preferable becau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r column chromatography having low purification efficiency (low number of theoretical stages) can be used.

고분자 화합물의 정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양용매와 빈용매를 사용한 재침전법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정제하고 있고, 저분자 화합물 쪽이 고순도로 하기 쉽다.In the purification of a high molecular compound, in most cases, purification is carried out by repeatedly performing a reprecipitation method using a good solvent and a poor solvent, and the low molecular compound is more likely to have high purity.

또한, 고분자 화합물이 π 공액계 고분자 화합물인 경우, 중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금속 촉매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중합 말단에는, 반응 활성의 치환기가 잔존해 버리는 케이스가 많아, 그것도 저분자 화합물 쪽이 고순도로 되는 이유의 하나이기도 하다.In addition, when the polymer compound is a π-conjugated polymer compound, it is necessary to use a metal catalyst or a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caus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reactive substituent remains at the end of the polymerization. It is also one of the reasons for high purity.

(제2 요인) 분자 특유의 에너지 준위에 관한 우위성(Factor 2) Advantages regarding the specific energy level of molecules

발광 폴리머(light emitting polymer: LEP)는, 분자량이 커지면, π 공액계 폴리머이기 때문에, 분자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공액계를 확장하게 되므로, 원리적으로 일중항 또는 삼중항의 여기 상태와 기저 상태의 에너지 준위차(「에너지 준위의 갭」, 「밴드 갭」이라고도 함)는 좁아지고, 청색 발광이 어려워진다. 또한, 형광의 청색 발광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큰 에너지 준위차)가 요구되는 청색 인광에 있어서는, 발광 폴리머는, 그 발광 물질이 되는 전이 금속 착체를 형성하는 것이 구조상 어렵다. 또한, 발광 폴리머를 호스트로서 사용하려고 해도, 상기한 π 공액의 확장에 의해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갖는 화합물(「고T1 화합물」이라고 약칭함)로 하기 어렵다.Light emitting polymer (LEP) is a π-conjugated polymer as its molecular weight increases, so the conjugated system expands to stabilize the molecule, so in principle, the energy level of the singlet or triplet excited state and the ground state The difference (also referred to as "energy level gap" and "band gap") narrows, and blue light emission becomes difficult. In addition, in blue phosphorescence requiring a higher energy level (greater energy level difference) than that of blue light emission of fluorescence,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for the light-emitting polymer to form a transition metal complex as the light-emitting material. Further, even if a light-emitting polymer is used as a hos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ompound having a high triplet energy (abbreviated as a "high T 1 compoun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또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열활성화형 지연 형광(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도 π 공액 폴리머로 완수된 전례는 없으며, 이와 같이 시장 요구가 높은 고효율 청색 발광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In addition,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has not been accomplished with a π-conjugated polymer,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high-efficiency blue light emission with high market demand.

한편, 저분자 화합물에서는 π 공액계를 연결시킬 필연성은 없으며, π 공액계 유닛이 될 방향족 화합물 잔기는 필요하지만, 그것들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또한 그것들을 임의의 위치로 치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분자 화합물에서는, 용이하게 최고 피점 궤도(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와 최저 공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및 삼중항(T1) 에너지 레벨을 의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청색 인광 발광 물질을 만드는 것도, 그의 호스트로 하는 것도, 또한 TADF 현상을 일으키는 화합물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임의의 전자 상태나 임의의 준위를 의도적으로 설계, 합성할 수 있는 확장성의 크기가, 저분자 화합물의 제2 우위성의 요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there is no inevitability to connect the π conjugated system, and aromatic compound residues that will become the π conjugated units are required, but they can be selected arbitrarily and they can be substituted at any position. Therefore, in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and the triplet (T 1 ) energy level can be purposely adjusted, and blue phosphorescenc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light-emitting substance, to use it as a host, or to construct a compound that causes the TADF phenomenon. In this way, the degree of scalability that can intentionally design and synthesize an arbitrary electronic state or an arbitrary level is a factor of the second advantage of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제3 요인): 화합물 합성의 용이성(3rd factor): ease of compound synthesis

제2 요인과 유사한 이유(요인)이기는 하지만, 저분자 화합물은, 발광 폴리머(LEP)에 비하여 합성할 수 있는 분자 구조에 제한이 없고, 특히 발광 폴리머에 있어서 주쇄를 π 공액 연결로 하게 되면, 적용할 수 있는 골격이나 합성 방법도 한정적이 되지만, 저분자 화합물에서는 새로운 기능 부여나 물성값의 조정(Tg나 융점, 용해성 등)을 분자 구조에 의해 완수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이것이 저분자 화합물의 제3 우위성이다.Although it is a similar reason (factor) to the second factor,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is not limited in the molecular structure that can be synthesized compared to the light-emitting polymer (LEP).In particular, if the main chain is π-conjugated in the light-emitting polymer, it is applicable. Although the possible skeleton and synthesis methods are limited, it is relatively easy to achieve new functions and adjustment of physical properties (Tg, melting point, solubility, etc.) by molecular structure in low-molecular compounds, which is the third advantage of low-molecular compounds. .

2.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한 습식 도포법에 의한 유기 기능층 형성에 있어서의 과제2. Problems in Formation of Organic Functional Layer by Wet Coating Method Using Low Molecular Compounds

저분자 화합물을 사용한 습식 도포법에 의한 유기 기능층 형성에 있어서의 본질적인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설명한다.What is the essential problem in form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by a wet coating method using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is demonstrated.

유기 EL 소자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재료는, 유기 EL 소자 내부에 있어서는, 전자 및 정공이 분자간을 호핑 이동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전자는 LUMO 준위를 사용하여 호핑되고, 정공은 HOMO 준위를 사용하여 호핑되게 된다.Almost all materials used in organic EL devices require electrons and holes to hopping between molecules within the organic EL device. Basically, electrons are hopped using the LUMO level, and holes are hopped using the HOMO level.

즉, 반드시 인접하는 분자끼리는 π 공액계가 중첩되도록 존재하지 않으면, 그러한 캐리어 전도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한 π 공액계 유닛만으로 분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That is, if the π-conjugated system does not exist so that the π-conjugated system overlaps with each other, it is advantageous to form a molecular structure only with the π-conjugated system unit as much as possible.

예를 들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체적으로 부피가 큰 치환기(sec-부틸기나, tert-옥틸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 등)를 하나의 분자 중에 복수개 치환해 버리면, 분자간의 π 공액계는 중첩되기가 어려워져, 부피가 큰 치환기의 부분에서 호핑 이동이 저해되어 버린다.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solubility in a solvent, if a plurality of sterically bulky substituents (sec-butyl group, tert-octyl group, triisopropylsilyl group, etc.) are substituted in one molecule, π The conjugated system becomes difficult to overlap, and the hopping movement is inhibited in the part of the bulky substituent.

한편, 유기 EL 소자는 발광 중 끊임없이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점에서, 설령 양자 효율적으로 100%이며, 즉 캐리어 재결합의 확률이 100%이고, 열실활이 0%였다고 해도, 유기 EL 소자는 캐리어를 계속해서 흘리기 때문에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위차를 설정하여 전계 구배를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의 등가 회로는, 다이오드와 저항의 직렬 접속이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ganic EL element constantly flows current during light emission, even if the quantum efficiency is 100%, that is, the probability of carrier recombination is 100% and the heat deactivation is 0%, the organic EL element continues to carry carriers. Because of the flow, it is necessary to set an electric field gradient by setting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so that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organic EL elemen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diode and a resistor.

즉, 통전 발광 중의 유기 EL 소자의 내부에서는 줄 열이 발생하고 있고, 실제로 소자 내부, 특히 재결합이 일어나는 발광층 내에서는 100℃ 이상의 발열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In other words, it is also known that Joule heat is generated inside the organic EL element during electroluminescence, and heat generation of 100°C or higher is actually generated inside the element, especially in the light emitting layer where recombination occurs.

또한, 유기 EL 소자 전체의 유기층 두께는 200nm 정도의 매우 박층이라는 점에서, 열은 층(막)간에서 전도되어 발광층뿐만 아니라, 모든 층에서 고온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layer thickness of the entire organic EL device is a very thin layer of about 200 nm, heat is conducted between layers (films), so that a high temperature state continues in all layers, not only the light emitting layer.

이러한 상태에 노출되는 유기 분자는, 그 자체의 유리 전이점(Tg)을 초과하면, 아몰퍼스의 상태로부터 결정 상태로 상전이를 일으킨다.Organic molecules exposed to such a state cause a phase transition from an amorphous state to a crystalline state when it exceeds its own glass transition point (Tg).

이 결정은 점차 성장하여, 수십nm를 초과하면, 그 화합물이 존재하고 있던 층 두께를 초과하게 되어, 유기 EL 소자로서의 층에 의한 기능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과로서 발광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This crystal grows gradually, and when it exceeds several tens of nm, the layer thickness in which the compound exists is exceeded, and since functional separation by the layer as an organic EL element becomes impossible, as a result, the luminous efficiency decreases.

또한, 이 결정이 유기 EL 소자의 유기층 전체층(100 내지 200nm)을 초과해 버리면, 양극과 음극은 단락된다. 그리고, 그 단락된 부분에 전계 집중이 일어나, 미소 영역에 대전류가 흐름으로써, 그 부분의 유기 화합물은 열분해를 일으켜 버려, 완전히 발광하지 않는 부분, 소위 다크 스폿이 되어 버린다.Further, when this crystal exceeds the entire organic layer (100 to 200 nm) of the organic EL element,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short-circuited. Then,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ccurs in the short-circuited portion, and a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minute region, causing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organic compound in the portion, resulting in a portion that does not emit light completely, or a so-called dark spot.

즉, 유기 EL 소자의 저분자 화합물은, 부피가 큰 비방향족성 치환기를 갖지 않고, 또한 유리 전이점(Tg)이 100℃ 이상(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을 초과하는 분자이지 않으면 안된다.That is, th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of the organic EL device must be a molecule which does not have a bulky non-aromatic substituent and has a glass transition point (Tg) exceeding 100°C (preferably 150°C or more).

이러한 분자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통상 π 공액계를 크게 하거나, 방향족기를 단순 연결하지만, 통상의 경우 생기는 화합물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낮아져, 도포 용액으로 될 수 없거나, 또는 도포되었다고 해도, 결정 석출이나 물질의 편재 등이 생기게 된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 molecule, the π conjugated system is usually enlarged or the aromatic group is simply connected.However, in the usual case,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in the solvent is very low, so that it cannot be a coating solution, or even if it is applied, crystal precipitation Or the ubiquity of substances.

이 딜레마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우리들은 안정된 아몰퍼스막을 형성하고, 통전 중에도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획기적인 기술을 이제까지 개발해 왔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403179호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96258호 공보). 구체적으로는, 부피가 크고, 플렉시빌리티가 높은 분지의 알킬기 등을 갖지 않고, 방향족기만을 연결하여 비아 아릴 구조로 하고, 그 C-C 결합축 주변에 발생하는 회전 장해에 의해 수많은 콘포메이션이나 기하 이성체를 능동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동일 층 중에 존재하는 복수 분자(예를 들어, 호스트와 도펀트)가 여러 가지 형상ㆍ형태로 상호 작용을 일으키도록 해 줌으로써 막 중에서의 성분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박막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를 증대시켜, 안정된 아몰퍼스막을 형성할 수 있다.As a means of solving this dilemma, we have developed a breakthrough technology that can form a stable amorphous film and maintain it even while energiz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5403179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196258). Specifically, it does not have a bulky, highly flexible branched alkyl group, etc., and connects only an aromatic group to form a via-aryl structure, and a number of conformations and geometric isomers are formed by rotational disturbances occurring around the CC bonding axis.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film can be increased by actively increasing or by allowing multiple molecules (eg, host and dopant) present in the same layer to interact in various shapes and form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film. By increasing the entropy of, a stable amorphous film can be formed.

본 발명자들은, 습식 도포법에 의한 유기 EL 소자의 제작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지침에 준하여 저분자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개량하고, 건조 조건 등의 최적화도 도모한바, 발광 효율은 증착 소자의 95%, 발광 수명은 증착 소자의 90%로 비약적인 개선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에 의해, 발광 도펀트에 인광 도펀트, 특히 수명 향상이 가장 어렵다고 되어 있는 청색 인광 도펀트를 사용한 소자에서조차도, 도포 성막법에 의해, 거의 종래의 증착 성막법에 필적하는 기초 특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The present inventors improved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low-molecular compoun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e of an organic EL device by a wet coating method, and also tried to optimize drying conditions, and the luminous efficiency was 95% of that of the evaporation device. In addition, the light emission lifetime was able to achieve a remarkable improvement of 90% of the evaporation device. Thereby, it was found that even in a device using a phosphorescent dopant as a light emitting dopant, particularly a blue phosphorescent dopant, which is said to be the most difficult to improve the lifetime, by the coating film forming method, the basic properties almost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vapor deposition film forming method can be exhibited.

그러나, 이와 같이 성능이 개선된 유기 EL 소자에도 아직 많은 과제가 잔존하고 있다.However, many problems still remain in the organic EL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그러한 과제로서는, 예를 들어 저분자 화합물의 순도, 당해 화합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량 수분, 사용하는 용매의 산소 함유량, 수분 함유량 등의 제거를 들 수 있다.As such a subject, for example, the purity of the low-molecular compound, the trace moistur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ompound, the oxygen content of the solvent to be used, the moisture content, etc. can be removed.

또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는 도포에서 사용하는 저분자 화합물이라도, 최고 성능을 발현시키기 위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재결정을 행한 후에, 승화 정제를 행하고, 또한 유기 화합물을 사용 또는 보관할 때에는, 진공 상태를 거친 후, 질소 분위기로 치환하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even for low-molecular compounds generally used in coating, in order to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are performed, followed by sublimation purification, and when using or storing organic compounds, they are subjected to a vacuum state. After that, it is used by replacing it with a nitrogen atmosphere.

이러한, 가능한 한 악영향을 배제한, 매우 엄격한 관리 하에 있어서 도포법에 의한 유기 EL 소자를 제작한 경우라도, 증착법으로 제작한 유기 EL 소자의 성능을 초과하는 것은 곤란하였다.Even when the organic EL device was fabricated by the coating method under very strict control, excluding such adverse effects as much as possible, it was difficult to exceed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 EL device fabricated by the vapor deposition method.

또한, 애초, 진공을 이용한 증착법의 낮은 생산성이, 유기 EL 소자의 대형화나 양산성, 즉 비용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도포법이 주목받고 있지만, 그 도포법도 이러한 엄격한 관리 하에서 행하는 것에서는, 오히려 증착법보다 생산성이 낮고, 고비용으로 되어 버린다.In addition, since the low productivity of the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a vacuum adversely affects the large-sized and mass-produced organic EL elements, that is, the cost, the coating method is attracting attention, but the coating method is also carried out under such strict control. The productivity is lower and it becomes high cost.

3. 화합물의 정제 방법에 대하여3. How to purify the compound

저분자 화합물의 이점은 고분자 화합물보다 수많은 정제 수단을 활용할 수 있고, 고순도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결국, 일반적으로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거의 모두가, 승화 정제라고 하는 정제 수단을 거쳐 사용되고 있다.The advantage of low-molecular compounds is that they can utilize more purification means than high-molecular compounds and can be made with high purity. However, in the end, in general, almost all of the organic compounds constituting the organic EL device currently in practical use are used through purification means called sublimation purification.

승화 정제는 고전적인 정제 방법이지만, 재결정이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HPLC 등의 정제 방법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정제 효율(이론단수)은 작아, 실질상은 금속이나 무기 물질 등의 제거와 용매의 제거를 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Sublimation purification is a classical purification method, bu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the number of theoretical stages) is overwhelmingly small compared to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recrystalliza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In reality, it is used to remove metals or inorganic substances and remove solvents. It is being used as a means.

왜 승화 정제가 유기 EL용 유기 화합물에서 채용되고 있는가라고 하면, 유기 EL 소자의 제조 프로세스가 진공 증착법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주된 이유이다. 유기 화합물에 용매가 매우 미량이라도 포함되어 있으면, 증착 장치 내에서 진공 하에 두었을 때 유기 화합물 중의 용매가 휘산되어 진공도를 낮추어 버린다.When it comes to why sublimation purification is employed in organic compounds for organic EL, the main reason is that the organic EL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employs a vacuum evaporation method. If the organic compound contains even a very small amount of the solvent, the solvent in the organic compound is evaporated when placed in a vacuum in the vapor deposition apparatus, thereby lowering the degree of vacuum.

그것이 연속 생산을 불가능하게 해 버려, 제조상의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정제 시에 용매가 완벽하게 제거되는 승화 정제법이 채용되고 있는 것이다.That makes serial production impossible and becomes a manufacturing problem. Therefore, a sublimation purification method is employed in which the solvent is completely removed during purification.

따라서, 유기 EL 소자의 생산 방식이 증착법으로부터 도포법으로 대체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이유로부터 승화 정제법에 의한 유기 화합물의 정제는 필수적이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organic EL device is replaced by the deposition method from the coating method, purification of the organic compound by the sublimation purification method is not essential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재결정)(Recrystallization)

이어서, 저분자 유기 화합물의 정제법으로서는 가장 일반적인 재결정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Next, the most common recrystallization method is considered as a purification method for a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compound.

이 방법은, 열역학 제2 법칙(식 1)에 기초한 정제 방법이다.This method is a pur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Equation 1).

-ΔG=-ΔH+TΔS … (식 1)-ΔG=-ΔH+TΔS… (Equation 1)

물질은, 물질 상호간의 존재 거리가 짧아질수록 반데르발스힘이나 수소 결합력, π-π 상호 작용력,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력 등이 증대되어, 엔탈피(-ΔH)는 커진다.For substances, as the distance between substances becomes shorter, the van der Waals force, hydrogen bonding force, π-π interaction force, dipole-dipole interaction force, and the like increase, and the enthalpy (-ΔH) increases.

한편, 물질이 매체에 완전 분산되어 있을 때, 즉 용해되어 있을 때, 물질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으므로, 그 난잡함은 증대되고, 엔트로피(ΔS)는 커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stance is completely dispersed in the medium, that is, when it is dissolved, the substance can roam freely, so that the messiness increases, and the entropy (ΔS) increases.

열역학 제2 법칙에서는, 모든 존재 상태는, 기브스의 자유 에너지(-ΔG)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크게 하는 방향으로 이행된다.In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ll states of existence are shifted in the direction of keeping the Gibbs' free energy (-ΔG) constant or increasing it.

즉, 정제를 실시하고 싶은 화합물 A를 재결정에 의해 정제한다고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That is, to purify the compound A to be purified by recrystallization can be reasonably explained by thinking as follows.

A를 녹일 수 있는 B라고 하는 용매 중에 고온에서 A를 용해하면 A는 분산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 때문에, A끼리 사이의 존재 거리가 커서 서로 상호 작용하기 어렵게 되므로, 엔탈피(-ΔH)는 매우 작아진다.When A is dissolved in a solvent called B that can dissolve A, A is present in a dispersed state. Therefore, since the existence distance between A is large and it becomes difficult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enthalpy (-ΔH) becomes very small.

한편, A는 용액 중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엔트로피(ΔS)는 매우 크다. 이 고온 용액을 식히면, 절대 온도 T가 가해진 TΔS는, 식히기 전보다 작아진다. 그때, 식히기 전후에 기브스의 자유 에너지(-ΔG)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엔탈피(-ΔH)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tropy (ΔS) is very large because A can freely move around in the solution. When this hot solution is cooled, TΔS to which the absolute temperature T is applied becomes smaller than before cooling. At that time, in order to keep the free energy (-ΔG) of the casts constant before and after cooling, the enthalpy (-ΔH) must be increased.

즉, 온도가 내려가 TΔS가 작아진 만큼, A는 A와의 거리를 작게 하여 엔탈피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것이다. 그 극한 상태가, A와 A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결정 상태이며, 그에 의해 엔탈피항(-ΔH)은 증대되어 간다.In other word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TΔS decreases, the enthalpy of A must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stance from A. The extreme state is a crystal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 and A becomes the minimum, and thereby the enthalpy term (-ΔH) increases.

이와 같이 하여 엔탈피가 증대되어 가면, 계 내의 성분수는 줄어들어 버리기 때문에, 엔트로피는 작아지고, 그 작아진 만큼, 또 결정을 만들어 엔탈피를 증대시켜 간다.As the enthalpy increases in this way,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system decreases, so the entropy decreases, and as the enthalpy decreases, crystals are formed to increase the enthalpy.

이와 같이, 우선은 온도 저하에 의해 엔트로피항(TΔS)이 감소되고,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결정화에 의해 엔탈피(-ΔH)가 증가되며, 또한 그에 의해 성분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또한 엔트로피항이, 이번에는ΔS의 감소에 의해 작아지고, 또한 그만큼 결정화가 일어난다고 하는 열역학 평형을 반복함으로써, 재결정은 완수되는 것이다.In this way, first, the entropy term (TΔS) is decreased due to a decrease in temperature, and the enthalpy (-ΔH) is increased by crystallization to compensate for it,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is thereby reduced, so that the entropy term is, this time ΔS Recrystallization is accomplished by repeating the thermodynamic equilibrium that decreases by the decrease of and crystallization occurs accordingly.

단, 주의해야 할 것이 용질 A와 용매 B의 상호 작용이다. 용질 A는 용매 B와 용매화됨으로써 용해되기 때문에, A-B간의 상호 작용이 크지 않으면 애당초 A는 B에 용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호 작용이 지나치게 크면 냉각되어 저하되는 엔트로피항의 감소를 극복하는 만큼, A와 A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없게 되어(A와 A의 사이에는 B가 개재되게 되므로), 재결정은 일어나지 않는 결과가 된다.However, what should be noted is the interaction between solute A and solvent B. Since solute A dissolves by solvating with solvent B, if the interaction between A and B is not large, A does not dissolve in B at first. However, if the interaction is too large, the distance between A and A cannot be shortened as much as it overcomes the decrease in the entropy term that decreases due to cooling (because B is interposed between A and A), resulting in no recrystallization. do.

즉, A-A라고 하는 상호 작용력과 A-B간의 상호 작용력을 재결정이 일어나는 조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재결정에 의한 정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결정의 정제 방법에서는, 한번에 수백Kg 이상의 대량 정제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화학 공업에서는 예로부터 이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That is, this recrystallization method can be applied only when the interaction force of A-A and the interaction force of A-B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ditions in which recrystallization occurs. In such a recrystallization purification method, since a large amount of purification of several hundred Kg or more at a time is possible, this metho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chemical industry.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이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이하, 「크로마토법」이라고도 함)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Next, consider column chromatograph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hromatography").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의 가장 전형적인 바는, 고정상에는 미립자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거기에 화합물 A를 흡착시켜, 그것을 용리액이라고 불리는 이동상 (B)로 서서히 용출시켜 간다고 하는 것이다.The most typical bar of column chromatography is that fine particle silica gel is used for the stationary phase, compound A is adsorbed thereto, and it is gradually eluted with a mobile phase (B) called an eluent.

이때, 실리카 겔 표면과 화합물 A의 상호 작용(흡착)에 대하여, 이동상 (B)와의 상호 작용이 길항하는 경우, A는 실리카와 이동상 B의 사이에서, 흡착-탈착의 평형을 반복하여, 실리카와의 상호 작용이 작은 경우에는 빠르게, 상호 작용이 큰 경우에는 느리게 용출되어 간다.At this time, with respect to the interaction (adsorption) of the silica gel surface and the compound A, when the interaction with the mobile phase (B) is antagonistic, A repeats th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between the silica and the mobile phase B, When the interaction of is small, it elutes quickly, and when the interaction is large, it elutes slowly.

이때, 흡착-탈착 평형의 왕복 횟수가 클수록 이론단수(즉 정제 효율)가 증대된다는 점에서, 크로마토법에 의한 정제 효율은, 고정상의 길이에 비례하고, 이동상의 통과 속도에도 비례하며, 고정상의 표면적에도 비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that is, purification efficiency) increases as the number of round trips in th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increase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chromatography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stationary bed and proportional to the passage speed of the mobile b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stationary bed Is proportional to

이것을 실현시킨 것이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며, 이것이, 유기 화합물의 성분 분석이나 품질 보증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도, 이 이론에 뒷받침된 고도의 이론단수를 실현할 수 있는 드문 방법인 것에 기인하고 있다.This is achiev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hich is widely used for component analysis and quality assurance of organic compounds, which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a rare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 high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supported by this theory.

이 크로마토법이, 재결정에 비하여 우수한 이유는, 이동상 B의 극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동상을 처음부터 양용매와 빈용매의 혼합 용매로 해 두는 것는 물론, 정제 시에, 서서히 양용매 비율을 증가시켜 가는 구배법을 사용하여, 더 이론단수를 늘릴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The reason why this chromatographic method is superior to recrystallization is that the polarity of the mobile phase B can be arbitrarily chang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can be increased further by using a gradient method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ratio of the good solvent during purification, as well as making the mobile phase a mixed solvent of a good solvent and a poor solvent from the beginning. have.

또한, 온도도 임의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제 가능하게 되는 용질의 적용 범위가 매우 넓어, 거의 범용적인 정제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emperature arbitrarily,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solute that can be purified is very wide, and the greatest feature is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almost universal purification method.

한편, 크로마토법의 결점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론단수를 크게 하기 위한 근본적인 원리가, 흡착-탈착 평형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drawback of the chromatographic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is that th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is utilized.

예를 들어, 이동상에 화합물 A와 상호 작용이 강한 용매 B'(즉 양용매)만을 사용하여 크로마토법을 행한 경우, A와 실리카 겔의 상호 작용보다, A와 이동상 B'의 상호 작용이 강하면, 흡착-탈착 평형의 왕복 횟수가 격감되어, 정제 효과가 낮아져 버린다.For example, when chromatography is performed using only a solvent B'(that is, a good solvent) having a strong interaction with compound A in the mobile phase, the interaction between A and mobile phase B'is stronger than the interaction between A and silica gel, The number of reciprocations of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purification effect is lowered.

즉, 정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용매 B' 외에, 대과잉의 빈용매 C를 혼합하고, 흡착-탈착 평형의 왕복 횟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단, 이 경우, 정제되어 분취된 화합물 A의 용액에는, 대과잉의 C가 포함되어 있어, 이것을 농축해야만 하는 것이 최대의 문제이다.That is, in order to enhance the purification effect, it is necessary to mix a large excess of poor solvent C in addition to the good solvent B', and increase the number of reciprocations of the adsorption-desorption equilibrium. However, in this case, a large excess of C is contained in the purified and fractionated solution of Compound A, and the greatest problem is that it must be concentrated.

예를 들어, 1g의 A를 얻기 위해서는, 양용매 B'와 빈용매 C의 혼합 비율을 1:99 내지 10:90 정도로 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대략 10L 내지 100L의 빈용매 C가 필요해져 버린다. 그 때문에, HPLC 분취는, 연구 개발에는 적용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량 생산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obtain 1 g of A, it is necessary to set the mixing ratio of good solvent B'and poor solvent C to about 1:99 to 10:90, and generally, poor solvent C of about 10 L to 100 L is required. Discard it. Therefore, although HPLC preparative is appli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it is not used for mass production.

빈용매 농축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HPLC이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를 고온 고압에서 초임계 유체로 한 것이며, 그 밖의 물질도 이러한 초임계 유체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교적 낮은 압력과 온도에서 초임계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로마토나 추출에서는 오로지 이산화탄소가 사용되고 있다.The means to solve the problem of concentration of poor solvent is HPLC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made of carbon dioxide as a supercritical flui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other substances can be used as such a supercritical fluid, but since it can achieve a supercritical state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and temperature, chromatography or extraction Only carbon dioxide is used in

이 초임계 이산화탄소에는, 보통의 유체나 액체와는 상이한 특징이 있다. 그것은,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용해하고 싶은 것의 극성에 맞추어, 연속적으로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i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ordinary fluids and liquids. That is, by chang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you can continuously change the polarity to match the polarity of what you want to dissolve.

예를 들어, 물고기 머리에 포함되어 있는 도코사헥사엔산을 선택 추출할 때에도, 이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사용되고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는 특수한 의류의 클리닝에도, 피지는 녹이고 접착제는 녹이지 않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온도와 압력의 제어에 의해 만듦으로써 완수하고 있다.For example, when selective extra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contained in fish heads, thi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used, and even for cleaning special clothing using adhesives, it is a supercritical solution that dissolves sebum and does not dissolve adhesives. It accomplishes this by making carbon dioxide b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pressure.

이와 같이 여러 가지 극성을 갖게 할 수 있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이지만, 비교적 낮은 온도와 압력에 의해 형성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극성은, 시클로헥산이나 헵탄 정도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초임계 HPLC에서는, 이 정도의 극성의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장치 내에서 만들어져, 그것이 양용매와 혼합되어 칼럼 내에 들어가고, 통상의 HPLC와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화합물의 정제가 행해진다.Although it i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hat can have various polarities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ty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rmed by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pressure is about cyclohexane or heptane. In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supercritical HPLC,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f this degree of polarity is produced in an apparatus, and it is mixed with a good solvent to enter the column, and the compound is purified by a mechanism similar to that of ordinary HPLC.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HPLC의 시스템에서는, 칼럼을 통과한 후에 검출기에 들어가지만, 통상은 그 단계까지는 고온 고압 상태가 유지되고, 이산화탄소도 초임계 유체로서 존재하고 있다. 그 후 상온 상압에서 분취될 때까지 동안에 이산화탄소는 가스가 되고, 분취 시에는 스스로가 용액으로부터 빠져 나가기 때문에, 빈용매의 농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때, 참고 문헌(생물 공학회지 88권, 10호, 525 내지 528쪽, 2010년)에 기재된 기액 분리 기구 등을 구비한 이산화탄소 회수 장치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시 초임계 유체로서의 이용도 가능하다.In the HPLC system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t enters the detector after passing through the column, but usually,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is maintained until that stage, and carbon dioxide also exists as a supercritical fluid. Thereafter, carbon dioxide becomes a gas during fraction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during fractionation, the carbon dioxide itself escapes from the solution, so that concentration of the poor solvent becomes unnecessary.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cover carbon dioxide by a carbon dioxide recovery device equipped with a gas-liquid separation mechanism described in the reference literature (Journal of Biological Engineering, Vol. 88, No. 10, pp. 525 to 528, 2010), and again used as a supercritical fluid. It is also possible.

그 때문에, 고순도의 신규 합성 화합물을 수없이 합성할 필요가 있는 창약 업계에서는, 최근 이 초임계 HPLC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고, 그 영향으로 분석용, 분취용 모두 판매 가격이 떨어져, 상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For this reas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here it is necessary to synthesize numerous high-purity new synthetic compounds, this supercritical HPLC has recently been actively utilized, and due to its influence, sales prices for both analysis and preparative use have fallen, and are quite commonly used. Came to be.

이러한 특징과 경위로부터, 우리들은 이 초임계 HPLC를, 고순도가 요구되는 유기 EL 재료의 정제에 활용해 왔다(일본 특허 제4389494호 공보).From thes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we have used this supercritical HPLC to purify an organic EL material requiring high purity (Japanese Patent No. 4389494).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유기 EL 업계의 생산성 향상이 요망되는 가운데, 저분자 유기 화합물의 정제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어느 것도 일장일단이 있으며, 제조한 화합물의 특성, 및 그 화합물이 요구되는 순도, 잔류하는 용매의 가부 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정제 방법이 선택되거나, 또한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productivity improvement in the organic EL industry is desired,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purifying low-molecular organic compounds, but none of them have one or the other, and the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mpound, the purity required for the compound, and residual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solvent or the like, a suitable purification method is selected or used in combination.

4. 유기 EL 화합물의 용해에 대하여4. Dissolution of organic EL compounds

우선, 용해란 무엇인지를 생각한다. 통상은, 용질 A를 용매 분자 B가 A와 B의 상호 작용력으로 둘러싸고, A의 집합체를 뿔뿔이 흩어지게 하여 A의 주위에 B를 존재시킴으로써, 즉 A를 고립 단일 분자 상태로 하는 것을 말하지만, 정말로 그렇게 되는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First of all, think about what dissolution is. Normally, it is said that the solvent molecule B surrounds the solute A with the interaction force of A and B, and the aggregate of A is scattered so that B exists around A, that is, the A is in an isolated single molecule state. It is difficult to see if it works.

예를 들어, A가 용해성이 매우 낮거나, 또는 결정성이 높은 분자인 경우, 가시광의 파장 이상의 사이즈의 결정이라면, 용해되어 있지 않은 것은, 광산란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어중간하게 용해성이 낮은 물질인 경우, A의 몇 분자를 포함하는 미소 결정의 주위를 용매 분자 B가 둘러싸고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용해되어 있는 것 같이 보여 버린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이것이 장래에 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when A is a molecule having very low solubility or high crystallinity, if it is a crystal having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what is not dissolved can be easily detected by light scattering or the like. However, in the case of a substance with moderately low solubility, for example, even if a solvent molecule B surrounds a crystal containing several molecules of A, it appears to be dissolved. In the organic EL device, this may cause a big problem in the future.

즉, 증착 성막에서는,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의 박층(막)을 형성할 때, 각 층을 구성하는 화합물은, 진공 증착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기화된 고립 단일 분자의 상태로 기판 상 또는 유기층 상에 착탄되고, 그것이 고체 박막이 되어 성막되어 간다. 그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단일 분자의 랜덤한 집합체로 막이 형성되고, 이상적인 아몰퍼스막이 된다.That is, in vapor deposition, when forming thin layers (films) such as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compound constituting each layer is basically vaporized by vacuum evaporation. It lands on a substrate or an organic layer in a state, and it becomes a solid thin film and is deposited. For this reason, basically, a film is formed from a random aggregate of single molecules, resulting in an ideal amorphous film.

한편, 도포 성막법의 경우, 만약 가령, 도포 용액이 유기 EL 화합물의 미결정의 분산물인 경우에는, 외견으로는 완전 용해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얻어지는 박막의 실태는 미결정이 모여진 박막이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HOMO나 LUMO의 준위도 단분자의 그것이 아니라, 스택 집합체(결정 상태)의 그것이 되어 버려, 성능의 저하 요인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ating film forming method, if, for example, the coating solution is a microcrystalline dispersion of an organic EL compound, it appears to be completely dissolved in appearance, but the actual state of the obtained thin film is a thin film in which microcrystals are collected. Therefore, for example, the level of HOMO and LUMO is not that of a single molecule, but that of a stack aggregate (crystal state), and may be a factor of performance degradation.

또한, 경시에서는, 그 미결정이 핵이 되어, 조대 결정으로 성장해 가게 되므로, 층간의 기능 분리가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는 큰 결정이 되어 버리면, 다크 스폿을 발생시켜 버린다고 하는 큰 문제가 있다.In addition, over time, since the microcrystals become nuclei and grow into coarse crystals, not only the functional separation between layers becomes impossible, but also a large crystal that short-circuits the anode and cathode causes dark spots to be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저분자를 사용한 도포 성막 소자에 관해서는, 상술한 오랜 기간의 검토에 의해, 초기 상태인 도포 용액을 어떻게 하여 단분자 분산 상태로 근사시킬지가, 우선은 증착법과 동등한 성능을 내기 위한 필요 조건이 되는 것은 명확하다.Regarding the coating film forming device using a low molecul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long period of study, how to approximate the initial coating solution to a monomolecular dispersion state becomes a necessary condition for achieving the same performance as the vapor deposition method. It is clear.

여기서, 통상, 엄밀하게 용해시킬 작정인 도포액이, 어느 정도의 분자의 분산물로 되어 있는지를 X선 소각 산란 측정(small angle X-ray scattering: 「SAXS」라고도 함)에 의해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각해 본다.Here, in general, the degree of molecular dispersion of the coating liquid intended to be strictly dissolved is analyzed by small angle X-ray scattering (also referred to as ``SAXS''). Think based on it.

도 1은, 파선이 증착법으로 제작한 박막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미립자의 입경 분포 곡선(횡축: 입경(nm), 종축: 빈도 분포)이며, 실선이 도포법으로 제작한 박막 구성 화합물의 미립자의 입경 분포이다. 어느 쪽도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비교할 수 있다.1 is a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horizontal axis: particle diameter (nm), vertical axis: frequency distribution) of a compound constituting a thin film produced by a vapor deposition method with a broken line, and the solid line is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of the thin film constituent compound prepared by the coating method Distribution. Since both are using the same compound, they can be compared directly.

증착 성막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미립자의 입경 분포 폭은, 극대 피크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경이 약 2nm이며, 단분산에 가까운 입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분자 1개 또는 2개의 사이즈라는 점에서, 증착 성막에서는, 거의 단일 분자가 랜덤하게 배치되어 아몰퍼스막이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The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width of the fine particles of the compound in the vapor deposition film formation is about 2 nm in the particle diamet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eak, and the particle diameter is close to monodisperse. This indicates that an amorphous film is formed by arranging almost single molecules randomly in the vapor deposition film formation in terms of the size of one molecule or two.

한편, 도포 성막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미립자의 입경 분포에서는, 극대 피크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경이 약 4.5nm이며, 증착 성막의 입경 분포보다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fine particles of the compound in the coating film formation, the particle diamet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peak is about 4.5 nm, and is more widely distributed tha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vapor deposition film.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증착과 도포에서 동일한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화합물 본래의 결정성이나 응집성은 동일하고, 이 차이는, 도포 용액의 상태에 있어서의 분자의 분산 상태가, 단일 고립 분자가 아니라, 5 내지 10분자의 미결정의 분산물이었음이 추측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ame compound is used for deposition and coating, the original crystallinity and cohesiveness of the compound are the same, and this difference is that the dispersion state of the molecules in the state of the coating solu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ngle isolated molecule. It is presumed that it was a microcrystalline dispersion of 5 to 10 molecules.

물론, 이 도포액은 1주일 이상,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에서 보관해 두어도 결정이 석출되는 일도 없고, 소위 맑은 용액이지만, X선으로 해석하면, 몇 분자의 미결정 분산물을, 우리들은 용해된 용액이라고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Of course, even if this coating solution is stored 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for more than one week, crystals do not precipitate, and it is a so-called clear solution, but when interpreted by X-rays, a few molecules of microcrystalline dispersion, we are a dissolved solution. They are mistaken.

이어서, 화합물에 개량을 실시하고, 도포액의 조정 방법을 개량한 시작품에 사용한 도포 용액에 의해 제작한 도포 박막을 동일한 해석에 의해, 입경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Nex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coating thin film produced by the coating solution used for the prototype in which the compound was improved and the adjustment method of the coating solution was improved is shown in FIG. 2 by the same analysis.

이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결과에서는, 증착막과 도포막의 유기 화합물의 미립자의 입경 분포에 거의 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As is clear from this result,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shown in Fig. 2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fine particles of the organic compound in the vapor-deposited film and the coated film.

이와 같이, 분자 구조를 개량하고, 용해 방법을 궁리함으로써, 거의 고립 단일 분자를 분산시키는 완전 용해 상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함을, 우리들은 이 검토 중에 확인하였다.In this way, we confirmed during this review that by improving the molecular structure and devising a dissolu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pletely dissolved state in which almost isolated single molecules are dispersed.

이것은 도포법에 의해 제작한 유기 EL 소자가, 증착법에 의한 유기 EL 소자와 동등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증명한 큰 성과이기는 하였지만, 반대로, 우리들은, 도포법에 의한 소자를 증착법에 의한 소자와 동등하게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프로세스 부하가 있었음도 알게 되었다.Although this was a great achievement that proved that the organic EL device produced by the coating method can exhibit the same performance as the organic EL device by the evaporation method, on the contrary, we, the device by the coating method, are equivalent to the device by the vapor deposition method. In order to do that, I also found out that there was a huge process load.

즉, 현 상황에서는, 도포법으로 증착법과 동일한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본래 생산성이 우수할 터인 도포법임에도 불구하고, 용해 방법이나 보관 방법 등, 대단히 손이 많이 가는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특히 생산량이 증가하였을 때에는, 이 프로세스가 율속 과정이 되어 버릴 위험성이 높아, 이 기술 영역을 개선하는 것이, 장래의 대량 생산에는 불가결함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performance as the evaporation method with the coating method in the current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very laborious process such as a dissolution method or a storage method, even though the coating method is expected to have excellent productivity. When this increases, there is a high risk that this process will become a rate controlling process, and it is strongly recognized that improving this technical area is indispensable for mass production in the future.

5. 유기 EL 화합물의 용매의 순도에 대하여5. On the purity of the solvent of the organic EL compound

유기 EL 소자는, 여기 상태가 된 발광 재료가 기저 상태로 복귀될 때 광을 발하는 현상을 기본 기능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The organic EL device has as a basic function a phenomenon in which light is emitted when a light-emitting material that has entered an excited state returns to a ground state.

또한, 전극으로부터 발광층까지의 사이에는, 전자 및 정공을 호핑 현상을 통하여 수송할 필요가 있다.Further, it is necessary to transport electrons and holes through a hopping phenomen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우선, 여기 상태에 대하여 말하자면, 예를 들어 5% 농도의 발광 재료를 도핑한 유기 EL 소자의 경우, 1000cd/㎡의 휘도로, 1년간 계속해서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계산하여, 하나의 도펀트가 약 10억회 여기자가 될 필요가 있다. 이때, 단 1회만이라도, 여기자가 물 분자와 반응하면, 본래의 분자와는 다른 화합물로 되어 버린다. 또한, 여기자가 산소 분자와 반응하면, 어떠한 산화 반응이나 산화 커플링 반응이 일어나 버린다. 이것이, 유기 EL 소자의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화학 변화의 가장 대표적인 현상이다.First of all, as for the excited st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rganic EL device doped with a light emitting material having a concentration of 5%, in order to emit light continuously for one year at a luminance of 1000 cd/m2, simply calculate, and one dopant is approximately You need to be an exciter 1 billion times. At this time, even once, when an exciton reacts with a water molecule, it becomes a compound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lecule. Further, when an exciton reacts with an oxygen molecule, some oxidation reaction or oxidation coupling reaction occurs.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phenomenon of chemical change that causes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organic EL device.

또한, 발광 재료 이외의 재료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한 횟수로, 라디칼 상태가 된다는 것이며, 라디칼 음이온 상태도 양이온 라디칼 상태도 기저 상태와 비교하면 활성종이라는 점에서, 유기 EL 소자의 기능 저하로 되는 원인이 되는 화학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for materials other than the light-emitting material, the radical state is formed almost the same number of times, and the radical anion state and the cation radical state are active species compared to the ground state, which causes the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organic EL device.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hemical change occurring.

즉, 물 분자나 산소 분자는, 도포액에는 일절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며, 그것이 전제가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ater molecules and oxygen molecules must not be present in the coating liquid at all, and that is the premise.

단, 공업상에서는, 순도가 높은 무수 용매는 매우 고가이며, 취급성도 어렵다. 그 때문에, 결국, 도포법에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소모제가 되는 용매를 어떻게 범용적인 것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가 중요하다.However, industrially, an anhydrous solvent with high purity is very expensive and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refore, in the end, in order to reduce the cost in the coating method, it is important how a solvent serving as a consumable can be used as a general purpose.

6. 용질인 유기 EL 재료의 보관에 대하여6. Storage of organic EL materials as solutes

상기와 같이, 물과 산소의 존재는 유기 EL 소자 성능, 특히 발광 소자 수명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결점이 된다고 추정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ce of water and oxygen is estimated to be a fatal defect in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 EL device, particularly in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포법에서 가장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가, 물과 산소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그를 위해서는, 용질 쪽도, 통상의 시약이나 약품과 같이 분체 상태로 공기 중에 방치해 둘 수는 없다.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ost indispensable thing in the coating method is to prevent the incorporation of water and oxygen, and for that purpose, neither the solute nor the solute can be left in the air in a powder state like ordinary reagents and chemicals.

우리들이, 도포 성막 소자를 제작할 때에는, 통상, 용질이 되는 물질을 플라스크나 쉬링크관과 같은, 감압과 불활성 가스 퍼지의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기구에 넣고, 진공 펌프로 감압하면서, 히트 건 등으로 용기를 가열하고, 그것과 질소 봉입 후에,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에 옮겨, 그 곳에서, 탈수 용매에 용해하여, 질소 하인 상태로 도포 성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When we manufacture a coating film forming element, usually, a material that is a solute is put in a mechanism such as a flask or a shrink tube that can perform both decompression and inert gas purge, and the pressure is reduced with a vacuum pump, while using a heat gun or the like. It is a common method to heat a container, and after sealing it with nitrogen, transfer it to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dissolve in a dehydrating solvent therein, and form a coating film in a state of nitrogen underneath.

이때, 산소를 완전히 빼기 위해, 용해에 질소 가스를 버블링하는 것도 행하고, 탈수 용매도, 용해 직전에 알루미나나 제올라이트의 흡수관에 통과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처치는, 파일럿 플랜트나 실제 공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또는 이것에 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 프로세스에 매우 시간이 걸려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라고 우리들은 생각하고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ly remove oxygen, nitrogen gas is also bubbled through the dissolution, and the dehydration solvent is also passed through an absorption tube of alumina or zeolite immediately before dissolution and used. These treatments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in pilot plants and actual factories, but the fact that this process takes a very long time and lowers productivity is as described above, and solving this part is our greatest challenge. Is thinking.

7. 본 발명에 관한 요소적 기술에 대하여7. About the elemental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포액][Application liquid]

본 발명의 도포액은,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이상,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in the range of 1 ppm or more and the saturation concentration for the organic solv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ide.

또한,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5 내지 1000pp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5 to 1000 ppm under the above conditions.

또한, 상기 도포액 중에 산소가 1ppm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용존 산소 농도의 1.0 내지 100000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도포액을 사용하여 작성한 디바이스의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대기 중에서 도포액을 조제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에 대해서도 도포액 중에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비율은 매우 낮으며(0.03 내지 0.04% 정도), 그 결과, 도포액에 도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매우 낮아질 터이지만, 이제까지 도포액 중의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 사례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그 효과에 대하여 조사된 지견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대기 중의 주요 성분인 질소, 산소의 도포액 중의 농도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내고, 그 결과로서, 도포액으로의 산소나 물의 도입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1 ppm or more of oxygen is present in the coating liqui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contained within the range of 1.0 to 100000 times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stability of the device prepared using the coating liquid. It is preferable in terms. That is, when the coating liquid is prepared in the ai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arbon dioxide in the air is also introduced into the coating liquid. However, the ratio of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is very low (about 0.03 to 0.04%),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troduced into the coating solution will also be very low, but there have been no cases of measuring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oating solution so far. not. Also, there is no researched knowledge about its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centration in the coating liquid of nitrogen and oxygen,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atmosphe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actively created,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introduction of oxygen or water into the coating liquid is expected. I did it.

본 발명에 있어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는, 예를 들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gas chromatography.

본 발명의 도포액은,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도포액, 또는 잉크젯용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liquid of this invention is a coating liquid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or ink jet ink.

전자 디바이스로서는, 유기 EL 소자, 광전 변환 소자(태양 전지), 또는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발광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ic device is preferably an organic EL device, a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solar cell), or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화합물)(Organic compound)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은, 특정 종류ㆍ특정 구조의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종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화합물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organic compou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mpound having a specific type or a specific structure, but a compound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포액이,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도포액인 경우에는, 유기 화합물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재료(이하, 「유기 EL 재료」라고도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재료란, 후술하는 양극과 음극간에 형성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층(이하, 「유기 기능층」, 「유기 EL층」이라고도 함)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합물을 말한다. 또한, 이들 양극, 음극 및 유기 EL 재료를 사용한 유기 EL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유기 EL 소자라고 칭한다. 유기 EL 재료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의 예는, 후술한다.For example, when the coating liquid is a coating liquid for producing an organic EL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compound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organic EL material"). The organic EL material refers to a compound that can be used f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organic functional layer" and "organic EL layer") form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organic EL layer using these anodes, cathodes, and organic EL materials is referred to as an organic EL element. Examples of the compound used as the organic EL material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포액이, 광전 변환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도포액인 경우에는, 유기 화합물이 p형 유기 반도체 재료나 n형 유기 반도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p형 유기 반도체 재료 및 n형 유기 반도체 재료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의 예는, 후술한다.In addition, when the coating liquid is a coating liquid for fabricating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compound is a p-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or an n-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Examples of the compounds used as these p-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and n-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will be described later.

(유기 용매)(Organic solvent)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용매란,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유기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매체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solvent refers to a medium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capable of dissolving the organic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유기 EL 소자 재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액 매체로서는, 염화메틸렌,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히드로푸란,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이소부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TFPO)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시클로헥실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데칼린, 도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의 알코올류, DMF, DMSO 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으며, 소자 중에 포함되는 용매량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비점이 50 내지 180℃의 범위인 용매가 바람직하다.As a liquid medium for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organic EL devic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ketones such as methylene chloride, methyl ethyl ketone, tetrahydrofuran, and cyclohexanone, fatty acid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isopropyl acetate, and isobutyl acetate ,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chlorobenzene, dichlorobenzene, 2,2,3,3-tetrafluoro-1-propanol (TFPO),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xylene, mesitylene, and cyclohexylbenzene, cyclohexan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decalin and dodecane, n-butanol, s-butanol, t-butanol alcohols, organic solvents such as DMF and DMSO, etc., in terms of suppressing the amount of solvent contained in the device, the boiling point A solvent in the range of 50 to 180°C is preferred.

[도포액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coating solution]

본 발명의 도포액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유기 화합물과 상기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이하, 혼합 공정이라고도 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the carbon dioxid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mixing step).

상기 혼합 공정 후에,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mix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prepare the coating liqui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또한, 본 발명의 도포액의 제조 방법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중의 물질(예를 들어, 물, 산소 및 유기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이하, 분리 공정이라고도 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eparing a coating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separating substances (e.g., water, oxygen, and organic compounds)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eparation process). It is preferable to have ).

상기 혼합 공정은,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화합물 중에 이산화탄소를 용존시킬 수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유기 용매와 유기 화합물을 혼합한 용액 중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여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거나, 또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The mixing step is a step of mixing an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Specifically, carbon dioxide can be dissolved in an organic compound, for example, by bubbling carbon dioxide gas in a solution of an organic solvent and an organic compound to mix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or a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And mixing organic compounds and carbon dioxide by using.

탄산 가스의 버블링은, 예를 들어 고순도의 탄산 가스를 유속 0.01 내지 100㎖/min의 범위 내에서 1 내지 60분간 버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bubbling of the carbonic acid ga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ubble the high-purity carbonic acid gas for 1 to 60 minutes within a flow rate of 0.01 to 100 ml/min.

이와 같이 탄산 가스의 버블링에 의해 얻어진 용액, 즉 혼합 공정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유기 용매 및 유기 화합물의 용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도포액을 제조할 수 있다. 즉, 혼합 공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그대로, 본 발명의 도포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coating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using the solution obtained by bubbling carbon dioxide gas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rganic solvent and the organic compound in which carbon dioxide is mixed by the mixing process. That is, the solution obtained by the mixing process can be used as it is as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은 충전 칼럼, 오픈 칼럼, 모세관 칼럼을 사용할 수 있다.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may use a packed column, an open column, or a capillary column.

충전 칼럼을 사용한 방법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용매(이산화탄소를 포함함)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11), 펌프(12), 필요에 따라 모디파이어(13), 분리되는 유기 화합물을 주입하는 인젝터(14), 그리고 분리용 칼럼(15), 또한 필요하면 검출기(17), 그리고 압력 조정 밸브(18)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칼럼(15)은 칼럼 오븐(16) 내에서 온도 조정된다. 충전제로서는 종래의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또는 표면 수식된 실리카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In the method using a packed column, as shown in Fig. 3, a supercritical fluid 11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including carbon dioxide), a pump 12, a modifier 13, and an organic compound to be separated if necessary. A device comprising an injector 14 for injecting, and a separation column 15, also a detector 17,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18, if necessary, may be used. The column 15 is temperature controlled in the column oven 16. As the filler, silica used in a conventional chromatography method, a surface-modified silica, or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액의 제조 방법은, 유기 용매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유기 화합물, 물 및 산소를 분리하는 공정(분리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리된 유기 화합물 및 유기 용매(이산화탄소를 포함함)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도포액을 제조할 수 있다. 즉, 혼합 공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그대로, 본 발명의 도포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organic compound, water, and oxygen using a supercritical fluid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carbon dioxide. Then,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separated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including carbon dioxide). That is, the solution obtained by the mixing process can be used as it is as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란, 초임계 상태에 있는 물질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critical fluid refers to a substance in a supercritical state.

여기서, 초임계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질은, 온도, 압력(또는 체적) 등의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기체, 액체, 고체의 3개의 상태의 사이로 변해 가는데, 이것은 분자간력과 운동 에너지의 밸런스에 의해 결정된다. 횡축에 온도를, 종축에 압력을 취하여 기체/액체/고체의 3 상태의 변천을 나타낸 것을 상태도(상도(相圖))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 기체, 액체, 고체의 삼상이 공존하고, 평형에 있는 점을 삼중점이라고 한다. 삼중점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액체와 그 증기가 평형이 된다. 이때의 압력은 포화 증기압이며, 증발 곡선(증기압선)으로 표시된다. 이 곡선으로 표시되는 압력보다 낮은 압력에서는 액체는 전부 기화되고, 또한 이것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면 증기는 전부 액화된다.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온도를 변화시켜도 이 곡선을 초과하면 액체가 증기로, 또한 증기가 액체로 된다. 이 증발 곡선에는 고온, 고압측에 종점이 있고, 이것을 임계점(critical point)이라고 칭한다. 임계점은 물질을 특징짓는 중요한 점이며, 액체와 증기의 구별이 가지 않게 된 상태에서, 기액의 경계면도 소실된다.Here, the supercritical state will be described. Matter changes between three states: gas, liquid, and solid according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or volume), and this is determined by the balance of intermolecular force and kinetic energy. It is called a phase diagram (phase diagram) that shows the transition of the three states of gas/liquid/solid by taking temperature on the horizontal axis and pressure on the vertical axis. A point that is present is called a triple point.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riple point, the liquid and its vapor are in equilibrium. The pressure at this time is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and is expressed as an evaporation curve (vapor pressure line). At a pressure lower than the pressure indicated by this curve, all the liquid is vaporized, and when a pressure higher than this is applied, all the vapor is liquefied. Even if the pressure is kept constant and the temperature is changed, if this curve is exceeded, the liquid becomes vapor and the vapor becomes liquid. This evaporation curve has an end point o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ide, and this is called a critical point. The critical point is an important point that characterizes a substance, and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liquid and vapor, the interface between gas and liquid is also lost.

임계점보다 고온의 상태에서는, 기액 공존 상태를 생기게 하지 않고 액체와 기체 사이에서 변해 갈 수 있다.In a state higher than the critical point, it may change between liquid and gas without creating a gas-liquid coexistence state.

임계 온도 이상이며, 또한 임계 압력 이상의 상태에 있는 유체를 초임계 유체라고 하고, 초임계 유체를 제공하는 온도ㆍ압력 영역을 초임계 영역이라고 한다. 초임계 유체는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갖는 고밀도 유체라고 이해할 수 있고, 용질을 용해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액체적인 거동을, 밀도의 가변성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기체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초임계 유체의 용매 특성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저점성이고 고확산성이고 고체 재료에 대한 침투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중요한 특성이다.A fluid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and above the critical pressure is referred to as a supercritical fluid, and a temperature/pressure region providing the supercritical fluid is referred to as a supercritical region. A supercritical fluid can be understood as a high-density fluid having a high kinetic energy, and exhibits a liquid behavior in terms of dissolving a solute and a gaseous characteristic in terms of density variability. The supercritical fluid has various solvent properties, but it is an important property that it has low viscosity, high diffusion, and excellent permeability to solid materials.

초임계 상태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라면, 임계 온도(이하, Tc라고도 함) 31℃, 임계 압력(이하, Pc라고도 함)은 7.38×106Pa이며, 프로판(Tc=96.7℃, Pc=43.4×105Pa), 에틸렌(Tc=9.9℃, Pc=52.2×105Pa) 등, 이 영역 이상에서는 유체는 확산 계수가 크며, 또한 점성이 작아져 물질 이동, 농도 평형으로의 도달이 빠르고, 또한 액체와 같이 밀도가 높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이산화탄소와 같은 상압, 상온에서 기체가 되는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회수가 신속하게 된다. 또한, 액체 용매를 사용하는 정제법에서 불가피한 미량의 용매의 잔류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장해가 없다.The supercritical state is, for example, carbon dioxide, the critical temper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c) 31°C, the critical press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is 7.38×10 6 Pa, and propane (Tc = 96.7°C, Pc = 43.4 ×10 5 Pa), ethylene (Tc = 9.9 °C, Pc = 52.2 × 10 5 Pa), etc. above this range, the fluid has a large diffusion coefficient and has a low viscosity, so mass transfer and concentration equilibrium are fast, In addition, since it has a high density like a liquid, efficient separation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by using a substance that becomes a gas at normal pressure and room temperature such as carbon dioxide, recovery is quick. In addition, there are no various obstacles due to the inevitable residual amount of a solvent in the purification method using a liquid solvent.

초임계 유체로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 암모니아,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에탄, 프로판, 부탄, 헥산, 펜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 중에서도 이산화탄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solvent used as the supercritical fluid, carbon dioxide, dinitrogen monoxide, ammonia, water, methanol, ethanol, 2-propanol, ethane, propane, butane, hexane, pentane,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but among these, carbon dioxide can be preferably used. have.

초임계 유체로서 사용하는 용매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극성을 조정하기 위한 소위 모디파이어, 엔트레이너라고 불리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One type of solvent used as the supercritical fluid can be used alone, and a so-called modifier or entrainer can be added to adjust the polarity.

엔트레이너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염화메틸,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토알데히드디에틸아세탈 등의 아세탈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카르복실산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질소 화합물계 용매, 이황화탄소,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황 화합물계 용매, 또한 물, 질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entrainers include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hexane, cyclohexane, benzene, and toluene,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methyl chloride,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and chlorobenzene, and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Solvents, ether solvents such as diethyl ether, tetrahydrofuran, acetal solvents such as acetoaldehyde diethyl acetal,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formic acid, Carboxylic acid solvents such as acetic acid and trifluoroacetic acid, nitrogen compound solvents such as acetonitrile, pyridine, and N,N-dimethylformamide, sulfur compound solvents such as carbon disulfide and dimethyl sulfoxide, and water, nitric acid, Sulfuric acid and the like.

초임계 유체의 사용 온도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이 용해되는 온도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유기 화합물의 초임계 유체 중으로의 용해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 온도 범위는 20 내지 6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 temperature of the supercritical fluid is basically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bov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organic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solved, but if the temperature is too low, the solubility of the organic compound in the supercritical fluid may be insufficient, and the temperature When is too high, the organic compound may be decomposed, so the use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20 to 600°C.

초임계 유체의 사용 압력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의 임계 압력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압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기 화합물의 초임계 유체 중으로의 용해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압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제조 장치의 내구성, 조작 시의 안전성 등의 면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용 압력은 1 내지 100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king pressure of the supercritical flu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basically higher than the critical pressure of the substance used, but if the pressure is too low, the solubility of the organic compound in the supercritical fluid may be insufficient, and if the pressure is too high, it is manufactured. Since problems may arise in terms of durability of the device, safety during operation, etc., the working pressure is preferably 1 to 100 MPa.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장치는, 유기 화합물이 초임계 유체와 접촉하여 초임계 유체 중으로 용해되는 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하등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초임계 유체를 폐쇄계에서 사용하는 배치 방식, 초임계 유체를 순환시켜 사용하는 유통 방식, 배치 방식과 유통 방식을 조합한 복합 방식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A device using a supercritical fluid is not limited at all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dissolving an organic compound into the supercritical fluid by contacting the supercritical fluid, and for example, a batch metho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in a closed system, a supercritical fluid. It is possible to use a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a critical fluid is circulated and a complex method in which a batch method and a distribution method are combined.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Inks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는, 상기 도포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는, 상기 도포액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k for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the coating liquid. That is, the ink for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rived from the coating liquid.

전자 디바이스로서는 발광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유기 EL 소자, 또는 광전 변환 소자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ic device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evice, and further preferably an organic EL device or a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본 발명의 도포액을 함유하는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를 사용한 잉크젯법에 의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각 층을 형성할 수 있다.Each layer constituting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formed by the ink jet method using the ink for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containing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도포액으로부터 유래하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꾸어 말하면, 상기 도포액을 도막화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using the coating liquid.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derived from the coating liquid, in other words,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coating the coating liquid.

전자 디바이스로서는 발광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유기 EL 소자 또는 광전 변환 소자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ic device is preferably a light-emitting device, and further, an organic EL element or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is preferable.

[유기 EL 소자][Organic EL device]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상기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상기 도포액으로부터 유래하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꾸어 말하면, 상기 도포액을 도막화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using the coating liquid. That is,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derived from the coating liquid, in other words,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coating the coating liquid.

이하, 유기 EL 소자의 상세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organic EL device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기판 상에, 양극과 음극, 이들 전극간에 1층 이상의 유기 기능층(「유기 화합물층」, 「유기 EL층」이라고도 함)을 협지한 구조를 갖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nd one or more organic functional layers (also referred to as ``organic compound layer'' and ``organic EL layer'') are sandwiched on a substrate on a substrate. .

(기판)(Board)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사용할 수 있는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이어도 되고 불투명이어도 된다. 기판측으로부터 광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기판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투명한 기판으로서는, 유리, 석영,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판으로서는, 기판측으로부터의 산소나 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JIS Z-0208에 준거한 시험에 있어서, 그 두께가 1㎛ 이상이고, 수증기 투과도가 1g/(㎡ㆍ24hㆍatm)(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trate that can be used for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glass substrate, a plastic substrate, or the like can be used, and may be transparent or opaque. When light is extracted from the substrat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is transparent. Glass, quartz, and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s are mention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as a substrate, in a test conforming to JIS Z-0208, in order to prevent intrusion of oxygen or water from the substrate side, the thickness is 1 μm or more, and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is 1 g/(m 2 ·24 h·atm) 25°C) or less.

유리 기판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 소다석회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수분의 흡착이 적다는 점에서는 무알칼리 유리가 바람직하지만, 충분히 건조를 행하면 이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Specifically as a glass substrate, an alkali free glass, a low alkali glass, a soda-lime glas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mong these, alkali-free gla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little adsorption of moisture, but any of thes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sufficiently dried.

플라스틱 기판은, 가요성이 높고, 경량이며 갈라지기 어렵다는 점, 유기 EL 소자의 한층 더한 박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근년 주목받고 있다.Plastic substrate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for reasons such as high flexibility, light weight, and hard to crack, and the ability to further reduce the thickness of an organic EL element.

플라스틱 기판의 기재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나이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또는 그들의 유도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노르보르넨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류,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 또는 폴리아릴레이트류,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resin film used as a substrate for a plastic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polypropylene, cellophan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ee Cellulose esters such as acetate (TAC),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cellulose acetate phthalate, and cellulose nitrate, or derivatives thereof,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vinyl alcohol, syndiotactic Polystyrene, polycarbonate, norbornene resin, polymethylpentene, polyether ketone, polyimide, polyethersulfone (PES), polyphenylene sulfide, polysulfones, polyetherimide, polyetherketoneimide, poly Amide, fluorine resin,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acrylic or polyarylate, organic-inorganic hybrid resin, and the like.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로서는, 유기 수지와 졸 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무기 고분자(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를 조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아톤(JSR(주)제) 또는 아펠(미쓰이 가가쿠(주)제)과 같은 노르보르넨(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resin include those obtained by combining an organic resin with an inorganic polymer (eg, silica, alumina, titania, zirconia, etc.) obtained by a sol-gel reaction. Among these, a norbornene (or cycloolefin type) resin such as Atone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or Arpel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 Corpora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e.

통상 생산되고 있는 플라스틱 기판은, 수분의 투과성이 비교적 높고, 또한 기판 내부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때에는, 수지 필름 상에 수증기나 산소 등의 침입을 억제하는 막(이하, 「배리어막」 또는 「수증기 밀봉막」이라고 함)을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Plastic substrates normally produced have relatively high moisture permeability, and may contain moisture in the substrate. Therefore, when using such a plastic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rrier film" or "water vapor sealing film") for suppressing intrusion of water vapor or oxygen on the resin film.

배리어막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무기물, 유기물의 피막 또는 그 양자의 하이브리드 등이 사용된다. 피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JIS K 7129-199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수증기 투과도(25±0.5℃, 상대 습도 (90±2)% RH)가 0.01g/(㎡ㆍ24h) 이하인 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JIS K 7126-198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10-3mL/(㎡ㆍ24hㆍatm) 이하, 수증기 투과도가 1×10-5g/(㎡ㆍ24h) 이하인 고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rri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film of an inorganic substance or an organic substance, or a hybrid of both is used. A barrier film having a water vapor permeability (25±0.5°C, relative humidity (90±2)% RH) of 0.01 g/(m²·24h) or less, measured by a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K 7129-1992, which may have a film formed there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xygen permeability measured by the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K 7126-1987 is 1×10 -3 mL/(㎡·24h·atm) or less, and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is 1×10 -5 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high barrier film which is less than 24h)

배리어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수분이나 산소 등 소자의 열화를 초래하는 것의 침입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금속 산질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 등의 무기물, 유기물, 또는 그 양자의 하이브리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rri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suppressing the intrusion of moisture or oxygen that causes deterior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metal ox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nitrides, organic substances, Alternatively, a hybrid material or the like of both can be used.

금속 산화물, 금속 산질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로서는, 산화규소, 산화티타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ㆍ주석 산화물(ITO),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규소 등의 금속 질화물, 산질화규소, 산질화티타늄 등의 금속 산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metal ox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nitrides include silicon oxide, titanium oxide, indium oxide, tin oxide, metal oxides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aluminum oxide, metal nitrides such as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and titanium oxynitride. And other metal oxynitrides.

또한, 해당 막의 취약성을 개량하기 위해, 이들 무기층과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층의 적층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층과 유기층의 적층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양자를 교대로 복수회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ragility of the film,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laminated structure of a layer containing these inorganic layers and organic materials. Although there is no restriction|limiting in particular about the lamination order of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It is preferable that both are laminated|stacked alternately multiple times.

배리어막은, JIS K 7129-199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수증기 투과도(25±0.5℃, 상대 습도 (90±2)% RH)가 0.01g/(㎡ㆍ24h) 이하인 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JIS K 7126-198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0-3mL/(㎡ㆍ24hㆍatm 이하), 수증기 투과도가 10-5g/(㎡ㆍ24h) 이하인 고배리어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arrier film is preferably a barrier film having a water vapor permeability (25±0.5°C, relative humidity (90±2)% RH) of 0.01 g/(m 2 ·24 h) or less measured by a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K 7129-1992. Furthermore, a highly barrier film with an oxygen permeability of 10 -3 mL/(m²·24h·atm or less) and a water vapor transmittance of 10 -5 g/(m²·24h) or less measured by a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K 7126-1987 It is preferable to be

상기 수지 필름에 배리어막을 마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반응성 스퍼터링법, 분자선 에피택시법, 클러스터 이온 빔법, 이온 플레이팅법, 플라스마 중합법, 대기압 플라스마 중합법, CVD법(화학적 기상 퇴적: 예를 들어, 플라스마 CVD법, 레이저 CVD법, 열 CVD법 등), 코팅법, 졸 겔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치밀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기압 또는 대기압 근방에서의 플라스마 CVD 처리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barrier film on the resi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method may be used, but for example, vacuum deposition method, sputtering method, reactive sputtering method, molecular beam epitaxy method, cluster ion beam method, ion plating method, plasma polymerization method ,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olymerization method, CVD method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example, plasma CVD method, laser CVD method, thermal CVD method, etc.), coating method, sol gel method, and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se, a method by plasma CVD treatment at atmospheric pressure or near atmospheric pressur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form a dense film.

불투명한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 필름이나 불투명 수지 기판, 세라믹제 기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paque substrate include a metal plate such as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a film or an opaque resin substrate, and a ceramic substrate.

(양극)(anode)

유기 EL 소자의 양극으로서는, 일함수가 큰(4eV 이상) 금속, 합금, 금속의 전기 전도성 화합물, 또는 이들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금속의 전기 전도성 화합물」이란, 금속과 다른 물질의 화합물 중 전기 전도성을 갖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의 산화물, 할로겐화물 등이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As the anode of the organic EL element, a metal having a large work function (4 eV or more), an alloy,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of a metal, or a mixture thereof is preferably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Here,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of a metal" refers to a compound of a metal and other substances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specifically, for example, an oxide or a halide of a metal, and refers to a compound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Au 등의 금속, CuI, 인듐ㆍ주석 산화물(ITO), SnO2, ZnO 등의 도전성 투명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이들 전극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기판 상에 형성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electrode materials include metals such as Au, CuI, indium-tin oxide (ITO), and conductive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SnO 2 and ZnO. The anode can be produced by forming a thin film containing these electrode materials on the substrate by a known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or sputtering.

또한, 이 박막에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형성해도 되며, 또한 패턴 정밀도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100㎛ 이상 정도), 상기 전극 물질의 증착이나 스퍼터링 시에 원하는 형상의 마스크를 개재시켜 패턴을 형성해도 된다.In addition, a pattern of a desired shape may be formed on this thin film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and when pattern precision is not very much required (about 100 μm or more), a mask of a desired shape may be used during deposition or sputtering of the electrode material. You may form a pattern by interposing.

양극으로부터 발광을 취출하는 경우에는, 투과율을 1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 Ω/sq.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극의 막 두께는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0nm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200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In the case of extracting light from the anod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ransmittance greater than 10%. In addition, sheet resistance as an anode is several hundred Ω/sq. The following are preferable. In addition, although the film thickness of the anode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constituting it, i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10 nm to 1 μm, preferably 10 nm to 200 nm.

(유기 기능층)(Organic functional layer)

유기 기능층(「유기 EL층」, 「유기 화합물층」이라고도 함)에는 적어도 발광층이 포함되는데, 발광층이란 광의로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에 전류를 흘렸을 때 발광하는 층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에 전류를 흘렸을 때 발광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을 가리킨다.The organic functional layer (also referred to as ``organic EL layer'' and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t least a light-emitting layer, and in a broad sense, the light-emitting layer refers to a layer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is passed through an electrode including a cathode and an anode. Denotes a layer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is passed through an electrode including a cathode and an anode.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EL 소자는, 필요에 따라, 발광층 외에,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전자 수송층을 가져도 되고, 이들 층이 음극과 양극 사이에 협지된 구조를 취한다.The organic EL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ole injection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in addition to the light emitting layer, if necessary, and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se layers are sandwiched between a cathode and an anode.

구체적으로는,Specifically,

(i) 양극/발광층/음극(i) anode/light emitting layer/cathode

(ii)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음극(ii) anode/hole injection layer/light emitting layer/cathode

(iii) 양극/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iii) anode/light emitting layer/electron injection layer/cathode

(iv)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iv) anode/hole injection layer/light emitting layer/electron injection layer/cathode

(v)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v) anode/hole injection layer/hole transport layer/light emitting layer/electron transport layer/electron injection layer/cathode

(vi) 양극/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음극(vi) anode/hole transport layer/light-emitting layer/electron transport layer/cathode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And the like.

또한, 전자 주입층과 음극의 사이에 음극 버퍼층(예를 들어, 불화리튬 등)을 삽입해도 되고, 양극과 정공 주입층의 사이에 양극 버퍼층(예를 들어, 구리 프탈로시아닌 등)을 삽입해도 된다.In addition, a cathode buffer layer (eg, lithium fluorid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cathode, or an anode buffer layer (eg, copper phthalocyanin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발광층)(Luminescent layer)

본 발명에 관한 발광층은, 전극 또는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으로부터 주입되어 오는 전자 및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층이며, 발광하는 부분은 발광층의 층 내여도 되고 발광층과 인접층의 계면이어도 된다. 발광층은 단일의 조성을 갖는 층이어도 되고,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을 갖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The light-emit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yer that emits light by recombining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from an electro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o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portion that emits light may be in the layer of the light-emitting layer or the interface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adjacent layer. The light-emitting layer may be a layer having a single composition or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composition.

이 발광층 자체에,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전자 수송층 등의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즉, 발광층에 (1) 전계 인가 시에, 양극 또는 정공 주입층에 의해 정공을 주입할 수 있으며, 또한 음극 또는 전자 주입층으로부터 전자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 기능, (2) 주입한 전하(전자와 정공)를 전계의 힘으로 이동시키는 수송 기능, (3)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장소를 발광층 내부에 제공하고, 이것을 발광으로 연결시키는 발광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또한, 발광층은, 정공의 주입 용이성과 전자의 주입 용이성에 차이가 있어도 되고, 또한 정공과 전자의 이동도로 표시되는 수송 기능에 대소가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하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unctions, such as a hole injection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may be given to this light emitting layer itself. That is, (1)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layer, holes can be injected by the anode or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an injection function capable of injecting electrons from the cathode o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2) the injected charge (electron And holes)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and (3) a light emitting function of providing a recombination site of electrons and holes i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connecting them to light emission. 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layer may have a difference in the ease of injection of holes and the ease of injection of electrons, and may have a large or small transport function represented by the mobility of holes and electrons, but preferably has a function of moving at least one of the charges. Do.

이 발광층에 사용되는 발광 재료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재료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재료는, 주로 유기 화합물이며, 원하는 색조에 따라, 예를 들어 문헌 [Macromol. Symp. 125권 17 내지 26쪽]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발광 재료는 p-폴리페닐렌비닐렌이나 폴리플루오렌과 같은 고분자 재료여도 되고, 또한 상기 발광 재료를 측쇄에 도입한 고분자 재료나 상기 발광 재료를 고분자의 주쇄로 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재료는, 발광 성능 외에, 정공 주입 기능이나 전자 주입 기능을 겸비하고 있어도 되므로, 후술하는 정공 주입 재료나 전자 주입 재료의 대부분을 발광 재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There is no restriction|limiting in particular about the kind of the light-emitting material used for this light-emitting layer, What is conventionally known as a light-emitting material in an organic EL element can be used. Such light-emitting materials are mainly organic compounds, and depending on the desired color tone, for example, literature [Macromol. Symp. 125, pages 17 to 26]. Further, the light-emitting material may be a polymer material such as p-polyphenylene vinylene or polyfluorene, and a polymer material in which the light-emitting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side chain or a polymer material in which the light-emitting material is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may be used. . 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emitting material may have a hole injection function and an electron injec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light emission performance, most of the hole injection material or electron injection material described later can also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material.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층에 있어서, 그 층이 2종 이상의 유기 화합물로 구성될 때, 주성분을 호스트, 그 밖의 성분을 도펀트라고 하며, 본 특허의 발광층에 있어서 호스트와 도펀트를 병용하는 경우, 주성분인 호스트 화합물에 대한 발광층의 도펀트(이하 발광 도펀트라고도 함)의 혼합비는, 바람직하게는 질량으로 0.1 내지 30질량% 미만이다.In the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EL device, when the layer is composed of two or more types of organic compounds, the main component is called a host,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called a dopant, and when a host and a dopant are used in combination in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is patent, the main component The mixing ratio of the dopant of the light-emitting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light-emitting dopant) to the phosphorus host compound is preferably less than 0.1 to 30% by mass by mass.

발광층에 사용하는 도펀트는, 크게 나누어, 형광을 발광하는 형광성 도펀트와 인광을 발광하는 인광성 도펀트의 2종류가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dopants used for the light-emitting layer: a fluorescent dopant that emits fluorescence and a phosphorescent dopant that emits phosphorescence.

형광성 도펀트의 대표예로서는, 쿠마린계 색소, 피란계 색소, 시아닌계 색소, 크로코늄계 색소, 스쿠아릴륨계 색소, 옥소벤즈안트라센계 색소, 플루오레세인계 색소, 로다민계 색소, 피릴륨계 색소, 페릴렌계 색소, 스틸벤계 색소, 폴리티오펜계 색소, 또는 희토류 착체계 형광체, 기타 공지의 형광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fluorescent dopant include a coumarin-based dye, a pyran-based dye, a cyanine-based dye, a chromonium-based dye, a squarylium-based dye, an oxobenzanthracene-based dye, a fluorescein-based dye, a rhodamine-based dye, a pyryllium-based dye, and perylene-based dye , A stilbene-based dye, a polythiophene-based dye, or a rare earth complex fluorescent substance, and other known fluorescent compounds.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1층의 발광층이 인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light-emitting layer contains a phosphorescent compound.

본 발명에 있어서 인광성 화합물이란, 여기 삼중항으로부터의 발광이 관측되는 화합물이며, 인광 양자 수율이 25℃에 있어서 0.001 이상인 화합물이다. 인광 양자 수율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상기 인광 양자 수율은, 제4판 실험 화학 강좌 7의 분광 II의 398쪽(1992년판, 마루젠)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용액 중에서의 인광 양자 수율은 여러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광성 화합물은, 임의의 용매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인광 양자 수율이 달성되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sphorescent compound is a compound in which light emission from the triplet is observed, and a phosphorescence quantum yield is 0.001 or more at 25°C. Phosphorescence quantum yield is preferably 0.01 or more, more preferably 0.1 or more. The phosphorescence quantum yield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on page 398 (Maruzen, 1992 edition) of Spectroscopy II of the fourth edition experimental chemistry lecture 7. The phosphorescence quantum yield in a solution can be measured using various solvents, but the phosphorescent compou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achieve the phosphorescence quantum yield in any of any solvents.

인광성 도펀트는 인광성 화합물이며, 그 대표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원소의 주기율표로 8 내지 10족의 금속을 함유하는 착체계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리듐 화합물, 오스뮴 화합물, 로듐 화합물, 팔라듐 화합물, 또는 백금 화합물(백금 착체계 화합물)이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이리듐 화합물, 로듐 화합물, 백금 화합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리듐 화합물이다.The phosphorescent dopant is a phosphorescent compoun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preferably a complex system compound containing a metal of Group 8 to 10 in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more preferably an iridium compound, an osmium compound, a rhodium compound, a palladium compound, Or a platinum compound (platinum complex system compound), and among them, an iridium compound, a rhodium compound, and a platinum compound are preferable, and an iridium compound is most preferable.

도펀트의 예로서는, 이하의 문헌 또는 특허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문헌 [J. Am. Chem. Soc. 123권 4304 내지 4312쪽], 국제 공개 제2000/70655호, 국제 공개 제2001/93642호, 국제 공개 제2002/02714호, 국제 공개 제2002/15645호, 국제 공개 제2002/44189호, 국제 공개 제2002/08148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01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16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01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16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01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785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90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31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26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451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46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22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504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22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36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405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79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85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06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9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504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04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36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90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58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5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45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4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258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4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258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3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264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48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50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17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97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97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28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04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36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35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3678호 공보 등.As an example of a dopant, it is a compound described in the following literature or patent publication. Literature [J. Am. Chem. Soc. 123 pages 4304 to 4312],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0/70655,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1/93642,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2/02714,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2/15645,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2/44189, International Publication 2002/08148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8017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18161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8017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18161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80180,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247859,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299060,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31317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30267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345183, JP 2002-324679, JP 2002-332291, JP 2002-50484, JP 2002-332292, JP 2002-8368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54057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11797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33858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17068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35296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5048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10047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17367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35908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175884, JP 2002-363552, JP 2002-184582, JP 2003-7469, JP 2002-525808, JP 2003-747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2-525833,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31366, Japa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2649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3489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3507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4175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319779, Jap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31978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6282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10047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0367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43572, Japan Patent Publication No. 2002-203678, etc.

이하에 인광성 도펀트의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sphorescent dopant are give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1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1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2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2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3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3

발광 도펀트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사용해도 되며, 이들 도펀트로부터의 발광을 동시에 취출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광성 도펀트와 형광성 도펀트의 양쪽이 더해져 있어도 된다. 복수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층에 함유되는 발광 도펀트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단일 종류여도 되고 복수 종류여도 된다.Only one type of light-emitting dopant may be used, or a plurality of types may be used, and by simultaneously extracting light emission from these dopants, a light-emitting element having a plurality of maximum emission wavelengths can be configured. Further, for example, both a phosphorescent dopant and a fluorescent dopant may be added. When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layers are stacked to form an organic EL device, the light-emitting dopants contained in each lay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nd may be a single type or a plurality of types.

나아가, 상기 발광 도펀트를 고분자쇄에 도입하거나, 또는 상기 발광 도펀트를 고분자의 주쇄로 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Further, the light-emitting dopant may be introduced into a polymer chain, or a polymer material having the light-emitting dopant as a main chain of the polymer may be used.

상기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바졸 유도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방향족 보란 유도체, 질소 함유 복소환 화합물, 티오펜 유도체, 푸란 유도체, 올리고아릴렌 화합물 등의 기본 골격을 갖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전자 수송 재료 및 정공 수송 재료도 그에 상응하는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청색 또는 백색의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화합물의 형광 극대 파장이 41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인광성 도펀트를 사용하는 경우, 호스트 화합물의 인광의 0-0 밴드가 450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발광 호스트로서는, 정공 수송능, 전자 수송능을 가지면서, 또한 발광의 장파장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고Tg(유리 전이 온도)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host compound include those having a basic skeleton such as a carbazole derivative, a triarylamine derivative, an aromatic borane derivative,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 a thiophene derivative, a furan derivative, and an oligoarylene compound, as described below. An electron transport material and a hole transport material are also mentioned as corresponding examples. When applied to a blue or white light-emitting device, a display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the maximum fluorescence wavelength of the host compound is preferably 415 nm or less, and when a phosphorescent dopant is used, the 0-0 band of phosphorescence of the host compound is 450 nm.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following. As the light-emitting host, a compound having a hole-transporting ability and an electron-transporting ability, further preventing a long wavelength of light emission, and further has a high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preferable.

발광 호스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 적합하다.As a specific example of a light emitting host, a compound described in the following documents is suitable, for example.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70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88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31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194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579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47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47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58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47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30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47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756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85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54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35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11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9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36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2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14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48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0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559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08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01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90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25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50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50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8837호 공보 등.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25707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0885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31317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1949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35797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478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886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478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1587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478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4305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478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7564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3857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10544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4356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14117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5295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0368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6322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3145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316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3488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704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5593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6086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8018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99060,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0251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05083,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305084,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308837, etc.

발광 도펀트는 호스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 전체에 분산되어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발광층에는 또 다른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 더해져도 된다.The luminescent dopant may be dispersed throughout the layer containing the host compound, or may be partially dispersed. A compound having another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light-emitting layer.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증착법, 스핀 코트법, 캐스트법, LB법, 잉크젯 전사법,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형성된 발광층은, 특히 분자 퇴적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자 퇴적막이란, 상기 화합물의 기상 상태로부터 침착되어 형성된 박막이나, 해당 화합물의 용융 상태 또는 액상 상태로부터 고체화되어 형성된 막을 말한다. 통상, 이 분자 퇴적막과 LB법에 의해 형성된 박막(분자 누적막)은, 응집 구조, 고차 구조의 차이나, 그에 기인하는 기능적인 차이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Using the above material, a light emitting layer can be formed by thinning by a known method such as evaporation, spin coating, cast, LB, inkjet transfer, and printing, but the formed light emitting layer is particularly It is preferably a sediment film. Here, the molecular deposition film refers to a thin film formed by being deposited from the gas phase state of the compound, or a film formed by solidifying from the molten state or liquid state of the compound. Usually, this molecular deposition film and a thin film (molecular accumulation film) formed by the LB method can be distinguished by a difference in an aggregated structure and a higher-order structure, or a functional difference resulting therefrom.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 재료인 인광성 도펀트 및 호스트 화합물을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광층을, 당해 인광성 도펀트 및 호스트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트 등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분자 체적막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해 인광성 도펀트 및 호스트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에 있어서, 50℃ 이하, 대기압 조건 하에서의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1ppm 내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hosphorescent dopant and host compound as the light emitting material as the organic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ight-emitting layer by coat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phosphorescent dopant and host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such as spin coating, because a light-emitting layer containing a molecular volume film can be formed. And, in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phosphorescent dopant and the host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at 50° C. or lower is 1 ppm to the saturated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광성 도펀트 및 호스트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는 방법, 또는 유기 용매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들 수 있다.As a means for bringing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to the above rang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bubbling carbon dioxide gas in a solution containing a phosphorescent dopant and a host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or a supercritical fluid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carbon dioxide The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using is mentioned.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Hole injection layer and hole transport layer)

정공 주입층에 사용되는 정공 주입 재료는, 정공의 주입, 전자의 장벽성 중 어느 것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정공 수송층에 사용되는 정공 수송 재료는, 전자의 장벽성을 가짐과 함께 정공을 발광층까지 수송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공 수송층은 정공 주입층에 포함된다. 이들 정공 주입 재료 및 정공 수송 재료는 유기물, 무기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아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폴리아릴알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아릴아민 유도체, 아미노 치환 칼콘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실라잔 유도체, 아닐린계 공중합체, 포르피린 화합물, 티오펜 올리고머 등의 도전성 고분자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릴아민 유도체 및 포르피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아릴아민 유도체 중에서는,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티릴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ole injection material used for the hole injection layer has either a hole injection or an electron barrier property. Further, the hole transport material used for the hole transport layer has an electron barrier property and an action of transporting hole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transport layer is included in the hole injection layer. These hole injection materials and hole transport materials may be either organic or inorganic. Specifically, for example, triazole derivatives, oxadiazole derivatives, imidazole derivatives, polyarylalkane derivatives, pyrazoline derivatives, pyrazolone derivatives, phenylenediamine derivatives, arylamine derivatives, amino substituted chalcone derivatives, oxazole derivatives , Conductive polymer oligomers such as styrylanthracene derivatives, fluorenone derivatives, hydrazone derivatives, stilbene derivatives, silazane derivatives, aniline-based copolymers, porphyrin compounds, and thiophene oligomers. Among these, arylamine derivatives and porphyrin compounds are preferable. Among the arylamine derivatives, aromatic tertiary amine compounds and styrylamine compounds are preferred, and aromatic tertiary amine compounds are more preferred.

상기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티릴아민 화합물의 대표예로서는, N,N,N',N'-테트라페닐-4,4'-디아미노페닐;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2,2-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프로판;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시클로헥산; N,N,N',N'-테트라-p-톨릴-4,4'-디아미노비페닐;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4-페닐시클로헥산; 비스(4-디메틸아미노-2-메틸페닐)페닐메탄; 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페닐메탄; N,N'-디페닐-N,N'-디(4-메톡시페닐)-4,4'-디아미노비페닐; N,N,N',N'-테트라페닐-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비스(디페닐아미노)비페닐; N,N,N-트리(p-톨릴)아민; 4-(디-p-톨릴아미노)-4'-[4-(디-p-톨릴아미노)스티릴]스틸벤; 4-N,N-디페닐아미노-(2-디페닐비닐)벤젠; 3-메톡시-4'-N,N-디페닐아미노스틸벤; N-페닐카르바졸, 나아가 미국 특허 제5061569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2개의 축합 방향족환을 분자 내에 갖는 것, 예를 들어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이하, α-NPD라고 약칭함), 일본 특허 공개 평4-30868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트리페닐아민 유닛이 3개의 스타버스트형으로 연결된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MTDAT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형-Si, p형-SiC 등의 무기 화합물도 정공 주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romatic tertiary amine compound and styrylamine compound include N,N,N',N'-tetraphenyl-4,4'-diaminophenyl; 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 2,2-bis(4-di-p-tolylaminophenyl)propane; 1,1-bis(4-di-p-tolylaminophenyl)cyclohexane; N,N,N',N'-tetra-p-tolyl-4,4'-diaminobiphenyl; 1,1-bis(4-di-p-tolylaminophenyl)-4-phenylcyclohexane; Bis(4-dimethylamino-2-methylphenyl)phenylmethane; Bis(4-di-p-tolylaminophenyl)phenylmethane; N,N'-diphenyl-N,N'-di(4-methoxyphenyl)-4,4'-diaminobiphenyl; N,N,N',N'-tetraphenyl-4,4'-diaminodiphenyl ether; 4,4'-bis(diphenylamino)biphenyl; N,N,N-tri(p-tolyl)amine; 4-(di-p-tolylamino)-4'-[4-(di-p-tolylamino)styryl]stilbene; 4-N,N-diphenylamino-(2-diphenylvinyl)benzene; 3-methoxy-4'-N,N-diphenylaminostilbene; N-phenylcarbazole, furthermore having two condensed aromatic ring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U.S. Patent No. 5061569 in a molecule, for example 4,4'-bis[N-(1-naphthyl)-N-phenyl Amino]biphenyl (hereinafter abbreviated as α-NPD), triphenylamine unit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4-308688 4,4',4"-tris[ 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 (MTDATA), etc. In addition, inorganic compounds such as p-Si and p-SiC can also be used as the hole injecti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공 수송층의 정공 수송 재료는 415nm 이하에 형광 극대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공 수송 재료는, 정공 수송능을 가지면서, 또한 발광의 장파장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고Tg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transport material of the hole transport layer has a maximum fluorescence wavelength of 415 nm or less. That is, the hole-transporting material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hole-transporting ability, preventing a longer wavelength of light emission, and further having a high Tg.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정공 주입 재료 및 정공 수송 재료를,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트법, 캐스트법, LB법, 잉크젯법, 전사법,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include the hole injection material and the hole transport material by known methods such as vacuum evaporation, spin coating, cast, LB, inkjet, transfer, and printing, It can be formed by making it thi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 재료나 정공 수송 재료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공 수송층(또는 정공 주입층)을, 당해 정공 수송 재료(또는 정공 주입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트 등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정공 수송 재료(또는 정공 주입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에 있어서, 50℃ 이하, 대기압 조건 하에서의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1ppm 내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ole injection material or hole transport material as the organic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hole transport layer (or hole injection layer) by coat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hole transport material (or hole injection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by coating such as spin coating, and the hole transport material (or In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hole injection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o the organic solvent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at 50° C. or less to a saturation concentration of 1 ppm to the organic solvent.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공 수송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는 방법, 또는 유기 용매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들 수 있다.As a means of making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 rang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bubbling carbon dioxide gas into a solution containing a hole transport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or a supercritical fluid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carbon dioxide is used. 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is mentioned.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nm 내지 5㎛ 정도이다. 또한, 상기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은, 각각 상기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1층 구조여도 되고, 동일 조성 또는 이종 조성의 복수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을 모두 마련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료 중, 통상,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지만,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about 5 nm to 5 μm. In additi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each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 materials, or a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same composition or different composi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viding both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among the above materials, different materials are usually used, but the same material may be used.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injection layer and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은,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며, 그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전자 주입층에 사용되는 재료(이하, 전자 주입 재료라고도 함)의 예로서는, 니트로 치환 플루오렌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티오피란디옥시드 유도체, 나프탈렌페릴렌 등의 복소환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카르보디이미드, 플루오레닐리덴메탄 유도체, 안트라퀴노디메탄 및 안트론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The electron injection layer only needs to have a function of transferring electrons injected from the cathode to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s the material, any one of conventionally known compounds can be selected and used. Examples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electron injection material) include heterocyclic tetracarboxylic anhydrides such as nitro-substituted fluorene derivatives, diphenylquinone derivatives, thiopyrandioxide derivatives, and naphthaleneperylene. , Carbodiimide, fluorenylidenemethane derivatives, anthraquinodimethane and anthrone derivatives, oxadiazole derivatives, and the like.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59-1943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일련의 전자 전달성 화합물은, 해당 공보에서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전자 주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에 있어서, 옥사디아졸환의 산소 원자를 황 원자로 치환한 티아디아졸 유도체, 전자 흡인기로서 알려져 있는 퀴녹살린환을 갖는 퀴녹살린 유도체도 전자 주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ries of electron-transmitting compound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194393 are disclosed as materials for forming a light-emitting layer in the publication, but as a result of the inventors' investigation, they can be used as electron injection materials. And it was found. Further, in the oxadiazole derivative, a thiadiazole derivative in which an oxygen atom of the oxadiazole ring is substituted with a sulfur atom, and a quinoxaline derivative having a quinoxaline ring known as an electron withdrawing group can also be used as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또한, 8-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예를 들어 트리스(8-퀴놀리놀)알루미늄(Alq3이라고 약칭함), 트리스(5,7-디클로로-8-퀴놀리놀)알루미늄, 트리스(5,7-디브로모-8-퀴놀리놀)알루미늄, 트리스(2-메틸-8-퀴놀리놀)알루미늄, 트리스(5-메틸-8-퀴놀리놀)알루미늄, 비스(8-퀴놀리놀)아연(Znq) 등, 및 이의 금속 착체의 중심 금속이 In, Mg, Cu, Ca, Sn, Ga 또는 Pb로 치환된 금속 착체도 전자 주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metal complexes of 8-quinolinol derivatives, for example, tris(8-quinolinol)aluminum (abbreviated as Alq 3 ), tris(5,7-dichloro-8-quinolinol)aluminum, tris( 5,7-dibromo-8-quinolinol) aluminum, tris(2-methyl-8-quinolinol) aluminum, tris(5-methyl-8-quinolinol) aluminum, bis(8-quinolinol) Nol) zinc (Znq) or the like, and a metal complex in which the central metal of the metal complex thereof is substituted with In, Mg, Cu, Ca, Sn, Ga, or Pb can also be used as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그 밖에, 메탈프리나 메탈프탈로시아닌, 또는 그들의 말단이 알킬기나 술폰산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도 전자 주입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과 마찬가지로 n형-Si, n형-SiC 등의 무기 반도체도 전자 주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metal-free or metal phthalocyanine, or those in which their terminals ar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or a sulfonic acid group,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Further, like the hole injection layer, inorganic semiconductors such as n-Si and n-SiC can be used as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415nm 이하에 형광 극대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자 수송층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전자 수송능을 가지면서, 또한 발광의 장파장화를 방지하고, 나아가 고Tg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referable compound used fo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has a fluorescence maximum wavelength of 415 nm or less. That is, the compound used i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n electron transporting ability, preventing a longer wavelength of light emission, and further having a high Tg.

전자 주입층은, 상기 전자 주입 재료를,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트법, 캐스트법, LB법, 잉크젯법, 전사법, 인쇄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n injection layer can be formed by thinning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by a known method such as a vacuum vapor deposition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cast method, an LB method, an ink jet method, a transfer method, and a printing metho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 재료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자 주입층을, 당해 전자 주입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트 등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전자 주입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에 있어서, 50℃ 이하, 대기압 조건 하에서의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1ppm 내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s the organic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by coat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the organic solvent, such as spin coating, and in the co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the organic solvent, 50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to 1 ppm to the saturated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주입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는 방법, 또는 유기 용매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들 수 있다.As a means of making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ithin the above rang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bubbling carbon dioxide gas into a solution containing an electron injection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or a supercritical fluid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carbon dioxide is used. 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is mentioned.

또한, 전자 주입층으로서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nm 내지 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 전자 주입층은, 이들 전자 주입 재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1층 구조여도 되고, 혹은 동일 조성 또는 이종 조성의 복수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as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5 nm to 5 μm.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including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these electron injection materials, or may be a laminat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of the same composition or different composi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 주입층 중, 발광층과 비교하여 이온화 에너지가 큰 경우에는, 특히 전자 수송층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전자 수송층은 전자 주입층에 포함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ionization energy of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ght emitting layer, it is specifically referred to a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included i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상기 전자 수송층은, 정공 저지층(홀 블록층)이라고도 불리며, 그 예로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0/70655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131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04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04359호 공보 및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제237쪽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발광층에 오르토메탈 착체계 도펀트를 사용하는 소위 「인광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v) 및 (vi)과 같이 전자 수송층(정공 저지층)을 갖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also called a hole blocking layer (hole blocking layer),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for example,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0/7065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13178,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0425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04359 and “Organic EL devices and their industrialization front lines (issued by NTS on Nov. 30, 1998)” on page 237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a so-called "phosphorescent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n orthometal complex dopant is us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having an electron transport layer (hole blocking layer) as in the above (v) and (vi).

(버퍼층)(Buffer layer)

양극과 발광층 또는 정공 주입층의 사이, 및 음극과 발광층 또는 전자 주입층의 사이에는 버퍼층(전극 계면층)을 존재시켜도 된다. 버퍼층이란, 구동 전압 저하나 발광 효율 향상을 위해 전극과 유기층간에 마련되는 층을 말하며,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제2편 제2장 「전극 재료」(제123 내지 166쪽)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양극 버퍼층과 음극 버퍼층이 있다.A buffer layer (electrode interface layer) may be present between the an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or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o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The buffer layer refers to the layer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organic layer for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or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and Chapter 2 of the second part of ``Organic EL devices and their industrialization front lines (published by NTS on November 30, 1998)'' It is described in detail in "electrode material" (pages 123 to 166), and includes an anode buffer layer and a cathode buffer layer.

양극 버퍼층은, 일본 특허 공개 평9-454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600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88069호 공보 등에도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으며, 구체예로서 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대표되는 프탈로시아닌 버퍼층, 산화바나듐으로 대표되는 산화물 버퍼층, 아몰퍼스 카본 버퍼층, 폴리아닐린(에메랄딘)이나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 버퍼층 등을 들 수 있다.As for the anode buffer layer, the details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4547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9-26006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88069, etc., and as a specific example, represented by copper phthalocyanine. And a phthalocyanine buffer layer, an oxide buffer layer typified by vanadium oxide, an amorphous carbon buffer layer, and a polymer buffer layer using a conductive polymer such as polyaniline (emeraldine) or polythiophene.

음극 버퍼층은, 일본 특허 공개 평6-3258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75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74586호 공보 등에도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트론튬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 버퍼층, 불화리튬으로 대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버퍼층, 불화마그네슘으로 대표되는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 버퍼층, 산화알루미늄으로 대표되는 산화물 버퍼층 등을 들 수 있다.The details of the cathode buffer layer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6-32587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757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0-74586, and the like, specifically, strontium or aluminum. A typical metal buffer layer, an alkali metal compound buffer layer typified by lithium fluoride, an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 buffer layer typified by magnesium fluoride, and an oxide buffer layer typified by aluminum oxide may be mentioned.

상기 버퍼층은 매우 얇은 막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그 두께는 0.1 내지 100n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본 구성층 외에, 필요에 따라 그 밖의 기능을 갖는 층을 적절하게 적층해도 된다.The buffer layer is preferably a very thin film, depending on the material, but the thicknes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100 nm. Further, in addition to the basic constitution layer, layers having other functions may be appropriately laminated if necessary.

(음극)(cathode)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의 음극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일함수가 작은(4eV 미만) 금속(이하, 전자 주입성 금속이라고 칭함), 합금, 금속의 전기 전도성 화합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사용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athode of the organic EL device, in general, a metal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less than 4 eV)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n injecting metal), an alloy,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und of metal, or a mixture thereof is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Used.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나트륨, 마그네슘, 리튬, 알루미늄, 인듐, 희토류 금속, 나트륨-칼륨 합금, 마그네슘/구리 혼합물, 마그네슘/은 혼합물, 마그네슘/알루미늄 혼합물, 마그네슘/인듐 혼합물,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Al2O3) 혼합물, 리튬/알루미늄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electrode materials include sodium, magnesium, lithium, aluminum, indium, rare earth metal, sodium-potassium alloy, magnesium/copper mixture, magnesium/silver mixture, magnesium/aluminum mixture, magnesium/indium mixture, aluminum/aluminum oxide ( Al 2 O 3 ) mixtures, lithium/aluminum mixtures,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에 열거한 것을 음극의 전극 물질로서 사용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킨다는 점에서는, 음극은 제13족 금속 원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극의 표면을 플라스마 상태의 산소 가스로 산화하여, 음극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그 이상의 음극의 산화를 방지하고, 음극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s listed above may be used as the electrode material of the negative electrode, but from the viewpoint of more effectively exert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gative electrode is preferably made of a Group 13 metal eleme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cathode with oxygen gas in a plasma state as described later to form an oxide film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further oxidation of the cathode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of the cathode can be improved.

따라서, 음극의 전극 물질로서는, 음극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전자 주입성을 갖는 금속이며, 치밀한 산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electrode material of the cathode is preferably a metal having desirable electron injection properties required for the cathode, and a metal capable of forming a dense oxide film.

상기 제13족 금속 원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음극의 전극 물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인듐, 마그네슘/알루미늄 혼합물, 마그네슘/인듐 혼합물,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Al2O3) 혼합물, 리튬/알루미늄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의 각 성분의 혼합 비율은, 유기 EL 소자의 음극으로서 종래 공지된 비율을 채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극은, 상기 전극 물질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유기 화합물층(유기 EL층) 상에 박막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As the electrode material of the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the Group 13 metal element, specifically, for example, aluminum, indium, magnesium/aluminum mixture, magnesium/indium mixture, aluminum/aluminum oxide (Al 2 O 3 ) mixture, lithium/ And aluminum mixtures. In addition,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of the mixture may be a conventionally known ratio as the cathode of the organic EL element,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cathode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thin film on the organic compound layer (organic EL layer) by depositing the electrode material or sputtering the electrode material.

또한, 음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 Ω/sq. 이하가 바람직하고, 막 두께는, 통상 10nm 내지 1㎛,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한, 발광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유기 EL 소자의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한쪽을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하면, 발광 효율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eet resistance as the cathode is several hundred Ω/sq. The following are preferable, and the film thickness is usu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10 nm to 1 µm, and preferably 50 to 200 nm. Further, in order to transmit the luminescent light, when either the anode or the cathode of the organic EL element is mad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he luminous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us it is preferable.

본 발명의 도포액(유기 EL 재료)을 사용하여 제작된 유기 EL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작하는 적합한 예를 설명한다.A suitable example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EL element manufactured using the coating liquid (organic 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유기 EL 소자의 제작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device]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제작 방법의 일례로서,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의 제작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s an example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 device including an anode/hole injection layer/hole transport layer/light emitting layer/electron transport layer/electron injection layer/cathode will be described.

우선 적당한 기체 상에, 원하는 전극 물질, 예를 들어 양극용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을, 1㎛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nm의 두께가 되도록,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시켜, 양극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 위에 소자 재료인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정공 저지층의 유기 화합물 박막을 형성시킨다.First, on a suitable substrate, a thin film containing a desired electrode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for an anode,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 μm or less, preferably 10 to 200 nm, by a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or sputtering, and the anode is formed. Make it. Then, an organic compound thin film of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a hole blocking layer, which are device materials, is formed thereon.

이들 유기 화합물 박막의 박막화의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 코트법, 캐스트법, 잉크젯법, 증착법, 인쇄법 등이 있지만, 균질한 막이 얻어지기 쉬우며, 또한 핀 홀이 생성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 또는 스핀 코트법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도포액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핀 코트법이 특히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thinning these organic compound thin films,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spin coating method, cast method, inkjet method, vapor deposition method, printing method, etc., but it is easy to obtain a homogeneous film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te pinholes. In this regard, a vacuum evaporation method or a spin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in coating method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that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또한, 층마다 상이한 성막법을 적용해도 된다. 성막에 증착법을 채용하는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트 가열 온도 50 내지 450동, 진공도 10-6 내지 10-2Pa, 증착 속도 0.01 내지 50nm/초, 기판 온도 -50 내지 300℃, 두께 0.1nm 내지 5㎛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you may apply a different film formation method for each layer. In the case of employing a vapor deposition method for film formation, the vapor deposition condition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ound to be used, but in general, boat heating temperature is 50 to 450 copper, vacuum degree is 10 -6 to 10 -2 Pa, and deposition rate is 0.01 to 50 nm/sec. ,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select a substrat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50 to 300°C and a thickness of 0.1 nm to 5 μm.

이들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음극용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을 1㎛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nm의 범위의 두께가 되도록, 예를 들어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시켜, 음극을 마련함으로써, 원하는 유기 EL 소자가 얻어진다. 이 유기 EL 소자의 제작은, 1회의 진공화로 일관되게 정공 주입층부터 음극까지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중에 취출하여 상이한 성막법을 실시해도 상관없다. 그때, 작업을 건조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After forming these layers, a thin film containing a material for a cathode is formed thereon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1 μm or les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200 nm, by a method such as evaporation or sputtering, to form a cathode. By providing, a desired organic EL element is obtained. The organic EL device is preferably fabricated from the hole injection layer to the cathode consistently in one vacuum, but may be taken out in the middle to perform different film formation methods. At that time, consideration such as performing the operation in a dry inert gas atmosphere is required.

[유기 EL 소자의 밀봉][Sealing of organic EL devices]

유기 EL 소자의 밀봉 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의 외주부를 밀봉용 접착제로 밀봉한 후, 유기 EL 소자의 발광 영역을 덮도록 밀봉 부재를 배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sealing means of an organic EL element, For example, after sealing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an organic EL element with a sealing adhesive, a method of arrange|positioning a sealing member so that the light emitting area of an organic EL element may be mentioned is mentioned.

밀봉용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계 올리고머, 메타크릴산계 올리고머의 반응성 비닐기를 갖는 광경화 및 열경화형 접착제, 2-시아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습기 경화형 등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계 등의 열 및 화학 경화형(2액 혼합)을 들 수 있다. 또한, 핫 멜트형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경화 타입의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ealing adhesive include photocurable and thermosetting adhesives having reactive vinyl groups of acrylic acid oligomers and methacrylic acid oligomers, and moisture curing adhesives such as 2-cyanoacrylic acid esters. Further, thermal and chemical curing types (two-liquid mixing) such as epoxy-based can be cited. Moreover, hot melt type polyamide, polyester, and polyolefin are mentioned. Further, a cationic curing type ultraviolet curable epoxy resin adhesive may be mentioned.

밀봉 부재로서는, 유기 EL 소자를 박막화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머 필름 및 금속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sealing member, a polymer film and a metal film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the organic EL element thin.

밀봉 부재와 유기 EL 소자의 발광 영역의 간극에는, 밀봉용 접착제 외에는, 기상 및 액상에서는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체나 불화탄화수소, 실리콘 오일과 같은 불활성 액체를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밀봉 부재와 유기 EL 소자의 표시 영역의 간극을 진공으로 하거나, 간극에 흡습성 화합물을 봉입할 수도 있다.In the gap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in addition to the sealing adhesive,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or argon in the gaseous and liquid phases, or an inert liquid such as fluorocarbon or silicone oil may be injected. Further, the gap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display area of the organic EL element may be vacuumed, or a hygroscopic compound may be sealed in the gap.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는 다색 표시 장치는, 발광층 형성 시에만 쉐도우 마스크를 마련하고, 타층은 공통이므로, 쉐도우 마스크 등의 패터닝은 불필요하며, 한쪽 면에 증착법, 캐스트법, 스핀 코트법, 잉크젯법, 인쇄법 등으로 막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multicolor display device using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dow mask is provided only when the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and the other layers are common, so patterning such as a shadow mask is unnecessary, and a vapor deposition method, a cast method, a spin coat method, etc. The film can be formed by an ink jet method or a printing method.

발광층만 패터닝을 행하는 경우, 그 방법에 한정은 없지만, 증착법, 잉크젯법,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증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쉐도우 마스크를 사용한 패터닝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patterning only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method is not limited, but a vapor deposition method, an inkjet method, and a printing method are preferable. In the case of using a vapor deposition method, patterning using a shadow mask is preferable.

또한, 제작 순서를 반대로 하여, 음극,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양극의 순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in the order of a cathod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light-emitting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hole injection layer, and an anode by inverting the manufacturing order.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다색 표시 장치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양극을 +, 음극을 -의 극성으로 하여 전압 2 내지 40V 정도를 인가하면, 발광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역극성으로 전압을 인가해도 전류는 흐르지 않고 발광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양극이 +, 음극이 -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만 발광한다. 또한, 인가하는 교류의 파형은 임의여도 된다.When a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multicolor display device thus obtained, light emission can be observed by applying a voltage of about 2 to 40 V with the anode as + and the cathode as -. In addition, even when a voltage is applied with reverse polarity, no current flows and no light emission occurs. In addition, when an alternating voltage is applied, light is emitted only when the positive electrode becomes + and the negative electrode becomes -. In addition, the waveform of the alternating current to be applied may be arbitrary.

다색 표시 장치는 표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각종 발광 광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청색, 적색, 녹색 발광의 3종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풀 컬러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The multicolor display device can be used as a display device, a display, and various light sources. In display devices and displays, full-color display becomes possible by using three types of organic EL elements of blue, red, and green light emission.

표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로서는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기기, AV 기기, 문자 방송 표시, 자동차 내의 정보 표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재생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해도 되며, 동화상 재생용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동 방식은 단순 매트릭스(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이어도,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어도,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Examples of display devices and displays include televisions, personal computers, mobile devices, AV devices, text broadcast displays, and information displays in automobiles. In particular, it may be used as a display device for reproduc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the driving method may be a simple matrix (passive matrix) system, an active matrix system, or either.

발광 광원으로서는 가정용 조명, 차 내 조명, 시계나 액정용 백라이트, 간판 광고, 신호기, 광기억 매체의 광원, 전자 사진 복사기의 광원, 광통신 처리기의 광원, 광센서의 광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luminescent light sources include home lighting, in-vehicle lighting, backlight for clocks and liquid crystals, billboard advertisements, signal devices, light sources for optical storage media, light sources for electrophotographic copiers, light sources for optical communication processors, light sources for optical sensors, etc. It is not limited.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기 EL 소자에 공진기 구조를 갖게 한 유기 EL 소자로서 사용해도 된다.Further, the organic 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organic EL device having a resonator structure.

이러한 공진기 구조를 가진 유기 EL 소자의 사용 목적으로서는, 광기억 매체의 광원, 전자 사진 복사기의 광원, 광통신 처리기의 광원, 광센서의 광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발진을 시킴으로써, 상기 용도로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use of the organic EL element having such a resonator structur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light source for an optical storage medium, a light sour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a light source for an optical communication processor, and a light source for an optical sensor. Moreover, by making laser oscillation, you may use for the said use.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조명용이나 노광 광원과 같은 1종의 램프로서 사용해도 되고, 화상을 투영하는 타입의 프로젝션 장치나,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직접 시인하는 타입의 표시 장치(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해도 된다. 동화상 재생용 표시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동 방식은, 단순 매트릭스(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이어도,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어도,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또는, 상이한 발광색을 갖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2종 이상 사용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rganic EL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type of lamp such as for illumination or exposure light source, and is used as a type of projection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or a type of display device (display) that directly visually recognize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Also works. When used as a display device for moving image reproduction, the driving method may be a simple matrix (passive matrix) system, an active matrix system, or either.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full-color display device by using two or more types of the organic E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different luminous colors.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rganic EL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drawings.

도 4는, 유기 EL 소자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유기 EL 소자의 발광에 의해 화상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디스플레이의 모식도이다. 디스플레이(41)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A),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A)의 화상 주사를 행하는 제어부(B)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B)는, 표시부(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화소 각각에 외부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 신호와 화상 데이터 신호를 보내고, 주사 신호에 의해 주사선마다 화소가 화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하여 화상 주사를 행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부(A)에 표시한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made of an organic EL ele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such as a mobile phone, which displays image information by light emission of an organic EL element. The display 41 includes a display unit A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a control unit B for performing image scanning of the display unit A based on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 sends a scanning signal and an image data sig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based on imag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the pixel to the image data signal for each scanning line by the scanning signal. Accordingly, light is sequentially emitted to perform image scanning, an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도 5는, 표시부(A)의 모식도이다. 표시부(A)는 기판 상에, 복수의 주사선(55) 및 데이터선(56)을 포함하는 배선부와, 복수의 화소(53) 등을 갖는다. 표시부(A)의 주요한 부재의 설명을 이하에 행한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display portion A. The display portion A includes a wir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can lines 55 and data lines 56, a plurality of pixels 53, and the like on a substrate. The main members of the display portion A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에 있어서는, 화소(53)의 발광된 광이, 백색 화살표 방향(하측 방향)으로 취출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배선부의 주사선(55) 및 복수의 데이터선(56)은, 각각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주사선(55)과 데이터선(56)은 격자상으로 직교하며, 직교하는 위치에서 화소(53)에 접속되어 있다(상세는 도시하지 않음). 화소(53)는, 주사선(55)으로부터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선(56)으로부터 화상 데이터 신호를 수취하고, 수취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발광한다. 발광색이 적색 영역인 화소, 녹색 영역인 화소, 청색 영역인 화소를, 적절하게, 동일 기판 상에 병치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In FIG. 5, the case where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53 is ex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white arrow (downward direction) is shown. The scanning line 55 and the plurality of data lines 56 of the wiring unit each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canning line 55 and the data line 56 are orthogonal to the grid and connected to the pixel 53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Details are not shown). When a scann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scanning line 55, the pixel 53 receives an image data signal from the data line 56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data. Full-color display is possible by appropriately juxtaposing pixels in the red region, pixels in the green region, and pixels in the blue region whose emission colors are on the same substrate.

이어서, 화소의 발광 프로세스를 설명한다.Next, the light emission process of the pixel will be described.

도 6은, 화소의 모식도이다. 화소는, 유기 EL 소자(60), 스위칭 트랜지스터(61), 구동 트랜지스터(62), 콘덴서(6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화소에 유기 EL 소자(60)로서, 적색, 녹색, 청색 발광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고, 이들을 동일 기판 상에 병치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ixel. The pixel includes an organic EL element 60, a switching transistor 61, a driving transistor 62, a capacitor 63, and the like. Full-color display can be performed by using red, green, and blue light-emitting organic EL elements as the organic EL elements 60 for a plurality of pixels, and placing them on the same substrate.

도 6에 있어서, 제어부(B)(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4에 도시함)로부터 데이터선(56)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61)의 드레인으로 화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그리고, 제어부(B)로부터 주사선(55)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61)의 게이트로 주사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61)의 구동이 온되고, 드레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신호가 콘덴서(63)와 구동 트랜지스터(62)의 게이트에 전달된다.In Fig. 6, an image data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B (not shown in Fig. 6, shown in Fig. 4) to the drain of the switching transistor 61 through the data line 56. Then, when a scann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B to the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61 through the scanning line 55,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transistor 61 is turned on, and the image data signal applied to the drain is applied to the capacitor 63. And are transferred to the gate of the driving transistor 62.

화상 데이터 신호의 전달에 의해, 콘덴서(63)가 화상 데이터 신호의 전위에 따라 충전됨과 함께, 구동 트랜지스터(62)의 구동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62)는, 드레인이 전원 라인(67)에 접속되고, 소스가 유기 EL 소자(60)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신호의 전위에 따라 전원 라인(67)으로부터 유기 EL 소자(60)로 전류가 공급된다.By transmission of the image data signal, the capacitor 63 is charged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the image data signal, and the driving transistor 62 is turned on. The driving transistor 62 has a drai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67, a source connected to an electrode of the organic EL element 60, and the power supply line 67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the image data signal applied to the gate. Current is supplied to the organic EL element 60.

제어부(B)의 순차 주사에 의해 주사 신호가 다음 주사선(55)으로 옮겨지면, 스위칭 트랜지스터(61)의 구동이 오프된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61)의 구동이 오프되어도 콘덴서(63)는 충전된 화상 데이터 신호의 전위를 유지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62)의 구동은 온 상태가 유지되고, 다음 주사 신호의 인가가 행해질 때까지 유기 EL 소자(60)의 발광이 계속된다. 순차 주사에 의해, 다음에 주사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주사 신호에 동기한 다음 화상 데이터 신호의 전위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62)가 구동되어 유기 EL 소자(60)가 발광한다. 즉, 유기 EL 소자(60)의 발광은, 복수의 화소 각각의 유기 EL 소자(60)에 대하여, 액티브 소자인 스위칭 트랜지스터(61)와 구동 트랜지스터(62)를 마련하여, 복수의 화소(53)(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 도 5에 도시함) 각각의 유기 EL 소자(60)의 발광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방법을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라고 칭하고 있다.When the scanning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next scanning line 55 by the sequential scanning of the control unit B,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transistor 61 is turned off. However, even when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transistor 61 is turned off, the capacitor 63 maintains the potential of the charged image data signal, so that the driving of the driving transistor 62 remains on, and when the next scanning signal is applied. Until, the light emiss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60 continues. By sequential scanning, when a scanning signal is next applied, the driving transistor 62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otential of the image data signal and the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ning signal, so that the organic EL element 60 emits light. In other words, the light emiss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60 is achieved by providing the switching transistor 61 and the driving transistor 62 as active elements for the organic EL element 6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and the plurality of pixels 53 (Not shown in Fig. 6, shown in Fig. 5) Each organic EL element 60 emits light. This light emission method is referred to as an active matrix method.

여기서, 유기 EL 소자(60)의 발광은, 복수의 계조 전위를 갖는 다치의 화상 데이터 신호에 의한 복수의 계조의 발광이어도 되고, 2치의 화상 데이터 신호에 의한 소정의 발광량의 온, 오프여도 된다.Here, the light emission of the organic EL element 60 may be light emission of a plurality of gray levels by a multi-valued image data signal having a plurality of gray level potentials, or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emission by a binary image data signal may be turned on or off.

또한, 콘덴서(63)의 전위의 유지는, 다음 주사 신호의 인가까지 계속해서 유지해도 되고, 다음 주사 신호가 인가되기 직전에 방전시켜도 된다.In addition, the potential of the capacitor 63 may be maintained continuously until the application of the next scan signal, or may be discharged immediately before the next scan signal is appli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에 한하지 않고, 주사 신호가 주사되었을 때만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발광 구동이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ctive matrix method, but may be a passive matrix type light emission drive in which the organic EL element emits light in response to a data signal only when a scan signal is scanned.

도 7은,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 의한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복수의 주사선(55)과 복수의 화상 데이터선(56)이 화소(5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격자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순차 주사에 의해 주사선(55)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인가된 주사선(55)에 접속되어 있는 화소(53)가 화상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에서는 화소(53)에 액티브 소자가 없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device using a passive matrix system. In FIG. 7, a plurality of scanning lines 55 and a plurality of image data lines 56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to face each other with a pixel 53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scanning signal of the scanning line 55 is applied by sequential scanning, the pixel 53 connected to the applied scanning line 55 emits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ata signal. In the passive matrix system, there are no active elements in the pixel 53,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광전 변환 소자 및 태양 전지][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solar cell]

본 발명의 광전 변환 소자는, 상기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광전 변환 소자는, 상기 도포액으로부터 유래하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꾸어 말하면, 상기 도포액을 도막화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That i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derived from the coating liquid, in other words, hav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forming a coating film of the coating liquid.

이하, 광전 변환 소자 및 태양 전지의 상세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도 8은, 벌크 헤테로 접합형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싱글 구성(벌크 헤테로 접합층이 1층인 구성)의 태양 전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olar cell having a single configur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a bulk heterojunction layer is one layer) including a bulk heterojunction typ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도 8에 있어서, 벌크 헤테로 접합형 유기 광전 변환 소자(200)는, 기판(201)의 한쪽 면 상에, 투명 전극(양극)(202), 정공 수송층(207), 벌크 헤테로 접합층의 광전 변환부(204), 전자 수송층(또는 버퍼층이라고도 함)(208) 및 대극(음극)(20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In FIG. 8, the bulk heterojunction typ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200 is photoelectric conversion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ode) 202, a hole transport layer 207, and a bulk heterojunction layer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201. A portion 204,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lso referred to as a buffer layer) 208, and a counter electrode (cathode) 203 are sequentially stacked.

기판(201)은, 순차 적층된 투명 전극(202), 광전 변환부(204) 및 대극(203)을 유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201)측으로부터 광전 변환되는 광이 입사하므로, 기판(201)은, 이 광전 변환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즉 이 광전 변환해야 할 광의 파장에 대하여 투명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20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이나 수지 기판 등이 사용된다. 이 기판(201)은, 필수가 아니며, 예를 들어 광전 변환부(204)의 양면에 투명 전극(202) 및 대극(203)을 형성함으로써 벌크 헤테로 접합형 유기 광전 변환 소자(200)가 구성되어도 된다.The substrate 201 is a member that holds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4, and the counter electrode 203 sequentially stacked.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ight to b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side of the substrate 201 is incident, the substrate 201 is a member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light, that is, a member that is transparent to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o b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desirable. As the substrate 201,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 resin substrate, or the like is used. This substrate 201 is not essential, and for example, by form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the counter electrode 203 on both side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4, even if the bulk heterojunction typ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200 is configured. do.

광전 변환부(204)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층이며, p형 반도체 재료와 n형 반도체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갖고 구성된다. p형 반도체 재료는, 상대적으로 전자 공여체(도너)로서 기능하고, n형 반도체 재료는, 상대적으로 전자 수용체(억셉터)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전자 공여체 및 전자 수용체는, "광을 흡수하였을 때, 전자 공여체로부터 전자 수용체로 전자가 이동하고, 정공과 전자의 페어(전하 분리 상태)를 형성하는 전자 공여체 및 전자 수용체"이며, 전극과 같이 단순히 전자를 공여 혹은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광반응에 의해, 전자를 공여 혹은 수용하는 것이다.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4 is a layer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is configured with a bulk heterojunction layer in which a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n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re uniformly mixed. The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relatively functions as an electron donor (donor), and the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relatively functions as an electron acceptor (acceptor). Here, the electron donor and the electron acceptor are "an electron donor and an electron acceptor that when absorbing light, electrons move from the electron donor to the electron acceptor and form a pair of holes and electrons (charge separation state)", and Likewise, it is not simply donating or accepting electrons, but donating or accepting electrons through photoreaction.

도 8에 있어서, 기판(201)을 통하여 투명 전극(202)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광전 변환부(204)의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 있어서의 전자 수용체 혹은 전자 공여체에서 흡수되어, 전자 공여체로부터 전자 수용체로 전자가 이동하고, 정공과 전자의 페어(전하 분리 상태)가 형성된다. 발생된 전하는, 내부 전계, 예를 들어 투명 전극(202)과 대극(203)의 일함수가 상이한 경우에는 투명 전극(202)과 대극(203)의 전위차에 의해, 전자는 전자 수용체간을 통과하고, 또한 정공은 전자 공여체간을 통과하여, 각각 상이한 전극으로 운반되어 광전류가 검출된다. 예를 들어, 투명 전극(202)의 일함수가 대극(203)의 일함수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는 투명 전극(202)으로, 정공은 대극(203)으로 수송된다. 또한, 일함수의 대소가 역전되면, 전자와 정공은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수송된다. 또한, 투명 전극(202)과 대극(203)의 사이에 전위를 가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수송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Fig. 8, light incident from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through the substrate 201 is absorbed by an electron acceptor or an electron donor i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4, and the electron acceptor from the electron donor. As electrons move, pairs of holes and electrons (charge separation state) are formed. The generated charge is an internal electric field, for example, when the work functions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the counter electrode 203 are different,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the counter electrode 203, electrons pass between the electron acceptors. In addition, the holes pass through the electron donors and are transported to different electrodes, respectively, so that a photocurrent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work function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is larger than the work fun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203, electrons are transpor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holes are transported to the counter electrode 203. In addi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work function is reversed, electrons and holes are transpo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is. Further, by applying a potential between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the counter electrode 203, the transport direction of electrons and holes can also be controlled.

또한, 도 8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정공 블록층, 전자 블록층, 전자 주입층, 정공 주입층, 또는 평활화층 등의 다른 층을 가져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in FIG. 8, other layers, such as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blocking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 hole injection layer, or a smoothing layer, may be provided.

또한, 한층 더한 태양광 이용률(광전 변환 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이러한 광전 변환 소자를 적층한 탠덤형 구성(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복수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Further, for the purpose of further improving the solar light utilization rat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a tandem configuration in which such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are stacked (a configuration having a plurality of bulk heterojunction layers) may be used.

도 9는, 탠덤형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구비하는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탠덤형 구성의 경우, 기판(201) 상에, 순차적으로 투명 전극(202), 제1 광전 변환부(209)를 적층한 후, 전하 재결합층(중간 전극)(205) 적층 후, 제2 광전 변환부(206), 이어서 대극(203)을 적층함으로써, 탠덤형 구성으로 할 수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lar cell including a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having a tandem bulk heterojunction layer. In the case of a tandem configuration, after sequentially stack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202 and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9 on the substrate 201, the charge recombination layer (intermediate electrode) 205 is stacked, and then the second photoelectric By laminating the conversion section 206 and then the counter electrode 203, a tandem configuration can be obtained.

상기와 같은 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49483호 공보의 단락 0045 내지 0113에 기재된 n형 반도체 재료 및 p형 반도체 재료를 들 수 있다.As for 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such a layer, the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described in paragraphs 0045 to 0113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5-149483 are mentioned, for example.

(벌크 헤테로 접합층의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bulk heterojunction layer)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가 혼합된 벌크 헤테로 접합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증착법, 도포법(캐스트법, 스핀 코트법을 포함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 전술한 정공과 전자가 전하 분리되는 계면의 면적을 증대시켜, 높은 광전 변환 효율을 갖는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포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법은 제조 속도도 우수하다.As a method of forming a bulk heterojunction layer in which an electron acceptor and an electron donor are mixed, a vapor deposition method, a coating method (including a cast method and a spin coating method) can be exemplified. Among these, in order to increase the area of the interface at which the above-described holes and electrons are separated by charge, and to manufacture a device having high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a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coating method is also excellent in manufacturing spe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구성하는 n형 반도체 재료 및 p형 반도체 재료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당해 n형 반도체 재료 및 p형 반도체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n형 반도체 재료 및 p형 반도체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에 있어서, 50℃ 이하, 대기압 조건 하에서의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1ppm 내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포화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constituting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can be used as the organic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form a bulk heterojunction layer by coat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and the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organic In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solven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o the organic solvent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at 50°C or less to be 1 ppm to the saturated concentration to the organic solvent.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n형 반도체 재료 및 p형 반도체 재료와,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는 방법, 또는 유기 용매 및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들 수 있다.As a means of making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 rang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bubbling carbon dioxide gas into a solution containing an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an organic solvent, or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carbon dioxide. And a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metho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도포 후에는 잔류 용매 및 수분, 가스의 제거, 및 반도체 재료의 결정화에 의한 이동도 향상ㆍ흡수 장파화를 야기하기 위해 가열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소정의 온도에서 어닐링 처리되면, 미시적으로 일부가 배열 또는 결정화가 촉진되어,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적절한 상 분리 구조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벌크 헤테로 접합층의 캐리어 이동도가 향상되어,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After applica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eating in order to remove residual solvent, moisture, and gas, and improve mobility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semiconductor material and increase absorption length. When anneal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arrangement or crystallization of a part microscopically is promoted, so that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can have an appropriate phase separation structure. As a result, the carrier mobility of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is improved, and high efficiency can be obtained.

광전 변환부(벌크 헤테로 접합층)(204)는,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가 균일하게 혼재된 단일층으로 구성해도 되지만,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의 혼합비를 바꾼 복수층으로 구성해도 된다.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bulk heterojunction layer) 204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in which an electron acceptor and an electron donor are uniformly mixed,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the electron acceptor and the electron donor is changed.

이어서,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구성하는 전극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lectrode constituting 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will be described.

유기 광전 변환 소자는,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서 생성된 양전하와 음전하가, 각각 p형 유기 반도체 재료 및 n형 유기 반도체 재료를 경유하여, 각각 투명 전극 및 대극으로부터 취출되어, 전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각각의 전극에는, 전극을 통과하는 캐리어에 적합한 특성이 요구된다. In 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generated i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are respectively extracted from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via the p-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and the n-type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and function as a battery. Each electrode is required to have properties suitable for the carri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de.

(대극)(The opposite pole)

본 발명에 있어서 대극(음극)이란, 전자를 취출하는 전극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음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전재 단독층이어도 되지만,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추가하여, 이들을 유지하는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 electrode (cathode) is preferably an electrode that extracts electr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s a negative electrode, a single layer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sufficient, but in addition to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 resin holding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대극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음극의 도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known negative electrode conductive material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대극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음극의 도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known negative electrode conductive material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전극은, 광전 변환부에서 발생한 정공을 취출하는 기능을 갖는 양극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내지 800nm의 광을 투과하는 전극이다.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양극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preferably an anode having a function of extracting holes generated i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For example, when used as an anode, it is preferably an electrode that trans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80 to 800 nm. As the material, known materials for cathode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중간 전극)(Intermediate electrode)

또한, 탠덤 구성의 경우에 필요한 중간 전극의 재료로서는, 투명성과 도전성을 겸비하는 화합물을 사용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a material for the intermediate electrode required in the case of a tandem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layer using a compound having both transparency and conductivity.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중간 전극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known materials for intermediate electrodes described in JP 2010-272619 A, JP 2014-078742 A, and the like can be used.

이어서, 전극 및 벌크 헤테로 접합층 이외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materials constituting other than the electrode and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will be described.

(정공 수송층 및 전자 블록층)(Hole transport layer and electron block layer)

본 발명의 유기 광전 변환 소자는,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서 발생한 전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취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벌크 헤테로 접합층과 투명 전극의 중간에는 정공 수송층ㆍ전자 블록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block layer betwee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in order to enable more efficient extraction of charges generated i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광전 변환 소자용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constituting the hole transport layer, known material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or the like can be used.

(전자 수송층, 정공 블록층 및 버퍼층)(Electron transport layer, hole block layer, and buffer layer)

본 발명의 유기 광전 변환 소자는, 벌크 헤테로 접합층과 대극의 중간에는 전자 수송층ㆍ정공 블록층ㆍ버퍼층을 형성함으로써,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서 발생한 전하를 보다 효율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들 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block layer, and a buffer layer betwee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and the counter electrode, it become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extract the charges generated i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It is preferable to have.

또한, 전자 수송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대극측으로는 흘리지 않는 정류 효과를 갖는, 정공 블록 기능이 부여된 정공 블록층으로 해도 된다. 정공 블록층으로 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에 기재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example, known materials described in JP 2010-272619 A, JP 2014-078742 A, or the like can be use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may be a hole blocking layer to which a hole blocking function is imparted, which has a rectifying effect that does not flow holes generated i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to the counter electrode sid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hole blocking layer, for example, a known material described in JP 2014-078742 A can be used.

(그 밖의 층)(Other floors)

에너지 변환 효율의 향상이나, 소자 수명의 향상을 목적으로, 각종 중간층을 소자 내에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중간층의 예로서는, 정공 블록층, 전자 블록층,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여기자 블록층, UV 흡수층, 광반사층, 파장 변환층 등을 들 수 있다.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r improving device life, various intermediate layers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Examples of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blocking layer, a hole injection layer,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 exciton blocking layer, a UV absorbing layer, a light reflection layer, and a wavelength conversion layer.

(기판)(Board)

기판측으로부터 광전 변환되는 광이 입사하는 경우, 기판은 이 광전 변환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즉 이 광전 변환해야 할 광의 파장에 대하여 투명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이나 수지 기판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지만, 경량성과 유연성의 관점에서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light to b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substrate side enters, the substrate is preferably a member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light, that is, a member that is transparent to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o b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As the substrat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 resin substrate, or the like can be suitably mention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resin film from the viewpoint of light weight and flexibility.

본 발명에서 투명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투명 수지 필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그 재료, 형상, 구조, 두께 등에 대해서는 공지된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ransparent resin film that can be preferably used as a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erial, shape, structure, thicknes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ones. For example, known materials described in JP 2010-272619 A, JP 2014-078742 A, and the like can be used.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본 발명의 유기 광전 변환 소자는, 태양광의 보다 효율적인 수광을 목적으로 하여, 각종 광학 기능층을 가져도 된다.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등의 집광층, 대극에서 반사된 광을 산란시켜 다시 벌크 헤테로 접합층에 입사시킬 수 있는 광확산층 등을 마련해도 된다.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ptical functional layers for the purpose of more efficient light reception of sunlight. As the optical functional layer, for example, an antireflection film, a light collecting layer such as a microlens array, a light diffusion layer capable of scatter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counter electrode and causing it to be incident on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may be provided.

반사 방지층, 집광층 및 광산란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반사 방지층, 집광층 및 광산란층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As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light collecting layer, and the light scattering layer, for example, known antireflection layers, light collecting layers and light scattering layer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078742 and the like can be used, respectively.

(패터닝)(Patterning)

본 발명에 관한 전극, 발전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등을 패터닝하는 방법이나 프로세스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공지의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r process of patterning the electrode, the power genera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etc. The disclosed known methods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밀봉)(Sealed)

또한, 제작한 유기 광전 변환 소자가 환경 중의 산소, 수분 등에 의해 열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유기 광전 변환 소자뿐만 아니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등으로 공지의 방법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2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787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abricated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rom deteriorating due to oxygen, moisture, or the like in the environment, it is preferable to seal not only 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but als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7261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078742, or the like can be us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드라이 에어란, 드라이 에어 발생 장치(가부시키가이샤 이케다 리카제, AT35HS)를 사용하여 제조한 드라이 에어를 나타내고, 대기 하란, 25℃, 1기압으로 설정된 실험실 내의 대기 하를 나타내고, 질소 분위기 하란, 타이요 닛산제 G1 그레이드의 질소 봄베로부터 공급된 질소 가스를 사용한 질소 분위기 하를 말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examples shown below, dry air refers to dry air produced using a dry air generating device (manufactured by Ikeda Rika, AT35HS), and the atmospheric condition is set to 25°C and 1 atm. The expression under the atmosphere and under the nitrogen atmosphere refers to under a nitrogen atmosphere using nitrogen gas supplied from a nitrogen cylinder made by Taiyo Nissan G1 grade.

또한, 이하에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mpound used in Examples is shown below.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4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4

[실시예 1][Example 1]

고순도 질소 분위기 하에서, 톨루엔(간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탈수 톨루엔) 1L에 CBP 5g을 녹인 용액 (s-1)에 대하여, 고순도 탄산 가스(타이요 닛산, 고순도 탄산 가스(>99.995 vol.%)를 유속 100mL/min으로 10분간 버블링한 후, 10분간 탈기하여 용액 s-5를 준비하였다.To a solution (s-1) in which 5 g of CBP was dissolved in 1 L of toluene (Kanto Chemical Co., Ltd., dehydrated toluene) in a high-purity nitrogen atmosphere, high-purity carbon dioxide gas (Taiyo Nissan, high-purity carbon dioxide gas (>99.995 vol.%) was added to the solution (s-1). After bubbling for 10 minutes at a flow rate of 100 mL/min, a solution s-5 was prepared by degassing for 10 minutes.

s-1 및 s-5 중의 함유 이산화탄소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칼럼 충전제에 Waters Corporation제 Porapack Type S GC Bulk Packing Material(Mesh80-100)을 사용하고, 절대 검량선법으로 측정하였다.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s-1 and s-5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Specifically, Porapack Type S GC Bulk Packing Material (Mesh80-100) manufactured by Waters Corporation was used as the column filler, and it was measured by an absolute calibration curve method.

또한, s-1 및 s-5의 함수량은, 칼 피셔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In addition, the water content of s-1 and s-5 were measured by the Karl Fischer method. Table 1 shows each result.

또한, 표 1에 나타낸 각종 용매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여, 각종 용매에 고순도 탄산 가스를 버블링하지 않은 것(s-2 내지 s-4)과, 버블링한 것(s-6 내지 s-8)을 준비하여, s-2 내지 s-4 및 s-6 내지 s-8의 함유 이산화탄소량 및 함수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In addition, the various solvents shown in Table 1 were subjected to the same treatment, and the various solvents were not bubbled with high-purity carbon dioxide gas (s-2 to s-4), and those that were bubbled (s-6 to s). -8) was prepared,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water content of s-2 to s-4 and s-6 to s-8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또한, 사용한 각종 용매는, 하기와 같다.In addition, various solvents used are as follows.

톨루엔(간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탈수 톨루엔), 아세트산이소부틸(간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특급 아세트산이소부틸), TFPO(도쿄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Toluene (Kanto Chemical Co., Ltd., dehydrated toluene), Isobutyl acetate (Kanto Chemical Co., Ltd., special grade isobutyl acetate), TFPO (Tokyo Kasei Kogyo Co., Ltd., 2,2,3,3-tetrafluoro -1-propanol)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5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5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각종 용매에 이산화탄소를 혼합시킴으로써, 각종 용매 중의 함수량을 삭감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by mixing carbon dioxide with various solvents, the water content in various solvents could be reduced.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서 제작한 s-1 내지 s-8을 표 2에 나타내는 조건 하에서 1시간 보존한 후에, 각각의 샘플의 용존 산소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After storing s-1 to s-8 prepared in Example 1 for 1 hour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f each sample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Table 2 shows each result.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6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6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는, 드라이 에어 및 대기 하에서 보존한 경우의 산소의 도입이 적음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oxygen in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carbon dioxide is small when stored in dry air and atmosphere.

[실시예 3][Example 3]

100mm×100mm×1.1mm의 유리 기판 상에 ITO(인듐ㆍ주석 산화물)를 100nm 성막한 기판(NH 테크노 글래스사제 NA45)에 패터닝을 행한 후, 이 ITO 투명 전극을 마련한 투명 지지 기판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초음파 세정하고, 건조 질소 가스로 건조하고, UV 오존 세정을 5분간 행하였다. 이 기판 상에, 실시예 1에서 제작한 s-4를 잉크젯법으로 성막(막 두께 약 40nm)하고, 건조 개시 전의 질량(w(0))을 측정하였다. 그 후, 60℃에서 t분간 건조하였을 때의 질량(w(t)) 및 1시간 진공 건조하였을 때의 질량(w(60))을 측정하였다.After patterning was performed on a substrate (NA45 manufactured by NH Techno Glass) on which 100 nm of ITO (indium tin oxide) was formed on a glass substrate of 100 mm×100 mm×1.1 mm,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provided with this ITO transparent electrode was prepared with isopropyl alcohol. Ultrasonic cleaning, drying with dry nitrogen gas, and UV ozone cleaning was performed for 5 minutes. On this substrate, s-4 produced in Example 1 was formed into a film by an ink jet method (film thickness of about 40 nm), and the mass (w(0)) before the start of drying was measured. Thereafter, the mass (w(t)) when dried at 60° C. for t minutes and the mass (w(60)) when dried under vacuum for 1 hour were measured.

1시간 진공 건조한 기판의 질량(w(60))과 건조 개시 전의 질량(w(0)) 및 t분간 건조하였을 때의 (w(t))를 사용하여, t분 건조 후의 건조도(Dry(101))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Using the mass of the substrate vacuum-dried for 1 hour (w(60)), the mass before the start of drying (w(0)), and the (w(t)) after drying for t minutes, the degree of drying after drying for t minutes (Dry( 101))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Dry101(t)=(1-((w(t)-w(60))/(w(0)-w(60)))×100Dry101(t)=(1-((w(t)-w(60))/(w(0)-w(60)))×100

s-4를, 표 3에 기재된 그 밖의 용액으로 치환하여 마찬가지의 측정을 행하여, 표 3의 결과를 얻었다.s-4 was substituted with the other solutions shown in Table 3, and the same measurement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of Table 3 was obtained.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7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7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탄산 가스를 버블링한 본 발명의 용액(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을 사용한 경우, 잉크의 건조 시간이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drying time of the ink was shortened when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in which carbon dioxide gas was bubbled was used.

[실시예 4][Example 4]

<정공 수송층(HT층)용 도포액의 조제><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for hole transport layer (HT layer)>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에서, 폴리비닐카르바졸(PVK) 600mg을 클로로벤젠 100㎖에 용해한 용액(용액 s-10)을 2분할하고, 각각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쪽을 용액 s-11이라고 하고, 다른 한쪽을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 내에서 10분간 이산화탄소 버블링하여 용액 s-12라고 하였다. 용액 s-12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200ppm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액 s-11, 용액 s-12를 각각 3분할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표 4에 나타내는 용액을 얻었다.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 solution (solution s-10) in which 600 mg of polyvinylcarbazole (PVK) was dissolved in 100 ml of chlorobenzene was divided into two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respectively, and one was referred to as solution s-11. , And the other side was bubbled with carbon dioxide for 10 minutes 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was called solution s-12.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solution s-12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ntained 200 ppm of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solution s-11 and the solution s-12 were divided into 3 portions, respectively,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to obtain a solution shown in Table 4.

처리 1: 용액 s-11을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11을 얻었다.Treatment 1: Solution s-11 was prepared and stored for 30 minutes in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111.

처리 2: 용액 s-11을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12를 얻었다.Treatment 2: Solution s-11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112.

처리 3: 용액 s-11을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13을 얻었다.Treatment 3: Solution s-11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the atmosphere, and solution s-113 was obtained.

처리 4: 용액 s-12를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21을 얻었다.Treatment 4: The solution s-12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prepared to obtain a solution s-121.

처리 5: 용액 s-12를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22를 얻었다.Treatment 5: Solution s-12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122.

처리 6: 용액 s-12를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123을 얻었다.Treatment 6: Solution s-12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the atmosphere, and solution s-123 was obtained.

<발광층(EM층)용 도포액의 조제><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for light emitting layer (EM layer)>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에서, CBP 600mg과 화합물 Ir-12 30.0mg을 톨루엔/아세트산이소부틸(1/1) 60㎖에 용해한 용액(용액 s-20)을 2분할하고, 각각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쪽을 용액 s-21이라고 하고, 다른 한쪽을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 내에서 10분간 이산화탄소 버블링하여 용액 s-22라고 하였다. 용액 s-22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250ppm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액 s-21, 용액 s-22를 각각 3분할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표 4에 나타내는 용액을 얻었다.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 solution (solution s-20) in which 600 mg of CBP and 30.0 mg of the compound Ir-12 were dissolved in 60 ml of toluene/isobutyl acetate (1/1) was divided into two,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 One side was referred to as solution s-21, and the other was referred to as solution s-22 by bubbling carbon dioxide for 10 minutes 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solution s-22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ntained 250 ppm of carbon dioxide. Further, the solution s-21 and the solution s-22 were divided into three, respectively,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to obtain a solution shown in Table 4.

처리 11: 용액 s-21을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11을 얻었다.Treatment 11: The solution s-21 was prepared and stored for 30 minut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a solution s-211.

처리 12: 용액 s-21을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12를 얻었다.Treatment 12: Solution s-21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212.

처리 13: 용액 s-21을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13을 얻었다.Treatment 13: The solution s-21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the atmosphere to obtain a solution s-213.

처리 14: 용액 s-22를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21을 얻었다.Treatment 14: Solution s-22 was prepared and stored for 30 minut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221.

처리 15: 용액 s-22를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22를 얻었다.Treatment 15: Solution s-22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222.

처리 16: 용액 s-22를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223을 얻었다.Treatment 16: Solution s-22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the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223.

<전자 수송층(ET층)용 도포액><Coating liquid for electron transport layer (ET layer)>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에서, 바소큐프로인(BCP) 200mg을 시클로헥산 60㎖에 용해한 용액(용액 s-30)을 2분할하고, 각각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한쪽을 용액 s-31이라고 하고, 다른 한쪽을 질소 분위기 하의 글로브 박스 내에서 10분간 이산화탄소 버블링하여 용액 s-32라고 하였다. 용액 s-32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180ppm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액 s-31, 용액 s-32를 각각 3분할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표 4에 나타내는 용액을 얻었다.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 solution (solution s-30) in which 200 mg of vasocuproin (BCP) was dissolved in 60 ml of cyclohexane was divided into two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respectively, and one was referred to as solution s-31. , And the other side was bubbled with carbon dioxide for 10 minutes in a glove box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was referred to as solution s-32.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solution s-32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ntained 180 ppm of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solution s-31 and the solution s-32 were divided into three, respectively, and treated by the following method to obtain a solution shown in Table 4.

처리 21: 용액 s-31을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11을 얻었다.Treatment 21: Solution s-31 was prepared and stored for 30 minut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311.

처리 22: 용액 s-31을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12를 얻었다.Treatment 22: Solution s-31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312.

처리 23: 용액 s-31을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13을 얻었다.Treatment 23: The solution s-31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the atmosphere to obtain a solution s-313.

처리 24: 용액 s-32를 조제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21을 얻었다.Treatment 24: Solution s-32 was prepared and stored for 30 minut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321.

처리 25: 용액 s-32를 드라이 에어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22를 얻었다.Treatment 25: Solution s-32 was stored for 30 minutes in a dry air atmosphere to obtain solution s-322.

처리 26: 용액 s-32를 대기 하에서 30분간 보관하고, 용액 s-323을 얻었다.Treatment 26: The solution s-32 was stored for 30 minutes under the atmosphere to obtain a solution s-323.

<유기 EL 소자의 제작><Production of organic EL device>

양극으로서 100mm×100mm×1.1mm의 유리 기판 상에 ITO(인듐ㆍ주석 산화물)를 100nm 성막한 기판(NH 테크노 글래스사제 NA45)에 패터닝을 행한 후, 이 ITO 투명 전극을 마련한 투명 지지 기판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초음파 세정하고, 건조 질소 가스로 건조하고, UV 오존 세정을 5분간 행하였다. 이 기판을 시판 중인 스핀 코터에 설치하고, 용액 s-111(10㎖)을 사용하여, 1000rpm, 30초의 조건 하, 스핀 코트하고(층 두께 약 40nm), 60℃에서 1시간 진공 건조하여, 정공 수송층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용액 s-211(6㎖)을 사용하여, 1000rpm, 30초의 조건 하, 스핀 코트하고(층 두께 약 40nm), 60℃에서 1시간 진공 건조하여, 발광층으로 하였다. 또한 용액 s-311(6㎖)을 사용하여, 1000rpm, 30초의 조건 하, 스핀 코트하고(층 두께 약 10nm), 60℃에서 1시간 진공 건조하여, 정공 저지의 역할도 겸한 전자 수송층을 마련하였다.After patterning was performed on a substrate (NA45 manufactured by NH Techno Glass) on which 100 nm of ITO (indium tin oxide) was formed on a 100 mm×100 mm×1.1 mm glass substrate as an anode, the transparent support substrate provided with this ITO transparent electrode was isopropyl. It ultrasonically washed with alcohol, dried with dry nitrogen gas, and UV ozone washing was performed for 5 minutes. This substrate was install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spin coater, spin-coat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0 rpm and 30 seconds using solution s-111 (10 ml) (layer thickness: about 40 nm), vacuum dried at 60° C. for 1 hour, and holes It was set as the transport layer. Next, using the solution s-211 (6 ml), spin-coating (layer thickness of about 40 nm) under conditions of 1000 rpm and 30 seconds, and vacuum drying at 60°C for 1 hour to obtain a light emitting layer. Further, using solution s-311 (6 ml), spin-coating under conditions of 1000 rpm and 30 seconds (layer thickness of about 10 nm) and vacuum drying at 60° C. for 1 hour to prepar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that also serves to block holes .

계속해서, 이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고정하고, 몰리브덴제 저항 가열 보트에 Alq3을 200mg 넣어, 진공 증착 장치에 설치하였다. 진공조를 4×10-4Pa까지 감압한 후, Alq3이 들어간 상기 가열 보트에 통전하여 가열하고, 증착 속도 0.1nm/초로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증착하여, 층 두께 40nm의 전자 주입층을 더 마련하였다. 또한, 증착 시의 기판 온도는 실온이었다.Subsequently, this substrate was fixed to a substrate holder of a vacuum evaporation apparatus, 200 mg of Alq 3 was put in a resistance heating boat made of molybdenum, and installed in a vacuum evaporation apparatus. After reducing the pressure in the vacuum bath to 4×10 -4 Pa, the heating boat containing Alq 3 was energized and heated, and deposit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t a deposition rate of 0.1 nm/sec, thereby further forming an electron inj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 nm. Prepared. In addition, the substrate temperature at the time of vapor deposition was room temperature.

이어서, 불화리튬 0.5nm 및 알루미늄 110nm를 증착하여 음극을 형성하고, 유기 EL 소자 1을 제작하였다.Then, 0.5 nm of lithium fluoride and 110 nm of aluminum were deposited to form a cathode, and an organic EL device 1 was fabricated.

유기 EL 소자 1의 제작에 있어서, 용액 s-111, 용액 s-211, 용액 s-311을, 표 4에 나타내는 용액으로 치환한 것 이외에는 유기 EL 소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 4에 나타내는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In the fabrication of the organic EL device 1, the organic EL device shown in Table 4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organic EL device 1, except that the solution s-111, the solution s-211, and the solution s-311 were replaced with the solutions shown in Table 4. Was produced.

<유기 EL 소자의 평가><Evaluation of organic E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표 4에 나타내는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organic EL device shown in Table 4 fabric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온도 23℃, 건조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V 직류 전압 인가에 의한 연속 점등을 행하고, 점등 개시 시의 발광 휘도로부터 휘도가 반감하는 시간(이하, 발광 수명이라고 함) 및 발광 효율(lm/W)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단, 발광 수명 및 발광 효율은, 유기 EL 소자 1의 발광 수명 및 발광 효율을 각각 100으로 한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발광 휘도는 코니카 미놀타제 CS-1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he fabricated organic EL element is continuously lit by applying a 10V DC voltage in a dry nitrogen gas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23°C, and the time when the luminance is reduced by half from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at the start of ligh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ght emission lifetime) The efficiency (lm/W)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However, the luminescence lifetime and luminous efficiency are shown by relative values in which the luminescence lifetime and luminous efficiency of the organic EL element 1 are set to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uminescence luminance was measured using CS-1000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8
Figure 112019002180016-pct00008

표 4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사용한 유기 EL 소자는, 드라이 에어 또는 대기 하에 보존한 경우, 동일 조건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도포액과 비교하여, 발광 효율 및 소자 수명의 평가 결과의 열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4, when the organic EL device using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carbon d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dry air or air, compared with the coating liquid not containing carbon dioxid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luminous efficiency and the device It can be seen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ifespan is small.

[실시예 5][Example 5]

<잉크용 화합물의 정제><Purification of ink compound>

니혼 분코사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CBP를 분취하였다.CBP was fractiona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system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rporation.

초임계 CO2 송액 펌프: SCF-GetSupercritical CO 2 liquid pump: SCF-Get

전자동 압력 조정 밸브: SFC-BpgFully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SFC-Bpg

칼럼 오븐: GC-353BColumn oven: GC-353B

인젝터: 7125iInjector: 7125i

칼럼: C18-Silica, 3㎛, 4.6mm×250mmColumn: C18-Silica, 3 μm, 4.6 mm×250 mm

이동층: 이산화탄소/톨루엔=9/1Moving bed: carbon dioxide/toluene=9/1

이동층 유량: 3㎖/minMoving bed flow rate: 3ml/min

압력: 18MPaPressure: 18MPa

온도: 40℃Temperature: 40℃

검출: 자외 검출기(210nm)Detection: ultraviolet detector (210 nm)

상기 조건에 의해 CBP를 10질량%, 이산화탄소를 300ppm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조성물 1이라고 한다. 이어서, CBP를 Ir-14, Ir-1, Ir-15로 각각 바꾼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하기 조성물을 얻었다.Under the above conditions, a toluene solution containing 10% by mass of CBP and 300 ppm of carbon dioxide was obtained. This solution is called Composition 1. Subsequently, except having changed CBP to Ir-14, Ir-1, Ir-15, respectively, it carried out similarly, and the following composition was obtained.

조성물 2: Ir-14를 10질량%, 이산화탄소를 300ppm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Composition 2: Toluene solution containing 10% by mass of Ir-14 and 300 ppm of carbon dioxide

조성물 3: Ir-1을 10질량%, 이산화탄소를 300ppm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Composition 3: Toluene solution containing 10% by mass of Ir-1 and 300 ppm of carbon dioxide

조성물 4: Ir-15를 10질량%, 이산화탄소를 300ppm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Composition 4: Toluene solution containing 10% by mass of Ir-15 and 300 ppm of carbon dioxide

이어서, 이동층을 이산화탄소/TFPO=9/1, CBP를 BCP로 바꾼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BCP를 10질량%, 이산화탄소를 300ppm 포함하는 TFPO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조성물 5라고 한다.Subsequently, a TFPO solution containing 10 mass% of BCP and 300 ppm of carbon dioxid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ing layer was changed to carbon dioxide/TFPO = 9/1 and CBP to BCP. This solution is called composition 5.

<잉크의 조정><Ink adjustment>

(정공 주입층 조성물)(Hole injection layer composition)

PEDOT/PSS 혼합 수분산액(1.0질량%) 20질량부PEDOT/PSS mixed aqueous dispersion (1.0% by mass) 20 parts by mass

물 65질량부65 parts by mass of water

에톡시에탄올 10질량부10 parts by mass of ethoxyethanol

글리세린 5질량부5 parts by mass of glycerin

PEDOT/PSS: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Bayer사제, Baytron P Al 4083)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manufactured by Bayer, Baytron P Al 4083)

(청색 발광층 조성물)(Blue light emitting layer composition)

조성물 1 9.5질량부Composition 1 9.5 parts by mass

조성물 2 0.5질량부Composition 2 0.5 parts by mass

톨루엔 40질량부40 parts by mass of toluene

아세트산이소부틸 50질량부50 parts by mass of isobutyl acetate

(녹색 발광층 조성물)(Green light emitting layer composition)

조성물 1 9.5질량부Composition 1 9.5 parts by mass

조성물 3 0.5질량부Composition 3 0.5 parts by mass

톨루엔 40질량부40 parts by mass of toluene

아세트산이소부틸 50질량부50 parts by mass of isobutyl acetate

(적색 발광층 조성물)(Red light emitting layer composition)

조성물 1 9.5질량부Composition 1 9.5 parts by mass

조성물 4 0.5질량부Composition 4 0.5 parts by mass

톨루엔 40질량부40 parts by mass of toluene

아세트산이소부틸 50질량부50 parts by mass of isobutyl acetate

(전자 수송층 조성물)(Electron transport layer composition)

조성물 5 10질량부Composition 5 10 parts by mass

TFPO 90질량부90 parts by mass of TFPO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제작><Production of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도 10은, 유기 EL 풀 컬러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다. 양극으로서 유리 기판(101) 상에, ITO 투명 전극(102)을 100nm 성막한 기판(NH 테크노 글래스사제 NA45)에 100㎛의 피치로 패터닝을 행한 후, 이 유리 기판 상에서 ITO 투명 전극의 사이에 비감광성 폴리이미드의 격벽(103)(폭 20㎛, 두께 2.0㎛)을 포토리소그래피로 형성시켰다. ITO 전극 상 폴리이미드 격벽의 사이에, 상기 조성의 정공 주입층 조성물을 잉크젯 헤드(코니카 미놀타제 「KM512L」)를 사용하여 토출 주입하고, 200℃, 10분간의 건조 처리에 의해 층 두께 40nm의 정공 주입층(104)을 제작하였다. 이 정공 주입층 상에, 각각 상기 청색 발광층 조성물, 녹색 발광층 조성물, 적색 발광층 조성물을 마찬가지로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여 토출 주입하고, 각각의 발광층(105B, 105G, 105R)을 형성시켰다. 계속해서, 전자 수송층 조성물을 마찬가지로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여 토출 주입하고, 발광층(105)의 각 층 상에 정공 저지의 역할도 겸한 전자 수송층(106)을 형성시켰다. 마지막으로 전자 수송층(106) 상에, 음극으로서 Al(107)을 진공 증착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10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EL full color display device. After patterning at a pitch of 100 μm on a substrate (NA45 manufactured by NH Techno Glass) on which 100 nm of the ITO transparent electrode 102 was formed as an anode on the glass substrate 101, the ratio between the ITO transparent electrodes on the glass substrate The partition wall 103 (20 µm in width and 2.0 µm in thickness) of photosensitive polyimide was formed by photolithography. Between the polyimide partition walls on the ITO electrode, the hole injection layer composition of the above composition was discharged and injected using an inkjet head (KM512L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and holes having a layer thickness of 40 nm were dried at 200°C for 10 minutes. The injection layer 104 was prepar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blue light-emitting layer composition, green light-emitting layer composition, and red light-emitting layer composition were similarly injected and injected using an inkjet head to form respective light-emitting layers 105B, 105G, and 105R. Subsequently,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composition was similarly discharged and injected using an inkjet head,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106 which also serves as a hole blocking function was formed on each layer of the light emitting layer 105. Finally,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106, Al 107 as a cathode was vacuum-deposited to fabricate an organic EL device.

제작한 유기 EL 소자는, 각각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각각 청색, 녹색, 적색의 발광을 나타내어, 풀 컬러 표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It was found that the fabricated organic EL device emits blue, green, and red light, respectively, by applying a voltage to each electrode, and thus can be used as a full color display device.

[실시예 6][Example 6]

벌크 헤테로 접합층의 p형 재료로서, 문헌 [Macromolecules 2007, 40, 1981]에 기재된 저 밴드 갭 폴리머, PCPDTBT를 비특허문헌(Nature Mat. vol. 6(2007), p497)을 참고로 하여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n형 재료로서, PCBM(프런티어 카본사로부터 구입)을 사용하였다.As a p-type material for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a low band gap polymer, PCPDTB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Macromolecules 2007, 40, 1981] was synthesized with reference to a non-patent literature (Nature Mat. vol. 6 (2007), p497). Used. In addition, PCBM (purchased from Frontier Carbon) was used as the n-type material.

<유기 광전 변환 소자 1의 제작><Production of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1>

유리 기판 상에, 인듐ㆍ주석 산화물(ITO) 투명 도전막을 140nm 퇴적한 것을,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염산 에칭을 사용하여 2mm 폭으로 패터닝하여, 투명 전극을 형성하였다.On a glass substrate, an indium-tin oxide (ITO) transparent conductive film deposited at 140 nm was patterned to a width of 2 mm using a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technique and hydrochloric acid etching to form a transparent electrode.

패턴 형성한 투명 전극을, 계면 활성제와 초순수에 의한 초음파 세정, 초순수에 의한 초음파 세정의 순으로 세정한 후, 질소 블로우로 건조시키고, 마지막으로 자외선 오존 세정을 행하였다. 이 투명 기판 상에, 도전성 고분자인 Baytron P4083(스타크 브이테크제)을 60nm의 막 두께로 스핀 코트한 후, 140℃에서 대기 중 10분간 가열 건조하였다.The patterned transparent electrode was washed in the order of ultrasonic cleaning with a surfactant and ultrapure water, followed by ultrasonic cleaning with ultrapure water, followed by drying with nitrogen blowing, and finally ultraviolet ozone cleaning. On this transparent substrate, Baytron P4083 (manufactured by Stark V-Tech) as a conductive polymer was spin-coated to a thickness of 60 nm, followed by heating and drying at 140°C for 10 minutes in air.

이 이후에는 기판을 글로브 박스 내에 가져와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작업하였다. 우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기판을 140℃에서 10분간 가열 처리하였다.After this, the substrate was brought into a glove box and work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First, the substrate was heat-treated at 140° C. for 10 minutes in a nitrogen atmosphere.

이산화탄소 가스를 10분간 버블링한 클로로벤젠을 준비하고,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바 350ppm의 농도였다. 이 클로로벤젠에 p형 반도체 재료로서 PCPDTBT를 1.0질량%, n형 반도체 재료로서 [6,6]-페닐 C61-부틸산메틸에스테르(약칭, PCBM)(프런티어 카본제, NANOM SPECTRA E100H)를 2.0질량%, 또한 1,8-옥탄디티올을 2.4질량% 용해한 액을 제작하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면서 1200rpm에서 60초의 스핀 코트를 행하고, 실온에서 30분 건조하여, 광전 변환부(벌크 헤테로 접합층)를 얻었다.Chlorobenzene was prepared by bubbling carbon dioxide gas for 10 minutes, an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and the concentration was 350 ppm. 1.0% by mass of PCPDTBT as a p-type semiconductor material and 2.0% by mass of [6,6]-phenyl C61-butylate methyl ester (abbreviated as PCBM) (made by Frontier Carbon, NANOM SPECTRA E100H) as an n-type semiconductor material. % And 2.4 mass% of 1,8-octanedithiol was prepared, spin-coating at 1200 rpm for 60 seconds while filtering through a 0.45 µm filter, drying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bulk heterojunction Layer).

이어서, 상기 벌크 헤테로 접합층을 형성한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 내에 설치하였다. 2mm 폭의 쉐도우 마스크가 투명 전극과 직교하도록 소자를 세트하고, 10-3Pa 이하까지 진공 증착기 내를 감압한 후, 불화리튬을 0.5nm, Al을 80nm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120℃에서 30분간의 가열을 행하여, 유기 광전 변환 소자 1을 얻었다. 또한, 증착 속도는 모두 2nm/초로 증착하여, 한 변이 2mm인 사각형의 사이즈로 하였다. 얻어진 유기 광전 변환 소자 1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알루미늄 캡과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여 밀봉을 행하였다.Then, the substrate on which the bulk heterojunction layer was formed was installed in a vacuum evaporation apparatus. The device was set so that the 2 mm wide shadow mask was orthogonal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inside of the vacuum evaporator was reduced to 10 -3 Pa or less, and then 0.5 nm of lithium fluoride and 80 nm of Al were deposited. Finally, heating was performed at 120° C. for 30 minutes to obtain a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1. In addition, the vapor deposition rate was all deposited at 2 nm/sec, and the size of a square having a side of 2 mm was obtained. The obtained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1 was sealed using an aluminum cap and a UV curable resin in a nitrogen atmosphere.

<유기 광전 변환 소자의 평가><Evaluation of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변환 효율의 평가)(Evaluation of conversion efficiency)

상기 제작한 유기 광전 변환 소자에, 솔라 시뮬레이터(AM1.5G 필터)의 100mW/㎠의 강도의 광을 조사하고, 유효 면적을 4.0㎟로 한 마스크를 수광부에 겹쳐, 단락 전류 밀도 Jsc(mA/㎠) 및 개방 전압 Voc(V), 곡선 인자(필 팩터) FF를 동일 소자 상에 형성한 4개소의 수광부를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Jsc, Voc 및 FF로부터 식 2에 따라 광전 변환 효율 η(%)를 구한바, 3.9%의 광전 변환 효율이었다.The fabricated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was irradiated with light with an intensity of 100 mW/cm 2 of a solar simulator (AM1.5G filter), and a mask having an effective area of 4.0 mm 2 was superimposed on the light-receiving unit,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sc (mA/cm 2 ). ), the open-circuit voltage Voc (V), and the curve factor (fill factor) FF were respectively measured at four light-receiving portions formed on the same device, and an average value was obtained. Furthe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η (%) was calculated from Jsc, Voc, and FF according to Equation 2, an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was 3.9%.

식 2 Jsc(mA/㎠)×Voc(V)×FF=η(%)Equation 2 Jsc(mA/㎠)×Voc(V)×FF=η(%)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도포액을 사용하여, 고효율의 유기 광전 변환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it is understood that a highly efficient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coat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 전자 디바이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유기 광전 변환 소자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11: 초임계 유체
12: 펌프
13: 모디파이어
14: 인젝터
15: 칼럼
16: 칼럼 오픈
17: 검출기
18: 압력 조정 밸브
41: 디스플레이
53: 화소
55: 주사선
56: 데이터선
60: 유기 EL 소자
61: 스위칭 트랜지스터
62: 구동 트랜지스터
63: 콘덴서
67: 전원 라인
101: 유리 기판
102: ITO 투명 전극
103: 격벽
104: 정공 주입층
105B, 105G, 105R: 발광층
106: 전자 수송층
107: 음극(Al)
200: 벌크 헤테로 접합형 유기 광전 변환 소자
201: 기판
202: 투명 전극(양극)
203: 대극(음극)
204: 광전 변환부(벌크 헤테로 접합층)
205: 전하 재결합층
206: 제2 광전 변환부
207: 정공 수송층
208: 전자 수송층
209: 제1 광전 변환부
A: 표시부
B: 제어부
11: supercritical fluid
12: pump
13: Modifier
14: injector
15: column
16: column open
17: detector
18: pressure regulating valve
41: display
53: pixel
55: scan line
56: data line
60: organic EL element
61: switching transistor
62: driving transistor
63: condenser
67: power line
101: glass substrate
102: ITO transparent electrode
103: bulkhead
104: hole injection layer
105B, 105G, 105R: light emitting layer
106: electron transport layer
107: cathode (Al)
200: bulk heterojunction typ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201: substrate
202: transparent electrode (anode)
203: counter electrode (cathode)
204: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bulk heterojunction layer)
205: charge recombination layer
206: second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207: hole transport layer
208: electron transport layer
209: first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A: display
B: control unit

Claims (14)

유기 화합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도포액이며,
50℃ 이하ㆍ대기압의 조건 하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5 내지 1000ppm의 범위 내이고,
상기 유기 화합물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
It i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organic compound and an organic solvent,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organic solvent under conditions of 50°C or less and atmospheric pressure is in the range of 5 to 1000 ppm,
A coating liquid, wherein the organic compound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 중에 산소가 1ppm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조건 하에서, 용존 산소 농도의 1.0 내지 100000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
The method of claim 1,
When 1 ppm or more of oxygen is present in the coating liquid,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contained within a range of 1.0 to 100000 times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under the condition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도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coating liquid, wherein the coating liquid is a coating liqui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발광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
The method of claim 4,
The coating liquid,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잉크젯용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coating liqui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iquid is an ink jet ink.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제조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ating liquid for produc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1 or 3,
A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comprising a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공정 후에,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도포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of mixing the organic compound and carbon dioxide, the coating liquid is prepared by us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제8항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 중의 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액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a substance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organic compoun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제작용 잉크.An ink for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compri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1 or 3.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by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1 or 3.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1 or 3.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유기 기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변환 소자.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liquid according to claim 1 or 3.
KR1020197000606A 2016-07-11 2017-06-21 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21748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6499 2016-07-11
JP2016136499 2016-07-11
PCT/JP2017/022768 WO2018012223A1 (en) 2016-07-11 2017-06-21 Coating liquid, method for producing same, ink for production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090A KR20190016090A (en) 2019-02-15
KR102174806B1 true KR102174806B1 (en) 2020-11-05

Family

ID=6095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606A KR102174806B1 (en) 2016-07-11 2017-06-21 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44621B2 (en)
KR (1) KR102174806B1 (en)
CN (1) CN109479355B (en)
TW (1) TWI700343B (en)
WO (1) WO201801222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0124A (en) * 2021-02-25 2022-09-06 キオクシア株式会社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3869A1 (en) 1998-12-28 2000-12-27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20050238798A1 (en) 2004-04-12 2005-10-2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89494B2 (en) 2003-06-13 2009-12-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EP2416392A2 (en) 2010-08-06 2012-02-08 Ricoh Company,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574B2 (en) * 1991-10-30 2001-10-22 三菱化工機株式会社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method
WO2001038003A1 (en) * 1999-11-26 2001-05-3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 film of organic material
AU2002220903A1 (en) * 2000-12-06 2002-06-18 Bushra Al-Duri Patterned deposition using compressed carbon dioxide
US7030168B2 (en) * 2001-12-31 2006-04-18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Supercritical fluid-assisted deposition of materials on semiconductor substrates
EP2923391A1 (en) * 2012-11-20 2015-09-30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in high-purity solvent for producing electronic devices
KR20150101956A (en)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urification method for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formed by wet proc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3869A1 (en) 1998-12-28 2000-12-27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4389494B2 (en) 2003-06-13 2009-12-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US20050238798A1 (en) 2004-04-12 2005-10-2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416392A2 (en) 2010-08-06 2012-02-08 Ricoh Company,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0343B (en) 2020-08-01
CN109479355B (en) 2021-07-16
WO2018012223A1 (en) 2018-01-18
KR20190016090A (en) 2019-02-15
JP6844621B2 (en) 2021-03-17
CN109479355A (en) 2019-03-15
JPWO2018012223A1 (en) 2019-04-25
TW201815999A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330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518042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307090B1 (en)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4389494B2 (en)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JP6933248B2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organic film, an organic film,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organic film.
KR102174806B1 (en) Coating liquid, its manufacturing method, ink for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2228341B1 (en) Method for recovering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8173553A1 (en) Coat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N110431196B (en) Coating liquid,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CN110546780B (en) Coating liquid,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liquid, coating film,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8173729A1 (e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ion, coating film,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JP593000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570875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567374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2021111494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59441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0731759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thin film eleme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fabricate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