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73B1 -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73B1
KR102174673B1 KR1020200047177A KR20200047177A KR102174673B1 KR 102174673 B1 KR102174673 B1 KR 102174673B1 KR 1020200047177 A KR1020200047177 A KR 1020200047177A KR 20200047177 A KR20200047177 A KR 20200047177A KR 102174673 B1 KR102174673 B1 KR 10217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tool
head
hoistway
a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용
Original Assignee
차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순용 filed Critical 차순용
Priority to KR102020004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3/15534Magazines mounted on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 B23Q2003/15542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bstract

본 발명은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할 공구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툴홀더를 가지며, 주어진 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순환체인이 구비된 툴공급부와; 상기 툴홀더에 지지되어 있는 공구를 인출하여 소정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툴이송부와;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폭의 승강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평의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툴이송부로부터 공구를 전달받는 승강헤드와; 상기 캐비닛내에 설치되며 승강헤드를 승강시켜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헤드구동기와; 상기 승강로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는, 캐비닛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텔레스코픽커버를 차단하여, 절삭 가공 시 발생하는 절삭칩이나 절삭유가 텔레스코픽커버의 틈새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삭칩이나 절삭유의 침투에 의한 장비 손상의 염려가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Apparatus for cutting part for defense industry with ATC}
본 발명은 방위산업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가공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 가공 시 발생하는 금속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동 능력이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가 방위에 직간접적으로 사용되는 군수용 장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차량이나 비행기 또는 미사일이나 총기 또는 탱크나 대포 등과 같이 전쟁에 사용되는 무기도 포함된다.
이러한 전쟁용 장비 중, 미사일이나 탱크 또는 비행기나 군함 등은 그 사이즈가 제법 크기 때문에, 구성 부품(이하, 방산부품이라 칭함)을, 일반적인 공작기계를 이용해 제작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가령 미사일용 런처의 케이스와 같은 중공체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전용 가공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방산부품의 가공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정밀성이며, 정밀성을 위해서는 가공장치에 가공대상물을 정확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가공대상물이 경사지게 세팅되어 있을 경우, 최종 제작된 방산부품의 정밀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복잡한 구조의 방산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방산용 가공장치에도 ATC(automatic tool changer)가 적용된다. ATC는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자동으로 교체하는 장치이다. 이를테면, 스핀들을 공구교환위치로 이송시킨 후, 모터를 이용해 드럼이나 툴 매거진을 회전시켜 공구를 교체하는 것으로서, 공구의 교체를 위한 시간을 크게 단축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ATC가 적용된 가공장비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50594호 (반원형상의 매거진이 부착된 이동형 암레스 ATC 머시닝센터)가 있다. 개시된 머시닝센터는, 베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도록 일단부에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X축-스크류가 설치되고, X축-스크류의 반대측에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도록 중첩결합되는 X축-슬라이드커버가 형성되어 구성된 X축-슬라이드와; X축-슬라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부품을 가공하도록 공구가 설치된 주축대가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주축대가 일단면에서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도록 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Y축-스크류가 주축대와 연결되어 상부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컬럼과; 컬럼의 상부에 형성되어 주축대에 설치되는 공구를 회전에 의해 교체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공구가 형성된 툴매거진과; 툴매거진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툴매거진이 Z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도록 일단부에 실린더가 설치되고, 컬럼의 상부면에 형성된 Y축-스크류가 간섭되지 않고 관통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ATC하우징으로 구성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50594호 (반원형상의 매거진이 부착된 이동형 암레스 ATC 머시닝센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554호 (고정번지방식 자동공구교환기의 공구 선회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절삭 가공 시 발생하는 절삭칩이나 절삭유의 침투에 의한 장비 손상의 염려가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는, 사용할 공구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툴홀더를 가지며, 주어진 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순환체인이 구비된 툴공급부와; 상기 툴홀더에 지지되어 있는 공구를 인출하여 소정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툴이송부와;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폭의 승강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평의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툴이송부로부터 공구를 전달받는 승강헤드와; 상기 캐비닛내에 설치되며 승강헤드를 승강시켜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헤드구동기와; 상기 승강로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승강헤드의 상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된 후 캐비닛 내부로 당겨지고 승강헤드의 하강시 인출되고 상승시 캐비닛 내부로 들어가는 가요성 상부차단판, 일단부가 승강헤드의 하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된 후 캐비닛 내부로 당겨지고 승강헤드의 상승시 인출되고 하강시 캐비닛 내부로 들어가는 가요성 하부차단판을 갖는 캐비닛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내부공간의 상측에는, 상부받침롤러와 상부탄성와인더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차단판은, 상기 상부받침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타단부가 탄성와인더에 감겨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캐비닛 내부공간의 하측에는, 하부받침롤러와 하부탄성와인더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차단판은, 상기 하부받침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타단부가 하부탄성와인더에 감겨 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차단판 및 하부차단판은,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며, 일측면에 고정벨크로천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인장스트립과, 사각 시트의 형태를 취하며,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고정벨크로천에 결합하는 부착벨크로천을 가지고, 상기 인장스트립의 사이에서 인장스트립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진 다수의 단위시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위시트에는, 절삭 가공 시, 캐비닛차단부로 튀는 절삭칩을 흡착 고정하는 고무자석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단위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절삭칩을 수거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캐비닛을 향해 개방되고 수거공간을 제공하는 수거케이스, 상기 수거케이스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위시트에 붙어 있는 절삭칩을 털어내는 브러시와, 상기 수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브러시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스위퍼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는, 캐비닛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텔레스코픽커버를 차단하여, 절삭 가공 시 발생하는 절삭칩이나 절삭유가 텔레스코픽커버의 틈새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삭칩이나 절삭유의 침투에 의한 장비 손상의 염려가 없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절삭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절삭기에서의 승강헤드의 승강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캐비닛차단부의 일부를 승강헤드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캐비닛차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스위퍼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1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절삭기에서의 승강헤드의 승강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절삭기(50)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10)는, ATC(20), 절삭기(50), 작업테이블(90)으로 조합 구성된다.
ATC(20)는 공구(36)를 자동으로 교체하는 자동공구교체장치로서, 툴공급부(21)와 툴이송부(30)를 구비한다. 툴공급부(21)는 주어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순환체인(22)을 갖는다. 또한 순환체인(22)에는 공구(36)가 끼워지는 다수의 툴홀더(23)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순환체인(22)은 회전운동을 통해, 사용할 공구가 끼워진 툴홀더를 집게부(35b) 옆에 대기시킨다.
툴이송부(30)는 툴공급부(21)와 승강헤드(53)의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승강헤드(53)에서 사용을 마친 공구를 뽑아 툴홀더(23)에 원위치 시키며, 또한 툴홀더(23)에서 기다리고 있는 공구를 인출하여 승강헤드(53)의 스핀들(53c)에 장착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툴이송부(30)는, 주행레일(31), 캐리어(33), 아암(35)을 갖는다. 주행레일(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90도로 벤딩된 형상을 취한다. 캐리어(33)는 주행레일(31)을 따라 왕복 운동 한다. 캐리어(33)의 내부에는 주행용 모터(미도시)와 아암(35) 구동부가 내장된다.
아암(35)은 직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며 구동부(35c)에 의해 180도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판(35a), 회전판(35a)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집게부(35b)를 갖는다. 집게부(35b)는 공구(36)를 집어 고정한다.
한편, 절삭기(50)는 작업테이블(90)의 상부에 대기하고 있는 가공대상물(Z)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닛(51), 승강헤드(53), 헤드구동기(55), 수직컬럼(54), 캐비닛차단부(70)를 포함한다.
캐비닛(51)은, 내부공간(51a)을 제공하며, 작업테이블(90)을 향하는 전면에 승강로(51b)를 갖는다. 승강로(51b)는 일정폭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로서, 승강헤드(53)가 헤드구동기(55)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운동 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51)의 내부에는 헤드구동기(55)와 수직컬럼(54)이 설치된다. 헤드구동기(55)는 수직컬럼(54)에 지지되며 수직컬럼(54)을 따라 승강 운동한다. 헤드구동기(55)는 승강헤드(53)의 연결블록(53e)과 연결되고 승강헤드(53)를 승강시켜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킨다. 헤드구동기(55)의 승강운동을 통해 승강헤드(53)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 자체는 일반적인 작동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컬럼(54)의 전방에는 텔레스코픽커버(57)가 구비된다. 텔레스코픽커버(57)는 다수의 단위커버(57a)로 구성되며 승강헤드(53)의 승강운동에 따라 전개되거나 겹쳐진다. 텔레스코픽커버(57)의 내부에는 승강헤드(53)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적절한 가이드수단(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텔레스코픽커버(5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51b)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다. 가공대상물에 대한 절삭 가공 시, 튀는 절삭칩이나 절삭유가 텔케스코픽커버(57)의 틈새로 유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절삭칩이나 절삭유 등의 이물질이, 단위커버(57a)의 틈새로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후술할 캐비닛차단부(70)이다.
아울러, 캐비닛(51) 내부공간(51a)의 상측부에는, 상부차단판(70A)을 당겨 지지하는 상부받침롤러(58a)와 상부탄성와인더(59a)가 이격 배치된다. 상부받침롤러(58a)는 상부차단판(70A)을 지지하는 공회전 롤러이며, 상부탄성와인더(59a)는 상부차단판(70A)을 탄력적으로 당기는 탄력 와인더이다.
상부차단판(70A)은, 하부차단판(70B)과 함께 승강로(51b)를 차단하여,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부차단판(70A)은, 승강플레이트(53a)의 상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된 후 상부받침롤러(58a)에 걸쳐진 다음 수평 연장되어 상부탄성와인더(59a)에 감긴다. 상부탄성와인더(59a)는 상부차단판(70A)의 타단부를 감아 탄력적으로 당긴다. 상부탄성와인더(59a)의 작용에 의해, 상부차단판(70A)은 승강헤드(53)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캐비닛(51) 내부공간의 하측부에는, 하부차단판(70B)을 당겨 지지하는 하부받침롤러(58b)와 하부탄성와인더(59b)가 구비된다. 하부받침롤러(58b)는 하부차단판(70B)을 지지하는 공회전 롤러이고, 하부탄성와인더(59b)는 하부차단판(70B)을 탄력적으로 인장하는 탄력 와인더 이다.
하부차단판(70B)은, 승강플레이트(53a)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하부로 연장된 후 하부받침롤러(58b)를 감아 돈 다음 수평 연장되어 하부탄성와인더(59b)에 감긴다. 하부탄성와인더(59b)는 하부차단판(70B)의 타단부를 감아 탄력적으로 당긴다. 하부탄성와인더(59b)의 작용에 의해, 하부차단판(70B)은 승강헤드(53)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차단판(A) 및 하부차단판(B)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하나의 캐비닛차단부(70)를 구성하며, 외부 이물질이 승강로(51b)를 통과해 캐비닛(51)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유는, 캐비닛(51) 내부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단위커버(57a) 사이로 절삭칩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니다.
승강헤드(53)는, 연결블록(53e), 사각판 형태의 승강플레이트(53a), 바디(53b), 스핀들(53c)을 갖는다. 연결블록(53e)과 바디(53b)의 내부공간은 상호 연통하여 스핀들(53c)을 필요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변속장치(미도시) 등을 내장한다. 스핀들(53c)은 툴이송부(30)로부터 전달받은 공구(36)를 고정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축회전 한다. 상기 공구(36)는 드릴이나 밀링커터 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캐비닛차단부(70)의 일부를 승강헤드(53)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캐비닛차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헤드(53)를 사이에 두고 상부차단판(70A)과 하부차단판(70B)이 대응 배치되어 있다. 상부차단판(70A) 및 하부차단판(70B)은, 승강플레이트(53a)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연장되고, 연장단부가, 위에 설명한, 상부탄성와인더(59a)와 하부탄성와인더(59b)에 감진 상태로 팽팽하게 당겨진다. 상부차단판(70A)과 하부차단판(70B)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상하부차단판(70A,70B)은, 2열의 인장스트립(71), 다수의 단위시트(73), 고무자석(75)으로 구성된다.
인장스트립(71)은,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 부재로서, 두 개가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다. 인장스트립(71)의 이격거리는 승강로(51b)의 폭에 대응한다. 승강로(51b)의 폭이 넓을수록 2열의 인장스트립(71)의 이격거리도 멀어진다. 인장스트립(71)은 승강헤드(53)와 상하부탄성와인더(59a,59b)의 사이에서 인장되며, 상하부차단판(70A,70B)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아울러 각 인장스트립(71)의 내측면, 즉 캐비닛(51)의 내부공간(51a)을 향하는 면에는 고정벨크로천(71a)이 구비된다.
단위시트(73)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는 시트형 원단으로서, 폭방향 양단부에 부착벨크로천(73a)을 갖는다. 부착벨크로천(73a)은 고정벨크로천(7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인장스트립(71)의 사이로 단위시트(73)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부착벨크로천(73a)을 고정벨크로천(71a)에 고정시킴으로써 인장스트립(71)에 대한 단위시트(73)의 결합이 완료된다.
특히, 단위시트(73)를 인장스트립(71)에 고정할 때, 이웃하는 단위시트(73)의 길이방향 일부는 상호 겹쳐진다. 단위시트(73)가 겹쳐지지 않을 경우, 단위시트(7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틈새로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단위시트(73)를 겹치게 함으로써 캐비닛차단부(70)의 차단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각 단위시트(73)의 후면에는 고무자석(75)이 고정된다. 후면이라 함은, 캐비닛(51)의 내부공간(51a)을 향하는 면이다. 고무자석(75)은 가요성 자석으로서 단위시트(73)의 전방으로 자기력을 출력한다. 출력자기력은 절삭 가공 시 사방으로 튀는 절삭칩 중 단위시트(73)로 튄 절삭칩을 흡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자석을 이용해 절삭칩을 임시로 잡아두는 이유는, 절삭칩이 다시 튀어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또한 작업 후 절삭칩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고무자석(75)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단위시트(73)와 한 몸체를 이루며, 상하부탄성와인더(59a,59b)에 얼마든지 권취될 수 있다. 고무자석(75)의 두께나 상하부탄성와인더의 권취롤(미도시)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무자석(75)을 띠 형태로 적용할 수도 있다. 말하자면, 고무자석을 일정폭의 띠 형태로 제작하고, 인장스트립(7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51b)의 상하단부에는 스위퍼(60)가 설치된다. 스위퍼(60)는, 고무자석(75)의 작용에 의해 캐비닛차단부(70)의 전면에 흡착되어 있는 절삭칩을 털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수거케이스(62), 브러시(63), 모터(61)를 구비한다. 스위퍼(60)는 캐비닛(51)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도 8은 스위퍼(6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상측 스위퍼(60)만 도시하였으나, 하측 스위퍼(6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퍼(60)는, 캐비닛차단부(70)을 향해 개방되고 수거공간(62a)을 제공하는 수거케이스(62)와, 수거케이스(62)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시(63)와, 수거케이스(62)의 외부에 설치되며 브러시(63)를 축회전 시키는 모터(61)를 구비한다.
수거케이스(62)는 수평으로 연장되며, 브러시(63)에 의해 털어내어진 절삭칩을 수거공간(62a)에 모은다. 브러시(63)는 롤브러시로서 단위시트(73)의 외측면을 브러싱하여, 단위시트(73)에 붙어 있는 절삭칩을 털어낸다.
상기 스위퍼(60)를 설치 및 동작시킴으로써, 이를테면, 캐비닛(51)의 내부로 당겨져 들어가는 캐비닛차단부의 단위시트는 청결한 상태가 되어, 내부공간(51a)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가공장치 20:ATC 21:툴공급부
22:순환체인 23:툴홀더 30:툴이송부
31:주행레일 33:캐리어 35:아암
35a:회전판 35b:집게부 35c:구동부
36:공구 50:절삭기 51:캐비닛
51a:내부공간 51b:승강로 53:승강헤드
53a:승강플레이트 53b:바디 53c:스핀들
53e:연결블록 54:수직컬럼 55:헤드구동기
57:텔레스코픽커버 57a:단위커버 58a:상부받침롤러
58b:하부받침롤러 59a:상부탄성와인더 59b:하부탄성와인더
60:스위퍼 61:모터 62:수거케이스
62a:수거공간 63:브러시 70:캐비닛차단부
70A:상부차단판 70B:하부차단판 71:인장스트립
71a:고정벨크로천 73:단위시트 73a:부착벨크로천
75:고무자석 90:작업테이블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사용할 공구를 물어 고정하는 다수의 툴홀더를 가지며, 주어진 경로를 따라 순환 운동하는 순환체인이 구비된 툴공급부와; 상기 툴홀더에 지지되어 있는 공구를 인출하여 소정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툴이송부와;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폭의 승강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평의 스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툴이송부로부터 공구를 전달받는 승강헤드와; 상기 캐비닛내에 설치되며 승강헤드를 승강시켜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헤드구동기와;상기 승강로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캐비닛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승강헤드의 상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된 후 캐비닛 내부로 당겨지고 승강헤드의 하강시 인출되고 상승시 캐비닛 내부로 들어가는 가요성 상부차단판, 일단부가 승강헤드의 하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된 후 캐비닛 내부로 당겨지고 승강헤드의 상승시 인출되고 하강시 캐비닛 내부로 들어가는 가요성 하부차단판을 갖는 캐비닛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공간의 상측에는, 상부받침롤러와 상부탄성와인더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차단판은, 상기 상부받침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타단부가 탄성와인더에 감겨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캐비닛 내부공간의 하측에는, 하부받침롤러와 하부탄성와인더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차단판은, 상기 하부받침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타단부가 하부탄성와인더에 감겨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상부차단판 및 하부차단판은,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며, 일측면에 고정벨크로천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인장스트립과, 사각 시트의 형태를 취하며,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고정벨크로천에 결합하는 부착벨크로천을 가지고, 상기 인장스트립의 사이에서 인장스트립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겹쳐진 다수의 단위시트를 구비하는,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트에는, 절삭 가공 시, 캐비닛차단부로 튀는 절삭칩을 흡착 고정하는 고무자석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단위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절삭칩을 수거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캐비닛을 향해 개방되고 수거공간을 제공하는 수거케이스,
    상기 수거케이스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위시트에 붙어 있는 절삭칩을 털어내는 브러시와,
    상기 수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브러시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갖는 스위퍼가 더 설치된,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KR1020200047177A 2020-04-20 2020-04-20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KR10217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77A KR102174673B1 (ko) 2020-04-20 2020-04-20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77A KR102174673B1 (ko) 2020-04-20 2020-04-20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73B1 true KR102174673B1 (ko) 2020-11-05

Family

ID=7324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177A KR102174673B1 (ko) 2020-04-20 2020-04-20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896A (zh) * 2021-06-22 2021-08-13 湖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数控加工设备防飞溅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25U (ko) * 1993-06-28 1995-01-03 이언우 대형비닐하우스 내부의 소형비닐하우스 보온막 개폐용 고무밴드장치
KR200237554Y1 (ko) 2001-03-24 2001-10-10 위아 주식회사 고정번지방식 자동공구교환기의 공구 선회장치
JP2002233928A (ja) * 2001-02-02 2002-08-20 Enshu Ltd 工作機械の密閉装置
KR100750594B1 (ko) 2006-10-26 2007-08-21 한국기계연구원 반원형상의 매거진이 부착된 이동형 암레스 atc 머시닝센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25U (ko) * 1993-06-28 1995-01-03 이언우 대형비닐하우스 내부의 소형비닐하우스 보온막 개폐용 고무밴드장치
JP2002233928A (ja) * 2001-02-02 2002-08-20 Enshu Ltd 工作機械の密閉装置
KR200237554Y1 (ko) 2001-03-24 2001-10-10 위아 주식회사 고정번지방식 자동공구교환기의 공구 선회장치
KR100750594B1 (ko) 2006-10-26 2007-08-21 한국기계연구원 반원형상의 매거진이 부착된 이동형 암레스 atc 머시닝센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896A (zh) * 2021-06-22 2021-08-13 湖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数控加工设备防飞溅机构
CN113245896B (zh) * 2021-06-22 2021-09-24 湖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数控加工设备防飞溅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1029C1 (ru) Станок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и шпинделями
JP4731653B2 (ja) 工作機械
GB2113582A (en) Grinding machine with magazine for spare grinding wheels
KR102174673B1 (ko) Atc를 갖는 방산부품 가공장치
JP2008149416A (ja) マシニングセンタ
US7103955B2 (en)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ing line provided with same
JP5080188B2 (ja) 工作機械
KR100527821B1 (ko) 횡형공작기계
US20060207397A1 (en) Lathe, and Machi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athe
US20060207396A1 (en) Lathe, and Machi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athe
JPH0821798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20110067523A (ko) 버티컬 터닝 센터의 자동 공작물 장착 장치
KR102057727B1 (ko)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KR102004471B1 (ko) 멀티형 공구교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JP3872291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ー用の工具交換装置
ITTO930832A1 (it) Macchina operatrice per la lavorazione meccanica di piastre, in particolare per circuiti stampati.
SK285656B6 (sk) Obrábací stroj na mechanické opracovanie symetrických a asymetrických predmetov a strojový obrábacísystém
CN217253002U (zh) 一种加工设备
CN113933314B (zh) 一种全自动喷丝板检测通孔设备
RU2451594C2 (ru)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бесконечных рабочих лент дл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й установки
JPH08197361A (ja) 工作機械
CN114273364B (zh) 玻璃修复设备
EP0483781A2 (en) Tool magazine
CN116352292B (zh) 一种多功能自助打印机机柜生产用激光切割装置
CN110561078A (zh) 一种自动换驱动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