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28B1 - 푸시-핀 공동 밀봉재 - Google Patents

푸시-핀 공동 밀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28B1
KR102174628B1 KR1020147006562A KR20147006562A KR102174628B1 KR 102174628 B1 KR102174628 B1 KR 102174628B1 KR 1020147006562 A KR1020147006562 A KR 1020147006562A KR 20147006562 A KR20147006562 A KR 20147006562A KR 102174628 B1 KR102174628 B1 KR 102174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ealing body
expandable
delete delete
integ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232A (ko
Inventor
딘 쿼더러
에릭 엔. 화이트
Original Assignee
제피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피로스, 인크. filed Critical 제피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5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8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with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02Resiliently deformable pins
    • F16B19/004Resiliently deformable pins made in one 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with a series of flexible ribs or fins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said ribs or fins deform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sh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통합 체결구(14)를 갖는 밀봉 보디(12)를 구비하는 단일 구조물(10)을 제공함으로써 공동을 차폐 및/또는 밀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밀봉 보디는 복수의 표면과 비강성 팽창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밀봉 보디의 재료와 상이한 강성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핀 공동 밀봉재{PUSH-PIN CAVITY SEALER}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1년 8월 15일자로 출원되고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가출원 제61/523,623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를 구비하는 단일의 차폐(baffling) 및/또는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
운송 산업은 개선된 기능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감소된 중량, 비용 및 설치 시간을 제공하는 차폐, 보강 및 밀봉 방법을 계속 필요로 하고 있다.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팽창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팽창성 재료를 소정 위치에 부착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별도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체결구가 사용되는데, 이는 제품에 대해 비용 및 설치 시간을 추가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체결 수단이 전혀 필요하지 않도록 통합 체결구를 갖는 밀봉 보디를 제공한다.
제1 태양에서, 본 발명은 밀봉 보디 및 상기 밀봉 보디와 통합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단일 구조물을 갖는 장치를 제공한다. 밀봉 보디는 비-강성 팽창성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는 밀봉 보디를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재료와 상이한 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강성 재료도 없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밀봉 보디는 본질적으로 팽창성 재료로 구성된다. 단일 구조물은 사출 성형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밀봉 보디의 직경이 섕크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도록 체결구의 섕크 부분의 말단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는 점착성 재료일 수 있으며, 취급할 수 있도록 제거가능한 필름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네 개의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는 트리 체결구일 수 있다. 체결구는 캡 부분과 섕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캡의 직경은 공동 벽 내의 개구를 통한 체결구의 완전한 관통을 방지하도록 섕크의 직경을 초과한다. 체결구는 밀봉 보디가 그 안으로 연장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의 중심 부분은 밀봉 보디의 적어도 두 개의 표면과 직접 평면 접촉할 수 있다. 밀봉 보디의 적어도 두 개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체결구와 어떠한 접촉도 없을 수 있다. 체결구는 섕크를 따라서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중심 부분은 밀봉 보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이드를 구비한다. 밀봉 보디가 섕크를 따라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 근처에 배치되도록 밀봉 보디의 일부가 중심 부분의 보이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보이드 내에 위치하는 밀봉 보디 부분의 폭은 보이드 내에 위치하지 않는 밀봉 보디의 임의의 부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밀봉 보디의 에지는 체결구의 하나 이상의 날개에 거의 평행할 수 있다. 체결구의 중심 부분 내의 보이드는 섕크의 제1 벽 및 대향 제2 벽과 접촉하는 브릿지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브릿지 부분은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체결구 부분을 강성 재료로 압출하는 단계 및 밀봉 보디 부분을 비강성 팽창성 재료로 체결구 부분 상에 압출하여 단일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체결구는 보이드를 갖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는 압출 공정 중에 보이드 내에 수용된다. 밀봉 보디는 밀봉 보디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섕크 부분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도록 밀봉 보디가 체결구의 섕크 부분의 말단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구 주위에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통합 체결구를 구비하는 팽창성 밀봉 보디로 공동을 차폐 및/또는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추가 체결 수단의 필요없이 경량 구조를 갖는 공동의 효과적인 차폐 및/또는 밀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는 또한 접근이 최소인 공동 내로의 간단한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는 비교적 작은 개구(예를 들면,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를 통해서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봉 보디 및 체결구의 예시적 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봉 보디 및 체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체결구의 추가 사시도로서, 체결구의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경량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에 의한 공동의 개선된 차폐 및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일 구조물은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밀봉 보디의 밀봉의 재료와 상이한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비강성 팽창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필수적으로 비강성 팽창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단일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 또는 압출될 수 있다.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단일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공사출 성형 또는 공압출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강성 재료도 없을 수 있다. 밀봉 보디는 필수적으로 팽창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보디는 그 일부가 체결구의 일부와 직접 평면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체결구와 기계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구와 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밀봉 보디의 부분은 접착제를 거쳐서 체결구에 접착될 수 있다. 체결구와 접촉하여 배치되는 밀봉 보디의 부분은 밀봉 보디를 형성하는 팽창성 재료의 점착성 속성에 의해 체결구에 접착될 수 있다. 밀봉 보디 및 체결구는 압출 공정 중에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밀봉 보디 및 체결구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밀봉 보디와 체결구 사이의 연결은, 체결구가 공동 벽의 개구 내에 배치될 때 밀봉 보디 및 체결구가 적어도 팽창성 재료가 팽창을 겪을 때까지 연결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밀봉 보디는 밀봉 보디의 직경이 섕크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도록 체결구의 섕크 부분의 말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 보디는, 팽창 이전에 체결구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동 벽 내의 개구를 커버하지 않거나 공동 벽이 팽창 전에 필요한 코팅을 수용하지 못하게 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밀봉 보디의 형상 및 크기의 선택은 밀봉 보디가 체결구를 수용하는 공동의 개구를 통해서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밀봉 장치는 공동에 대한 접근이 체결구의 최대 폭(예를 들면, 체결구의 캡 부분에서일 수 있는 체결구의 최대 폭)보다 작은 공동 벽의 개구를 통해서만 가능할 때 특히 유용하다.
밀봉 보디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네 개의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 보디의 길이는 밀봉 보디의 폭의 두 배 이상, 네 배 이상 또는 심지어 10배 이상일 수 있다. 밀봉 보디의 (팽창 이전의) 폭은 그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체결구의 폭(예를 들면, 캡 부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밀봉 보디는 두 세트의 대향 벽과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벽을 구비하므로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수 있다. 밀봉 보디는 임의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밀봉 보디는 곡선형 벽을 가질 수 있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는 점착성 재료일 수 있으며, 취급이 가능하도록 제거 가능한 필름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 보디의 점착성 특성은 밀봉 보디와 체결구 사이의 접착을 촉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팽창성 재료는 터치 시에 실질적으로 건조 상태일 수 있다.
체결구는 트리 체결구일 수 있다. 체결구는 푸시-핀 체결구일 수 있다. 체결구는 사다리꼴 푸시-핀 체결구일 수 있다. 체결구는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8,029,222호에 개시된 체결구일 수 있다. 체결구는 캡 부분과 섕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캡의 직경은 공동 벽 내의 개구를 통한 체결구의 완전한 관통을 방지하도록 섕크의 직경을 초과한다. 섕크는 제1 벽 및 대향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서, 체결구는 밀봉 보디가 그 안으로 연장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의 중심 부분은 밀봉 보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보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의 중심 부분은 밀봉 보디의 적어도 두 개의 표면과 직접 평면 접촉할 수 있다. 밀봉 보디의 적어도 두 개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체결구와 어떠한 접촉도 없을 수 있다. 체결구(예를 들면, 체결구의 섕크)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공동 벽의 개구를 둘러쌀 수 있는 공동 벽과 결합할 수 있다. 날개는 체결구의 섕크를 따라서 균등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날개는 체결구의 일 표면을 따라서, 체결구의 두 표면을 따라서, 또는 체결구의 셋 이상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밀봉 보디가 섕크를 따라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 근처에 배치되도록 밀봉 보디의 일부가 중심 부분의 보이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보이드 내에 위치하는 밀봉 보디 부분의 폭은 보이드 내에 위치하지 않는 밀봉 보디의 임의의 부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밀봉 보디의 에지(말단 에지일 수 있음)는 체결구의 하나 이상의 날개에 거의 평행할 수 있다.
체결구의 중심 부분 내의 보이드는 섕크의 제1 벽 및 대향 제2 벽과 접촉하는 브릿지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브릿지 부분은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브릿지 부분은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부분은 체결구와 동일한 강성 재료의 체결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부분은 밀봉 보디와 체결구 사이에 기계적 인터로크를 생성하도록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형성 중에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체결구 부분을 강성 재료로 압출하는 단계 및 밀봉 보디 부분을 비강성 팽창성 재료로 체결구 부분 상에 압출하여 단일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체결구는 보이드를 갖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는 압출 공정 중에 보이드 내에 수용된다. 밀봉 보디는 밀봉 보디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섕크 부분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도록 밀봉 보디가 체결구의 섕크 부분의 말단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구 주위에 압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체결구 부분을 강성 재료로 몰딩하는 단계 및 밀봉 보디 부분을 비강성 팽창성 재료로 체결구 부분 상에 몰딩하여 단일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는 보이드를 갖는 중심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밀봉 보디의 팽창성 재료는 몰딩 공정 중에 보이드 내에 수용된다. 밀봉 보디는 체결구 주위에 몰딩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밀봉 보디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섕크 부분의 직경과 거의 유사하도록 밀봉 보디가 체결구의 섕크 부분의 말단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구 주위에 몰딩될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또한,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의 외표면을 포함하는 접착제 층을 구비할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가변 길이를 갖는 복수의 측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일부 측부의 길이는 다른 측부의 길이보다 상당히 길다.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 절취부, 또는 양자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재료는 또한,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076831호 및 제2005/026039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필름 층을 구비할 수 있다. 필름 층은 터치 시에 점착성인 재료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름 층은 차량 구조물에 대한 재료 도포 이전에 재료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름은 구조물에 접착될 재료의 점착성 표면을 드러낼 것이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의 크기는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가 설치 시에 통과하는 개구의 크기에 종속될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두께는 적어도 약 0.1mm 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두께는 약 50mm 미만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두께는 약 0.5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두께는 약 10mm 미만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두께는 약 3mm 내지 약 8mm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의 길이는 공동을 충분히 채우는데 필요한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팽창성 밀봉 보디의 길이는 적어도 약 5mm, 적어도 약 20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mm 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를 개구를 통해서(및 경우에 따라서는 공동 내에) 배치한 후, 팽창성 재료는 소정의 조건 세트에 따라서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레벨의 열에 대한 노출은 팽창성 재료의 팽창을 초래할 수 있다. 팽창성 재료의 체적 팽창은 특정 공동의 밀봉 및/또는 차폐 필요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적어도 약 100% 팽창할 수 있다. 팽창성 재료는 약 2,000% 미만 팽창할 수 있다. 팽창성 재료는 적어도 약 500%, 적어도 약 1,000% 또는 그 이상 팽창할 수 있다. 팽창성 재료는 약 1,000% 미만 또는 심지어 약 500% 미만 팽창할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는 일반적으로 터치 시에 건조하거나 점착성일 수 있으며 소정 패턴, 배치, 또는 두께의 임의의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 용으로 다른 가열-활성화(heat-activated) 재료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한 가열 활성화 재료는 팽창성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이고, 바람직하게는 발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에폭시 수지, 아세테이트(예를 들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예를 들면,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에폭시/엘라스토머 부가물, 및 하나 이상의 충전재(예를 들면, 클레이 충전재, 및/또는 나노입자-함유 충전재)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고분자 제제를 갖는 비교적 높은 팽창 발포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열팽창성 재료는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7,313,865호; 제7,125,461호; 및 제7,199,1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한없이, 상기 발포체는 또한 알파-올레핀을 가질 수 있는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terpolymer)를 구비하는, EVA/고무 기반 재료일 수 있다.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로서, 폴리머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상이한 모노머, 즉 유사 분자와 링크될 수 있는 높은 화학 반응성을 갖는 소분자로 구성된다. 적합한 팽창성 재료는 L&L Products, Inc.로부터 상표명 L7220, L2821, L1066, L205, L2010, L2105, L2108A, L2806, L2811, L4200, L4141, L4161, L4315, L5510, L5520, L5540, L5600, L5601, L7102 및 L7104로 입수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팽창성 밀봉 보디는 다이컷 재료일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 용으로 복수의 차폐 또는 밀봉 발포체도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발포체는, 적절한 성분(통상 발포 경화제)과 혼합될 때 열 인가 시에 또는 특정 조건의 발생 시에 확실하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팽창 및 경화될 하나 이상의 에틸렌-기반 폴리머와 같은 폴리머 기반 재료를 구비한다. 열-활성화 재료에 대한 화학적 관점에서, 발포체는 대개 초기에는 경화 전에 유동성 재료로서 처리되며, 경화되면 이 재료는 통상 가교-결합되어 추가 유동할 수 없게 될 것이다.
팽창성 밀봉 보디는, 선택된 재료가 가열-활성화되거나 아니면 주위 조건(예를 들면, 수분, 압력, 시간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선택된 적용을 위한 적절한 조건 하에서 경화되는 경우에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하나는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6,131,897호에 개시된 에폭시 기반 수지이다. 다른 가능한 일부 재료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알파-올레핀, 페놀/포름알데히드 재료, 페녹시 재료, 및 폴리우레탄 재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 형태를 갖는 폴리올레핀 재료, 공중합체, 및 삼원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원용되는 미국 특허 제5,766,719호; 제5,755,486호; 제5,575,526호; 및 제5,932,68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추가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가 가열 활성화 재료를 포함하는 적용에서, 재료의 선택 및 형성과 관련된 중요한 고려사항은 재료가 경화되는 온도이며, 팽창 가능한 경우에는 팽창의 온도이다. 통상, 재료는, 재료가 예를 들면 코팅(예를 들면, e-코팅, 페인트 또는 클리어코팅) 경화 단계 중에 고온에서 또는 높은 인가된 에너지 레벨에서 자동차 구조물과 함께 처리될 때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맞닥뜨리는 것과 같은 높은 처리 온도에서 반응(경화, 팽창 또는 둘 다)된다. 자동차 조립 작업 시에 맞닥뜨리는 온도는 보디 샵 적용(예를 들면, e-코팅)의 경우에 약 148.89℃ 내지 204.44℃(약 300℉ 내지 4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페인트 샵 적용의 경우에는 보통 약 93.33℃(약 200℉)이거나 약간 더 높다(예를 들면, 120℃ 내지 150℃).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통합 체결구를 거쳐서 공동 벽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트리-체결구, 화살촉 체결구, 또는 나사식 체결구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또한 팽창성 밀봉 보디를 공동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료일 수 있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나일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복수의 재료층 또는 재료 형태를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체결구가 개구 내에 배치된 후 그 위에 배치되는 추가 체결 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부분 화살촉 체결구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미국 특허 제8,029,222호(본 명세서에 원용됨)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가요성 날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체결구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자동차 내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보트, 빌딩, 가구, 저장 컨테이너 등과 같은 다른 제조 물품 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팽창성 밀봉 보디 및 통합 체결구는 자동차의 보디 부품(예를 들면, 패널), 프레임 부품[예를 들면, 액압성형된(hydroformed) 튜브], 필러 구조물(예를 들면, A, B, C 또는 D-필러), 범퍼, 루프(roof), 칸막이벽(bulkhead), 계기판, 차륜 격납부(wheel well), 플로어 팬, 도어 빔, 헴 플랜지, 차량 벨트라인 용도, 도어, 문지방, 로커(rocker), 트렁크덮개, 후드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자동차의 다양한 부품을 밀봉 및/또는 차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료 및 형성 공정은 임의의 공동에 맞도록 쉽게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는 간단한 경량의 밀봉, 보강 및 차폐 장치를 생성한다. 통합 체결구는 밀봉 보디 상에 몰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듯이, 장치(예를 들면, 단일 구조물)(10)는 밀봉 보디(12) 및 통합 체결구(14)를 구비할 수 있다. 통합 체결구(14)는 캡 부분(16) 및 섕크 부분(18)을 구비할 수 있다. 통합 체결구는 복수의 날개(20)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 보디는 길이(l), 폭(w) 및 두께(t)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듯이, 통합 체결구(14)는 캡 부분(16) 및 섕크 부분(18)을 구비할 수 있다. 캡 부분의 직경(d1)은 섕크 부분의 임의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밀봉 보디(22)의 일부가 통합 체결구(24)의 일부와 직접 평면 접촉 상태에 놓이도록 밀봉 보디(12)는 통합 체결구(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거론되는 임의의 수치는 임의의 낮은 값과 임의의 높은 값 사이에 적어도 두 자릿수의 분리가 존재할 경우 한 자릿수 증분에서의 낮은 값부터 높은 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예를 들어 온도, 압력, 시간 등과 같은 프로세스 변수의 값 또는 성분의 양이 예를 들어 1 내지 90, 바람직하게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 30 내지 70인 것으로 기술될 경우, 15 내지 85, 22 내지 68, 43 내지 51, 30 내지 32 등과 같은 값들이 본 명세서에서 명확히 열거되도록 의도된다. 1 미만의 값에 있어서, 하나의 자릿수는 필요에 따라 0.0001, 0.001, 0.01 또는 0.1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들은 특정하게 의도된 것의 예에 불과하며, 열거되는 최저값과 최고값 사이의 수치의 가능한 모든 조합이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명확히 기술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알 수 있듯이,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parts by weight)"로 표시되는 양의 교시는 또한 중량 퍼센트로 표시되는 것과 동일한 범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최종 폴리머 블렌드 조성의 'x' 중량부"로 표시되는 범위의 표현은 또한 "최종 폴리머 블렌드 조성의 'x' 중량 퍼센트"의 동일한 열거된 양의 범위의 교시를 나타낸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범위는 양 종점 및 이들 종점 사이의 모든 숫자를 포함한다. 범위와 관련하여 "약" 또는 "대략"의 사용은 범위의 양 단부에 적용된다. 따라서, "약 20 내지 30"은 적어도 특정한 종점을 포괄하는, "약 20 내지 약 30"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특허 출원 및 공개를 포함하는 모든 논문 및 참조문헌의 내용은 원용된다. 조합을 기술하기 위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는 용어는 특정되는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 및 조합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러한 다른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를 포함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의 조합을 기술하는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는 용어의 사용은 또한, 필수적으로 그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도 있다(may)"의 사용은, 이 단어에 포함되는 임의의 기재된 속성이 선택적이도록 의도한다.
복수의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는 단일의 통합된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의 통합된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는 개별적인 복수의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로 분할될 수 있다.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를 기술하기 위한 관사 하나("a" 또는 "one")의 사용은 추가적인 요소, 성분, 부품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도록 의도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상기 설명을 숙독한 당업자에게는 제시된 예 이외의 많은 실시예뿐 아니라 많은 적용예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과 관련하여 결정되지 않아야 하고, 대신에 하기 청구범위 및 이러한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완전한 범위와 관련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특허 출원 및 공개를 포함하는 모든 논문 및 참조문헌의 내용은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지의 임의의 태양이 청구범위에서 생략되는 것은 이러한 요지의 배제가 아니며, 발명자가 이러한 요지를 개시된 발명의 요지의 부분으로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단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장치이며,
    상기 단일 구조물은
    복수의 외측면과 비강성 팽창성 재료를 포함하는 밀봉 보디; 및
    상기 밀봉 보디를 형성하는 재료와 상이한 강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보디와 통합되는 체결구로서, 상기 체결구에 인접한 밀봉 보디의 일부분의 팽창을 안내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보디는 어떠한 강성 재료도 없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섕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보디는 그 직경이 상기 섕크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상기 섕크의 말단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보디는 적어도 네 개의 표면을 구비하는 다각형인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밀봉 보디가 그 안으로 연장되는 중심 부분을 구비하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7006562A 2011-08-15 2012-08-15 푸시-핀 공동 밀봉재 KR102174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3623P 2011-08-15 2011-08-15
US61/523,623 2011-08-15
PCT/US2012/050901 WO2013025778A1 (en) 2011-08-15 2012-08-15 Push-pin cavity se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232A KR20140059232A (ko) 2014-05-15
KR102174628B1 true KR102174628B1 (ko) 2020-11-05

Family

ID=4675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562A KR102174628B1 (ko) 2011-08-15 2012-08-15 푸시-핀 공동 밀봉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90058B2 (ko)
EP (1) EP2745020A1 (ko)
KR (1) KR102174628B1 (ko)
CN (1) CN103827516B (ko)
BR (1) BR112014009107A2 (ko)
WO (1) WO2013025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0134B2 (en) * 2014-01-17 2016-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upling assembly
WO2017158143A1 (de) 2016-03-18 2017-09-21 Sika Technology Ag Dämmelement
EP3263425B1 (de) 2016-06-27 2020-08-12 Sika Technology AG Dämmelement
EP3486146B1 (de) * 2017-11-15 2021-04-14 Sika Technology Ag Vorrichtung zur verstärkung und abdichtung eines strukturelementes
JP6998809B2 (ja) * 2018-03-26 2022-01-18 住友理工株式会社 ゴムストッ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0803A (en) 1990-04-23 1991-08-20 Cieslik David R Cavity sealing arrangement and method
WO2000055444A1 (en) 1999-03-16 2000-09-21 L & L Products, Inc. Structural reinforcements
US20040076831A1 (en) 2002-10-02 2004-04-22 L&L Products, Inc. Synthetic material and methods of forming and applying same
US20060272884A1 (en) 2005-06-07 2006-12-07 L&L Products, Inc. Noise reduction member and system
US20100021267A1 (en) 2008-07-24 2010-01-28 Zephyros, Inc. Push-pin fastening system
US20100180410A1 (en) 2009-01-22 2010-07-22 Vishwanath Kalyanadurga Two-piec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083A (en) * 1971-11-30 1973-06-19 Zenhaeusern Heinrich Mounting support for climbing elements
DE4104818A1 (de) 1990-03-24 1991-09-26 Schellenberg Alfred Gmbh Vorrichtung zum randseitigen befestigen einer isolierfolie oder eines insekten-schutzgitters an einem fenster- oder tuerrahmen
US5932680A (en) 1993-11-16 1999-08-03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oisture-curing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
EP0679501A1 (en) 1994-03-14 1995-11-02 YMOS AKTIENGESELLSCHAFT Industrieprodukte Composite material with foamable core
US5575526A (en) 1994-05-19 1996-11-19 Novamax Technologies, Inc. Composite laminate beam for radiator support
US5755486A (en) 1995-05-23 1998-05-26 Novamax Technologies Holdings, Inc. Composite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JP4229344B2 (ja) 1997-12-03 2009-02-25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発泡充填部材を充填する車体筒状空洞部の構造
US5907891A (en) * 1998-02-24 1999-06-01 Illinois Tool Works Inc. Tree fastener with split wings
DE19835704B4 (de) 1998-08-07 2004-05-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karosserie
DE19855139A1 (de) * 1998-11-30 2000-05-31 Fischer Artur Werke Gmbh Spreizdübel
US6189953B1 (en) 1999-01-25 2001-02-20 Henkel Corporation Reinforced structural assembly
JP4657419B2 (ja) * 2000-05-22 2011-03-2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US6719513B1 (en) * 2000-09-19 2004-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verse bow retention push pin
US6435793B1 (en) * 2001-02-07 2002-08-20 Illinois Tool Works Inc. Body bolt absorber assembly
JP2002347058A (ja) 2001-05-29 2002-12-04 Neoex Lab Inc 中空パネルの充填具
US20040011282A1 (en) 2002-07-18 2004-01-22 Myers Robert 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ysical barriers
JP2004116722A (ja) * 2002-09-27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US7313865B2 (en) 2003-01-28 2008-01-01 Zephyros, Inc. Process of forming a baffling, sealing or reinforcement member with thermoset carrier member
JP4006344B2 (ja) 2003-01-31 2007-11-14 林シーカ・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発泡性充填材の配設構造、および前記発泡性充填材の係合構造
US7125461B2 (en) 2003-05-07 2006-10-24 L & L Products, Inc. Activatable material for sealing, baffling or reinforcing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7199165B2 (en) 2003-06-26 2007-04-03 L & L Products, Inc. Expandable material
EP1591224A1 (de) 2004-04-27 2005-11-02 Sika Technology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alldämpfung in Hohlräumen von Fahrzeugen
US20050260399A1 (en) 2004-05-19 2005-11-24 L&L Products, Inc. Synthetic material having selective expansion characteristics
JP4451273B2 (ja) 2004-10-28 2010-04-14 イイダ産業株式会社 発泡充填具
US8087916B2 (en) 2005-12-15 2012-01-03 Cemedine Henkel Co., Ltd. Holding jig for a foamable material
US7427181B2 (en) * 2006-07-18 2008-09-23 Skf Usa Inc. Composite drain plug
US7841647B2 (en) 2006-11-15 2010-11-30 Sika Technology Ag Baffle assembly
EP1932648A1 (en) 2006-12-15 2008-06-18 Sika Technology AG Structural reinforcement material, insert, and reinforced cavity comprising same
WO2008080415A1 (en) 2006-12-28 2008-07-10 Henkel Ag & Co. Kgaa Acoustic baffle
DE202007003635U1 (de) * 2007-03-12 2007-06-21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Dübel zum Einsetzen in eine Öffnung einer Wand, insbesondere an einer Fahrzeugkarosserie
KR20100051809A (ko) 2007-08-16 2010-05-18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음향 배플
US8998688B2 (en) 2007-10-24 2015-04-07 Sika Technology Ag Exhauster baffle
US8293360B2 (en) 2008-02-27 2012-10-23 Sika Technology Ag Baffle
KR20110004363A (ko) 2008-03-17 2011-01-13 제피로스, 인크. 통합식 체결구를 구비한 삽입체
US8388037B2 (en) 2008-04-04 2013-03-05 Sika Technology Ag Expandable barrier
ATE535432T1 (de) 2008-08-05 2011-12-15 Sika Technology Ag Schalldämpfendes schottteil
JP5514833B2 (ja) 2008-12-16 2014-06-04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向上した音響減衰特性を有するバフル
US8545956B2 (en) 2010-04-26 2013-10-01 Sika Technology Ag Expandable insert with flexible substrate
EP2390077A1 (en) 2010-05-25 2011-11-30 Sika Technology AG Overmolding extruded profiles
JP5897556B2 (ja) 2010-05-28 2016-03-30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Henkel AG & Co.KGaA 音響バッフル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方法
US8444214B2 (en) 2011-09-06 2013-05-21 Sika Technology Ag Baffle with self-closing flap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0803A (en) 1990-04-23 1991-08-20 Cieslik David R Cavity sealing arrangement and method
WO2000055444A1 (en) 1999-03-16 2000-09-21 L & L Products, Inc. Structural reinforcements
US20040076831A1 (en) 2002-10-02 2004-04-22 L&L Products, Inc. Synthetic material and methods of forming and applying same
US20060272884A1 (en) 2005-06-07 2006-12-07 L&L Products, Inc. Noise reduction member and system
US20100021267A1 (en) 2008-07-24 2010-01-28 Zephyros, Inc. Push-pin fastening system
US20100180410A1 (en) 2009-01-22 2010-07-22 Vishwanath Kalyanadurga Two-piece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232A (ko) 2014-05-15
CN103827516A (zh) 2014-05-28
BR112014009107A2 (pt) 2017-06-13
WO2013025778A1 (en) 2013-02-21
CN103827516B (zh) 2017-05-10
EP2745020A1 (en) 2014-06-25
US8790058B2 (en) 2014-07-29
US20130209197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3067B2 (en) Structural adhesive assemblies
US9776368B2 (en) Partial-filled baffle
US8926780B2 (en) Cavity sealing assembly
KR102174628B1 (ko) 푸시-핀 공동 밀봉재
US8918983B2 (en) Integrated fastening system
US11198236B2 (en) Multi-shot injection molded method and product
MX2013013263A (es) Dispositivo de conector de panel.
US11654976B2 (en) Anti-flutter baffle
US20180066692A1 (en) Fastening and sealing devices
US20160046327A1 (en) Anti-deformation spring baffle
US20170050412A1 (en) Reinforcement and Sealing System
US20170114899A1 (en) Elastic Integrated Molded Baffler and Sealer
US20180363720A1 (en) Sealed Spring Devices
WO2016160689A1 (en) Hinge pin and sea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