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08B1 -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08B1
KR102174508B1 KR1020190060906A KR20190060906A KR102174508B1 KR 102174508 B1 KR102174508 B1 KR 102174508B1 KR 1020190060906 A KR1020190060906 A KR 1020190060906A KR 20190060906 A KR20190060906 A KR 20190060906A KR 102174508 B1 KR102174508 B1 KR 10217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v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uni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Original Assignee
김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성 filed Critical 김희성
Priority to KR102019006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지원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에 내장되며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과,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위치, 시간정보, 속도정보, 거리정보 등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제공 가능한 음성지원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A GPS voice assisted bone conduction headset for running available by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러닝용 음성지원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시간, 위치 등의 정보를 안내하여, 사용자의 달리기 및 마라톤을 보조할 수 있는, 러닝용 음성지원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의 러닝을 보조하는 아이템으로 GPS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폰, 시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GPS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러닝을 보조하는 휴대폰의 경우,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의복에 착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GPS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러닝을 보조하는 시계의 경우, 휴대폰 보다는 가볍고 착용이 쉬운 장점이 있지만, 평소 시계를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 위치가 사용자의 귀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에 러닝 보조를 위한 위치, 속도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GPS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폰 또는 시계 형태의 러닝 보조 장치의 경우, 무겁고 착용이 불편하며 정보 전달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널리 상용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 마라토너의 경우 위와 같은 불편한 종래의 러닝 보조 아이템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휠체어마라톤을 포함한 시각장애인 마라토너들은 혼자서 뛸 수 없기에 일반인 가이드 러너와 서로 팔을 리본으로 묶고 같이 달리게 된다.
가이드 러너는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 러너에게 수시로 자신이 보고 있는 정보들, 즉 현재 뛴 거리와 속도를 수시로 알려주는데, 이때 엄청난 피로도가 쌓이게 되며, 시각장애인 러너는 자신의 현재 기록을 계속 물어볼 때 미안함을 갖고, 가이드 러너 또한 달리면서 피로도가 계속 쌓여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형태의 러닝 보조 장치로서, 자신의 이동거리와 이동속도를 계속해서 음성으로 지원받음으로써 일반인 뿐 아니라 시각장애인 선수들이 스스로 페이스 조절을 하면서 기록향상에 집중할 수 있는 음성지원 헤드셋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0-0097455호(명칭: 휴대 단말의 GPS를 이용한 트레이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12.04.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종래의 러닝 보조 장치를 착용하면서 느낄 수 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러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인 뿐 아니라 시각 장애인의 러닝을 보조할 수 있으며 일반인 또는 시각 장애인이 쉽게 조작하여 속도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 거리정보 등을 음성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음성지원이 가능한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러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러닝용 음성지원 헤드셋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외부 하우징(100); 상기 외부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는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이동정보 파악부(210)와,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동정보 저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는 골전도 스피커(310)와,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에 신호를 전달하는 골전도 구동모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스마트기기(1)와 통신하는 통신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스마트기기(1)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자 이동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저장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상기 출력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상기 제어부(240)에 기준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250)와, 입력되는 기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기기(1)로 입력하는 기준 데이터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지원 헤드셋은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복수개의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와 저장된 음성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동정보가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이동정보는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이동거리, 현재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의 남은거리, 현재 이동속도,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평균 이동속도,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이동시간, 현재시간 및 현재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사용자에게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시간, 위치정보 등을 음성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페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의 러닝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이 간편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 가능하므로, 통신하는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노래, 학습 데이터 등을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전달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러닝을 하며 지루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의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과 출력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의 외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과 출력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의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과 스마트기기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에 스위치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에 음성정보 수신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지원 헤드셋(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1000)의 외부 하우징(1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자 이동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1000)은 사용자(3)의 귀에 착용되는 외부 하우징(100)과 상기 외부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는 출력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하우징(100)은 사용자의 귀에 끼워지는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 옆 부분을 둘러싸는 측면부(120)와, 상기 측면부(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을 둘러싸는 후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상기 출력부(300)가 위치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부(110) 또는 측면부(120)에 골전도 스피커(310)가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3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이동정보가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이동정보 파악부(210)와,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동정보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GPS를 기반으로 위성(2)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 거리정보, 속도정보, 시간정보 등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이를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3)에게 음성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러닝 도중 자신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을 실시간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러닝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는 상기 이동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향후 사용자가 저장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검토함으로써 러닝 시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러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00)는 골전도 스피커(310)와,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에 신호를 전달하는 골전도 구동모듈(320)을 포함하며, 주변이 시끄러운 상황일지라도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도 3).
상세히 설명하면, PCB 기판(201) 상에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골전도 구동모듈(320)과, 골전도 스피커(310)가 위치되어,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한 정보를, 상기 골전도 구동모듈(320)에서 특정 전기신호로 바꾼 후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로 전달하며, 골전도 스피커(310)는 수신된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는 음파를 공기와 같은 대기의 매질을 거치지 않고 두개골로 직접 음파를 전달하는 방식이므로,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는 사용자의 머리와 직접 접하는 상기 전면부(110) 또는 측면부(12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권장하며, 이러한 골전도 스피커(310)는 두개골로 음파를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주변이 시끄러운 상황에서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 가능한 장점이 있음은 물론이다.
즉, 러닝, 마라톤 대회와 같이 주변에서 일정 이상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일반인 뿐 아니라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높은 음질로 정보를 전달 가능한 것이다.
상기 출력부(300)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자 이동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저장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상기 출력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1000)은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상기 출력부(300)에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자 이동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이동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특정시간, 특정거리 또는 특정위치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240)에 자신의 이동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특정시간, 특정위치, 특정거리 등의 기준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러닝을 통하여 저장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즉 특정시간, 특정위치 또는 특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이동정보는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이동거리, 현재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의 남은거리, 현재 이동속도,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평균 이동속도, 출발지점에서 현재위치까지의 이동시간, 현재 이동속도로 이동 시 현재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현재시간, 현재위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상기 제어부(240)에 기준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250)와, 입력되는 기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24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를 조절하여, 근거리 달리기, 장거리 마라톤, 조깅, 보행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적합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부(250) 및 스크린부(260)는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부(110), 측면부(120) 또는 후면부(130)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250)는 상기 스크린부(260)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준 데이터 목록을 조절하며, 선택된 기준 데이터 목록의 수치를 조절하는 수치 조절부와, 스크린부(260)에 디스플레이 되는 기준 데이터 목록을 선택하는 목록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수치 조절부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기준 데이터 목록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데이터 목록이 상기 스크린부(260)에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목록 선택부로 기준 데이터 목록을 선택한 후, 상기 수치 조절부로 기준 데이터 목록의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240)에 기준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스마트기기(1)와 통신하는 통신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30)는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스마트기기(1)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제어부(240)와 상기 스마트기기(1)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를 통해 제어부(24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1)는 상기 제어부(240)와 서로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부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1)는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제어부(240)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240)는 스마트기기(1)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학습 데이터 등을 전송받은 후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이동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동정보를 스마트기기(1)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검토함으로써 러닝 시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러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지원 헤드셋은 외부 하우징(100)의 전면부(110) 또는 측면부(120)에 스위치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상기 스위치부(270)는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을 구동시키는 구동조절 스위치(271)와, 상기 출력부(3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 스위치(272)와, 클릭 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을 상기 출력부(300)에서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하는 실시간 확인 스위치(273)로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구동조절 스위치(271)를 약 3초간 누르고 있으면, LED가 점등되며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이 구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272)를 구성하는 볼륨 상승버튼(272-1)과, 볼륨 하락버튼(272-2)을 클릭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의 음량을 적합한 음량으로 조절하며,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 정보를 즉시 확인하고 싶을 시 상기 실시간 확인 스위치(273)를 클릭하면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이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가 상기 구동조절 스위치(271)를 눌러 구동 시, 사용자가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을 구동한 위치에서 지정한 임의의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위치, 이동거리, 이동속도 및 이동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1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정보(4)를 수신받는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에서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에 복수개의 음성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와 저장된 음성정보가 일치할 시, 입력된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동정보가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입력부(250),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1)를 통하여 저장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인의 이동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시,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통해 음성으로 지시를 내려 실시간으로 자신의 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외부에 발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라톤과 같이 장시간 진행되는 경기의 경우 경기 진행 도중 어두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어두운 환경에서 점멸하는 상기 발광부를 형성하여, 선수들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외부에 통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화부는 통화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와 통화가 필요한 경우 통화버튼을 클릭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인접한 음성지원 헤드셋과 통신하는 비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각장애인의 경우 인접한 타 러너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지정된 코스를 달리는 마라톤, 러닝 등의 운동 시 타 참가자와 부딪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GPS와 같이 일정 이상의 위치 측정 오차 값을 가지는 위치 측정 기술로는 방지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음성지원 헤드셋에 러너가 서로 부딪히기 전 확인할 수 있는 약 3m 정도의 통신 영역을 가지는 비콘을 설치하여, 타 러너가 3m 이내로 진입 시 비콘에서 파악된 타 러너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서로 다른 사용자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지원 헤드셋은 외부 충전 케이블과 결합되는 충전단자(281)와, 상기 충전단자(281)에서 전달되는 전력이 충전되는 배터리(282)와, 상기 충전단자(281)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282)로 전달하며 상기 배터리(282)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충전확인부(283)로 구성되는 배터리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러닝 또는 마라톤과 같은 야외 활동 시 착용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상기 출력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282)와, 외부 케이블과 결합되어 전기가 입력되는 충전단자(281)와, 상기 충전단자로 입력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충전확인부(283)로 구성되는 배터리부(280)를 결합시켜, 야외에서 구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배터리부(280),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 및 출력부(300)는 하나의 PCB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PCB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1000)은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상기 출력부(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에너지를 수집하는 에너지 수집부와, 상기 에너지 수집부에서 수집된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하베스팅 유닛과, 상기 하베스팅 유닛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음성지원 헤드셋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장시간 사용 가능해야 한다.
이때, 단순히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만으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과 상기 출력부(300)에 동력을 제공할 경우,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가 단시간에 소모되어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너지 수집부에서 상황에 적합한 에너지를 수집하고, 상기 하베스팅 유닛에서 수집된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로 저장함으로써, 장치가 보다 장시간 작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에너지 수집부는 접촉하는 사용자의 생체 에너지,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 실내 온도가 올라가거나 떨어지며 발생하는 온도차를 이용한 열 에너지, 실내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전자파 에너지, 광 에너지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하베스팅 유닛은 입력되는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소자, 열전소자, 태양광 모듈, 전자파 변환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 스마트기기 2 : 위성
3 : 사용자 4 : 음성정보
100 : 외부 하우징 110 : 전면부
120 : 측면부 130 : 후면부
200 :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 210 : 이동정보 파악부
220 : 이동정보 저장부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250 : 데이터 입력부
260 : 스크린부 270 : 스위치부
280 : 배터리부
300 : 출력부 310 : 골전도 스피커
320 : 골전도 구동모듈 400 : 음성정보 수신부

Claims (7)

  1.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외부 하우징(100);
    상기 외부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 거리정보, 속도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는 출력부(300); 및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포함하는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는 이동정보 파악부(210)와,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가 저장되는 이동정보 저장부(220)와, 스마트기기(1)와 통신하는 통신부(230)와,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고, 저장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상기 출력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40)와, 상기 제어부(240)에 저장되는 기준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250)와, 입력되는 기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스크린부(26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러닝을 통하여 저장된 기준 데이터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하며,
    상기 출력부(300)는 골전도 스피커(310)와,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310)에 신호를 전달하는 골전도 구동모듈(32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은
    상기 외부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 파악 모듈(200)을 구동시키는 구동조절 스위치(271)와, 상기 출력부(3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 스위치(272)와, 클릭 시 상기 이동정보 파악부(210)에서 파악된 사용자 이동정보를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하는 실시간 확인 스위치(273)로 구성되는 스위치부(27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동조절 스위치(271)를 눌러 구동 시, 상기 실시간 확인 스위치(273)를 클릭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사용자 이동정보를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0)는 복수개의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음성정보 수신부(4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와 저장된 음성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동정보가 상기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KR1020190060906A 2019-05-23 2019-05-23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KR10217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06A KR102174508B1 (ko) 2019-05-23 2019-05-23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06A KR102174508B1 (ko) 2019-05-23 2019-05-23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08B1 true KR102174508B1 (ko) 2020-11-04

Family

ID=735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06A KR102174508B1 (ko) 2019-05-23 2019-05-23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01Y1 (ko) * 2005-05-25 2005-08-09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어셋
KR20100097455A (ko)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한국큐빅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패널의 제조방법
KR2011004948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이랜텍 헤드셋형 네비게이션
KR101496661B1 (ko) * 2013-10-08 2015-02-27 유한회사 청텍 다기능 스포츠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01Y1 (ko) * 2005-05-25 2005-08-09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어셋
KR20100097455A (ko)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한국큐빅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패널의 제조방법
KR2011004948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이랜텍 헤드셋형 네비게이션
KR101496661B1 (ko) * 2013-10-08 2015-02-27 유한회사 청텍 다기능 스포츠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8094A1 (en) Eyewear supporting embedded electronic components for audio support
US10205814B2 (en) Wireless earpiece with walkie-talkie functionality
US6830344B2 (en) Wearable projector and intelligent clothing
CN110546848B (zh) 充电控制装置及充电单元
CN202069017U (zh) 一种导盲鞋系统
JP5853975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2505411A (ja) 足部動力はき物埋め込みセンサートランシーバー
WO2022048573A1 (zh) 挥杆动作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CN107801154A (zh) 移动装置提醒系统、管理系统以及对象管理方法
US20080085735A1 (en) Method for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search an object and rel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68680B2 (en) Connected lamp and lamp control method
KR102174508B1 (ko) 시각장애인까지 사용이 가능한 러닝용 gps 음성지원 골전도 헤드셋
KR102152675B1 (ko) 러닝용 음성지원 이어셋
CN108158792A (zh) 一种智能导盲衣及控制方法
US11107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user mobility monitoring
US11444480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O2009067837A1 (en) Electronic assistant for water sports
US10897664B2 (en) Voice assisted sunglasses for running of the blind
CN111505838B (zh) 运动眼镜、运动眼镜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1539590B1 (ko) 수중활동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이어셋
EP3079784A1 (en) Golf accessory and system including same
CN111773652A (zh) 低功耗多功能穿戴式智能设备及其数据采集方法
CN114073496A (zh) 脉搏波测量装置及其脉搏波测量方法、系统和介质
CN203312424U (zh) 充电式内置无线新型电池
JP2004205483A (ja) 電子メトロノームおよびメトロノーム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