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49B1 -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949B1
KR102173949B1 KR1020190056106A KR20190056106A KR102173949B1 KR 102173949 B1 KR102173949 B1 KR 102173949B1 KR 1020190056106 A KR1020190056106 A KR 1020190056106A KR 20190056106 A KR20190056106 A KR 20190056106A KR 102173949 B1 KR102173949 B1 KR 10217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oken
brain stimulation
time
token
perso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051A (ko
Inventor
김성훈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riority to KR102019005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9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은 개인용 통신장치의 통신부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서버 장치로부터 통신부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가 인접한 두뇌자극장치를 식별하여 저장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 또는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통신부는 타임 토큰에 저장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두뇌자극장치 또는 서버 장치로부터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제어부가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타임 토큰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METHOD OF CONFIGURING USAGE AUTHORIZATION OF BRAIN STIMULATION AND DEVICE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뇌자극장치를 사용자 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권한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는 인체 머리의 내부 기관으로 신경계의 최고 중추기관이며, 대뇌, 소뇌, 중간뇌, 다리뇌, 연수로 나뉘어진다. 또한, 뇌는 뉴런 활동 준위의 합이 뇌의 표피에서 측정되는 신호인 뇌파를 발생한다.
뇌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먼저 두피에 전극을 구비한 패드를 장착하여 전극으로부터 수신되는 뇌파를 측정해 검사하는 뇌파(EEG) 검사, 또는, 뇌를 방사선이나 초음파를 사용하여 여러 각도에서 단층 촬영해 검사하는 CT 검사, 자기공명에 의해 뇌를 촬영하는 MRI 검사 등이 있다.
다양한 개념들이 뇌 구조들의 신경 자극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뇌를 자극시켜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두뇌자극술은 크게 침습식 두뇌자극술(invasive brain stimulation)과 비침습식 두뇌자극술(non-invasive brain stimulation)로 구분되며, 침습식 두뇌자극술은 수술을 통해 전극을 뇌에 침투시키고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의료인의 시술이 필요하다.
반면, 비침습식 두뇌자극술은 사용자의 두개골 내부로 전극을 침습하지 않고 뇌를 자극하여 소정의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전기 또는 자기를 사용하여 뇌를 자극하는 방법이다. 비침습식 두뇌자극술은 의료인의 시술 없이도 자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침습식 두뇌자극술 보다 용이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비침습식 두뇌자극술 역시 두뇌에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사용의 안전성을 필요로 한다. 사용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사용자 1인 일 1회, 일 2회 등의 방법으로 기간에 따른 두뇌자극술의 사용횟수에 제한을 두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하나의 두뇌자극장치를 둘 이상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개별 사용자에 따른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시술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사용횟수나 권한을 설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두뇌 자극 장치 사용을 위한 권한 설정 방안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들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은 타임 토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미리 사용자의 통신 장치에 할당하여 다수가 사용하는 두뇌자극장치를 사용자 식별을 통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은 개인용 통신장치의 통신부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서버 장치로부터 통신부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가 인접한 두뇌자극장치를 식별하여 저장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 또는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통신부는 타임 토큰에 저장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두뇌자극장치 또는 서버 장치로부터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제어부가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타임 토큰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은 서버 장치의 통신부가 개인용 통신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 장치의 제어부는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서버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는 타임 토큰을 개인용 통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통신부는 개인용 통신장치 또는 두뇌자극장치로부터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제어부는 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두뇌자극장치로부터 타임 토큰에 정의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이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는 두뇌에 전기적 자극 또는 자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두뇌자극부, 서버 장치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메시지 및 타임 토큰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 및 모드에 따라 두뇌자극부를 제어하며,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만큼 동작한 후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통신부가 메시지를 서버 장치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타임 토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개인용 통신장치, 그리고 두뇌자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사용 권한과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두뇌 자극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서버 장치(300) 사이에 권한을 할당받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의 동작 후 사용 정보가 업데이트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알림 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알림 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스마트폰,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 혹은 태블릿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권한을 설정하고 전기 자극 장치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과 설정된 권한에 따라 전기자극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두뇌 자극 장치가 채용하는 구체적인 두뇌자극술의 예시로는 심부 전기 자극법(deep electrical stimulation), 경두개 자기 자극법(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경두개 전기 자극법(TES: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경두개 직류 자극법(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및 경두개 랜덤 노이즈 자극법(tRNS: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자극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두뇌 자극 방법을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두뇌 자극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성요소로는 개인용 통신장치(100), 두뇌자극장치(200), 그리고 이들과 통신하는 서버 장치(300)로 구성된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외부의 서버 장치(300) 또는 두뇌자극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지하거나 혹은 개인적으로 아이디를 입력하여 로그인 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두뇌자극장치(200)는 사용자가 장착하여 두뇌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전술한 경두개 직류 자극법을 적용하는 tDCS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두뇌자극술이 적용된 장치들이 두뇌자극장치(200)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에는 별도의 통신기능을 구현하는 통신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서버 장치(300) 사이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 장치(30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두뇌자극장치(200)와도 통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와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술한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한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공유한다.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한 권한을 구성하는 정보로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userid)와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시간과 횟수, 혹은 사용 가능한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타임 토큰(time tok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임 토큰이란 사용 권한이 설정된 파일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식별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사용자가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버 장치(300)에 로그인 하거나 인증 과정을 진행한 후 사용자의 식별정보(userid)가 통신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타임 토큰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과 사용가능한 기간, 혹은 사용기간에 대응하여 비용을 결제하거나, 미리 할당받은 자극 사용 쿠폰을 등록하거나, 의료진으로부터 발행된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에 대한 처방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서버 장치(300) 사이에 권한을 할당받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서버 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서버 장치(300)와 통신 및 처방을 위한 정보 등을 설정하는 과정은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서버 장치(300)에 사용자의 식별정보(userid)를 전송한다(S11). 서버 장치(300)는 수신한 사용자의 식별정보(userid)를 검색키로 사용하여 서버 장치(300)는 저장부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권한을 확인한다(S13). 사용 권한이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을 받을 권한이 있는지, 그리고 권한이 있다면 어떠한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서버 장치(300)가 데이터베이스를 일 실시예로 하는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보다 상세히, 사용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 가능한 기간 정보, 세부정보, 가격 등을 포함한다. 사용 가능한 기간 정보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해야 하는 일정한 기간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세부정보란 사용자가 사용할 두뇌자극장치(200)에 대한 식별정보, 두뇌자극장치(200)을 사용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 두뇌자극장치(200)에서 사용할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두뇌자극장치(200)의 위치 정보, 이용 시간 등 부가적인 정보도 세부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300)는 전술한 사용 정보, 즉 사용자에게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 정보를 전송한다(S15). S15에서 전송하는 사용 정보는 다수가 될 수 있는데, 기간 별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N개의 사용 정보(N > 0 인 자연수)가 S15에서 전송된다. 다만, 둘 이상의 사용 정보라 하여도 하나의 메시지 구조체(message structure) 내에 저장되어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수신한 사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S17). 이 때, 하나 이상의 사용 정보가 전송된 경우 시간적으로 우선하는 사용 정보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표시된 사용 정보 및 해당 사용 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가격(또는 포인트, 쿠폰 등)을 확인한 후,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이용하여 결제한다(S19). 그리고 결제한 정보는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된다(S21). 결제 정보에는 사용자가 결제한 사용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이용하지 않고 카드 결제 혹은 입금 등의 제3의 결제를 수행하고 이러한 결제 정보가 서버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3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전술한 사용 정보를 반영한 타임 토큰을 생성하고(S31),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며(S33), 이와 동시에 또는 시간적으로 이격된 시점에서 서버 장치(300)는 타임 토큰을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전송한다(S35). 이 과정에서 서버 장치(300)는 타임 토큰과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함께 전송하거나 혹은 타임 토큰만을 전송할 수 있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타임 토큰을 저장한다(S37).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타임 토큰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서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 장치(300)는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따라 기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통신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계정(account)이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1:1로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정 별로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 정보가 계정에 따라 사용 권한이 할당되므로, 계정 별로 사용할 수 있는 두뇌자극장치(200)를 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300)는 S15 단계에서 사용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사용 정보 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애플리케이션에 다수의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전술한 사용 정보는 로그인한 사용자 별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A, B, C라는 사람이 동일한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각각 상이한 계정(acc_A, acc_B, acc_C)으로 로그인 할 수 있다. 이는 가족들과 같이 주거 공동체 내에 태블릿 컴퓨터를 이용하되 각 사용자별로 계정이 생성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동일한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acc_A로 로그인한 경우, 서버 장치(300)에게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 "A"를 전송하고, "A"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결제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동일하게 acc_A로 로그인한 경우에만 수신한 "A"의 사용 정보와 결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사용 정보와 결제 정보가 개인용 통신 장치(100)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로그인 하지 않은 사용자의 사용 정보 및 결제 정보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없다. 즉, acc_A로 로그인한 경우 "A"의 사용 정보 및 결제 정보만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51은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이며, 해당 사용자에게 3개의 사용정보가 할당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usage_id는 사용정보의 식별정보이며, 개별 사용정보에 대해 할당된다. user_id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이다. start_date_time과 end_date_time은 사용자가 사용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이다. 의료진이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혹은 두뇌자극장치(200)의 과거 사용 기록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서버 장치(300)가 생성할 수 있다. 51에 지시되는 바와 같이,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machine_id는 사용자가 사용할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이다. 두뇌자극장치(200)가 다양한 종류인 경우, 혹은 다양한 위치에 있는 경우 서버 장치(300)가 해당하는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machine_id는 여러 대의 동일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종류를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타입의 두뇌자극장치 또는 B 타입의 두뇌자극장치가 machine_id에서 지시될 수 있다. 다수의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usage_min은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시간으로 10분/15분/20분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시간을 초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usage_mode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두뇌자극장치(200)의 특정한 모드를 의미한다. 모드는 전기 또는 자기 등의 세기, 주파수, 혹은 파장 등 사용자에 적합한 모드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축약된 의미를 가지는 기능 모드의 식별정보가 usage_mode에 저장될 수 있다. price는 해당 사용정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지불하는 경제적 대가에 대한 정보이다. 일 실시예로는 카드 결제 또는 계좌 이체되는 금액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미리 구매하거나 발행받은 쿠폰, 포인트 등의 종류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 52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제외된 것이며, 해당 사용자에게 3회 반복할 수 있는 하나의 사용정보가 할당됨을 보여준다. 51과 동일한 필드는 앞서 설명한 내용에 기반한다. usage_count는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횟수이며, 매회 20분(usage_min) 씩 alpha_2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52는 start_date_time과 end_date_time 사이에 3번을 모두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타임 토큰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일종의 튜플(tuple)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임 토큰은 사용자가 특정한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일 실시예로 도 3의 사용정보들(51, 52)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61 또는 62는 각각 도 4의 51 또는 52로 살펴본 사용정보에 대한 타임 토큰을 보여준다. 타임 토큰은 암호화되어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타임 토큰은 사용자의 식별정보(user_id)와 함께 개인용 통신장치(100) 및 서버 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소지하여 두뇌자극장치(200)로 접근할 경우 타임 토큰을 검증하고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타임 토큰과 사용자 아이디는 <user_id, time_token>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user_id, usage_id, machine_id와 결합하여 자극 상태 필드를 포함하여 서버에서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자극 상태 필드의 일 실시예는 자극 상태 표시 또는 자극 가능 시간(start_date_time, end_date_time), 또는 자극에 대응하는 인센티브(price), 등이 될 수 있다.
자극 상태의 표시는 도 4의 usage_min과 같이 자극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극이 완료된 경우 usage_min을 0으로 할당하여 자극 시술을 완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극 시간 카운트 다운은 분 단위 또는 초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price 필드와 같이 돈 또는 포인트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휴대하여 두뇌자극장치(200)로 접근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두뇌자극장치(200)를 머리에 장착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특정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개인이 휴대용으로 소장할 수도 있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두뇌자극장치(200)에 접근한 것을 확인하면 해당 두뇌자극장치(200)를 식별하고(S510),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앞서 저장한 타임 토큰을 확인한다(S511).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해당 두뇌자극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임 토큰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S513). 이 과정에서 사용자 식별정보 또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접근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도 함께 서버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서버 장치(300)는 전송된 타임 토큰이 유효한지를 확인하고(S515), 확인한 결과 타임 토큰이 유효한 경우, 사용하기로 예정된 두뇌자극장치(200)에게 타임 토큰을 전송한다(S520). 이때, 전송되는 타임 토큰은 두뇌자극장치(200)와 서버 장치(300) 사이에 약속된 암호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수신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타임 토큰에 정의된 세부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521). 예를 들어, 도 4의 usage005에 대응하는 타임 토큰이 S520에서 전송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20분간 alpha_2 모드로 동작한다. 동작 수행의 시작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시작할 수 있다.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중지 버튼을 누를 경우, 지금까지 동작된 시간과 전체 사용 시간에 따라 해당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미완료되었는지를 두뇌자극장치(200)가 판단할 수 있다.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세부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즉, 사용자의 두뇌에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이 종료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서버 장치(300)에게 해당 타임 토큰에서 지시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음을 통지한다(S523). 서버 장치(300)는 기저장되었던 타임 토큰의 동작 수행이 완료되었으므로 삭제하고(S525), 선택적으로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타임 토큰의 삭제를 지시한다(S527). 여기서 삭제란 타임 토큰을 개인용 통신장치(100)에서 제거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삭제란 더이상 개인용 통신장치(100)에서 타임 토큰을 사용할 수 없거나 만료되었을 나타내도록 타임 토큰의 값을 변경하거나 만료됨을 나타내기 위해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는 것은 해당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더 이상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지시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S529). 이후, 사용자는 다른 타임 토큰에 기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S520 단계와 달리, 두뇌자극장치(200)가 타임 토큰을 수신하지 못한다면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사용이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에 해당한다. 또는 사용자가 구매했던 타임 토큰에서 지시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종류 혹은 식별정보가 실제 사용자가 장착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종류 또는 식별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달리, 도 6에서는 두뇌자극장치(200)가 개인용 통신장치(100)로부터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이를 서버 장치(300)에게 전송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휴대하여 두뇌자극장치(200)로 접근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두뇌자극장치(200)를 머리에 장착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특정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개인이 휴대용으로 소장할 수도 있다.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두뇌자극장치(200)에 접근한 것을 확인하면 저장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로 전송한다(S610). 이때,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현재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수신한 타임 토큰이 사용에 적합한지를 검증한다(S611). 타임 토큰에 포함된 machine_id를 검증하거나 타임 토큰에 포함된 시간 정보들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두뇌자극장치(200)에서 1차적으로 검증된 타임 토큰을 서버 장치(300)로 전송한다(S613). 이 과정에서 사용자 식별정보 또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도 함께 서버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서버 장치(300)는 전송된 타임 토큰이 유효한지를 확인하고(S615), 확인한 결과 타임 토큰이 유효한 경우, 사용하기로 예정된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유효성이 확인되었음을 통지한다(S620). 통지하는 것은 통지하는 메시지(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통지 메시지에는 유효성이 확인된 타임 토큰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두뇌자극장치(200)와 서버 장치(300) 사이에 약속된 암호화 방식으로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유효성이 확인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타임 토큰에 정의된 세부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621). 예를 들어, 도 4의 usage005에 대응하는 타임 토큰의 유효성이 확인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20분간 alpha_2 모드로 동작한다.
동작 수행의 시작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시작할 수 있다.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중지 버튼을 누를 경우, 지금까지 동작된 시간과 전체 사용 시간에 따라 해당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미완료되었는지를 두뇌자극장치(200)가 판단할 수 있다.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세부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즉, 사용자의 두뇌에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이 종료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서버 장치(300)에게 해당 타임 토큰에서 지시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음을 통지한다(S623). 또한, 두뇌자극장치(20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도 해당 타임 토큰에서 지시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음을 통지한다(S624). 서버 장치(300) 및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수신된 통지에 따라서 동작 수행이 완료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S625, S626). 여기서 삭제란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는 것은 해당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더 이상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과정에서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두뇌자극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술 과정을 포함하여 두뇌자극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이 증가할 경우,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사용정보 또는 도 4의 타임 토큰에 따라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것을 독려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의 동작 후 사용 정보가 업데이트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51의 사용정보에서 usage005를 타임 토큰으로 생성하여 도 5 또는 도 6의 과정을 진행하여 user0001이라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한 이후에, 서버 장치(300)는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로, 앞서 사용된 사용 정보는 사용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한 usage005는 "완료" 라고 price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71과 같은 구성으로 사용정보가 서버 장치(300)에서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72와 같이 usage005를 사용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인센티브가 제공되어 가격이 조정될 수 있다. 앞서, 도 3의 51에서 usage006의 가격(price)가 25000에서 23000으로 변화하였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한 usage005는 "완료" 라고 price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73과 같이 usage005를 사용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후 사용할 사용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age006의 usage_mode가 alpha_1에서 alpha_2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usage005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서버 장치(300)가 두뇌자극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판독한 후,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usage_mode를 변경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거나 혹은 할당받은 사용정보를 정해진 기간에 두뇌자극장치(200)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알림 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인용 통신장치(100a)는 앞서 도 3의 51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시술 등을 의미하는 사용 기간의 종료 시점(end_date_time)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예를 들어 3일)에 근접한 경우, 시술을 진행할 것을 8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해당 사용정보(usage_id가 usage005)에 대해 결제를 하지 않은 경우 결제 버튼을 표시하여 결제 및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을 독려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종료 시점을 연장할 수 있도록 연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알림 메시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과 달리, 도 9는 사용자가 이미 해당 사용정보(usage_id가 usage005)의 가격을 지불한 경우, 즉 결제를 완효한 후에 타임 토큰이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저장되었으나, 사용 기간의 종료 시점(end_date_time)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예를 들어 3일)에 근접한 경우, 시술을 진행할 것을 91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해당 사용정보(usage_id가 usage005)에 대해 예약하지 않은 경우, 예약 버튼을 표시하여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을 독려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종료 시점을 연장할 수 있도록 연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통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300) 및 두뇌자극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타임 토큰을 송수신하며, 두뇌자극장치(200)를 타임 토큰의 사용권한에 적합하게 사용한 후에는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앞서 도 2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임 토큰을 저장하는 과정으로,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서버 장치(300)에게 송신하는 단계(S11), 서버 장치(300)로부터 통신부(110)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단계(S37)를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50)는 도 2의 S13 내지 S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서버 장치(300)에게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10)가 결제 정보를 서버 장치(300)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타임 토큰이 개인용 통신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된 후,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로 근접하여 이동하면, 통신부(110)는 인접한 두뇌자극장치(200)를 식별하여 저장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송신하거나(도 6의 S610) 또는 서버 장치(300)에게 송신한다(도 5의 S513).
서버 장치(30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두뇌자극장치(200)로부터 간접적으로 수신한 타임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 두뇌자극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두뇌자극장치(200)가 설정된 사용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한 후에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개인용 통신장치(100)의 통신부(110)는 타임 토큰에 저장된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두뇌자극장치(200) 또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5의 S527 또는 도 6의 S624).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타임 토큰을 삭제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도 5의 S529 또는 도 6의 S626).
앞서 도 2의 S11 내지 S37의 과정에서 통신부(110)는 서버 장치(300)로부터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도 2의 S15), 전술한 바와 같이 두뇌자극장치가 타임 토큰에 따라 동작한 후, 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사용 정보의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살펴보았다. 도 7의 화면 정보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71은 도 3의 51의 사용정보를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표시한 내용이다.
사용 정보의 변경은 사용 정보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다른 사용 정보의 결제 가격이 변경되거나, 또는 다른 사용 정보의 모드 또는 시간 등의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정보 혹은 타임 토큰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도 8 및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가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임 토큰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임 토큰의 종료 시점까지의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보다 짧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타임 토큰의 종료 시점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 장치(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제어부(350)는 직접 타임 토큰을 생성하거나, 혹은 타임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35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통신부(31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 및 두뇌자극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이를 송수신하며, 두뇌자극장치(200)가 타임 토큰의 사용권한에 적합하게 사용된 후에는 타임 토큰의 동작 수행의 완료를 통지받은 후,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시키는 메시지를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저장부(320)에 저장된 타임 토큰 역시 삭제하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이를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송신하는 과정으로, 통신부(31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개인용 통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1), 서버 장치(300)의 제어부(350) 또는 제어부(350)에 포함된 토큰 생성부(355)는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생성하고(도 2의 S31), 생성된 타임 토큰을 저장부(320)에 저장한다(도 2의 S33). 이후, 통신부(310)는 생성한 타임 토큰을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송신(도 2의 S35)하여 개인용 통신장치의 저장부(120)에 타임 토큰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350) 및 통신부(310)는 도 2의 S13 내지 S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통신장치(100)로부터 타임 토큰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정보는 서버 장치(300)와 개인용 통신장치(100) 사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송수신될 수 있으며, 서버 장치(300)가 일종의 결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가 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전송한 후에 해당 타임 토큰을 개인용 통신장치(100) 또는 두뇌자극장치(200)로부터 통신부(31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도 5 의 S513 또는 도 6의 S613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수신한 타임 토큰은 유효성을 확인한 후, 유효함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하거나(도 6의 S620),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이후 두뇌자극장치(200)는 타임 토큰에 정의된 시간과 모드에 따라 동작을 완료한다. 그리고 통신부(310)는 두뇌자극장치(200)로부터 타임 토큰에 정의된 두뇌자극장치의 사용이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5의 S523 및 도 6의 S623). 이는 타임 토큰이 설정한 사용 권한에 따른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이 종료한 것이므로, 더이상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타임 토큰을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킨다(도 5의 S525 및 도 6의 S625).
한편, 서버 장치(300)는 타임 토큰에 기반한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이 종료하면 이를 사용 정보에 반영하여 사용 정보를 변경하거나 업데이트 시키고, 이를 다시 개인용 통신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앞서 도 2의 S11 내지 S37의 과정에서 통신부(31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도 2의 S15), 전술한 바와 같이 두뇌자극장치가 타임 토큰에 따라 동작한 후, 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를 생성하며 제어부(350)가 사용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 정보는 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제어부(350)가 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새로운 사용 정보를 생성하여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용 통신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는 변경된 새로운 사용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을 독려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정보의 변경은 사용 정보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다른 사용 정보의 결제 가격이 변경되거나, 또는 다른 사용 정보의 모드 또는 시간 등의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의 서버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통신부(310)가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은 통신부(310)가 개인용 통신장치(100)로부터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S513), 제어부(350)가 수신된 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S515), 통신부(310)가 유효성이 확인된 타임 토큰을 상기 두뇌자극장치에 송신하는 단계(S520)로 구성된다.
도 6의 서버 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통신부(310)가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과정은 통신부(310)가 두뇌자극장치(200)로부터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S613), 제어부(350)는 수신된 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S615), 통신부(310)가 두뇌자극장치(200)에게 타임 토큰의 유효성이 확인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620)로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뇌자극장치(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두뇌자극장치(200)는 통신부(210), 두뇌자극부(220),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두뇌자극부(220)는 두뇌에 전기적 자극 또는 자기적 자극을 제공한다.
통신부(210)는 서버 장치(300)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통신하여 메시지 및 타임 토큰을 송수신한다.
제어부(250)는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 및 모드에 따라 두뇌자극부(220)를 제어하며,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만큼 동작한 후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상기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가 전술한 메시지를 서버 장치(300)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두뇌자극부(220)는 다양한 두뇌 자극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부 전기 자극법, 경두개 자기 자극법, 경두개 전기 자극법, 경두개 직류 자극법 및 경두개 랜덤 노이즈 자극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두뇌자극법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두뇌 자극 장치에 전술한 통신부(210)와 제어부(250)가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두뇌자극장치(200)가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장치인 경우, 두뇌자극부(220)는 제어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전기 자극용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와 하이드로겔 패치(Hydrogel Patch)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생체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자극 전극을 두뇌자극부(220)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50)가 두뇌자극부(220)를 제어할 수 있는데, 두뇌자극장치(200)에 전송된 타임 토큰의 모드에 따라 자극 전극에 인가된 전원의 공급량 및 전원의 공급 또는 미공급 시간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부의 온/오프(ON/OFF)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달리, 도 13에서는 두뇌자극장치(200)가 개인용 통신장치(100)으로부터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두뇌자극장치(200)가 직접 타임 토큰을 검증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즉,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송신한 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두뇌자극장치(200)의 제어부(250)가 검증하는 실시예이다.
사용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를 휴대하여 두뇌자극장치(200)로 접근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두뇌자극장치(200)를 머리에 장착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특정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개인이 휴대용으로 소장할 수도 있다.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두뇌자극장치(200)에 접근한 것을 확인하면 저장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로 전송한다(S710). 이때,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되는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현재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타임 토큰을 두뇌자극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두뇌자극장치(200)는 수신한 타임 토큰이 사용에 적합한지를 검증한다(S711). 타임 토큰에 포함된 machine_id를 검증하거나 타임 토큰에 포함된 시간 정보들을 검증할 수 있다. 이후 두뇌자극장치(200)에서 1차적으로 검증된 타임 토큰에 대해 유효성을 확인한다(S715). 두뇌자극장치(200)는 S711 및 S715를 하나의 검증 단계로 통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S715에서 확인한 결과 타임 토큰이 유효한 경우, 두뇌자극장치(200)는 유효성이 확인된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타임 토큰에 정의된 세부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S721). 예를 들어, 도 4의 usage005에 대응하는 타임 토큰의 유효성이 확인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20분간 alpha_2 모드로 동작한다.
동작 수행의 시작은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시작할 수 있다.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두뇌자극장치(200)의 중지 버튼을 누를 경우, 지금까지 동작된 시간과 전체 사용 시간에 따라 해당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미완료되었는지를 두뇌자극장치(200)가 판단할 수 있다.
타임 토큰에서 정의하는 세부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 즉, 사용자의 두뇌에 자극을 제공하는 과정이 종료하면, 두뇌자극장치(200)는 개인용 통신장치(100)에게 해당 타임 토큰에서 지시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음을 통지한다(S724). 개인용 통신장치(100)는 수신된 통지에 따라서 동작 수행이 완료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S726). 여기서 삭제란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용 통신장치(100)에 저장된 타임 토큰을 삭제한다는 것은 해당 타임 토큰을 이용하여 더 이상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과정에서 개인용 통신장치(100)와 두뇌자극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술 과정을 포함하여 두뇌자극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두뇌자극장치(200)의 사용이 증가할 경우,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사용정보 또는 도 4의 타임 토큰에 따라 개인용 통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하여 두뇌자극장치(200)를 사용할 것을 독려할 수 있으며 이는 도 7에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타임 토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개인용 통신장치, 그리고 두뇌자극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미리 사용자의 통신 장치에 할당하여 다수가 사용하는 두뇌자극장치를 사용자 식별을 통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두뇌자극장치는 개인별로 특화된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 보다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와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타임 토큰에 기반하여 두뇌자극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사용자들이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경우, 사용 권한과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두뇌자극장치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환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개인용 통신장치
200: 두뇌자극장치
300: 서버장치

Claims (12)

  1. 개인용 통신장치의 통신부가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가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인접한 두뇌자극장치를 식별하여 상기 저장된 타임 토큰을 상기 두뇌자극장치 또는 상기 서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타임 토큰에 저장된 상기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두뇌자극장치 또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상기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타임 토큰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토큰은 상기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과 사용가능한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 토큰은 사용기간에 대응하여 비용을 결제하거나, 쿠폰을 등록하거나, 처방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 장치에게 상기 타임 토큰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결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변경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토큰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임 토큰의 종료 시점까지의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임 토큰의 종료 시점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5. 서버 장치의 통신부가 개인용 통신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이 설정된 제1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타임 토큰을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 또는 상기 두뇌자극장치로부터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 또는 상기 두뇌자극장치에 저장되었던 제2타임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2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두뇌자극장치로부터 상기 수신한 제2타임 토큰에 정의된 상기 두뇌자극장치의 사용이 완료하였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제1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상기 제1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임 토큰 및 제2타임 토큰은 상기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과 사용가능한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타임 토큰 및 제2타임 토큰은 사용기간에 대응하여 비용을 결제하거나, 쿠폰을 등록하거나, 처방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임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타임 토큰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에게 상기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제1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타임 토큰의 삭제 또는 비활성화 결과에 따라 새로운 사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제2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제2타임 토큰을 상기 두뇌자극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두뇌자극장치로부터 상기 제2타임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두뇌자극장치에게 상기 제2타임 토큰의 유효성이 확인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10. 두뇌에 전기적 자극 또는 자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두뇌자극부;
    서버 장치 또는 개인용 통신장치와 통신하여 메시지 및 타임 토큰을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 및 모드에 따라 상기 두뇌자극부를 제어하며, 상기 타임 토큰에 설정된 사용 시간만큼 동작한 후 상기 타임 토큰을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타임 토큰의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시켜 상기 타임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버 장치 또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임 토큰은 두뇌자극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과 사용가능한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타임 토큰은 사용기간에 대응하여 비용을 결제하거나, 쿠폰을 등록하거나, 처방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자극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뇌자극장치는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장치이며,
    상기 두뇌자극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전기 자극용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와 하이드로겔 패치(Hydrogel Patch)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생체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자극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 토큰의 모드에 따라 상기 자극 전극에 인가된 전원의 공급량 및 전원의 공급 또는 미공급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오프(ON/OFF)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뇌자극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용 통신장치가 송신한 타임 토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두뇌자극장치.

KR1020190056106A 2019-05-14 2019-05-14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17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06A KR102173949B1 (ko) 2019-05-14 2019-05-14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106A KR102173949B1 (ko) 2019-05-14 2019-05-14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97A Division KR101981942B1 (ko) 2017-08-30 2017-08-30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51A KR20190054051A (ko) 2019-05-21
KR102173949B1 true KR102173949B1 (ko) 2020-11-04

Family

ID=6667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06A KR102173949B1 (ko) 2019-05-14 2019-05-14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458A (ja) 2013-03-05 2014-09-18 Fuji Xerox Co Ltd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11-27 (주)와이브레인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063824A1 (en) 2015-08-28 2017-03-0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ontrol authority on us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1980A1 (en) * 2013-07-26 2015-01-29 Ybrain Inc. Brain signal management system and brain signal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458A (ja) 2013-03-05 2014-09-18 Fuji Xerox Co Ltd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65587B1 (ko) 2014-08-07 2014-11-27 (주)와이브레인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063824A1 (en) 2015-08-28 2017-03-02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ontrol authority on us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51A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5134B2 (en) Medical device
US20220226663A1 (en) Controller and flexible coils for inducing an effect of a chemical or biochemical agent to a mammalian subject
US20210178174A1 (en) Identifiable magnetic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US10335598B2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having remote access
US10946194B2 (en) System for improving neurostimulation compliance
CN107066809A (zh) 一种用于电刺激理疗终端的管理系统及方法
KR102173949B1 (ko)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1981942B1 (ko) 두뇌자극장치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Hofmann et al. Noninvasive direct stimulation of the cochlear nerve for functional MR imaging of the auditory cortex
US20230201615A1 (en) Non-intrusive delivery mechanism for producing physiological effects in living organisms
WO20141955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criptions for noninvasive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Karimi et al. Safety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Implants: A Computational Study
Qi et al. WE‐FG‐202‐08: Assessment of Treatment Response Via Longitudinal Diffusion MRI On A MRI‐Guided System: Initial Experience of Quantitativ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