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444B1 -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 Google Patents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444B1
KR102173444B1 KR1020200110045A KR20200110045A KR102173444B1 KR 102173444 B1 KR102173444 B1 KR 102173444B1 KR 1020200110045 A KR1020200110045 A KR 1020200110045A KR 20200110045 A KR20200110045 A KR 20200110045A KR 102173444 B1 KR102173444 B1 KR 10217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drain pipe
water suppl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시환
김종순
남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주식회사 금성기술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주식회사 금성기술,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20011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4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flow rate in a water supply system, which can always supply water without a decrease in water pressure and supply the water only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an apartment house such as an apartment in which a lot of water is used. To this end, the flow rate adjusting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drain (10) and a large consumer water storage tank (20), comprises a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108), a bracket (110), and a pressure spring (112), wherein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includes a disk-shaped plate, upper and lower holes, and a lifting plate.

Description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a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의 저수조에 물 공급시 공급구역 내의 수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방향 유로는 상시(常時)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고 다른 방향 유로는 설정 압력 이상에서만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a water suppl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a drop in water pressure in a supply zone when water is supplied to a water storage tank such as an apartment house, a one-way flow path is always a water storage tank. It relates to a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a water supply system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system and supplies water to the reservoir only in the other direction flow path above the set pressure.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수도 공급시스템은 정수장에서 물을 생산하고 정수된 물을 관로(이하 ‘배수관’이라 함)를 통하여 주거용 건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업무용 및 상업용 빌딩, 관공서, 산업현장 등의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수도 가압시설에서 일정 수압으로 가압한 물을 배관망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수도의 수압으로 직접 공급되는 수용가는 수도꼭지로 바로 연결되고, 직접 공급이 어려운 고층건물은 수용가의 저수조(물탱크)로 공급된 후 자체 공급시설로 수도꼭지까지 연결되어 공급된다.The generally known water supply system produces water at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passes the purified water through a pipe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drainage pipe') to residential buildings,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business and commercial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nd industrial sites. As a supply system, i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pressurized to a certain water pressure in a tap water pressurization facility to each customer through a pipe network. Customers supplied directly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faucet, and high-rise buildings that are difficult to supply directly are supplied to the customer's storage tank (water tank), and then connected to the faucet through their own supply facility.

통상 상수도 공급압에 대한 규정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공급조례상에 약 1.53㎏/㎠ 이상(통상, 1.5~2.0㎏/㎠) 공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이하 ‘대규모 수용가’라 함)의 저수조에 물이 공급될 때는 주변의 수압은 급격히 낮아져 공급이 어려울 경우가 발생한다. 공급량의 규정은 시간 최대 공급량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대규모 수용가의 저수조와 연결되는 관로가 과대하여 시간 최대 공급량의 10~20배까지 공급되어 인근지역에 출수 불량 등 상수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In general, the supply pressure of water supply is prescribed to be supplied at least 1.53kg/㎠ (normally 1.5~2.0kg/㎠) in the supply ordinance of each local government.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of apartments and apart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rge-scale customers”), the water pressure in the vicinity decreases sharply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The provision of the amount of supply is to supply the maximum amount of supply per hour, but the pipelin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of a large-scale customer is excessive, so that it is supplied up to 10 to 20 times the maximum amount of supply per hour, causing difficulties in managing water supply such as poor water outflow to nearby areas.

종래에는 이와 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 수용가의 저수조 공급시간을 물을 작게 사용하는 시간에 공급하거나, 저수조 입구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수압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저수조와 연결된 배수관에 별도의 우회관로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우회관로로 물을 공급하고, 비상시에는 배수관을 열어서 공급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such a phenomenon, the supply time of a storage tank of a large-scale customer is supplied at a time when water is used small, or a pressure reducing valve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to prevent the water pressure from dropping, or a separate bypass pipe is provided in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Various methods are being implemented, such as supplying water through a bypass pipe in normal times and opening a drain pipe in an emergency.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공급량 및 수압 조절방법을 사용 시에는 반드시 아파트 관리자와 협의를 해야 하고, 감압밸브를 설치 시에는 감압밸브의 막힘 방지를 위한 스크린 등의 추가 시설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ing such a conventional supply amount and water pressure control method, an apartment manager must be consulted, and when a pressure reducing valve is installed,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a screen to prevent clogging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re requ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3425호(발명의 명칭: 상수도 공급시스템, 공개일자: 2010년 01월 11일)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3425 (Name of invention: Water supply system, Publication date: January 11, 2010) 등록특허공보 제10-1609639호(발명의 명칭: 하이브리드 공급 시스템의 제어방법, 공고일자: 2016년 04월 07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09639 (Title of invention: Control method of hybrid supply system, Announcement date: April 07, 2016) 등록특허공보 제10-1704385호(발명의 명칭: 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공고일자: 2017년 02월 08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04385 (Name of invention: suppl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date of announcement: February 08, 2017) 등록특허공보 제10-1156416호(발명의 명칭: 공급압을 이용한 상수도용 가압 공급장치, 공개일자: 2011년 06월 10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56416 (Name of the invention: Pressurized supply device for water supply using supply pressure, Publication date: June 10, 20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에 물 공급 시 수압 저하 없이 시간 최대 급수량을 상시 공급하고, 설정 압력 이상에서는 다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is supplied to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that use a lot of water, the maximum water supply amount is always supplied without lowering the water pressure, and a large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above the set pressur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a water supply system to a large audience.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는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을 송수하는 배수관과 대수용가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유입부와 유출부 그리고 상기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의 상단부에 확장관로가 설치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설치되며 배수관을 통해 저수조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량 조절수단, 상기 확장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의 유입부 끝지점과 상기 물 공급량 조절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제어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의 열고/닫음을 제어하는 텐션력을 부여하는 압력스프링으로 구성하며, 상기 물 공급량 조절수단은 상기 배수관 유입부와 유출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저수조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구멍 및 하부구멍,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밀착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면적 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구멍 또는 하부구멍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승강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 control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drain pipe for supplying and receiving water purif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drain pipe with an extension pip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a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drain pipe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out to the storage tank through the drain pipe, installed on the expansion pipe and at the inlet end of the drain pipe An opening/closing plate installed between the branch and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to control the flow path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a bracke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and opening/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plate Consisting of a pressure spring that imparts a tension force to control the,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rain pipe and formed to have the same disk shap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the front of the plate At least one upper hole and a lower hole formed through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pas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have an area less than the area of the plat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elevator plate selectively closing the upper hole or the lower hole of the plate.

상기 하부구멍의 개수는 상기 상부구멍의 개수보다 많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number of lower holes to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upper holes.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 및 그 방법은 아래와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hieves many effects as follows.

첫 번째로,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는 한 방향 유로는 계획 시간 최대 수요량을 상시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고 다른 방향 유로는 설정 압력 이상에서만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의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 공급 시 공급구역 내의 수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파트 관리자와 협의 없이 운영관리가 가능하고, 운영관리 시 수압 저하 없이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First,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by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in one direction flow path at all times for the maximum amount of demand for the planned time, and the water flow in the other direction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nly above the set pressure. When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ank of a large reservoir, such as, it not only prevents the drop in water pressure in the supply area, but also enables operation and management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apartment manager, and during operation managemen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tank without a drop in water pressure.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의 대규모 공급시설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을 공급시 주변지역에 발생하던 수압 저하에 의한 출수 불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공동주택 관리자와 물공급 시간 등에 대한 협의없이 상시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시적으로 물이 공급됨으로 인해 시상수도의 전체 수량관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대수용가 저수조에 간헐적 유입에 따른 잔류염소 감소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stically reduce water supply defects caused by a drop in water pressure in the surrounding area when water is supplied to large-scale supply facilities such as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and water supply tim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t any time without consultation. In this way, due to the constant supply of water, it is possible to stably manage the total water quantity management of the water supply system,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henomenon of residual chlorine reduction due to intermittent inflow into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상시공급계통과 설정압력 이상시 공급되는 2계통을 동시에 갖춘 장치로서 유지관리가 쉽고, 상시 안정적으로 대수용가 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므로 대규모 수용가 관리자와 협의없이 설치할 수 있고 주변 지역의 수압 저하에 의한 출수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equipped with a constant supply system and two systems that are supplied at the same time when the set pressure is exceeded,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since water is always stably supplied to the large storage tank, it can be installed without consultation with a large-scale customer manager. It can also prevent water outlet defects caused by a drop in local water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의 기술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대수용가 저수조(20)에 상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플레이트(104)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수리모형 검토 평면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상시 방향으로의 유량 흐름을 검토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압력 상승시 방향으로의 유량 흐름을 검토하기 위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대규모 수용가의 저수조의 수심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압력 상승시 방향으로의 유출지점(a 지점)의 수압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물 공급량 조절수단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승강판이 상승하여 플레이트의 상부구멍을 폐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서 승강판이 하강하여 플레이트의 하부구멍을 폐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a larg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e 104 for supplying water to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shown in FIG. 1 at all time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repair model review plane for realizing a large-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for reviewing the flow rate in a constant direction for realizing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graph for examining the flow rate in the direction when the pressure rises for implementing the flow control device for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depth of the water storage tank of a large-scale customer for realizing the large-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water pressure at an outlet point (point a) in a direction when pressure is increased to implement a flow control device for a larg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rg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cerpt of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shown in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e is raised in FIG. 10 to close the upper hole of the plate.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plate descends in FIG. 10 to close the lower hole of the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representative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embodiments that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100)가 설치된 통상적인 상수도 공급시스템은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을 송수하는 배수관(10)에는 대수용가 저수조(20)가 연결되고, 상기 대수용가 저수조(20)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50) 등의 각 수요자의 공급관(4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펌프(30)가 연결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rg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the flow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is an apartment. The pump 30 for supplying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40 of each consumer, such as the apartment house 50 is connected.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는 상시공급계통과 설정압력공급계통으로 구성되며,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의 저수조에 물을 공급할 때 한 방향(상시공급계통)으로는 필요량(바람직하게는, 시간 최대 수요량)을 상시(常時) 공급하고 다른 방향(설정압력공급계통)으로는 설정된 일정 수압 이상 시에 다량의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상시공급계통은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여 필요량만큼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고, 상기 설정압력공급계통은 설정압력 이상시 열리는 구성으로서 오픈되어도 주변 수압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시간에 열려 저수조로 안정적 공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1, the flow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stant supply system and a set pressure supply system, 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a storage tank such as an apartment house, in one direction (a constant supply system). Is a device that supplies a required amount (preferably, the maximum demand for time) at all times, and supplies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other direction (a set pressure supply system) when a set water pressure is higher than a set pressure. The constant supply system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plate to supply as much as necessary, and the set pressure supply system is opened when the set pressure is exceeded. It is a device that can be secured with.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는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배출부(102a) 사이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배수관(10)의 상단부에 확장관로(102)가 설치된다. 상기 확장관로(102)를 통해서는 설정된 압력 이상, 바람직하게는 설정 압력(구체적으로는, 3.0~4.0㎏/㎠)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기 설치된 배수관(10)을 통해서는 상시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flow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discharge portion 102a of the drain pipe 10, and specifically, the expansion pipe path 10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10 do. Through the expansion pipe 102, water is supplied at a set pressure or higher, preferably at a set pressure (specifically, 3.0 to 4.0 kg/㎠) or higher, and water is always supplied through the previously installed drain pipe 10.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상기 확장관로(102)의 아래에는, 즉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배출부(10b) 사이에는 도 2와 같이 배수관(10)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 형태의 플레이트(104)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04)를 통해서는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시 저수조(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4)에는 상시 공급해야 할 유량에 적합한 구멍(106)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멍(106)은 상시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Below the expansion pipe 102, that is,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outlet portion 10b of the drain pipe 10, a plate 104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1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do. Through the plate 104, it serves to supply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at all times. At this time, the plate 104 is formed with holes 106 suitable for the flow rate to be supplied at all times, and the holes 106 are preferably form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flow rate supplied at all times and are formed to have various diameters.

상기 플레이트(104)의 구멍(106)에는 막음핀(116)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막음핀(116)은 플레이트(104)에 뚫려있는 구멍(106)의 개수를 조절하기 위함인데, 상시 공급부인 플레이트(104)의 구멍(106)을 통해 필요량을 공급하려면 플레이트(104)의 구멍(106)을 알맞게 뚫어야 하는데 상기 구멍(106)을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추가로 더 뚫는 것은 유량조절장치(100)의 안전을 위해하므로 필요한 구멍(106)보다 많이 뚫어 필요한 만큼만 개방하고 나머지 구멍(106)은 막음핀(116)으로 차단하였다가 수압 감소 시에는 막음핀(116)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면 장래에 대해서도 대처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A blocking pin 116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106 of the plate 104. The blocking pin 116 is to adjust the number of holes 106 drilled in the plate 104, and to supply the required amount through the hole 106 of the plate 104, which is a constant supply, the hole of the plate 104 (106) should be drilled appropriately, but further drilling the hole 106 if necessary in the field is for the safety of the flow control device 100, so drill more than the necessary hole 106 to open only as much as necessary, and the remaining holes 106 ) Has the advantage that it becomes easier to cope with the future by selectively removing the blocking pin 116 when the water pressure decreases after blocking with the blocking pin 116.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104)에 형성된 구멍(106)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세하게는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구멍(106)의 내경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막음핀(116)을 구멍(106)에 끼울 때 쉽게 끼워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구멍(106)에서 막음핀(116)이 유속에 의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4)의 외면은, 구체적으로는 배수관(10)의 유입부(10a) 쪽에 위치한 플레이트(104)의 외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플레이트(104)에 묻은 이물질이 구멍(106)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hole 106 formed in the plate 104 to be inclined, in detail, by form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106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proceeds, the blocking pin ( When 116 is inserted into the hole 106, it is easily fitted, as well as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blocking pin 116 is removed from the hole 106 due to the flow velocity.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04, specific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04 located on the inlet portion 10a side of the drain pipe 10 is formed to be inclined, which means that foreign matters embedded in the plate 104 are formed in the hole 106 ) To ensure smooth discharge.

상기 배수관(10)에는 외부에서 배수관(10) 내부의 플레이트(104)에 형성된 구멍(106)에 막음핀(116)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막음핀(116) 설치를 위한 막음핀 설치구멍(117)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ipe 10 has a blocking pin installation hole 117 for installing the blocking pin 116 so that the blocking pin 116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06 formed in the plate 104 inside the drain pipe 10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한편, 본 발명의 확장관로(102)는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배출부(102a) 사이에 연결되어 또 다른 유로를 형성하며,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을 저수조(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확장관로(102)는 위에서 보았듯이 설정 압력, 3.0~4.0㎏/㎠ 이상이 될 때 대수용가 저수조(20)에 물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확장관로(102)에는 도 1과 같이 위/아래로 이동하는 개폐판(108)이 설치되고, 이 개폐판(108)은 배수관(10)의 유입부(10a) 끝지점과 플레이트(104)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제어한다. 상기 개폐판(108)의 상단 중앙에는 브라켓(11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10)의 상단부에는 압력스프링(112)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스프링(112)은 개폐판(108)의 열고/닫음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배수관(10)을 통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면 수압에 의해 압력스프링(112)은 압축되면서 개폐판(108)은 위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관(10)의 유입부(10a)를 따라 흐르는 물은 확장관로(102)의 배출부(102a)와 플레이트(104)의 구멍(106)을 통해서 대수용가 저수조(20)에 공급된다. 이때, 설정된 압력은 위에서 언급한 설정 압력을 말한다. 상기 설정 압력은 통상 야간 시간대에 형성되는데, 이는 평상시에는 공급이 많아 정수장과 연결된 복수의 배수관(10)에는 설정된 수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개폐판(108)은 확장관로(102)를 막고 있기 때문에 물은 플레이트(104)의 구멍(106)을 통해서만 대수용가 저수조(20)에 공급된다. 하지만, 야간 시간대에는 공급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10)에는 설정된 압력 또는 그 이상으로 수압이 형성되어 개폐판(108)은 확장관로(102)을 열어 배출부(102a)를 통해 저수조(2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pipe line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discharge portion 102a of the drain pipe 10 to form another flow path, and supplies the water purifi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to the reservoir 20 Plays a role. That is, the expansion pipe 102 supplies water to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when the set pressure is 3.0 ~ 4.0 kg/cm 2 or more, as seen above. To this end, the expansion pipe 102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plate 108 that moves up/down as shown in FIG. 1,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includes an end point of the inlet 10a of the drain pipe 10 and the plate 104 I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to control the flow path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A bracket 1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and a pressure spring 11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110. The pressure spring 112 controls the opening/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Specifically, when water is supplied above the set pressure through the drain pipe 10, the pressure spring 112 is compressed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rises upward, and accordingly, water flowing along the inlet (10a) of the drain pipe (10) is larg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02a) of the expansion pipe (102) and the hole (106) of the plate (104). It is supplied to the customer storage tank 20. At this time, the set pressure refers to the set pressure mentioned above. The set pressure is usually formed at night time, which is usually less than the set water pressure in the plurality of drain pipes 10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due to a large supply, and in that ca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8 blocks the expansion pipe line 102. Water is supplied to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only through the hole 106 of the plate 104. However, since the supply amount is not large during the night time, the water pressure is formed in the drain pipe 10 at or above the set pressur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8 opens the expansion pipe 102 to the reservoir 20 through the discharge unit 102a. It will supply water.

끝으로, 손잡이(114)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압력스프링(112)의 압축력을 제어하는, 즉 설정 압력에 맞도록 압력스프링(112)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핸들이다.Finally, the handle 114 is a handle that controls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112 manually by an operator from the outside, that is, adjusts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112 to match the set pressure.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수리모형 검토 평면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 repair model review plane for implementing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a→b→p→e 방향은 확장관로(102)를 통해 흐르는 유속을 의미하고, a→c→d→e 방향은 플레이트(104)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106)을 통해 흐르는 유속을 의미한다. 즉, 상기 a→b→p→e 방향은 설정 압력, 3.0~4.0㎏/㎠ 이상일 때 흐르는 물의 흐름을 의미하며, 상기 a→c→d→e 방향은 배수관(10)을 통해 상시(常時)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의미한다.3 and 4, the direction a→b→p→e means the flow velocity flowing through the expansion pipe 102, and the direction a→c→d→e i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plate 104 (106) means the flow rate flowing through. That is, the a→b→p→e direction means the flow of water flowing when the set pressure is 3.0~4.0kg/cm2 or more, and the a→c→d→e direction is always through the drain pipe 10 (常時) It means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wat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상시 방향으로의 유량 흐름을 검토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a→c→d→e 방향으로 흐르는 유량, 즉 상시 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5 is a graph for reviewing the flow rate in the normal direction for implementing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is in the direction a→c→d→e. It shows the flow rate, that is,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normal direc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압력 상승시 방향으로의 유량 흐름을 검토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a→b→p→e 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유량, 즉 설정 압력, 3.0~4.0㎏/㎠ 이상일 때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6 is a graph for reviewing the flow rate in the direction when the pressure rises to implement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is a→b→p→e It represents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direction, that is,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along the pipeline when the set pressure is 3.0 to 4.0 kg/cm 2 or more.

상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시 방향(a→c→d→e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1200 ㎥/일(CMD)까지 상승하지만, 압력 상승시 방향(a→b→p→e 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7000 ㎥/일(CMD)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물의 유량이 야간에 7000 ㎥/일(CMD)까지 상승할 때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가 개방되어 저수조(20)로 물이 공급된다.5 and 6, the water flowing in the normal direction (a→c→d→e direction) rises up to 1200 ㎥/day (CMD), but the direction when the pressure rises (a→b→p→e direction) ), the water flow rises to 7000 ㎥/day (CMD). Therefore, when the flow rate of water rises to 7000 m 3 /day (CMD) at night, the flow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대규모 수용가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심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그래프로서, 상기 저수조(20)에 담겨진 물의 수위는 만수인 2.0m에서 1.5m 범위 내에서 수심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시방향 또는 압력상승시 방향으로 흘러서 저수조(20)에 저장된다.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depth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of a large-scale customer for implementing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tank 20 is 1.5 from 2.0 m in full water. A change in water depth occurs within the m range, and 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flows in the direction at all times or when the pressure rises, and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유량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압력 상승시 방향으로의 유출지점(a 지점)의 수압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평상시에는 물의 수압이 45~50m 정도로 유지하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수압이 10m까지 떨어지게 되는데, 도 6에서 압력 상승시 물의 흐름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압이 10m까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10)에 본 발명의 유량조절장치(100)를 설치한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at the outlet point (point a) in the direction when the pressure is increased to implement the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pressure of water is maintained at about 45 to 50 m in normal times. However, at some point, the water pressure drops to 10m, and in FIG. 6, it coincides with the flow of water when the pressure ris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pressure from dropping to 10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10.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arge water flow rate of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도시한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의 플레이트 대신 물 공급량 제어수단을 배수로에 장착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arge water flow rate of the water supply system shown in FIG. 9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is mounted on the drainage channel instead of the plat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는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그리고 상기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사이의 상단부에 확장관로(102)가 설치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사이에 설치되며 배수관(10)을 통해 저수조(20)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 상기 확장관로(102)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0)의 유입부(10a) 끝지점과 상기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제어하는 개폐판(108), 상기 개폐판(108)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라켓(110), 상기 브라켓(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108)의 열고/닫음을 제어하는 텐션력을 부여하는 압력스프링(112)으로 구성한다. That is, the larg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pipe path at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outlet portion 10b, and at the upper en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outlet portion 10b. A drain pipe 10 with 102 installed,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of the drain pipe 10, and regulates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out to the storage tank 20 through the drain pipe 10 The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00, installed in the expansion pipe line 102, is installed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inlet portion 10a of the drain pipe 10 and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00, and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that controls the flow path of the water being opened, the bracket 11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110 and controls the opening/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It consists of a pressure spring 112 that imparts a tension force.

첨부된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물 공급량 조절수단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shown in FIG. 9.

도 10에서와 같이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은 플레이트(210), 승강판(220) 및 볼스크류(222)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0, the water supply amount adjusting means 200 includes a plate 210, a lifting plate 220, and a ball screw 222.

상기 플레이트(210)는 배수관(10)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 형태를 가지며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유출부(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시 저수조(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plate 210 has the same disk shap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1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outlet portion 10b of the drain pipe 10, and supplies water through the drain pipe 10. It serves to supply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at all times.

상기 플레이트(210)에는 중앙의 센터선(212)을 기준으로 해서 위쪽와 아래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 하부구멍(216, 218)이 관통 형성되고 또한 센터선(214) 상에서 플레이트(210)의 양측에는 사이드 구멍(214)이 더 관통 형성된다.In the plate 210, at least on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center line 212 as a reference, and on both sides of the plate 210 on the center line 214, Side holes 214 are further formed through.

상기 상, 하부구멍(216, 218) 및 사이드구멍(214)은 저수조(20)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통과시키게 된다. 즉, 상기 상, 하부구멍(216, 218) 및 사이드구멍(214)의 개방 및 폐쇄유무에 따라 저수조(2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and the side holes 214 pass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20. That i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and the side holes 214 are opened or closed.

상기 승강판(220)은 상기 상, 하부구멍(216, 218)을 선택적으로 막아(폐쇄)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수단이다.The elevator plate 22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water by selectively blocking (closed) th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상기 승강판(220)은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밀착되는 데, 상기 승강판(220)은 상기 플레이트(210)의 면적 보다 반 이상 적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한다.The elevator plate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2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the elevator plate 220 is manufactured to have an area less than half the area of the plate 210.

상기 승강판(220)은 플레이트(210)에 형성되어 있는 상, 하부구멍(216, 218)들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막아 저수조(2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The elevator plate 220 selectively blocks the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formed in the plate 21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20.

플레이트(210)의 상, 하부구멍(216, 218)을 통해 필요량을 공급하려면 승강판(220)이 상부구멍(216)을 폐쇄하던지 하부구멍(218)을 폐쇄하여 물이 통과하는 구멍의 개방 개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필요한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the required amount through the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of the plate 210, the lifting plate 220 closes the upper hole 216 or the lower hole 218 and the number of openings through which water passes. You can control the required water flow rate by adjusting.

한편,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상, 하부구멍(216, 218)은 서로 다른 개수를 가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상부구멍(216)의 개수를 5개로 가정하면 하부구멍(218)의 개수를 8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승강판(220)의 상, 하 위치 이동에 따라 물의 유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ssuming that the number of upper and lower holes 216 and 218 formed in the plate 210 is different, preferably the number of upper holes 216 is 5, the number of lower holes 218 is 8 It is preferable to form, and this is to allow different control of the flow rate of wat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elevator plate 220.

즉, 도 11에서와 같이 승강판(220)이 상승하여 플레이트(210)의 상부구멍(216)을 폐쇄하면 8개의 하부구멍(218)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지는 반면, 도 12에서와 같이 승강판(220)이 하강하여 플레이트(210)의 하부구멍(218)을 폐쇄하면 5개의 상부구멍(216)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지는 데, 이는 상부구멍(216)이 개방될 때 보다 하부구멍(218)이 개방될 때, 보다 많은 개수의 구멍이 개방됨으로서 물의 공급량이 증가시킬 수 있음으로서 승강판(220)의 상, 하 위치 이동에 따라 물의 유량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ifting plate 220 rises and closes the upper hole 216 of the plate 210 as shown in FIG. 11,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eight lower holes 218, whereas, as in FIG. When the steel plate 220 descends and closes the lower hole 218 of the plate 210,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ve upper holes 216, which is lower than when the upper hole 216 is opened. When 218 is opened, the supply amount of water can be increased by opening a larger number of holes, so that the flow rate of water can be differen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elevator plate 220.

상기 볼스크류(222)는 끝단은 상기 승강판(220)의 상면에 결합되고 그 선단은 상기 확장관로(102)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224)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관로(102)의 외부로 노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220)에 상면에 결합된 볼스크류(222)는 나사식으로 승강판(220)에 체결되지 않고 헛돌게 승강판(220)의 상면에 삽입 구성하여 볼스크류(222)의 회전력이 승강판(220)으로 전해지지 않도록 한다. 즉, 볼스크류(222)의 상,. 하 이동에만 승강판(220)이 영향을 받아 상, 하 이동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end of the ball screw 22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20, and the end of the ball screw 222 is screwed to the nut 224 installed in the extension pipe 102, and the expansion pipe 102 )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ball screw 222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20 is not fastened to the lifting plate 220 in a screw manner, bu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20 in a screw manne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all screw 222 It is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elevator plate 220. That is, the top of the ball screw 222,.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elevator plate 220 to move up and down because only the lower movement is affected.

상기 확장관로(102)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볼스크류(222)의 선단에는 핸들(226)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226)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222)는 회전 과정에서 너트(224)를 타고 상, 하 이동하며 승강판(220)을 상, 하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승강판(220)이 상, 하로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210)의 상부구멍(216) 혹은 하부구멍(218)을 선택적으로 막아 물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A handle 226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ball screw 22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pansion pipe 102, and when the handle 226 is rotated while holding it by hand, the ball screw 222 is rot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up and down by riding the nut 224 and moving the elevator plate 220 up and down, the upper hole 216 of the plate 21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elevator plate 220 up and down. ) Or the lower hole 218 is selectively block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100: 유량조절장치 102: 확장관로
104: 플레이트 106: 구멍
108: 개폐판 110: 브라켓
112: 압력스프링 114: 손잡이
200: 물 공급량 조절수단 210: 플레이트
216: 상부구멍 218: 하부구멍
220: 승강판 222: 볼스크류
224: 너트
100: flow control device 102: expansion pipe
104: plate 106: hole
108: opening and closing plate 110: bracket
112: pressure spring 114: handle
200: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10: plate
216: upper hole 218: lower hole
220: elevator plate 222: ball screw
224: nut

Claims (2)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을 송수하는 배수관(10)과 대수용가 저수조(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장치(100)에 있어서,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그리고 상기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사이의 상단부에 확장관로(102)가 설치된 배수관(10);
상기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유출부(10b) 사이에 설치되며 배수관(10)을 통해 저수조(20)로 유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
상기 확장관로(102)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0)의 유입부(10a) 끝지점과 상기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제어하는 개폐판(108);
상기 개폐판(108)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라켓(110);
상기 브라켓(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108)의 열고/닫음을 제어하는 텐션력을 부여하는 압력스프링(112)으로 구성하며;
상기 물 공급량 조절수단(200)은;
상기 배수관(10)의 유입부(10a)와 유출부(10b)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0)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된 플레이트(210);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저수조(20)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구멍(216) 및 하부구멍(218);
상기 플레이트(210)의 전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밀착되되, 상기 플레이트(210)의 면적 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부구멍(216) 또는 하부구멍(218)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승강판(22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
In the flow control device 100 installed between the drain pipe 10 and the large water storage tank 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ter purified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A drain pipe 10 provided with an expansion conduit 102 at an upper end between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and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A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0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0a) and the outlet (10b) of the drain pipe (10) and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out to the storage tank (20) through the drain pipe (10);
It is installed in the expansion pipe (102)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inlet (10a) of the drain pipe (10) and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00) to control the flow path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rain pipe (10). Plate 108;
A bracket 11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08;
And a pressure spring 112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110 and providing a tension for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plate 108;
The water supply amount control means 200;
A plate 21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ortion 10a and the outlet portion 10b of the drain pipe 10 and formed to have the same disk shap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10;
At least one upper hole 216 and a lower hole 218 formed through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210 and pass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2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21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has an area less than the area of the plate 210 and selectively closes the upper hole 216 or the lower hole 218 of the plate 210 Large water flow control devi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fting plate (2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멍(218)의 개수는 상기 상부구멍(216)의 개수보다 많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umber of the lower hole (218)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upper hole (216).
KR1020200110045A 2020-08-31 2020-08-31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KR102173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45A KR102173444B1 (en) 2020-08-31 2020-08-31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45A KR102173444B1 (en) 2020-08-31 2020-08-31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444B1 true KR102173444B1 (en) 2020-11-03

Family

ID=7319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45A KR102173444B1 (en) 2020-08-31 2020-08-31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44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55A (en) * 1992-06-26 1994-01-21 Tanaka Seisakusho Kk Valve construction for gas piping
KR19990035682U (en) * 1998-02-06 1999-09-15 오승준 Solenoid valve
JPH11304008A (en) * 1998-04-23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low regulating valve
KR20100003425A (en) 2008-07-01 2010-01-11 하지공업(주) Water supply system
KR101156416B1 (en) 2009-12-04 2012-06-13 김윤완 A quick water pressure using existing pump and piping of water supply
US20150267820A1 (en) * 2014-03-21 2015-09-24 Samson Ag Control valve for adjusting a flow rate value
KR101609639B1 (en) 2015-02-04 2016-04-07 윌로펌프 주식회사 Mehtod for controlling hybrid water supply system
KR101704385B1 (en) 2016-07-18 2017-02-08 화랑시스템(주) Wat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055A (en) * 1992-06-26 1994-01-21 Tanaka Seisakusho Kk Valve construction for gas piping
KR19990035682U (en) * 1998-02-06 1999-09-15 오승준 Solenoid valve
JPH11304008A (en) * 1998-04-23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low regulating valve
KR20100003425A (en) 2008-07-01 2010-01-11 하지공업(주) Water supply system
KR101156416B1 (en) 2009-12-04 2012-06-13 김윤완 A quick water pressure using existing pump and piping of water supply
US20150267820A1 (en) * 2014-03-21 2015-09-24 Samson Ag Control valve for adjusting a flow rate value
KR101609639B1 (en) 2015-02-04 2016-04-07 윌로펌프 주식회사 Mehtod for controlling hybrid water supply system
KR101704385B1 (en) 2016-07-18 2017-02-08 화랑시스템(주) Wat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5172B2 (en) Apparatus for the enhancement of water quality in a subterranean pressurized water distribution system
US5002428A (en) Irrigation method
MA31115B1 (en) Hydraulic station for the recovery,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rainwater.
CN108166602A (en) Self-regulation optimization safety dumping sewage storm-water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US5413134A (en) Winterizing system for an underground sprinkler system
KR102173444B1 (en)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system
KR10097199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ucing pressure of water supply
US7650938B2 (en) Residential in-well internal water aerator
KR102228849B1 (en) A flow controll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water supply system
US5355905A (en) Underground sprinkler system and methods for winterizing and installing the same
US5503363A (en) Variable orifice valve
CN109381830A (en) A kind of overlength vcehicular tunnel water rationing fire-fighting system and water supply fire-fighting method
RU2679174C1 (en) Method for operation of group of watering wells
US8783282B2 (en) Reconfigurable water flushing and sampling device
KR102368134B1 (en) A fire hydrant system that ensures that no residual water is left
US20100012198A1 (en) Flushing device with removable drain ring for potable water systems
KR20130046052A (en) Pilot valve equipped with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fire fighting
US673674A (en) Auxiliary valve for hydrants.
JPH11124885A (en) Water distributing piping structure provided with water storage function
JP3665764B2 (en) Tap water supply method and supply equipment
KR102571067B1 (en) Outdoor hydrant with Gate valve
KR200248833Y1 (en) Facility supplying extinguish water and living water
JP6659053B2 (en) How to maintain water supply
JP2000352083A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multiple dwelling house
JP2024052200A (en) Agricultural water supply system and its draina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