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308B1 -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 Google Patents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308B1
KR102173308B1 KR1020180122262A KR20180122262A KR102173308B1 KR 102173308 B1 KR102173308 B1 KR 102173308B1 KR 1020180122262 A KR1020180122262 A KR 1020180122262A KR 20180122262 A KR20180122262 A KR 20180122262A KR 102173308 B1 KR102173308 B1 KR 10217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iometric
user
standard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09A (ko
Inventor
나유미
주영진
유창영
고영인
Original Assignee
나유미
주영진
유창영
고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유미, 주영진, 유창영, 고영인 filed Critical 나유미
Priority to KR102018012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3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력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압력의 세기와 깊이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하임리히법과 심폐소생술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WEARABLE DEVICE FOR EMERGENCY MEASURES ASS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생명 연장의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생체 측정 장치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 측정 장치는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심전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해 준다.
그런데 사용자가 생체 측정 장치를 통해 수시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응급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휴대가 간편해야 하므로 측정 장치의 소형화가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정보 통신과 전자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생체 측정 장치가 점차 소형화되어, 생체 측정 장치는 휴대형(potable)에서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응급처치 기법 중에서 하임리히법과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을 숙달하지 않은 일반인이 응급처치를 수행할 때 압박 깊이와 방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의 맥박을 측정해 심장마비 환자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여 메트로놈을 통해 정해진 박자에 맞게 심폐소생술이 가능하게 유도하는 응급처치 보조기구가 개발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5129호 (공개일자: 2016. 09. 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력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압력의 세기와 깊이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하임리히법과 심폐소생술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응급 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상기 센서 모듈 및 표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생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 상기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생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체 이상 판단부;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특정 시간 내에 상기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상기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에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생체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이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경고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기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 및 현재 마크 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상이면,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 또는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특정 시간 내에 상기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현재 위치, 개인 정보, 현재 생체 정보 및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는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압력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모두 구비하여 압력의 세기와 깊이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잇기 때문에, 하임리히법과 심폐소생술을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형 사이즈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며 직관적인 사용법으로 응급처치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심장마비의 경우 맥박 측정이 어려워 전문가들도 맥박을 확인하는 데에 오랜 시간을 지체하거나 생략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빠르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빠른 처치가 가능하고 상태모니터를 통해 정확한 처치가 이뤄지고 있는지 쉽고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의 제어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표준 생체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의 제어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본체부(10), 센서 모듈(11), 표시 모듈(12) 및 제어 모듈(1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 인체의 소정 위치(즉, 손가락 또는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가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모듈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 또는 동작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인체에서 착용하지 않고 이격되어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의 형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팔찌 형태, 발찌 형태, 밸트 형태, 복대 형태, 목걸이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각각에 센서 모듈(11), 표시 모듈(12) 및 제어 모듈(13)이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홀 형태 또는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홀 형태 또는 오목한 홈 형태의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11)은 본체부(10)가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1)은 본체부(1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 모듈(11)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즉, 사용자의 맥박, 맥박의 세기)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사용자의 동작(즉, 맥박의 깊이)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 센서는 PPG(photoplethysmograph, 광용적맥파) 센서나 일반 압력 센서를 채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전달되는 맥박을 감지하여 적절한 측정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컴파스 센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12)은 본체부(1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센서 모듈(11)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3)은 센서 모듈(11) 및 표시 모듈(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기판 형태로 본체부(10) 내부에 구비되고, 센서 모듈(11)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131), 신체 이상 판단부(132), 신호 송수신부(133), 메시지 송신부(134), 비상 정보 관리부(135) 및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131)는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생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때, 생체 상태 정보는 맥박의 세기나 깊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생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때, 표준 생체 그래프는 사용자의 생체 수치 변화를 마크로 표시하기 위한 그래프로, 표준 생체 수치 별로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제어부(136)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에 마크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이 경고 구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신체 정상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특정 시간 내에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이 위험 구간에 해당하면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실행하지 않고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즉시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 및 현재 마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 및 현재 마크 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상이면,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안전 구간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신체 정상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지시하기 때문에 신호 송수신부(133)를 통해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 또는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신체 이상 판단 결과 또는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132)는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하고,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제어부(136)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며,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133)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신호 송수신부(133)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체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송신부(134)는 특정 시간 내에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되어 비상 정보 관리부(135)에 저장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비상 정보 관리부(135)는 비상 단말 설정 절차를 제공하며, 비상 단말 설정 절차를 통해 비상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비상 단말을 저장한다. 이때, 비상 단말 설정 절차를 통해 미리 지정된 비상 단말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있는 비상 기관(예를 들어, 병원, 119 등)의 단말을 함께 저장한다.
사용자의 활동 반경이란 사용자가 이용하는 병원이 속해있는 지역 및 사용자의 방문 지역 중 특정 횟수 이상 방문한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있는 비상 기관(예를 들어, 병원, 119 등)의 단말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신속히 알릴 수 있다.
사용자의 활동 반경이란 사용자가 이용하는 병원이 속해있는 지역 및 사용자의 방문 지역 중 특정 횟수 이상 방문한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 반경에 있는 비상 기관(예를 들어, 병원, 119 등)의 단말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신속히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상 정보 관리부(135)는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방문한 지역의 좌표 정보를 수집한 후 지역 수집 그래프에 좌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상기 비상 정보 관리부(135)는 지역 수집 그래프에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치한 후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과 좌표 정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해당 클러스터로 좌표 정보를 클러스팅 시킨다. 그런 다음, 클러스터 별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비상 기관을 추출한 후 비상 기관의 단말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6)는 제어 모듈(13)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생체 상태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거나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이상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6)는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고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특정 시간 내에 신호 송수신부(133)를 통해 경고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 개인 정보, 현재 생체 정보 및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는 응급 문자 메시지를 비상 정보 관리부(135)에 저장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6)는 신체 이상 판단부(132)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가 신체 위험 판단 결과를 지시하면 신호 송수신부(133)를 제어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실행하지 않고 메시지 송신부(134)를 제어하여 즉시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를 통하여 심박도를 측정하여 심박이 존재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맥박의 깊이를 측정하여 해당 깊이가 일정 깊이로 판단되는 경우, 표시 모듈(12)을 통하여 심박도/깊이/압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의 본체부(10)에는 센서 모듈(11), 표시 모듈(12) 및 제어 모듈(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본체부(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10)의 플렉시블 기판에 내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공급모듈은 본체부(10)와 별도로 구성되어 본체부(10)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모듈은 박막 형태의 플렉시블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어 본체부(10)가 구부러질 경우, 전원공급모듈도 본체부(10)와 함께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표준 생체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준 생체 그래프는 생체 종류 별로 존재하며 X축은 표준 생체 지수를 지시하고, Y축은 시간을 지시한다. 표준 생체 그래프는 X축의 표준 생체 지수에 따라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을 포함한다.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를 표준 생체 그래프에 마크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 중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에 마크(401, 402)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 중 압력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이 경고 구간(420)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특정 시간 내에 상기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 중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 수치에 해당하는 구간이 위험 구간(430)에 해당하면, 상기와 같이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실행하지 않고 즉시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 및 현재 마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401) 및 현재 마크(402) 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상이면, 현재 마크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현재 마크(402)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410), 경고 구간(420) 및 위험 구간(430) 중 안전 구간(410)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상기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현재 마크(402)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420) 또는 위험 구간(430)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현재 마크(402)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420)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며, 현재 마크(402)가 표준 생체 그래프의 위험 구간(430)에 위치하면 경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응급처치 중에서 하임리히법과 CPR기법을 숙달하지 않은 일반인이 수행할 때 압박 깊이와 방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심장마비의 경우 장치를 환자의 팔목에 접촉시키면 환자의 맥박을 측정해 심장마비 환자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며, 메트로놈을 통해 정해진 박자에 맞게 CPR기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다
종래 기술인 CPR 장치는 압력센서와 가속도센서 중 하나만 이용하여 정확성과 효율성이 떨어졌는데, 본 발명은 두 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압력의 세기와 깊이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를 줄인다. 일반적인 기도폐쇄 환자의 경우 의식을 잃기 시작하면 CPR기법을 실시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하임리히법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CPR기법만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는 소형 사이즈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며 직관적인 사용법으로 응급처치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심장마비의 경우 맥박 측정이 어려워 전문가들도 맥박을 확인하는 데에 오랜 시간을 지체하거나 생략하는데 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빠르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빠른 처치가 가능하고 상태모니터를 통해 정확한 처치가 이뤄지고 있는지 쉽고 편리하게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의 결합부 내부에는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충진재가 도포될 수 있다. 충진재는 테레프탈산 70몰%와 무수프탈산 30몰%가 디카르본산 성분이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디올 성분의 75몰%가 에틸렌글리콜, 25몰%가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로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반응계에 폴리에스테르 무게에 대해 40 ~ 400ppm의 트리멜리트산 성분을 첨가하여 축중합 시킨 충진재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성분은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 및 그것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의 혼합물이고, 디카르본산 성분의 70몰%가 테레프탈산 성분이고, 30몰%가 무수프탈산성분이다.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의 조성비를 상기 범위로 한정시킨 이유는 얻어진 중합체의 접착 성능 등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 무수프탈산의 함량이 30몰% 미만이면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결정이 형성되고 연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공 온도의 상승원인이 되고, 또 무수프탈산의 함량이 30몰%을 초과하게 되면 연화 온도 저하 효과는 미약해지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물성 저하 등의 원인이 된다. 또 본 발명에서 디올성분의 조성비는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기로는 75몰%가 에틸렌글리콜 성분이고 25몰%가 디에틸렌글리콜 성분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를 이 범위로 한정시킨 이유는 얻어진 중합체의 연화 온도와 접착 성능 및 가공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25몰% 미만이면 목적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또 25몰%을 초과하게 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시작 온도가 60℃ 미만으로 너무 낮아져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트리멜리트산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을 상기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에 관련된 충진재의 축중합시 반응 온도의 저하와 반응 시간의 단축을 가능케 하여 색상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섬유상으로 방사 및 연신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트리멜리트산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40ppm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가교제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고, 또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400ppm을 초과하게 되면 반대로 급격한 가교 현상에 의하여 중합 및 방사, 연신시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부 11: 센서 모듈
12: 표시 모듈 13: 제어 모듈
131: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 132: 신체 이상 판단부
133: 신호 송수신부 134: 메시지 송신부
135: 비상 정보 관리부 136: 제어부

Claims (3)

  1.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생체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생체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모듈 및 표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생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
    상기 생체 상태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생체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체 이상 판단부;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특정 시간 내에 상기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하는 메시지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결합부 내부에는 고정력 향상을 위하여 충진재가 도포되되, 상기 충진재는 테레프탈산 70몰%와 무수프탈산 30몰%가 디카르본산 성분이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디올 성분의 75몰%가 에틸렌글리콜, 25몰%가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로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반응계에 폴리에스테르 무게에 대해 40
    Figure 112020065034723-pat00005
    400ppm의 트리멜리트산 성분을 첨가하여 축중합 시킨 충진재이고,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는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이상 판단부는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상기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에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생체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이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경고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기 표준 생체 그래프 각각에 표시된 이전 마크 및 현재 마크 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상이면,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 경고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안전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현재 마크가 상기 표준 생체 그래프의 경고 구간 또는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며,
    상기 특정 시간 내에 상기 경보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현재 위치, 개인 정보, 현재 생체 정보 및 비상 연락처를 포함하는 응급 문자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비상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KR1020180122262A 2018-10-15 2018-10-15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KR10217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62A KR102173308B1 (ko) 2018-10-15 2018-10-15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62A KR102173308B1 (ko) 2018-10-15 2018-10-15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9A KR20200042109A (ko) 2020-04-23
KR102173308B1 true KR102173308B1 (ko) 2020-11-03

Family

ID=704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62A KR102173308B1 (ko) 2018-10-15 2018-10-15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775A (ko) 2021-01-08 2022-07-1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폐쇄 시 사용하는 응급 처치 장치
KR102690593B1 (ko) 2021-12-29 2024-08-05 서울특별시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768B1 (ko) * 2020-10-29 2022-07-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혈압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96B1 (ko) * 2016-06-17 2017-12-20 이한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89B1 (ko) * 2013-08-2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513708B2 (ja) * 2014-05-23 2019-05-1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モジュール型センサー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調整可能なウェアラブルシステム
KR102463383B1 (ko) 2015-02-27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96B1 (ko) * 2016-06-17 2017-12-20 이한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775A (ko) 2021-01-08 2022-07-1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폐쇄 시 사용하는 응급 처치 장치
KR102690593B1 (ko) 2021-12-29 2024-08-05 서울특별시 응급 처치 시간을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9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308B1 (ko) 응급처치 보조용 웨어러블기기
US20210212616A1 (en) Wearable device with multimodal diagnostics
ES2777310T3 (es) Procedimiento para medir señales biológicas y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para el mismo
KR101304549B1 (ko) 손목형 맥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박 측정 방법
CN111372506B (zh) 使用可穿戴设备预测甲状腺毒症的系统和计算机程序
US20140200465A1 (en) Monitoring Left Ventricle End Diastolic Pressure
WO2009105337A3 (en) Continuous medicament sensor system for in vivo use
KR101631666B1 (ko) 피부 부착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
JP6285897B2 (ja) 生体情報読取装置
KR102532412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2357B1 (ko) 센서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생체 정보의 관리 방법
KR20150061218A (ko) 광용적 맥파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용적 맥파 측정 방법
CN105534485B (zh) 伤口出血监测系统及方法
KR102568715B1 (ko) 휴대용 복합 생체신호 측정장치
GB2584221A (en) Wearable diagnostic device
EP3721790B1 (en) Continuou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using sensor usage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RU181546U1 (ru) Персональное нару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и анализа биометр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US20220313146A1 (en) Pregnancy detection from wearable-based physiological data
US20220386899A1 (en) Wearable device to identify medical emergencies and notify
CN106137160A (zh) 一种多功能手环
CN212346510U (zh) 一种监测生命体征的腕表
JP3388522B2 (ja) 血圧測定システムおよび血圧値演算装置
JP2005087640A (ja) 非侵襲式生体情報測定装置
KR102209534B1 (ko) 생체신호 측정 및 경고 장치
JP3388523B2 (ja) 血圧測定システムおよび血圧値演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