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906B1 -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906B1
KR102171906B1 KR1020190097411A KR20190097411A KR102171906B1 KR 102171906 B1 KR102171906 B1 KR 102171906B1 KR 1020190097411 A KR1020190097411 A KR 1020190097411A KR 20190097411 A KR20190097411 A KR 20190097411A KR 102171906 B1 KR102171906 B1 KR 10217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rification
certificate
code
optic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제국 filed Critical (주)소프트제국
Priority to KR102019009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9/004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K2209/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증명서류 검증방법은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내용이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A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A CERTIFICATION BASED ON AN OCR(optical character reader)}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에서의 문서 위조/변조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공서나 기타 기관 또는 회사에서 민원인이나 고객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급한 증명문서의 위조 및 원본 확인을 위한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각종 문서와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들이 컴퓨터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인터넷이나 이메일 및 디지털 저장 매체들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서류발급절차 및 처리 등과 같이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절차들이 온라인 상에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은행에 가야만 각종 금융 처리를 할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여 집/ 사무실에서도 편하게 계좌조회 또는 계좌이체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소득공제, 재직증명, 원천징수 증명서의 경우에도 지금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상으로 언제든지 발급 받아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렇게 발급되는 증명서류의 경우 손쉽게 복사나 위변조가 가능해 지기 때문에 원본임을 증명하기 위해 기존 오프라인 증명서와 대비하여 비교적 복잡한 검증절차가 도입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검증을 위해서는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인터넷을 통해 검증 서버에 접속해야만, 검증이 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4568호, 2003.09.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특정 서버를 경유할 필요없이 OCR기반으로 추출된 문서의 문자 데이터와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는, 상기 문서의 중요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을 광학문자인식(OCR)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코드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일치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상기 검증 데이터를 기초로 변조되기 전 증명서류를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상기 증명서류에서 인식되는 문자 데이터에서 소정 문자 또는 소정 숫자를 제외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데이터는 암호화 되어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는 카메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연산; 상기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연산;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연산;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는, 상기 문서의 중요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을 광학문자인식(OCR)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상기 증명서류에서 인식되는 문자 데이터에서 소정 문자 또는 숫자를 제외한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장소/시간/인터넷 연결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OCR기반으로 추출된 문서의 문자 데이터와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을 위해 민감한 정보를 검증서버가 보유하지 않아도 되며, 기간계 시스템 접속 없이도 증명문서 검증이 가능해 진다.
나아가, 중요 데이터의 일부를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저장하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변형, 수정된 서류의 원본을 추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증명서류의 위조여부를 검증 해 볼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에서 중요 데이터만을 문자인식하여 추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증명서류(200)를 촬영한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202)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 데이터는 증명 문서에 포함된 항목명을 제외한 텍스트 데이터나 검증을 위해 일부 문자나 숫자가 제외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증명서류의 항목이 "성명"인 경우 항목명은 중요하지 않고, "성명" 자체만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중요 텍스트 만이 중요 데이터로 분류되고, 검증 데이터로 암호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소정 영역(201)에서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QR코드 또는 바코드(202)에서 인식된 검증 데이터와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장소/시간/인터넷 연결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OCR기반으로 추출된 문서의 문자 데이터와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을 위해 민감한 정보를 검증서버가 보유하지 않아도 되며, 기간계 시스템 접속 없이도 증명문서를 검증할 수 있다.
나아가, 중요 데이터의 일부를 QR코드 또는 바코드로 저장하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변형, 수정된 서류의 경우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를 복원하여 원본 증명서류를 추정해 볼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광학문자 인식 방법에 기초한 증명서류 검증 방법 및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20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은,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증명서류의 중요 내용이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중요 데이터는 증명 문서에 포함된 항목명을 제외한 텍스트 데이터나 검증을 위해 일부 문자나 숫자가 제외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중요데이터를 선별하는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은,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한다. 한편, 광학문자 인식 데이터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소 2회 이상 반복 인식을 수행하여, 오차를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은, 검증 데이터와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한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방법은,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한다. 예컨대 검증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일치한다면 일치한다고 표시하고, 일부 불일치 한다면 불일치하는 퍼센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에서 중요 데이터만을 문자인식하여 추출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증명서류에서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소정영역(300)에 대한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문자인식이 수행된 후 추출된 문자데이터(310)에 대해서 중요 데이터를 선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요데이터는 증명문서에 포함된 항목명을 제외한 텍스트(320) 일 수 있다. 예컨대, 증명서류의 항목이 "성명"인 경우 항목명은 중요하지 않고, 성명자체만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중요 텍스트 만이 중요 데이터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요데이터는 증명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에서 검증을 위해 일부 문자나 숫자가 제외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3의 330에 도시되듯이 OCR을 통해 인식된 문제데이터(310) 중에서 숫자 데이터(330)만 남은 데이터가 중요 데이터로 선별될 수 있다.
한편, 선별된 중요 데이터는 그대로 코드화 되어 검증데이터로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저장되거나 또는 검증 데이터로 암호화 되어 저장되어, 추후 문서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광학문자인식(OCR)명령 코드 및 증명서류의 중요 내용이 기록된 검증데이터 추출한다. 예컨대, 증명서류를 촬영할 때마다 광학문자인식을 수행하게 되면, 검증장치의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을 수 있으므로, 광학문자인식 명령 코드를 인식할 때만 증명서류 검증장치가 광학문자인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학문자인식(OCR)명령은 리소스를 줄이기 위해 증명서류에서 소정 영역에 대해서만 광학문자인식을 수행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증명서류 검증장치가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일 경우, 광학문자인식(OCR) 명령코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10에서,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인식된 명령코드에 따라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에서 소정 영역에 대한 광학문자인식(OCR)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420에서,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인식된 문자 데이터에서 중요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430에서,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추출된 검증 데이터와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중요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440에서,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0 내지 단계 S520은 각각 도2의 단계 S200 내지 S220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530에서,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은, 증명문서 검증단계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추출된 검증데이터와 OCR을 통해 추출된 문자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일치한다면, 단계 S540으로 진행하여 검증을 통과하였음을 검증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검증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은 푸시 메시지, 알림창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단계 S550으로 진행하여 불일치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검증 데이터를 기초로 변조되기 전 증명서류를 복원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요 데이터로서 성명, 주민등록 번호 등이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복원하여 증명서류에서 OCR된 데이터 중 어떠한 데이터가 변조 되었는지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만약 OCR이 오인식 되어 불일치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직접 QR코드 또는 바코드로부터 복원된 데이터와 실제 증명서류를 육안으로 비교하여 증명서류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카메라(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명서류 검증장치(100)의 동작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400)를 통해서 실행시킴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연산, 상기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연산, 상기 검증 데이터와 상기 광학문자인식을 통해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연산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는 문서의 중요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을 광학문자인식(OCR)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상기 증명서류에서 인식되는 문자 데이터에서 소정 문자 또는 숫자를 제외한 결과일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이 도시되었으나, 통신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 다양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생략되더라도 도 2, 도 4 및 도 5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 더 포함 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0)는 렌즈 및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표시 장치와,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에는 촬영된 영상에 증강현실 컨텐츠가 합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14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 정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그램 내지 명령은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장치(10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명령)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 31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140)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140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증명서류 검증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치아 모델링장치(100) 내, 외부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명서류 검증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증명서류 검증장치(100)간 또는 다른 서버 또는 다른 외부 장치간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추출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증명서류 검증장치
200 : 증명서류
201 : 광학 문자인식 영역
202 : QR코드(Quick Response Code)

Claims (10)

  1. 증명서류를 촬영한 영상 내에서 QR코드 및 바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내에는,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을 광학문자인식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단계는, 상기 명령코드가 인식될 경우에만 상기 영역을 광학문자인식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단계는,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일치 사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단계는,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증 데이터를 기초로 변조되기 전 증명서류를 복원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상기 증명서류에서 인식되는 문자 데이터에서 소정 문자 또는 소정 숫자를 제외한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암호화 되어 상기 코드에 저장되는,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7. 카메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QR코드 및 바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코드에서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기록된 검증 데이터를 추출하는 연산;
    상기 촬영된 증명서류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검증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통해 추출하는 연산;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명문서를 검증하는 연산; 및
    상기 검증 결과를 단말에 표시하는 연산;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 내에는, 상기 증명서류의 중요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을 광학문자인식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연산은, 상기 명령코드가 인식될 경우에만 상기 영역을 광학문자인식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 데이터는,
    상기 증명서류에서 인식되는 문자 데이터에서 소정 문자 또는 소정 숫자를 제외한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학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증명서류 검증 프로그램.
KR1020190097411A 2019-08-09 2019-08-09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KR10217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11A KR102171906B1 (ko) 2019-08-09 2019-08-09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11A KR102171906B1 (ko) 2019-08-09 2019-08-09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906B1 true KR102171906B1 (ko) 2020-10-30

Family

ID=7304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411A KR102171906B1 (ko) 2019-08-09 2019-08-09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9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568A (ko) 2003-08-30 2003-09-19 주식회사 마크애니 문서 위조/변조 방지 시스템
KR20080048159A (ko) * 2006-11-28 2008-06-02 주식회사 마크애니 전자문서 자동 위변조 검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568A (ko) 2003-08-30 2003-09-19 주식회사 마크애니 문서 위조/변조 방지 시스템
KR20080048159A (ko) * 2006-11-28 2008-06-02 주식회사 마크애니 전자문서 자동 위변조 검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36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rdless use of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US100493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 repository
US9773277B2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information registration
US9483629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US10380237B2 (en)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CN107785021B (zh) 语音输入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KR102135998B1 (ko) 바코드 생성 및 바코드에 기초한 인증
WO2018235055A1 (en) FACIAL BIOMETRIC CARD EMULATION FOR IN-STORE PAYMENT AUTHORIZATION
US10158630B2 (en)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based on interaction with additional device
US11741453B2 (en) Key-pad centric payments
CN110785773A (zh) 票据识别系统
JP2011060107A (ja) 証明書判定装置、証明書判定方法および証明書判定プログラム
JP2020027378A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71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JP6925940B2 (ja) 本人確認システム及び本人確認方法
CN113850587A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13177797A (zh) 用户身份信息认证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633271A (zh) 一种基于ocr识别的金融交易系统认证方法
KR102171906B1 (ko) 광학 문자 인식 기반 증명서류 검증 방법
US112105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rollment and identity management using mobile imaging
WO2015160988A1 (en) Smart optical input/output (i/o) extension for context-dependent workflows
US119241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an imaged machine-readable identity document
US11669895B1 (en) Digital banker application system
US12008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rollment and identity management using mobile imaging
RU2652946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платежных доку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