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79B1 -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79B1
KR102171379B1 KR1020200121318A KR20200121318A KR102171379B1 KR 102171379 B1 KR102171379 B1 KR 102171379B1 KR 1020200121318 A KR1020200121318 A KR 1020200121318A KR 20200121318 A KR20200121318 A KR 20200121318A KR 102171379 B1 KR102171379 B1 KR 10217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tourniquet
hole
fixed
slab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태
이용운
Original Assignee
박건태
이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태, 이용운 filed Critical 박건태
Priority to KR102020012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7Tensioning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혈대에 있어서, 피부와 접촉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 상부의 전면에 고정되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부에 감기는 슬랩밴드와, 상기 슬랩밴드에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지혈이 필요한 신체부위가 얇아 육자고리(50) 홈에 끼워지고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확장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에 고정되되, 홈 형태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이부로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육자고리로 구성되어 출혈 부위에서 압박 붕대 및 지혈 밴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키거나 이탈시키고, 착용 후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착용 가능하며, 지혈대를 착용하고자 하는 환자의 출혈부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지혈대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TOURNIQUET}
본 발명은 지혈이 필요한 환자의 신체부위에 신속하게 지혈대를 착용시키고 결박하여 지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러 가지 원인 및 사고에 의해 팔, 다리에 골절이나 총상, 열상, 자상 등에 의해 동맥출혈이 발생하면 지속적인 출혈에 의해 혈압저하 등을 유발하여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전체 혈액량의 10% 이상이 출혈로 소실되면 위험해지기 시작하고 약 30%(1500cc)이상의 심한 출혈은 생명을 잃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출혈 시 현장에서 즉각적이며 정확한 지혈 처치가 시행되어야 한다.
지혈대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출혈을 멈추기 위한 것이다. 지혈은 출혈 부위를 직접 압박하거나 그 주변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종래의 압박 붕대 및 지혈 밴드는 응급상황에서 출혈 부위를 감싸는 구조이므로, 신속한 착용이 어렵고, 해체시에는 출혈 부위를 감싸고 있는 붕대 및 밴드를 풀어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박 붕대 및 상기 지혈 밴드는 출혈 부위를 감싸고 반창고 및 클립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붕대 및 밴드의 고정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환부의 위치에 따라서, 즉 지혈이 필요한 환부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허벅지 부위인지, 상대적으로 얇은 팔목 부위인지에 따라 밴드의 너비가 조절될 수 없어 사용상에 있어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 손만으로 지혈대를 착용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착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9761호, '다이얼식 지혈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출혈 부위에서 압박 붕대 및 지혈 밴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키거나 이탈시키고, 착용 후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환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착용 가능한 지혈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지혈대에 있어서, 피부와 접촉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 상부의 전면에 고정되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부에 감기는 슬랩밴드와, 상기 슬랩밴드에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지혈이 필요한 신체부위가 얇아 육자고리(50) 홈에 끼워지고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확장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에 고정되되, 홈 형태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이부로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육자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 및 상기 슬랩밴드의 전면에서, 양 단이 상기 하부커버의 양 단과 고정되는 조임끈; 및 상기 하부커버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커버 및 상기 조임끈 하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테두리가 상기 하부커버의 테두리와 고정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고정된 상기 하부커버, 상기 슬랩밴드,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상부커버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제1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끈은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관통홀의 전방에 상기 조임끈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관통홀 전방에 노출된 상기 조임끈에 고정되는 조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혈 부위에서 압박 붕대 및 지혈 밴드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속시키거나 이탈시키고, 착용 후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착용 가능하며, 지혈대를 착용하고자 하는 환자의 출혈부 굵기에 대응하여 지혈대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 구성이 분해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지혈대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가 신체에 착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자고리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 구성이 분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지혈대(1)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는 하부커버(10), 슬랩밴드(20), 조임끈(30), 상부커버(40), 육자고리(50), 어댑터(60) 및 조임바(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버(10)는 피부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커버(10)의 전면에는 다른 구성들이 체결되고, 하부커버(10)의 후면은 사용자의 신체(B)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은 하부커버(10)에 슬랩밴드(20)가 배치되는 방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커버(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되, 지혈이 필요한 신체 부위 팔뚝, 허벅지 등 신체 부위의 둘레에 무관하게 어떤 신체 부위에도 감싸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10)는 제1 벨크로접착면(11) 제2 벨크로접착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벨크로접착면(11)과 제2 벨크로접착면(12)은 하부커버(10)의 하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벨크로접착면(11)과 제2 벨크로접착면(12)은 서로 접촉됨으로써 밀착고정될 수 있다. 제1 벨크로접착면(11)과 제2 벨크로접착면(12)에 의해, 지혈대(1)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감싸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4 내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슬랩밴드(20)는 하부커버(10)보다 짧게 형성되어, 하부커버(10) 상부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슬랩밴드(20)의 폭은 하부커버(10)의 폭 이하로 형성되고, 하부커버(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슬랩밴드(20)의 양단은 하부커버(10)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슬랩밴드(20)의 길이가 감싸는 신체 부위의 굵기보다 더 길 경우 육자고리(50) 홈에 넣어 구부리기가 어려울 수 있다. 슬랩밴드(20) 길이가 육자고리(50)의 홈에 들어갈 정도로 길더라도 홈에 끼워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일정 길이 만큼 슬랩밴드(20) 끝단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슬랩밴드(2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슬랩밴드(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전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랩밴드(20)의 폭방향 중심에 볼록하게 만곡한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랩밴드(20)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외부의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질 때, 슬랩밴드(20)가 만곡된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슬랩밴드(2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또는 충돌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소멸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만곡된 부분에 외부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양 단이 일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슬랩밴드(20)의 후면측이 사용자의 신체(B)와 충돌할 경우, 만곡된 부분이 후면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충돌한 사용자의 신체(B)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육자고리(50)는 합성수지나 금속재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금속재로 육자고리(50)를 형성할 수 있다.
육자고리(50)는 지혈시 신체를 압박하기 위해 슬랩밴드(20)가 설치된 하부커버(10)를 당겨 조이게 됨에 따라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내구성이 떨어져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로 육자고리(50)를 형성하는 경우 육자고리(50)에 힘살이 형성되도록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하면서도 강도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랩밴드(20)는 외력이 발생하면 둥글게 말리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소위 요술 팔찌, 그리기 팔찌, 원터치 팔찌라고 불리는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임끈(30)은 하부커버(10) 및 슬랩밴드(20)의 전면에 배치되되, 조임끈(30)은 슬랩밴드(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부커버(10)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조임끈(30)의 양 단은 하부커버(10)의 양 단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임끈(30)는 후술할 조임바(70)에 의해 중심부가 감기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상부커버(40)는 하부커버(10)보다 짧게 형성되되, 하부커버(10) 및 조임끈(30) 하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임끈(30) 하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40)가 하부커버(10) 전면에 배치될 때, 상부커버(40)는 하부커버(10)의 상부에 배치된 슬랩밴드(20)의 단부 부분만 겹치도록 배치되거나, 소정의 길이만 슬랩밴드(40)와 겹치지 않도록 하부커버(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40)는 하부커버(10)와 고정될 때, 상부커버(40)의 테두리는 하부커버(10)의 테두리와 고정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커버(40)와 하부커버(10)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조임끈(30)이 삽입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육자고리(50)는 하부커버(1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육자고리(50)는 서로 고정된 하부커버(10), 슬랩밴드(20), 조임끈(30) 및 상부커버(4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혈대(1)가 신체를 압박하도록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육자고리(50)는 삽입홀(51) 및 걸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51)에는 하부커버(10)의 상단이 관통하여, 육자고리(50)와 하부커버(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부커버(10)의 상단은 삽입홀(51)에 삽입되어 절곡되고, 절곡된 하부커버(10)의 단부는 하부커버(10)의 일면과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재봉틀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걸이부(52)는 하부커버(1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걸이부(52)는 일 측이 개방된 홈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하부커버(10)의 상부에 고정된 슬랩밴드(20)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싼 뒤, 하부커버(10), 조임끈(30) 및 상부커버(40)가 서로 고정되어 지혈대(1)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이 걸이부(52)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지혈대(1)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할 수 있도록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어댑터(60)는 서로 고정된 하부커버(10), 슬랩밴드(20), 조임끈(30) 및 상부커버(40)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61, 62, 6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댑터(60)는 제1 관통홀(61), 제2 관통홀(62) 및 제3 관통홀(6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고정된 하부커버(10), 슬랩밴드(20), 조임끈(30) 및 상부커버(40)는 제1관통홀(61), 제2 관통홀(62), 제3 관통홀(63)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부커버(40)의 상단은 제1 관통홀(61)을 통과하여, 제1 관통홀(61)과 제2 관통홀(6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임끈(30)은 제1 관통홀(61), 제2 관통홀(62) 및 제3 관통홀(6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관통홀(62)의 상측에서 조임끈(30)이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조임바(70)는 제2 관통홀(62)의 상측에서 노출되는 조임끈(3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임바(7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조임끈(30)이 조이면서 조임끈(3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바(70)의 일 영역에 조임끈(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임바(70)가 회전하게 되면, 조임끈(30)이 조임바(7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조임끈(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감기게된다. 이에,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40) 사이의 조임끈(30)의 길이게 짧아지게 되면서, 지혈대(1)가 감싸고 있던 신체(B)가 압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가 신체(B)에 착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가 신체(B)에 착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지혈대(1)의 상부가 사용자의 신체(B)와 충돌하면, 지혈대(1)의 상부에 배치된 슬랩밴드(20)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슬랩밴드(20)가 사용자의 신체(B)를 감싸도록 후면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혈이 필요한 신체(B) 부위에 지혈대(1)의 상부를 터치하게 되면, 슬랩밴드(20)에 의해 자동으로 지혈대(1)가 신체(B)부위를 감싸게 된다.
이후, 지혈대(1)의 하부를 육자고리(50)의 걸이부(52)에 끼울 수 있다. 이때, 걸이부(52)는 일 면이 개방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혈대(1)의 하부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걸이부(52)에 지혈대(1)의 하부가 삽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하측으로 늘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0)의 제1 벨크로접착면(11)이 제2
벨크로접착면(12)과 접착되도록, 하부커버(10)의 하단을 하부커버(10)의 전면과 접촉되도록 절곡시킬 수 있다. 제1 벨크로접착면(11)과 제2 벨크로접착면(12)이 접착 고정됨으로써, 지혈대(1)가 신체(B)를 감싸는 형태가 완성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바(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임바(70)와 연결된 조임끈(30)이 외부로 노출되며 조임으로써, 지혈부위가 압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 고정부(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지혈대(1)는 거즈 고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즈 고정부(90)는 출혈이 있는 부위를 지혈할 때, 거즈를 고정하여 지혈대(1)에 피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즈 고정부(90)를 포함하는 경우, 하부커버(10)의 후면 상부에는 부착부재(8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거즈 고정부(90)는 플레이트(91), 합착부재(92) 및 고정핀(9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91)는 거즈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써,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91)는 단단한 재질이 아닌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91)의 폭은 하부커버(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합착부재(92)는 하부커버(10)의 후면 상부에 설치된 부착부재(80)와 부착될 수 있다. 합착부재(92)는 부착부재(80)과 대응되는 크기 및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합착부재(92)와 부착부재(80)는 벨크로로 구성되어 서로 접촉 고정될 수 있다.
합착부재(92)와 부착부재(80)가 부착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91)가 하부커버(10)의 후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플레이트(91)의 후면에 거즈를 밀착시켜, 출혈이 있는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고정핀(92)은 거즈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핀(92)이 거즈를 관통함으로써, 거즈가 고정핀(9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92)은 돌출부(931), 샤프트(932) 및 회전돌기(9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31)는 플레이트(91)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회전돌기(933)가 샤프트(932)에 의해 돌출부(931)와 체결될 수 있다. 회전돌기(933)는 돌출부(931)와 일 직선을 유지하거나,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회전돌기(933)의 단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즈가 회전돌기(933)를 관통하게 될 때,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거즈가 삽입된 후에 회전돌기(933)가 돌출부(931)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됨으로써, 거즈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랩밴드(20)는 슬랩밴드(20)에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지혈이 필요한 신체부위의 두께에 맞게 슬랩밴드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1)는 슬랩밴드(20)의 몸체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슬랩밴드(20)가 지혈부위에 감겨짐에 따라 하부커버(10)가 자동으로 지혈부위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슬랩밴드(20)의 길이가 지혈되는 신체부위 두께보다 짧은 경우 이를 보조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슬랩밴드(20)에 의해 하부커버(10)가 자동으로 지혈부위에 감싸지게 되는 것이나 슬랩밴드(20)의 길이가 짧은 경우 감겨진 슬랩밴드(20)가 지혈부위에서 풀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환자 스스로 지혈대(1)를 착용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슬랩밴드(20)의 길이를 단순히 길게 하여 신체부위를 감고도 남는 경우 환자가 한손으로 육자고리(50)의 홈에 슬랩밴드(20)를 끼우기 어렵게 되어 신속한 착용이 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슬랩밴드(20)의 전체길이를 단순히 길게 할 경우 지혈되는 신체부위가 얇은 환자의 경우에는 슬랩밴드(20)가 신체부위 전체를 한바퀴 감쌀 수 있지만 남은 슬랩밴드(20) 부분을 육자고리(50) 홈에 끼워 구부리기가 어려울 수 있다.
슬랩밴드(20)는 어느 신체부위에 착용되더라도 지혈대를 용이하게 착용하기 위해 육자고리(50)에 쉽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길이가 확장부(21)에 의해 조절하여 육자고리(50)의 홈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얇은 신체부위에 슬랩밴드(20)를 착용하더라도 슬랩밴드(20)의 확장부(21)가 육자고리(50) 홈에 잘 끼워지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슬랩밴드(20)의 끝단에 폭이 좁은 확장부(21)가 연장형성되게 한다.
탄성작용에 의해 지혈부위에 감겨지는 슬랩밴드(20)는 지혈부위를 완전히 감싸는것 보다 2/3정도로만 감겨지는 것이 착용감이 좋은 것이며, 이를 위해 지혈부위가 두꺼운 환자의 경우 슬랩밴드(20)의 몸체가 1차로 감싼 상태에서 이보다 폭이 좁은 확장부(21)에 의해 2차로 감싸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지혈대 (10)-- 하부커버
(11)-- 제1 벨크로접착면 (12)-- 제2 벨크로접착면
(20)-- 슬랩밴드 (21)-- 확장부
(30)-- 조임끈 (40)-- 상부커버
(50)-- 육자고리 (51)-- 삽입홀
(52)-- 걸이부
(60)-- 어댑터 (61)-- 제1 관통홀
(62)-- 제2 관통홀 (63)-- 제3 관통홀
(70)-- 조임바 (80)-- 부착부재
(90)-- 거즈 고정부 (91)-- 플레이트
(92)-- 합착부재 (93)-- 고정핀
(931)-- 돌출부 (932)-- 샤프트
(933)-- 회전돌기

Claims (5)

  1. 지혈대에 있어서,
    피부와 접촉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 상부의 전면에 고정되되,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부에 감기는 슬랩밴드와,
    상기 슬랩밴드에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지혈이 필요한 신체부위가 얇아 육자고리(50) 홈에 끼워지고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확장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단에 고정되되, 홈 형태의 걸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이부로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육자고리와,
    상기 하부커버 및 상기 슬랩밴드의 전면에서, 양 단이 상기 하부커버의 양 단과 고정되는 조임끈; 및 상기 하부커버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커버 및 상기 조임끈 하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테두리가 상기 하부커버의 테두리와 고정되는 상부커버와,
    서로 고정된 상기 하부커버, 상기 슬랩밴드,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상부커버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어댑터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어댑터의 제1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임끈은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관통홀의 전방에 상기 조임끈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 전방에 노출된 상기 조임끈에 고정되는 조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KR1020200121318A 2020-09-21 2020-09-21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KR10217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18A KR102171379B1 (ko) 2020-09-21 2020-09-21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18A KR102171379B1 (ko) 2020-09-21 2020-09-21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379B1 true KR102171379B1 (ko) 2020-10-28

Family

ID=7301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18A KR102171379B1 (ko) 2020-09-21 2020-09-21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515A (ko) 2022-01-13 2023-07-20 한우석 지혈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3394A (en) * 1957-08-16 1959-07-07 George W Fillauer Sr Tourniquet
KR20080000609U (ko) * 2006-10-18 2008-04-23 박병성 손목시계용 밴드
KR20120098766A (ko) * 2009-12-09 2012-09-05 택티컬 메디컬 솔루션즈, 인크. 지혈대
US20150164513A1 (en) * 2010-09-14 2015-06-18 Rex McDonald Self-locking tourniquet and automated timer
KR101559761B1 (ko) 2015-03-31 2015-10-19 주용빈 다이얼식 지혈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3394A (en) * 1957-08-16 1959-07-07 George W Fillauer Sr Tourniquet
KR20080000609U (ko) * 2006-10-18 2008-04-23 박병성 손목시계용 밴드
KR20120098766A (ko) * 2009-12-09 2012-09-05 택티컬 메디컬 솔루션즈, 인크. 지혈대
US20150164513A1 (en) * 2010-09-14 2015-06-18 Rex McDonald Self-locking tourniquet and automated timer
KR101559761B1 (ko) 2015-03-31 2015-10-19 주용빈 다이얼식 지혈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515A (ko) 2022-01-13 2023-07-20 한우석 지혈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3419B2 (en) Elastic adhesive wound dressing for control of bleeding and for dressing bleeding wounds
US4090508A (en) Orthopedic knee brace
US3989041A (en) Motion limiting supportive device
US3586001A (en) Medical compress
US5350418A (en) Gel shell splint
US5209718A (en) Pressure applying bandage or drsssing for superficial wounds
US20070038243A1 (en) Tactical combat tourniquet
ES2202685T3 (es) Cincha de epicondilitis.
KR102171379B1 (ko) 착용이 용이한 지혈대
US4033337A (en) Self-donned Sphygmomanometer cuff
KR101832924B1 (ko)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KR102389893B1 (ko) 손목보호대
KR102205524B1 (ko) 지혈대
KR102608393B1 (ko) 지혈대
WO2014136782A1 (ja)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その装着方法
US5584802A (en) Elastic knee-joint bandage
CN215129498U (zh) 一种股动脉压迫止血器
KR200356914Y1 (ko) 신축성을 갖는 지혈용 밴드
CN211131611U (zh) 一种应力刺激型手指骨折固定器
CN210447362U (zh) 一种战救用止血包扎异形绷带
CN211985830U (zh) 一种髌骨固定带
KR20200000681U (ko) 보호대
CN213047128U (zh) 止血带
KR200468799Y1 (ko) 지혈 밴드의 결속 장치
KR102635015B1 (ko) 드레싱용 헤드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