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59B1 -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59B1
KR102171359B1 KR1020180127847A KR20180127847A KR102171359B1 KR 102171359 B1 KR102171359 B1 KR 102171359B1 KR 1020180127847 A KR1020180127847 A KR 1020180127847A KR 20180127847 A KR20180127847 A KR 20180127847A KR 102171359 B1 KR102171359 B1 KR 10217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opening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6537A (en
Inventor
윤준호
Original Assignee
윤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호 filed Critical 윤준호
Priority to KR102018012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59B1/en
Publication of KR2020004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IoT 기반의 개폐 장치가 개시된다. IoT 기반의 개폐 장치는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의 개폐되는 경우의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oT-based switchgear is disclosed.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enable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sensor unit that sense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including at least one IoT sensor, and the sensor unit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Description

IoT 기반의 개폐 장치{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IoT-based switchgear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IoT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using a plurality of IoT sensors.

일반적으로, 개폐 시스템은 사용자가 문 앞에 서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호텔이나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의 출입구에 주로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대형 건물뿐만 아니라 음식점,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도 개폐 시스템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In general,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designed to open automatically when a user stands in front of a door, or is designed to ope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is mainly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large buildings such as hotels and buildings. In addition, the spread of opening and closing systems is spreading to various buildings such as restaurants, banks, apartments, and hospitals.

한편, 이러한 개폐 시스템에 의해 도어가 열려있는 동안, 외부의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난방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동절기와 같이 건물 내부의 온도에 비해 건물 외부의 온도가 현저히 낮거나 건물 내외부의 압력 차이가 큰 경우에는 연돌 효과(Stack effect)로 인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속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door is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system,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resulting in a loss of cooling and heating.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outside the building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uilding, such as during winter, or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is large, the inflow of outside air may be accelerated due to the stack effect.

또한, 연돌 효과로 인한 외부 공기의 유입은 대형화 및 고층화된 건물에서 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의 기류 상승으로 인해 소음 발생, 엘리베이터 오작동, 배기가스 및 냄새의 확산, 결로 발생, 에너지 손실 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low of outside air due to the stack effect can be more serious in large and high-rise buildings, and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rise of airflow inside the building, elevator malfunctions, exhaust gas and odor spread, condensation occurs, energy loss, etc. May result in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어의 내외측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방 패턴을 학습하며, 사용자의 도어 개방 패턴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based opening/closing device tha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door, learns a user's door opening pattern using this, and provides a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 pattern.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IoT 기반의 개폐 장치는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의 개폐되는 경우의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enable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sensor unit that sense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including at least one IoT sensor, and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oor sensed by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IoT 기반의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 개폐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에 직선의 왕복운동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도어의 자동 개폐를 지원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동되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리니어 모터를 동작시키는 압저항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 외부의 우천 상황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상기 도어 내외부의 미세 먼지 수치를 감지하는 미세 먼지 센서, 상기 도어 내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도어 내외부의 라돈을 감지하는 라돈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해당 시점에의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획득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학습부 및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지역의 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환경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생활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생활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연계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mote contro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a display unit that outpu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inear motor that support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supplying linear reciprocating power to the door, and a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linear motor and operates the linear motor when pressure is applied. ,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raindrop detection sensor detecting a rainy condition outside the door, a fine dust sensor detecting a level of fine dust inside and outside the door, a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door, and detecting radon inside and outside the door And a radon detection sensor that,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control unit check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at a corresponding time point, sets the user's door open/close preference condition, and obtains it from the sensor unit Whe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satisfies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the learning unit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and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are check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area Then, the display unit searches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or analyzes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and searches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It may include a linked service provider that outputs to.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적절한 환기 등이 이루어지게 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difficulty,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providing adequate ventil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life by allow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ife patte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의 개폐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의 개폐 장치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ample of a driving unit applied to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of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시스템(1000)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nd a user terminal 100.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PC, 스마트폰, 테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input/output of inform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C, a smartphone, a tablet, etc., and a software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automatic door opening service is installed. Can be implemented.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와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로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도어의 개폐를 수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로부터 도어 내외부의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로부터 도어 내외부의 센싱 정보에 따른 각종 연계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도어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 또는 후술한 도어는 문, 창호 등 개폐 가능한 모든 구조물을 의미한다.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ervice with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remotely manu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transmitting a door opening or closing signal to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sensing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door from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100 may receive various related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door from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The IoT-based opening/closing device 200 may refer to the door itself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electrical signal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r later-described door means all structure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uch as doors and windows.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0)이 참여하는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to implement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ervi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participates.

본 실시예에서 도어는 자동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 또는 창호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oor may be a door or a window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nd may be a sliding door as shown in FIG. 1.

예를 들면, 도어는 내측에 상하 슬라이딩레일이 구비 되어 있고, 상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문틀프레임과, 문틀트레임의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모터 구동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를 구성하는 문틀프레임 등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a door has a door frame frame with an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inside and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at the top, and a plurality of doors installed to slide left and right by motor driving along the sliding rail of the door frame frame. It can be composed of. Here, the door frame frame constituting the door may be made of a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plast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resin, 2 to 4 parts by weight of a polyurethane dispersant, and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olystyrene sulfonate) 0.1 to 0.2 parts by weight, polystyrolsulfonic acid, N-methyl-2-pyrrolidone 3 to 5 parts by weight, triethyl amine 0.1 A first step of preparing a mixed composition by mixing ~0.3 parts by weight, 42 to 45 parts by weight of isopropyl alcohol and 50 to 52 parts by weight of water; A second step of pre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A third step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preheated mixed composition; A fourth step of 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A fifth step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heated mixed composition; A sixth step of preparing a plastic sheet by stretch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while cooling; And a seventh step of drying after applying the silicone to the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stic sheet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durability can be prepared by mixing various additives with a conventional PET resin, and preheating, dehumidifying, heating and cooling.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is a mixing step of raw materials, using a 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resin as the base resin, a polyurethane dispersant, a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and a police. This is a step of mixing polystyrolsulfonic acid, N-methyl-2-pyrrolidone, triethyl amine, isopropyl alcohol, and water.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PET resin, as a base resin, h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crystallinity, can be recycled, an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aster batch. Polyurethane dispersants function to improve miscibility with other ingredients.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olystyrolsulfonic acid, N-methyl-2-pyrrolidone and triethyl amine Functions as an antistatic agent. Since plastic sheet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are generally electrical insulators,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due to frictional charging, and severe discharge or electrical conduction can lead to accidents such as explosions and fires, so it is preferable to add a charging agent. . Isopropyl alcohol functions as an antifogging agent. The antifogging agent can suppress the formation of water droplets caused by water vapor that may occur when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or storing fruits, etc. by using a plastic sheet.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bove-described raw materials a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resin, 2 to 4 parts by weight of a polyurethane dispersant,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 ~0.2 parts by weight, polystyrolsulfonic acid (polystyrolsulfonic acid) 0.4 to 0.6 parts by weight, N-methyl-2-pyrrolidone (N-methyl-2-pyrrolidone) 3 to 5 parts by weight, triethyl amine It is preferable to mix 0.1 to 0.3 parts by weight, 42 to 45 parts by weight of isopropyl alcohol, and 50 to 52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added outside the above-described range,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antistatic agent, when mixed beyond each range, the surface of the plastic to be produced may be sticky, sealing properties and print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in the case of white plastic, yellowing may occur.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various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further mixed with the raw materials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the plastic sheet.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For example, a boron-based binder may be further mixed. The boron (B)-based binder is used to combine each component, and the boron-based binder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ET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boron-based binder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raw materials and the like cannot be effectively combin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boron-based binder exceeds 70 parts by weight, it is uneconomical.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garlic extract may be further mixed. Garlic extract is a natural adhesive component, and functions as a binder that improves miscibility with other constituents together with a boron-based binder. The garlic extract is peeled and pulverized, and then 2-3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added per 1 part by weight of garlic, heated at 80-100°C for 5 hours or more, and then the liquid component is extracted and filtered. It can be prepared by concentrating the liquid component at 55~60℃. The garlic extract is preferably mixed in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ET resin. If the content of the garlic extrac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raw materials cannot be properly entangled and thus the surface may not be formed evenly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plastic sheet.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dispersibility and mixing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are rather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apatite powder may be further mixed. Apatite powder functions as a filler, and maintains the shape of a plastic sheet to improve workability, maintain strength, and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patite is an inorganic material that exists in bones, and in order to use it as a filler, it is important to have a small particle size, high residual amount of carbonic acid, and low crystallinity. Preferably, the size of the apatite granules is 200 to 400 μm. For this, it is important to go through the sintering process at 500~700℃. When sintering at less than 500°C,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and crystallinity of the desired granules cannot be obtained, and when sintering exceeding 700°C, the residual amount of carbonic acid groups is low, and the crystallinity is too high. The apatite powder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20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ET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apatite powder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of lower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when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mpact resistance is weakened.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cork powder may be further mixed. Cork powder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lastic sheet together with the apatite powder. Cork powder can be prepared by removing the bark of the oyster oak and pulverizing it. It is preferable to use finely pulverized particles filtered through a mesh of 400 mesh or more in order to mix the cork powder with PET resin. The cork powder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1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ET resin. When the cork powder is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durability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25 parts by weight, voids may be formed inside the plastic during manufacture, so durability may be rather degraded.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further mix the extract of the herringbone. Conch extract not only acts as an antibacterial agent, but can also suppress the yellow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white plastic sheets. Rumex crispus is a plant of the genus Rumex of the family Rumex that grows wild in Korea. Hermitage is a perennial plant that grows well in humid places in various places. The private use of young shoots for food. In oriental medicine, it is called yangje, and it It is used as an adjuvant treatment for tumors or cancer. Conch extract extracted from conch has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effect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and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small amount of sulfur,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skin itching. It is reported that known useful ingredients of sori chinensis include saponins, tannins, flavonoids, essential oils, and anthraquinone derivatives such as chrysophanol and emodin. After washing the collected conch extract well, it is dried in the shade, divided into above-ground (parts excluding roots) and underground (roots), and then cut into 80% (v/v) methanol as an extraction solvent for 3 days. After immersion, the extract may be filtered through a membrane filter (porosity of 0.5 μm) to separate the solid, and the methanol extract may be concentrated at 50° C. using a rotary evaporator. It is preferable to mix the conch extract in 3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ET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conch extract is less than 3 parts by weight, the anti-yellowing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8 parts by weight, it is uneconomical.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pre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in which heat is applied to the mixed raw materials so that the raw materials are first stably mixed.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third step is a dehumidification step of removing moisture present in the preheated mixed composition, and the dehumidific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temperature range of 150 to 180°C. If it is less than or exceeds the above range, dehumidification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or may adversely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plastic.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step is a step of 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and after melting the mixed composition,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controlled to 260 to 270°C in order to maintain.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fifth step is a step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heated mixed composition. By passing through a mesh-shaped screen, foreign substances that are problematic inside the mixed composition may be removed.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ixth step is a step of producing a plastic sheet by stretching while cool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foreign matters have been removed, and stretching in two stages using a cooling roll. The primary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cooling roll maintained at 16 to 17°C, and the secondary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cooling roll maintained at 20 to 23°C. The reason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stretching than the primary stretching temperature is to prevent the plastic sheet to be solidified from becoming inferior in formability by curling,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formability of the plastic sheet by alternately stretching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 can make it.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venth step is a step of applying silicone to the plastic sheet and then drying it. The antistatic effect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as finishing treatment by applying silicone. Silicone is preferably applied using a coating solution diluted in a concentration range of 5 to 25%, and dried at 160 to 215°C after applying the silic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ix the above-described antifogging agent component in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silicone in order to suppress the phenomenon of moisture formed inside the manufactured plastic container.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example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After preparing a mix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in Table 1 below, a plastic sheet was prepared through preheating, dehumidification, heating,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oling and stretching, and drying to prepar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or each material,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s were used, and in the case of garlic extract and conch extract, were prepared a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표 1][Table 1]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1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1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econdarily stretched to prepare a plastic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0 mm, and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of the sheet was measured and described in Table 2 below. At this time, the primary stretching was 16°C and the secondary stretching was 21°C. Uniformity was measured using a laser sensor (N2 laser, oscillation wavelength 337.1 nm, UDHO Laser. LTD., Japan), and 30 poi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ir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standard deviation was used. , ㅁ0.3 or less was evaluated as uniform, and ㅁ0.3 was evaluated as non-uniform). At this time, Examples 1 to 3 we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 Comparative Examples, stretching was per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표 2][Table 2]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2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all of the uniformity was excell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2: Torsion Test]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econdarily stretched to prepare a plastic sheet having a thickness of 2 mm, and then molded to manufacture 100 plastic products each, and the completeness was evaluated, which are shown in Table 3 below. At this time, Examples 1 to 3 we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 Comparative Examples, stretching was per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표 3][Table 3]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3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3, 90% or more of normal products could be made, but the comparative example had a relatively high defect rate.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3: Yellowing test]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and 3 were secondarily stretched to prepare a 2mm-thick plastic sheet, and then molded to produce 100 white plastic products, and after 10 months, color change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which is shown in Table 4 below. Done. At this time, the part that turned yellow was evaluated as defective.

[표 4][Table 4]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4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As shown in Table 4, in the case of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all products were not discolored. On the other hand, Example 1 obtained good results, but had a relatively high discoloration rate compared to Example 3.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4: Anti-Fogging Test]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 3 was secondarily stretched to prepare a 2mm-thick plastic sheet, and then molded to produce 100 white plastic products, and after storing spinach inside, the inside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fter 1 day. And it is shown in Table 5 below.

[표 5][Table 5]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5
Figure 112018105354540-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5, in the case of Example 3, almost no water droplets were formed, but in the comparative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water droplets were formed enough to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이러한 도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복수의 IoT 센서를 구비하여,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어의 자동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may configure at least a portion of such a door to control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For example, the IoT-based opening/closing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oT sensors, sense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nd control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sing this. Alternatively, the IoT-based opening/closing device 200 may provide various related services using information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시스템(1000)은 자동 개폐가 가능한 도어에 있어서, 도어의 내외측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의 도어 개방 패턴 등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IoT-based opening/clos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automatic opening/closing service accor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or the user's door opening pattern, in a door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n do.

이에 따라,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적절한 환기 등이 이루어지게 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not only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difficulty, but als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providing adequate ventil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life by allow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ife patter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의 개폐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oT-based switch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통신부(210), 센서부(230),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70) 및 구동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ensor unit 230, a control unit 250, a display unit 270, and a driving unit 290.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2, and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자동 개폐가 가능한 도어의 일부분을 구성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통신부(210), 센서부(230),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70) 및 구동부(29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titute a part of a door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or may constitute a separate module.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sensor unit 230, the control unit 250, the display unit 270, and the driving unit 290 shown in FIG. 2 may be formed as an integrated module or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odules. However, on the contrary, each componen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obility or may be fixed.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erver or an engine, and may be a device, an apparatus, a terminal, and a user equipment (UE). ), MS (mobile station), wireless device (wireless device), handheld device (handheld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other ter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통신부(210), 센서부(230), 제어부(250), 디스플레이부(270) 및 구동부(290)의 구성은 본 발명의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with software (application) for provid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ervice,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sensor unit 230, and the control unit 250 ,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70 and the driving unit 290 may be controlled by software executed in the IoT-based opening/clos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통신부(210)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해,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3G, 4G, 5G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통신부(210)는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를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200,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ne or more component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component that enabl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among Bluetooth, Wi-Fi, 3G, 4G, and 5G.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ervice with the user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센서부(230)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t least one IoT sensor for sen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예를 들면, 센서부(230)는 우적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 외부의 빗방울을 감지할 수 있다. 우적 감지 센서는 LED 발광의 물방울 굴절반사량을 측정하거나, 감지면의 수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도어 외부의 빗방울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이러한 우적 감지 센서로부터 우천 상황 정보를 간주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rain detection sensor to detect raindrops outside the door. The rain detection sensor may detect raindrops on the outside of the door by measuring the refraction and reflection amount of water droplets of LED light emission or by detecting a voltage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on the sensing surface. The sensor unit 230 may generate sensor data that can regard rain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rain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5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센서부(230)는 미세 먼지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 내외부의 미세 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미세 먼지 센서는 LED 발광 빛의 수광부 도달량을 전압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이러한 미세 먼지 센서로부터 미세 먼지 수치를 간주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fine dust sensor to detect fine dust inside and outside the door. The fine dust sensor can express the amount of the LED emitted light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unit as a voltage value. The sensor unit 230 may generate sensor data that can consider the value of the fine dust from the fine dust sens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5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센서부(23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 내외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서미스터 저항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이러한 온도 센서로부터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door. The temperature sensor can detect a change in temperature using the thermistor resistance. The sensor unit 230 may generate sensor data for confirm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5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센서부(230)는 라돈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 내외부의 라돈을 감지할 수 있다. 라돈 감지 센서는 라돈의 방사성 붕괴에서 생성되는 입자를 주파수, 펄스 카운트 등의 통계수치 분석을 통해 라돈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이러한 라돈 감지 센서로부터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라돈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켜 후술하는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radon detection sensor to detect radon inside and outside the door. The radon detection sensor can detect radon concentration by analyzing statistical values such as frequency and pulse count of particles generated from radioactive decay of radon. The sensor unit 230 may generate sensor data for confirming the radon level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from the radon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250 to be described later.

센서부(230)는 이러한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230)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3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oor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23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through the display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제어부(250)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50)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와, 사용자의 자동 도어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도어의 내외부 환경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학습부(251) 및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50 can provide a user-customized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service according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by learning sensor data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and automatic door control information of the user. hav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learning unit 251 and a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학습부(251)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학습할 수 있다.The learning unit 251 may learn a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according to sensor data of an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본 실시예에서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개폐가 가능한 도어로, 후술하는 구동부(290)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후술하는 구동부(290)를 직접 조작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구동부(290)를 원격 조작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oor is a door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driving unit 29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user can control the door to open and close by directly manipulating the driving unit 290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emotely manipulating the driving unit 29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held by the user.

학습부(251)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해당 시점에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센서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학습부(25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해당 시점에서의 우천 상황, 미세 먼지 수치, 온도, 라돈 수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n this way, the learning unit 251 may learn by matching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at a corresponding time point.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a user's manipulation, the learning unit 251 may check a rainy weather situation, a fine dust level, a temperature, a radon level, and the like at a corresponding time point.

이로부터, 학습부(251)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도어의 개방 시점 또는 폐쇄 시점에 해당하는 우천 상황, 미세 먼지 수치, 온도, 라돈 수치 등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부(251)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하는 경우의 우천 상황, 미세 먼지 수치, 온도, 라돈 수치 등을 평균내어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From this, the learning unit 251 may set a range of rain conditions, fine dust values, temperature, radon values, etc.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r closing time of the door that the user prefers. For example, the learning unit 251 may set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by averaging the rainy conditions, fine dust values, temperature, radon values, etc. when th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여기에서, 학습부(251)는 가족 구성원 별로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부(251)는 도어 내외부의 다른 IoT 센서, 일예로, 카메라 등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가족 구성원 별로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댁내에 노약자만 있는 경우에도 환경 정보에 따른 자동 도어 개폐 제어를 통한 원활한 환기 등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unit 251 may set a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for each family member. For example, the learning unit 251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through other IoT sensors inside and outside the door, for example, a camera, and learn the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for each family member. In this case, even if only the elderly are present in the house, safety can be ensured by allowing smooth ventilation through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control accor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학습부(251)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데이터가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학습부(251)는 사용자 단말(100)로 도어 개폐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 개폐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학습부(251)는 사용자 단말(100)로 현재 도어의 내외부 환경에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해당함을 알리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unit 251 may collect sensor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230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when the sensor data satisfies the user's preferen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lternatively, the learning unit 251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only when a door open/close permiss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a door open/close permission signal is received in response thereto. Alternatively, the learning unit 251 may provide only information informing the user terminal 100 that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is met to the current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또한, 학습부(251)는 도어 개폐 조건을 미리 설정하고, 센서부(230)에서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가 도어 개폐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잇다. 여기서, 도어 개폐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조건은 일반적으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필요한 우천 상황, 미세 먼지 수치, 온도, 라돈 수치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unit 251 may set a door open/close condition in advance,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when sensor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230 satisfies the door open/close condition. Here, the door open/close condition may be set by the user. Alternatively, the door opening/closing condition may be set in advance as a rainy weather situation, fine dust level, temperature, radon level, etc. that generally require the door to be opened or closed.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nsor data of a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환경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우천 상황, 온도 등의 센서 데이터로부터 고온 다습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The linked service provider 255 may analyze sensor data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obta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corresponding region. For example,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confirm that the area is a hot and humid area from sensor data such as a rainy weather condition and temperature.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환경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별도의 부가 서비스 검색 엔진에 접속하여 환경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우천 상황으로 확인되는 경우, 우천 상황에 매출이 높은 배달 음식, 또는 관련 마케팅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기온이 낮은 상황으로 확인되는 경우, 방한용품, 난방기기 등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주거환경 전반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생활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경우 공기청정기 렌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헬스케어와 홈케어를 결합한 주거 전반의 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환경 특성 및 사용자의 연계 서비스 이용 기록을 누적하여 빅테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학습부(251)에서 학습하는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도어 폐쇄 시점에서의 온도 조건을 확인하고, 미리 설정되는 온도 기준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추위를 많이 타는 타입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The linked service provider 255 may search for additional servic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accesses a separate additional service search engine to search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or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user confirmation. It can be provided as possible.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rainy weather,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search for a delivery food with high sales or a related marketing in the rain and provide it to the user. 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is low,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search for cold weather products, heating devices, and the like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Alternatively,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provide a living health management solu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 For example,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provide an air purifier rental service when the fine dust level is high. In this way, the linked service provider 255 can build a management platform for overall housing that combines healthcare and home care, and builds big data by accumulating record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users' use of linked services, and uses them to make profits. In addition,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check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learned by the learning unit 251. For example,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may check the temperature condition at the time of closing the door and predict whether the user is a cold type by comparing it with a preset temperature standard.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사용자의 생활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별도의 부가 서비스 검색 엔진에 접속하여 생활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계 서비스 제공부(255)는 사용자의 생활 특성에 따라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의 렌탈 서비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linked service provider 255 may search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life characteristics. The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255 accesses a separate additional service search engine to search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or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for user confirmation. It can be provided as possible. For example, the linked service provider 255 may search for rental servi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dehumidifiers according to the user's life characteristics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이와 같이, 제어부(250)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와, 사용자의 자동 도어 제어 정보를 학습하여, 도어의 내외부 환경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자동 도어 개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250 learns sensor data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and automatic door contro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s a user-customized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ervice according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I can.

디스플레이부(27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7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70)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환경 정보의 센서 데이터, 각종 연계 서비스 정보, 작동상황, 출입기록, 보안점검, 자가점검, 고장알림 등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70 is a GUI so that sensor data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230, various related service information, operation status, access record, security check, self check, failure notification, etc. You can create and print (graphical user interface).

구동부(29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는, 구동부(29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는, 구동부(29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격 수신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The driving unit 29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290 is drive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290 is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motel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이를 위해, 구동부(290)는 압저항 조작버튼과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riving unit 29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and a linear motor.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에 포함되는 리니어 모터의 일 예이다.3 is an example of a linear moto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구동부(2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도어의 자동 개폐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The drive unit 290 includes a linear motor as shown in FIG. 3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a sliding manner.

리니어 모터는 모터의 중심축이 스크류를 타고 직접 이동하는 방식의 직선 이동 모듈로, 직선의 왕복운동 동력공급이 가능하여 슬라이딩 자동 도어에 널리 적용된다. 리니어 모터는 모터가 스크류에서 직접 이동하는 방식과 스크류를 돌리는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리니어 모터는 기어 방식에 비해 저소음이며, 부드러운 방식이고,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어 자동 도어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창호 프레임에도 적용 가능하다.Linear motor is a linear movement modul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motor moves directly through a screw, and is widely applied to sliding automatic doors because it can supply linear reciprocating power. Linear motor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motor moves directly from the screw and the screw turns. Compared to the gear method, the linear motor is quieter and smoother, and the parts can be simplified to prevent failure of the automatic door. It can also be applied to existing window frames.

압저항 조작버튼은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압저항 조작버튼은 리니어 모터와 연동되어, 압저항 조작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리니어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압저항 조작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저항 조작버튼은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발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판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is interlocked with the linear motor,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the linear motor can be operated.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door by pressing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For example,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ootrest at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by operating the footrest.

본 실시예에서 압저항 조작버튼은 누름 압력을 세분화하여 리니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압저항 조작버튼의 누름 세기를 조절하여 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압저항 조작버튼을 원터치하는 경우, 정상 속도로 도어의 완전 개방 또는 폐쇄가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어를 임의의 크기로 열어놓을 경우, 압저항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개폐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linear motor by subdividing the pressing pressure. That is, the user can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door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pressing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the door can be completely opened or closed at a normal speed. Alternatively,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to an arbitrary size, the opening and closing size can be easily adjusted by using a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에는 압저항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저항 내장 레일은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iezoresistance may be embedded in the rail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The piezoresistive built-in rail can detect contact, and when the contact is detect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s automatically stopped, thereby preventing injury.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없는 경우에도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재지변등의 위급 상황에서 자동 도어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IoT-based switchgear 20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oT-based switchgear 200 even when external power cannot be supplied due to the battery. According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natural disaster, the user's safety can be secured through automatic door contro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는 자동 개폐가 가능한 도어에 적용되어, 도어의 내외측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의 도어 개방 패턴 등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oor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nd provides a door automatic opening/closing service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or a user's door opening pattern. Can provid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적절한 환기 등이 이루어지게 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not only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difficulty, but als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providing adequate ventil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life by allow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ife patter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n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개폐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IoT 기반의 개폐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shown in FIGS. 1 and 2. Accordingly,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 of FIGS. 1 and 2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부(230)는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00). 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unit 230 may collect sensor information (S500 ).

센서부(230)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우적 감지 센서, 미세 먼지 센서, 온도 센서 및 라돈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30 may collect sensor information by sen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The sensor unit 230 may include a rain detection sensor, a fine dus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radon detection sensor to collect sensor data about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제어부(250)는 센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510).The controller 250 may analyze the sensor information (S510).

제어부(250)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학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해당 시점에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센서 데이터를 매칭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학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learn a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according to sensor information of an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controller 250 may learn a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by matching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at a corresponding time point.

제어부(250)는 센서 정보에 따라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S520).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S520).

제어부(250)는 센서 정보가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 도어 개폐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 개폐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 현재 도어의 내외부 환경에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해당함을 알리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sensor information satisfies the user's preferen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controller 25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5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only when it transmits a door open/close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receives a door open/close permission signal in response thereto.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50 may provide only information notifying the user terminal 100 that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is met to the current interior/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또한, 제어부(250)는 도어 개폐 조건을 미리 설정하고, 센서부(230)에서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가 도어 개폐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자동 제어할 수 잇다. 여기서, 도어 개폐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조건은 일반적으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필요한 우천 상황, 미세 먼지 수치, 온도, 라돈 수치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set a door open/close condition in advance, and automatically control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when sensor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230 satisfies the door open/close condition. Here, the door open/close condition may be set by a user. Alternatively, the door opening/closing condition may be set in advance as a rainy weather situation, fine dust level, temperature, radon level, etc. that generally require the door to be opened or closed.

제어부(250)는 센서 정보에 따라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30).The controller 250 may provide a linked service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S530).

제어부(250)는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정보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센서부(230)에서 획득하는 도어의 내외부 환경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환경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환경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생활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7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50 may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nsor informa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The controller 250 may obta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corresponding region by analyzing sensor data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30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troller 250 may search for and provide additional servic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50 may check the lif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 control unit 250 may search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life characteristics,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or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2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000: IoT 기반의 개폐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IoT 기반의 개폐 장치
1000: IoT-based switching system
100: user terminal
200: IoT-based switchgear

Claims (2)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도어의 개폐되는 경우의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 하되,
상기 IoT 기반의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 개폐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어에 직선의 왕복운동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도어의 자동 개폐를 지원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동되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리니어 모터를 동작시키는 압저항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 외부의 우천 상황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
상기 도어 내외부의 미세 먼지 수치를 감지하는 미세 먼지 센서;
상기 도어 내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도어 내외부의 라돈을 감지하는 라돈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해당 시점에의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획득하는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학습부; 및
상기 도어의 내외부 환경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지역의 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환경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도어 개폐 선호 조건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생활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생활 특성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연계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내측에 상하 슬라이딩레일이 구비 되고, 상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문틀프레임과, 문틀트레임의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모터 구동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보론계 바인더, 5~10 중량부로 마늘 추출액, 20~30 중량부로 아파타이트 분말, 15~25 중량부로 코르크 분말, 3~8 중량부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260~270℃로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을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1차 연신 및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2차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되는 IoT 기반의 개폐 장치.
Includ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information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of the door, including at least one IoT sensor,
A driving unit that enable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IoT-based switch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The driving unit,
A linear motor support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supplying linear reciprocating power to the door; And
It is interlocked with the linear motor and includes a piezoresistive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linear motor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sensor unit,
A rai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rainy condition outside the door;
A fine dust sensor for detecting a level of fine dust inside and outside the door;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and outside the door; And
Including a rad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radon inside and outside the door,
The control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user's door open/close preference condition is set by checking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at the time point, and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is the user's door A learning uni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is satisfied; And
Check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door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area, search for additional servi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or the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closing preference condition. A linked service providing unit that analyzes, searches for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The door is composed of a door frame frame having an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on the inner side and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on, and a plurality of doors installed to slide left and right by motor driving along the sliding rail of the door frame rail,
The door frame includes 10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resin, 2 to 4 parts by weight of a polyurethane dispersant, 0.1 to 0.2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olystyrolsulfonic acid, N-methyl-2-pyrrolidone 3 to 5 parts by weight, triethyl amine 0.1 to 0.3 parts by weight, isopropyl alcohol ( isopropyl alcohol) 42 to 45 parts by weight and 50 to 52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and 2 to 10 parts by weight of a boron-based bind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garlic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resin , 20 to 30 parts by weight of apatite powder, 15 to 25 parts by weight of cork powder, and 3 to 8 parts by weight of a first step of further mixing a conch extract to prepare a mixed composition; A second step of pre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A third step of removing moisture of the preheated mixed composition in a temperature range of 150 to 180°C; A fourth step of heat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to 260 to 270°C; A fifth step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passing the heated mixed composition through a mesh-shaped screen; While cooling the mixed composition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the primary stretching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cooling roll maintained at 16 to 17°C, and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through a cooling roll maintained at 20 to 23°C. A sixth step of manufacturing a plastic sheet by secondary stretching; And a seventh step of drying after applying silicone to the plastic sheet. The IoT-base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med of a plastic sheet manufactured by a plastic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180127847A 2018-10-25 2018-10-25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KR102171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47A KR102171359B1 (en) 2018-10-25 2018-10-25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47A KR102171359B1 (en) 2018-10-25 2018-10-25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37A KR20200046537A (en) 2020-05-07
KR102171359B1 true KR102171359B1 (en) 2020-10-28

Family

ID=7073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47A KR102171359B1 (en) 2018-10-25 2018-10-25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145B1 (en) * 2021-04-02 2023-07-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IOT-attached window opene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8B1 (en) * 1997-11-24 1999-11-01 배길성 Apparatus for operating a door for a show-c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569B1 (en) * 2015-11-20 2017-07-03 김환종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door housing space
KR20170088702A (en)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8B1 (en) * 1997-11-24 1999-11-01 배길성 Apparatus for operating a door for a show-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37A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17757U (en) Household monitoring system
KR102171359B1 (en) Iot-based opening/closing apparatus
US11174666B2 (en) Smart system for remote opening and closing a door or window
CN104793504B (en) A kind of intelligent apartment for elderly people system
CN203858491U (en) Household control system
KR102351437B1 (en) Home networking system
CN104273044A (en) Pig raising house
CN104736789B (en) There is the window of aeration structure
CN107165531B (en) A kind of intelligent window with PM particle filter systems
CN205540002U (en) Wisdom home system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8207597U (en) Intelligent building 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Server
CN104315669A (en)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CN109236120A (en) One kind having multifunctional safe environment-friendly type intelligent window
CN205410767U (en) Window (window) curtain intelligence control system
CN206649298U (en)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KR101971035B1 (en) Security system using ip camera
CN108302655A (en) A kind of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of smart home indoor humidity
CN103575923A (en) Multi-unit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testing system
KR102051962B1 (en) Clean room
CN104615178A (en) Ho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outh wind weather
JP5419529B2 (e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US11305416B1 (en) Dynamic arrangement of motorized furniture
CN205532119U (en) Security protection door with fire prevention theftproof heat preservation function
CN105133996A (en) Electric window control method based on humidity induction and carbon dioxide induction
CN207037360U (en) A kind of two generation smart homes endow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7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27

Effective date: 202006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