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085B1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1085B1 KR102171085B1 KR1020190068233A KR20190068233A KR102171085B1 KR 102171085 B1 KR102171085 B1 KR 102171085B1 KR 1020190068233 A KR1020190068233 A KR 1020190068233A KR 20190068233 A KR20190068233 A KR 20190068233A KR 102171085 B1 KR102171085 B1 KR 102171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age range
- chemical substance
- information
- chemical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02 risk assess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FAQYAMRNWDIXMY-UHFFFAOYSA-N trichloroborane Chemical group ClB(Cl)Cl FAQYAMRNWDIX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178 mathematic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ZDHXKXAHOVTTAH-UHFFFAOYSA-N trichlorosilane Chemical compound Cl[SiH](Cl)Cl ZDHXKXAHOVTT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TVVNZBSLUREFJN-UHFFFAOYSA-N 2-(4-chlorophenyl)sulfanyl-5-nitrobenz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C([N+](=O)[O-])=CC=C1SC1=CC=C(Cl)C=C1 TVVNZBSLUREF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721 HSiCl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902 Si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TQYJQFGNYHXMB-UHFFFAOYSA-N dichloro(methyl)silicon Chemical compound C[Si](Cl)Cl KTQYJQFGNYHX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XCSERBJSXMMFS-UHFFFAOYSA-N hydrogen chloride Substances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55 methyl tr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48 methyld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LUFWMXJHAVVNN-UHFFFAOYSA-N methyltrichlorosilane Chemical compound C[Si](Cl)(Cl)Cl JLUFWMXJHAVV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SNRJHAOHDILO-UHFFFAOYSA-N thi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S(Cl)=O FYSNRJHAOHDI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JDNKRIXUMDJCW-UHFFFAOYSA-J titanium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Ti](Cl)(Cl)Cl XJDNKRIXUMDJCW-UHFFFAOYSA-J 0.000 description 2
- GQIUQDDJKHLHTB-UHFFFAOYSA-N trichloro(ethenyl)silane Chemical compound Cl[Si](Cl)(Cl)C=C GQIUQDDJKHLH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OYFEXPFPVDYIS-UHFFFAOYSA-N trichloro(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Si](Cl)(Cl)Cl ZOYFEXPFPVDY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52 trichlorosil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89 chemical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83 possible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55 saturated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평가하는 피해범위 평가 단계, 및 상기 위험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를 보고서로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피해범위가 평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은 일상생활 또는 산업 활동에 필요하며, 최근 급속한 산업발달에 따라서 화학물질의 사용량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에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잠재적인 위험을 고려하여, 상기 사업장에서 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위험관리 활동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 종합적인 위험관리 활동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3년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전면 개정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제도를 도입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사업장을 보유한 사업자는 장외영향평가서 및 위해관리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예측하고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반응성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예측하고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은,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평가하는 피해범위 평가 단계, 및 상기 위험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를 보고서로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피해범위가 평가된다.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반응성 판단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피해범위 계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 및 상기 제1 피해범위 및 상기 제2 피해범위 중 더 큰 것을 상기 피해범위로 결정하는 피해범위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및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의 물과의 반응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에 대응하여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 및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액상 누출이면 풀증발에 의한 대기량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기상 누출이면 누출률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로부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는,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피해범위로부터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업장에서의 사고 발생 빈도수를 곱한 값으로 위험도를 분석하는 위험도 분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고서는, 장외영향평가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일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는, 사업장정보, 설비정보, 화학물질정보, 주변지역 정보, 및 기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예측하고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다. 또, 물반응성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예측하고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정보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위험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위험 평가부의 피해범위 계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보고서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작성지원 방법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 중 피해범위 계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정보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위험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위험 평가부의 피해범위 계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보고서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작성지원 방법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 중 피해범위 계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100)은 정보 입력부(100), 위험 평가부(200), 및 보고서 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작성지원 시스템(10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 상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통신망(30)을 통해 접속가능한 웹 상의 서버 장치(20) 상에 저장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 전송 및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10)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구비된 컴퓨터 장치일 수 있으며, 서버 장치(20)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 제도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기관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정보 입력부(100)는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다. 정보 입력부(100)는 보고서 서식에 따른 복수의 입력 항목을 제공하며, 상기 입력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1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보 입력이 이루어진다.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는 보고서 생성부(300)를 통하여 생성되는 장외영향평가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에 포함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상기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설비(위험 설비)의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위험 평가부(200)는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평가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및 위험도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사업장의 위험 수준을 사전에 판단하여 인허가 및 비상대응체계를 수립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수학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 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 형태의 사고에 대하여 최악의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상기 위험 설비를 중심으로 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위험 평가부(200)는 상기 위험 설비에 대한 정보로부터 대안 시나리오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상기 피해범위, 상기 위험 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발생 빈도 및 상기 사업장 내 완화 장치의 구비 여부에 따라 상기 사업장의 위험한 정도를 위험도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완화 장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를 통하여 입력되며, 방벽, 방호벽, 살수설비, 소화설비, 중화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300)는 장외영향평가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정보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입력 정보)와 위험 평가부(200)에서 평가된 정보(평가 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고서 생성부(300)는 입력 정보와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므로, 상기 사업장을 소유 및/또는 관리하는 기업이나 사업자가 장외영향평가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를 쉽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정보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입력부(100)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며, 사업장정보 입력수단(110), 설비정보 입력수단(120), 화학물질정보 입력수단(130), 주변지역정보 입력수단(140), 및 기상정보 입력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100)는 실제 보고서의 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업장정보 입력수단(110)은 사업장과 관련한 기본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사업장정보는 사업장에 대한 업체명, 업종 분류, 대표자, 대표전화, 사업자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장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되지 않고 보고서 생성부(300)에서 사업체 설정정보로 입력된 정보를 연동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설비정보 입력수단(120)은 상기 사업장에 구비된 설비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설비정보는 상기 사업장에 구비된 설비 명칭, 설비 내 저장물질, 설비의 저장량, 운전압력, 운전온도, 설비의 위치 및 설비의 도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비정보는 화학물질 취급시설 개요, 장치설비, 동력기계, 배관, 개스킷, 안전밸브, 및 파열판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비정보 입력수단(120)은 공정에 따라 설비정보를 입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공정의 생성,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설비정보 입력수단(120)은 사용자가 작성하는 보고서의 종류에 따라 입력 항목의 종류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외영향평가서를 작성하는 경우, 취급시설개요, 장치설비, 동력기계, 배관 및 개스킷, 안전밸브 및 파열판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한 입력 항목이 표시될 수 있고, 위해관리계획서를 작성하는 경우, 취급시설개요, 장치설비, 동력기계, 배관 및 개스킷, 안전밸브 및 파열판, 고정식 유해감지시설, 방제장비 및 물품, 비정상 운전조건 연동시스템 및 방폭전기/계장 기계기구 선정기준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한 입력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설비정보 입력수단(120)은 위험설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위험설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운전 정보, 영향 정보 및 설비의 위치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위험설비정보는 위험설비의 기기명, 위험요인, 설비 선정사유, 설비모양, 설비직경 및 저장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누출물질, 운전온도, 운전압력, 저장용량, 저장액위, 배관최대직경, 다이크 여부, 실내 여부 및 기타 방호설비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운전 정보로 입력될 수 있으며, 누출된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가능한 독성, 폭발, 화구, 풀화재 및 제트화재를 포함하는 사고유형과 독성기준, 농도 및 독성기준 근거를 포함하는 정보가 영향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기기명은 설비의 명칭을, 상기 위험요인은 상기 위험설비의 주요 위험요소를, 상기 설비 선정사유는 상기 위험설비의 선택 이유를, 상기 저장상태는 물질의 상(Phase)을 의미한다. 상기 설비모양은 상기 위험설비의 형태로서, 예컨대, 구형, 수직 실린더 또는 수평 실린더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설비직경은 구 또는 실린더의 직경을 의미하며, 상기 설비높이는 수직 실린더의 경우 높이를 의미하고 수평 실린더인 경우에는 너비를 의미한다.
상기 운전정보에서 상기 누출물질은 상기 화학물질을 의미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명칭 또는 CAS No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운전온도는 상기 화학물질의 저장온도를, 상기 운전압력은 상기 위험설비의 저장압력을, 상기 저장용량은 상기 위험설비의 저장량을, 상기 저장액위는 상기 화확물질의 저장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배관최대직경은 상기 위험설비에 결속된 배관의 최대직경을, 상기 다이크 여부는 상기 위험설비에 설치된 방류벽의 여부를, 상기 실내 여부는 상기 위험설비의 설치 위치를, 상기 기타 방호 설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설비의 유무를 의미한다.
상기 영향정보에서 상기 사고유형은 복수의 피해범위 계산식과 매칭되며, 상기 독성기준, 농도 및 독성기준 근거는 상기 사고유형에서 독성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위험설비정보는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에서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의 계산을 위한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누출형태, 누출높이, 누출공, 누출크기, 누출지속시간 및 누출공 상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누출정보로 입력하고, 배관재질, 배관직경 및 배관길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관정보로 입력하며, 누출률 및 상기 사고유형에 대한 세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누출정보에서 상기 누출형태는 설비 또는 배관에서의 누출 여부를 의미하며, 상기 누출높이는 누출이 발생한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누출공은 배관 직경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누출 크기가 입력되며, 상기 누출크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임의의 누출 크기가 입력된다. 상기 누출공 상수는 설비 또는 배관의 누출률 감소인자를 의미하며, 예컨대, 누출공이 원형인 경우 ‘1’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배관정보에서 상기 배관재질, 상기 배관직경 및 상기 배관길이는 상기 누출정보의 입력 시 상기 누출형태가 배관인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위험설비정보는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에서 피해범위를 계산하거나 후술할 위험도 분석수단(230)에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화학물질정보 입력수단(130)은 상기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화학물질정보는 상기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공정구분, 취급물질명, 저장량 또는 처리량, CAS No, 분자식, 물질상태, 농도, 폭발한계, 및 독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물질정보 입력수단(130)은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0)의 입력 화면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화학물질정보 입력수단(130)은 상기 화학물질의 저장량 또는 처리량을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주변지역정보 입력수단(140)은 상기 사업장의 주변 지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주변지역정보는 사업장 위치, 주변지리 정보, 및 사업장 주변의 보호대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지역정보는 상기 사업장 주변에 위치하는 학교, 병원, 공공건물 및 주택을 포함하는 보호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지역정보 입력수단(140)은 사업장의 위치를 맵 상에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사업장 주변의 경계선이 입력될 수 있다. 주변지역정보 입력수단(140)은 GIS 또는 영상지도 서비스와 연계하여 상기 맵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국토부 브이월드 및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맵을 제공받을 수 있다.
기상정보 입력수단(150)은 상기 사업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기상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기상정보는 평균기온, 평균 풍속, 최다 발생 풍향 및 평균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정보는 일정 기간별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상정보는 월별 통계 데이터로 입력되거나 사용자 데이터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기상정보는 위험 평가부(200)에서 사고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 또는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가 산출될 때 사용될 수 있다. 기상정보 입력수단(150)은 기상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범용 서식 상의 관측 데이터를 상기 기상정보로 연동시킬 수 있고, 사업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편리하게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위험 평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위험 평가부의 피해범위 계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험 평가부(200)는 물반응성 판단수단(210), 피해범위 계산수단(220), 및 위험도 분석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험 평가부(200)는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평가할 수 있다.
물반응성 판단수단(210)은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반응성 판단수단(210)이 위험 평가부(200)에 포함되지만, 물반응성 판단수단(210)이 포함되지 않고 서버 장치(도 2의 20)에 의해 물반응성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에는 관리자에 의해 물반응성 물질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화학물질정보가 입력될 때 상기 화학물질정보에 대응하는 물반응성 물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및 위험 평가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반응성 물질에 관한 정보는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또,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상기 위험설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고,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며, 상기 제1 피해범위 및 상기 제2 피해범위 중 더 큰 것을 상기 피해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수학 모델을 이용하여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의 피해범위 및 대안 시나리오의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상기 위험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로 산출하여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의 피해범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대안 시나리오를 더 산출할 수 있고, 상기 대안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상기 피해범위가 재산정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에 의해 계산된 피해범위는 상기 위험설비 또는 상기 사업장의 위치를 기준으로 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수단(220)은 제1 계산모듈(221), 제2 계산모듈(222), 제3 계산모듈(223), 및 제4 계산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저장하며,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복수 종류의 설비 또는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화학물질에 대한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설비에서의 상기 누출률을 정확하게 산정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저장하며,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복수 종류의 설비 또는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화학물질에 대한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설비에서의 상기 누출률을 정확하게 산정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상기 누출률의 계산을 위한, 복수 종류의 설비 또는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누출 형태 및 상기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저장한다. 상기 복수의 누출 형태는 설비의 모양, 누출 지점 및 상기 화학물질의 저장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으며, 예컨대, 설비 내 구멍을 통한 액체의 누출, 배관을 통한 액체의 누출, 설비 내 구멍을 통한 기체의 누출, 단열 배관 비초크 상태에서의 기체의 누출, 단열 배관 초크상태에서의 기체의 누출, 등온 배관 비초크 상태에서의 기체의 누출, 등온 배관 초크 상태에서의 기체의 누출, 액상풀에서의 증발 또는 비등에 의한 대기 누출 및 포화액상 누출에 의한 플래쉬 현상에 의한 대기 누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산모듈(221)은 상기 위험설비의 설비모양, 저장상태 및 배관최대직경 등의 위험설비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누출 형태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된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특정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설비에서의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는 상기 위험설비 내 화학물질의 누출률이 사전에 정의된 최악의 조건으로 적용되므로 상기 누출률 계산식은 상기 대안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서 증발로 인한 누출의 경우에는 상기 누출률 계산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계산모듈(222)은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저장하며,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2 계산모듈(222)은 상기 위험설비에 저장된 상기 화학물질의 기본 물성치가 온도 및 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한 물성치인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여 제4 계산모듈(224)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계산모듈(222)은 상기 실질 물성치의 계산을 위해 복수 종류의 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저장하며, 상기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설비 내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제2 계산모듈(222)은 상기 위험설비정보로 입력된 상기 위험설비의 운전온도 및 운전압력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실질 물성치 계산식에 대입하여 상기 실질 물성치를 계산할 수 있다.
화학물질에 대한 기본 물성치는 물성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예컨대, 미국화학공학회에서 제공하는 DIPPR(Design Institute for Physical Properties) 데이터를 상기 물성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제3 계산모듈(223)은 상기 화학물질의 물과의 반응식을 저장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에 대응하여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물질이 트리클로로붕소(BCl3)인 경우, 상기 트리클로로붕소 1몰은 물 3몰과 반응하여 염화수소(HCl) 3몰을 생성하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BCl3 + 3H2O → B(OH)3 + 3HCl
즉, 위험설비에 저장된 화학물질인 트리클로로붕소의 누출량을 반응식에 적용하여 물반응 생성물질인 염화수소의 생성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3 계산모듈(223)은,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액상 누출이면 풀증발에 의한 대기량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기상 누출이면 누출률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할 수 있다.
물과 반응하는 화학물질은 트리클로로붕소(BCl3), 오불화브롬(BrF5), 염화티오닐(SOCl2), 사염화티타늄(TiCl4), 트리클로로실란(HSiCl3), 메틸디클로로실란(CH4Cl2Si), 메틸트리클로로실란(CH3SiCl3), 트리클로로비닐실란(C2H3SiCl3), 에틸트리클로로실란(C2H5SiCl3), 테트라클로로실리콘(SiCl4), 테트라플루오로실리콘(SiF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산모듈(223)은 상기 물질들의 물과의 반응식을 저장하고, 상기 물질들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할 수 있다.
제4 계산모듈(224)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 및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피해범위 및 상기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제4 계산모듈(224)은 상기 위험설비정보,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 및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사고유형별 시나리오 또는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제4 계산모듈(224)은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수학 모델을 저장하며,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4 계산모듈(224)은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 최악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피해범위를 계산한다. 또, 제4 계산모듈(224)은 상기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에는 위험설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업장 또는 상기 위험설비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의 피해범위를 계산한다. 또, 제4 계산모듈(224)은 기상정보 등을 적용하여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한 피해범위를 쉽고 편리하게 에측할 수 있다.
상기 수학 모델은 복수 종류의 설비 또는 배관 등에서 누출된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유형 및 사고유형에 따른 주변 피해 및 확산을 계산할 수 있는 계산식을 포함한다.
제4 계산모듈(224)은 복수 종류의 설비 또는 배관에서 누출된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기확산,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BLEVE), 풀화재(Poolfire), 제트화재(Jetfire) 및 증기운폭발(vapor cloud explosion, VCE)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고유형을 저장할 수 있다.
제4 계산모듈(224)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산출하고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계산모듈(224)은 위험설비정보로부터 사고유형을 산출하며, 산출된 사고유형에 대응하는 피해범위 계산식을 적용하여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위험도 분석수단(230)은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와 사고발생 빈도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규모 및 빈도수를 계산하여 상기 사업장 및/또는 상기 위험설비의 위험도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위험도 분석수단(230)은 상기 피해범위 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상기 피해범위로부터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업장에서의 사고 발생 빈도수를 곱한 값으로 상기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 위험도 분석수단(230)은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 상기 사고 발생 빈도수, 및 상기 완화 장치에 의한 완화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장 및 상기 위험설비에 배치된 완화 장치의 유무에 따라 상기 위험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완화 장치는 방벽, 방호벽, 살수설비, 소화설비, 중화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도 분석수단(230)은 상기 사업장 또는 상기 사업장 내 상기 위험설비에 대한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 상기 사업장에 대한 주변지역 환경평가 및 상기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은 보고서 생성부(300)로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작성지원 시스템의 보고서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고서 생성부(300)는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정보와 위험 평가부(200)에 의해 평가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300)는 장외영향평가 생성수단(310) 및 위해관리계획서 생성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외영향평가서 생성수단(310)은 장외영향평가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사업장에 대한 기본정보, 설비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위해관리계획서 생성수단(320)은 위해관리계획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사업장에 대한 기본정보, 설비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장외영향평가서 생성수단(310) 및 위해관리계획서 생성수단(320)은 정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 위험 평가부(200)에서 평가된 정보, 및 상기 사업장에 대한 주변지역 환경평가 및 상기 복수 유형의 사고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보고서의 서식에 따라 기재되어 워드, PDF, 및 엑셀 등의 범용 서식 문서로 저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작성지원 방법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피해범위 평가 단계 중 피해범위 계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은 정보 획득 단계(S100), 피해범위 평가 단계(S200), 및 보고서 생성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 단계(S100)에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는, 사업장 정보, 설비 정보, 화학물질 정보, 사업장 주변지역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에 대한 업체명, 업종 분류, 대표자, 대표전화, 사업자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 정보는 상기 사업장에 구비된 설비 명칭, 설비 내 저장물질, 설비의 저장량, 운전압력, 운전온도, 설비의 위치 및 설비의 도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비 정보는 화학물질 취급시설 개요, 장치설비, 동력기계, 배관, 개스킷, 안전밸브, 및 파열판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 정보는 위험설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설비정보는 위험설비의 기기명, 위험요인, 설비 선정사유, 설비모양, 설비직경 및 저장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정보는 상기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공정구분, 취급물질명, 저장량 또는 처리량, CAS No, 분자식, 물질상태, 농도, 폭발한계, 및 독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지역정보는 사업장 위치, 주변지리 정보, 및 사업장 주변의 보호대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지역정보는 상기 사업장 주변에 위치하는 학교, 병원, 공공건물 및 주택을 포함하는 보호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정보는 평균기온, 평균 풍속, 최다 발생 풍향 및 평균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해범위 평가 단계(S200)에서 상기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평가한다. 또,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피해범위가 평가된다.
피해범위 평가 단계(S200)는 물반응성 판단 단계(S210),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0), 및 위험도 분석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반응성 판단 단계(S210)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과 반응하는 화학물질은 트리클로로붕소(BCl3), 오불화브롬(BrF5), 염화티오닐(SOCl2), 사염화티타늄(TiCl4), 트리클로로실란(HSiCl3), 메틸디클로로실란(CH4Cl2Si), 메틸트리클로로실란(CH3SiCl3), 트리클로로비닐실란(C2H3SiCl3), 에틸트리클로로실란(C2H5SiCl3), 테트라클로로실리콘(SiCl4), 테트라플루오로실리콘(SiF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0)에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0)는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1),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2), 및 피해범위 결정 단계(S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1)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1)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및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설비의 설비모양, 저장상태 및 배관최대직경 등의 위험설비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누출 형태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된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특정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설비에서의 누출률을 계산할 수 있다.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는 상기 위험설비 내 화학물질의 누출률이 사전에 정의된 최악의 조건으로 적용되므로 상기 누출률 계산식은 대안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서 증발로 인한 누출의 경우에는 상기 누출률 계산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위험설비에 저장된 상기 화학물질의 기본 물성치가 온도 및 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한 물성치인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2)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2)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의 물과의 반응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에 대응하여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 및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2)에서 누출률 계산과 실질 물성치 계산은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1)와 동일하다.
상기 화학물질의 물과의 반응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에 대응하여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물질이 트리클로로붕소(BCl3)인 경우, 상기 트리클로로붕소 1몰은 물 3몰과 반응하여 염화수소(HCl) 3몰을 생성하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BCl3 + 3H2O → B(OH)3 + 3HCl
즉, 위험설비에 저장된 화학물질인 트리클로로붕소의 누출량을 반응식에 적용하여 물반응 생성물질인 염화수소의 생성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액상 누출이면 풀증발에 의한 대기량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기상 누출이면 누출률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피해범위 결정 단계(S223)에서 상기 제1 피해범위 및 상기 제2 피해범위 중 더 큰 것을 상기 피해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피해범위 계산 단계(S220)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로부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 수학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 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수 형태의 사고에 대하여 최악의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피해범위를 계산하고,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의 피해범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한다. 상기 대안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를 계산할 때에는 위험설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업장 또는 상기 위험설비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의 피해범위를 계산한다
위험도 분석 단계(S230)에서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피해범위로부터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업장에서의 사고 발생 빈도수를 곱한 값으로 상기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피해범위로부터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업장에서의 사고 발생 빈도수를 곱한 값으로 상기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 상기 사고 발생 빈도수, 및 상기 완화 장치에 의한 완화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장 및 상기 위험설비에 배치된 완화 장치의 유무에 따라 상기 위험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완화 장치는 방벽, 방호벽, 살수설비, 소화설비, 중화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 단계(S300)에서 상기 위험 평가부에서 평가된 결과를 보고서로 생성한다.
상기 보고서는, 장외영향평가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사업장에서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피해범위를 평가하는 피해범위 평가 단계; 및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결과를 보고서로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에서 상기 화학물질이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와 물반응성 물질이 아닌 경우로 구분하여 상기 피해범위가 평가되고,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반응성 판단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피해범위 계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
상기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반응 생성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 및
상기 제1 피해범위 및 상기 제2 피해범위 중 더 큰 것을 상기 피해범위로 결정하는 피해범위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및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 형태 및 누출 형태에 대응하는 누출률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에 대한 실질 물성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이 저장된 설비의 온도 및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학물질의 물과의 반응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에 대응하여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률, 상기 화학물질의 실질 물성치, 및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피해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물반응성 물질인 경우,
상기 물반응 생성물질의 생성량은,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액상 누출이면 풀증발에 의한 대기량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고,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이 기상 누출이면 누출률을 상기 반응식에 적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는,
상기 화학물질의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로부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범위가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범위 평가 단계는,
상기 피해범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피해범위로부터 상기 피해범위 내 주민수를 산출하고, 상기 사업장에서의 사고 발생 빈도수를 곱한 값으로 위험도를 분석하는 위험도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는,
장외영향평가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 또는
위해관리계획서의 서식에 따라 상기 정보, 상기 피해범위 및 상기 위험도가 포함된 보고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물질과 관련된 정보는, 사업장정보, 설비정보, 화학물질정보, 주변지역정보, 및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233A KR102171085B1 (ko) | 2019-06-10 | 2019-06-10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233A KR102171085B1 (ko) | 2019-06-10 | 2019-06-10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1085B1 true KR102171085B1 (ko) | 2020-10-28 |
Family
ID=7301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233A KR102171085B1 (ko) | 2019-06-10 | 2019-06-10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10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91756A (zh) * | 2021-11-23 | 2022-02-25 | 国家海洋环境预报中心 | 一种基于泰森多边形的乡镇级海啸风险评估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4366A (ko) * | 2015-03-24 | 2016-10-05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
KR20160114371A (ko) * | 2015-03-24 | 2016-10-05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KR101767258B1 (ko) * | 2016-02-15 | 2017-08-23 | 주식회사 씨티에이 | 화학 물질 누출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
-
2019
- 2019-06-10 KR KR1020190068233A patent/KR1021710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4366A (ko) * | 2015-03-24 | 2016-10-05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
KR20160114371A (ko) * | 2015-03-24 | 2016-10-05 |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KR101767258B1 (ko) * | 2016-02-15 | 2017-08-23 | 주식회사 씨티에이 | 화학 물질 누출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91756A (zh) * | 2021-11-23 | 2022-02-25 | 国家海洋环境预报中心 | 一种基于泰森多边形的乡镇级海啸风险评估方法 |
CN114091756B (zh) * | 2021-11-23 | 2022-07-05 | 国家海洋环境预报中心 | 一种基于泰森多边形的乡镇级海啸风险评估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0869B1 (ko)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 |
He et al. | A dynamic and simulation-based method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the domino accident in chemical industry | |
Khan et al. | Safety weighted hazard index (SWeHI): a new, user-friendly tool for swift yet comprehensive hazard identification and safety evaluation in chemical process industrie | |
Chen et al. | Dyna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process plants with respect to vapor cloud explosions | |
Medina-Herrera et al. |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for optimal layout considering quantitative risk analysis | |
KR102443718B1 (ko) | 환경시설의 대기오염가스 확산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상물리-기반 3차원 확산 예측지도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 |
Qi et al. | Challenges and needs for process safety in the new millennium | |
Díaz-Ovalle et al. | An approach to solve the facility layout problem based on the worst-case scenario | |
KR101710874B1 (ko)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
Jung et al. | A new approach for facility siting using mapping risks on a plant grid area and optimization | |
Vázquez-Román et al. | A CFD-based approach for gas detectors allocation | |
Brambilla et al. | Recommended features of an industrial accident simulator for the training of operators | |
de Lira-Flores et al. | A MILP approach for optimal storage vessels layout based on the quantitative risk analysis methodology | |
Zhou et al. | Modeling and analysis of vapour cloud explosions knock-on events by using a Petri-net approach | |
KR102171085B1 (ko)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방법 | |
KR102170971B1 (ko) |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을 위한 작성지원 시스템 | |
Liu et al. | Petrochemical plant multi-objective and multi-stage fire emergency management technology system based on the fire risk prediction | |
Zheng et al. | Construction and spatio-temporal derivation of hazardous chemical leakage disaster chain | |
Aquino-Gaspar et al. | Incident analysis of the “Pajaritos” petrochemical complex | |
Popov et al. | Peculiarities of Specialized Software Tools Used for Consequences Assessment of Accidents at Chemically Hazardous Facilities | |
Tauseef et al. | A critical assessment of available software for forecasting the impact of accidents in chemical process industry | |
Palazzi et al. | Low rate releases of hazardous light gases under semi-confined geometry: A consequence based approach and case-study application | |
Khan et al. | HAZDIG: a new software package for assessing the risks of accidental release of toxic chemicals | |
Rigas et al. | Safety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in a new pesticide production line | |
Yet-Pole et al. | The development of a 3D risk analysis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