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039B1 -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 - Google Patents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039B1
KR102171039B1 KR1020140021372A KR20140021372A KR102171039B1 KR 102171039 B1 KR102171039 B1 KR 102171039B1 KR 1020140021372 A KR1020140021372 A KR 1020140021372A KR 20140021372 A KR20140021372 A KR 20140021372A KR 102171039 B1 KR102171039 B1 KR 10217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device
centrifugal pump
electric centrifugal
box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430A (ko
Inventor
타지올리 스테파노
시니코 프란세스코
Original Assignee
디에이비 펌프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비 펌프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디에이비 펌프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10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06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double su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6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storag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13Cooling the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ok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유압 시스템 내에 설치되는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펌핑 장치는,
-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유압 시스템에 연결될 두 개의 흡입 커넥터(16a, 16b)를 갖는 전기 원심 펌프(11),
-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펌프축(19)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칭축(18)을 갖고, 전기 원심 펌프(11)에 고정되는 전달 액체용 탱크(12),
- 탱크(12)에, 그리고 수직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상기 유압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전달 커넥터(30a, 30b) 중 하나에 전달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원웨이 밸브(29)를 구비한 매니폴드(13)를 포함한다.
흡입 커넥터(16a, 16b)와 전달 커넥터(30a, 30b)는 펌핑 장치(10)의 하나의 부분, 실질적으로는 유압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한 부분(35)에서 서로 가깝다.

Description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PUMP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DOMESTIC WATER SUPPLY}
본 발명은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용 유압 시스템의 공급은 일반적으로 일단 또는 다단 원심 펌프, 즉, 디퓨저(diffuser)와 교대하는 다수의 임펠러(impeller)를 구비한 적어도 전기 펌프를 필요로 한다. 전기 펌프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압력 제어 스위치 또는 압력/유량 제어 스위치에 의해, 또는 인버터 기반 전자장치에 의해 수동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종종 멤브레인 저장 탱크와 함께, 유압 시스템의 부분들에 대한 흡입 및 전달 측과 연결되는 펌핑 장치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설치에 사용되는 구성은 작동의 관점에서 유연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전기 펌프가 축 방향 흡입과 접선 방향 전달을 위해, 또는 그 반대로, 또는 흡입과 전달 모두가 전기 펌프의 반대쪽에서 축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실제로 시장은, 펌프 축, 즉, 임펠러 회전축이 수직 위치에 있도록 하는 설치를 위해 또는, 요건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이미 하나의 발판 상에 장착된 수평 설치를 위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미리 조립된 펌핑 어셈블리 형태의 장치를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설치 기술자는 현장에서 장치를 조립하고 설치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공급회사로부터 각각의 구성요소나 하위 부품을 구입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설치 기술자는 어떠한 유형의 펌핑 어셈블리가 가장 적합한지를 설정하기 위한 점검을 수행해야 하거나 또는 이를 설계해야만 한다.
이러한 장치들의 또 다른 단점은 최종 공간 점유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는 수직 또는 수평 설치를 위한 조립 제한으로 인한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구성요소들을 결합하는 적당한 커넥터로 인한 것이며,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메인 및 보조 구성요소들 그 자체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기 펌프로부터의 전달 유체의 값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거나, 또는 전기 펌프 또는 인버터의 모터를 위한 팬 기반 냉각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주지된 바와 같이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시끄럽다.
본 발명의 목표는 컴팩트하게 조립된 어셈블리 내의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펌핑 장치는 하나의 구조 내에서 상기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전체 공간 점유를 줄이고, 요건에 따라, 그 자체가 수평 구성 및 수직 구성에서 모두 펌프 축을 구비하여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기술자의 점검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 특정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알려진 그리고 사용되는 것들에 비해 감소된 소음 수준을 갖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더욱 명백해질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유압 시스템 내에 설치되는,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이 펌핑 장치는,
-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유압 시스템에 연결될 두 개의 흡입 커넥터를 갖는 전기 원심 펌프,
-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펌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칭축을 갖고, 상기 전기 원심 펌프에 고정되는 전달 액체용 탱크,
- 상기 탱크에, 그리고 수직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상기 유압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연결될 두 개의 전달 커넥터 중 하나에 전달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원웨이 밸브를 구비한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커넥터와 상기 전달 커넥터는 상기 펌핑 장치의 하나의 부분, 실질적으로는 상기 유압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한 부분에서 서로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바람직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는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도면이고;
도 3은 또 다른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를 개방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한 수동 공구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구성요소를 꺼낼 때 도 5의 공구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전기 원심 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9은 전기 원심 펌프에 탱크를 고정하기 위한 칼라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매니폴드가 단독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탱크, 매니폴드 및 전달 액체가 통과하는 단일 모놀리식 부분 상에 장착된 제어 장치의 결합에 의해 제공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커넥터와 결합된 제어 장치의 도면이고;
도 13은 펌핑 장치를 둘러싸는 박스 형상의 몸체를 갖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적당한 클립의 적용을 도시하기 위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를 갖는 펌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인용된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지정된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는 상호 연결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전기 원심 펌프(11), 전달 액체용 탱크(12), 및 압력 변환기(14)가 장착되는 매니폴드(13)를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하나의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에 둘러싸인다.
전기 원심 펌프(11)는, 수직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유압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개의 흡입 커넥터(16a 및 16b)를 갖는다(도 8에 도시됨).
탱크(1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도 13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펌프축(19)과 평행한 대칭축(18)을 갖고, 적당한 신속 고정 수단(17)(도 9에 도시됨)에 의해 전기 원심 펌프(11)에 고정된다.
특히, 도 8에 자체적으로 도시된 전기 원심 펌프(11)는 임펠러들(impellers)의 어셈블리와 이들을 펌프축(19)에 대해 회전시키는 모터의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쉘(20) 내에 둘러싸인 다단(multistage)형이다. 더욱 상세하게, 쉘(2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부분을 포함하며, 이 원통형 부분은 임펠러들과 모터를 둘러싸고, 그리고 횡단면 상에서 결합되는 두 개의 재킷(21a 및 21b)으로 구성된다(두 개의 재킷(21a 및 21b)은 각각 흡입 측과 전달 측에 더 가까움). 이에 따라 원통형 부분은 또한 서로 반대쪽에 있는 두 개의 헤드(22a 및 22b)를 포함하고, 이들 두 개의 헤드(22a 및 22b)는 각각 전기 원심 펌프(11)의 흡입 측 및 전달 측에서 원통형 부분의 끝면들(end faces)을 폐쇄한다(close). 두 개의 재킷(21a 및 21b)과 두 개의 헤드(22a 및 22b)는 이들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인장 부재들(23)에 의해 결합되고, 탱크(12)는 도 9에 도시된 적당한 신속 고정 수단(17)에 의해 인장 부재들(23)에 고정된다.
탱크(12)와 전기 원심 펌프(11)의 결합은 도 13의 전체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도 9에 단독으로 도시된 띠 형상의 고정 칼라(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고정 칼라(24)는 탱크(12)를 둘러싸고, 신속 고정 수단(17)을 구비하며, 인장 부재(23)와의 신속한 스냅 결합을 위한 자리(26)가 제공된 측면 돌기(25)를 포함한다. 측면 돌기(25)와 함께 고정 칼라(24)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따라서 탄력적인 결합을 제공한다.
특히, 고정 칼라(24)는, 도 9에 제공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연속적인 초승달 형상의 요소(27a, 27b, 27c)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요소들은 직경의 공간 점유를 최소화하도록 정반대가 아닌 위치에서 두 개의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탱크(12)를 둘러쌈으로써 폐쇄되며, 탱크(12)의 치수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컨틸레버 곡선 탭(cantilevered curved tab)으로 구성된 원호 형상의 탄성 보상 요소(28)를 구비한다.
도 10에 단독으로 도시되고 도 11에서의 탱크(12)와의 결합에서, 매니폴드(13)는 원웨이 밸브(29)(도 6에 도시되었으나, 매니폴드(13)의 일부에 삽입되므로 도 10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구비하며, 탱크(12) 및 두 개의 가능한 전달 커넥터(30a 및 30b)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전달 액체(전달 측과의 연결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됨)를 분해하기 설계된다. 이 전달 커넥터(30a 및 30b)는 동일한 매니폴드(13)의 일부이지만 수직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유압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연결될 것이다.
원웨이 밸브(29)는, 펌핑 장치(10)로부터의 원웨이 밸브(29)의 추출을 도시한 도 6에도 도시된 카트리지(31)와 함께 매니폴드(13)의 일부분에 삽입된다. 카트리지(31)는 제 1 부분(32)과 제 2 부분(33)을 포함하는 길다란 몸체를 갖는 유형이고, 제 1 부분(32)은 원웨이 밸브(29)를 지지하고, 제 1 부분(32)에 의해 원웨이 밸브(29)가 상기 매니폴드(13)의 일부분에 진입하며(도 10), 제 2 부분(33)으로부터 그립부(34)가 돌출된다. 이 그립부(34)는, 원웨이 밸브(29)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31)의 추출을 위해, 실질적으로 원웨이 밸브(29)가 삽입되는 부분의 연장부인, 건조하고 액체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에 남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변환기(14)는 전달 압력의 값을 측정하기 위해 매니폴드(13) 상에 설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실질적으로 육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 자체가 단순한 육각형 키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압력 변환기(14)는 제한된 공감 점유를 가지며, 변환기로 진입하는 액체의 압력을 받게 되는 내부 멤브레인 부분을 갖는 플랫 기능 요소를 내부에 갖고, 내부 멤브레인 부분과 직각으로 기능 요소 상에 설치되고 공지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상의 액체의 압력을 변환하도록 설계된 전자 보드를 갖는 유형의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커넥터(16a, 16b)와 전달 커넥터(30a, 30b)는 펌핑 장치(10)의 하나의 부분, 실질적으로는 유압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위한 부분(35)에 가깝다(도 2 및 도 3에 도시됨).
박스 형상의 몸체(15)는, 연결부(35)에서 제 1 벽(37a)과 가까운 흡입 커넥터(16a, 16b)와 전달 커넥터(30a, 30b)의 입구에 적당한 개구부(36)를 구비하며, 펌핑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위한 접근 지점(38), 더욱 상세하게는 세 개의 접근 지점(38a, 38b 및 38c)을 구비한다. 개구부(3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접근 지점(38)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제 1 벽(37a)은 흡입 커넥터(16a)를 위한 개구부(36)와 전달 커넥터(30a)를 위한 개구부(36)를 갖는 반면, 나머지 흡입 커넥터(16b)와 전달 커넥터(30b)는 제 1 벽(37a)과 인접한 벽의 개구부(36) 내에서 각각 종료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개구부(36)와 도 6에 도시된 (원웨이 밸브(29)와 함께 카트리지(31)를 위한) 제 1 접근 지점(38a)은 적당한 플러그(39)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박스 형상의 몸체(15)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이는 적당한 폐쇄 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5)의 벽(37a, 37b, 37c, 37d, 37e, 37f)을 결합시킴으로써 폐쇄되며, 이 폐쇄 수단은, 고정 스크류(40) 또는 상기 벽(37c 및 37d)을 상기 펌핑 장치(10)의 내부 요소에 신속하게 결합하기 위한 수단(41)과 같이, 도 7의 분해도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신속 결합 수단(41)은 실질적으로 헤드(42)를 갖는 클립(도 14에서 더욱 잘 볼 수 있고, 이로부터 이러한 유형의 폐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가 명확해 짐)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42)는 원형 둘레를 갖고 이 헤드(42)로부터 두 개의 플랫 스템(43)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그리고 서로 반대 지점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템에 의해 클립은 전달 커넥터(30b)의 입구에 배치된 것과 같은 개구부(36) 또는 도 7의 도면의 왼쪽에 도시된 제 1 접근 지점(38a)으로 진입한다.
클립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이의 두 개의 플랫 스템(43) 상에, 삽입 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부분(44) 및 플랫 스템(43)을 위한 적당한 수용부(46)와의 신속한 스냅 결합을 위한 수단(45)을 가지며, 이 수단(45)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스템에 대해, 스냅 작용에 의해 펌핑 장치(10)의 수용부(46)의 적당한 자리로 진입하는, 치형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클립은,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을 갖고 이의 모서리에 의해 개구부(36) 또는 접근 지점(38a)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헤드(42)를 가지며, 적당한 플러그(39)의 스템(47)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전기 원심 펌프(11)와 탱크(12)는 각각,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두 개의 마주하는 벽(37a 및 37b)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펌프축(19)과 탱크(12)의 대칭축(18)을 갖고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부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벽 중 제 1 벽(37a) 내에, 전기 원심 펌프(11)의 흡입 커넥터(16a)와 전달 커넥터(30a)를 각각 유압 시스템의 흡입 덕트와 전달 덕트로 연결하기 위한 두 개의 개구부(36)가 있는 반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벽(37b)은 몇 개의 접근 지점(38)을 갖는 기술함(technical compartment, 48)을 구비하며, 이 접근 지점은 수직으로 배치된 펌프축(19)을 갖는 펌핑 장치를 설치하는 동안 펌프 몸체의 로딩 개구부의 폐쇄 플러그(49)로의 접근을 위한 제 2 지점(38b)과 탱크(12)로의 접근을 위한 제 3 지점(38c)을 포함한다.
기술함(48)은, 두 개의 접근 개구부(51)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적당한 해제 수단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도어(5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기술함(48)은 또한 다목적 수동 유형의 공구(53)를 위한 리셉터클(52) 및 접힌 사용자 설명서를 위한 포켓(54)를 구비한다.
공구(53)는 두 개의 길다란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횡방향을 결합되기 위해 공구의 키의 부분을 지지하여, 공구(53)의 사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십자가 형상의 구성을 결정한다.
비활성의 구성에서, 이러한 두 개의 요소는 대신에 리셉터클(52)의 적당한 공간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저장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엔 결합 요소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이는 처음 사용시 반드시 분리해야 한다.
특히, 흡입 커넥터(16a, 16b)와 전달 커넥터(30a, 30b)의 개구부(36) 및 카트리지(31)가 내부에 삽입되는 매니폴드(13)의 부분의 연장부를 폐쇄하는 플러그(39)가, 사용을 위한 구성에서 이를 위해 적당한 치수의 제 1 일자 드라이버 팁(55)을 구비한 공구(53)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헤드의 외부에서 노치를 갖는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조립된 펌핑 장치(10)를 도시한 첫 번째 도면에서 알 수 있다. 기술함(48)으로부터 전기 원심 펌프(11)의 구동축으로 접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은편의 제 2 일자 드라이버 팁(56)에 의해, 공구(53)는 또 다른 플러그(57)를 열 수 있게 한다.
도 6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듯이, 또 하나의 단부에서, 공구(53)는 포크 형상의 결합부(58)를 가지며, 이 결합부(58)에 의해 공구는 바람직하게 카트리지(31)의 그립부(34)와 결합하여 원웨이 밸브(29)와 함께 카트리지(31)를 빼낸다.
포크 형상의 결합부(58)의 반대쪽 단부에서, 공구(53)는 펌프 몸체의 로딩 개구부의 폐쇄 플러그(49) 내에서의 분리와 결합을 위한 소켓 헤드 키(59)를 구비하며, 이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돌출된 다각형부를 갖는다.
더욱 정확하게,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에서, 펌핑 장치(10)는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장치(60)를 포함하며, 이 장치(60)는, 전기 원심 펌프(11)의 전달 액체가 통과하는 덕트의 단일 모놀리식 부분(61) 상에서, 실질적으로 유량계로 구성되는 유량 검출 수단(62)과 펌핑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를 위한 히트 싱크(63)를 포함하며, 이 또한 박스 형상의 몸체(15)에 둘러싸인다.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보이지는 않지만, 장치의 작동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내부에 구비하며, 이는 동작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신속하고 가역적인 연결을 위한 수단(65)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수단(65)에 의해, 장치(60)를 구비한 모놀리식 부분(61)이 액체의 흡입 측에서 커넥터(66)에 의해 전기 원심 펌프(11)의 전달 측에 연결되고 배출 측에서 매니폴드(13)에 연결된다.
커넥터(66)는 수직 설치에서 펌프 몸체를 로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며, 이 수직 설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펌프축(19)을 갖는 배치에 해당하며, 예상되듯이, 공구(53)에 의해 나사 결합되고 해제될 수 있고 기술함(48)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폐쇄 플러그(49)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개구부는 펌프가 액체를 흡입 영역에까지 로딩할 수 있게 한다.
신속 및 가역 연결 수단(65)은 실질적으로 U-형상의 포크로 구성되고, 이 포크는 서로에 삽입된 이의 단부의 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그리고 도 7의 분해도에서, 펌핑 장치(1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67)를 구비하며, 이는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7)는 플랫 케이블(71)에 의해 연결되고 제 5 벽(37e) 내에 구비된 이의 적당한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제 5 벽(37e)은 수평 설치에서 상부의 벽 그리고 수직 설치에서 정면의 벽에 해당한다.
도 13은, 상기한 내부 요소가 특정 구성에 따라 서로 연결된, 박스 형상의 몸체(15)를 갖지 않는 본 펌핑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탱크(12)가 펌프축(19)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대칭축(18)을 갖고, 고정 칼라(24)에 의해 전기 원심 펌프(11)에 결합되고; 커넥터(66)가 전기 원심 펌프(11)의 전달 측과 결합되고 로딩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플러그(49)가 후면 부분에서 이로부터 돌출되고; 도 11에 더욱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를 구비한 모놀리식 부분(61)이 신속 및 가역 연결 수단(65)에 의해 커넥터(66)에 그리고 반대편에서 매니폴드(13)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측이 탱크(12)에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가 설치되어 있고, 이의 온도가 장치(60)의 히트 싱크(63)에 의해 제어되며, 이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는 장치(60) 상에 받쳐있다(탱크(12)에 의해 가려져서 볼 수 없음).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 원심 펌프(11)의 제 2 흡입 커넥터(16b)가 매니폴드(13)를 통과하는 연장부(68)에 의해 다시 상부로 확장되어 있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연장부(68)는 제 1 전달 커넥터(30a)를, 제 1 흡입 커넥터(16a)가 종료하는,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상기 제 1 벽(37a)으로 안내하고, 제 2 전달 커넥터(30b)를 제 1 전달 커넥터(30a)와 수직인 방향으로 제 4 벽(37d)으로 안내한다.
전기 원심 펌프(11)는, 여기에 설명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자흡식(self-priming)이며, 이와 관련해서, 도 6 및 도 8의 아래에서 알 수 있듯이, 플러그(69)를 구비하며, 이 플러그(69)는 장치의 외부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임펠러 어셈블리에서 흡입 측으로의 재순환을 위한 덕트를 개폐하도록 설계된 밸브의, 외부에서는 볼 수 없는, 유량 제어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류-온(screw-on) 플러그(69)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버섯 형상의 요소를 구비하는 유형이고, 이의 축 방향 공간 점유는, 상기한 스크류-온 플러그(69)에 대해, 전기 원심 펌프(11)의 오버헤드 또는 언더헤드 설치를 위한 두 개의 선택 가능한 축 방향 위치를 형성한다.
또한, 박스 형상의 몸체(15)를 완비한 펌핑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에서, 진동 감쇠 패드 역할을 하고, 장치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장착되느냐에 따라 제 1 벽(37a) 또는 제 6 벽(37f)에서 박스 형상의 몸체(15)와 결합할 수 있는 네 개의 레스팅 피트(resting feet, 70)의 존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요건에 따라, 장치는 오버헤드 구성 또는 언더헤드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고, 따라서 펌프축(19)은 첨부된 대부분의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 위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수직 위치에 있다.
유량 제어 요소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스크류-온 플러그(69)는, 도 2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으며, 오버헤드 또는 언더헤드 구성에서의 전기 원심 펌프(11)의 사용을 위한 두 개의 선택 가능한 축 방향 위치에 따라 반전될 수 있다.
언더헤드 설치의 경우, 오버헤드 구성에서의 작동을 위해 전용 설계된 일반적인 원심 펌프와 같이 자흡식 전기 원심 펌프(11)가 작동할 수 있도록, 유량 제어 요소는 재순환 덕트의 개구부에 대해 스크류-온 플러그(69)의 버섯 형상의 요소에 의해 가압된 밸브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어(50)를 개방함으로써, 해당 리셉터클(52)에서 공구(53)를 꺼내기 위해 또는 포켓(54)에서 사용자 설명서를 꺼내기 위해 또는 펌프 몸체를 로딩하거나 탱크(12)를 재충전하는 것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서도 기술함(48)에 접근할 수 있다.
일단 십자가 형상의 구성으로 조립되면, 공구(53)는 펌프의 구동축으로의 접근을 위해 제 2 일자 드라이버 팁(56)으로 폐쇄 플러그(49) 또는 또 다른 플러그(57)를 열 수 있도록 이의 소켓 헤드 키(59)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시, 설치 요건에 따라, 두 개의 흡입 커넥터(16a, 16b)와 두 개의 전달 커넥터(30a, 30b) 중 각각 하나는, 이들의 개구부를 외부로 개방함으로써, 즉, 바람직하게 공구(53)의 제 1 일자 드라이버 팁(55)으로 플러그(39)를 엶으로써, 그리고 이들을 시스템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히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공구(53)의 사용이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은 또한 원웨이 밸브(29)가 저장되어 있는 연장부로의 제 1 접근 지점(38a)의 개방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동일한 유형의 플러그(39)를 엶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공구(53)에 의해, 그리고 특히 이의 포크 형상의 결합부(58)에 의해, 카트리지(31)를 청소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모든 작업을 위해, 원웨이 밸브(29)를 갖는 카트리지(31)를 꺼낼 수 있다.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제 3 벽(37c)과 제 4 벽(37d)을 매니폴드(13)와,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제 2 전달 커넥터(30b) 및 원웨이 밸브(29)에 대한 연장부와 각각 결합시키는 클립은 대신에, 유지보수 작업이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개방을 위해 이들의 분리를 필요로 할 때까지, 상기 벽들과 일체로 남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펌핑 장치(10)는, 단일 면에서의 흡입 커넥터와 전달 커넥터의 존재로 인해 용이해지는, 이미 조립되고 펌프축(19)과 함께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될 준비가 되어 있는 어셈블리를 제안하기 위해, 전기 원심 펌프(11), 탱크(12) 및 전자 부품을 하나의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에 둘러쌀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펌핑 장치(10)는 이의 대부분의 적절한 흡입 및 전달 커넥터를 유압 시스템에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될 준비가 되어 있는 매우 컴팩트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설치 요건에 따라 제거되는 플러그(39)에 의해 폐쇄되는 흡입 및 전달 커넥터와 함께 제안된다.
제품의 컴팩트함은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부의 구성요소의 배치, 이들의 형상 및 이들이 상호 연결되는 방식에 의한 것임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펌핑 장치(10)는 전기 원심 펌프(11)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환기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이는 대신에 임펠러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액체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또는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의 냉각을 위한 환기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의 과도한 열은 장치(60)의 히트 싱크(63)에 의해 소멸되고, 이는 모놀리식 부분(61)을 통과한 액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이는 특히 펌핑 장치(10)의 공간 점유를 크게 줄일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음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치(60)는 유량 검출 수단(62)의 도움으로 전달 액체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매니폴드(13) 상에 장착된 압력 변환기(14)는 압력의 위치 값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에 연결된 온도 센서는 장치의 작동 온도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전자 부품의 과열 또는 작동 환경의 과도한 냉각의 경우, 상기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는 전기 원심 펌프(11)의 스위칭 오프나 온을 제어하여, 과도한 냉각의 경우, 덕트 내에 존재하는 액체가 빙점에 도달하여 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매니폴드(13), 모놀리식 부분(61), 커넥터(66), 쉘(20) 및 박스 형상의 몸체(15) 그 자체와 같은 대부분의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펌핑 장치(10)의 중량을 가능하면 많이 제한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의 특별한 어셈블리 구성, 이들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수단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특별한 구조로 인해, 이미 조립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컴팩트하고 현재 알려진 장치들보다 더욱 작은 전체 공간 점유를 갖는 어셈블리 내에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 의도된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장치의 구조는 조립되는 방식으로 인해 그리고 서로 수직인 방향들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흡입 및 전달 커넥터들의 존재로 인해 수직 펌프축과 수평 펌프축 둘 다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별한 구조는,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적당한 카트리지로 인해 원웨이 밸브의 청소 또는 변경, 또는 도어에 의해 가려진 로딩 접근 지점 또는 모터축에 대한 접근 지점에 의한 펌프의 로딩과 같은 장치의 일부 특정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은, 수냉으로 대체되는, 모터 또는 전자 장치의 냉각을 위한 팬 기반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감소된 소음 수준을 갖는 장치를 제안한다는 것이다.
펌프의 소음은 장치를 수용하는 인클로저 그 자체, 즉 박스 형상의 몸체의 존재에 의해 감소된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은 감소된 소음 수준과 이의 컴팩트함에서 실제로 발생하며, 이는 예를 들어, 감소된 양의 공기가 수냉식 장치에 지장을 주지 않는, 싱크대 또는 계단 밑과 같은 가정에서의 설치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펌핑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은 펌핑 장치가 하나의 연결부에서 흡입 및 전달 커넥터를 위한 개구부,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벽에서 흡입 커넥터 및 전달 커넥터의 개구부를 가짐으로써, 시스템의 덕트로의 신속한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제품은 선택적으로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펌핑 장치가, 장치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90° 단위로 90°씩 회전하는 네 개의 위치로 배향될 수 있으며 항상 박스 형상의 몸체의 외부를 향한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고안된 본 발명은 많은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 있고, 모든 세부사항은 또한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는, 특정 용도와 호환될 수 있는 한, 또한 조건부 형상과 치수는 요구 사항과 기술 수준에 따른 임의의 것일 수 있다.

Claims (17)

  1.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10)로서,
    서로 수직인 방향들을 따라 배치된 두 개의 흡입 커넥터들(16a, 16b)을 갖는 전기 원심 펌프(11);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펌프의 축(19)에 평행한 대칭 축(18)으로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에 고정되는 전달 액체용 가압 용기; 및
    서로 수직인 방향들을 따라 배향되는 두 개의 전달 커넥터들(30a, 30b) 중 하나에 그리고 상기 가압 용기에 상기 전달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원웨이(one-way) 밸브(29)를 구비한 매니폴드(13)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커넥터들(16a, 16b)과 상기 전달 커넥터들(30a, 30b)은 상기 펌핑 장치(10)의 일부분에 있고, 상기 전기 원심 펌프, 상기 가압 용기 및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흡입 커넥터들과 상기 전달 커넥터들의 입구들에 개구부(36)를 구비한 하나의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에 둘러싸이고(enclosed),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제 1 벽(37a)과의 연결 부분(35) 내에 있거나 상기 연결 부분(35)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벽(37a)은 상기 흡입 커넥터들 중 하나(16a)를 위한 개구부(36)와 상기 전달 커넥터들 중 하나(30a)를 위한 개구부(36)를 갖고,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는 상기 펌핑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접근 지점(access point)들(38)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근 지점들(38)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개구부들(36)은 플러그들(39)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되고,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와 상기 가압 용기는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의 축(19)과 상기 가압 용기의 상기 대칭 축(18)은 각각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의 상기 제 1 벽(37a)과 제 2 벽(37b)을 포함하는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벽들(37a, 37b)에 수직이고, 상기 제 1 벽(37a)은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의 제 1 전달 커넥터(30a)의 연결과 제 1 흡입 커넥터(16a)의 연결을 위해 상기 개구부들(36) 중 두 개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벽들 중의 상기 제 2 벽(37b)은 추가 접근 지점들(38)을 갖는 기술함(technical compartment)(48)을 구비하고, 이들 추가 접근 지점들(38)은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를 로딩(loading)하기 위한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플러그(49)에 대한 접근 지점(38b)과 상기 가압 용기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 지점(38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이는 폐쇄 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5)의 벽들(37a, 37b, 37c, 37d, 37e, 37f)을 연결시킴으로써 폐쇄되고,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벽들을 상기 펌핑 장치(10)의 내부 요소들과 신속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클립 또는 고정 스크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함(48)은 다목적 수동 유형의 공구(53)를 위한 리셉터클(52) 및 접힌 사용자 설명서를 위한 포켓(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함(48)은 해제 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50)에 의해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들(39)은 상기 공구(53)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상기 플러그들의 헤드의 외부 상에(on) 노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형상의 몸체(15) 내부에 있는 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60)는 전달 액체가 통과하는 덕트의 단일 모놀리식 부분(61) 상에서(on) 유량 검출 수단(62), 및 상기 펌핑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를 위한 히트 싱크(63)를 차례대로(in turn) 포함하고,
    상기 모놀리식 부분(61)은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의 전달 측에 연결되고, 그 반대편 단부에서는 신속하고 가역적인 연결을 위한 수단(65)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1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놀리식 부분(61)은 커넥터(66)에 의해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의 전달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를 로딩하기 위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상기 플러그(49)는 공구(53)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도록 돌출된 다각형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는 임펠러들(impellers)의 어셈블리와 이들을 상기 펌프의 축(19)에 대해 회전시키는 모터의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쉘(20) 내에 둘러싸이고, 상기 쉘(20)은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은 상기 임펠러들의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를 둘러싸고, 그리고 횡단면 상에서 결합되는 두 개의 재킷(21a, 2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은 또한 서로 반대쪽에 있는 두 개의 헤드(22a, 22b)를 포함하고, 이들 두 개의 헤드(22a, 22b)는 각각 상기 전기 원심 펌프(11)의 흡입 측 및 전달 측에서 상기 원통형 부분의 끝면들(end faces)을 폐쇄하고(close), 상기 두 개의 재킷(21a, 21b)과 상기 두 개의 헤드(22a, 22b)는 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연속해서 통과하는 인장 부재들(23)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압 용기는 신속 고정 수단(17)에 의해 상기 인장 부재들(2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용기는 띠 형상의 고정 칼라(24)에 의해 상기 쉘(2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칼라(24)는 상기 가압 용기를 둘러싸고 상기 신속 고정 수단(17)을 구비하며, 상기 신속 고정 수단(17)은 상기 인장 부재들(23)과의 신속한 스냅 결합을 위한 자리(26)가 제공된 측면 돌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밸브(29)는 카트리지(31)와 함께 상기 매니폴드(13)의 일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카트리지(31)는 제 1 부분(32)과 제 2 부분(33)을 포함하는 길다란 몸체의 형상이고, 상기 제 1 부분(32)은 상기 원웨이 밸브(29)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부분(32)에 의해 상기 원웨이 밸브(29)가 상기 매니폴드(13)의 일부분에 진입하며, 상기 제 2 부분(33)으로부터 그립부(34)가 돌출되고, 상기 그립부(34)는, 상기 원웨이 밸브(29)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31)의 추출을 위해, 액체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에 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장치는 상기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64)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6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KR1020140021372A 2013-02-26 2014-02-24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 KR102171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044A ITPD20130044A1 (it) 2013-02-26 2013-02-26 Struttura di dispositivo di pompaggio, particolarmente per approvvigionamento idrico domestico
ITPD2013A000044 201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430A KR20140106430A (ko) 2014-09-03
KR102171039B1 true KR102171039B1 (ko) 2020-10-29

Family

ID=4809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372A KR102171039B1 (ko) 2013-02-26 2014-02-24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97068B2 (ko)
EP (1) EP2770213B1 (ko)
KR (1) KR102171039B1 (ko)
CN (1) CN104005965B (ko)
ES (1) ES2900742T3 (ko)
IT (1) ITPD20130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6660B1 (de) * 2015-10-15 2022-04-13 Grundfos Holding A/S Hauswasserwerk mit kreiselpumpe und membrandruckbehälter
EP3156661B1 (de) * 2015-10-15 2023-12-06 Grundfos Holding A/S Hauswasserwerk oder pumpe mit einem rückschlagventil
TW201739517A (zh) 2016-01-12 2017-11-16 葛萊兒明尼蘇達股份有限公司 集成泵保護及控制互鎖
TWM533845U (en) * 2016-06-06 2016-12-11 Cooler Master Technology Inc Pressurized infusion device and liquid cooling system
IT201900011709A1 (it) * 2019-07-15 2021-01-15 Dab Pumps Spa Assemblato di elettropompa perfezionato con zona umida accessibile all'utente
IT201900012858A1 (it) * 2019-07-25 2021-01-25 Dab Pumps Spa Elettropompa di tipo sommerso, con gruppo di alimentazione e controllo perfezionato
IT202000004879A1 (it) * 2020-03-09 2021-09-09 Dab Pumps Spa Elettropompa verticale a manutenzione facilitata
IT202000004882A1 (it) * 2020-03-09 2021-09-09 Dab Pumps Spa Elettropompa con camicia perfezionata
IT202000019810A1 (it) * 2020-08-07 2022-02-07 Pedrollo Spa Gruppo di pompaggio ad alta potenz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9339A1 (en) * 2003-02-05 2004-08-05 Neng-Chao Chang Micro pump device with liquid tank
WO2012001711A1 (en) * 2010-06-28 2012-01-05 Giuseppe Masciarelli Hydraulic pump with communicating vesse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8256A (en) * 1946-03-13 1947-09-30 W S Darley & Company Pumping apparatus
US3490376A (en) * 1968-12-30 1970-01-20 Joe M Valdespino Well point system
CN2215523Y (zh) 1995-03-16 1995-12-20 王博荣 射流稳压贮能全自动供水器
CN200961107Y (zh) 2006-09-28 2007-10-17 邹国南 一种反渗透纯水机
CN101696693A (zh) 2009-07-13 2010-04-21 宁波沃力机电有限公司 一种具有增容储压功能的自动水泵
CN102817856B (zh) 2012-08-21 2015-08-12 利欧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便携式串励电机花园喷射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9339A1 (en) * 2003-02-05 2004-08-05 Neng-Chao Chang Micro pump device with liquid tank
WO2012001711A1 (en) * 2010-06-28 2012-01-05 Giuseppe Masciarelli Hydraulic pump with communicating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00742T3 (es) 2022-03-18
CN104005965B (zh) 2018-03-23
EP2770213A1 (en) 2014-08-27
CN104005965A (zh) 2014-08-27
ITPD20130044A1 (it) 2014-08-27
KR20140106430A (ko) 2014-09-03
EP2770213B1 (en) 2021-11-24
US20140241921A1 (en) 2014-08-28
US10197068B2 (en)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039B1 (ko) 펌핑 장치, 특히 가정용 급수를 위한 펌핑 장치
EP3214383A1 (en) Air conditioner
EP3214386A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WO2013066857A1 (en) Washing machine odor reduction systems
RU2667862C2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20180323023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a vacuum cleaner motor
US4897023A (en) Liquid pump assembly
JP6274995B2 (ja) 往復回転式センサ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140182321A1 (en) Condensate collection device
WO2006105017A3 (en) Condensate pump
JP5208457B2 (ja) キャビネット、及び該キャビネットを備えた給水装置
US20130309099A1 (en) Compact, Light Weight, Battery Operated, Self-Priming, Positive Displacement Pump
CN105180561B (zh) 具有风道盖板的制冷器具及其装配方法
US9550141B2 (en) Device for cleaning contaminated air
US20220290876A1 (en) Dehumidifier without condensate tank
US20180258938A1 (en)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a monitoring unit on a pump
ES2827325T3 (es) Central de aspiración compacta
KR101243865B1 (ko) 온수공급장치
KR101703932B1 (ko) 환풍기
US20070114302A1 (en) Portable direct-current sprayer
JP4447965B2 (ja) 直結式給水装置
CN217696178U (zh) 一种蒸烤箱
US9846071B1 (en) Pool water level and vacuum monitor
CN110242949A (zh) 一体式蒸汽发生装置及吸油烟机
KR101974426B1 (ko) 휴대용 일체형 온풍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