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295B1 -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295B1
KR102170295B1 KR1020180148286A KR20180148286A KR102170295B1 KR 102170295 B1 KR102170295 B1 KR 102170295B1 KR 1020180148286 A KR1020180148286 A KR 1020180148286A KR 20180148286 A KR20180148286 A KR 20180148286A KR 102170295 B1 KR102170295 B1 KR 10217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plate
coil spring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645A (ko
Inventor
이원진
정재훈
배윤기
오성룡
최여울
Original Assignee
(주) 지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티씨 filed Critical (주) 지티씨
Priority to KR102018014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베이스와, 밸브플레이트와, 밸브가드와, 코일스프링 및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며, 특히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코일스프링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형태로 압축 및 복원 동작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밸브플레이트의 승강 동작시 발생되는 각 부위별 동작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플레이트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원활함과 더불어 정확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기체(공기 또는, 냉매 등)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이는 기계장치로써 압축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와, 원심 압축기, 축류 압축기, 회전 압축기, 분사 압축기 등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의 경우는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가스를 흡입 및 압축하는 방식의 압축기이며, 이렇게 압축된 기체는 배출측 밸브 조립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배출측 밸브 조립체는 압축 공간의 압력이 설정압에 도달할 경우 밸브플레이트가 동작되면서 유로(압축공간 공간과 배출공간을 서로 연통하는 통로)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밸브플레이트는 탄력부재에 의해 복귀 이동되거나 혹은, 이격 이동되면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밸브조립체의 탄력부재는 공개특허 제10-2017-0126548호, 등록특허 제10-0422364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판스프링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러한 판스프링은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895105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스프링을 탄력부재로 이용하는 기술은 밸브플레이트의 동작시 해당 밸브플레이트의 각 부위를 눌러주는 각 코일스프링이 모두가 정위치에서 정확한 상하 압축 동작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비틀림이나 휨 등의 현상이 발생됨으로 인해 해당 밸브플레이트의 각 부위별 가압력의 편차가 발생되었고, 이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코일스프링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코일스프링의 동작시 외력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각 부위별 압력 편차가 발생된다면 고른 압축 동작이나 복원 동작이 아닌 서로 다른 압축이나 복원이 이루어짐에 따라 밸브플레이트가 떨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7-0126548호 등록특허 제10-0422364호 등록특허 제10-0895105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플레이트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원활함과 더불어 정확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에 따르면 유체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밸브베이스; 상기 각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스의 압력에 따라 승강 동작되면서 상기 각 유입홀을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승강 동작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장착홈이 요입 형성된 밸브가드; 상기 밸브가드의 각 장착홈 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탄력 이동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장착홈 내에 설치되면서 코일스프링이 정위치를 따라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장착홈 내의 끝단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해당 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장착홈 내벽면의 안내를 받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동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동작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결합핀에 의해 상기 밸브가드의 장착홈 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은 상기 결합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과의 대향면에는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면서 압축 및 복원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동작부재 중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장착홈 내부의 압력 해소를 위한 벤트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밸브플레이트의 가압을 위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 지지부의 지지를 받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그의 동작 중 뒤틀리거나 정위치를 벗어나 기울어진 상태로 압축되는 등의 동작 불량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가 각 부위별 요동 현상 없이 정확히 승강 동작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밸브플레이트가 부시에 의한 승강 이동의 안내 및 지지핀에 의한 원치않은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되기 때문에 정확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부시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밸브플레이트가 정확히 승강 동작될 수 있으면서도 밸브베이스와 밸브가드 간의 이격 거리(밸브플레이트의 동작 거리)를 정확히 제한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가드의 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가 흡입측 밸브 조립체로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에 대한 설명은 각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압축된 유체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측 밸브 조립체임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중 밸브가드의 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크게 밸브베이스(100)와, 밸브플레이트(200)와, 밸브가드(300)와, 코일스프링(400) 및 스프링 지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스프링 지지부(500)는 상기 코일스프링(40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코일스프링(400)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형태로 압축 및 복원 동작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밸브플레이트(200)의 승강 동작시 발생되는 각 부위별 동작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밸브베이스(100)는 압축기 하우징(10) 내의 유출실(11) 및 배출실(12) 간의 연통 부위를 구획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출실(11)은 압축기 하우징(10) 내의 압축실(도시는 생략됨)에서 압축된 유체가스(공기 혹은, 냉매가스 등)가 상기 압축실로부터 유출되어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며, 상기 배출실(12)은 상기 유출실(11)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체가스가 압축기 하우징(10) 외부로 토출되기 전에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밸브베이스(100)는 원형 혹은, 다각형의 평판플레이트로 형성되면서 상기 유출실(11)과 배출실(12)을 가로막는 격벽(13)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외측 테두리 부위는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격벽(13)의 각 부위 중 유출실(11)과 배출실(12) 간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부위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베이스(100)에는 상기 유출실(11) 내부와 연통된 복수의 유입홀(110)이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각 유입홀(110)은 저면 또는, 평면에서 봤을 때 복수의 호(弧)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단순한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중앙으로는 체결볼트(610)의 설치를 위한 체결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밸브플레이트(200)는 상기 벨브베이스(100)의 상면을 덮는 평판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각 유입홀(1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출실(11) 내의 압력에 따라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출실(11)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각 유입홀(110)을 개방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유출실(11) 내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비해 낮을 경우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하강 이동되면서 상기 각 유입홀(110)을 폐쇄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중앙으로 체결볼트(610)가 통과되도록 통과공(210)이 형성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통과공(210)은 상기 체결볼트(610)의 직경에 비해서는 크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의 통과공(2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610)의 둘레에는 원통형의 부시(620)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상기 부시(6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상하 방향으로 정확히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가드(300)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의 승강 동작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밸브가드(300)는 상기 체결볼트(610)에 의해 상기 밸브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가드(300)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의 통과공(210) 내에 위치된 원통형 부시(62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상기 밸브베이스(100)와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시(620)가 상기 밸브가드(300)와 밸브베이스(100) 간의 이격거리(밸브플레이트의 상하 동작 거리)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밸브베이스(100)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의 상승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한 밸브가드(300)의 저면에는 둘레 부위를 따라 복수의 장착홈(310)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310)은 후술될 코일스프링(400) 및 스프링 지지부(500)가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홈으로써 상기 밸브가드(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베이스(100)와 밸브가드(300)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밸브베이스(100) 및 밸브가드(300)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핀(63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지지핀(63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밸브베이스(100)와 밸브플레이트(200) 및 밸브가드(300)의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밸브플레이트(200)가 정위치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102,202,302는 상기 지지핀(630)이 결합되는 핀홀이다.
또한,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와 밸브가드(300)에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면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연통공(201,301)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상승 이동되어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이 개방될 경우 이 유입홀(110)로부터 유입되는 압축된 상태의 유체가스 중 일부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와 밸브베이스(100) 간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각 연통공(201,30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실(11) 내의 압축된 유체가스가 최대한 최대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연통공(201,301)은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과는 일치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연통공(201,301)을 통한 유체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코일스프링(400)은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의 탄력 이동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즉, 압축기 하우징(10)의 유출실(11) 내에 존재하는 압축된 유체가스가 상기 유출실(11)로부터 배출되면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복귀 이동되면서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코일스프링(400)은 후술될 스프링 지지부(500)에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가드(300)의 각 장착홈(310) 내에 각각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부(500)는 상기 각 장착홈(310) 내에 각각 설치되면서 각 장착홈(310) 내의 코일스프링(400)이 정위치를 따라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지지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각 스프링 지지부(500)는 상기 장착홈(310) 내의 끝단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해당 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판(510)과, 상기 장착홈(310) 내벽면의 안내를 받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동작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00)은 상기 베이스판(510)과 상기 동작부재(5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510)은 결합핀(511)에 의해 상기 밸브가드(300)의 장착홈(310) 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일측 끝단은 상기 결합핀(511)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51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400)이 상기 베이스판(51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400)이 원치않게 정위치를 이탈하면서 비틀어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520)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와의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510)과의 대향면에는 수용홈(521)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521) 내에 수용되면서 압축 및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동작부재(520)는 장착홈(31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스프링(400)은 상기 동작부재(520) 내에서 휨 변형이나 뒤틀림 없이 정확히 상하 방향으로만 압축 및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밸브플레이트(200)가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없이 모든 위치에서 동일한 복원력으로 승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동작부재(520) 중 상기 밸브플레이트(200)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장착홈(310) 내부의 압력 해소를 위한 벤트홀(522)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홈(310) 내를 밀폐된 환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공간으로 개방된 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작부재(520)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압축기가 압축 동작을 하지 않는 최초의 상태에서는 밸브플레이트(200)가 하향 이동된 상태로 밸브베이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며, 이로써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은 폐쇄된다.
이때, 각 스프링 지지부(500)를 이루는 동작부재(520)는 코일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밸브플레이트(200)의 각 부위를 균일하게 가압하며, 이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최초의 상태에서 압축기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 압축 운전이 수행되면서 해당 압축기 내의 압축실(도시는 생략됨)로 공급되는 유체가스를 지속적으로 압축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축실에서 압축된 유체가스는 유출실(11)로 유출되며, 이로써 상기 유출실(11)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상승됨과 더불어 이렇게 상승되는 유출실(11) 내의 압력에 의해 코일스프링(400)이 압축되면서 밸브플레이트(200)가 점차 상승 이동되어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을 개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유출실(11) 내에 있던 압축된 상태의 유체가스는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을 통과하며, 이렇게 각 유입홀(110)을 통과하는 유체가스의 일부는 밸브베이스(100)와 밸브플레이트(20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배출실(12) 내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유체가스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00) 및 밸브가드(300)에 형성된 각 연통공(201,301)을 통과하면서 배출실(12) 내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해 유출실(11) 내에 존재하던 압축된 유체가스가 완전히 배출되면 각 코일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각 스프링 지지부(500)의 동작부재(520)가 하향 이동되면서 밸브플레이트(200)를 하향 가압하며, 이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밸브베이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밸브베이스(100)의 각 유입홀(110)을 폐쇄하게 된다.
특히, 전술된 밸브플레이트(20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동작부재(520)가 밸브가드(300)의 장착홈(310) 내주면에 지지받아 승강되면서 각 코일스프링(400)이 뒤틀리거나 정위치를 벗어나 기울어진 상태로 압축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200)는 전 부위에 걸쳐 고른 승강 이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부시(620)에 의한 승강 이동의 안내 및 지지핀(630)에 의한 원치않은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된다.
결국,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밸브플레이트의 가압을 위한 코일스프링(400)이 스프링 지지부(500)의 지지를 받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그의 동작 중 뒤틀리거나 정위치를 벗어나 기울어진 상태로 압축되는 등의 동작 불량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밸브플레이트(200)가 각 부위별 요동 현상 없이 정확히 승강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프링 지지부(500)를 이루는 베이스판(510)에 코일스프링(400)이 고정되고,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동작부재(520)는 밸브가드(300)에 형성된 장착홈(310) 내면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되기 때문에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밸브플레이트(200)가 부시(620)에 의한 승강 이동의 안내 및 지지핀(630)에 의한 원치않은 회전이 방지되면서 승강되기 때문에 정확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부시(62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밸브플레이트(200)가 정확히 승강 동작될 수 있으면서도 밸브베이스(100)와 밸브가드(300) 간의 이격 거리(밸브플레이트의 동작 거리)를 정확히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전술된 실시예와 같은 압축기의 배출측 밸브 조립체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 내로 유체가스가 흡입되는 측에 설치되는 흡입측 밸브 조립체가 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듯, 본 발명의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 압축기 하우징 11. 유출실
12. 배출실 13. 격벽
100. 밸브베이스 110. 유입홀
120. 체결홀 200. 밸브플레이트
210. 통과공 300. 밸브가드
310. 장착홈 201,301. 연통공
400. 코일스프링 500. 스프링 지지부
510. 베이스판 511. 결합핀
520. 동작부재 521. 수용홈
522. 벤트홀 610. 체결볼트
620. 부시 630. 지지핀

Claims (5)

  1. 유체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된 밸브베이스;
    상기 각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가스의 압력에 따라 승강 동작되면서 상기 각 유입홀을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승강 동작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장착홈이 요입 형성된 밸브가드;
    상기 밸브가드의 각 장착홈 내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탄력 이동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장착홈 내에 설치되면서 코일스프링이 정위치를 따라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장착홈 내의 끝단면을 덮도록 위치되면서 해당 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장착홈 내벽면의 안내를 받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동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동작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은 결합핀에 의해 상기 밸브가드의 장착홈 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은 상기 결합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과의 대향면에는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면서 압축 및 복원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 중 상기 밸브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장착홈 내부의 압력 해소를 위한 벤트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KR1020180148286A 2018-11-27 2018-11-27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KR10217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86A KR102170295B1 (ko) 2018-11-27 2018-11-27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86A KR102170295B1 (ko) 2018-11-27 2018-11-27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45A KR20200062645A (ko) 2020-06-04
KR102170295B1 true KR102170295B1 (ko) 2020-10-28

Family

ID=7108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86A KR102170295B1 (ko) 2018-11-27 2018-11-27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3424A (zh) * 2020-07-30 2020-11-24 华润赛美科微电子(深圳)有限公司 测试治具及测试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70B1 (ko) 2008-01-22 2008-04-14 이승학 공기압축기용 밸브판 및 밸브가드 마모방지장치
US20080230733A1 (en) * 2007-03-22 2008-09-25 Bernhard Spiegl Automatic suction and pressure valve
KR101258303B1 (ko) * 2004-12-22 2013-04-25 도트. 아이엔지. 마리오 코자니 에스.알.엘. 압축기용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1346U (ko) * 1978-02-15 1979-08-24
KR100422364B1 (ko) 2001-11-19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
KR100895105B1 (ko) 2008-09-19 2009-04-28 (주) 지티씨 왕복동식 압축기용 밸브
ITFI20120048A1 (it) * 2012-03-08 2013-09-09 Nuovo Pignone Srl "automatic valve with a spring holder ring"
KR20170126548A (ko) 2016-05-09 2017-11-20 학교법인 두원학원 압축기 냉매 배출용 밸브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03B1 (ko) * 2004-12-22 2013-04-25 도트. 아이엔지. 마리오 코자니 에스.알.엘. 압축기용 밸브
US20080230733A1 (en) * 2007-03-22 2008-09-25 Bernhard Spiegl Automatic suction and pressure valve
KR100821670B1 (ko) 2008-01-22 2008-04-14 이승학 공기압축기용 밸브판 및 밸브가드 마모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45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977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170295B1 (ko) 압축기용 밸브 조립체
KR10042236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
US7156626B2 (en) Double side action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CN109844314B (zh) 用于减少吸入脉动的设备和包括该设备的斜盘型压缩机
KR100390783B1 (ko) 스크롤 압축기
US7275918B2 (en) Scroll apparatus with an axial gap control function
KR102466778B1 (ko) 댐핑 기능을 구비한 안전 밸브
CN1450266A (zh) 密封压缩机的气缸组件
KR102549139B1 (ko) 압축기
CN113811689B (zh) 压缩机阀组件
KR100581760B1 (ko) 레귤레이터
KR100421966B1 (ko) 압축기의 밸브조립체
KR102432174B1 (ko) 유체스프링을 적용한 고압 연료펌프
JP4640253B2 (ja) 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吸入絞り弁
US11913556B2 (en) Anti-spin outer diameter guided compressor valve
JPWO2018143158A1 (ja) 切り替え弁
KR102548525B1 (ko) 공기 압축기용 체크밸브
US20230057129A1 (en) Alternative compressor head arrangement
KR102181922B1 (ko) 압축기
KR100429988B1 (ko) 토출밸브 조립체
KR20220000684U (ko) 압축기용 토출밸브
KR200238050Y1 (ko) 다이아프램펌프
KR20230109960A (ko) 진공챔버 내압 제어용 밸브장치
KR100706159B1 (ko)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