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912B1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912B1
KR102169912B1 KR1020190040419A KR20190040419A KR102169912B1 KR 102169912 B1 KR102169912 B1 KR 102169912B1 KR 1020190040419 A KR1020190040419 A KR 1020190040419A KR 20190040419 A KR20190040419 A KR 20190040419A KR 102169912 B1 KR102169912 B1 KR 10216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ody
hinge
unit
shaft ge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780A (ko
Inventor
박순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to KR102019004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러한 힌지장치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Hinge Apparatus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은 소정의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복된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실제축을 가지는 실제축 기어와, 실제축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지는 4열 기어 의 조립 구조를 통해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간섭없이 펼침 및 접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힌지장치 및 이러한 힌지장치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는 힌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 수단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유니트;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유니트;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의 회전동작시 가이드하는 종동 기어 유니트;
를 포함하며,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는 힌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화상을 제공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화상을 제공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유니트;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유니트;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의 회전동작시 가이드하는 종동 기어 유니트;
를 포함하며,
제1 힌지 유니트와 제2 힌지 유니트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음부없이 한 장으로 된 것을 접힘 센터를 기준으로 접는 형태가 최신 기술이다.
그러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기 위해서는 패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바디부와 패널의 타측을 지지하는 바디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바디부가 필요하며, 한 쌍의 바디부의 사이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안쪽에는 펼침 동작과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힌지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한쌍의 바디부를 펼치거나 또는 접는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장치가 설치된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의 경계 부분인 접힘 센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견딜수 있는 휨 변형 한도를 넘어서 과도하게 접혀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펼침 및 접힘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힌지 장치가 회전할 때 패널 장착면의 길이의 변화가 생길 수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받아 파손 가능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제1 실제축 기어와 제2 실제축 기어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확한 펼침 및 접힘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축을 가지는 제1 실제축 기어, 제2 실제축 기어와, 이러한 실제축 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1 회전기어, 제2 회전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므로,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이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도 유지 유니트를 통해 원하는 각도에서 임의로 정지가능하고, 스토퍼를 통해 180도 플랫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 동작을 하는 경우, 스토퍼에 의해 180도 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리한 회전동작에 의한 힌지장치의 손상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축을 가지는 제1 실제축 기어, 제2 실제축 기어와, 이러한 실제축 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1 래크, 제2 래크 및 피니언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므로,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이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각도 유지부재를 통해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끝단부 일부분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 변화가 없고, 플랫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접힌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승강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개략적인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6에 따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유지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펼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90도 접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접힌 상태에서 도 13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승강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에서 제1 실제축 기어와 제2 실제축 기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펼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접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접힌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포함하고,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서로 연결하고 회전되게 할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제1 힌지 유니트(32)와 제2 힌지 유니트(34)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니트(32)와 제2 힌지 유니트(34)는 각각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는 각각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에는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1)(7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에는 각각 맞물리는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제2 실제축 기어(50), 제1 회전기어(80), 제2 회전기어(90)는 직경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제2 실제축 기어(50), 제1 회전기어(80), 제2 회전기어(90)는 직경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므로, 회전동작시 동시 회전이 가능하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원형이 아니고, 일부분이 제거되어 직선면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360도 방향으로 치형부가 형성되지 않고 일부분에만 각각 제1 치형부(41)와 제2 치형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1 치형부(41)와 제2 치형부(51)는 90도를 초과하고, 180도 이내의 범위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의 양측에는,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부재(100)가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사이에 걸쳐서 구비되고, 수용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지지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형성되고,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제 1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동작시 지지부재(100)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은,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플랫한 상태일 때, 각각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은,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플랫한 상태일 때, 각각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반대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는 각각 한쪽으로 연장된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 사이에는 승강 유니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승강 유니트(14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동작시 승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 유니트(14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승강판(141), 승강판(141)에 형성되고 이동통로(142a)를 가지는 한쌍의 통로부재(142),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를 통과하고 이동통로(142a)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봉(143), 이동봉(143)에 연결되는 결합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141)에는 제1 실제축 기어(40),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실제축 기어(40), 제2 실제축 기어(50)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홈을 마련하여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재(142)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쪽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승강판(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는 장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부재(144)가 각각 고정되고, 결합부재(144)에는 이동봉(143)이 통과되는 삽입관(14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지지부재(100)에는 각각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가 고정되고, 제1 고정부재(110)는 한쪽 지지부재(100)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2 고정부재(120)는 다른쪽 지지부재(100)와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20)는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이 결합될 수 있고,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에는 각각 각도 유지 유니트(1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에는 지지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수용홈(111)과 수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판(141)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통로부재(142)는, 한쌍의 지지부재(100) 사이에 마련되는 실제축 기어와 회전기어의 조립구조, 각도 유지 유니트(150)의 바깥쪽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쪽 지지부재(100)와 제1 고정부재(110)의 사이에는 스토퍼(130)가 결합되고, 스토퍼(130)는 제1 힌지 바디(10)측과 제2 힌지 바디(20)측으로 각각 1개씩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펼침 동작시 플랫한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동작을 하는 경우, 스토퍼(130)에 의해 180도 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리한 회전동작에 의한 힌지장치의 손상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유지 유니트(150)는,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걸림부재(160), 제2 걸림부재(170) 및 탄성부재(18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걸림부재(160)는 제1 연장축(81) 또는 제2 연장축(91)이 관통하는 관통공(161)이 형성되고, 제2 걸림부재(170)와 접촉하는 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높이를 달리하는 제1 면(162), 제2 면(163), 제3 면(164), 제4 면(16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160)의 제1 면(162)과 제3 면(164)은 제2 면(163)과 제4 면(165)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160)의 제1 면(162)과 제3 면(164)은, 제2 면(163)과 제4 면(165)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70)는 제1 연장축(81) 또는 제2 연장축(91)이 결합되는 결합공(171)이 형성되고, 결합공(171)의 일부분은 직선면(17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70)는 제1 걸림부재(160)와 접촉하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를 달리하는 제1 면(172), 제2 면(173), 제3 면(174), 제4 면(175)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70)의 제1 면(172)과 제3 면(174)는 제2 면(173)과 제4 면(175)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70)의 제1 면(172)과 제3 면(174), 제2 면(173)과 제4 면(175)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70)는 제1 연장축(81) 또는 제2 연장축(9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고,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탄성력의 제공이 정확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항상 제2 걸림부재(170)를 제1 걸림부재(160)쪽으로 가압하도록 탄지될 수 있다.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의 단부측에는 제1 걸림부재(160), 제2 걸림부재(170) 및 탄성부재(180)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너트(19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160)는 스토퍼(130)와 결합되는 연장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별도의 커버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고, 커버부재(200)는 디자인 및 각종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결합되고, 펼침 및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과 함께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회전(예를 들어, 펼침 위치에서 접힘위치로의 변경)하면, 각각 제1 회전기어(80) 및 제2 회전기어(90)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각각 제1 회전기어(80) 및 제2 회전기어(90)와 맞물려서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흔들림 없이 회전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제1 실제축 기어(40), 제2 실제축 기어(50), 제1 회전기어(80), 제2 회전기어(90)로 이루어지는 4열 구조체를 통해 회전 동작이 구현되므로 단순한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반복된 회전동작을 하더라도 항상 정확하고, 동시에 회전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회전하면, 승강 유니트(140)가 동작하여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에 각각 형성된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중심이 되어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회전하고, 승강 유니트(140)의 승강판(141)은 상승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각각 결합된 결합부재(144)는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결합부재(144)의 삽입관(144a)안에 삽입된 이동봉(143)은 회전 이동할때, 이동통로(142a)안에서 구속되어 있으므로, 회전 이동하는 각도만큼 들어올려져 승강판(141)이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봉(143)은, 제1 실제축 기어(40)의 제1 회전축(42)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2 회전축(52)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 이동봉(143)까지의 거리가 반경(R)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반경(R)을 가지고 제1 실제축 기어(40)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가 180도 플랫한 상태에서 90도 접혀지는 위치로 회전하면, 승강판(141) 및 통로부재(142)는 이동봉(143)의 회전 이동되는 거리 만큼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이동봉(143)은 이동통로(142a)내에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90도로 접힌 상태에서 180도로 펼침 동작을 하는 경우,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이동봉(143)은, 제1 실제축 기어(40)의 제1 회전축(42)과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2 회전축(52)과의 거리를 반경(R)으로 접힘 동작시와 반대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동봉(143)은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에서 이동되고, 승강판(141)은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플랫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는 회전동작시, 일부분이 지지부재(100)의 수용홈(101)안으로 진입될 수 있고,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일부분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부착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제축 기어(40)의 제1 회전축(42)과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2 회전축(52) 위치는, 각각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와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므로,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1개의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와 맞물려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 확실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와 맞물리는 기어는 각각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는 서로 맞물려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시 동시 회전을 구현할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및 접힘 동작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펼침 동작시 180도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고,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펼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각각 결합된 제 1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에는 돌기부(61)(71)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기부(61)(71)가 스토퍼(130)와 만나면서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동작을 하는 경우, 180도 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무리한 회전동작에 의한 힌지장치의 손상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90도 각도 범위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멈출 수 있다.
각도 유지 유니트(15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유지 유니트(150)는 제 1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회전하면, 각각 맞물린 제1 회전기어(80)와 제2 회전기어(9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의 회전으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이 회전하면, 제1 연장축(81)과 제2 연장축(91)상에 결합된 제2 걸림부재(170)가 동시에 회전되고, 제2 걸림부재(17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걸림부재(160)와의 접촉관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부재(180)를 압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걸림부재(160)와 제2 걸림부재(170)는 각각 서로 접촉하는 면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 높이를 달리하는 4개의 제1 면(162)(172) 내지 제4 면(165)(175)으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제2 걸림부재(170)가 회전하면, 제2 걸림부재(170)의 돌출된 제2 면(173) 및 제4 면(175)이 제1 걸림부재(160)의 접촉면에 돌출된 제1 면(162) 및 제3 면(164)과 만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은 펼침 위치와 접힘 위치(90도 ~ 180도 범위)내에서 원하는 각도로 일시 정지할 수 있고, 제1 걸림부재(160)의 돌출된 면과 제2 걸림부재(170)의 돌출된 면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좀더 강한 탄성부재(180)의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복수의 단계로 정지 동작이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회전동작시,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흔들림 없이 펼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15는 접힌 상태에서 도 13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사이에서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제1 힌지 유니트(32)와 제2 힌지 유니트(34)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 유니트(3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유니트(32)와 제2 힌지 유니트(34)는 각각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사이에는 승강 유니트(14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 유니트(140)는 승강 유니트(14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동작시 승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15 및 도 21을 참조하면, 승강 유니트(14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승강판(141), 승강판(141)에 형성되고 이동통로(142a)를 가지는 한쌍의 통로부재(142),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를 통과하고 이동통로(142a)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봉(143), 이동봉(143)에 연결되는 결합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강판(141)은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재(142)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쪽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승강판(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는 장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부재(144)가 각각 고정되고, 결합부재(144)에는 이동봉(143)이 통과되는 삽입관(14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지지부재(300)(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310)에는 수용홈(301)(3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종동 기어 유니트(400)와 맞물려서 회전될 수 있다.
종동 기어 유니트(400)는, 제1 실제축 기어(40)와 맞물리는 제1 래크(410), 제2 실제축 기어(50)와 맞물리는 제2 래크(420),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의 사이에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4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래크(410)는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제1 실제축 기어(40)와 피니언 기어(430) 가 맞물리는 제1 치형부(411)와 제2 치형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래크(420)는 제1 래크(410)와 마찬가지로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제2 실제축 기어(50)와 피니언 기어(430)와 맞물리는 제1 치형부(421)와 제2 치형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종동 기어 유니트(400)에는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500)가 갖추어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500)는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가 삽입되고,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5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00)는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 사이에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430)가 삽입되는 삽입홈(52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520)의 양 측면에는 피니언 기어(430)와 제1 래크(410) 및 제2 래크(4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치형부(412)(422)와 맞물릴 수 있게 하는 관통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는 각각 지지부재(300)(3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에는 각각 탄성을 가지는 각도 유지부재(600)가 감싸지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4,15 및 도 19를 참조하면, 각도 유지부재(600)는 각각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통과하는 통과부(610)가 형성될 수 있고, 통과부(610)는 직선면(61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610)의 직선면(611)에 대면하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 부분에는 직선면(42a)(52a)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재(600)의 통과부(610)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의 회전시, 탄성적으로 변화되어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회전할 수 있고, 회전시,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고 원하는 회전 각도에서 일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각도 유지부재(600)는 가이드 부재(500)와 결합되는 결합부(62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재(600)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임의의 설정 각도에서 일시 정지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00)에는 각도 유지부재(600)의 결합부(62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530)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620)에는 결합돌기(530)가 결합되는 결합공(62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00)의 측면에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펼친 동작으로 플랫한 상태일때, 180도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500)에는,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와 접촉하는 걸림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또는 제2 힌지 바디(20)는 플랫한 상태로 회전시, 제1 연결부재(60)와 제2 연결부재(70)가 가이드 부재(540)의 걸림부(540)와 각각 접촉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더 이상 펼침 동작이 되지 못하고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힌지장치(1)에는 별도의 커버부재(200)가 마련될 수 있고, 커버부재(200)는 디자인 및 각종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과 함께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가 동시에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의 사이에는 피니언 기어(430)가 맞물려 있으므로, 제1 실제축 기어(40)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시, 서로 도움을 주면서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래크(410)와 제2 래크(420)는 가이드 부재(500)의 가이드 레일(510)에서 직선 이동을 하기 때문에,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시 흔들림 없이 확실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회전하면, 승강 유니트(140)는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를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에 각각 형성된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중심이 되고,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회전되며, 승강 유니트(140)의 승강판(141)이 상승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각각 결합된 결합부재(144)는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결합부재(144)의 삽입관(144a)안에 삽입된 이동봉(143)은 회전 이동할때, 이동통로(142a)안에서 구속되어 있으므로, 회전 이동하는 각도만큼 들어올려져 승강판(141)이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이동봉(143)은, 제1 실제축 기어(40)의 제1 회전축(42)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2 회전축(5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동봉(143)까지의 거리가 반경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반경을 가지고 제1 실제축 기어(40) 또는 제2 실제축 기어(50)가 180도 플랫한 상태에서 90도 접혀지는 위치로 회전하면, 승강판(141) 및 통로부재(142)는 이동봉(143)의 회전 이동되는 거리 만큼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이동봉(143)은 이동통로(142a)내에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90도로 접힌 상태에서 180도로 펼침 동작을 하는 경우,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의 이동봉(143)은, 제1 실제축 기어(40)의 제1 회전축(42)과 제2 실제축 기어(50)의 제2 회전축(52)과의 거리를 반경(R)으로 접힘 동작시와 반대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동봉(143)은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통로부재(142)의 이동통로(142a)에서 이동되고, 승강판(141)은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펼침 및 접힘 동작시, 원하는 각도에서 일시 정지되게 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와 제2 실제축 기어(50)를 회전시키면,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은 각도 유지부재(600)를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은 각도 유지부재(600)를 구성하는 통과부(610)의 일면이 직선면(611)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과부(610)의 직선면(611)과 대면하는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에도 직선면(42a)(52a)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은 통과부(610)내에서 쉽게 회전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장치(1)는 보다 강한 힘으로 제1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을 회전시키면, 통과부(610)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성 변형이 일어나서 제2 회전축(42)과 제2 회전축(52)이 가압되는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장치(1), 힌지장치(1)의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에 형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제2 지지 프레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었을 때, 안쪽에 화면부가 배치되는 인폴딩(infold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장치(1)를 복수로 설치하여 복수의 접힘 센터(7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접히는 중심점을 접힘 센터(730)로 정의할 수 있다. 접힘 센터(730)를 중심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일측 및 타측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접힘 센터(730)의 곡률 반경은 완전히 겹쳐지는 수준인 0.1mm 부터 일측 및 타측이 약간 틈을 갖는 수준인 수 mm까지 허용될 수 있다. 최소 수준이 바람직한 곡률 반경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재질인 OLED의 특성 또는 힌지 유니트(30)의 성능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은 힌지 유니트(30)와 대면되는 부분에 이음부나 절단부가 없도록 완전히 이어진 한 장의 패널이라는 것일 수 있다. 반면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일측이 밀착되는 제1 힌지 바디(10) 및 타측이 밀착되는 제2 힌지 바디(20)는 접힘 센터(730)를 기준으로 회전해야 하므로, 두 개로 분리된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 사이의 틈을 메우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승강판(141)이 마련될 수 있다.
별개의 부재인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는 각각의 회전 중심이 다른 것이 타당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와 제2 힌지 바디(20)는 자유롭게 덜렁거리면 안되고, 서로 일정한 상대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각도만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힌지 바디(10)의 회전 중심과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중심은 고정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힌지 바디(10)의 회전 중심은 제1 실제축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제1 센터(710)이고,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중심은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 중심인 제2 센터(720)일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일측 및 타측이 서로 대면되는 방향이며 사용자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을 바라보는 노출된 면을 제1 패널면으로 정의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와 대면되는 면을 제2 패널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완전히 접혔을 때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 각도를 0도로 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완전히 펼쳐진 180도 위치에서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의 회전 각도는 90도로 볼 수 있다. 일정 크기 이상의 기어 치형을 적어도 90도 범위에 형성하려면,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의 반경은 소정값보다 커질 수 있다.
각 기어의 반경을 고려하면,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는 제1 패널면 쪽에 마련될 수 없으며, 제2 패널면 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도 제1 패널면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기 어렵고 제2 패널면으로부터 각각의 힌지 바디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하나의 평면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180도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일측 및 타측이 접힘 센터(730)를 기준으로 적어도 평행하게 대면되는 상태를 0도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는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뿐이므로,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의 이격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제1 실제축 기어(40) 및 제2 실제축 기어(50)는 제1 패널면으로부터 제2 패널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2 패널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회전축(42) 및 제2 회전축(5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질 수 밖에 없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은 매끈한 평면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는 제1 패널면으로부터 제2 패널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2 패널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 각각의 회전 중심인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가 제2 패널면으로부터 물러난 위치에 마련되므로,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 사이에 해당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일부를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것이 승강판(141)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180도 위치에서 접힘 센터(730)는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를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제1 패널면 또는 바깥쪽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0도 위치에서 접힘 센터(730)는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를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제2 패널면 또는 안쪽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에 따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접힘 센터(730)는 제1 센터(710) 및 제2 센터(720)를 연결한 직선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접힘 센터(730)의 직선 이동에 대응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의 제2 패널면에 대면되는 승강판(141)이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평면을 유지하는 부분을 평면부로 정의하고,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이 곡면으로 휘는 부분을 곡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평면부는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 각각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곡면부는 승강 유니트(140) 또는 승강판(14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곡면부는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 각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으로서, 바디 분리부(810)가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은 바디 분리부(810)에 접착되지 않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는 승강 유니트(140) 또는 승강판(14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힌지 바디(10) 및 제2 힌지 바디(20)의 회전 전후에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 유니트(140) 또는 승강판(141)으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으로서, 승강판 분리부(820)가 승강 유니트(140) 또는 승강판(141)에 마련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은 승강판 분리부(820)에 접착되지 않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F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1 : 힌지장치
10 : 제1 힌지 바디 20 : 제2 힌지 바디
30 : 힌지 유니트 32 : 제1 힌지 유니트
34 : 제2 힌지 유니트 40 : 제1 실제축 기어
41 : 치형부 42 : 제1 회전축
50 : 제2 실제축 기어 51 : 치형부
52 : 제2 회전축 60 : 제1 연결부재
61 : 돌기부 70 : 제2 연결부재
71 : 돌기부 80 : 제1 회전기어
81 : 제1 연장축 81a : 직선면
90 : 제2 회전기어 91 : 제2 연장축
91a : 직선면 100 : 지지부재
101 : 수용홈 110 : 제1 고정부재
120 : 제2 고정부재 130 : 스토퍼
140 : 승강 유니트 141 : 승강판
142 : 통로부재 142a : 이동통로
143 : 이동봉 144 : 승강판
144a : 삽입관 150 : 각도 유지 유니트
160 : 제1 걸림부재 161 : 관통공
162 : 제1 면 163 : 제2 면
164 : 제3 면 165 : 제4 면
166 : 연장부 170 : 제2 걸림부재
171 : 결합공 171a : 직선면
172 : 제1 면 173 : 제2 면
174 : 제3 면 175 : 제4 면
180 : 탄성부재 190 : 너트
200 : 커버부재 300,310 : 지지부재
301,311 : 수용홈 400 : 종동 기어 유니트
410 : 제1 래크 411 : 제1 치형부
412 : 제2 치형부 420 : 제2 래크
421 : 제1 치형부 422 : 제2 치형부
430 : 피니언 기어 500 : 가이드 부재
510 : 가이드 레일 520 : 삽입홈
521 : 관통공 530 : 결합돌기
540 : 걸림부 600 : 각도 유지부재
610 : 통과부 620 : 결합부
621 : 결합공
710 : 제1 센터 720 : 제2 센터
730 : 접힘 센터 810 : 바디 분리부
820 : 승강판 분리부

Claims (9)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바디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통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통로부재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이동봉이 관통되고,
    상기 이동봉은,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와 함께 이동되는 힌지장치.
  2. 삭제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바디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상기 제1 실제축과 상기 제2 실제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수용홈내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에는 통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재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이동봉이 관통되며,
    상기 통로부재에서 상기 이동봉의 이동과 함께 상기 승강판이 승강되는 힌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끝단부는 플랫한 상태일 때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끝단부 사이 간격에는, 승강 유니트의 승강판이 승강되는 힌지장치.
  5. 삭제
  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바디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통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통로부재에는 장공의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가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이동봉이 관통되며,
    상기 이동봉은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에 고정된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힌지장치.
  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바디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통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부재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에 연결되는 이동봉이 통과하고,
    상기 제1 실제축 기어의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실제축 기어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가 회전시, 상기 이동봉이 통로부재내에서 이동하면서 승강판이 승강되는 힌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한쪽 끝단부는 플랫한 상태일 때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 한쪽 끝단부 일부분에 고정되지 않고 떨어져 구비되는 힌지장치.
  9.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침과 접힘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니트는,
    제1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1 힌지 바디와, 제2 실제축 기어를 가지는 제2 힌지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 또는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승강되는 승강 유니트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 유니트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통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통로부재에는 상기 제1 힌지 바디와 상기 제2 힌지 바디의 회전시 함께 이동하는 이동봉이 관통되고,
    상기 이동봉은, 제1 힌지 바디와 제2 힌지 바디와 함께 이동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040419A 2019-04-05 2019-04-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19A KR102169912B1 (ko) 2019-04-05 2019-04-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419A KR102169912B1 (ko) 2019-04-05 2019-04-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80A KR20200117780A (ko) 2020-10-14
KR102169912B1 true KR102169912B1 (ko) 2020-10-26

Family

ID=7284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419A KR102169912B1 (ko) 2019-04-05 2019-04-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89B1 (ko) * 2020-10-16 2021-09-08 이경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구성된 폴더블 디바이스의 힌지구조
KR102257326B1 (ko) * 2020-12-03 2021-05-31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노트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80B1 (ko) * 2010-11-09 2012-08-02 (주) 유원컴텍 접철식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389442B1 (ko) * 2012-10-18 2014-04-30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2302702B1 (ko) * 2015-07-31 2021-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더블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780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343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0149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9912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21911A9 (en) Electronic device
CN110178011B (zh)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KR20210011737A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765502B (zh) 投影屏幕装置
WO2019174219A1 (zh) 铰链装置、壳体及电子装置
KR102411889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223124A1 (zh) 可弯折终端及其可弯折支撑组件
CN112228445A (zh) 联动机构、折叠装置及电子设备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80030434A (ko) 수직 이동 받침판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CN209881844U (zh) 可折叠柔性屏移动终端
KR101988965B1 (ko)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CN210380956U (zh) 可折叠壳体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AU2009274666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10936016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524651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250197B1 (ko) 화면의 절곡부를 수용하는 폴더블 힌지장치
TWM575877U (zh) 軟性顯示設備及支撐裝置
TW201533560A (zh) 具有收納功能的電子裝置
KR20200141820A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1791B1 (ko) 폴더블폰용 힌지장치
KR101583451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