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48B1 -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748B1
KR102169748B1 KR1020190005600A KR20190005600A KR102169748B1 KR 102169748 B1 KR102169748 B1 KR 102169748B1 KR 1020190005600 A KR1020190005600 A KR 1020190005600A KR 20190005600 A KR20190005600 A KR 20190005600A KR 102169748 B1 KR102169748 B1 KR 10216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unit
management device
user
light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354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주)셀리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리턴 filed Critical (주)셀리턴
Priority to KR102019000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22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 A61B5/4227Evaluating particular parts, e.g. particular organs endocrine glands, i.e. thyroid, adrenals, hypothalamic, pitui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 관리 장치의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되어 체온, 수분, 맥박, 혈압, 갑상선 체크, 착용이나 결합 여부 검출, 공기압에 의한 목 조임 압력, 및 목 피부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목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목 관리 장치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목 둘레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휴대단말기, 인터넷공유기,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를 통한 지정된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목의 건강 상태나 피부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NECK MANAGEMENT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에 발생하는 주름 개선, 목의 피로 회복, 목의 근육 뭉침, 목 주변의 혈액 순환, 목 둘레의 피부 관리, 또는 목 건강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주름은 환경의 영향 없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외인성 노화(actinic aging)가 합쳐져 나타난다. 신체부위 중 목은 피부가 굉장히 얇고, 민감하여 다른 신체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주름이 잘 생기지만 한번 생긴 주름을 완화 및 제거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목주름을 완화 및 제거하기 위해 목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을 주로 이용하거나, 성형 시술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성형 시술의 경우 부작용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광자흡수(Photon Absorption)에 의한 광조절(Photomodulation)을 통해 세포구조를 자극함으로써 특정의 피부 질환이나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생체에 대하여도 광을 조사하면 그 광학적 작용에 의해 세포가 활성화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생체 세포의 손상이 없는 정도의 낮은 에너지로 광을 조사하여 생체의 생리작용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통증 완화, 환부의 조속한 재생, 원인 질병의 제거 등과 같은 치료효과를 부여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때 그 사용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633nm 파장의 광은 피부의 자연치유력을 향상시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만들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415nm 청색 광은 염증성 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830nm 파장의 광은 피부세포의 재생과 일광화상 후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 치료기기는 병원과 같은 특정 장소에만 설치되어, 환자가 해당 장소에 방문하는 경우에만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적인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6971호(2018.08.30., 공개, 발명의 명칭: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목에 발생하는 주름 개선, 목의 피로 회복, 목의 근육 뭉침, 목 주변의 혈액 순환, 목 둘레의 피부 관리, 또는 목 건강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로서, 목 관리 장치의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되어 체온, 수분, 맥박, 혈압, 갑상선 체크, 착용이나 결합 여부 검출, 공기압에 의한 목 조임 압력, 및 목 피부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목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목 관리 장치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목 둘레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휴대단말기, 인터넷공유기,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를 통한 지정된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목의 건강 상태나 피부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목 관리 장치의 구동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며, 목 관리 장치의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휴대단말기, 및 서버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별 목의 피부 상태나 건강 상태에 따라, 전체의 목 둘레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목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각기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별 목의 피부 상태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며,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음성, 지문, 및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휴대단말기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별 목 관리 장치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사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목 관리 장치의 토탈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별 사용 정보 및 토탈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각 광원의 수명이나 성능 저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광조사부의 광원을 지정된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별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을 해당 사용자별 동작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목에 발생하는 주름 개선, 목의 피로 회복, 목의 근육 뭉침, 목 주변의 혈액 순환, 목 둘레의 피부 관리, 또는 목 건강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요부횡단면도.
도 6은 도1 의 요부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전방커버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전방커버부를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후방커버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후방커버부를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투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와 락킹부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는 상기 도 24에 있어서, 목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목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광조사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요부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1 의 요부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전방커버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전방커버부를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후방커버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목후방커버부를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투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연결부와 락킹부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는, 목의 피부 세포를 자극하는 파장의 광을 목에 조사함으로써 목에 생기는 주름을 완화,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목의 둘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목커버부(10)와, 목주름 개선을 위한 광원(60A)을 구비하여 목커버부(10)에 설치되는 광조사부(60)를 포함한다.
목커버부(10)를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조사부(60)에서 발산된 광은 목으로 조사되고, 광원(60A)의 파장 영역에 따라 표피세포 활성화, 청결, 피부 재생 촉진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A)는 목커버부(10)를 목의 둘레에 착용한 상태에서 광조사부(60)에 의해 목의 피부 관리, 목주름을 완화, 제거하는 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커버부(10)는 목전방커버부(20), 목후방커버부(30), 연결부(40), 락킹부(50)를 포함한다.
목전방커버부(20)는 목의 전방부(앞목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목후방커버부(30)는 목의 후방부(뒷목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연결부(40)에 의해 목전방커버부(20)와 연결된다. 목전방커버부(20)는 목의 전방부 둘레에 대응되는 호(弧)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목후방커버부(30)는, 목 둘레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는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목 둘레에 대응되는 연속된 원형의 형상을 이룬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좌측, 우측은 도 1에 도시된 사시도 상에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상에서 좌측은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A)의 입장에서는 우측에 해당되고, 도 1 상에서 우측은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A)의 입장에서는 좌측에 해당된다.
목후방커버부(30)는 목전방커버부(20)의 좌측단부와 연결되고,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면서 뒷목측으로 연장되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목전방커버부(20)의 우측단부와 연결되고,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면서 뒷목측으로 연장되는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포함한다.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는 서로 마주하고, 락킹부(50)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속된다.
연결부(40)는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의 사이에 배치되고,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0)는 목전방커버부(20)의 좌측단부와 제1목후방커버부(30A)의 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좌측 연결부(40)와, 목전방커버부(20)의 우측단부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우측 연결부(40)를 포함하는 좌우측 한 쌍이 구비된다.
락킹부(50)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는 장치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부(50)는 자력에 의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상기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도 5,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부(50)는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를 포함한다.
제1자력부재(51)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제1목후방커버부(30A)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제2자력부재(52)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는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간의 인력에 의해 상호 결속되거나 밀착되고,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간의 인력보다 큰 이탈력이 작용 시 상호 분리된다.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가 자력의 범위 내에 위치되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가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간의 인력에 의해 저절로 서로 달라붙으므로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에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탈력을 가하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가 별도의 조작 없이 용이하게 상호 분리된다.
락킹부(50)에 의하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목 둘레에 끼운 후, 이탈력을 해제하여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상호 결속시키는 일련의 착용 과정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락킹부(50)의 작용에 의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돌출부나 함몰부, 체결부재 없이 매끈하고 수려한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부(5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5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개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50)의 구조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50)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킨다면, 후크, 벨크로 등의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조사부(60)는 목주름 개선을 위한 광원(60A)을 구비하여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60)는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 모두에 설치되어 360도 전(全)방향에서 목을 향해 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면서 목주름을 개선, 관리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광원(60A)은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다양한 사양이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광원(60A) 중 일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부는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일 수 있다.
460nm 내지 470nm의 적외선 파장의 경우, 표피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피부 조직을 활성화함으로써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원(60A)에서 발광되는 광과 그 발광에 의해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만드는 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활발한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의 경우, 피부 표피세포의 살균, 청결시킴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760nm 내지 900nm 파장의 적외선의 경우, 상기 서술한 2개의 파장 영역대를 가지는 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조사부(60)의 작용에 의해 목 피부 및 목주름 개선, 치료, 예방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커버부(10)는 어깨안착부(11), 거북목교정부(12), 뒷목지지부(16)를 포함한다.
어깨안착부(11)는 어깨에 안착되는 장치부로, 목커버부(10)의 측부에 형성된다. 어깨안착부(11)는 목전방커부(20)의 후방부, 연결부(40), 목후방커버부(30)의 전방부가 상호 연속하여 연결되어 형성된다.
거북목교정부(12)는 어깨선을 기준으로 목의 전방 이동을 설정각도 이내로 구속하는 장치부로, 어깨안착부(11)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제1설정너비를 가지고 목의 전방부와 마주한다. 거북목교정부(12)는 목의 전방부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턱 아래에서 목 아래 가슴까지 연장되는 상하방향 너비를 가진다.
뒷목지지부(16)는 어깨선을 기준으로 목의 후방 이동을 설정각도 이내로 구속하는 장치부로, 어깨안착부(11)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제2설정너비를 가지고 목의 후방부와 마주한다. 뒷목지지부(16)는 목의 전방부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후두부 아래에서 목 아래 등까지 연장되는 상하방향 너비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깨안착부(11)는 측부연장부(111)와 안착굴곡부(112)를 포함한다.
측부연장부(111)는 어깨안착부(1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거북목교정부(12)보다 축소된 상하방향 너비를 가지고 목의 측부 둘레를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착굴곡부(112)는 어깨와 접하며 안착되는 부분으로, 측부연장부(111)의 하부에 형성되고, 어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굴곡부(112)는 상향굴곡부(113)와 하향굴곡부(114)를 포함한다.
상향굴곡부(113)는 거북목교정부(12)의 후방에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전방커부(20)의 후방부에 형성되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부가 점차 상향되는 형상을 가진다. 하향굴곡부(114)는 상향굴곡부(113)의 후방에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후방커버부(30)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부가 점차 하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어깨안착부(11)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는 어깨에 안정되게 안착된 상태로 목을 감쌀 수 있고, 좌우측 어깨선을 기준으로 정위치, 정방향으로의 안착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가 목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어깨안착부(11)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돌아가지 않아 목적한 파장의 광을 목적한 위치에 일정하게 조사하면서 목주름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북목교정부(12)는 숙임방지연장부(13), 가슴접촉부(14), 턱지지부(15)를 포함한다.
숙임방지연장부(13)는 목의 전방부와 마주하는 장치부로, 숙임방지연장부(13)는 어깨안착부(11)가 사용자(A)의 어깨에 안착된 상태에서 목의 전방부와 접함으로써, 사용자(A)의 목 내밈을 구속한다. 또한, 숙임방지연장부(13)는 사용자(A)의 고개 숙임을 설정각도 이내로 한정할 수 있도록, 턱 아래에서 목 아래 가슴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제1설정너비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진다.
가슴접촉부(14)는 목 아래 가슴과 접하는 장치부로, 숙임방지연장부(13)의 하부에 목 아래 가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슴접촉부(14)는 상향굴곡부(113)의 전방부에 목 아래 가슴에 연속하여 접할 수 있게 'U'자 정면 형상을 가지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측면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하중이 어깨안착부(11)와 가슴접촉부(14)의 전반에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하게 되고, 하중이 일측에 집중되는 경우와 비교해 착용감 향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턱지지부(15)는 턱과 마주하는 장치부로, 숙임방지연장부(13)의 상부에 형성된다. 사용자(A)가 제1설정각도에 해당되는 각도로 고개를 숙이면 사용자(A)의 턱이 턱지지부(15)와 접하면서 제1설정각도를 초과하는 각도의 고개 숙임이 구속된다. 턱지지부(15)는 착용감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목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 즉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목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거북목교정부(12)에 의해 사용자(A)의 목내밈과 고개숙임이 설정각도 범위에서 이루어지게 한정,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A)의 고개 숙인 자세, 목 내밈 자세를 설정각도 범위에서 이루어지게 한정, 구속함으로써, 뒷목부의 근육 긴장으로 인한 일자목, 거북목 변형을 교정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고개를 숙일수록 목의 전방부의 목주름이 깊게 생성되는데, 거북목교정부(12)에 의해 사용자(A)의 고개 숙임이 설정각도 이내로 이루어지게 구속함으로써, 목의 전방부에서 피부의 과도한 겹쳐짐이나 수축으로 인해 광 조사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목의 전방부 전반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유효파장의 광을 조사하면서 목주름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뒷목지지부(16)는 젖힘방지연장부(17), 등접촉부(18), 후두접촉부(19)를 포함한다.
젖힘방지연장부(17)는 목의 후방부와 마주하는 장치부로, 젖힘방지연장부(17)는 어깨안착부(11)가 사용자(A)의 어깨에 안착된 상태에서 목의 후방부와 접함으로써, 사용자(A)의 후방측 목 젖힘을 구속한다. 또한, 젖힘방지연장부(17)는 사용자(A)의 목 젖힘을 설정각도 이내로 한정할 수 있도록, 목 위 후두부에서 목 아래 등까지에 해당되는 제2설정너비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진다.
등접촉부(18)는 목 아래 등과 접하는 장치부로, 젖힘방지연장부(17)의 하부에 하향굴곡부(114)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등접촉부(18)는 목 아래 등에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하중이 어깨안착부(11)와 가슴접촉부(14), 등접촉부(18)의 전반에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하게 된다.
후두접촉부(19)는 목 위 후두부와 마주하는 장치부로, 젖힘방지연장부(17)의 상부에 형성된다. 사용자(A)가 제2설정각도에 해당되는 각도로 머리를 뒤로 젖히면 사용자(A)의 목 위 후두부가 후두접촉부(19)와 접하면서 제2설정각도를 초과하는 각도의 고개젖힘이 구속된다. 후두접촉부(19)는 착용감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목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 즉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목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뒷목지지부(16)에 의해 사용자(A)의 고개젖힘이 설정각도 범위에서 이루어지게 한정,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고개젖힘으로 인해, 즉 목의 후방부에서 피부의 과도한 겹쳐짐이나 수축으로 인해 광 조사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목의 후방부 전반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유효파장의 광을 조사하면서 목주름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거북목교정부(12)를 이용해 사용자(A)의 고개숙임 및 목 내밈을 설정범위로 구속함에 있어서, 뒷목지지부(16)가 어깨안착부(11)와 함께 기준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거북목교정부(12)를 이용해 거북목교정 작용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A)의 어깨선에 접한 어깨안착부(11)와, 사용자(A)의 뒷목부에 접한 뒷목지지부(16)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A)의 고개숙임 및 목 내밈을 설정범위 이내로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전방커버부(20)는 전방내피부(21), 전방외피부(22), 전방광원수용부(23), 보강프레임부(24), 이격지지부(25), 전방체결부(26), 전방커버체결부(29)를 포함한다.
전방내피부(21)는 목전방커버부(20) 중 목과 접하는 장치부로, 목의 전방부 둘레를 따라 'U'자 내지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방내피부(21)는 목의 전방부와 목 아래 가슴, 턱과의 접촉을 고려하여 전체가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전방내피부(21)는 광조사부(60)에서 발산된 특정 파장의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가능한 자외선 차단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방외피부(22)는 목전방커버부(2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전방내피부(21)의 외부에 배치되고, 전방내피부(21)를 따라 'U'자 내지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방광원수용부(23)는 광조사부(60)의 제1광조사부(61)가 수용되는 장치부로, 전방내피부(21)와 전방외피부(22)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보강프레임부(24)는 광조사부(60)를 정위치에 설치, 지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전방내피부(21)와 전방외피부(22)의 사이에, 즉 전방광원수용부(23) 상에 배치된다.
이격지지부(25)는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를 상호 결속시키되, 설정간격을 두고 상호 결속시킴으로써,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의 사이에 연속된 'U'자 형상의 전방광원수용부(23)를 형성한다.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의 사이에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전방광원수용부(23) 상에는 광조사부(60)의 제1광조사부(61)가 배치된다(도 4 참조).
전방체결부(26)는 전방외피부(22)를 보강프레임부(24)에 체결시키는 장치부이다. 보강프레임부(24)가 이격지지부(25)에 의해 전방내피부(21)에 결속된 상태에서, 전방외피부(22)는 전방체결부(26)에 의해 보강프레임부(24)에 체결된다. 보강프레임부(24)는 전방외피부(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체결부(26)에 의해 전방외피부(22)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목전방커버부(2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전방커버체결부(29)는 전방외피부(22)를 연결부(40)에 체결시키는 장치부로, 전방외피부(22) 중 연결부(40)와 접하는 양단부에 형성된다. 전방외피부(22)의 전방부와 중간부는 전방체결부(26)에 의해 보강프레임부(24)와 결합되고, 전방외피부(22)의 후방부는 전방커버체결부(29)에 의해 연결부(40)와 결합된다. 전방외피부(22)는 전방체결부(26)와 전방커버체결부(29)가 형성된 복수개의 개소에서 목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다른 구성품과,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프레임부(24), 연결부(40)의 전방연결부재(42)과 체결, 결속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내피부(21)는 전방중앙내피부(211)와 전방측부내피부(212)를 포함한다.
전방중앙내피부(211)는 전방내피부(21) 중 목의 전방중앙부와 마주하고, 전방측부내피부(212)는 전방내피부(21) 중 목의 전방측부와 마주한다. 전방중앙내피부(211)는 거북목교정부(12)의 내측부를 이룬다. 전방측부내피부(212)는 전방중앙내피부(211)의 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부가 점차 상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전방측부내피부(212)는 어깨안착부(11)의 상향귤곡부(113)를 이룬다.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외피부(22)는 전방좌측외피부(221), 전방우측외피부(222), 전방중앙외피부(223)를 포함한다.
전방좌측외피부(221)는 전방외피부(22)의 좌측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목의 전방중앙부로부터 좌측으로 호 형상을 이루며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방우측외피부(222)는 전방외피부(22)의 우측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목의 전방중앙부로부터 우측으로 호 형상을 이루며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방중앙외피부(223)는 전방좌측외피부(221)의 전방단부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전방단부를 커버하며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좌측외피부(221)의 전방단부에는 보강프레임부(24)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는데, 전방중앙외피부(223)는 이러한 체결홀부를 커버링하며 보강프레임부(24)에 체결됨으로써, 깔끔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중앙외피부(223)는 사각형 정면 형상을 가지고,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전방단부를 커버링한다. 전방중앙외피부(223) 상에는 광조사부(60)의 동작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사용자(A)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모드조작부(69)가 형성된다. 사용자(A)는 전방중앙외피부(223) 상에 형성된 모드조작부(69)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조작을 취함으로써 광조사부(60)의 동작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프레임부(24)는 프레임본체부(241), 횡방향지지부(242), 종방향지지부(243)를 포함한다.
프레임본체부(241)는 보강프레임부(24)의 본체를 이루는 장치부로, 전방외피부(22)를 따라, 목의 전방부를 감싸는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프레임본체부(241)의 중간부에는 개방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방외피부(22) 상에 형성된 모드조작부(69)가 개방홀부를 통해 전방광원수용부(23)에 설치된 제1광조사부(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횡방향지지부(242)는 광조사부(60)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장치부로, 프레임본체부(241) 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방향지지부(242)는 개방홀부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제1횡방향지지부와, 개방홀부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횡방향지지부를 포함한다. 광조사부(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성품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횡방향지지부(242)를 기준면으로 하여 정위치에 안정되게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종방향지지부(243)는 광조사부(60)를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장치부로, 프레임본체부(241)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방향지지부(243)는 개방홀부의 상부와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광조사부(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성품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종방향지지부(243)를 기준면으로 하여 정위치에 안정되게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지지부(25)는 전후방지지부(251)와 측방지지부(252)를 포함한다.
전후방지지부(251)는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를 설정간격을 두고 상호 결속시키는 장치부로, 목전방커버부(20)의 전후방향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전후방지지부(251)는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후방지지부(251)는 복수개의 개소에 분산되게 배치된다. 일례로, 전후방지지부(251)는 목전방커버부(20)의 전방부, 중간부, 상부, 하부에 걸쳐 복수개가 분산되어 배치됨으로써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간의 결합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측방지지부(252)는 목전방커버부(20)의 측방향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측방지지부(252)는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내피부(21) 중 적어도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측방지지부(252)는 복수개의 개소에 분산되게 배치된다. 일례로, 측방지지부(252)는 목전방커버부(20)의 좌우측 후방부에 분산되어 배치됨으로써, 목전방커버부(20)의 측방향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는 측부가, 예를 들어 어깨안착부(11)가 다른 부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가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를 이동, 착용, 이탈 시 사용자(A)는 주로 측부를 파지하게 되는데, 측방지지부(252)에 의해 이러한 파지력에 대한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체결부(26)는 전방측부체결부(27)와 전방중앙체결부(28)를 포함한다.
전방측부체결부(27)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를 보강프레임부(24)에 체결시키는 장치부이다. 전방측부체결부(27)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 보강프레임부(24) 상에 복수개가 분산되게 배치된다. 전방중앙체결부(28)는 전방중앙외피부(223)를 보강프레임부(24)에 체결시킨다. 전방중앙체결부(28)는 전방중앙외피부(223)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측부체결부(27)는 기준턱부(271), 계합턱부(272), 제1걸림턱부(273), 제1탄성후크부(274), 조립체결부(277)를 포함한다.
전방외피부(22)는 보강프레임부(24)가 전방내피부(21)와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프레임부(24)와 결합된다. 이러한 전방외피부(22)의 조립은 보강프레임부(24) 상의 설정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턱부(271)는 전방외피부(22)를 보강프레임부(24)에 조립 시 이러한 기준을 제공하는 장치부로, 보강프레임부(24) 상의 설정지점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턱부(271)는 보강프레임부(24)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계합턱부(272)는 기준턱부(271)와 접는 장치부로,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 상에 기준턱부(27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계합턱부(272)는 기준턱부(2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걸림턱부(273)는 제1탄성후크부(274)가 체결되는 장치부로, 보강프레임부(24) 상에 기준턱부(27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턱부(273)는 보강프레임부(24)의 상단부와 하단부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탄성후크부(274)는 제1걸림턱부(273)에 체결되는 장치부로,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 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탄성후크부(274)는 계합턱부(272)가 기준턱부(271)에 접한 상태에서 제1걸림턱부(273)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를 보강프레임부(24)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작용 시, 즉 제1탄성후크부(274)를 제1걸림턱부(273)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작용 시, 제1탄성후크부(274)는 탄성력에 의해 제1걸림턱부(273)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며 걸린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후크부(274)는 탄성연장부(275)와 탄성고리부(276)를 포함한다.
탄성연장부(275)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 상에 보강프레임부(24)를 향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걸림턱부(273)의 상면부 또는 저면부와 면접촉된다. 탄성연장부(275)는 제1걸림턱부(273)와의 접촉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다.
탄성고리부(276)는 제1걸림턱부(273)의 측단부에 걸리는 장치부로, 탄성연장부(275)의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즉 보강프레임부(2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방외피부(22)의 조립 시 계합턱부(272)가 기준턱부(271)에 접하도록 전방외피부(22)를 배치하면, 상호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걸림턱부(273)와 제1탄성후크부(274)가 서로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탄성후크부(274)를 제1걸림턱부(273)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방외피부(22)에 가압력을 작용시키면, 탄성연장부(275)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탄성고리부(276)가 제1걸림턱부(273)의 상면부 또는 저면부와 접한 상태로 제1걸림턱부(273)의 단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고리부(276)가 제1걸림턱부(273)의 단부에 도달된 상태에서는 탄성연장부(27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연장부(275)와 탄성고리부(276)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제1걸림턱부(273)에 밀착, 결속된다.
조립체결부(277)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해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를 보강프레임부(24)에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체결부(277)는 보강프레임부(24) 상에 기준턱부(271), 제1걸림턱부(273)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체결부(277)는 횡방향지지부(242) 중 프레임본체부(241)의 전방부에 형성된 개방홀부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제1횡방향지지부 상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체결부재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전방단부를 관통하여 조립체결부(277)에 체결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전방좌측외피부(221),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전방단부를 보강프레임부(24)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중앙체결부(28)는 제2걸림턱부(281)와 제2탄성후크부(282)를 포함한다.
제2걸림턱부(281)는 제2탄성후크부(282)가 체결되는 장치부로, 보강프레임부(24) 중 전방중앙외피부(223)와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턱부(281)는 보강프레임부(24)의 전방을 향하는 상부 중앙부와 하부 중앙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탄성후크부(282)는 제2걸림턱부(281)에 체결되는 장치부로, 전방중앙외피부(223) 상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후크부(282)는 전방중앙외피부(223)의 상부와 하부에 보강프레임부(2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탄성후크부(282)를 제2걸림턱부(28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작용 시, 제2탄성후크부(282)는 탄성력에 의해 제2걸림턱부(281)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며 걸린다. 제2걸림턱부(281)와 제2탄성후크부(282)는 각각 제1걸림턱부(273)와 제1탄성후크부(274)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탄성후크부(282)를 제2걸림턱부(281)에 체결시킴으로써, 전방중앙외피부(223)를 보강프레임부(24)에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때, 전방중앙외피부(223)의 상부와 하부는 전방중앙체결부(28)에 의해 보강프레임부(24)와 체결되고, 좌측부와 우측부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전방단부, 조립체결부(277) 및 체결부재를 커버링한다. 전방중앙외피부(223)의 중간부에는 모드조작부(69)가 배치된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커버체결부(29)는 제3걸림턱부(291)와 제3탄성후크부(292)를 포함한다.
제3걸림턱부(291)는 제3탄성후크부(292)가 체결되는 장치부로, 연결부(40)의 전방연결부재(42)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걸림턱부(291)는 전방연결부재(4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다. 제3탄성후크부(292)는 제3걸림턱부(291)에 걸리는 장치부로,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후단부 상에 전방연결부재(42)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탄성후크부(292)는 제3걸림턱부(29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전방연결부재(42)는 사용자(A)의 목 측부와 접하는 목전방커버부(20)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측부내피부(212)의 후방부에 결합, 고정되고, 제3탄성후크부(292)는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후방부 상에 전방연결부재(42)를 향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탄성후크부(292)를 제3걸림턱부(291)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작용 시, 제3탄성후크부(292)는 탄성력에 의해 제3걸림턱부(291)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며 걸린다. 제3걸림턱부(291)와 제3탄성후크부(292)는 각각 제1걸림턱부(273)와 제1탄성후크부(274)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조립 시 계합턱부(272)가 기준턱부(271)에 접하도록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를 배치하면, 제1걸림턱부(273)와 제1탄성후크부(274)가 서로 접함과 동시에, 상호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3걸림턱부(291)와 제3탄성후크부(292)가 서로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탄성후크부(274)를 제1걸림턱부(273)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제3탄성후크부(292)를 제3걸림턱부(291)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에 측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면, 즉 보강프레임부(24)와 전방연결부재(42)측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면, 제1탄성후크부(274)가 제1걸림턱부(273)에 체결됨과 동시에 제3탄성후크부(292)가 제3걸림턱부(291)에 걸리며 체결된다.
이러한 제1걸림턱부(273)와 제1탄성후크부(274)간의 체결, 제3걸림턱부(291)와 제3탄성후크부(292)간의 체결에 의해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조립이 전 길이에 걸쳐 복수개의 개소에서 1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체결부(277)를 이용해 전방좌측외피부(221)와 전방우측외피부(222)의 조립이 2차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2걸림턱부(281)와 제2탄성후크부(282)간의 체결에 의해 전방중앙외피부(223)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격지지부(25)에 의해 전방내피부(21)에 보강프레임부(24)를 조립하고, 이와 같이 전방측부체결부(27), 전방커버체결부(29), 전방중앙체결부(28)에 의해 전방외피부(22)를 다단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전방내피부(21), 보강프레임부(24), 전방외피부(22), 전방연결부재(42) 간의 조립, 결속이 이루어진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후방커버부(30)는 후방내피부(31), 후방외피부(32), 후방광원수용부(33), 후방커버체결부(34), 캡부(35), 후방캡체결부(36), 슬라이딩결합부(37)를 포함한다.
후방내피부(31)는 목후방커버부(30) 중 목과 접하는 장치부로, 목의 후방부 둘레를 따라 'U'자 내지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후방내피부(31)는 광조사부(60)에서 발산된 특정 파장의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가능한 자외선 차단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방외피부(32)는 목후방커버부(30)의 외관을 이루는 장치부로, 후방내피부(31)의 외부에 배치되고, 후방내피부(31)를 따라 'U'자 내지 호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후방광원수용부(33)는 광조사부(60)의 제2광조사부(64)가 수용되는 장치부로,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후방커버체결부(34는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를 상호 결속시킨다.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는 'ㄷ'자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커버체결부(34)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내부에 'U'자 형상의 후방광원수용부(33)를 중공되게 형성하게 된다.
캡부(35)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의 후단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단부를 커버링하며 결합된다. 락킹부(50)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캡부(35)에 설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캡부(35)에는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가 끼워질 수 있는 락킹부결합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락킹부결합부는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킹부결합부는 제1목후방커버부(30A), 제2목후방커버부(30B)와 접하는 캡부(35)의 내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자력부재(51)와 제2자력부재(52)는 오목한 수용부의 형상을 가지는 락킹부결합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는 락킹부(50)의 자력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이때,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 각각에 결합된 좌우측 한 쌍의 캡부(35)가 서로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좌측 캡부(35) 중 우측 캡부(35)와 마주하는 우측단부는 우측 캡부(35)와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게 우측 캡부(35)의 좌측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좌우측 한 쌍의 캡부(35)는 상호 마주하는 일단부가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좌우측 한 쌍의 캡부(35)가 동일한 구조, 형상을 가지므로, 좌우측 한 쌍의 캡부(35)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보다 용이하게 제작, 조립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후방캡체결부(36)는 캡부(35)를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에 결속시키는 장치부이다. 후방커버체결부(34)에 의해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를 상호 결속시킨 상태에서 후방캡체결부(36)에 의해 캡부(35)를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후단부에 조립할 수 있다.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후단부는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함께 캡부(35)에 의해 커버링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속된다.
슬라이딩결합부(37)는 연결부(40)의 제2커버결합부(434)(이하 설명)와 설정각도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치부로, 후방외피부(32)의 전방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목후방커버부(30)는 슬라이딩결합부(37)에 의해 연결부(40)에 대해 설정각도로 결합, 지지됨으로써, 후방측으로 갈수록 목의 후방중앙부측으로 구부러지며 목의 후방부를 감싸는 호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커버체결부(34)는 걸림홀부(341)와 걸림후크부(343)를 포함한다.
걸림홀부(341)는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후방내피부(31)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방내피부(31)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걸림홀부(341) 상에는 걸림후크부(343)가 삽입될 수 있는 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걸림후크부(343)는 걸림홀부(341)에 걸려 체결되는 장치부로, 후방외피부(32)의 상부와 하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걸림홀부(3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후크부(343)는 가이드홈부(344)와 걸림돌기부(345)를 포함한다.
가이드홈부(344)는 걸림홀부(341)가 끼워져 수용되는 장치부로, 후방외피부(32)의 상부와 하부에 걸림홀부(34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부(344)는 후방외피부(32)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걸림후크부(343)를 가이드홈부(344)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면 걸림후크부(343) 가이드홈부(344)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가이드홈부(344)에 끼워진다.
가이드홈부(344)는 슬라이딩결합부(37)의 가이드턱부(37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외피부(32)를 후방내피부(31)와 후방연결부재(43)에 조립 시, 슬라딩결합부(37)에 의한 후방외피부(32)와 후방연결부재(43) 간의 조립과, 후방커버체결부(34)에 의한 후방외피부(32)와 후방내피부(31) 간의 조립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부(345)는 걸림홀부(341)에 끼워져 걸리는 장치부로, 가이드홈부(344)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홀부(341)가 가이드홈부(344)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돌기부(345)는 걸림홀부(341)에 형성된 홀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가이드홈부(344)는 걸림홀부(341)에 대응되는 너비, 형상을 가지고, 걸림돌기부(345)는 걸림홀부(341)에 형성된 홀부에 대응되는 너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부(344)의 가장자리부와, 걸림돌기부(345)는 각각 걸림홀부(341)의 외측부와 내측부에서 이중으로 접하면서, 걸림홀부(341)의 유동을 안정되게 구속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방캡체결부(36)는 조립홀부(361)와 조립턱부(362)를 포함한다.
조립홀부(361)는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후단부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조립턱부(362)는 조립홀부(361)에 체결되는 장치부로, 캡부(35) 중 조립홀부(36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캡부(35)를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의 후단부에 끼우는 조립 시 조립턱부(362)가 조립홀부(361)에 끼워지면서, 캡부(35)를 후방내피부(31)와 후방외피부(32)에 결속시키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결합부(37)는 가이드돌출부(371), 가이드턱부(372), 받침돌출부(373)를 포함한다.
가이드돌출부(371)는 연결부(40)의 후방연결부재(43)(이하 설명)와 조립되는 장치부로, 후방외피부(32)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출부(371)는 후방연결부재(43)의 제2커버결합부(434)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방외피부(32)를 후방연결부재(43)에 조립 시 제2커버결합부(434)는 상하측 한 쌍의 가이드돌출부(371)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측 가이드돌출부(371), 하측 가이드돌출부(371)와 접한다.
가이드턱부(371)와 받침돌출부(373)는 후방외피부(32)와 후방연결부재(43)간의 조립이 설정각도로 이루어지게 가이드하는 장치부이다. 가이드턱부(371)는 가이드돌출부(371)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설정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받침돌출부(373)는 후방외피부(32)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하측 한 쌍의 가이드돌출부(371)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턱부(371)와 반대측에서 제2커버결합부(434)와 접한다.
받침돌출부(373) 중 제2커버결합부(434)와 접촉되는 돌출단부는 가이드턱부(37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즉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커버결합부(434)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가이드돌출부(371)와 접하고, 일측면부가 가이드턱부(372)와 접하며, 타측면부가 받침돌출부(373)와 접한 상태로 가이드턱부(3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후방외피부(32)와 설정각도로 신뢰성있게 조립, 체결될 수 있다.
후방외피부(32)와 후방연결부재(43)간의 조립이 설정각도로 이루어지게 가이드함에 있어서는, 가이드턱부(371)와 받침돌출부(373)를 포함하는 상기의 일실시예 외에 가이드돌출부(371) 중 제2커버결합부(434)와의 접촉부에 가이드슬릿부(미도시)를 함몰되게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를 적용가능하다. 가이드돌출부(371) 상에 가이드슬릿부를 설정각도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제2커버결합부(434)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이드슬릿부에 끼운 상태로 가이드슬릿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후방외피부(32)와 설정각도로 조립, 체결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는 연결본체부(41), 전방연결부재(42), 후방연결부재(43), 케이블연장부(44)를 포함한다.
연결본체부(41)는 목전방커버부(20)에 목후방커버부(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부로,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의 사이에서 목전방커버부(20), 목후방커버부(30)와 함께 연속된 외관, 매끈한 곡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41)는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과, 외력의 제거 시 초기 형태로 복원되려는 탄성(elasticity)을 가지는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본체부(41)의 소재로는 실리콘, 고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연결본체부(41)의 소재로서 이와 같이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목전방커버부(20)를 기준으로 하여 목후방커버부(30)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거나 접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 연결할 수 있다.
전방연결부재(42)는 유연성이 없는(inflexible)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전방커버부(20)와, 유연성이 있는(flexible)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본체부(41)를 연결하는 장치부이다. 후방연결부재(43)는 유연성이 없는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후방커버부(30)와, 유연성이 있는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본체부(41)를 연결하는 장치부이다.
전방연결부재(42)에 의해 연질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본체부(41)가 목전방커버부(20)와 연결되고, 후방연결부재(43)에 의해 연결본체부(41)가 목후방커버부(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목전방커버부(20), 연결본체부(41), 목후방커버부(30)가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전방연결부재(42)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본체부(41), 목전방커버부(20), 목후방커버부(30)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연결본체부(41)가 전방커버부(20)를 기준으로 목후방커버부(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 전체가 연속되고 매끈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연장부(44)는 목전방커버부(20) 상에 설치되는 제1광조사부(61)와, 목후방커버부(30) 상에 설치되는 제2광조사부(6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통로를 이루는 장치부로(도 4 참조), 연결본체부(41) 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전방연결부재(42)와 후방연결부재(43)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케이블연장부(44)는 전방광원수용부(23)와 후방광원수용부(33)와 연통된다.
케이블연장부(44)를 통해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목전방커버부(20) 상에 배치된 배터리부(67)를 이용해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 모두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고, 모드조작부(6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41)는 본체부(411), 전방연결부(412), 후방연결부(413)를 포함한다.
본체부(411)는 연결본체부(4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상기의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목전방커버부(20)와 목후방커버부(3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체부(411)는 전후방향으로 설정길이를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설정두께를 가진다.
본체부(411)가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A)가 이탈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본체부(411)가 유연하게 구부지면서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411)가 탄성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A)가 이탈력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본체부(411)가 초기 형태로 탄성복원되면서,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락킹부(50)의 자력에 의해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가 밀착된다.
전방연결부(412)는 본체부(411) 중 전방연결부재(42)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본체부(411)의 전단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전방연결부재(42)가 삽입, 결합된다. 전방연결부(412)는 전방연결부재(42)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연결부재(42)의 제1압입조립부(4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1압입조립부(422)는 전방연결부(412)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고정된다.
후방연결부(413)는 본체부(411) 중 후방연결부재(43)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본체부(411)의 후단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후방연결부재(43)가 삽입, 결합된다. 후방연결부(413)는 후방연결부재(43)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연결부재(43)의 제2압입조립부(4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2압입조립부(432)는 후방연결부(413)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고정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41)는 전후방향으로 제1길이(L1)를 가지는 제1연결본체부(41A)와, 전후방향으로 제2길이(L2)를 가지는 제2연결본체부(41B)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2연결본체부(41B)는 제1연결본체부(41A)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사용자(A)의 목 두께나 취향 등에 따라 연결본체부(41)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즉 제1연결본체부(41A) 또는 제2연결본체부(41B)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 전체의 연장길이 및 너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A)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가용 범위를 보다 확장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본체부(41)는 좌우방향으로 제1너비(W1)를 가지는 제3연결본체부(41C)와, 좌우방향으로 제2너비(W2)를 가지는 제4연결본체부(41D)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4연결본체부(41D)는 제3연결본체부(41C)보다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사용자(A)의 목 두께나 취향 등에 따라 연결본체부(41)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즉 제3연결본체부(41C) 또는 제4연결본체부(41D)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내경부의 측방향 너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A)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가용 범위를 보다 확장 적용할 수 있다.
도 11,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연결부재(42)는 제1탄성체결합부(421)와 제1커버결합부(424)를 포함한다.
제1탄성체결합부(421)는 전방연결부재(42) 중 연결본체부(4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전방연결부(412)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탄성체결합부(421)는 제1압입조립부(422)와 제1케이블통과부(423)를 포함한다.
제1압입조립부(422)는 전방연결부(412)에 압입되는 장치부로, 전방연결부(4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전방연결부(412)에 억지끼움된다. 전방연결부(412)는 연결본체부(41)의 전단부 상에 타원형의 종단면 형상과 설정깊이를 가지게 형성되고, 제1압입조립부(422)는 이러한 전방연결부(4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케이블통과부(423)는 제1압입조립부(422) 중 케이블연장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케이블통과부(423)는 제1압입조립부(422)가 전방연결부(412)에 압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연장부(44)와 연통된다.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미도시) 등은 제1케이블통과부(423)를 통해 목전방커버부(20)에서 전방연결부재(42)를 통과하여 케이블연장부(44)로 연속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연결부(4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압입조립부(422) 중 사용자(A)의 목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목과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제1케이블통과부(423)는 제1압입조립부(422) 상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제1케이블통과부(423) 상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확인하면서 케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연장, 조립할 수 있다.
제1케이블통과부(423)가 제1압입조립부(422) 상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한다는 것은, 케이블연장부(44) 또한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부(40)의 구조에 의하면 종단면 상에서 중앙부보다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중공부가 위치하게 되므로,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가 서로 이격되게 회동 시,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연결본체부(41)의 변형이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커버결합부(424)는 목전방커버부(20)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1탄성체결합부(421)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1,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결합부(424)는 전방연장부(425)와 전방커버결합부(426)를 포함한다.
전방연장부(425)는 제1탄성체결합부(421)의 전단부 상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방연장부(425)는 제1케이블통과부(423)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측에 위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목전방커버부(20) 내부의, 즉 전방광원수용부(23) 상의 케이블이 제1커버결합부(424)와의 간섭 없이 제1탄성체결합부(421)로 진입, 통과할 수 있다.
전방커버결합부(426)는 목전방커버부(20)와 체결되는 장치부로, 전방연장부(425) 상에 형성된다. 전방커버결합부(4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연결부재(42)가 전방내피부(21)와 마주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전방내피부(21)와 결합된다. 또한, 전방연장부(425) 상에는 제3걸림턱부(291)가 형성된다.
전방외피부(22) 상에 형성된 제3탄성후크부(292)는 제3걸림턱부(291)에 걸려 체결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목전방커버부(20)와 전방연결부재(42), 연결본체부(41)간의 조립, 결속이 이루어지고, 전방연결부재(42)가 목전방커버부(20)와 연결본체부(4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11,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후방연결부재(43)는 제2탄성체결합부(431)와 제2커버결합부(434)를 포함한다.
제2탄성체결합부(431)는 후방연결부재(43) 중 연결본체부(41)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후방연결부(413)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탄성체결합부(431)는 제2압입조립부(432)와 제2케이블통과부(433)를 포함한다.
제2압입조립부(432)는 후방연결부(413)에 압입되는 장치부로, 후방연결부(413)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후방연결부(413)에 억지끼움된다. 후방연결부(413)는 연결본체부(41)의 후단부 상에 타원형의 종단면 형상과 설정깊이를 가지게 형성되고, 제2압입조립부(432)는 이러한 후방연결부(4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케이블통과부(433)는 제2압입조립부(432) 중 케이블연장부(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케이블통과부(433)는 제2압입조립부(432)가 후방연결부(413)에 압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연장부(44)와 연통된다.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미도시) 등은 제2케이블통과부(433)를 통해 케이블연장부(44)에서 후방연결부재(43)를 통과하여 목후방커버부(30)로 연속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케이블통과부(433)는 제2압입조립부(432) 상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자가 본 발명에 따른 목주름 관리 장치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제2케이블통과부(433) 상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확인하면서 케이블을 전후방향으로 연장, 조립할 수 있다.
제2케이블통과부(433)가 제2압입조립부(432) 상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한다는 것은, 케이블연장부(44), 제1케이블통과부(423) 또한 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부(40)의 구조에 의하면 종단면 상에서 중앙부보다 외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중공부가 위치하게 되므로, 제1목후방커버부(30A)와 제2목후방커버부(30B)가 서로 이격되게 회동 시,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연결본체부(41)의 변형이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커버결합부(434)는 목후방커버부(30)와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2탄성체결합부(431)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1,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결합부(434)는 후방연장부(435)와 후방커버결합부(436)를 포함한다.
후방연장부(435)는 제2탄성체결합부(431)의 후단부 상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후방연장부(435)는 제2케이블통과부(433)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측에 위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탄성체결부(431) 상의 케이블이 제2커버결합부(434)와의 간섭 없이 목후방커버부(20) 내부의, 즉 후방광원수용부(33)로 진입할 수 있다.
후방커버결합부(436)는 목후방커버부(30)와 체결되는 장치부로, 후방연장부(435) 상에 형성된다. 후방커버결합부(426)는, 후방연결부재(42)가 후방내피부(31)와 마주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후방내피부(31)와 결합된다. 제2커버결합부(43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후방외피부(32) 상에 형성된 슬라이딩결합부(37)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연결본체부(41), 후방연결부재(43), 목후방커버부(30)간의 결속이 이루어지고, 후방연결부재(43)가 목후방커버부(30)와 연결본체부(4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60)는 제1광조사부(61), 제2광조사부(64), 배터리부(67), 충전부(68), 모드조작부(69)를 포함한다.
제1광조사부(61)는 목의 전방부에 목주름 개선을 위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복수개의 광원(60A)이 탑재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목전방커버부(20)의 전방광원수용부(23)에 설치된다. 제1광조사부(61)는 목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U'자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전방광원수용부(23)를 따라 복수개의 광원(60A)이 곡면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광조사부(61)는 전방조사부(62)와 전방측부조사부(63)를 포함한다.
전방조사부(62)는 목의 전방중앙부에 목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목의 전방중앙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전방조사부(62)는 복수개의 광원(60A)이 목의 전방중앙부를 커버하는 형상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전방측부조사부(63)는 목의 전방측부에 목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목의 전방측부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전방조사부(62)의 양측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전방측부조사부(63)는 복수개의 광원(60A)이 전방조사부(62)와 함께 목의 전방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제2광조사부(64)는 목의 후방부에 목주름 개선을 위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복수개의 광원(60A)이 탑재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목후방커버부(30)의 후방광원수용부(33)에 설치된다. 제2광조사부(64)는 목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U'자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후방광원수용부(33)를 따라 복수개의 광원(60A)이 곡면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제2광조사부(64)는 후방측부조사부(65)와 후방조사부(66)를 포함한다.
후방측부조사부(65)는 목의 후방측부에 목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목의 후방측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후방측부조사부(65)는 복수개의 광원(60A)이 목의 후방측부를 커버하는 형상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후방조사부(66)는 목의 후방중앙부에 목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부로, 목의 후방중앙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후방조사부(66)는 복수개의 광원(60A)이 후방측부조사부(65)와 함께 목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이루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순히 몇개의 광원(60A)을 포함하거나 광원(60A)이 목 둘레의 일측에 편중되게 배치되는 것과 비교해,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를 이용해 목 둘레 전반에 걸쳐 360도 전방향에서 목주름 개선용 광을 조사하면서 목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광조사부(61) 또는 제2광조사부(6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조사부(62)와 전방측부조사부(63), 후방측부조사부(65)와 후방조사부(6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조사하면서 목주름 개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67)는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4)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가 충전되는 장치부로, 전목전방커버부(20) 또는 목후방커버부(30)에 탑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67)는 보강프레임부(24)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횡방지지부(242)와 종방향지지부(24)의 사이에 배치, 안착,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충전부(68)는 배터리부(67)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부로, 유선 또는 무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운용될 수 있다. 배터리부(67)를 유선으로 충전함에 있어서, 충전부(68)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배터리부(67)를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부(68)는 전원공급장치의 단자가 삽입, 접속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목전방커버부(20)의 하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전방내피부(21) 중 배터리부(67)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충전부(68)로 인해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전원공급장치로부터 배터리부(67)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모드조작부(69)는 제1광조사부(61)와 제2광조사부(62)의 동작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사용자(A)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장치부로, 목전방커버부(20) 또는 목후방커버부(30)에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드조작부(69)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목전방커버부(20)의 중앙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중앙외피부(223) 상에 배치된다.
모드조작부(69)를 터치하거나 가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영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광원(60A)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거나, 전방조사부(62)와 전방측부조사부(63), 후방측부조사부(65)와 후방조사부(66)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목 관리 장치는 목주름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목 관리 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또는 거치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크래들 장치(또는 거치대)를 이용해 무선 충전 및 목 관리 장치를 관리하거나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광조사부(914)는 상기 광조사부(60)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910)는, 센서부(911), 조작 입력부(912), 제어부(913), 광조사부(914), 및 정보&상태출력부(915)를 포함한다.
상기 목 관리 장치(91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크래들 장치(미도시)에 거치되어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거나, 크래들 장치(미도시)에 거치되지 않더라도 어댑터(미도시)에 직접 연결되어 유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11)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되어 체온(예 : 목 둘레의 온도 검출), 습도(예 : 목 둘레의 수분 검출), 맥박, 혈압, 초음파(예 : 갑상선 체크), 자력(예 : 착용이나 결합 여부 검출), 압력(예 : 공기압에 의한 목 조임 압력), 및 카메라(예 : 목 피부 상태 검출)를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예시한 정보들(예 : 체온, 혈압, 맥박, 수분, 압력, 초음파, 카메라, 자력 등)을 검출하는 센서들은 단지 하나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센서부(911)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목 둘레의 피부 상태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913)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별 목의 피부 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또는 이미지 센서)는 상기 광조사부(914)의 복수의 광원들 사이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목 관리를 시작하기 전과 목 관리를 종료한 후에 촬영된 목의 피부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목의 관리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913)는 목 피부의 피부톤, 땀구멍, 노폐물 발생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목 관리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목 관리 장치(9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사용자의 터치, 음성, 지문, 및 리모콘(예 : 전용 리모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모콘 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리모콘 등) 등을 통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 입력부(912)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외측과 내측의 경계부, 또는 리모콘(예 : 전용 리모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모콘 앱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리모콘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조사부(914)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예 : 270LEDs 등)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LED) 타입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의 파장 영역은 다르게 형성되며, 또한 각 광원의 발광 색상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의 파장과 색상 등이 다른 복수의 광원이 미리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광조사부(914)는 사용자별 목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 색상, 및 에너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주름 개선, 색소침착 개선, 피부톤 개선,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914)는 목 둘레의 전체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별 목 둘레에 미치는 영향을 균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5)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5)는 사운드, 진동, 및 광(라이트)에 등에 의해 전원 온/오프, 동작 모드, 및 상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그 경계부에 스피커, 모터, 및 광원 등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센서부(911), 조작입력부(912), 광조사부(914), 및 정보&상태출력부(915)를 통합 제어하여, 사용자별 목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13)는 내부에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메모리(미도시)는 외장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조작 입력부(912)를 통해 입력된 정보(예 : 음성, 지문,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 ID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즉, 사용시간, 동작모드 등)를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목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즉, 사용시간, 동작모드 등)를 관리함으로써, 각 광원에 대한 수명(또는 성능 저하)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목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별 목 상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광조사부(914)의 광원을 사용자별로 맞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광조사부(914)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목에 착용했는지(또는 고정 결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목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원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914)의 광원을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목에 착용할 경우(또는 착용하지 않더라도 고정 결합할 경우)에는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을 해당 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정보&상태출력부(915)를 통해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시간, 배터리상태, 동작모드, 목 상태, 및 목관리안내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7에 있어서 공기압부(9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압부(916)는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목에 착용 시,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을 사용자별 목 둘레에 맞춰 밀착시키기 위하여 공기압을 불어 넣는(즉,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압부(916)는 전동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고무 호스(미도시)가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공기압부(916)에 공기를 불어 넣어(즉, 공급하여) 상기 고무 호스(미도시)가 부풀려지게 하고,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압력에 의해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 목 둘레에 밀착됨이 검출되면, 상기 공기압부(916)에 공기를 불어 넣는(즉, 공급하는)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공기의 공급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동 펌프(미도시)를 역으로 구동하여 공기압의 일부를 지정된 양만큼 배출시킨다. 이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 목 둘레에 너무 밀착될 경우 사용자의 목을 조이게 됨으로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압부(916)를 통해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을 사용자별 목 둘레에 맞춰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광조사부(914)를 통해 조사되는 광이 목 피부에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목 관리 장치(9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착용되게 하여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목을 반듯하게 고정시켜 목 자세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8에 있어서 자석부(9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석부(917)는 자석의 알려진 건강효과(예 : 혈액순환 촉진, 피로회복, 통증완화, 피부개선 등)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에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석(미도시)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자석(미도시)은 네오듐이나 회토류 재질의 자석(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오듐이나 회토류 재질의 코어를 이용한 전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전자석은 자력이 미치는 영향 구간을 선택적으로 한정하고 자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와 같이 자력이 미치는 영향 구간과 자력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별(예 : 어린이, 어른, 남자, 여자, 체질별 사용자 등) 자석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자석이 영구자석인 경우에는 상기 공기압부(916)의 제어를 통해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 사용자별 목 둘레에 밀착되는 정도(즉, 목에서부터 자석까지의 거리)를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이 미치는 영향 구간과 자력의 세기(즉, 목에서부터의 거리에 따른 자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로 상기 자석의 자력이 미치는 영향 구간과 자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압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목 관리 장치의 내측이 사용자별 목 둘레에 밀착되는 정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19에 있어서 통신부(9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918)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980), 인터넷공유기(970)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970)를 통한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연결한다.
상기 통신부(918)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WiFi, 블루투스, NFC, 적외선(IR) 등)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GSM, LTE 등의 이동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918)를 통해 상기 제어부(913)는 구동 프로그램(또는 구동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980), 및 상기 서버(미도시)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0에 있어서 온도 조절부(9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절부(919)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를 목에 착용 시, 상기 센서부(911)를 통해 검출된 목 둘레의 온도(체온)나 습도(예 : 수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의 온도(체온)가 지정된 온도 범위보다 과열된 경우, 또는 목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범위보다 저하된 경우, 상기 제어부(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목의 온도를 지정된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온도 조절부(919)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히터(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 또는 열전소자(미도시)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순환시키는 펌프(예 : 냉각수 순환, 온수 순환)(미도시) 및 상기 온수나 냉각수가 순환되는 호스(미도시) 등을 적용하여 상기 목 관리 장치(910) 내부에 접촉되는 목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도 조절부(919)는 사용자가 목 관리를 시작할 때 목의 상태를 빠르게 안정시킴으로써 목 관리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안한 마음 상태에서 목 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1에 있어서 지압구동부(9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압구동부(920)는, 사용자가 긴장하거나 피로하여 불편한 상태에서 목 관리를 받을 경우 목 관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압, 저주파 마사지, 및 공기압 마사지 등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압구동부(92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동 모터(미도시)나 공기압부(916)에 의해 돌기가 상하(또는 전후)로 입출되어 목 둘레(예 : 뒷목)를 누를 수 있는 돌출 장치(미도시), 저주파 전기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저주파 전기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지압(또는 마사지) 방식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좋아하는 지압 세기와 주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저주파 전기의 주파수와 강도, 및 공기압 세기와 주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지압 방식(예 : 지압 세기와 주기, 저주파 전기의 주파수와 강도, 공기압 세기와 주기)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목 관리 장치(910)의 조작(구동) 스위치가 온 될 경우(S101의 예)(즉, 전원 스위치가 온 될 경우), 상기 목 관리 장치(910)가 목에 착용(또는 결합)되는지 체크한다(S102).
참고로 상기 목 관리 장치(910)는 목에 착용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결합 장치(예 : 목 관리 장치의 착용을 위해 간격을 벌리거나 결합시키는 수단)를 자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목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목에 착용되면(S102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광조사부(914)를 최대(MAX)의 에너지로 조사하도록 작동한다(S103). 여기서 상기 최대(MAX)의 에너지란 사용자별 목 상태에 따라 허용되는 최대(MAX)의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별 상기 최대(MAX)의 에너지의 절대값은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목 관리 장치(910)가 전원 온 된 상태에서 목에 착용(또는 장치 자체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면(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부(즉, 광조사부)를 바라볼 수 있음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조사부(914)를 최소(MIN)의 에너지로 조사하도록 작동한다(S104).
하지만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912)를 통해 수동 조작으로 광조사부(914)의 에너지를 업/다운시킬 경우(예 : 광조사부의 광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조사부를 수동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수동 조작에 대응하여 업/다운된 에너지로 광을 조사한다(S105).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목 관리 장치(910)가 목에 착용(또는 장치 자체적으로 결합)될 경우(S201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센서부(911)와 공기압부(916)를 통해 목 둘레와 목 상태를 스캔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아울러 지정된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S202).
상기 지정된 서버(미도시)는 상기 목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목 상태(예 : 목 건강 상태, 목 피부 상태)를 분석한다(S203).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나 서버(미도시)는 상기 센서부(911)와 공기압부(916)를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목의 피부 상태나 목에서 측정할 수 있는 건강 상태(예 : 맥박, 혈압, 갑상선, 목디스크, 목 근육 뭉침 등)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목 상태(예 : 목 건강 상태, 목 피부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미도시)에서 상기 목 상태(예 : 목 건강 상태, 목 피부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수신한다(S204).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목 상태 분석 결과를 정보&상태출력부(915)나 상기 통신부(918)를 통해 통신 연결된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목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식(또는 모드)으로 광조사(즉, 사용자별 광조사)를 실시한다(S205).
도 25는 상기 도 24에 있어서, 목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목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목 상태(예 : 목 건강 상태, 목 피부 상태)를 스캔한 데이터(즉, 목 스캔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S301의 예), 머리의 전체 영역을 복수개로 가상 분할한다(S302).
예컨대 상기 가상 분할하는 영역의 개수와 각 영역의 범위는, 카메라나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와 같이 가상 분할된 각 영역별 상태를 분석한다(S303).
이 때 상기 제어부(913)는 영역별 순차적으로 광조사를 온/오프 제어하여 스캔을 수행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분할될 영역별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목의 온도 범위 등)을 설정한다(S304)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목 상태(예 : 목 건강 상태, 목 피부 상태)에 따라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목의 온도 범위 등)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목 둘레의 영역별로 설정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목의 온도 범위 등)으로 광조사를 실시한다(S305).
이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역별 상태 분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을 설정하여 광조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동으로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을 설정하여 광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목 관리 장치(910)가 목에 착용(또는 장치 자체적으로 결합)될 경우(S401의 예), 건강 관리 기능의 작동이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402).
예컨대 상기 건강 관리 기능은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등급(예 : 저가 등급, 일반 등급, 프리미엄 등급 등)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장치(예 : 프리미엄 등급의 목 관리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 관리 장치(910)가 목에 착용된 후 건강 관리 기능이 작동할 경우(S402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목 둘레 맞춤 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목 관리 장치(910)의 내측이 사용자별 목 둘레에 맞춰 조정되면(S403), 상기 제어부(913)는 상기 목 관리 장치(910)에 포함된 센서부(911)를 통해 사용자별 건강 정보를 검출한다(S404).
그리고 상기 목 관리 장치(910)에 포함된 지압(마사지) 성능을 체크한 결과에 따라, 성능별 뒷목 혈자리 지압(S407), 공기압 마사지(S406), 및 저주파 마사지(S408)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한다.
이는 사용자의 목의 긴장과 피로를 제거함으로써 목 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지압(또는 마사지) 방식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좋아하는 지압 세기와 주기, 사용자가 좋아하는 저주파 전기의 주파수와 강도, 및 사용자가 좋아하는 공기압 세기와 주기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913)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지압(또는 마사지) 방식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목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13)는 목 관리 장치(910)의 조작입력부(912)를 통해 장치가 조작될 경우(S501의 예), 상기 조작입력부(912)를 통해 입력된 정보(예 : 터치, 음성, 지문, 리모콘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자동 인식이 가능한지 체크한다(S502).
만약 상기 사용자 자동 인식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S5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는 정보(예 : 비밀번호, 아이디, 사용자 선택메뉴 입력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식한다(S503의 예).
상기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인식되면(S502의 예, S503의 예), 상기 제어부(913)는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저장된 사용자별 광조사 방식(또는 광조사 모드)(예 : 광의 파장, 광의 에너지 세기, 광조사 시간, 목의 온도 범위 등)을 인출하여 광조사를 실시한다(S504).
그리고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및 토탈(total))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누적 저장하고, 아울러 사용자별 목 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목 관리시마다 매번 누적 저장한다(S505).
또한 상기 제어부(913)는 누적 저장된 사용자별(및 토탈(total))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누적 저장된 사용자별 목 상태를 분석한 결과와 효과를 출력한다(S506).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별(및 토탈(total))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 및 사용자별 목 상태를 분석한 결과와 효과를 정보&상태출력부(915)나 통신 연결된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으면(S502의 아니오, S503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913)는 사용자를 디폴트(예 : anyone)로 설정하고(S507), 단지 목 관리 장치(910)의 토탈(total)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또는 저장부, DB)(미도시)에 누적 저장하고(S508), 누적된 토탈(total)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출력한다(S509).
예컨대 상기 제어부(913)는 토탈(total) 목 관리 장치(910)의 사용 정보를 정보&상태출력부(916)나 통신 연결된 휴대단말기(980)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 : 목커버부 11 : 어깨안착부
12 : 거북목교정부 13 : 숙임방지연장부
14 : 가슴접촉부 15 : 턱지지부
16 : 뒷목지지부 17 : 젖힘방지연장부
18 : 등접촉부 19 : 후두접촉부
20 : 목전방커버부 21 : 전방내피부
22 : 전방외피부 23 : 전방광원수용부
24 : 보강프레임부 25 : 이격지지부
26 : 전방체결부 27 : 전방측부체결부
28 : 전방중앙체결부 29 : 전방커버체결부
30 : 목후방커버부 30A : 제1목후방커버부
30B : 제2목후방커버부 31 : 후방내피부
32 : 후방외피부 33 : 후방광원수용부
34 : 후방커버체결부 35 : 캡부
36 : 후방캡체결부 37 : 슬라이딩결합부
40 : 연결부 41 : 연결본체부
41A : 제1연결본체부 41B : 제2연결본체부
41C : 제3연결본체부 41D : 제4연결본체부
42 : 전방연결부재 43 : 후방연결부재
44 : 케이블연장부 50 : 락킹부
51 : 제1자력부재 52 : 제2자력부재
60 : 광조사부 60A : 광원
61 : 제1광조사부 62 : 전방조사부
63 : 전방측부조사부 64 : 제2광조사부
65 : 후방측부조사부 66 : 후방조사부
67 : 배터리부 68 : 충전부
69 : 모드조작부
111 : 측부연장부 112 : 안착굴곡부
113 : 상향굴곡부 114 : 하향굴곡부
211 : 전방중앙내피부 212 : 전방측부내피부
221 : 전방좌측외피부 222 : 전방우측외피부
223 : 전방중앙외피부 241 : 프레임본체부
242 : 횡방향지지부 243 : 종방향지지부
251 : 전후방지지부 252 : 측방지지부
271 : 기준턱부 272 : 계합턱부
273 : 제1걸림턱부 274 : 제1탄성후크부
275 : 탄성연장부 276 : 탄성고리부
277 : 조립체결부 281 : 제2걸림턱부
282 : 제2탄성후크부 291 : 제3걸림턱부
292 : 제3탄성후크부 341 : 걸림홀부
343 : 걸림후크부 344 : 가이드홈부
345 : 걸림돌기부 361 : 조립홀부
362 : 조립턱부 371 : 가이드돌출부
372 : 가이드턱부 373 : 받침돌출부
411 : 본체부 412 : 전방연결부
413 : 후방연결부 421 : 제1탄성체결합부
422 : 제1압입조립부 423 : 제1케이블통과부
424 : 제1커버결합부 425 : 전방연장부
426 : 전방커버결합부 431 : 제2탄성체결합부
432 : 제2압입조립부 433 : 제2케이블통과부
434 : 제2커버결합부 435 : 후방연장부
436 : 후방커버결합부
910 : 목 관리 장치 911 : 센서부
912 : 조작입력부 913 : 제어부
914 : 광조사부 915 : 정보&상태출력부
916 : 공기압부 917 : 자석부
918 : 통신부 919 : 온도조절부
920 : 지압구동부 970 : 인터넷 공유기
980 : 휴대단말기

Claims (7)

  1.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로서,
    목 관리 장치의 내측이나 외측에 부착되어 체온, 수분, 맥박, 혈압, 갑상선 체크, 착용이나 결합 여부 검출, 공기압에 의한 목 조임 압력, 및 목 피부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목 관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목 관리 장치의 내측에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이 형성되어 목 둘레 전체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광조사부;
    휴대단말기, 인터넷공유기, 및 상기 인터넷공유기를 통한 지정된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목의 건강 상태나 피부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장치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목 관리 장치는,
    목의 전방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목전방커버부; 및
    상기 목전방커버부와 연결되고, 목의 후방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목후방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목전방커버부와 상기 목후방커버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목전방커버부는,
    목과 접하는 전방내피부;
    상기 전방내피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목전방커버부의 외관을 이루는 전방외피부; 및
    상기 전방내피부와 상기 전방외피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내피부와의 사이에 상기 광조사부가 수용되는 전방광원수용부가 형성되는 보강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및 원거리 무선통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목 관리 장치의 구동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며,
    목 관리 장치의 동작정보나 상태정보를 휴대단말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 관리 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별 목의 피부 상태나 건강 상태에 따라,
    전체의 목 둘레 영역 중 선택적으로 지정된 위치에만 광을 조사하거나,
    목 영역별로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크기를 각기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별 목의 피부 상태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인식하며,
    상기 조작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음성, 지문, 및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휴대단말기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별 목 관리 장치의 사용 시간 및 동작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사용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목 관리 장치의 토탈 사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별 사용 정보 및 토탈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각 광원의 수명이나 성능 저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되,
    사용자가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광조사부의 광원을 지정된 최소(Min)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고,
    사용자가 상기 목 관리 장치를 목에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별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광원을 해당 사용자별 동작모드에서 최고(Max)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0190005600A 2019-01-16 2019-01-16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16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00A KR102169748B1 (ko) 2019-01-16 2019-01-16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00A KR102169748B1 (ko) 2019-01-16 2019-01-16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354A KR20200089354A (ko) 2020-07-27
KR102169748B1 true KR102169748B1 (ko) 2020-10-27

Family

ID=7189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00A KR102169748B1 (ko) 2019-01-16 2019-01-16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30A (ja) * 2006-06-27 2009-12-03 パロマー・メデイ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手持ち光美容装置
US20170028216A1 (en) * 2015-07-28 2017-02-02 Photonmd, Llc Phototherapy devices for treatment of dermatological disorders of the scal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01B1 (ko) * 2013-12-16 2015-10-06 주식회사 칼라세븐 기도와 기관지 이완장치
US10045820B2 (en) * 2014-02-18 2018-08-14 Channel Investments, Llc Internet connected dermatological devices and systems
KR20170031582A (ko) * 2015-09-11 2017-03-21 윤영선 청결하고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목 주름 개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2330A (ja) * 2006-06-27 2009-12-03 パロマー・メデイ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手持ち光美容装置
US20170028216A1 (en) * 2015-07-28 2017-02-02 Photonmd, Llc Phototherapy devices for treatment of dermatological disorders of the scal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354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746B1 (ko) 목 관리 장치
KR101988303B1 (ko)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3B1 (ko) 헤어 관리 장치 세트
KR102169749B1 (ko)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169750B1 (ko) 목의 긴장 해소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204824B1 (ko) 헤어 상태 분석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69745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40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44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77366B1 (ko) 소독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69748B1 (ko) 통신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169747B1 (ko) 목 둘레 맞춤 기능을 갖는 목 관리 장치
KR102169737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42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43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38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36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39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69741B1 (ko) 목 관리 장치
KR102372152B1 (ko) 목 관리 장치
KR102177364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KR102177368B1 (ko) 헤어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77367B1 (ko) 통신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10233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의 크래들 장치
KR102177362B1 (ko) 헤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