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389B1 - Disposable cosmetic pad - Google Patents

Disposable cosmetic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389B1
KR102169389B1 KR1020167035454A KR20167035454A KR102169389B1 KR 102169389 B1 KR102169389 B1 KR 102169389B1 KR 1020167035454 A KR1020167035454 A KR 1020167035454A KR 20167035454 A KR20167035454 A KR 20167035454A KR 102169389 B1 KR102169389 B1 KR 10216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iber
covering sheet
lay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2232A (en
Inventor
히로코 이케다
요시노리 다나카
다케시 반도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Cosme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피복 시트의 강도를 확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일회용 화장 패드의 제공.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20)과, 상기 쿠션층을 감싸는 피복 시트(21)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24)과,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23)을 갖고, 상기 외층은,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은, 상기 흡습성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Provision of disposable cosmetic pads that can secure the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and further improve the soft touch. In the disposable cosmetic pad 10 having a cushion layer 20 comprising hydrophilic fibers and a covering sheet 21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the covering sheet includes an outer layer 24 positioned on a skin contact surface side, It has an inner layer 23 located on the non-contact surface side of the skin, the outer layer is formed of a fiber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hygroscopic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and the inner layer is a cellulose-based fiber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hygroscopic fibers. It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ntaining 50% by mass or more.

Description

일회용 화장 패드{DISPOSABLE COSMETIC PAD}Disposable cosmetic pad {DISPOSABLE COSMETIC PAD}

본 발명은 화장 지움 등에 사용되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makeup pad used for removing makeup and the like.

종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감싸는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는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쿠션층과,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피복 시트는, 피부 접촉면이 레이온 섬유를 50% 이상 포함하고, 0.1~3 데니어의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disposable cosmetic pad having a cushion layer comprising hydrophilic fibers and a covering sheet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isposable cosmetic pad having a cushion layer and a covering sheet, and the covering sheet includes 50% or more rayon fibers on a skin contact surface, and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fiber diameter of 0.1 to 3 denier. Is formed by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60-15142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Digestion No. 60-151424

이러한 화장 패드는, 화장수의 패팅이나 크림류의 제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 패드에서는, 피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자극감을 주는 일이 없는 부드러운 촉감이 요구되고 있다.Such a cosmetic pad can be used to apply lotion or remove creams. In such a cosmetic pad, sinc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a soft touch that does not give a feeling of irritation to the user is required.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화장 패드에서는, 자극감을 저하하기 위해서 피복 시트의 섬유 직경을 작게 하면, 피복 시트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려, 찢어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피복 시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1 데니어를 초과하는 비교적 큰 섬유 직경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피복 시트를 형성하면, 화장을 닦아낼 때에 사용자가 자극을 느끼기 쉬워진다. 특히, 세안 후에 모공의 더러움을 없애거나,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거나 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화장수(이른바, 닦아내는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하는 경우, 화장 패드에 의해 피부가 문질러질 때에, 사용자는 자극을 느끼기 쉬워, 보다 부드러운 촉감이 요구되고 있었다. However, in the decorative pad of Patent Literature 1, when the fiber diameter of the covering sheet is decreased in order to reduce the irritation sensation, the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becomes easy to tea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if the covering sheet is formed from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large fiber diameter exceeding 1 denier, the user is likely to feel irritation when wiping off makeup.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mpregnating the skin with a lotion (so-called wiping lotion) used to remove dirt from the pores or to remove old dead skin cells after washing face, the user is likely to feel irritation when the skin is rubbed with the makeup pad. , A softer touch was required.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개량으로서, 피복 시트의 강도를 확보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회용 화장 패드의 제공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cosmetic pad capable of securing the strength of a covering sheet and improving a soft touch, as an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감싸는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의 개량에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disposable cosmetic pad having a cushion layer comprising hydrophilic fibers and a covering sheet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본 발명은 상기 화장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피부 접촉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접촉면과,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과,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을 갖고, 상기 외층은,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은, 상기 흡습성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smetic pad, the covering sheet has a skin-contacting surface and a non-skin contacting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an outer layer located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and an inner layer located on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and the outer layer It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mainly consisting of silver, hygroscopic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and the inner layer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ntaining 50 mass% or more of cellulose-based fibers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hygroscopic fibers. To do.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화장 패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할 때에,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의 극세 섬유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외층이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층은, 외층에 있어서의 흡수성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 시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disposable cosmetic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since the outer layer mainly made of hygroscopic fibers, which are ultrafine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ossible to improve a soft touch. In addition, since the inner layer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ntaining 50% by mass or more of cellulose fibers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water absorbent fibers in the outer layer, the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can be increased.

도면은 본 개시에 따른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일회용 화장 패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장 패드의 전개 평면도.
도 4(a)는 화장 패드의 변형예 1을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4(b)는 화장 패드의 변형예 2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The drawings show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include optional and preferred embodiments, as well as essential configurations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osable makeup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3 is an exploded plan view of the makeup pad shown in FIG. 1;
Figure 4 (a) is the same view as Figure 2 showing a modified example 1 of the makeup pad. Fig. 4(b) is the same view as Fig. 2 showing Modification Example 2 of the makeup pad.

하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인 도 1~4에 도시된 일회용 화장 패드에 대해,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The following embodiment includes not only an indispensabl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but also an optional and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disposable cosmetic pad shown in FIGS. 1 to 4 which ar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화장 패드의 일례인 화장 패드(10)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방향(S)과 제2 방향(R)과, 제1 면(11)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12)과, 제1 방향(S)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3, 14)와,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15, 16)와, 제1 방향(S)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단부(17) 및 제2 단부(18)와, 제1 및 제2 단부(17, 1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9)를 갖는다. 중간부(19)에서는, 제2 방향(R)의 폭이 일정하고, 제1 및 제2 단부(17, 18)에서는, 각각, 제2 방향(R)의 치수가 단가장자리(15, 16)를 향해 작아지도록 측가장자리(13, 14)가 경사져 있다. 화장 패드(10)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20)과, 쿠션층(20)을 감싸는 피복 시트(21)를 포함한다. 중간부(19)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크다. 1 and 2, the makeup pad 10,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osable makeup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rection (S) and a second direction (R)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first surface 11 and The second surface 12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both side edges 13 and 14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S, both end edges 15 and 16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R, and It has a first end 17 and a second end 1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S, and an intermediate part 19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In the middle portion 19,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R is constant, and in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7 and 18, the dimensions in the second direction R are short edges 15 and 16, respectively. The side edges 13 and 14 are inclined so as to become smaller toward. The makeup pad 10 includes a cushion layer 20 containing hydrophilic fibers and a covering sheet 21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20. The dimension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9 in the first direction S are larg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7 and 18 in the first direction S.

쿠션층(20)은, 친수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이고, 이 섬유 집합체에는, 쿠션층(20)의 소요의 흡수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소수성 섬유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섬유를 약 80 질량% 이상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코튼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쿠션층(20)은, 셀룰로오스계 섬유, 예컨대 레이온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친수성 섬유로서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경우, 코튼 섬유를 이용한 것에 비해,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할 때의 이수성(離水性)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쿠션층(20)의 질량은, 약 0.2~0.4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20)은, 중간부(19)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층(20)의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거의 동일 또는 각각 상이하게 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거의 동일하다. 또한, 예컨대, 쿠션층(20)의 제1 단부(17)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제2 단부(18)의 그것보다 크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포켓(50)에 손가락을 넣어 화장 패드(10)를 사용할 때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측에 있어서의 단부(제1 단부(17))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부드러운 촉감으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20 is a fiber assembly mainly composed of hydrophilic fibers, and hydrophobic fibers may be mixed with the fiber assembly as long as the required absorbency of the cushion layer 20 is not impaired. Specifically, it contains about 80 mass% or more of hydrophilic fibers. As the hydrophilic fiber, for example, rayon fiber, cotton fiber, acrylic fiber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hydrophobic fiber, for example,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thylene, polyester, polypropylene, or composite fibers thereof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cushion layer 20 is formed of a fiber aggregate mainly made of cellulose-based fibers, such as rayon fibers. When a rayon fiber is used as the hydrophilic fiber, the water repellency when used by impregnating a lotion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at using a cotton fi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of the cushion layer 20 in one cosmetic pad 10 is about 0.2 to 0.4 g. As for the cushion laye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per unit area in the intermediate part 19 is smaller than that in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In addition, the mass per unit area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of the cushion layer 20 can be substantially the same or different, respectively, 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 18) has almost the same mass per unit area. In addition, for example, by making the mass per unit area at the first end 17 of the cushion layer 20 larger than that at the second end 18, a finger is placed in the pocket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akeup pad 10 When using, the flexibility of the end (first end 17) on the side where the finger is inserted is improved, and a soft touch can be achieved.

피복 시트(21)는,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23)과,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24)을 포함한다. 내층(23)은, 예컨대, 흡습성을 갖는 레이온 섬유나 흡수성 펄프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약 50~100 질량%, 소수성 섬유를 약 0~50 질량%, 열융착성 섬유를 약 0~50 질량%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내층(23)은, 소수성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약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 질량% 포함하고, 열융착성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약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 질량% 포함한다. 소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열융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을 2종류 이상 이용한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및 열융착성 섬유로서 동일한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 즉, 소수성이며 또한 열융착성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량(즉, 열융착성 섬유의 함유량)이, 약 1~5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3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 섬유 및 열융착성 섬유의 섬유 직경은, 약 10~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직경은, 약 10~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vering sheet 21 includes an inner layer 23 located on the non-skin contact surface side and an outer layer 24 locat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The inner layer 23 is, for example, about 50 to 100 mass% of cellulose fibers such as hygroscopic rayon fibers and absorbent pulp fibers, about 0 to 50 mass% of hydrophobic fibers, and about 0 to 50 mass of heat-sealable fibers. % Containing non-woven fibers. The inner layer 23 preferably contains about 1 to 50 mass% of hydrophobic fibers, more preferably about 1 to 30 mass%, and preferably about 1 to 50 mass%, more preferably of heat-sealable fibers. Contains about 1 to 30% by mass. As the hydrophobic fibers,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thylene, polyester, and polypropylene can be used. As the heat-fusible fibers,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composite fibers using two or more of them can be used. When the same fiber is used as the hydrophobic fiber and the heat-fusible fiber, that is, when a hydrophobic and heat-fusible fiber is used, the content of the hydrophobic fiber (that is, the content of the heat-fusible fiber) is about 1 to 50% by mas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30 mass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ber diameter of the hydrophobic fiber and the heat-fusible fiber is about 10 to 20 µm, and the fiber diameter of the cellulose fiber is about 10 to 20 µm.

외층(24)은, 멜트 블로운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멜트 블로운법에 의해 형성된 흡습성 섬유를 약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질량% 이상 포함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 질량%이다. 외층(24)에 이용되는 흡습성 섬유는, 내층(23)에 이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보다 흡습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흡습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한 소수성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습성 섬유의 흡습성을 내층(23)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그것보다 낮게 함으로써, 클렌징제 등의 화장액을 도포한 경우에, 화장액의 급속한 흡수를 억제하여,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 화장액을 유지시킬 수 있다. 흡습성 섬유의 섬유 직경은, 내층(23)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직경보다 작다. 흡습성 섬유의 섬유 직경은, 약 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23)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 레이온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층을 형성하는 흡습성 섬유로서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layer 24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hygroscopic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µm or less formed by the melt blown method. Specifically, it contains about 80 mass% or more, preferably about 95 mass% or more of the hygroscopic fibers formed by the melt blown method, and is 100 mass% in this embodiment. The hygroscopic fiber used for the outer layer 24 is preferably less hygroscopic than the cellulose fiber used for the inner layer 23, and such hygroscopic fibers include, for example, polyamide fibers such as nylon 6 and nylon 66, acrylic fibers, Alternatively, hydrophobic fibers or the like subjected to hydrophilic treatment may be used. By making the hygroscopicity of the hygroscopic fiber lower than that of the cellulose-based fibers of the inner layer 23, when a cosmetic liquid such as a cleansing agent is applied, rapid absorption of the cosmetic liquid is suppressed, and makeup is made on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cosmetic pad 10. You can keep the liquid. The fiber diameter of the hygroscopic fiber is smaller than the fiber diameter of the cellulose fiber forming the inner layer 23.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ber diameter of the hygroscopic fiber is about 5 µm or less. When rayon fibers are used as the cellulose fibers forming the inner layer 23, it is preferable to use nylon 6 or nylon 66 as the hygroscopic fibers forming the outer layer.

내층(23)의 두께 치수(t1)는, 약 0.10~0.25 ㎜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6 ㎜이다. 내층(23)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10~35 g/㎡이고, 약 15~30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23)의 밀도는, 약 0.08~0.2 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2 g/㎤이다.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약 0.05~0.15 ㎜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09 ㎜이다. 외층(24)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5~30 g/㎡의 범위이고, 약 5~15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외층(24)의 밀도는 약 0.05~0.2 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1 g/㎤이다. 외층(24)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약 10 g/㎡ 이하인 경우, 내층(23)의 질량은 약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21)의 두께 치수(t3)는, 약 0.2~0.3 ㎜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복 시트(21)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25~40 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 시트(21)의 비용적은, 약 50~200 ㎥/㎏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45 ㎥/㎏이다.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내층의 두께 치수(t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dimension t1 of the inner layer 23 is about 0.10-0.25 mm,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bout 0.16 mm.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inner layer 23 is about 10 to 35 g/m 2, more preferably about 15 to 30 g/m 2. The density of the inner layer 23 is preferably about 0.08 to 0.2 g/cm 3,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bout 0.12 g/cm 3. The thickness dimension t2 of the outer layer 24 is about 0.05 to 0.15 mm,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bout 0.09 mm.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outer layer 24 is in the range of about 5 to 30 g/m 2, more preferably about 5 to 15 g/m 2. The density of the outer layer 24 is preferably about 0.05 to 0.2 g/cm 3,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bout 0.11 g/cm 3. When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outer layer 24 is about 10 g/m 2 or less, the mass of the inner layer 23 is preferably about 25 g/m 2 or more. The thickness dimension t3 of the cover sheet 21 is preferably about 0.2 to 0.3 mm, and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over sheet 2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25 to 40 g/m 2. In addition, the specific volume of the covering sheet 21 is about 50 to 200 m3/kg,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bout 145 m3/kg.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t2 of the outer layer 24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t1 of the inner layer.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피복 시트(21)는, 피부 접촉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접촉면과,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측가장자리부(3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2)와,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단가장자리부(33) 및 제2 단가장자리부(34)를 갖고 있고,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와 제1 및 제2 단가장자리부(33, 34)에 의해 피복 시트(21)의 외형이 획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의 각각은,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 및 제2 방향(R)의 각각과 일치한다. 2 and 3, the covering sheet 21 includes a skin-contacting surface and a non-skin-contacting surfac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width direction (X)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Y). It has a first side edge portion 31 and a second side edge portion 32 extending, and a first edge portion 33 and a second edge portion 3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outer shape of the covering sheet 21 is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short edge portions 33 and 34.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width direction X coincides with each of the first direction S and the second direction R of the cosmetic pad 10.

피복 시트(21)는, 제1 단가장자리부(33)측에 위치하고,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선(35)과, 제1 절곡선(35)과 제2 단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고,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선(36)을 갖고, 제1 단가장자리부(33)와 제1 절곡선(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역(41)과, 제1 절곡선(35)과 제2 절곡선(36)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역(42)과, 제2 절곡선(36)과 제2 단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역(43)으로 구분된다. 제2 구역(42)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M2)는,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M1, M3)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치수(M1, M3)는, 제2 구역(42)의 치수(M2)의 2분의 1보다 크고, 제3 구역(43)의 치수(M3)는, 제1 구역(41)의 치수(M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는, 각각, 제1 절곡선(35)의 근방 및 제2 절곡선(36)의 근방에 있어서 폭 방향(X) 내측을 향해 오목한 만곡 형상을 이룬다. 제1 절곡선(35)은, 화장 패드(10)의 한쪽의 단가장자리(15)와 일치하고, 제2 절곡선(36)은, 화장 패드(10)의 다른쪽의 단가장자리(16)와 일치한다. The covering sheet 21 is positioned on the first edge portion 33 side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first bending line 35, the first bending line 35, and the second edge portion ( 34) A first zone 41 located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33 and the first bending line 35, having a second bending line 3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a second zone 4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nd line 35 and the second bend line 36, and the second zone 42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end line 36 and the second edge portion 34. It is divided into 3 zones (43). The dimension M2 of the second region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larger than the dimensions M1 and M3 of the first and third regions 41 and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Further, the dimensions (M1, M3) of the first and third regions (41, 43) are greater than one-half of the dimensions (M2) of the second region (42), and the dimensions of the third region (43) ( It is preferable that M3)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mension M1 of the first zone 41. The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have a curved shape concave toward th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X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bending line 35 and the second bending line 36, respectively. Achieve. The first bending line 35 coincides with the single edge 15 of the makeup pad 10, and the second bending line 36 matches the edge 16 of the other side of the makeup pad 10 Matches.

쿠션층(20)은 피복 시트(21)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피복 시트(21)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다. 쿠션층(20)은, 설명의 편의상, 폭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측부 영역(75) 및 제2 측부 영역(76)과, 제1 측부 영역(75)과 제2 측부 영역(76)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77)을 갖는다. 제1 측부 영역(75)은, 제1 측가장자리부(31)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35)(단가장자리(15))의 일단부(78a)로부터 폭 방향(X) 외측(제1 측가장자리부(31)측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36)(단가장자리(16))의 일단부(78b)로부터 폭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2 측부 영역(76)은, 제2 측가장자리부(32)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35)(단가장자리(15))의 타단부(79a)로부터 폭 방향(X) 외측(제2 측가장자리부(32)측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36)(단가장자리(16))의 타단부(79b)로부터 폭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중앙 영역(77)은, 폭 방향(X)에 있어서, 제1 절곡선(35)의 일단부(78a)와 타단부(79a) 사이(제2 절곡선(36)의 일단부(78b)와 타단부(79b)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제1 측부 영역(75)과 제2 측부 영역(76)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거의 동일하며, 중앙 영역(77)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제1 및 제2 측부 영역(75, 76)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크다. The cushion layer 20 is disposed on the non-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cover sheet 21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sheet 21 is unfol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ushion layer 20 includes a first side region 75 and a second side region 7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the first side region 75 and the second side region. It has a central area 77 positioned between 76. The first side region 75 is outside the width direction X from one end 78a of the first bending line 35 (end edge 15)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edge 31 side It is an area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X) outer side from the one end 78b of the 2nd bending line 36 (short edge 16) which is located on the 1 side edge part 31 side. The second side region 76 is outside the width direction X from the other end 79a of the first bending line 35 (end edge 15)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ide edge 32 It is an area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X) outer side from the other end 79b of the 2nd bending line 36 (short edge 16) which is located on the 2 side edge part 32 side. The central region 77 is, in the width direction X, between one end 78a and the other end 79a of the first bending line 35 (with the one end 78b of the second bending line 36). It is an area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s 79b).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n the first side region 75 and the second side region 76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n the central region 77 is , Larger than that in the first and second side regions 75 and 76.

제1 및 제2 측부 영역(75, 76)과, 중앙 영역(77)은, 각각, 피복 시트(21)의 제1 구역(41)에 배치되는 제1 쿠션부(71)와, 피복 시트(21)의 제2 구역(42)에 배치되는 제2 쿠션부(72)와, 피복 시트(21)의 제3 구역(43)에 배치되는 제3 쿠션부(73)를 갖는다. 제1 쿠션부(71)는, 제1 구역(41)에 있어서 화장 패드(10)의 제1 단부(17)를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쿠션부(72)는, 제2 구역(42)의 전역에 배치되며, 제3 쿠션부(73)는, 제3 구역(43)에 있어서 화장 패드(10)의 제2 단부(18)를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side regions 75 and 76 and the central region 77 are, respectively, a first cushion portion 71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41 of the covering sheet 21 and a covering sheet ( It has a second cushion portion 72 arranged in the second zone 42 of 21) and a third cushion portion 73 arranged in the third zone 43 of the covering sheet 21. The first cushioning portion 71 is disposed in a region forming the first end 17 of the cosmetic pad 10 in the first area 41, and the second cushioning portion 72 comprises a second area ( 42), and the third cushioning portion 73 is disposed in a region forming the second end 18 of the cosmetic pad 10 in the third area 43.

피복 시트(21)의 제1 구역(41)은, 제2 구역(42)과의 사이에 쿠션층(20)을 끼운 상태(즉, 제2 쿠션부(72)의 일부와 제1 쿠션부(71)를 사이에 끼운 상태)이고, 제1 절곡선(35)을 따라 제2 구역(42)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제3 구역(43)은, 제2 구역(42)과의 사이에 쿠션층(20)을 끼운 상태(즉, 제2 쿠션부(72)의 일부와 제3 쿠션부(73)를 사이에 끼운 상태)이고, 제2 절곡선(36)을 따라, 제2 구역(42)에 적층된 제1 구역(41)의 피부 접촉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중간부(19)의 그것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2 단부(17, 18) 및 중간부(19)는, 각각, 제2 방향(R)의 중앙 영역(즉, 쿠션층(20)의 중앙 영역(77)이 배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중앙 영역의 제2 방향(R)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 영역(즉, 쿠션층(20)의 제1 및 제2 측부 영역(75, 76)이 배치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보다 크다. 또한,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양측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중간부(19)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gion 41 of the covering sheet 21 is in a state where the cushion layer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region 42 (that is, a part of the second cushion part 72 and the first cushion part ( 71), and is bent along the first bend line 35 to the side of the non-skin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zone 42, and the third zone 4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zone 42.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layer 20 is sandwiched (that i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cushion part 72 and the third cushion part 73 are sandwiched), and along the second bending line 36, the second It is bent toward the skin-contacting surface of the first zone 41 stacked on the zone 42. In such a decorative pad 10,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is great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9.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7 and 18 and the middle portion 19 are, respectively, a central region in the second direction R (that is, a region in which the central region 77 of the cushion layer 20 is disposed). ),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s in both region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ide regions 75 and 76 of the cushion layer 20)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rection R of the central region. ) Is larger than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n the area).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n both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7 and 18 is smaller than tha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9.

적층된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는, 각각,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 융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겹쳐 포개진 피복 시트(21)가 접합된 양측 접합부(4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3 구역(41, 43)은, 화장 패드(10)의 제1 면(11)을 형성하고, 제2 구역(42)은 제2 면(12)을 형성한다. 제1 면(11)에는, 제1 및 제2 구역(41, 42)에 적층된 제3 구역(43)에 의해 포켓(50)이 형성된다.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쿠션층(20)은, 제2 구역(42)과, 제1 및 제3 구역(41, 43)에 협지(挾持)된 상태로 피복 시트(21)와 융착된다. 한편,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의 접합은, 니들 펀치법에 의해 이루어져도 좋다.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are fused by embossing/debossing processing by heat or ultrasonic, respectively, whereby the overlapping covering sheets 21 are joined. Both side joints 44 are formed. The first and third zones 41, 43 form the first side 11 of the cosmetic pad 10, and the second zone 42 forms the second side 12. On the first side 11, a pocket 50 is formed by a third zone 43 stacked on the first and second zones 41 and 42. In the joint portion 44 on both sides, the cushion layer 20 is fused with the covering sheet 21 in a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zone 42 and the first and third zones 41 and 43. . Incidentally, the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may be joined by a needle punch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양측 접합부(44)는, 제1 절곡선(35)으로부터 제2 절곡선(36)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1 측가장자리부(31)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45)와, 제2 측가장자리부(32)에 위치하는 제2 접합부(4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합부(45, 46)는, 각각, 제1 방향(S)(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47)와, 직선형부(47)의 제1 방향(S)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경사부(48)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선형부(47)는, 화장 패드(10)의 중간부(19)에 위치하고, 경사부(48)는 화장 패드(10)의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위치하고 있으며, 직선형부(47)는, 경사부(48)보다 길이 방향(Y)의 치수가 크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접합부(45, 46)는, 대략 원형 형상의 다수의 용착 스폿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그 외의 형상, 예컨대, 대략 사각형 형상의 용착 스폿이나, 연속 또는 비연속의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경사부(48)에서는, 직선형부(47)에 비해 적층된 피복 시트(21) 사이의 접합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화장 패드(10)의 모퉁이부에 위치하는 경사부(48)의 접합 강도를 비교적 높게 함으로써, 사용 중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의 형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드(10)의 양단 가장자리(15, 16)에 위치하는 경사부(48)의 외단부(48a)에서는, 접합 강도가 경사부(48)의 다른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화장 패드(10)의 측가장자리(13)와 제1 접합부(45)의 이격 치수 및 화장 패드(10)의 측가장자리(14)와 제2 접합부(46)의 이격 치수(각 측가장자리(13, 14)와 각 접합부(45, 46)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 시트(21)의 비접합부의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d1)는, 약 0.5~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 접합부(45, 46)의 폭 치수(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d2)는, 각각, 약 0.5~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 both side joints 44 extend from the first bend line 35 to the second bend line 36 and are positioned at the first side edge portion 31. ), and a second bonding portion 46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edge portion 32.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45 and 46 are, respectively, a straight portion 47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S)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first direction (S) of the straight portion 47 It has a pair of inclined portions 48 positioned on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straight portion 47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19 of the cosmetic pad 10, and the inclined portion 48 is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of the cosmetic pad 10 It is located in, and the linear portion 47 has a larger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an the inclined portion 48.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bonding portions 45 and 46 is formed by a large number of welding spots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but in other shapes, for example, a welding spot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r a continuous or non-continuous linear shape. It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48,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laminated covering sheets 21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raight portion 47.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inclined portions 48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cosmetic pad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d collapse of the cosmetic pad 10 during use. In addition, in the outer end portion 48a of the inclined portion 48 located at both end edges 15 and 16 of the cosmetic pad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formed high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inclined portion 48 . 1 and 3,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 13 of the cosmetic pad 10 and the first joint 4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 14 and the second joint 46 of the cosmetic pad 10 Dimensions (dimensions in the second direction (R) of the non-joined portion of the covering sheet 21 positioned between each side edge 13, 14 and each joint portion 45, 46) (d1) is about 0.5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range of -5 mm, and the width dimension (dimension in the 2nd direction (R)) (d2) of the 1st and 2nd junction part 45, 46 is a range of about 0.5-5 mm,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포켓(50)은, 양측 접합부(44)와, 양측 접합부(44)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절곡선(36) 및 제2 단가장자리부(34)에 의해 획정되고, 제2 단가장자리부(34)에 의해, 제2 방향(R)(폭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가 형성된다. 포켓(50)에 있어서, 제1 및 제3 구역(41, 43)이 적층되는 적층부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2)는,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1)의 약 20~50%의 크기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 가장자리(51)는 화장 패드(10)의 중간부(19)에 위치하고, 피복 시트(21)의 제1 단가장자리부(33)측의 단가장자리(33a)는 중간부(19)에 위치한다. 개구 가장자리(51)는, 화장 패드(10)의 제1 단부(17)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pocket 50 is defined by a second bending line 36 and a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extending between the both side junctions 44 and the both side junctions 44, and a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exten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R (width direction X) is formed. In the pocket 50, the dimension (L2) in the first direction (S) of the lamination portion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regions 41, 43 are stacked is the first direction (S) of the makeup pad 10 It has a size of about 20-50% of the dimension L1 in.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edge 51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19 of the decorative pad 10, and the edge 33a on the first edge portion 33 side of the covering sheet 21 is the middle portion. It is located at (19). The opening edge 51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first end portion 17 of the cosmetic pad 10.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에 클렌징제를 도포하여, 화장 지움용의 패드로서 사용하거나,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에, 모공의 더러움을 없애거나,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거나 하기 위해서 화장수(이른바, 닦아내는 화장수)를 도포하여, 화장수용의 패드로서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화장을 닦아낼 때에는, 화장 패드(10)의 제1 면(11) 또는 제2 면(12)을 피부에 갖다 대어 문지르기 때문에, 화장수를 함침시켜 얼굴에 대어 사용하는 페이스 마스크에 비해, 사용자가 자극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소요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특히, 닦아내는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하는 경우, 모공의 더러움이나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면서, 자극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비교적 높은 유연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제1 및 제2 면(11, 12)을 형성하는 외층(24)이,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의 극세 섬유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멜트 블로운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섬유 직경의 섬유 부직포에 의해 외층을 형성한 것에 비해, 자극감을 저감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극세 섬유는 멜트 블로운 섬유이기 때문에, 극세 섬유로서 분할형 섬유를 이용한 것에 비해, 섬유 직경을 균일하게 하고, 또한 섬유의 둘레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어, 부드러운 촉감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층(23)은, 흡습성 섬유보다 큰 섬유 직경을 갖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극세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피복 시트(21)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uch a makeup pad 10, a cleansing agent is applied to the first side 11 or the second side 12 and used as a pad for removing makeup, or the first side 11 or the second side 12 In order to remove dirt from pores or remove old dead skin cells, a lotion (so-called lotion to be wiped off) may be applied and used as a pad for lotion. When wiping off makeup, since the first side 11 or the second side 12 of the makeup pad 10 is rubbed against the skin, compared to a face mask that is impregnated with lotion and used on the face, the user The flexibility of the demand to the extent that no stimulation is felt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mpregnating a lotion to be wiped off, a relatively high degree of flexibility is required so as not to feel irritation while removing dirt or old dead skin cells from pores. In the cosmetic pad 10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layer 24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1 and 12 is a melt blown made mainly of hygroscopic fibers, which are ultrafine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Since it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mpared with forming the outer layer with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relatively large fiber diameter, the irritation sensation is reduced and a soft touch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is ultrafine fiber is a melt blown fiber, the fiber diameter can be made uniform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ber can be smoothed, compared to the use of split-type fibers as the ultrafine fiber, which further improves the soft touch. I can. In addition, since the inner layer 23 is mainly made of cellulose fibers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hygroscopic fibers, the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21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by using the ultrafine fibers.

또한, 외층(24)을 형성하는 흡습성 섬유로서, 내층(23)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보다 흡습성이 낮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함 으로써,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 클렌징제 등의 화장액을 도포한 경우에, 화장액이 흡습성이 높은 내층(23)이나 쿠션층(20)으로 급속히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 접촉면에 화장액을 유지한 상태로 화장을 지울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렌징을 할 때에, 화장액의 지나친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내층(23)이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층(23)의 흡습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습성 섬유의 섬유 직경을 약 10 ㎛ 이하로 하고, 외층(24)의 밀도를 약 0.05~0.2 g/㎤로 함으로써, 섬유 사이의 공극을 작게 하여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된 흡습성 섬유가, 섬유 직경이 약 10 ㎛ 이하인 이른바 극세 섬유이기 때문에, 모공에 들어간 피지나 더러움을 긁어낼 수 있어, 클렌징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섬유 사이의 미세한 공극에 화장액이 들어감으로써, 피부 접촉면에 간극이 없는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기 쉬워져,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의 화장액의 유지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어, 화장액을 함침한 상태에 있어서 표면(피부 접촉면)이 피부에 흡착되는 것과 같은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시트(21)의 두께 치수(t3)를 약 0.2~0.3 ㎜, 비용적을 약 50~200 ㎥/㎏으로 함으로써, 피복 시트(21)의 보들보들함을 유지하면서, 찢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hygroscopic fibers forming the outer layer 24, polyamide fibers such as nylon 6 and nylon 66, which have lower hygroscopicity than the cellulose fibers forming the inner layer 23, are used, so that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cosmetic pad 10 When a cosmetic liquid such as a cleansing agent is applied, the cosmetic liquid is prevented from being rapidly absorbed into the highly hygroscopic inner layer 23 or cushion layer 20, and the makeup can be removed while maintaining the cosmetic liqui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have. Thereby, when cleansing,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cosmetic liquid can be suppressed. When the inner layer 23 contains hydrophobic fibers, the hygroscopicity of the inner layer 23 is lowered, so that this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 by making the fiber diameter of the hygroscopic fiber about 10 µm or less and the density of the outer layer 24 to about 0.05 to 0.2 g/cm 3, the voids between the fibers can be made small and relatively densely arranged. Since the hygroscopic fibers relatively densely arranged in this way are so-called ultrafine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about 10 µm or less, sebum and dirt entering the pores can be scraped off, thereby improving the cleansing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cosmetic liquid enters the fine pores between the fibers, a uniform liquid film without gaps is easily form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and the retention of the cosmetic liqui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adhesion to the skin is improved. , In the condition that the cosmetic liquid is impregnated, the surface (skin contact surface) can give a feeling as if it is adsorbed to the skin. In addition, by setting the thickness dimension (t3) of the covering sheet 21 to about 0.2 to 0.3 mm and a specific volume of about 50 to 200 m 3 /kg,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tear while maintaining the softness of the covering sheet 21. have.

또한, 외층(24)을 형성하는 흡습성 섬유는,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방향(S)이나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연속된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습성 섬유가,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는 것과 같은 단섬유인 경우, 사용할 때에, 이 말단부가 피부에 닿아 자극을 줄 우려가 있으나, 말단부가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를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서 연속된 섬유로 함으로써, 단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정 방향에 대한 시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피복 시트(21)의 절단변인 화장 패드(10)의 양측 가장자리(13, 14)의 내측에 양측 접합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면(12)에 있어서 양측 접합부(44)와 양단 가장자리(15, 16)에 의해 획정되는 화장액 도포 영역에는, 연속 섬유인 흡습성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hygroscopic fibers forming the outer layer 24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S) or the second direction (R)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fibers do not exist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1 and 12. It is preferably formed by continuous fibers. That is, if the hygroscopic fiber is a short fiber such as that the end of the fiber is present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11, 12, when used, this end may contact the skin and cause irritation, but the end By making continuous fibers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11 and 12 so that they do not exist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side edges 31 and 32, the tactile feel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short fibers. And improve the sheet strength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Referring to Figs. 1 and 3, in the decorative pad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side joints 44 are provided inside the both side edges 13 and 14 of the decorative pad 10, which is the cutting edge of the covering sheet 21. Since it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cosmetic liquid is applied, which is defined by the joints 44 and both ends 15 and 16 on the second surface 12, the end of the hygroscopic fiber, which is a continuous fiber, does not exist. Can be obtained.

피복 시트(21)를 구성하는 외층(24)과 내층(23)은, 기계 교락법, 구체적으로는, 유체 교락법(수류 교락법, 에어 교락법), 니들 펀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된다. 수류 교락법에 있어서 고압 수류는, 피부 접촉면측(외층(24)측)으로부터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내층(23)측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한 것에 비해, 외층(24)의 표면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며, 피복 시트(21)의 피부 접촉면을 매끄러운 감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있어서 고압 수류를 피부 접촉면측(외층(24)측) 및 피부 비접촉면측(내층(23)측)으로부터 분사해도 좋다. 이 경우, 고압 수류를 피부 비접촉면측에 분사한 후에, 피부 접촉면측에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외층(24)의 표면 강도를 높게 하고 피복 시트(21)의 피부 접촉면을 매끄러운 감촉으로 할 수 있다.The outer layer 24 and the inner layer 23 constituting the covering sheet 21 can be integrated by a mechanical entanglement method, specifically, a fluid entanglement method (water flow entanglement method, air entanglement method), and a needle punch entanglement method. , Preferably, it is integrated by a water flow interlocking method. In the water flow entanglement method, the high-pressure water flow is preferably sprayed from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the outer layer 24 side), and by this method, compared to the high-pressure water flow spraying from the inner layer 23 side, the outer layer 24 The surface strength can be made high, and the skin contact surface of the covering sheet 21 can be made a smooth touch. Further, in the water flow entanglement method, high-pressure water flow may be sprayed from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outer layer 24 side) and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inner layer 23 si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pray the high-pressure water flow on the non-skin-contacting surface side and then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thereby increasing the surface strength of the outer layer 24 and making the skin-contacting surface of the covering sheet 21 a smooth touch. I can.

내외층(23, 24) 중, 적어도 외층(24)은, 제2 방향(R)(피복 시트(21)의 폭 방향(X))을 따른 섬유 배향성을 갖는다. 여기서, 섬유 배향성이란, 외층(24)을 형성하는 섬유 중, 약 50% 이상의 섬유의 배향 방향을 말한다. 내층(23)은, 제1 방향(S) 또는 제2 방향(R)(피복 시트(21)의 폭 방향(X) 또는 길이 방향(Y))을 따른 섬유 배향성을 갖는다. Of the inner and outer layers 23 and 24, at least the outer layer 24 has fiber orienta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R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covering sheet 21). Here, the fiber orientation refers to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about 50% or more of the fibers forming the outer layer 24. The inner layer 23 has fiber orienta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S) or the second direction (R) (the width direction (X) or the length direction (Y) of the covering sheet 21).

사용자가 포켓(50)에 손가락을 넣어 화장 패드(10)를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은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화장 패드(10)를 피부에 접촉한 후, 개구 가장자리(5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화장 패드(10)를 움직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외층(24)의 섬유 배향성을 제2 방향(R)으로 하는, 즉, 개구 가장자리(51)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화장 패드(10)를 움직이는 방향과, 외층(24)의 섬유 배향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어, 사용 시에 매끄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삽입하는 방향(제1 방향(S))과, 섬유 배향 방향을 교차시킴으로써, 사용 시에 있어서의 피복 시트(21)의 찢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When a user puts a finger in the pocket 50 and uses the makeup pad 10, the finger is inserted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and the makeup pad 10 contacts the skin. After that, it is often used by moving the makeup pad 1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edge 51 extends. By setting the fiber orientation of the outer layer 24 in the second direction R, that is, in a direction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edge 51 extend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smetic pad 10 is moved and the outer layer 24 The fiber orientation direction can be matched, so that a smooth texture can be obtained in use. Further, by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first direction (S)) and the fiber orientation direction, tearing of the covering sheet 21 at the time of use can be suppressed.

내층(23)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복 시트(21)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가 제1 단부(17)에 위치하는 경우, 개구 가장자리(51)의 양단부는, 직선형부(47)에 비해 접합 강도가 높은 경사부(48)에서 접합되기 때문에, 포켓(50)에 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에, 개구 가장자리(51)가 벌어져,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접합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합부에서는 화장 패드(10)의 강성이 높아지지만, 직선형부(47)의 접합 강도를 경사부(48)에 비해 낮게 함으로써, 접합부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inner layer 23 contains heat-fusible fibers,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vering sheet 21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is located at the first end 17, both ends of the opening edge 51 are in the inclined portion 48, which has a higher bonding strength than the straight portion 47. Because of bonding, when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pocket 50, the opening edge 51 is opened, and bonding of the 1st and 3rd zones 41, 43 can be prevented from peeling. Although the rigidity of the decorative pad 10 is increased in the bonding portion, by mak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traight portion 47 lower than that of the inclined portion 48, the rigidity of the bonding portion as a whole can be suppressed from increasing.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화장 패드(10)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중간부(19)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사용 중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의 형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드(10)는, 제2 방향(R)의 양측 영역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제2 방향(R)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기 때문에,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화장 패드(10)의 쿠션성을 높일 수 있고, 양측 영역에서는, 적층된 피복 시트(21)를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강고히 접합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cosmetic pad 10 is used because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9. Mold collapse of the makeup pad 10 in the middl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in both regions in the second direction R is smaller than that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second direction R, the cosmetic pad 10 In the region,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decorative pad 10 can be improved, and in the both regions, the laminated covering sheet 21 can be firmly bonded at both joint portions 44.

<변형예><modification example>

도 4(a)는 화장 패드(10)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2와 동일한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4(b)는 화장 패드(10)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도 2와 동일한 모식적 단면도이다. 변형예 1 및 2에 따른 화장 패드(10)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그것과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Fig. 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that of Fig. 2 in Modification Example 1 of the cosmetic pad 10, and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2 in Modification Example 2 of the cosmetic pad 10 It is an enemy cross section. Since the cosmetic pad 10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s 1 and 2 has the same basic configuration as tha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는, 피복 시트(21)의 제2 단가장자리부(34)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선(60)을 따라 내층(23)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1 절곡 단부(53)를 갖는다. 제1 절곡 단부(53)는,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L3)가 약 1~5 ㎜이고, 제1 단부(17)에 위치한다.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는, 제3 절곡선(60)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에 있어서 피복 시트(21)가 접혀져 있기 때문에, 개구 가장자리(51)에 있어서의 시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 단부(53)에서는, 제1 구역(41)의 외층(24)과 제3 구역(43)의 외층(24)이 대향한 상태에서, 양측 접합부(44)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외층(24)을 형성하는 흡습성 섬유가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이고, 내층(23)을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레이온 섬유인 경우, 제1 절곡 단부(53)에 있어서의 제1 및 제3 구역(41, 4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절곡 단부(53)는, 중간부(19)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decorative pad 10 in Modification 1,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of the covering sheet 2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 (second direction R). It has a first bent end 53 that is bent with the inner layer 23 inward along 60). The first bent end 53 has a dimension L3 of about 1 to 5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is located at the first end 17.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is formed by a third bending line 60. In such decorative pad 10, since the cover sheet 21 is folded at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the sheet strength at the opening edge 51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at the first bent end 53, the outer layer 24 of the first zone 41 and the outer layer 24 of the third zone 43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both junctions 44. Therefore, when the hygroscopic fibers forming the outer layer 24 are nylon 6 or nylon 66, and the cellulose fibers forming the inner layer 23 are rayon fibers, the first and third at the first bent end 53 The bonding strength of the zones 41 and 43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ent end 53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19.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는, 피복 시트(21)의 제2 단가장자리부(34)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3 절곡선(60)을 따라 내층(23)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1 절곡 단부(53)와, 피복 시트(21)의 제1 단가장자리부(33)가, 폭 방향(X)(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제4 절곡선(61)을 따라 외층(24)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된 제2 절곡 단부(54)를 갖는다. 제1 절곡 단부(53)는 제1 단부(17)에 위치하고, 제2 절곡 단부(54)는 제2 단부(18)에 위치하고 있고, 제1 및 제2 절곡 단부(53, 54)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L3, L4)는, 각각 약 1~5 ㎜이다. 이러한 화장 패드(10)에서는, 변형예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 단부(54)에 있어서의 양측 접합부(44)에서는, 제1 구역(41)의 내층(23)과 제2 및 제3 구역(42, 43)의 내층(23)이 대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고, 내층(23)이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절곡 단부(5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절곡 단부(53, 54)는, 각각 중간부(19)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decorative pad 10 in Modification 2,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of the covering sheet 2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X (second direction R). The first bent end 53 that is bent with the inner layer 23 inward along 60, and the first end edge 33 of the covering sheet 21 are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second direction (R It has a second bent end 54 bent with the outer layer 24 inward along the fourth bent line 61 extending to )). The first bent end 53 is located at the first end 17, the second bent end 54 is located at the second end 18,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nt ends 53, 54 Dimensions (L3, L4) in (Y) are about 1 to 5 mm, respectively. In such a makeup pad 10, the effect of Modification 1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joint portion 44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ent end 54, the inner layer 23 of the first zone 41 and the inner layer 23 of the second and third zones 42, 43 face each other. When it is bonded in a state and the inner layer 23 contains heat-fusible fibers, the bonding strength at the second bent end 54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ends 53 and 54 may be configured to b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19.

<두께 치수의 측정 방법> <Measurement method of thickness dimension>

피복 시트(21)의 두께 치수는, 피복 시트(21)에 3.0 gf/㎠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두께 측정계((주)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UF-6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내층(23) 및 외층(24)의 두께 치수는, 현미경((주)기엔스 제조, 리얼 서페이스 뷰 현미경 VE-7800)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피복 시트(21), 내층(23) 및 외층(24)의 각각의 밀도는, 밀도(g/㎤)=단위 면적당 질량(g/㎡)/두께 치수(㎜)×10-3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피복 시트(21)의 비용적(㎥/㎏)은, 밀도(g/㎤)×103의 역수로서 산출한다.The thickness of the covering sheet 21 is measured using a thickness measuring system (manufactured by Daiei Chemical Seiki Seisakusho Co., Ltd., UF-60) in a state where a 3.0 gf/cm2 load is applied to the covering sheet 21. do. The thickness dimensions of the inner layer 23 and the outer layer 24 are measured using a microscope (manufactured by Giens Co., Ltd., Real Surface View Microscope VE-7800). The density of each of the covering sheet 21, the inner layer 23 and the outer layer 24 is calculated based on density (g/cm 3) = mass per unit area (g/m 2 )/thickness dimension (mm)×10 -3 Then, the specific volume (m 3 /kg) of the covering sheet 21 is calculated as the reciprocal of the density (g/cm 3 )×10 3 .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화장 패드(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For each of the constituent members constituting the disposable cosmetic pa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various known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ese kinds of articl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scope of a claim,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simply distinguish the same element, position, and the like.

이상으로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의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The disclosure regard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summarized at least in the following matters.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20)과, 쿠션층(20)을 감싸는 피복 시트(21)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피복 시트(21)는, 피부 접촉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접촉면과,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24)과,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23)을 갖고, 외층(24)은,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층(23)은, 상기 흡습성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disposable cosmetic pad 10 having a cushion layer 20 containing hydrophilic fibers and a covering sheet 21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20, the covering sheet 21 is located on the skin contacting surface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It has a non-skin contact surface, an outer layer 24 located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and an inner layer 23 located on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and the outer layer 24 is a fiber mainly composed of hygroscopic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It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inner layer 23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ntaining 50% by mass or more of cellulose fibers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hygroscopic fibers.

상기 단락 0039에 개시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vention disclosed in paragraph 0039 above may include at least the following embodiments.

(1) 상기 흡습성 섬유는, 멜트 블로운법에 의해 형성된다. (1) The hygroscopic fiber is formed by a melt blown method.

(2) 상기 흡습성 섬유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이다.(2) The hygroscopic fiber is nylon 6 or nylon 66.

(3) 피복 시트(21)의 비용적은, 50~200 ㎥/㎏이다.(3) The specific volume of the covering sheet 21 is 50 to 200 m 3 /kg.

(4) 내층(23)은, 소수성 섬유를 1~50 질량% 갖는다. (4) The inner layer 23 has 1 to 50 mass% of hydrophobic fibers.

(5) 내층(23)은, 열융착성 섬유를 1~50 질량% 갖는다.(5) The inner layer 23 has 1 to 50 mass% of heat-fusible fibers.

(6) 쿠션층(20)은, 레이온 섬유 또는 코튼 섬유를 주로 한다.(6) The cushion layer 20 mainly uses rayon fibers or cotton fibers.

(7) 피복 시트(21)는,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와,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가장자리부(33, 34)와, 폭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1 단가장자리부(33)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35)과, 폭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1 절곡선(35)과 제2 단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36)을 갖고 있고, 제1 단가장자리부(33)와 제1 절곡선(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역(41)과, 제1 절곡선(35)과 제2 절곡선(36)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역(42)과, 제2 절곡선(36)과 제2 단가장자리부(34)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역(43)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2 구역(42)은, 제1 및 제3 구역(41, 43)보다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고, 피복 시트(21)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쿠션층(20)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절곡선(35)을 따라 제1 구역(41)을 제2 구역(42)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절곡하고, 제2 절곡선(36)을 따라 제3 구역(43)을 제2 구역(42)에 적층된 제1 구역(41)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적층된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31, 32)를 각각 접합함으로써, 양측 접합부(44)와, 제2 단가장자리부(34)를 개구 가장자리(51)로 하는 포켓(50)이 획정되며, 화장 패드(10)는, 제1 절곡선(35)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17)와, 제2 절곡선(36)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18)와, 제1 및 제2 단부(17, 1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9)를 갖고,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쿠션층(20)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중간부(19)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크다.(7) The covering sheet 21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width direction (X),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width direction (X ), the first and second edge portions 33 and 34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the first bending line 35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X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edge portion 33, and the width direction It has a second bending line 36 extending to (X)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nding line 35 and the second unit edge 34, and the first bending line 33 and the first bending line (35) A first zone 41 located between, a second zone 42 located between the first bending line 35 and the second bending line 36, and the second bending line 36 It is divided into a third zone 43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edge 34, and the second zone 42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an the first and third zones 41 and 43 The dimensions of the cover sheet 21 are large, and a cushion layer 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n-skin contacting surface of the covering sheet 21, and the first section 41 is divided into the second section 42 along the first bending line 35. In the state of bending toward the non-skin contacting surface side of, and bending the third area 43 along the second bending line 36 toward the skin contacting surface of the first area 41 stacked on the second area 42, By bonding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31 and 32, respectively, the both side bonding portion 44 and the pocket 50 having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as the opening edge 51 are defined. , The makeup pad 10, a first end 17 positioned on the first bend line 35 side, a second end 18 positioned on the second bend line 36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2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20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17 and 18, having an intermediate part 19 positioned between the ends 17 and 18, is in the intermediate part 19 It's bigger than that.

(8) 쿠션층(20)은,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양측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상기 양측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다. (8) The cushion layer 20 has a mass per unit area in both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X) less than that in a central region located between the two regions.

(9) 외층(24)은, 폭 방향(X)으로 섬유 배향성을 갖는다.(9) The outer layer 24 has fiber orientation in the width direction (X).

(10) 양측 접합부(44)는, 직선형부(47)와, 직선형부(47)의 길이 방향(Y)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경사부(48)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48) 중 적어도 한쪽의 경사부(48)는, 직선형부(47)보다 접합 강도가 높으며, 포켓(50)의 개구 가장자리(51)는, 상기 한쪽의 경사부(48) 사이에서 연장된다.(10) Both side joints 44 have a straight portion 47 and a pair of inclined portions 48 position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straight portion 47, and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 At least one of the inclined portions 48 of 48) has a higher bonding strength than the straight portion 47, and the opening edge 51 of the pocket 50 extends between the one inclined portion 48.

(11) 피복 시트(21)는, 제1 및 제2 단가장자리부(33, 34) 중 적어도 한쪽의 단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있다.(11) In the covering sheet 21,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dge portions 33 and 34 is bent.

(12) 제2 단가장자리부(34)는, 내층(23)이 내측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12)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34 is bent so that the inner layer 23 is inside.

(13) 외층(24)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내층(23)의 단위 면적당 질량보다 작고, 외층(24)의 두께 치수(t2)는, 내층(23)의 두께 치수(t1)보다 작다. (13)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outer layer 24 is smaller than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inner layer 23, and the thickness dimension t2 of the outer layer 24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t1 of the inner layer 23.

10: 화장 패드 17: 제1 단부
18: 제2 단부 19: 중간부
20: 쿠션층 21: 피복 시트
23: 내층 24: 외층
50: 포켓 51: 개구 가장자리
X: 폭 방향 Y: 길이 방향
10: makeup pad 17: first end
18: second end 19: middle portion
20: cushion layer 21: covering sheet
23: inner layer 24: outer layer
50: pocket 51: opening edge
X: width direction Y: length direction

Claims (14)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을 감싸는 피복 시트를 갖는 일회용 화장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피부 접촉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접촉면과,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외층과,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내층을 갖고,
상기 외층은,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은, 상기 흡습성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 패드.
In the disposable makeup pad having a cushion layer comprising a hydrophilic fiber and a covering sheet surrounding the cushion layer,
The covering sheet has a skin-contacting surface and a non-skin contacting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an outer layer located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side, and an inner layer located on the skin non-contacting surface side,
The outer layer is formed of a fiber nonwoven fabric containing hygroscopic fibers having a fiber diameter of 10 μm or less,
The cosmetic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layer is formed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containing 50% by mass or more of cellulose-based fibers having a larger fiber diameter than the hygroscopic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섬유는 멜트 블로운법에 의해 형성되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of claim 1, wherein the hygroscopic fibers are formed by a melt blown meth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성 섬유는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인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ygroscopic fiber is nylon 6 or nylon 6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비용적은 50~200 ㎥/㎏인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ing sheet has a specific volume of 50 to 200 m 3 /k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소수성 섬유를 1~50 질량% 갖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ner layer contains 1 to 50 mass% of hydrophobic fib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열융착성 섬유를 1~50 질량% 갖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ner layer contains 1 to 50 mass% of heat-sealable fib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레이온 섬유 또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shioning layer comprises rayon fibers or cotton fib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와,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가장자리부와,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단가장자리부측에 위치하는 제1 절곡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절곡선과 상기 제2 단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곡선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단가장자리부와 상기 제1 절곡선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역과, 상기 제1 절곡선과 상기 제2 절곡선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구역과, 상기 제2 절곡선과 상기 제2 단가장자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3 구역보다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피복 시트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상기 쿠션층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1 구역을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제2 절곡선을 따라 상기 제3 구역을 상기 제2 구역에 적층된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피부 접촉면측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측가장자리부를 각각 접합함으로써, 양측 접합부와, 상기 제2 단가장자리부를 개구 가장자리로 하는 포켓이 획정되고,
상기 화장 패드는, 상기 제1 절곡선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2 절곡선측에 위치하는 제2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쿠션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상기 중간부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큰 화장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ing sheet comprise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first and second side edge por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end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 edge portion, a first ben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edge portion, and a second bending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ending line and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And a first zone located between the first short edge and the first bending line, a second zone located between the first bending line and the second bending line, and the second bending line and the second 2 It is divided into a third zone located between the edges of the unit,
The second zone has a larger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first and third zones,
The cushion lay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covering sheet,
The first zone of the first zone is bent along the first bend line toward the non-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second zone, and the third zone is stacked on the second zone along the second bend line. By joining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side edges, respectively, in a state that is bent toward the skin contact surface, a pocket having both joints and the second short edges as opening edges is defined,
The makeup pad has a first e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bent line, a second end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ent line, and an intermediat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The mass per unit area of the cushion layer at the first and second ends is larger than that at the intermediat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상기 양측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그것보다 작은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ushion layer has a mass per unit area in both regions in the width direction smaller than that in a central region located between the two regio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상기 폭 방향으로 섬유 배향성을 갖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of claim 8, wherein the outer layer has fiber orientation in the width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접합부는, 직선형부와, 상기 직선형부의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경사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경사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의 경사부는 상기 직선형부보다 접합 강도가 높으며,
상기 포켓의 상기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 한쪽의 경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화장 패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oth side joints have a straight portion and a pair of inclined portions position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portion,
One or both of the inclined portions of the pair of inclined portions have a higher bonding strength than the straight portion,
The opening edge of the pocket extends between the one inclined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단가장자리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단가장자리부가 절곡되어 있는 화장 패드. 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ver sheet has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edge portions b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가장자리부는, 상기 내층이 내측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화장 패드. The makeup pa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econd short edge portion is bent so that the inner layer is in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상기 내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보다 작고, 상기 외층의 두께 치수는 상기 내층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화장 패드.The cosmetic p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mass per unit area of the outer layer is smaller than a mass per unit area of the inner layer, and a thickness dimension of the outer layer is smaller than a thickness dimension of the inner layer.
KR1020167035454A 2014-07-30 2014-07-31 Disposable cosmetic pad KR1021693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5474 2014-07-30
JP2014155474A JP5671180B1 (en) 2014-07-30 2014-07-30 Disposable makeup pads
PCT/JP2014/070275 WO2016017017A1 (en) 2014-07-30 2014-07-31 Disposable cosmetic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32A KR20170032232A (en) 2017-03-22
KR102169389B1 true KR102169389B1 (en) 2020-10-23

Family

ID=5257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454A KR102169389B1 (en) 2014-07-30 2014-07-31 Disposable cosmetic pad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671180B1 (en)
KR (1) KR102169389B1 (en)
CN (1) CN106455788B (en)
BR (1) BR112016028659A2 (en)
MY (1) MY174450A (en)
PH (1) PH12016502351B1 (en)
TW (1) TWI661792B (en)
WO (1) WO201601701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16B1 (en) * 2016-09-05 2017-04-07 (주)코떼랑 Cosmetic pad for skin absorption
KR101946517B1 (en) * 2017-01-26 2019-02-11 (주)한라케미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er having muti-layered
WO2018231537A1 (en) * 2017-06-15 2018-12-20 Porex Corporation Integral porous fiber media with distinguishable density or fiber diameters
EP4087441A4 (en) * 2020-01-07 2023-06-07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multi-layer cosmetic pads and use thereof
KR102587425B1 (en) * 2021-05-10 2023-10-12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Beauty pad for skin of elbow or kne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5763A (en) * 1928-07-23 1931-07-21 Joseph J Cosin Powder puf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5738096Y2 (en) * 1979-12-24 1982-08-23
JPS6010488Y2 (en) * 1981-05-29 1985-04-10 ユニ・チヤ−ム株式会社 cosmetic puff
JPS60151424A (en) 1984-01-17 1985-08-09 Nissan Motor Co Ltd Fluid coupling
JP3636813B2 (en) * 1995-03-31 2005-04-0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0354515A (en) * 1999-06-15 2000-12-26 Kao Corp Cosmetic applicator
JP3067948U (en) * 1999-10-05 2000-04-21 株式会社瑞光 Disposable makeup puffs
US6391835B1 (en) * 2000-04-17 2002-05-2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Alkyl diol impregnate dry cleansing wipe
JP2003093152A (en) * 2001-09-26 2003-04-02 Lion Corp Cosmetics impregnated sheet
JP4085674B2 (en) * 2002-04-01 2008-05-14 東レ株式会社 Makeup tools
EP1568365B1 (en) * 2002-11-27 2018-04-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Warm poultice
JP2006082263A (en) * 2004-09-14 2006-03-30 Sekisui Chem Co Ltd Liquid-like substance supply base material
KR101400704B1 (en) * 2006-07-05 2014-05-29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Absorbent article
CN201167908Y (en) * 2008-01-23 2008-12-24 胡波 Cosmetic cotton
KR101768831B1 (en) * 2008-06-02 2017-08-17 다이와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Skin-covering sheet for impregnation with cosmetic preparation and face mask
CN101575767A (en) * 2009-03-06 2009-11-11 稳健实业(深圳)有限公司 Cotton pa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28659A2 (en) 2017-08-22
JP2016032486A (en) 2016-03-10
WO2016017017A1 (en) 2016-02-04
JP5671180B1 (en) 2015-02-18
TWI661792B (en) 2019-06-11
KR20170032232A (en) 2017-03-22
MY174450A (en) 2020-04-19
CN106455788A (en) 2017-02-22
TW201611752A (en) 2016-04-01
PH12016502351A1 (en) 2017-02-13
CN106455788B (en) 2020-07-31
PH12016502351B1 (en)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389B1 (en) Disposable cosmetic pad
TWI637735B (en) Absorbent article
JP510310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sheet
KR102449531B1 (en) Wiping sheet
JP3576052B2 (en) Flexible composite sheet used for disposable wearing articles
TW201000081A (en) Absorptive article
CN105266968B (en) Absorbent article
JP5972584B2 (en) Absorbent articles
JP2008264077A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JP6172808B2 (en) Absorbent article surface sheet
US20030068467A1 (en) Flexible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6257283B2 (en) Absorbent articles
JP6338850B2 (en) Absorbent articles
KR102338626B1 (en) Disposable cosmetic pad
KR101753552B1 (en) Absorbent article
JP2005163217A (en) Nonwoven fabric sheet
US20200253430A1 (en) Fabric cleansing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JP2008289659A (en) Surface sheet of absorbent article
JP6920911B2 (en) Cleaning tool
KR20200134207A (en) Absorbent article
TWI841785B (en) Absorbent articles
JP7361556B2 (en) absorbent articles
JP6080260B2 (en) Cleaning sheet
CN109310540A (en) Disposable diaper
TH32432A (en) Disposable absorben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