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340B1 - Video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Video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340B1
KR102168340B1 KR1020140054889A KR20140054889A KR102168340B1 KR 102168340 B1 KR102168340 B1 KR 102168340B1 KR 1020140054889 A KR1020140054889 A KR 1020140054889A KR 20140054889 A KR20140054889 A KR 20140054889A KR 102168340 B1 KR102168340 B1 KR 10216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ursor
transparency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8090A (en
Inventor
김형진
백종민
류승원
이건식
박미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340B1/en
Publication of KR2015012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를 포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제2 멀티미디어를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커서를 포함하는 제1 바를 생성하고, 상기 커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된 투명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ing a first multimedia and a second multimedia, executes the first multimedia in the foreground, executes the second multimedia in the background, and includes a cursor.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first bar and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to be adjus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multimedia devices according to the adjusted transparency.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VIDEO DISPLAY DEVICE}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bar)를 이용하여 복수의 멀티미디어 사이에서 멀티태스킹 환경이 변경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can change a multitasking environment among a plurality of multimedia using a bar (bar).

영상표시기기는 영상이나 문자, 도형 등을 디스플레이 하여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d displaying an image, text, or figure.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는 본래의 목적인 영상 표시 기능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진화된 영상 표시 기기가 등장하면서 영상 표시 기능 이외의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s are generally used only for a video display function,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but recently evolved video display devices have appeared,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ther than the video display function.

이러한 진화된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와 TV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만 하는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에 비해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Such an advanced video display device has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and a TV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thus provides a variety of functions that meet the user's needs compared to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that only transmits information unilaterally.

다만, 진화된 영상 표시 기기는 복수의 영상이나 복수의 사진을 표시함에 있어서, 각 영상 또는 사진을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영상 또는 사진만을 표시하거나, 각 영상 또는 사진을 하나의 화면을 분할한 복수의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r photos, the evolved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only one image or photo on one screen, or a plurality of images or photos divided into one screen. It provides only the function to display each on the screen of.

또한, 진화된 영상 표시 기기는 복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의 대응하는 동일 위치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dvanced video display device does not provide a function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creens in the sam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구체적으로, 현재 수신되는 LIVE TV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같은 위치상에서 표시하지 못하고, 각 화면 중에서 하나의 화면 만을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거나 전체 화면을 분할한 각 화면에 표시할 뿐이다.Specifically, the currently received LIVE TV screen an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cannot be displayed on one screen at the same location, and only one of each screen is displayed as a full screen or displayed on each screen divided into the entire screen. I just do i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LIVE TV 화면을 포함한 제1 멀티미디어의 시청에 방해 받지 않으면서 제2 멀티미디어를 제1 멀티미디어와 하나의 화면상에 동일한 위치에 표시하고, 바를 이용하여 각 멀티미디어 사이에서 사용자 환경을 전환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econd multimedia at the same location on one screen as the first multimedia without disturbing the viewing of the first multimedia including the LIVE TV screen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uses a bar to display the user environment between each multimedi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witch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를 포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제2 멀티미디어를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커서를 포함하는 제1 바를 생성하고, 상기 커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절된 투명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한다.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ing a first multimedia and a second multimedia, executes the first multimedia in the foreground, executes the second multimedia in the background, and includes a cur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irst bar and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to be adjus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multimedia devices according to the adjusted transparency. Includ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로 생성된 바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복수의 멀티미디어의 화면 투명도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screen transparency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by simply manipulating a bar generated by an even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화면과 오버랩 되어 사용자의 운동 화면과 대조할 수 있는 운동 모션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exercise motion guide that overlaps the user's exercise screen and can be contrasted with the user's exercise screen is provided through a video display device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복수의 멀티미디어의 화면 투명도의 선택뿐만 아니라 각 멀티미디어에서 출력되는 출력 음성 신호 및 UI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n output audio signal and UI output from each multimedia as well as selection of screen transparency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by simply manipulating a bar is provided.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제2 멀티미디어 및 직사각형 형태의 바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제1 멀티미디어, 제2 멀티미디어 및 직사각형 형태의 바가 디스플레이 된 화면이다.
도 7은 제1 바 및 제2 바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제1 멀티미디어의 투명도에 따라 각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가이드를 분할한 각 영역에 위치한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각 영역 중 각 소 영역에 위치한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더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시선 및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다른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 및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입력 음성 신호 및 입력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마이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바 생성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20은 모션 가이드 화면 및 사용자 동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
도 21은 사용자의 동작과 모션 가이드의 일치 정도에 따라 각 화면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
도 22는 남은 운동량에 기초하여 커서의 위치 또는 각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남은 운동량, 운동 어플리케이션 및 LIVE TV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이다.
도 24는 제2 멀티미디어 내에서 운동 종료 이벤트 발생 시 제2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0%로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on which a first multimedia, a second multimedia, and a rectangular bar are display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in which a first multimedia, a second multimedia, and a rectangular bar are display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reen displaying a first bar and a second bar.
8A to 8D are screens for displaying each multimedia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put audio signal of a first multimedia and a second multimedia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audio signals of a first multimedia and a second multimedia step by step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located in each area divided into a guid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audio signals of first multimedia and second multimedia in a stepwise manner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located in each small area of each area.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gaze and a camera that photographs it as an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moves a cursor.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sture operation of a user and a camera photographing the gesture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moves a cursor.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voice signal of a user and a microphone for recognizing an input voice signal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17(a)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b)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reen for displaying a bar generation selection menu as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cur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creen on which a motion guide screen and a user operation screen are displayed.
21 is a screen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is adjus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a user's motion and a motion guide.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ursor or transparency of each screen based on the amount of exercise remaining.
23A to 23C are screens for displaying a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an exercise application, and a LIVE TV screen.
24 is a screen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as 0% when an exercise end event occurs in the second multimedia.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and a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컨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is added while being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t can have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space remote contro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s can be perform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Accordingly, in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network TV, HBBTV, smart TV, LED TV, OLED TV, etc.,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nd a display unit 180. ),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Meanwhile, 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30 may include a tuner 131, a demodulation unit 132,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콘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a selected user or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electronic devic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the server and data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콘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콘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콘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콘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firmwar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and may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70, and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You can als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play a content file (movie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it to a user.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Ultra Wideband (WB), ZigBee method,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output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access the network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desired by the user. It can be downloaded into the display device 100.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enables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3)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is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for example, a camera 3 or a camcorder,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or an external input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콘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콘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콘텐트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conten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o be played back, and 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d an audio file. , Still images, connected web screens, and document files.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Can generate signals.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ingl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nd configured. In addition,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oes not include a tuner 131 and a demodulation unit 132, but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unlike FIG. 1. Video can also be received and played through (135).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콘텐트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콘텐트를 재생하는 콘텐트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divided into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o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content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콘텐트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onl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ut also an image processing device or display unit 180 such as the separated set-top box. )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구성 예를 보여준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user input unit 235,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nd a storage unit 270. ,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280.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ny one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IR module 223 may be provided.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and power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as necessary. Commands for on/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can be transmitted.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5.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291), 채널 버튼(293), 감성 모드 버튼(295) 및 LIVE 버튼(29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a power button 291, a channel button 293, an emotion mode button 295, and a LIVE button 297.

전원 버튼(291)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power button 29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on/off pow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채널 버튼(293)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channel button 293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감성 모드 버튼(295)은 후술할 감성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emotion mode button 295 may be a button for entering an emotion mode to be described later.

LIVE 버튼(297)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LIVE button 297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broadcast program.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2 will be described again.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manipul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and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43 is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formation about the back can be sensed. 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o that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be sensed.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5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controlled.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is an LED module 251 that lights up when a user input unit 235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A 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 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ower supply may be stopped, thereby reducing power wast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end and receive.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store and refer to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through which signals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ve.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Can be transmitted to (100).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또는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한다(S401).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70 obtain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or the second multimedia 12 (S401).

제1 멀티미디어(11) 및/또는 제2 멀티미디어(12)는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ultimedia 11 and/or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include all types of multimedia executabl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제1 멀티미디어(11)와 제2 멀티미디어(12)는 각각 별도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멀티미디어(11)와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하는 순서는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include separate execution screens, and the order of acquiring execution commands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is based on a user's command. Can be based.

제어부(170)는 먼저 실행된 제1 멀티미디어(11)를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에서 실행시키고, 나중에 실행된 제2 멀티미디어(12)를 백그라운드(back ground)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제1 멀티미디어(11)와 제2 멀티미디어(12)는 오버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멀티미디어(11)가 제2 멀티미디어(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에 따라 제2 멀티미디어(12)가 보이거나 보이지 않게 된다.The control unit 170 may execute the first multimedia 11 executed first on the foreground, and execute the second multimedia 12 executed later on the background (back ground). That is,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overlap. Specifically, the first multimedia 1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multimedia 12. Accordingly, the second multimedia 12 is visible or invisible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예컨대, 제2 멀티미디어(12)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11)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또는 일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first multimedia 11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r a partial screen of the display unit.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를 동시에 기 설정된 투명도 초기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Also, the control unit 170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on the display unit 180 based on a preset initial transparency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또는 제2 멀티미디어의 예로, 동영상 실행 화면, 정지영상 실행 화면, 뉴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일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LIVE TV 실행 화면,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그 이외에 모든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및 방송 신호에 의한 영상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first or second multimedia include a moving picture execution screen, a still image execution screen, a news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 schedul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 LIVE TV execution screen, a radio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all other types of application and broadcast signals. All of these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요가 어플리케이션(제1 멀티미디어)(11)과 LIVE TV 화면(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요가 어플리케이션과 LIVE TV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단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5 and 6, the control unit 170 may obtai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yoga application (first multimedia) 11 and the LIVE TV screen (second multimedia) 12.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yoga application and the LIVE TV screen on a singl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11,12)를 디스플레이부(180)의 단일 화면 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바(1)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11,12)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 후 바 생성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바 생성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획득한 경우 바(1)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11,12)를 표시한 후 이벤트를 획득한 경우 바(1)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lso,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11 and 12 on a singl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bar 1.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11, 12) on the display unit 180 and then displays a bar generation selection menu, and 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bar generation menu is obtained, the bar ( 1) can also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bar 1 when an event is acquired after displaying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11 and 12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4를 참고한다.Refer to FIG. 4 again.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커서(2)가 포함된 바(1)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할 수 있다(S403).Whe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is obtained, the control unit 170 may generate a bar 1 including the cursor 2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80 ( S403).

바(1)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를 포함한 복수의 각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bar 1 may be a basis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each of a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ing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바는 상태 바, 프로그리스 바(progress bar), 투명도 바 또는 큐 슬라이드(q-sl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bar may include a status bar, a progress bar, a transparency bar, or a q-sl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에서, 바(1)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에 표시되고 있지만, 바(1)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상단, 좌측, 우측 또는 그 외의 적절한 영역, 예컨대 모서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In FIG. 5, the bar 1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80, but the bar 1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left, right or other appropriate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for example, a corner area. have.

도 5 및 도 6에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요가 어플리케이션(제1 멀티미디어)(11)과 LIVE TV 화면(12)(제2 멀티미디어)을 디스플레이 한 후, 요가 어플리케이션(11) 및 LIVE TV 화면(12) 상에 바(1)를 표시할 수 있다. 바(1)의 중심이 요가 어플리케이션(11)과 LIVE TV 화면(12)의 경계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5 and 6, the controller 170 displays a yoga application (first multimedia) 11 and a LIVE TV screen 12 (second multimedia), and then displays the yoga application 11 and the LIVE TV screen. The bar (1) can be displayed on the (12). The center of the bar 1 may be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yoga application 11 and the LIVE TV screen 12,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바의 형태는 사각형, 오각형 및 모든 형태의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bar may include a square, a pentagon, and a polygon of all shape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1)의 형태는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의 형태는 원형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 the shape of the bar 1 may be a rectang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shape of the bar may be circ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1)에 포함된 커서(2)는 점, 선, 면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2)의 형태는 원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ursor 2 included in the bar 1 may be in the form of a point, line, or surface.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hape of the cursor 2 may be a cir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에 포함된 커서(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입력을 통해 바(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1)의 형태가 직사각형인 경우, 커서(2)는 바(1)의 직사각형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 바(1)에 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1a)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커서(2)는 바(1)의 가이드(1a)를 따라 예컨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cursor 2 included in the bar can be moved within the bar 1 through a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hape of the bar 1 is a rectangle, the cursor 2 may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le of the bar 1. For this movement, a guide 1a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r 1 may be included in the bar 1. Thus, the cursor 2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1a of the bar 1, for example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의 형태가 원형인 경우, 커서(2)는 원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bar has a circular shape, the cursor 2 may b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4를 참고한다.Refer to FIG. 4 again.

바(1)가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면, 제어부(170)는 바에 포함된 커서(2)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405).When the bar 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the control unit 17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included in the bar (S405).

커서(2)의 위치정보는 커서(2)의 위치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커서(2)의 위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위치 이동 명령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커서(2)의 위치는 카메라(도 13의 (3))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시선이동(4a)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커서(2)의 위치는 카메라(3)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도 14의 (4))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커서(2)의 위치는 마이크(도 15의 (9))를 통해 입력된 입력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커서(2)의 위치는 원격제어장치(도 16의 (200))를 통한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ursor 2.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may be determined through a position movement comman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cursor 2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gaze movement 4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Fig. 13 (3)).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cursor 2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gesture motion of the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3 (4 of FIG. 14).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input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9 of FIG. 15).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input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FIG. 16),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서의 위치정보의 초기 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커서의 위치정보의 초기 값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initial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may be arbitrarily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initial valu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manufacturer or user.

또한, 도 5에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직사각형 내에 가이드(1a)를 생성하고, 가이드(1a)의 한쪽 끝을 제1 끝단(110)으로 정의하고 다른 한쪽 끝을 제2 끝단(120)으로 정의할 때, 커서(2)의 위치정보는 제1 끝단(110)와 제2 끝단(120)로부터의 거리의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guide 1a in a rectangle, defines one end of the guide 1a as a first end 110 and the other end as a second end 120. When defin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nd 110 and the second end 120.

구체적으로, 커서(2)의 위치정보는 생성된 직선(1a) 상의 좌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끝단(110)의 좌표를 -100으로 정의하고 제2 끝단(120)의 좌표를 100으로 정의하면, 커서(2)의 좌표 또는 위치정보는 커서(2)의 위치에 따라 -100부터 100까지의 실수 값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may be coordinates on the generated straight line 1a. At this time, if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end 110 are defined as -100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end 120 are defined as 100, the coordinates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starts from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All real values up to 100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커서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획득한 커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조절한다(S407).Referring to FIG. 4 agai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is obtained, the control unit 17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S407). .

투명도는 각 멀티미디어(11,12)가 화면상에 투영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투명도는 각 멀티미디어(11,12)가 화면상에서 투명한 정도를 의미한다.Transparency may mean the degree to which each multimedia 11 and 12 is projected on the screen. That is, the transparency means the degree of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on the screen.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를 포함하는 두 개의 멀티미디어(11,12)를 실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복수의 멀티미디어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the case of displaying a screen for executing two multimedia (11, 12) including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has been described, but even when three or more multimedia are executed,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각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는 모두 합하여 100%가 될 수 있다. 또한, 각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모두 합하여 100% 이상이 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total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can be 100%. Also, the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may be calculated independently, and may be 100% or more in to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서(2)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A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is as follows.

제어부(170)는 커서(2)로부터 제1 끝단(110)까지의 거리와 제2 끝단(120)까지의 거리의 비를 계산하고, 계산한 거리의 비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lculates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to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to the second end 120,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can be adjusted.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1a)의 가운데 지점(1b)에 위치를 기준으로 커서(2)가 제1 끝단(110)을 향해 이동될수록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는 50%로부터 0%로 감소되고, 커서(2)가 제2 끝단(120)을 향해 이동될수록 제1 멀티디디어(11)의 투명도는 50%로부터 100%로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의 투명도가 0%일 때,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1 멀티미디어만 디스플레이되고, 제2 멀티미디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의 투명도가 100%일 때,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1 멀티미디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제2 멀티미디어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6,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is from 50% to 0% as the cursor 2 moves toward the first end 110 based on the position at the center point 1b of the guide 1a. Is reduced to, and as the cursor 2 moves toward the second end 120,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device 11 may increase from 50% to 100%.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is 0%, only the first multimedi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multimedia is not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is 100%, the first multimedia may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only the second multimedia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2)가 직사각형 바(1)의 가운데 지점(1b)에 위치하여 각 끝단(110,120)까지의 거리의 비가 50:5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각각 50%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는 100%로 유지한 채,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커서(2)의 위치에 따라 도 8a에서 50%로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when the cursor 2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1b of the rectangular bar 1 and the ratio of the distances to the ends 110 and 120 is 50:50, th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to 50%, respectively.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at 100%,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to 50% in FIG. 8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또한,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2)가 직사각형 바(1) 상에서 커서(2)로부터 제1 끝단(110)까지의 거리 및 제2 끝단(120)까지의 거리의 비가 40:6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40%로 계산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60%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B,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to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to the second end 120 when the cursor 2 is on the rectangular bar 1 is In the case of 40:60, the controller 170 may calculate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as 40%, and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to 60%.

또한,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바(1) 상에서 제1 끝단(110)와 제2 끝단으로부터 커서(2)까지의 거리의 비가 30:7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30%로 조절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70%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C,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nd 110 and the second end to the cursor 2 on the rectangular bar 1 is 30:70, the control unit 170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may be adjusted to 30%, an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be adjusted to 7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1)의 형태가 직사각형 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끝단(110)와 제2 끝단(120)의 가운데 지점(1b)을 정의하고, 가운데 지점(1b)에 대한 위치정보를 0으로 계산하여, 커서의 위치정보가 -100과 0 사이의 값을 갖는 위치를 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 0과 100사이의 값을 갖는 위치를 제2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201)으로 정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shape of the bar 1 is rectangular, the control unit 170 defines a middle point 1b between the first end 110 and the second end 120, and the middle point 1b ) Is calculated as 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has a value between -100 and 0 in the first multimedia correspondence area 1101, and the location has a value between 0 and 100 in the second multimedia correspondence. It can be defined as the region 1201.

커서(2)가 제1 끝단(110)과 가운데 지점(1b) 사이의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50%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커서(2)가 제2 끝단과 가운데 지점 사이의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50% 이상으로 계산할 수 있다.When the cursor 2 is located in the area between the first end 110 and the middle point 1b,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to 50% or less. When the cursor 2 is positioned in the area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middle point, the control unit 170 may calculate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to be 50% or more.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가 50% 이하인 경우 제1 멀티미디어가 제2 멀티미디어보다 잘 보이게 된다.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가 50% 이상인 경우 제2 멀티미디어가 제1 멀티미디어보다 잘 보이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is 50% or less, the first multimedia is more visible than the second multimedia.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is 50% or more, the second multimedia is more visible than the first multimedia.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가 100%로 계산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가 0%로 계산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를 포그라운드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멀티미디어(12)를 백그라운드 상에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제2 멀티미디어(11)은 실행은 되지만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디스플레이되지는 않거나 제2 멀티미디어(11)은 실행은 되지만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디스플레이되지만 포그라운드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멀티미디어(11)에 의해 제2 멀티미디어(12)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is calculated as 100% an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is calculated as 0%,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first multimedia 11 on the foreground, and 2 It is possible to run the multimedia 12 in the background. That is, the second multimedia 11 is executed but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r the second multimedia 11 is executed b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but is displayed on the foreground. The second multimedia 12 may be made invisible by the multimedia 11.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바(1) 상에서 제1 끝단(110)와 제2 끝단(120)로부터 커서(2)까지의 거리의 비가 0:10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0%로 계산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100%로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D,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nd 110 and the second end 120 to the cursor 2 on the rectangular bar 1 is 0:100, the controller 170 May calculate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as 0% and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as 100%.

다시 도 4를 살펴본다.Look again at FIG. 4.

각 멀티미디어(11,12)의 투명도를 결정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조절된 투명도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또는 제2 멀티미디어(12)를 디스플레이부(180)로 디스플레이 한다(S409).When the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is determined,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first multimedia 11 and/or the second multimedia 12 on the display unit 180 based on the adjusted transparency ( S409).

하나의 멀티미디어의 투명도가 100%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본래 해당 멀티미디어만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하나의 멀티미디어의 투명도가 0%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는 해당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180)상에 표시하지 않거나 백그라운드(back ground)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transparency of one multimedia is 100%, the display 180 may originally display only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When the transparency of one multimedia is 0%, it may mean that the display unit 180 does not display the multimedia on the display unit 180 or displays it on a background (back ground).

이하 도 5 및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각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put audio signal of each multimedia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9 to 12.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한다(S901).The controller 170 obtain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S901).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커서(2)가 포함된 바(1)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할 수 있다(S903).Whe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is obtained, the control unit 170 may generate a bar 1 including the cursor 2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80 ( S903).

제어부(170)는 각 멀티미디어(11,12)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제1 바와 각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제2 바(1c)를 동시에 표시하고 각각 제어할 수도 있으나, 도 9 및 도 10을 통해서는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하나의 바 및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170 may simultaneously display and control the first bar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and the second bar 1c for controll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each multimedia, respectively, but FIGS. 9 and 10 Throughout, one bar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ice sig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ice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바(1)가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면, 제어부(170)는 바(1)에 포함된 커서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905).When the bar 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the controller 17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included in the bar 1 (S905).

커서의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획득한 커서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S907).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is obtaine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utput of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S907).

도 10a 내지 도 10c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0A to 10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put audio signal of a first multimedia and a second multimedia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도 11은 가이드를 분할한 영역에 위치한 커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더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further controlling output audio signals of first multimedia and second multimedia based on a cursor position located in a divided region of a guide.

도 12는 각 대응영역 중 각 소 영역에 위치한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의 출력 음성 신호를 더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audio signals of first multimedia and second multimedia in stages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located in each small area of each corresponding area.

하나의 예로, 도 10a을 참조하면, 커서(2)와 제1 끝단(110)로부터의 거리 및 커서(2)와 제2 끝단(120)로부터 거리의 비가 40:6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와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의 크기를 60:40의 비율로 결정하여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0A,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second end 120 is 40:60,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e size of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12 in a ratio of 60:40, and outputs the output audio signals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can do.

다른 하나의 예로, 도 10b를 참조하면, 커서(2)와 제1 끝단(110)로부터의 거리 및 커서(2)와 제2 끝단(120)로부터 거리의 비가 30:7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와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의 크기를 70:30의 비율로 결정하여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0B,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second end 120 is 30:70, the controller 170 ) Determines the size of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12 in a ratio of 70:30, and transmits the output audio signals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Can be printed.

다른 하나의 예로, 도 10c를 참조하면, 커서(2)와 제1 끝단(110)로부터의 거리 및 커서(2)와 제2 끝단(120)로부터 거리의 비가 0:10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와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의 크기를 100:0의 비율로 결정하여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0C,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second end 120 is 0:100, the controller 170 ) May output the output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12 in a ratio of 100:0. That is,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only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11.

커서(2)의 위치가 제1 끝단(110)과 가이드의 가운데 지점(1b) 사이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만을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110 and the center point 1b of the guide, the control unit 170 may output only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11 to the audio output unit.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커서(2)가 제1 끝단(110)과 가운데 지점(1b) 사이의 영역인 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cursor 2 is located in a first multimedia correspondence area 1101 that is an area between the first end 110 and the middle point 1b, the controller 170 Only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ultimedia 11 may be outp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9를 살펴본다.Look at Figure 9 again.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결정하면, 제어부(170)는 제어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S909).Upon determining the output audio signals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the control unit 170 outputs the output audio signals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control (S909).

상기에서는 커서(2)의 위치정보에 따른 출력 음성 신호 제어 및 투명도 제어만을 설명하였지만, 커서(2)의 위치정보에 따라 출력 음성 신호와 투명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lthough only the control of the output voice signal and the transparency contro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output voice signal and the transparency can be simultaneous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멀티미디어(11,12)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제1 바(1) 및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제2 바(1c)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바(1) 및 제2 바(1c)의 각 커서(2)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각 멀티미디어(11,12)의 투명도 및 출력 음성 신호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first bar 1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and a second bar 1c for controlling the output audio signal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nd the transparency and output audio signals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cursor 2 of the first bar 1 and the second bar 1c. .

또한, 예를 들어, 커서(2)와 제1 끝단(110)로부터의 거리 및 커서(2)와 제2 끝단(120)로부터의 거리의 비가 30:70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와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의 크기를 70:30의 비율로 결정하여 각 멀티미디어(11,12)의 출력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제1 멀티미디어(11)의 투명도를 30%로 결정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70%로 조절하고, 제1 멀티미디어(11)를 제2 멀티미디어(12) 보다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를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보다 더 크게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first end 110 and the distance from the cursor 2 and the second end 120 is 30:70, the control unit 170 is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ultimedia 11 and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12 at a ratio of 70:30, the output audio signals of each multimedia 11 and 12 ar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is determined to be 30%,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12 is adjusted to 70%, the first multimedia 11 is displayed more clearly than the second multimedia 12, and 1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multimedia 11 may be larger than the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12.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을 복수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여, 커서(2)의 위치가 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 중에서 제1 끝단(110)에 가까운 소 영역(1101a)에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의 출력 음성 신호 전부를 출력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 중에서 일부 출력 음성 신호만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first multimedia correspondence region 1101 into a plurality of small regio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is at the first end 110 of the first multimedia correspondence region 1101. In the case of a nearby small area 1101a,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all of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multimedia 11 and may output only some of the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multimedia 12.

도 12를 참조하면, 커서(2)가 요가 어플리케이션 대응 영역(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의 중간 지점에서 전체 바(1)의 가운데 지점(1b) 사이의 소 영역(1101b)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요가 어플리케이션(제1 멀티미디어)(11)에서 출력되는 출력 음성 신호 전부를 출력하고 LIVE TV 어플리케이션(제2 멀티미디어)(12)의 출력 음성 신호 중에서 효과음만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cursor 2 is located in the small area 1101b between the middle point 1b of the entire bar 1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yoga application response area (first multimedia response area) 1101 , The controller 170 may output all of the output audio signals output from the yoga application (first multimedia) 11 and output only sound effects from the output audio signals of the LIVE TV application (second multimedia) 12.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른 출력 음성 신호 제어 및 투명도 제어만을 설명하였지만,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각 멀티미디어로의 입력 명령 전달을 제한할 수도 있다.Although only the control of the output voice signal and the transparency contro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transmission of input commands to each multimedia may be limi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커서(2)가 제1 멀티미디어 대응 영역(1101)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에 해당되는 입력신호만을 획득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2 멀티미디어(12)에 해당되는 입력신호가 획득되어도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When the cursor 2 is located in the first multimedia correspondence area 1101, the controller 170 acquires only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multimedia 11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Even if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is acquire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not be per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6.

커서(2)는 바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의 형태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The cursor 2 may be included in the bar, and a moving direction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r.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바의 형태가 직사각형(1)으로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경우에 있어서 커서(2)가 바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3 to 16 describe the case where the cursor 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when the shape of the bar is displayed as a rectangle 1 at the bottom of the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서(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커서(2)는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ursor 2 may be mo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or may be moved based on an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Further, the cursor 2 may be moved based on an event occurring in the video display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시선 및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gaze and a camera that photographs it as an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moves a cursor.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된 카메라(3)는 사용자의 시선 이동(4a)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사용자의 시선 이동(4a)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시선 이동(4a)에 기초하여 커서(2)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amera 3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photograph the user's gaze movement 4a. The photographed user's gaze movement 4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70 may move the cursor 2 based on the user’s gaze movement 4a. I can.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시선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4a)하는 경우, 카메라(3)는 사용자의 시선 이동(4a)을 촬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이동(4a)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커서(2)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user's gaze moves from right to left (4a), the camera 3 photographs the user's gaze movement 4a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 unit 170 may obtain the user's gaze movement 4a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50 and move the cursor 2 from right to left based on this.

도 14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다른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 및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sture operation of a user and a camera photographing the gesture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that moves a cursor.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된 카메라(3)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4)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4)에 기초하여 커서(2)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amera 3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photograph the user's gesture action 4. The photographed user's gesture action 4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and the controller 170 may move the cursor 2 based on the user's gesture action 4.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팔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메라(3)는 이를 촬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4)을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커서(2)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when a user moves an arm from right to left, the camera 3 photographs the pi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user's gesture operation (4)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50. ) Can be obtained and based on this, the cursor 2 can be moved from right to left.

도 15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음성 및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crophone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and voice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된 마이크(9)는 사용자의 입력 음성 신호(10)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a microphone 9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may acquire a user's input audio signal 10.

사용자의 입력 음성 신호(10)와 이에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조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user's input voice signal 10 and a moving direction of a cursor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during manufactu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획득된 사용자의 입력 음성 신호(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 음성 신호(10)에 기초하여 커서(2)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acquired user's input voice signal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cursor 2 based on the user's input voice signal 10. Can be moved.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왼쪽으로"(입력 음성 신호)(10)라고 말하는 경우, 마이크(9)는 "왼쪽으로"(10) 명령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왼쪽으로"(10) 입력 음성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커서(2)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when the user says "to the left" (input voice signal) 10, the microphone 9 recognizes the command "to the left" 10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 unit 170 may obtain an input voice signal "to the left" 10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150 and move the cursor 2 from right to left based on this.

도 16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외부 입력 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s another example of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moving a cursor.

도 16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커서(2)의 이동 명령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된 커서의 이동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커서의 이동 명령 입력에 기초하여 커서(2)를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obtain a movement command input of the cursor 2. The input cursor movement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70 may move the cursor 2 based on the cursor movement command input.

이하 도 17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18.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17(a)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한다(S1701).Referring to FIG. 17(a), the controller 170 obtain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S1701).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11,12)의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를 실행시키고 실행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커서(2)를 포함하는 바(1)를 생성한다(S1702).Whe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11, 12) is obtained, the controller 170 executes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and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and the cursor (2) It generates a bar (1) including (S1702).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바(1)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다.17(b)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b)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실행 명령을 획득한다(S1703).Referring to FIG. 17B, the control unit 170 obtain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S1703).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11,12)의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를 실행시키고 실행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바 생성 여부의 입력을 받는 바 생성 선택 메뉴(6)를 생성하고 표시한다(S1704).When an execution command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11 and 12 is obtained, the controller 170 executes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and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 bar is generated. A bar generation selection menu 6 for receiving an input is generated and displayed (S1704).

바 생성 선택 메뉴의 하나의 예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bar creation selection menu is shown in FIG. 18.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바 생성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18 is a screen for displaying a bar generation selection menu as a method of generating a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 상단에는 알파벳 "G"모양의 아이콘 메뉴(바 생성 선택 메뉴)(6)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8A, an icon menu (bar creation selection menu) 6 in the shape of an alphabet "G" i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of the display unit 180.

요가 어플리케이션(11)과 모션가이드(12)의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요가 어플리케이션(11)과 모션가이드(12)를 실행시킴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알파벳 "G"모양의 아이콘 메뉴(6)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When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yoga application 11 and the motion guide 12 is obtained, the control unit 170 executes the yoga application 11 and the motion guide 12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also displays the letter "G". The icon menu 6 of can be displayed.

도 17를 참조하면, 바 생성 선택 메뉴(6)에 대한 선택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커서(2)를 포함하는 바(1)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디스플레이 한다(S1705).Referring to FIG. 17, when a selection for the bar generation selection menu 6 is obtained, the controller 170 generates a bar 1 including a cursor 2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80 (S1705). .

도 18(b)를 참조하면, "G"모양의 아이콘 메뉴(6)의 선택 입력이 획득된 후, 제어부(170)는 커서(2)를 포함하는 바(1)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B, after a selection input of the "G"-shaped icon menu 6 is obtained, 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 bar 1 including the cursor 2.

이하 도 19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ving a cursor based on an event occurring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4.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서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cur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서는 운동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멀티미디어의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고, 사용자 동작 화면을 상기 제2 멀티미디어의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FIG. 19, an exercise appl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multimedia, and a user motion scree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econd multimedi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9를 참고하면, 운동 어플리케이션(13)이 디스플레이 되는 중 사용자 동작 화면(14)에 대한 실행 명령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동작 화면(14)을 실행시키고 커서(2)를 포함하는 바(1)를 디스플레이 한다(S1901).Referring to FIG. 19,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user motion screen 14 is obtained while the exercise application 13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70 executes the user motion screen 14 and includes the cursor 2. The bar 1 is displayed (S1901).

사용자 동작 화면(14)은 카메라(3)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한다. 카메라(3)는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고, 제어부(170)는 촬영된 사용자의 동작 화면(14)을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motion screen 14 includes a motion of a user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3. The camera 3 photographs the user's motion, and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photographed user's motion screen 14 on the display 180.

운동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는 모션 가이드(motion guide)(13)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가이드(13) 화면은 운동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ercise application 13 may include a motion guide 13 that assists the user's exercise. The motion guide 13 screen may include an operation indicated by an exercise application.

도 20은 모션 가이드 화면 및 사용자 동작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20 is a screen on which a motion guide screen and a user operation screen are displayed.

도 20을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카메라(3)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동작 화면(14)을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하고 모션 가이드 화면(13) 및 커서(2)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1)를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20,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the user's motion screen 14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3 on the display unit 180 and includes a motion guide screen 13 and a cursor 2. Indicate the shape bar (1).

모션 가이드 화면(13) 및 사용자 동작 화면(14)의 투명도는 기 설정된 초기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초기값의 투명도에 따라 모션 가이드 화면(13) 및 사용자 동작 화면(14)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ransparency of the motion guide screen 13 and the user operation screen 14 may have preset initial values.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motion guide screen 13 and the user operation screen 14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a preset initial value.

다시 도 19를 참고한다.Refer to FIG. 19 again.

모션 가이드 화면(13), 사용자 동작 화면(14) 및 커서(2)를 포함하는 바(1)가 디스플레이 되면, 제어부(170)는 카메라(3)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동작과 모션 가이드(13)의 동작이 일치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커서(2)의 위치를 조절한다(S1903).When the bar 1 including the motion guide screen 13, the user motion screen 14 and the cursor 2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motion guide 13 and the user's mo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3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is adjusted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operation of) coincides (S1903).

커서(2)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각 화면의 투명도가 조절되면, 제어부(170)는 각 화면의 투명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 화면(14) 및 모션 가이드 화면(13)을 디스플레이 한다(S1905).When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is adjusted or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is adjusted, the controller 170 displays the user operation screen 14 and the motion guide screen 13 based on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S1905).

도 21은 사용자의 동작과 모션 가이드의 일치 정도에 따라 각 화면의 투명도가 결정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다.21 is a screen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is determin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a user's motion and a motion guide.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의 동작 화면(14)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모션 가이드 화면(13)의 동작과 사용자의 동작이 일치하는 정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Referring to FIG. 21,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n operation screen 14 of a user. The controller 170 calculates in real time the degree to which the motion of the motion guide screen 13 matches the motion of the user.

제어부(170)는 모션 가이드 동작과 사용자의 동작이 일치하는 정도를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서(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커서(2)의 위치가 조절되면, 제어부(170)는 조절된 커서(2)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 화면(14) 및/또는 모션 가이드 화면(13)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based on a result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coincidence between the motion guide motion and the user's mo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is adjusted,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operation screen 14 and/or the motion guide screen 13 based on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cursor 2.

또한, 제어부(170)는 모션 가이드 화면(13) 동작과 사용자의 동작 화면(14)의 동작이 일치하는 정도를 계산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모션 가이드 화면(13) 및/또는 사용자 동작 화면(14)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alculates the degree to which the motion of the motion guide screen 13 and the motion of the user's motion screen 14 match, and based on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motion guide screen 13 and/or the user motion screen 14 )'S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모션 가이드 화면(13)의 동작과 사용자의 동작 화면(14)의 동작이 일치할수록, 제어부(170)는 모션 가이드 화면(13)의 투명도를 100%부터 0% 사이의 값 중에서 일치 정도에 반비례하여 점점 더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the motion of the motion guide screen 13 matches the motion of the user's motion screen 14, the control unit 17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motion guide screen 13 from 100% to 0%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atching degree. It can be determined with increasingly smaller values.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사용자 동작 화면(14)의 투명도를 0%부터 100% 사이의 값 중에서 일치 정도에 비례하여 점점 더 큰 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21,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the transparency of the user operation screen 14 to be increasingly larger in proportion to the matching degree among values between 0% and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남은 운동량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djusting and display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

도 22는 남은 운동량에 기초하여 커서의 위치 또는 각 화면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ursor or transparency of each screen based on a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제1 멀티미디어(11), 제2 멀티미디어(12) 및 커서(2)를 포함하는 바(1)가 디스플레이 되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을 계산한다(S2201).When the bar 1 including the first multimedia 11, the second multimedia 12 and the cursor 2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70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S2201).

남은 운동량(15)은 제어부(170)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나, 제1 또는 제2 멀티미디어(12)에 의해 생성된 것을 제어부(170)가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may b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70, but the controller 170 may acquire what is generated by the first or second multimedia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3a 내지 도 23c는 남은 운동량, 운동 어플리케이션(제2 멀티미디어) 및 LIVE TV 화면(제1 멀티미디어)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이다.23A to 23C are screens for displaying an amount of exercise remaining, an exercise application (second multimedia), and a LIVE TV screen (first multimedia).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계산된 남은 운동량(15)을 운동 어플리케이션(12)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80)로 표시할 수 있다.23A to 23C,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on the display 180 at the same time as the exercise application 12.

도 22를 참조하면, 남은 운동량(15)이 계산되면, 제어부(170)는 계산된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조절한다(S2203).Referring to FIG. 22, when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is calculated, the controller 17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calculated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S2203). ).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을 % 단위로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 단위의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각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alculate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in% units, and adjust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based on the calculated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in% units.

제어부(170)는 계산된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 모두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 중 남은 운동량(15)과 관련된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both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multimedia related to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among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또한,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커서(2)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시킨 커서(2)의 위치에 따라 남은 운동량(15)과 관련된 운동 어플리케이션(1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이동시킨 커서(2)의 위치에 따라 각 화면(11,1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3A to 23C, the controller 170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cursor 2 based on the remaining momentum 15, and the remaining momentum 1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cursor 2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12 related to) may be adjusted, or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11 and 1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cursor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이 감소함에 따라 남은 운동량(15)에 비례하여 제1 멀티미디어(11)와 제2 멀티미디어(12) 중 남은 운동량(15)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이외의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점점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3A to 23C, the controller 170 decreases the amount of exercise remaining among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in proportion to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as the amount of exercise 15 decreases. The transparency of multimedia other than multimedia related to 15) can be gradually increa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이 100%인 경우 운동 어플리케이션(12)의 투명도를 0%로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A,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is 100%,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12 to 0%.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이 70%인 경우 운동 어플리케이션(12)의 투명도를 30%로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B,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is 70%,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12 to 30%.

도 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남은 운동량(15)이 60%인 경우 운동 어플리케이션(12)의 투명도를 40%로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3C,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exercise 15 is 60%, the control unit 170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12 to 40%.

각 화면(11,12)의 투명도가 조절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조절된 각 화면(11,12)의 투명도에 기초하여 제1 멀티미디어(11) 및 제2 멀티미디어(12)을 디스플레이 한다(S2205).When the transparency of each screen 11 and 12 is adjusted,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first multimedia 11 and the second multimedia 12 based on the adjusted transparency of each screen 11 and 12 ( S2205).

도 23a 내지 도 2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실시간으로 계산된 남은 운동량(15)을 디스플레이 하면서 남은 운동량(15)에 기초하여 조절된 투명도에 따라 운동 어플리케이션(제2 멀티미디어)(12) 및 LIVE TV 화면(제1 멀티미디어)(1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23A to 23C,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calculated in real time, and the exercise application (second multimedia) 12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adjusted based on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15. And a LIVE TV screen (first multimedia) 11 may be displayed.

도 24는 제2 멀티미디어 내에서 운동 종료 이벤트 발생 시 제2 멀티미디어의 투명도를 100%로 결정하여 표시하는 화면이다.24 is a screen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transparency of the second multimedia as 100% when an exercise end event occurs in the second multimedia.

도 24를 참고하면, 운동 어플리케이션(제2 멀티미디어)(12) 내에서 남은 운동량(15)이 0%가 되거나 운동 종료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운동 어플리케이션(제2 멀티미디어)(12)의 투명도를 100%로 결정하고, 운동 어플리케이션(12)을 투명도 0%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when the amount of exercise 15 remaining in the exercise application (second multimedia) 12 becomes 0% or an exercise end event is detecte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exercise application (second multimedia). The transparency of (12) is determined to be 100%, and the exercise application 12 can be displayed with a transparency of 0% or executed in the fore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laims (20)

제1 멀티미디어 및 제2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를 포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제2 멀티미디어를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시키고, 커서를 포함하는 바를 생성하고, 상기 바 내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의 제1 투명도 및 제1 출력 음성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바 내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멀티미디어의 제2 투명도 및 제2 출력 음성 신호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멀티미디어를 상기 제1 투명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멀티미디어를 상기 제2 투명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멀티미디어의 상기 제1 출력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멀티미디어의 상기 제2 출력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카메라, 마이크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획득한 원격 제어 장치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바 내에서의 상기 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Execute a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ing the first multimedia and the second multimedia, execute the first multimedia in the foreground, execute the second multimedia in the background, generate a bar including a cursor, and create a bar in the bar. A first transparency and a first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are determined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and a second transparency and a second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are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 the bar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first multimedia with the first transparency and displays the second multimedia with the second transparency;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first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and outputting the second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And
At least one of a camera, microphone, or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user's gaze direc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the user's gestur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the user's voice command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or an input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quir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video display device that determines a position of the cursor in a b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내에서 왼쪽에 상기 커서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멀티미디어의 상기 제2 출력 음성 신호의 제2 볼륨 또는 상기 제2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가이드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내에서 오른쪽에 상기 커서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멀티미디어의 상기 제1 출력 음성 신호의 제1 볼륨 또는 상기 제1 투명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ursor, when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guide centering on the center point of the guide, the second volume or the second transparency of the second output audio signal of the second multimedia is controlled step by step and,
A video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 first volume or the first transparency of the first output audio signal of the first multimedia step by step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centering on a center point of the gu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입력 명령을 차단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blocks an input command for each multimedia based on a position of a cur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는
운동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남은 운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투명도를 높이거나, 상기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남은 운동량이 0%가 되거나 운동 종료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투명도를 최대 값으로 결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es an exercise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as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of the exercise application decreases, or determining the transparency of the exercise application as a maximum value as the remaining exercise amount of the exercise application becomes 0% or an exercise end event occurs,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는
상기 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작 화면 및 모션 가이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동작 화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제1 동작과 상기 모션 가이드 화면에 포함된 제2 동작 사이의 동작 일치도를 산출하고, 상기 동작 일치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 화면 또는 상기 모션 가이드 화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영상 표시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motion image of the user,
The plurality of multimedia
Including a user motion screen and a motion guide screen including the motion image,
The control unit
Calculate a motion match degree between the user's first motion included in the user motion screen and the second motion included in the motion guide screen, and at least one of the user motion screen or the motion guide screen based on the motion match degree A video display device that determines the ideal transpar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4889A 2014-05-08 2014-05-08 Video display device KR102168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9A KR102168340B1 (en) 2014-05-08 2014-05-08 Video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89A KR102168340B1 (en) 2014-05-08 2014-05-08 Video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90A KR20150128090A (en) 2015-11-18
KR102168340B1 true KR102168340B1 (en) 2020-10-22

Family

ID=5483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89A KR102168340B1 (en) 2014-05-08 2014-05-08 Video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3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2113B (en) * 2019-12-18 2022-06-07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24519403A (en) * 2021-04-27 2024-05-10 ディスプレイ アンド ライフ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Display device suppor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593A (en) * 2011-10-25 2013-05-16 Jvc Kenwood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18B1 (en) * 2007-12-28 2009-02-0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KR102058994B1 (en) * 2012-10-11 2019-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593A (en) * 2011-10-25 2013-05-16 Jvc Kenwood Corp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90A (en)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1106242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21343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4510320A (en) Context user interface
US201601705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5763920B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7001971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209354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90097529A (en) A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67289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68340B1 (en) Video display device
KR102475927B1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scrap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95377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67194B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0323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303286B1 (en) Termi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1968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U202220174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04566B1 (en)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24005500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KR102330475B1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38145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