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53B1 -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53B1
KR102167953B1 KR1020200098657A KR20200098657A KR102167953B1 KR 102167953 B1 KR102167953 B1 KR 102167953B1 KR 1020200098657 A KR1020200098657 A KR 1020200098657A KR 20200098657 A KR20200098657 A KR 20200098657A KR 102167953 B1 KR102167953 B1 KR 10216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ing
loading
pickup vehicle
frame
load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조영균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20009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273Movable tailboards for vehicles comprising non-movable sideboards, e.g. pick-up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픽업차량의 적재실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하면서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캠핑시 숙박이나 식사공간,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실(10)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실(1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베이스픽싱부(100); 상기 베이스픽싱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틀프레임(200);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면적의 캠핑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CAMPING EXTENSION SYSTEM FOR LOADING COMPARTMENT OF PICKUP VEHICLE}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픽업차량의 적재실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하면서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캠핑시 숙박공간이나 식사공간,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산업 및 경제의 발전은 각종 레저인구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으며, 특히 주 5일 근무제의 보편화는 주말 레저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갈수록 늘어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콘도, 호텔 등의 숙박시설은 특히 휴가철에는 수요에 대비한 공급이 적어서 예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숙박비용의 부담이 많고, 특히 한적한 곳으로의 여행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번잡한 숙박촌을 꺼려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텐트는 예로부터 많은 수요를 가져오고 있었으나, 차량보급 증가와 함께 텐트를 설치할 장소적인 한계와 텐트 내에서의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해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레일러형 캠핑카의 보급이 대중화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높은 인구밀도와 공간의 한계에 의하여 이러한 트레일러형 캠핑카의 이용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에 캠핑장비를 적재하여 일정장소로 이동한 후, 상기 적재실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폴을 이용하여 그늘막이나 텐트를 설치하여 캠핑을 즐기고 있으나 상기 픽업차량 적재실의 활용도가 낮아 상기 적재실을 활용하여 캠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347호의 이동 정비용 하드탑이 장착된 다목적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이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픽업차량의 적재실 상단에 메인틀프레임을 설치시, 적재실에 선 가공된 후크장착홀에 장착되는 베이스픽싱부를 이용하여 픽업차량의 손상이 훼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틀프레임에 캠핑보드부를 연결되게 설치하여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캠핑시 숙박공간이나 식사공간,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실(10)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실(1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베이스픽싱부(100); 상기 베이스픽싱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틀프레임(200);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면적의 캠핑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실(1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00)와, 상기 적재실(10)의 내부 하측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후방을 개방된 테일게이트(20)의 상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캠핑보드부(300)는, 상기 적재실(10)의 이용자가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탁부(310)와, 상기 식탁부(310)의 펼침상태보다 낮은 높이에서 펼침구동되어 상기 식탁부(310)의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실(10)의 하측에 위치한 픽업차량의 골조프레임에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실(10)의 내측에 탑승시 픽업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되게 노출시켜 탑승자가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노출형발판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실 상단에 메인틀프레임의 설치시 적재실에 선 가공된 후크장착홀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틀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어 픽업차량의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캠팽시 숙박공간이나 식사공간,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벽고정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고정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부가 조인트장착부의 직립프레임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부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부재가 회전안내유닛을 매개로 절첩식탁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와 조인트장착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가 적재실의 내측면 방향으로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보드부의 식탁부와 착석부가 펼쳐져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수납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수납바디구의 설치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노출형발판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노출형발판유닛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구가 회전폴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프레임에 텐트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에 파라솔의 기둥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벽고정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고정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부가 조인트장착부의 직립프레임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부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부재가 회전안내유닛을 매개로 절첩식탁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와 조인트장착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가 적재실의 내측면 방향으로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보드부의 식탁부와 착석부가 펼쳐져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수납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와 수납바디구의 설치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노출형발판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노출형발판유닛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구가 회전폴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프레임에 텐트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에 파라솔의 기둥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은 픽업차량의 적재실(10) 내측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되는 다수개의 베이스픽싱부(100)와,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적재실(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틀프레임(200)과,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면적의 캠핑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은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캠핑시 숙박이나 식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픽업차량의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하여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시 픽업차량의 적재실을 숙박공간이나 식사공간, 아이들의 놀이공간등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는 픽업차량의 적재실(10)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실(10)의 상측방향을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생산이 완료되어 보급된 기성 픽업차량의 적재실 내부 측벽면이나 탑승실방향의 전방벽면에는 와이어로프(미도시)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후크걸이구(h)가 상기 후크장착홀(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는 기성 픽업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된 상기 후크걸이구(h)를 탈거하여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후크장착홀(11)에 고정되게 장착하여 픽업차량의 적재실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는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를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픽싱부(100)는 상기 적재실 내부 측벽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볼트구(미도시)를 매개로 장착되는 측벽고정편(110)과, 상기 적재실의 전방벽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고정볼트구(미도시)를 매개로 장착되는 전방고정편(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측벽고정편(110)은 상기 후크장착홀(11)에 장착되는 로워장착편(111)과 상기 로워장착편(111)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밀착연장편(112)과 상기 밀착연장편(112)의 단부에서 상기 로워장착편(11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어퍼장착편(113)이 일체로 이루어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픽싱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은 상기 적재실(10)의 측벽면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210)과, 상기 측방프레임(210)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0)로 구성되어 평면상 "ㄷ"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는 상기 적재실(10)의 내측에 캠핑장비나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별도의 와이어로프를 걸어 상기 캠핑장비나 화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와이어후크(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적재실(10) 후방의 테일게이트(20)방향을 향하는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이용객이 상기 적재실(10)로 승차시 손을 파지하여 손쉽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하는 승차손잡이(24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캠핑보드부(300)는 일정면적을 갖는 상태로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캠핑보드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캠핑보드부(300)를 상기 적재실(10)의 측벽면 방향으로 접어 상기 적재실(10) 내부에서의 활동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캠핑보드부(3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방향으로 펼쳐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식탁이나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캠핑보드부(300)는 상기 적재실(10)의 이용자가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탁부(310)와, 상기 식탁부(310)의 펼침상태보다 낮은 높이에서 펼침구동되어 상기 식탁부(310)의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식탁부(310)는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의 연결프레임(220)에 상기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식탁부(310)를 상기 연결프레임(220)에 장착시 사용되는 상기 조인트장착부(400)는 상기 연결프레임(220)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식탁부(310)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출편(321)의 삽입을 위한 승하강가이드공(4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직립프레임(410)과, 상기 직립프레임(410)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상기 적재실(10)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승하강가이드공(411)과 연통되는 무빙공(421)이 형성된 거치편(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빙공(421)의 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딩공(4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식탁부(3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식탁부(310)의 걸림돌출편(321)이 상기 승하강가이드공(411)의 길이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식탁부(310)를 좌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식탁부(310)의 걸림돌출편(321)이 상기 승하강가이드공(411)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홀딩공(422)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식탁부(310)의 높이가 높아져 상기 착석부(360)에 착석한 상태에서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프레임(410)의 길이방향 상단은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는 "∩" 형상의 보강프레임(250)에 아치프레임(260)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식탁부(310)는 상기 걸림돌출편(321)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메인식탁(320)과, 상기 메인식탁(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펼침조작시 상기 메인식탁(320)의 길이방향에 연이어 위치되고, 접힙조작시 상기 메인식탁(320)의 내측방향으로 수용되는 절첩식탁(330)과, 상기 절첩식탁(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지지플레이트(500)에 지지되되 접힙조작시 상기 절첩식탁(33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서포터부재(34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서포터부재(340)는 상기 절첩식탁(330)에 회전안내유닛(35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다리(341)와, 상기 상부다리(3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접힘조작시 상기 상부다리(34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접힘다리(342)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유닛(350)은 상기 절첩식탁(330)의 내부 상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으로 핀이동공(352)이 형성된 마운팅브라켓(351)과, 상기 핀이동공(352)에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림핀(353)과, 상기 걸림핀(35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54)과, 상기 마운팅브라켓(3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다리(341)의 길이방향 상측에 연결되되 상기 걸림핀(353)의 삽입을 위한 걸이홈(356)이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브라켓(3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다리(341)와 접힘다리(34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위에는 별도의 락킹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접힘다리(342)를 펼침한 상태에서 접힘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착석부(360)는 상기 식탁부(310)의 펼침상태보다 낮은 높이에서 펼침구동되어 상기 식탁부(310)의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식탁부(310)가 상기 직립프레임(410)의 상측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걸림돌출편(321)이 상기 홀딩공(422)에 수용되어 상기 식탁부(310)가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착석부(360)를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착석부(360)는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의 측방프레임(210)에 상기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착석부(360)를 상기 측방프레임(210)에 장착시 사용되는 상기 조인트장착부(400)는 상기 측방프레임(210)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브라켓(450)과, 상기 고정브라켓(450)에 장착되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장공(461)이 형성된 연결브라켓(460)과, 상기 장공(461)에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이스틱(470)과, 상기 걸이스틱(47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480)와, 상기 연결브라켓(4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착석부(360)에 연결되되 상기 걸이스틱(470)의 삽입을 위한 인서트홈(491)이 외주연에 일전간격으로 형성된 조인트브라켓(4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캠핑보드부(300)의 식탁부(310)와 착석부(36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적재실(1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실(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요철구조의 바닥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넬(30)이 상기 적재실(10)의 바닥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넬(30)의 상측에는 수납함(600)과 지지플레이트(5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한 쌍이 상기 적재실(10)의 폭방향 중앙부를 기준을 양측으로 분할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의 하부에는 상기 수납함(6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수용실(511)과, 상기 적재실(10)의 측벽면 방향에 형성되는 보조수납실(512)를 갖는 수납바디구(51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00)는 상기 수납바디구(510)에 힌지체결구(미부호)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함(600)은 상기 한 쌍의 수용실(511)에 각각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함(600)의 상측에는 내부개폐를 위한 덮개패널(6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수납함(600)을 상기 테일게이트(20)의 상측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덮개패널(61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 연이어 위치됨에 따라 적재실의 이용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와 덮개패널(610)의 상측에는 캠핑시 구비하게 되는 탄성바닥매트(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적재실(10)의 외부하측에는 탑승자의 발판역할을 수행하는 선택노출형발판유닛(700)이 설치되어 상기 적재실(10)의 내측으로 탑승시 용이한 탑승을 가능토록 한다.
즉, 상기 선택노출형발판유닛(700)은 상기 적재실(10)의 하측에 위치한 픽업차량의 골조프레임에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실(10)의 내측에 탑승시 픽업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되게 노출시켜 탑승자가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선택노출형발판유닛(700)은 픽업차량의 골조프레임에 장착되는 골조마운팅부(710)와, 상기 골조마운팅부(710)의 일측면에 장착되되 상하길이방향으로 관통홀(미부호)이 형성된 가이드베어링구(715)와, 상기 가이드베어링구(715)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폴(720)과, 상기 회전폴(720)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는 발판부재(725)와, 상기 가이드베어링구(715)와 발판부재(725)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폴(7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730)과, 상기 회전폴(720)의 상단에 픽싱유닛(736)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되 외주연에 돌출가이드봉(737)이 형성된 회전가이드구(735)와, 상기 골조마운팅부(710)의 상측에 일정내경을 갖도록 장착되되 상기 회전폴(7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가이드봉(73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장홈(741)이 형성된 스핀제한부재(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장홈(74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돌출가이드봉(737)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딩홈(742)이 상기 안내장홈(741)과 수직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발판부재(725)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압축스프링(730)이 압축되면서 상기 돌출가이드봉(737)이 일측의 홀딩홈에서 상기 안내장홈(741)으로 이탈되고, 그 후 상기 발판부재(72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가이드봉(737)이 상기 안내장홈(741)을 따라 이동되어 타측의 홀딩홈(742)에 수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발판부재(725)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는 상기 보강프레임(250)으로부터 상기 테일게이트(20)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의 거치프레임(750)과, 상기 보강프레임(250)과 거치프레임(750)을 상호 연결하는 거더프레임(76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250)과 거치프레임(750)의 상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장착되게 설치되는 텐트부재(77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적재실(10)에서의 야외활동시 상기 텐트부재(770)의 양측에 노출된 인스톨구(771)를 잡아당겨 상기 적재실(10)의 측면방향으로 내려 상기 와이어후크(230)에 연결하게 되면 상기 적재실(10)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면서 그늘막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사이의 이격공간에 파라솔의 기둥부(800)를 삽입하여 상기 적재실(10) 내부에서의 휴식시 그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재실(10)을 아이들의 놀이공간은 물론 숙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적재실 20: 테일게이트
30: 바닥판넬 100: 베이스픽싱부
110: 측벽고정편 120: 전방고정편
200: 메인틀프레임 210: 측방프레임
220: 연결프레임 230: 와이어후크
240: 승차손잡이 250: 보강프레임
260: 아치프레임 300: 캠핑보드부
310: 식탁부 320: 메인식탁
330: 절첩식탁 340: 서포터부재
350: 회전안내유닛 360: 착석부
400: 조인트장착부 410: 직립프레임
420: 거치편 450: 고정브라켓
460: 연결브라켓 470: 걸이스틱
480: 스프링부재 490: 조인트브라켓
500: 지지플레이트 510: 수납바디구
600: 수납함 610: 덮개패널
700: 선택노출형발판유닛 710: 골조마운팅부
715: 가이드베어링구 720: 회전폴
725: 발판부재 730: 압축스프링
735: 회전가이드구 740: 스핀제한부재
750: 거치프레임 760: 거더프레임
770: 텐트부재 800: 기둥부

Claims (4)

  1. 픽업차량의 적재실(10)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장착홀(11)에 길이방향 일측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실(10)의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베이스픽싱부(100);
    상기 베이스픽싱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틀프레임(200);
    상기 메인틀프레임(200)에 조인트장착부(40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적재실(10)의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면적의 캠핑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실(1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00)와, 상기 적재실(10)의 내부 하측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적재실(10)의 후방을 개방된 테일게이트(20)의 상측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보드부(300)는, 상기 적재실(10)의 이용자가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탁부(310)와, 상기 식탁부(310)의 펼침상태 보다 낮은 높이에서 펼침구동되어 상기 식탁부(310)의 이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착석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4. 제1항 또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실(10)의 하측에 위치한 픽업차량의 골조프레임에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실(10)의 내측에 탑승시 픽업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되게 노출시켜 탑승자가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노출형발판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KR1020200098657A 2020-08-06 2020-08-06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KR10216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57A KR102167953B1 (ko) 2020-08-06 2020-08-06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57A KR102167953B1 (ko) 2020-08-06 2020-08-06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953B1 true KR102167953B1 (ko) 2020-10-20

Family

ID=7302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57A KR102167953B1 (ko) 2020-08-06 2020-08-06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916B1 (ko) 2021-08-25 2022-05-20 김문재 실내 공간 확장형 캠핑 픽업 차량
KR102537957B1 (ko) * 2022-01-20 2023-05-30 최종섭 차량용 운반 구조체
KR20230096792A (ko) 2021-12-23 2023-06-30 김몽룡 차량용 루프 팝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7493B1 (en) * 2005-10-28 2009-03-03 Geneva Group Of Companies, Inc. Pick up truck load rack
WO2015100395A1 (en) * 2013-12-27 2015-07-02 Puchkoff Jerome Utility rack and rail system for vehicle
US9079548B1 (en) * 2015-03-12 2015-07-14 Nicholas J. Singer Truck trunk
KR101559870B1 (ko) * 2014-09-04 2015-10-26 엄태건 해치백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7493B1 (en) * 2005-10-28 2009-03-03 Geneva Group Of Companies, Inc. Pick up truck load rack
WO2015100395A1 (en) * 2013-12-27 2015-07-02 Puchkoff Jerome Utility rack and rail system for vehicle
KR101559870B1 (ko) * 2014-09-04 2015-10-26 엄태건 해치백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장비
US9079548B1 (en) * 2015-03-12 2015-07-14 Nicholas J. Singer Truck tru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916B1 (ko) 2021-08-25 2022-05-20 김문재 실내 공간 확장형 캠핑 픽업 차량
KR20230096792A (ko) 2021-12-23 2023-06-30 김몽룡 차량용 루프 팝업 시스템
KR102537957B1 (ko) * 2022-01-20 2023-05-30 최종섭 차량용 운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953B1 (ko) 픽업차량의 적재실용 캠핑확장시스템
KR101260794B1 (ko) 트레일러형 캠핑카
US20090102231A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expandable living area
US11498601B2 (en) Wagon for carrying children
CA2273452A1 (en) Foldout recreational vehicle
US2152713A (en) Automobile trailer
KR101551560B1 (ko) 한옥형 캠핑 트레일러
DE202008006923U1 (de) Zusammenklappbarer Strandkorb
KR102197713B1 (ko)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US3785693A (en) Portable sleeping compartment
US3763607A (en) Foldable camp shelter
CN213487953U (zh) 一种翻转结构的沙发床
KR100815518B1 (ko) 캠핑카용 접이식 침대
KR20110115682A (ko) 낚시용 좌대
KR102358082B1 (ko) 캠핑용 카라반
KR102124464B1 (ko) 가변형 시트가 설치된 캠핑카용 캐빈
KR102222802B1 (ko) 픽업차량용 어닝장치
KR20190127341A (ko) 다용도 침대 및 그 프레임
WO2007042042A1 (en) A self-supported foldable tent unit and a method of mounting such in a trailer
KR20220001075A (ko) 차량용 차박텐트
CN213487962U (zh) 翻转沙发床的限位机构
CN220031804U (zh) 一种宿营车
KR101532912B1 (ko) 텐트 트레일러
KR102549053B1 (ko) 테이블이 구비된 캠핑 장치
KR102588646B1 (ko) 휴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