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778B1 -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778B1
KR102167778B1 KR1020130149968A KR20130149968A KR102167778B1 KR 102167778 B1 KR102167778 B1 KR 102167778B1 KR 1020130149968 A KR1020130149968 A KR 1020130149968A KR 20130149968 A KR20130149968 A KR 20130149968A KR 102167778 B1 KR102167778 B1 KR 10216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ignal
actuator
ics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974A (ko
Inventor
박태봉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7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974A/ko
Priority to KR1020200132233A priority patent/KR102305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H-Bridge형 전류 구동 IC를 이용하여 고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고전류 제어용 구동 IC를 설계할 필요 없는 손떨림 방지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에 설치되어, 손떨림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 IC 선택부 및 다수의 구동 IC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 선택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구동시킬 구동 IC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 IC가 액추에이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OIS actuator using high current}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H-Bridge형 전류 구동 IC를 이용하여 고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고전류 제어용 구동 IC를 설계할 필요 없는 손떨림 방지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고,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또한,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조되는데, 구동원이 설치되어 복수의 렌즈 각각을 이동시켜 그 상대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이때, 사람에 의해 촬영이 되는 경우에 손떨림에 의해 사진이 흔들려 촬영되는 블러링(blur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장치는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손떨림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장치로서, 종래의 손떨림 장치는 주로 디지털 카메라에서 구현되었다.
이는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초소형의 카메라 모듈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대형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형 카메라 모듈에서도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수준의 고품질의 이미지를 요구하게 되면서 모바일용 소형 카메라 모듈에 손떨림 보정 장치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카메라는 기존 AF(Auto Focusing) 카메라에 손떨림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손떨림 발생 시에 카메라의 틸팅을 보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OIS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손떨림 보정은 자이로 센서를 통해 카메라 움직임의 각 축의 각속도를 각각 검출한 후, 검출된 각속도 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액추에이터를 반대 방향으로 각각 구동하여 렌즈나 프리즘 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켜 떨림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에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양 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양 방향 전류 구동에 있어 최대 전류가 ±60mA 밖에 되지 않아 고전류 구동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액추에이터 구동 시 위, 아래 방향으로 구동하였기 때문에 최대 전류가 ±60mA인 구동 IC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근래에는 보다 정확한 보정을 위해 고전류 구동에 의한 액추에이터 제어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60mA 이상의 구동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전류 구동을 위한 새로운 IC의 제작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IC의 제작은 상당한 연구 개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며, 고전력을 출력해야 하므로, 전력 공급원의 전력 소모를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H-Bridge형 전류 구동 IC를 이용하여 고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고전류 제어용 구동 IC를 설계할 필요 없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에 설치되어, 손떨림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 IC 선택부 및 다수의 구동 IC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 선택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구동시킬 구동 IC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 IC가 액추에이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상기 구동 IC 정보에 해당하는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공통 라인을 통해 상기 다수의 구동 IC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에 해당하는 선택 신호인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로 I2C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I2C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선택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양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각각 양의 구동 신호와 음극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구동 IC로부터 출력되는 양의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양의 구동 신호와 음이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음의 구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가 다수의 구동 IC로 구성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구동 IC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수의 구동 IC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구동 IC가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구동 IC가 구동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어, 액추에이터에 대한 고전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고전류 출력을 위한 별도의 구동 IC를 제작하지 않고, 종래 저전류 출력의 IC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에 대한 고전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고전류 출력 IC 제작 시 소요되는 연구 개발 비용 및 시간의 증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IC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공급원의 전력 소모 증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전류를 이용한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구동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은 감지부(10), 제어부(20), 액추에이터 구동부(30) 및 액추에이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감지부(10)의 감지 신호(Ssen)에 따라 제어 신호(Scon)를 출력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를 동작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는 상기 제어 신호(Scon)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액추에이터(40)로 구동 신호(Sd)를 출력하여,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상기 구동 신호(Sd)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감지부(10)는 카메라에 설치되어 손떨림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 신호(Ssen)를 출력한다.
한편, 일례로, 상기 감지부(10)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으며, 카메라의 x축, y축, z축의 각 축에 설치되는 x축 자이로 센서, y축 자이로 센서, z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0)는 카메라 움직임의 각 축의 각속도를 각각 검출한 후, 검출된 각속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 신호(Ssen)는 각속도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0)의 구성이 상기 자이로 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 혹은 카메라에 구비되어, 손떨림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지 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10)가 자이로 센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Ssen)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감지 신호(Ssen)에 응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로 상기 제어 신호(Scon)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감지 신호(Ssen)로부터 각속도 및 각속도가 발생한 축에 대한 정보 획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감지된 각속도를 상쇄시킬 만큼 반대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Scon)를 출력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각속도가 발생한 축에 대한 정보(축 정보)는 해당 감지부(10)가 각속도를 전송하는 경우, 자신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부(20)가 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감지부(10)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20)가 어느 전송 경로를 통해 각속도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하여, 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Scon)는 보정 정보 및 구동 I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 정보는 상기 감지 신호(Ssen)로부터 획득된 각속도와 동일한 크기이며, 방향은 역방향인 각속도이고, 상기 구동 IC 정보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의 IC 식별 정보이다.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Scon)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어 신호(Scon)에 응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40)로 상기 구동 신호(Sd)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신호(Sd)는 양의 구동 신호와 음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며, 전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는 구동 IC 선택부(31) 및 다수의 구동 IC(33)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 IC 선택부(31) 및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는 제 1 구동 IC(구동 IC1)와 제 1 전송 라인(L1)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구동 IC(구동 IC2)와 제 2 전송 라인(L2)에 의해 연결되고, 이와 동일하게 제 3 내지 제 N 구동 IC(구동 IC3 ~ 구동 ICN)와 제 3 내지 제 N 전송 라인(L3 ~ LN)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Scon)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Scon)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33) 중 상기 구동 IC 정보에 해당하는 구동 IC(33)로 선택 신호(Ssel)를 전송하며, 상기 선택 신호(Ssel)는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 IC 선택부(31)와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ON 동작 또는 OFF 동작만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구동 IC(33) 중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로부터 상기 선택 신호(Ssel)를 수신한 구동 IC는 구동 신호(Sd)를 상기 액추에이터(40)로 출력하며, 상기 구동 신호(Sd)에 응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40)가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선택 신호(Ssel)는 보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선택 신호(Ssel)를 수신한 구동 IC가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 신호(Sd)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상기 구동 신호(Sd)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각속도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광 경로를 카메라의 흔들림에 대응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촬상 소자에서의 피사체의 결상 위치가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보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는 구동 IC 선택부(31) 및 다수의 구동 IC(33)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공통 라인(Lcom)을 통해 상기 구동 IC 선택부(31)에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Ssel)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33) 모두로 전송되므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출력된 선택 신호(Ssel)가 자신에 해당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31)가 출력하는 선택 신호(Ssel)는 보정 정보 및 구동 IC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상기 선택 신호(Ssel)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에 해당하는 구동 IC 정보인 경우, 보정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Sd)를 상기 액추에이터(40)로 출력하며, 상기 구동 신호(Sd)에 응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40)가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들은 각각 상기 구동 신호로 양의 구동 신호(Sd1+, Sd2+, Sd3+, …, SdN+)와 음의 구동 신호(Sd1-, Sd2-, Sd3-, …, SdN-)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양의 구동 신호(Sd1+, Sd2+, Sd3+, …, SdN+)는 서로 합해져 증폭되며, 증폭된 양의 구동 신호(Sd+)가 상기 액추에이터(40)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음의 구동 신호(Sd1-, Sd2-, Sd3-, …, SdN-)는 서로 합해져 증폭되며, 증폭된 음의 구동 신호(Sd-)가 상기 액추에이터(40)로 출력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는 증폭된 양의 구동 신호(Sd+)와 증폭된 음의 구동 신호(Sd-)를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양의 구동 신호(Sd+)와 상기 음의 구동 신호(Sd-)의 증폭되는 정도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31)에 의해 선택되는 구동 IC(33)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는 I2C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IC 선택부(31)와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도 I2C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 IC 선택부(31)는 I2C 버스가 탑재된 I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동 IC(33)는 양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수의 IC(33)는 각각 최대 전류가 ±60mA일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최대 전류가 ±60mA인 하나의 양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경우 고전류에 의한 구동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구동 IC를 선택하여, 액추에이터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고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최대 전류가 ±60mA인 구동 IC를 사용하는 경우에 할 수 없었던 고전류가 필요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30)로부터 상기 구동 신호(Sd)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Sd)에 응답하여 구동하며, x축 액추에이터, y축 액추에이터 및 z축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신호(Sd)는 상기 선택 신호(Ssel)에 포함된 보정 신호에 따라 출력되며, 상기 보정 신호는 상기 감지 신호(Ssen)로부터 획득된 각속도와 동일한 크기이며, 방향은 역방향인 각속도이므로, 이러한 역방향 각속도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40)를 구동함으로써, 렌즈나 프리즘 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켜 떨림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감지부 20 : 제어부
30 : 액추에이터 구동부 31 : 구동 IC 선택부
33 : 구동 IC 40 : 액추에이터

Claims (16)

  1. 카메라에 설치되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 IC 선택부 및 다수의 구동 IC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 선택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출력하고자 하는 구동 신호를 증폭하는데 이용할 구동 IC의 개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구동시킬 구동 IC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 IC가 액추에이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각 구동 IC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송라인을 통해 선택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합해져 증폭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구동 IC 각각의 최대 전류 이상으로 출력이 가능한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상기 구동 IC 정보에 해당하는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공통 라인을 통해 상기 다수의 구동 IC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에 해당하는 선택 신호인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로 I2C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I2C 통신 방식으로 선택 신호를 전송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양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인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각각 양의 구동 신호와 음극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구동 IC로부터 출력되는 양의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양의 구동 신호와 음이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음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9.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구동 IC 선택부 및 다수의 구동 IC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IC 선택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에 출력하고자 하는 구동 신호를 증폭하는데 이용할 구동 IC의 개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구동시킬 구동 IC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 IC가 액추에이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각 구동 IC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전송라인을 통해 선택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합해져 증폭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구동 IC 각각의 최대 전류 이상으로 출력이 가능한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구동 IC 중 상기 구동 IC 정보에 해당하는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공통 라인을 통해 상기 다수의 구동 IC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에 해당하는 선택 신호인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상기 선택 신호에 포함된 구동 IC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선택 신호가 자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로 I2C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 IC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구동 IC에 I2C 통신 방식으로 선택 신호를 전송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양방향 H-Bridge형 전류 구동 IC인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동 IC는 각각 양의 구동 신호와 음극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구동 IC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구동 IC로부터 출력되는 양의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양의 구동 신호와 음이 구동 신호끼리 합쳐져 증폭된 음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KR1020130149968A 2013-12-04 2013-12-04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KR10216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68A KR102167778B1 (ko) 2013-12-04 2013-12-04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KR1020200132233A KR102305044B1 (ko) 2013-12-04 2020-10-13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68A KR102167778B1 (ko) 2013-12-04 2013-12-04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33A Division KR102305044B1 (ko) 2013-12-04 2020-10-13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74A KR20150064974A (ko) 2015-06-12
KR102167778B1 true KR102167778B1 (ko) 2020-10-20

Family

ID=5350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968A KR102167778B1 (ko) 2013-12-04 2013-12-04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7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706A (ja) 2004-05-20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振れ補正用レンズの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336A (en) * 1990-02-26 1990-10-30 Motorola, Inc. High voltage bridge interface
JPH11308521A (ja) * 1998-04-20 1999-11-05 Sony Corp 光学式手振れ補正装置
KR101770856B1 (ko) * 2010-02-26 2017-09-05 캠브리지 메카트로닉스 리미티드 Sma 액추에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706A (ja) 2004-05-20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手振れ補正用レンズ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74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1879B (zh)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US20120127591A1 (en) Interchangeable lens,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JP2008048013A (ja) カメラ本体及びそれを有するカメラシステム
US8941759B2 (en) Interchangeable lens and digital camera including controller for stopping zoom lens at one of discrete predetermined stop positions
US8384786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ibration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41019B2 (ja) 防振用シフトレンズを備えたレンズ装置
US11445115B2 (en) Image capturing and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image stabilization control by moving an image sensor
KR102305044B1 (ko)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KR102167778B1 (ko) 손떨림 보정 액추에이터 고전류 제어 시스템
JP7352891B2 (ja) 撮像装置
JP2011107520A (ja) コンバータ、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
US20210243378A1 (en) Imaging device
US10567631B2 (en) Lens unit,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JP4679236B2 (ja) 手ぶれ検出装置および撮影装置
JP6554658B2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ボディ
US11968452B2 (en) Imaging apparatus
US9581788B2 (en) Lens system and image cap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609268B2 (en) Control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9086530B2 (en) Optical equipment
US8699869B2 (en) Optical equipment
JP2017068195A (ja) 合焦制御装置、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2004252486A (ja) 撮像装置における像ぶれ補正装置
US956034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pickup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5184565A (ja) 制御方法および光学機器
WO2020013200A1 (ja) 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ボデ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