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640B1 -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 Google Patents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640B1
KR102167640B1 KR1020180095740A KR20180095740A KR102167640B1 KR 102167640 B1 KR102167640 B1 KR 102167640B1 KR 1020180095740 A KR1020180095740 A KR 1020180095740A KR 20180095740 A KR20180095740 A KR 20180095740A KR 102167640 B1 KR102167640 B1 KR 10216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eactor coolant
flow
reactor
gu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266A (ko
Inventor
김경련
박민수
김웅수
허재영
이규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640B1/ko
Priority to PL19191296T priority patent/PL3614396T3/pl
Priority to EP19191296.3A priority patent/EP3614396B1/en
Publication of KR2020002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1Mechanical simul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32Reactor-coolant flow measuring or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관한 것이다. 이 중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원자로냉각재가 흐를 때 압력강하를 유도하는 유도판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여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 압력강하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계측된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A method for simulating the flow of a reactor coolant in reactor core and a core simplification model for applying to the model}
본 발명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은, 특히 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를 단순화시켜 모델링함으로써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 현상을 모사할 수 있도록 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자로용기의 노심부에서 발생되는 복잡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현상을 모사하기 위해서 핵연료집합체 등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축소하여 축소 모형을 제작하고, 노심부에서 발생되는 압력강화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실험을 위한 상기 축소모형은 노심부의 핵연료집합체를 설치할 공간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원자로용기, 내부구조물, 주변기기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 축소모형에 의한 원자로냉각재 유동현상 실험장치는 원자로 노심부를 동일하게 축소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고, 원자로용기와 주변장치의 제작과 설치에 막대한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2644호(등록번호)
본 발명은, 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를 단순화시켜 모델링함으로써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 현상을 모사할 수 있도록 한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원자로냉각재가 흐를 때 압력강하를 유도하는 유도판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여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 압력강하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계측된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사각형의 상기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에서 모사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서로 인접 배치하여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는,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를,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원판형태의 상기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모델링하여, 상기 원자로냉각재가 상기 유도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측된 상기 압력강하 값이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유도판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측된 상기 압력강하 값이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유도판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판의 사이 간격은 서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벽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과 상기 최외측 유도판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은,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압력 강하 유도용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모사된 단위핵연료집합체는 서로 인접 배치하여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유도판의 간격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은,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있어서,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를,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압력 강하 유도용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모델링하며, 상기 원자로냉각재가 상기 유도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과 상기 최외측 유도판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유동하는 원자로냉각재의 유동현상(예를 들어 유선으로 유동하는 영역에서의 흐름 내지 재순환 영역에서의 냉각재의 흐름)을 단순화된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험을 통해 도출되는 원자로냉각재의 유동 압력강하 값 내지 원자로냉각재의 유동혼합율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안전해석, 예를 들어 비냉각재상실사고에 대비하여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확보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현상에 자료는, 진보된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새로운 노형인 고속로, 또는 중소형원자로의 노형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도1은 원자로 노심부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냉각재 유동 모사 방법의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단순화모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의 B-B선 단면도,
도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단순화모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원자로 노심부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냉각재 유동 모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단순화모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원자로 노심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원자로 노심부는, 원자로용기(30) 내에 수백 개의 핵연료집합체(90)가 수용되고, 원자로용기(30)의 상부에는 상부헤드(31)가 결합된다. 또한, 원자로용기(30)의 상부 측에는 제어봉구동장치(4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봉구동장치(40)에는 제어봉집합체의 연장축(41)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원자로용기(30)의 중간 측에는 원자로냉각재가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입구노즐(50) 및 출구노즐(60) 마련된다.
상기 유입노즐(50)로 유입된 원자로냉각재는 원자로용기(30)의 하측으로 유동하고, 유량조절테(70)를 거쳐 핵연료집합체(9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유동한 후 출구노즐(60)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원자로냉각재는 노심부의 열을 증기발생기(미도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노심부의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원자로용기(30)의 내부에는 노심(200)을 감싸는 노심지지배럴(100)이 마련된다. 상기 노심(200)은 수백 개의 작은 격자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된 작은 사각형의 모양을 채널이라고 정의한다. 핵연료집합체(90)는 상기 작은 사각형 모양의 채널에 각각 삽입된다. 도1 및 도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핵연료집합체(90)는 수백 개의 연료봉(93)이 지지격자(94)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상기 핵연료집합체(90)는, 그 상부에 상단고정체(91)가 마련되고, 하부에 하단고정체(92)가 마련되어 노심부의 다른 구조물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수백 개의 핵연료집합체(90)를 포함하는 복잡한 노심부를 원자로 냉각재의 유동현상을 파악하고자 그대로 모방하여 실험용 설비를 제작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복잡합 노심부를 단순화시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 현상을 모사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S1),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S2), 및 유동시험에 의해 계측된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S1)는, 원자로냉각재가 흐를 때 압력강하를 유도하는 유도판(20)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도판(20)에는 복수의 관통공(23)이 형성된다. 원자로냉각재는 상기 관통공(23)을 통해 흐르고 관통공(2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부딪혀 압력 강하를 일으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S1)는,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와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는, 실제 노심(200)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90)를 외벽(10)과 유도판(20)으로 모사한다.
상기 외벽(10)은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벽(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유도판(2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판(20)은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판(2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채널형성단계는, 상기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에서 모사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서로 인접 배치하여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는 덕트 형상으로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면 도2의 노심(200)에서 형성되는 채널과 유사한 형태의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S2)는,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 압력 강하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원자로 냉각재의 유동시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원자로냉각재는 원자로용기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4개의 입구노즐(50)을 통해 원자로용기(30)로 유입된다. 상기 원자로냉각재는 상기 원자로용기(30)의 하향유로, 노심영역, 원자로출구 측의 출구노즐(60)을 흐르면서 압력이 강하하고 혼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험은 원자로용기(30) 내부에 냉각재의 압력 강하, 원자로냉각재의 혼합율, 원자로냉각재의 유동분포량을 측정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측정 내지 계측을 위해서 펌프, 열교환기, 계측기(유량계, 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의 장비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원자로냉각재가 단위핵연료집합체의 내부를 흐를 때 상기 유도판(20)에 부딪혀 압력 강하를 일으키는데, 상기 유도판(20)에 복수의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단위핵연료집합체에서 압력 데이터를 확보하여야하는 지점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시험에 의해 계측된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3)는, 본 실험 방법에 의해 획득된 압력강하 값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실제 압력강하에 관한 설계값과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기준값은 실제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재의 압력강하 설계값과 동일한 값으로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오차 범위는, 예컨대 기준값 대비 ±5%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 내지 유동혼합율의 오차가 현저히 커져서 정확한 값을 예측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S4)는, 상기 유동시험에 의해 계측된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 값이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S4)는, 상기 관통공(23)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유도판(20)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공(23)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는 줄어들고, 반대로 상기 관통공(23)의 개수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단순화모델이 수정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가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도판(2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는 증가하고, 반대로 상기 유도판(20)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키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단위핵연료집합체는 하나의 채널에 대응하므로, 각 채널에 유입되는 원자로냉각재의 유동분포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노심부에 핵연료집합체가 250개가 설치된다면,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를 노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250개를 인접 배치하여 각 채널에 유입되는 원자로냉각재의 유동분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유동분포량이란 노심부 하단에서 각 채널로 유입되는 원자로냉각재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료냉각재의 유동혼합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유동혼합율은 노심부의 하단으로 흘러들어온 원자로냉각재가 상기 채널로 유입되기 전에 혼합되는 정도와, 각 채널을 빠져나온 원자로냉각재가 노심부의 상측에서 혼합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로냉각재가 단위핵연료집합체의 각 채널로 유입되기 전에 혼합되는 정도와,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를 거치 후 노심부의 상측에서 혼합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단순화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순화모델 형성 단계(S1)는,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 전체를 일체로 단순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4의 실시예가 각 핵연료집합체를 단위핵연료집합체로 모델화하고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를 복수 개 인접 배치하는 것과 비교된다.
구체적으로,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S1)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10)을 마련하고,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원판 형태의 유도판(20)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모델링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델에 따르면, 원자로냉각재는 상기 유도판(20) 사이에서 유동한다.
상기 유도판(2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20)에 형성되는 관통공(23)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외벽(10)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21,22)과 그 최외측 유도판(21,22)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20)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들(20)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D2보다 크게 형성된 D1은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안정화시킨다. 즉, 최하부에 결합된 최외측유도판(22)을 통과한 원자로냉각재는 본격적으로 노심부 측으로 유입되기 전에 유동이 안정화되고, 원자로냉각재는 최상부에 결합된 최외측유도판(21)을 거쳐 배출되기 전에 유동이 안정화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모델이 적용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모델이 적용된 모사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S2)와, 계측된 압력 강하 값이 기준값의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3)를 그대로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모델이 적용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순화모델은 관통공(23)의 직경 크기 내지 유도판(20)의 개수를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모델이 적용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통공(23)의 직경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는 줄어들고, 반대로 상기 관통공(23)의 직경 크기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면 원자로냉각재의 압력 강하가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핵연료집합체가 설치되는 각 채널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분포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관통공(23)의 개수를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노심에서의 채널과 유사한 환경을 모사하고, 유도판(2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허용하므로, 횡방향 유동을 고려한 측정값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가 원자로냉각재의 유동혼합율을 측정할 수 있음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은, 실질적으로 도4 및 도5에 따른 모델과, 도6 및 도7에 따른 모델이다.
도4 및 도5에 따른 모델은,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서로 인접하여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는, 외벽(10)과 유도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외벽(10)은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판(20)은 압력 강하를 유도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 복수의 관통공(23)이 형성된 사각형 판이다. 상기 유도판(20)은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유도판(20)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외벽(10)과 상기 유도판(20)은 실제 원자로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단위핵연료집합체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에 삽입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단위핵연료집합체는, 도2에 도시된 복수의 채널을 모사한다.
한편, 도6 및 도7에 따른 모델은, 복수의 핵연료집합체 전체를 일체로 단순화한다.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는, 외벽(10)와 유도판(20)을 포함하여 단순화되어 모델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벽(10)은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판(20)은 압력 강하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이며,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로냉각재는 상기 유도판(2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10)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21,22)과 상기 최외측 유도판(21,22)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20)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20)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판(20)에 형성된 관통공(23)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판(20)의 간격 D1이 D2에 비하여 넓게 형성하여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안정화시키고, 관통공(23)의 개수를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하게 하여 실제와 유사한 환경으로 모사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은, 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실제적 형상(수 백개의 연료봉, 제어봉, 안내관, 계측관 등)을 단순화된 실험장치로 모사하여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유동혼합율, 및 유동분포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와 동일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강하, 유동혼합율, 및 유동분포량과 함께, 3차원 공간적 분포를 갖는 열수력 현상을 모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는 원자로노심부를 포함한 주변 구조물 설계, 예컨대 기하학적 형상, 설치 위치, 크기 등을 결정할 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외벽 20... 유도판
21,22... 최외측 유도판 23... 관통공
30... 원자로용기 31... 상부헤드
40... 제어봉구동장치 41... 제어봉집합체의 연장축
50... 입구노즐 60... 출구노즐
70... 유량조절테 90... 핵연료집합체
91... 상단고정체 92... 하단고정체
93... 연료봉 94... 지지격자
100... 노심지지배럴 200... 노심

Claims (13)

  1.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원자로냉각재가 흐를 때 압력강하를 유도하는 유도판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여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 압력강하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계측된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사각형의 상기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하는 단계에서 모사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서로 인접 배치하여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2. 삭제
  3.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원자로냉각재가 흐를 때 압력강하를 유도하는 유도판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하여 노심부를 단순화한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시 압력강하를 측정하도록, 상기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원자로냉각재 유동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계측된 상기 원자로냉각재의 압력강하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순화모델을 형성하는 단계는,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를,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원판형태의 상기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모델링하여,
    상기 원자로냉각재가 상기 유도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계측된 상기 압력강하 값이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유도판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계측된 상기 압력강하 값이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순화모델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유도판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의 사이 간격은 서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과 상기 최외측 유도판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9.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형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압력 강하 유도용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하나의 핵연료집합체를 모사한 단위핵연료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모사된 단위핵연료집합체는 서로 인접 배치하여 상측에서 보았을 때 격자형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유도판의 간격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10. 삭제
  11. 원자로의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에 있어서,
    노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핵연료집합체를,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벽을 마련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압력 강하 유도용 유도판을 상기 외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배치하여 모델링하며,
    상기 원자로냉각재가 상기 유도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외벽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결합되는 최외측 유도판과 상기 최외측 유도판과 인접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외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판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수는 실제 원자로노심부에 설치되는 핵연료집합체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데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KR1020180095740A 2018-08-16 2018-08-16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KR10216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40A KR102167640B1 (ko) 2018-08-16 2018-08-16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PL19191296T PL3614396T3 (pl) 2018-08-16 2019-08-12 Sposób symulowania przepływu chłodziwa reaktora w rdzeniu i uproszczony model rdzenia dla sposobu
EP19191296.3A EP3614396B1 (en) 2018-08-16 2019-08-12 Method of simulating flow of reactor coolant in a core and core simplified model for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40A KR102167640B1 (ko) 2018-08-16 2018-08-16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66A KR20200020266A (ko) 2020-02-26
KR102167640B1 true KR102167640B1 (ko) 2020-10-19

Family

ID=6761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40A KR102167640B1 (ko) 2018-08-16 2018-08-16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14396B1 (ko)
KR (1) KR102167640B1 (ko)
PL (1) PL361439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2460B (zh) * 2021-12-31 2023-05-16 西安交通大学 一种铅铋快堆堆芯热工水力特性分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66B1 (ko) * 2009-11-27 2010-05-13 (주)에네시스 다공성 매질 특성을 이용한 원자로 노심 해석 방법
KR101512644B1 (ko) * 2013-10-31 2015-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초고온 가스로 노심 입구의 가스 냉각재 균일유동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6832A (en) * 1934-12-04 1943-04-20 Aghnides Elie Fluid mixing device
GB2329134B (en) * 1997-08-15 2001-02-14 Reckitt & Colman Inc Improvements to apparatus
KR101104894B1 (ko) * 2009-10-27 2012-01-1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수력 안전해석코드를 이용한 원자로 노심 평가방법
TW202339800A (zh) 2015-02-27 2023-10-16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Il-6受體抗體用於製備醫藥組成物的用途
KR101754287B1 (ko) * 2016-08-08 2017-07-06 한국원자력연구원 가변형 노심 시뮬레이터
CN106340329B (zh) * 2016-10-31 2017-12-1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反应堆热工水力模拟试验装置及流体动力学特性模拟方法
CN106504803B (zh) * 2016-11-18 2017-12-1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用于反应堆一回路冷却剂活化源项验证的实验装置
CN106531240B (zh) * 2016-11-25 2018-03-2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换热器、反应堆模拟系统及其自然循环停滞再启动模拟实验方法
CN106803431B (zh) * 2017-01-22 2017-12-1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可精确测量堆芯流量的外置式下降腔布置装置及测量方法
CN106683722B (zh) * 2017-02-22 2017-12-19 哈尔滨工程大学 棒束通道流动测压实验装置
CN107527664A (zh) * 2017-07-31 2017-12-29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模拟核反应堆流体自然循环流动特性的方法
CN107452430A (zh) * 2017-09-01 2017-12-08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伸缩的棒束通道多物理场可视化本体设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66B1 (ko) * 2009-11-27 2010-05-13 (주)에네시스 다공성 매질 특성을 이용한 원자로 노심 해석 방법
KR101512644B1 (ko) * 2013-10-31 2015-04-17 한국원자력연구원 초고온 가스로 노심 입구의 가스 냉각재 균일유동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14396T3 (pl) 2021-10-11
EP3614396A1 (en) 2020-02-26
KR20200020266A (ko) 2020-02-26
EP3614396B1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640B1 (ko) 노심부에서 원자로냉각재의 유동을 모사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심부단순화모델
Yang et al. Progress in rod bundle CHF in the past 40 years
JP2010286317A (ja) 面内圧縮強度評価装置及び方法
Dinh et al. Two-phase natural circulation flow in AP-1000 in-vessel retention-related ULPU-V facility experiments
Durbin et al. Thermal-Hydraulic Results for the Boiling Water Reactor Dry Cask Simulator.
Park et al. Two-phase natural circulation flow of air and water in a reactor cavity model under an external vessel cooling during a severe accident
Takeda et al. Heat removal verification tests using concrete casks under normal condition
Mochizuki et al. Analysis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the upper plenum of the “Monju” reactor
Epiney et al. TRACE qualification via analysis of the EIR gas-loop experiments with smooth rods
CN104200853A (zh) 一种切片式液态重金属自然循环装置
Bestion et al. Improved PWR LOCA simulations through refined core 3D simulations-an advanced 3D modelling and the associated METERO validation program
Lu et al. Overview on critical heat flux experiment for the reactor fuel assemblies
US6504888B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flow measurement for a boiling water reactor internal pump
CN105529053A (zh) 压水反应堆燃料组件模拟体及其设计方法
Dmitriev et al. Investigating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and peculiarities of the coolant flow behind a spacer grid of a fuel rod assembly of the floating nuclear power unit
Lee et al. Sensitivity study on turbulence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the reactor internal flow
CN209624087U (zh) 蒸汽发生器模拟体试验装置
Andreani et al. Gas mixing caused by interacting heat sources. Part ii: Modelling
Mukin et al. Thermal mixing assessment using 3-D thermal-hydraulic and CFD codes
Zhou et al. Performance of thermal mixing structure of HTR-PM regarding bypass flow and power effect
Dolleans et al. Epr: Tests performed to confirm the mechanical and hydraulic design of the vessel internals
Andreani et al. Application of field codes to the analysis of gas mixing in large volumes
Velusamy et al. CFD Studies in the Prediction of Thermal Striping in an LMFBR
Frisani Analysis of the reactor cavity cooling system for very high temperature gas-cooled reactor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ols
Durbin et al. Results for the Aboveground Configuration of the Boiling Water Reactor Dry Cask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