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85B1 -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85B1
KR102166685B1 KR1020200015870A KR20200015870A KR102166685B1 KR 102166685 B1 KR102166685 B1 KR 102166685B1 KR 1020200015870 A KR1020200015870 A KR 1020200015870A KR 20200015870 A KR20200015870 A KR 20200015870A KR 102166685 B1 KR102166685 B1 KR 10216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djusting
color
value
adju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찬
Original Assignee
(주)코코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코믹스 filed Critical (주)코코믹스
Priority to KR102020001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06T3/4076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using the original low-resolution images to iteratively correct the high-resolution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06T5/005
    • G06T5/0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interlace)에 의해 어긋난 필드(field)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film grain)을 제거하는 단계,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tone)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ANIMATION VIDEO REMASTER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화질 또는 저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애니메이션 영상을 프레임 별 픽셀의 세부조정을 통해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복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트로 열풍에 힘입어 과거에 흥행했던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과거의 애니메이션 영상들이 여러 영상 채널들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과거의 애니메이션 영상들은 대부분 브라운관 티브이 또는 디브이디 등의 해상도에 맞추어 일반화질 또는 저화질(standard definition, SD)로 제작되다 보니, 현재 서비스되는 영상 채널들에 맞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리지널 영상을 가공하는 리마스터링 작업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리마스터링 작업은 오리지널 영상을 늘리고 화면색상 조정을 수행하는 컨버팅 수준에 불과하다보니, 영상 내에 표현된 캐릭터, 배경 등의 비율이 왜곡되거나 화면이 깨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종래의 방식에 따라 일반화질 또는 저화질의 오리지널 이미지를 고화질(high definition, HD)로 컨버팅하게 되면, 픽셀이 늘어남에 따라 해상도와 비율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리마스터링 방식을 이용하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여러 영상 채널들에 맞는 완벽한 고화질 영상을 구현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846호 (2019.03.0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별 픽셀의 세부조정을 통해 일반화질 또는 저화질로 제작된 오리지널 영상의 고유 색상 및 비율 등을 고화질 영상 서비스에 맞게 복원 및 재현할 수 있는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은,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interlace)에 의해 어긋난 필드(field)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film grain)을 제거하는 단계,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tone)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그레인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영상 내에서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제거하고, 영상의 전후 프레임에서 제거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추출하여 제거된 영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는,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을 기준으로 전체 RGB 값의 감마(Gamma) 값을 조정하는 단계, 감마 값이 조정된 RGB 값 중 상대적으로 높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감마 값이 조정된 영상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영상 내 색상들의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는, 고화질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에 의해 어긋난 필드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색상 조정부,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제 1 해상도 조정부 및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제 2 해상도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부는, 영상 내에서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제거하고, 영상의 전후 프레임에서 제거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추출하여 제거된 영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조정부는,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을 기준으로 전체 RGB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제 1 감마 조정부, 감마 값이 조정된 RGB 값 중 상대적으로 높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제 2 감마 조정부 및 감마 값이 조정된 영상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영상 내 색상들의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명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과거 아날로그 영상을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각 플랫폼의 요구에 맞게 가공시킬 수 있으므로, 리마스터링 작업의 시간과 재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시청자에게 완벽히 고화질로 구현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쾌적한 서비스 환경에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크기 조절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인터레이스 제거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필름 그레인 제거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색상 보정의 전후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고유 톤 보정의 전후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조정부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은, 기존에 제작된 일반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원본 영상이 입력되면, 원본 영상의 크기를 고화질(high definition, HD) 규격에 맞게 조절하는 단계(S10),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인 인터레이스에 의한 어긋남, 필름 그레인 등을 제거하는 단계(S20), 영상의 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색상을 조정하는 단계(S30), 깔끔한 영상미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의 선명도(sharpen)와 경계선의 폭을 조절하는 단계(S40) 및 전술한 선명도 조절 단계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블러(blur) 처리를 수행하고,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톤을 보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화질은 일반적인 HD 화질뿐만 아니라 FHD 화질, QHD 화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크기 조절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영상의 크기 조절 단계(S10)는, 고화질 규격에 맞지 않은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을 고화질 규격에 맞게끔 영상 전체의 스케일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720*480 규격의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1920*1080 규격의 FHD 화질의 화면에 입력되면, 세로 사이즈는 1080의 규격에 맞게 늘어나지만, 가로 사이즈는 맞춰지지 않아 양 측에 검은색의 필름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본 영상을 규격에 맞게 세팅하기 위해서, 도 2의 (b)와 같이 원본 영상의 종횡비는 유지를 하되 전체적인 사이즈를 늘림으로써, 720*480 규격의 원본 영상을 1920*1080 규격의 FHD 화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인터레이스 제거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필름 그레인 제거의 전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던 기존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은 대부분 용량을 줄이고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해서 화면을 2개의 필드(field)로 구분하여 주사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도 3의 (a)와 같이 화면이 필드를 기준으로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본 영상의 크기 조절 단계 이후에 전술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 단계(S20)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고화질 규격에 맞게 크기가 조절된 원본 영상에서 도 3의 (a)와 같은 인터레이스에 의한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 인터레이스에 의한 필드를 제거하고, 필드를 구분하는 선들이 인접한 색상으로 채움으로써, 도 3의 (b)와 같이 어긋남이 제거된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던 기존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의 프레임 각각에는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필름 그레인을 포함하는데, 이는 FHD 화질, QHD 화질 등과 같은 고화질로 디지털 리마스터링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일종의 노이즈에 해당한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 단계(S20)에서 전술한 인터레이스와 함께 필름 그레인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인터레이스가 제거된 이후에 도 4의 (a)의 빨간색 박스 영영과 같이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도 4의 (a)의 빨간색 박스 영역은 해당 프레임에서 제거되고, 해당 프레임의 전후 프레임과의 비교를 통해 도 4의 (a)의 빨간색 박스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필름 그레인의 존재 유부가 탐색될 수 있다. 필름 그레인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도 4의 (b)에와 같이 탐색되면, 해당 영역이 추출되어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프레임 상에 보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색상 보정의 전후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조정 단계(S30)는,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가 완료된 영상 내에서 가장 낮은 톤의 색상을 기준으로 영상 전체의 RGB 값의 감마(gamma) 값이 조정됨으로써, 영상 전체의 색상 톤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전체적인 색상 톤이 다운되어도 RGB 중 레드와 같은 특정 색상이 다른 색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톤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레드와 같은 특정 색상의 감마 값이 다시 한번 더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감마 값은 비선형적인 그래프를 이용하여 영상의 화질을 변환하는 함수의 값을 말하며, 감마 값에 따라 영상이 밝게하거나 흐리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전체적인 색상의 균형이 맞춰지면, 색상 전체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a) 영역은 색상 조정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영상, 도 5의 (b) 영역은 색상 조정 전 영상을 나타낸다. (a) 영역이 (b) 영역에 비해 전체적으로 색상과 명암 대비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영상 자체의 선명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색상 조정이 완료되면, 최종 렌더링 작업을 위한 해상도 조정 단계(S40, S50)가 수행된다. 해상도 조정 단계(S40, S50)에서는 영상의 선명도 조절, 영상 내 경계선 조정, 블러 처리 및 톤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선명도 조절은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색상이 조정된 영상의 선명도 값을 증가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이때, 선명도 조절을 통해 선명도 값 중에서도 선명도의 강도(amount)와 세부 디테일 크기(fine detail size)에 해당하는 값은 소정의 기준치까지 증가하게 되고, 세부 디테일(fine details), 미디엄 디테일(medium details), 라지 디테일(large dtails) 등의 값들은 증가할수록 불필요한 노이즈를 발생시키므로, 기본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소정의 기준치는 작업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영상 내 경계선 조정은 영상 내 표현들을 깨끗하고 깔끔한 느낌이 들도록 보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영상 내에서 불필요하게 굵게 형성되어 영상미를 해치는 경계선들이 가늘어지도록 영상 내 경계선들의 폭을 감소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검은색의 경계선 영역에 상대적으로 밝은 색상의 선들을 포함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이때, 경계선의 크기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소정의 기준치에 따라 경계선 영역에 포함될 선들의 색상의 밝기(brightness), 부드러움(smooth) 등의 값들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소정의 기준치는 작업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블러 처리는 선명도 조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이즈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프레임들 중 일부가 선별되어 상호 겹쳐지는 과정을 통해 불필요하게 발생된 노이즈들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번질 수 있도록 보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블러 처리를 위해 상호 겹쳐지는 프레임들은 선명도, 색상 등이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별된 프레임들이다. 양호한지 여부는 선명도, 색상 등이 각각의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으며, 작업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고유 톤 보정의 전후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기존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은 색상 조정을 통해 전체적인 색상의 선명도 및 명암 대비를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도 6의 (a)와 같이 전체적인 영상의 톤 자체가 노란색의 고유의 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블러 처리 과정에서 노이즈 영역에 얼룩덜룩한 번짐 흔적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톤과 번짐 흔적들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영상이 갖는 노란색의 고유의 톤을 안정화하는데, 각 프레임마다 레드 색상이 전체적으로 추가됨과 동시에 색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MD 값이 마이너스 값으로 조절됨으로써, 노란색의 고유의 톤과 번짐 흔적들이 도 6의 (b)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100)는, 고화질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110),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에 의해 어긋난 필드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120),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색상 조정부(130),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제 1 해상도 조정부(140) 및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제 2 해상도 조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부(120)는, 영상 내에서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제거하고, 영상의 전후 프레임에서 제거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추출하여 제거된 영역을 보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조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조정부(130)는,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을 기준으로 전체 RGB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제 1 감마 조정부(131), 감마 값이 조정된 RGB 값 중 상대적으로 높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색상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제 2 감마 조정부(132) 및 감마 값이 조정된 영상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영상 내 색상들의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명암 조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외장 메모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
110: 크기 조절부 120: 노이즈 제거부
130: 색상 조정부 131: 제 1 감마 조정부
132: 제 2 감마 조정부 133: 명암 조정부
140: 제 1 해상도 조정부 150: 제 2 해상도 조정부

Claims (7)

  1.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interlace)에 의해 어긋난 필드(field)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film grain)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tone)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상기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상기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색상을 기준으로 전체 RGB 값의 감마(Gamma) 값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감마 값이 조정된 RGB 값 중 상대적으로 높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색상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마 값이 조정된 영상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상기 영상 내 색상들의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그레인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제거하고, 상기 영상의 전후 프레임에서 상기 제거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제거된 영역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3. 삭제
  4.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규격에 맞게 일반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원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
    상기 크기가 조절된 영상의 인터레이스(interlace)에 의해 어긋난 필드(field)를 제거하고, 필름 그레인(film grain)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상기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tone)의 색상을 기준으로 RGB 값 및 명암을 조정하는 색상 조정부;
    상기 색상이 조정된 영상에서 손상된 영역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명도를 조절하고, 상기 영상 내의 경계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제 1 해상도 조정부; 및
    상기 선명도가 조절된 영상의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겹쳐 상기 선명도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일반화질의 원본 영상이 갖는 고유의 노란색 톤을 보정하는 제 2 해상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조정부는,
    상기 필름 그레인이 제거된 영상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색상을 기준으로 전체 RGB 값의 감마(Gamma) 값을 조정하는 제 1 감마 조정부;
    상기 감마 값이 조정된 RGB 값 중 상대적으로 높은 톤의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색상 값의 감마 값을 조정하는 제 2 감마 조정부; 및
    상기 감마 값이 조정된 영상의 레벨 값을 조정하여 상기 영상 내 색상들의 명암 대비를 조정하는 명암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필름 그레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여 제거하고, 상기 영상의 전후 프레임에서 상기 제거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제거된 영역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15870A 2020-02-10 2020-02-10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16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70A KR102166685B1 (ko) 2020-02-10 2020-02-10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870A KR102166685B1 (ko) 2020-02-10 2020-02-10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85B1 true KR102166685B1 (ko) 2020-10-19

Family

ID=7304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870A KR102166685B1 (ko) 2020-02-10 2020-02-10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9114A (zh) * 2022-03-16 2022-04-15 宁波杜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核病灶色相还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765A1 (en) * 2001-04-20 2004-02-26 Kevin Manbeck Automated color control in film-to-digital transfer
JP2012231459A (ja) * 2011-04-11 2012-11-22 Fujifilm Corp 映像変換装置、これを用いる映画システムの撮影システム、映像変換方法、及び映像変換プログラム
KR20190023846A (ko) 2017-08-30 2019-03-08 한국과학기술원 콘텐츠 기반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765A1 (en) * 2001-04-20 2004-02-26 Kevin Manbeck Automated color control in film-to-digital transfer
JP2012231459A (ja) * 2011-04-11 2012-11-22 Fujifilm Corp 映像変換装置、これを用いる映画システムの撮影システム、映像変換方法、及び映像変換プログラム
KR20190023846A (ko) 2017-08-30 2019-03-08 한국과학기술원 콘텐츠 기반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gital Vision. Phoenix. 2016년 2월, pp. 1-8. 1부.* *
정현진. 영화 디지털 복원 과정과 기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2018년 8월, pp.1-94.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9114A (zh) * 2022-03-16 2022-04-15 宁波杜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核病灶色相还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59114B (zh) * 2022-03-16 2022-08-23 宁波杜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核病灶色相还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434B2 (ja) 輪郭補正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装置
US834041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mproving flicker of image
CN107211182B (zh) 显示方法和显示装置
JP4447649B2 (ja) イメージからのパープルフリンジの自動除去
JP441993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73353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8417032B2 (en) Adjustment of image luminance values using combined histogram
US20060187246A1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that makes computer execute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00329553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US102777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based on meta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20008179A (ko) 비디오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US87802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to correct image distortion caused by a hand shake
JP4609559B2 (ja) フィルタ装置、画像補正回路、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US828016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US8279346B2 (en) Frame rate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10157482A1 (en) Video display device
US8014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enhancing videos and images
US200300584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7311889A (ja) 画像補正回路、画像補正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166685B1 (ko) 애니메이션 영상 리마스터링 방법 및 장치
US2005000193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77175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369030B2 (ja) 画像補正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画像補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245991B2 (ja) 明るさ補正プログラム、明るさ補正方法及び明るさ補正装置
JP2009296113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