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92B1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92B1
KR102165592B1 KR1020190146347A KR20190146347A KR102165592B1 KR 102165592 B1 KR102165592 B1 KR 102165592B1 KR 1020190146347 A KR1020190146347 A KR 1020190146347A KR 20190146347 A KR20190146347 A KR 20190146347A KR 102165592 B1 KR102165592 B1 KR 10216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rtual reality
information
reality content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희
조성진
나경세
조서은
배승민
이슬기
오기성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미션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뇌파 및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미션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뇌파 및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는 해외를 중심으로 영상, 게임, 교육, 의료 등의 분야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카드보드 형식의 HMD부터 Gear VR, Oculus Rift, HTC Vive 등 고품질의 VR환경을 제공하는 디바이스까지 다양한 기기가 보급되고 있고, VR 콘텐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메디컬 VR 서비스 또한 태동기에 접어들고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할 시점에 접어들고 있다. 또한 사회 전반적으로 개인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복합 생체정보 반응 기반 건강 관리 VR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피드백 하여 객관적인 정신건강 진단 지표를 개발하여 개인 생체반응 정보를 실증적으로 추출 및 분류 관리하는 시스템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 범위가 부족하거나, 소아의 연령에 부적절한 과다 행동 및 충동으로 기능 수행 또는 발달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ADHD와 같은 정신과 치료를 위한 기존의 치료 방법은 '지속 노출 치료(Prolonged-exposure Therapy)' 원리를 활용한 상담사와 환자의 1대1 대면을 통한 트라우마 노출 및 기억 회기법 등이었다. 이처럼 전통적인 노출 치료의 방법은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는 상상에 의존한 방식이었으나 이는 회피하려고 하는 기억을 떠올리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몰입도가 높으며 생생하게 현장을 시각화 해 주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노출 치료 방법이 최근 들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으로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발달장애(자폐증)를 겪고 있는 환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영되는 치료프로그램을 모사하도록 하고, 모사율을 판단하여 이를 토대로 모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반영하여 운동 치료 효과를 높이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KR 10-1886678 B1
본 발명은 가상현실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미션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뇌파 및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HMD장치;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 받는 컨트롤러; 및 상기 HMD장치 및 컨트롤러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에 따른 초점의 시간별 좌표 및 상기 시간별 좌표의 이동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인공신경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EEG센서; 및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 및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HMD장치 및 컨트롤러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HMD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아이트래커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반복 인지 치료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게임형 치료 콘텐츠를 제공하여 치료의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형 HMD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 난이도를 조절하고 사용자 맞춤형 단계별 훈련을 제시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훈련 결과를 출력 가능하여 임상치료사의 환자 관리를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장치의 내측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제공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가 구현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의 진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진단부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진단부가 안구운동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히트맵정보 및 이동궤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은 사용자(10)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HMD장치(1000); 사용자(10)의 동작을 입력 받는 컨트롤러(2000); 및 상기 HMD장치(1000) 및 컨트롤러(2000)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부(3000); 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이 중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 구성된 VR장치를 착용 내지는 휴대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부(30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 구성된 VR장치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10)가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동안 연결된 선 등에 방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관리부(3000)는 상기 HMD장치(1000) 또는 상기 컨트롤러(20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10)에게 착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게임형 치료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사용자(10)에게 미션을 제공하여 사용자(10)의 도전의식을 높이고, 가상현실 공간에서 미션이 진행되어 사용자(10)의 몰입감을 증대시켜 인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컨트롤러(2000)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10)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10)가 집중력을 요하는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여 가상현실에서 사용자(10)의 인지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10)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함으로써 사용자(10)가 분산 자극을 극복하고 미션을 수행하여 주의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HMD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제공부(1100);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청각제공부(1300); 및 상기 HMD장치(100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는 고정부(1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장치(1000)는 상기 시각제공부(1100) 및 상기 청각제공부(13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20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입력 받아 상기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 구현된 상기 사용자의 가상신체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0)는 상기 사용자가 손에 쥔 채 움직여 손의 움직임을 검출하거나, 혹은 구비된 버튼 및 조이스틱 등에 의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장치의 내측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HMD장치(1000)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10)의 양 쪽 안구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각각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스크린부(1110); 상기 사용자(10)의 뇌파를 측정하는 EEG센서(1400); 및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16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10), 특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10)에 대한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10)의 시선을 확인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시선의 초점의 위치 및 초점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10)를 진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트래커(1600)는 상기 스크린부(1110)가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린부(1110)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부(3000)는,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기저장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VR콘텐츠제공부(3100);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입출력부(3200); 및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사용자진단부(3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는 기저장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100)가 상기 가상현실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컨트롤러(2000)를 이용한 물건의 제어, 문제 풀이, 야외 활동 등의 가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3200)는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3200)를 통해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에서 제공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가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 전달 되어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부터 사용자(10)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진행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자(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사용자(10)의 HMD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에 의해 수행된 상기 사용자(10)의 진단결과는 별도의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임상치료사 혹은 주치의가 상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10)에게 맞춤형 임상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 및 측정된 상기 사용자(10)의 뇌파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에 따른 초점의 시간별 좌표 및 상기 시간별 좌표의 이동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제공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는 사용자(10)에게 집중력을 요하는 미션을 제시하는 미션제공부(3110); 상기 미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미션확인부(3120); 및 상기 사용자(10)의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는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는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션제공부(3110)는, 기저장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미션을 제시한다. 상기 미션은 사용자(10)에게 인지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10)의 신체 활동을 통하여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10)의 두뇌 활동을 통하여 미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션확인부(3120)는,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미션제공부(3110)에 의해 주어진 미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미션확인부(3120)는 상기 미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미션의 성공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션확인부(3120)는 직접적인 미션의 성공 여부와 함께, 상기 미션을 수행한 상기 사용자(10)의 집중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집중도 평가 지표를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10)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중도 평가 지표는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10)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10)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션확인부(3120)는 상기 사용자(10)의 집중도 평가 지표를 점수화 하여 상기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는 자신의 미션 수행 결과를 점수화 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수행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어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인지 치료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몰입도를 높여 인지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사용자(10)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10)의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는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가 주의 분산 자극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극복하고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의집중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주의 분산 자극은 핸드폰 벨소리, 친구의 음성, 자동차 소리, 문 열리는 소리, 책장 넘기는 소리를 포함하는 소리정보일 수 있다. 또는, VR 가상공간에 나타나는 동물 등과 같은 시각정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상기 사용자(10)의 상태에 적합한 수준의 주의 분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10)에 따라 맞춤형 주의 분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0)가 주의 분산 자극을 극복하고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고, 더욱 효율적인 인지 치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상기 미션확인부(312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10)의 집중도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10)가 높은 집중도를 보여 미션의 수행을 원활히 해내는 경우,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의 세기를 높이거나, 혹은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의 종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집중력을 방해하고, 상기 사용자(10)가 강한 주의 분산 자극도 극복하고 미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사용자(10)가 미션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의 세기를 낮추거나, 혹은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의 종류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10)가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인지 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상기 사용자(10)에 맞춤형 주의 분산 자극을 제공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인지 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3130)는 진단된 상기 사용자(10)의 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10)의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10)가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의 주의 분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인지 훈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사용자(10)의 신체 활동을 통해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물건 옮기기 콘텐츠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 대상물이 되는 상자와 상기 상자를 옮길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사용자(10)는 상기 가상 공간에서 컨트롤러(200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가상 신체(손)를 통해 상기 상자를 잡아 들고 옮기는 등의 신체 활동을 통해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의 (b)는 사용자(10)의 두뇌 활동을 통해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문제 풀이 콘텐츠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은 교실로 설정되어 의자와 책상, 칠판 등이 구현되어 있고, 사용자(10)는 가상의 교실에서 주어지는 문제를 가상 신체(손)를 통해 풀어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는 상기 사용자(10)의 진단 결과 또는 미션의 수행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다양한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이와 같은 주의 분산 자극에도 미션을 수행함으로써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인지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는 상기 사용자(10)의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고, 이를 통해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10)의 인지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가 구현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는 도 5에서와 같은 가상현실 콘텐츠가 실제로 구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좌상단에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우상단에는 도 5의 (a)에서와 같은 신체 활동을 통한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농구 게임 콘텐츠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좌하단에는 도 5의 (b)에서와 같은 두뇌 활동을 통한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교실 콘텐츠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우하단에는 야외 활동을 통한 인지 치료를 하기 위한 가상 야외 콘텐츠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의 진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VR콘텐츠제공부(3100)에서 HMD장치(1000) 및 컨트롤러(2000)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HMD장치(1000)를 통해 사용자(10)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0); 컨트롤러(2000)를 통해 사용자(10)의 동작을 입력 받는 단계(S300); 아이트래커(1600)를 통해 사용자(10)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단계(S400); EEG센서(1400)를 통해 사용자(10)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S500); 사용자진단부(3300)가 감지된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 및 측정된 사용자(10)의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하는 단계(S600); 및 VR콘텐츠제공부(3100)가 상기 진단된 상기 사용자(10)의 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하는 단계(S7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우선 VR콘텐츠제공부(3100)에서 HMD장치(1000) 및 컨트롤러(2000)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에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VR콘텐츠제공부(3100)는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HMD장치(1000) 및 상기 컨트롤러(20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10)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HMD장치(1000)를 통해 사용자(10)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10)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0)가 상기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컨트롤러(2000)를 통해 사용자(10)의 동작을 입력 받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상기 가상현실의 가상 공간을 체험하는 상기 사용자(10)는 상기 컨트롤러(2000)를 통해 자신의 동작을 입력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서 주어지는 정보를 수동적으로 체험하지 않고 상기 가상 공간의 객체를 움직이거나 상기 가상 공간에서 이동하는 등 능동적으로 가상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10)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동안, 상기 아이트래커를 통해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단계(S400) 및 EEG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S500)가 수행되어 상기 사용자(10)의 신체활동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트래커(1600) 및 상기 EEG센서(1400)는 상기 HMD장치(1000)에 구비되어 각각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 및 뇌파를 측정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진단부(33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 및 측정된 사용자(10)의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하는 단계(S600)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중인 사용자(10)의 신체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에게 적합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진단 결과를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임상치료사 혹은 주치의가 상기 사용자(10)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VR콘텐츠제공부(3100)가 상기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하는 단계(S700)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의 미션을 수행하는 사용자(10)에게 적절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10)에게 가해지는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하여 미션의 난이도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10)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인지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진단부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정보, EEG정보 및 행동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안구운동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안구운동분석모듈(3310); 상기 EEG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뇌파분석모듈(3320); 상기 행동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행동분석모듈(3330); 및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3310), 상기 뇌파분석모듈(3320) 및 상기 행동분석모듈(333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종합진단모듈(3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3310), 뇌파분석모듈(3320) 및 행동분석모듈(3330)은 각각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정보, EEG정보 및 행동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진단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종합진단모듈(3340)은 상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여 사용자진단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 된 사용자진단정보는 상기 VR콘텐츠제공부(331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맞춤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되거나 상기 외부로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임상치료사 또는 주치의가 맞춤형 임상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 EEG 또는 행동을 인공신경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3310), 뇌파분석모듈(3320), 및 상기 행동분석모듈(3330)은 각각 상기 안구운동정보, 상기 EEG정보 및 상기 행동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인공신경망을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진단부가 안구운동정보를 분석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트래커(160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10)의 안구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의 시선에 따른 초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10)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공신경망에 기초하여 상기 안구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공신경망을 통해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상기 안구운동정보를 가공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10)의 초점의 시간에 따른 초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점의 좌표정보와 상기 좌표정보 각각의 시간정보를 도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점의 좌표정보와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히트맵정보와 이동궤적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히트맵정보는 상기 사용자(10)의 시야에서 각각의 좌표에 초점이 머문 시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 표시 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히트맵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10)의 초점이 어느 지점에 오래 머물렀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히트맵정보는 2차원 이미지 정보로 나타날 수 있다.
이동궤적정보는 시간에 따른 상기 초점의 이동 순서를 정리한 정보이다. 즉, 이와 같은 이동궤적정보는 각각의 시간에서의 초점의 좌표를 순서대로 나열한 정보로서 연속적인 리스트 정보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진단부(3300)는 도출된 상기 히트맵정보 및 상기 이동궤적정보를 각각 인공신경망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석을 위한 각각의 인공신경망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트맵정보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고, 상기 이동궤적정보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다. CNN은 2차원 이미지의 분석에 유리한 인공신경망 구조이고, RNN은 연속적인 리스트의 분석에 유리한 인공신경망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구운동정보를 초점의 히트맵정보 및 이동궤적정보로 변환하여 각각을 인공신경망에 기초하여 분석하여 더욱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히트맵정보 및 이동궤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제공부(3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의 가상 교실을 보고 있는 사용자(10)의 시선 이동에 따른 히트맵 및 이동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히트맵은 색상으로서 상기 사용자(10)의 초점이 해당 좌표에서 머무른 시간을 표시하고 있고, 이동궤적은 시간 순서에 따른 시선의 이동(1->2->3)을 순서에 따라 연결한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히트맵정보 및 이동궤적정보가 각각 CNN 및 RNN과 같은 인공신경망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10)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HMD장치 혹은 관리부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반복 인지 치료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에게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게임형 치료 콘텐츠를 제공하여 치료의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형 HMD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 난이도를 조절하고 사용자 맞춤형 단계별 훈련을 제시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잉행동장애 환자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통한 훈련 결과를 출력 가능하여 임상치료사의 환자 관리를 도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HMD장치;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 받는 컨트롤러; 및
    상기 HMD장치 및 컨트롤러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EEG센서; 및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집중력을 요하는 미션을 제시하는 미션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는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는 주의분산자극제공부; 및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사용자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진단부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에 따른 초점의 시간별 좌표 및 상기 시간별 좌표의 이동 패턴 및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하고,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부는,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진단부는,
    상기 안구운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안구운동분석모듈;
    상기 EEG센서로부터 측정된 EEG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뇌파분석모듈;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행동분석모듈; 및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 상기 뇌파분석모듈 및 상기 행동분석모듈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종합진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구운동에 따라 각각의 좌표에 초점이 머문 시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 표시한 히트맵정보 및 시간에 따른 상기 초점의 이동 순서를 정리한 정보인 이동궤적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히트맵정보 및 상기 이동궤적정보를 분석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HMD장치 및 컨트롤러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HMD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미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고,
    상기 HMD장치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EEG센서; 및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집중력을 요하는 미션을 제시하는 미션제공단계;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을 방해할 수 있는 주의 분산 자극을 가하는 주의분산자극제공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사용자진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진단단계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에 따른 초점의 시간별 좌표 및 상기 시간별 좌표의 이동 패턴 및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를 진단하고,
    상기 주의분산자극제공단계는,
    진단된 상기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의 분산 자극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진단단계는,
    상기 안구운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안구운동분석모듈;
    상기 EEG센서로부터 측정된 EEG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뇌파분석모듈;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행동분석모듈; 및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 상기 뇌파분석모듈 및 상기 행동분석모듈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종합진단모듈;에 의하여 사용자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도의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안구운동에 따라 각각의 좌표에 초점이 머문 시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로 표시한 히트맵정보 및 시간에 따른 상기 초점의 이동 순서를 정리한 정보인 이동궤적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안구운동분석모듈에 의하여 상기 히트맵정보 및 상기 이동궤적정보를 분석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삭제
KR1020190146347A 2019-11-15 2019-11-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6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47A KR102165592B1 (ko) 2019-11-15 2019-11-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47A KR102165592B1 (ko) 2019-11-15 2019-11-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592B1 true KR102165592B1 (ko) 2020-10-14

Family

ID=7284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347A KR102165592B1 (ko) 2019-11-15 2019-11-1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9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428B1 (ko) * 2020-10-29 2021-06-29 주식회사 엑스알텍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및 솔루션
CN113805704A (zh) * 2021-09-26 2021-12-17 广东国瞳智能医疗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视觉治疗方法和系统
KR102344402B1 (ko) * 2021-02-24 2021-12-29 (주)메디테리안 인지 행동 치료방법 및 인지 행동 치료방법 프로그램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
KR102364964B1 (ko) * 2021-06-17 2022-02-18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
CN114246690A (zh) * 2021-01-26 2022-03-29 马元 超声引导气管镜的操作模拟方法和系统
KR2022005607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20220080300A (ko) 2020-12-07 2022-06-14 이미경 적응적 요인과 부적응적 요인 분석을 통한 정신질환 검사 및 치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1650A (ko) * 2021-07-14 2023-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3058905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47111B1 (ko) * 2022-12-29 2023-06-23 주식회사 소예키즈 가상의 공간을 통해 아동 심리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510153A (zh) * 2023-06-30 2023-08-01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构建防御攻击机制的专注力训练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229A (ko) * 2016-03-15 2017-09-25 (주)인더텍 아이 트랙킹을 이용한 인지 집중력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886678B1 (ko) 2016-06-15 2018-08-09 (주)팜스포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190004088A (ko) * 2017-07-03 2019-01-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180A (ko) * 2016-06-20 2019-02-26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시각적 프로세싱 및 지각 상태들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상태들의 평가 및 수정을 위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229A (ko) * 2016-03-15 2017-09-25 (주)인더텍 아이 트랙킹을 이용한 인지 집중력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886678B1 (ko) 2016-06-15 2018-08-09 (주)팜스포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190019180A (ko) * 2016-06-20 2019-02-26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시각적 프로세싱 및 지각 상태들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상태들의 평가 및 수정을 위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90004088A (ko) * 2017-07-03 2019-01-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07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102438580B1 (ko) 2020-10-27 2022-09-01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WO2022092333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기반의 집중력결핍과잉행동장애 진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102269428B1 (ko) * 2020-10-29 2021-06-29 주식회사 엑스알텍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가상 현실을 활용한 치매 및 뇌질환 진단, 예방 치료 시스템 및 솔루션
KR20220080300A (ko) 2020-12-07 2022-06-14 이미경 적응적 요인과 부적응적 요인 분석을 통한 정신질환 검사 및 치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4246690A (zh) * 2021-01-26 2022-03-29 马元 超声引导气管镜的操作模拟方法和系统
CN114246690B (zh) * 2021-01-26 2023-07-21 马元 超声引导气管镜的操作模拟方法和系统
KR102344402B1 (ko) * 2021-02-24 2021-12-29 (주)메디테리안 인지 행동 치료방법 및 인지 행동 치료방법 프로그램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
KR102364964B1 (ko) * 2021-06-17 2022-02-18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가상현실을 이용한 스포츠센터 이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1650A (ko) * 2021-07-14 2023-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57799B1 (ko) 2021-07-14 2023-07-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805704A (zh) * 2021-09-26 2021-12-17 广东国瞳智能医疗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视觉治疗方法和系统
WO2023058905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47111B1 (ko) * 2022-12-29 2023-06-23 주식회사 소예키즈 가상의 공간을 통해 아동 심리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510153A (zh) * 2023-06-30 2023-08-01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构建防御攻击机制的专注力训练方法及装置
CN116510153B (zh) * 2023-06-30 2023-08-29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构建防御攻击机制的专注力训练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592B1 (ko)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65590B1 (ko) 경도인지장애 치료를 위한 소셜 가상현실 시스템 및 소셜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US10950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action training and control
Ergan et al. Quantifying human experience in architectural spaces with integrated virtual reality and body sensor networks
KR20220033507A (ko) 가상 또는 증강 현실을 활용하는 치료 개입을 위한 전자적 배열체 및 관련된 방법
Klaib et al. IoT Smart Home Using Eye Tracking and Voice Interfaces for Elderly and Special Needs People.
Parsons et al. Neurocognitive and psychophysiological interfaces for adaptive virtual environments
Pierella et al. Learning new movements after paralysis: Results from a home-based study
Madhusanka et al. Implicit intention communicati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disabled people to improve well-being
Dorr et al. Next-generation vision testing: the quick CSF
KR102425481B1 (ko) 재활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WO2021090331A1 (en) A system and method of diagnosing or predicting the level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using xr-ai platform
Liu et al. An tactile ERP-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communication
Oliver et al. Wireless multisensory interaction in an intelligent rehabilitation environment
Guy et al. The sense of embodiment in Virtual Reality and its assessment methods
Sahu et al. IoT-drive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ystems in Neurological Sciences
Dominijanni et al. Human motor augmentation with an extra robotic arm without functional interference
Kasprowski et al. Vision Diagnostics and Treatment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ck et al. From brains to bytes
El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lligent immersive virtual reality games to assist physical rehabilitation
KR102543337B1 (ko) 아바타를 생성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기반 색채힐링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 색채힐링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431B1 (ko) 아바타를 생성하여 콘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 맞춤 실감콘텐츠 테스트베드 최적온도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32251B1 (ko) 소셜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상현실 재활시스템
Faller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Mediating Interac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ruel et al. Towards an awareness interpretation for physical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