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58B1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458B1
KR102165458B1 KR1020200021286A KR20200021286A KR102165458B1 KR 102165458 B1 KR102165458 B1 KR 102165458B1 KR 1020200021286 A KR1020200021286 A KR 1020200021286A KR 20200021286 A KR20200021286 A KR 20200021286A KR 102165458 B1 KR102165458 B1 KR 10216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moisture
mixing
excipient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향석
Original Assignee
손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향석 filed Critical 손향석
Priority to KR102020002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1차 수분 조절 단계, 상기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2차 수분 조절 단계, 및 상기 2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ertilizer Using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1차 수분 조절 단계, 상기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2차 수분 조절 단계, 및 상기 2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ㆍ폐수슬러지,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대체로 함수량이 높아 부패하기 쉬우므로 그대로 땅속에 매립되는 경우 침출수에 의한 토질오염과 지하수오염 등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방대한 매립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처리 할 경우에는 다이옥신 등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함수량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연료가 소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의 매립 및 소각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일 예로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시켜 탄화물로서 재활용하거나, 유기성 폐기물 내 수분을 제거하여 비료로 제조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왔다.
이 중 유기성 폐기물을 원료로 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거나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 내에서 생석회와 함께 혼합 교반하여 가수 분해시키게 된다. 이후, 이를 톱밥, 왕겨 등의 부재료와 혼합 교반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발효시켜 최종적으로 퇴비를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 수증기, 악취 등을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수분 조절제로서 활용하는 톱밥 역시 가격이 매우 비쌀 뿐 아니라 수분 조절제로서의 효능 또한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58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살균 및 살충하면서도, 처리 공정상 발생하는 폐수를 반응 과정에서 바로 제거하여 폐수 무배출의 공정이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에 최적화된 수분 조절제와 부형제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석회처리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1차 수분 조절 단계, 상기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2차 수분 조절 단계, 및 상기 2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분조절제는 톱밥과 코코피트의 1:1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형제는 상기 교반 건조 단계 후에 완성된 비료의 일부가 재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사용되는 비료는, 완성된 비료에 톱밥 및 미생물을 추가 투입한 후 교반 건조 단계에 미생물 투입을 추가로 거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 투입 단계 후에 별도의 숙성실에서 자연 숙성시키는 안정화 단계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투입되는 수분조절제의 혼합량은 유기성 폐기물의 6~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생석회의 혼합량은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의 20~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형제의 혼합량은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의 8~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적정 유기물 함량의 석회처리 비료를 폐수 무배출의 공정으로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1차 수분 조절 단계, 상기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2차 수분 조절 단계, 및 상기 2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이하 각 단계를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유기성 폐기물은 음식물류 폐기물뿐만 아니라 식물성 잔재물, 동물성 잔재물 등 다양한 유기성 원료가 사용될 수 있다. 준비된 유기성 폐기물은 먼저 파쇄 및 선별 과정을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후 일차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파쇄 및 선별 과정을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80~90 중량% 정도이다.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은 반응기 내로 이송되어 일련의 첨가제들과 혼합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본격적으로 생석회와 혼합 반응을 하기 전에 폐기물 내 수분을 1차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수분 조절제는 톱밥과 코코피트가 1:1~2(w/w)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밥은 기존에 수분 조절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분조절제이며, 코코피트는 코코넛의 내과피에서부터 외과피까지에 존재하는 섬유질을 분쇄하여 만든 유기입자로서 뛰어난 수분 흡수력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 주목받고 있다.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 투입되는 수분조절제의 혼합량은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의 6~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으면 충분한 수분 조절 효과가 나오기 어렵고 이보다 크면 전체적인 공정의 경제성이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수분 조절 단계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75~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적으로 수분이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은 본격적으로 생석회와 혼합되어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이때 반응열로 인해 반응기내 온도가 80~120 ℃를 유지하게 되어 유기물의 소화 및 살균, 살충 작용은 물론 악취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자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이 산화석회의 미세한 공극에 흡수되고 소화(slaking)에 의해 열이 발생하면서 수산화칼슘(CaOH)2 미립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 중탄산칼슘(Ca(HCO3)2을 생성하는데 이때 많은 반응열(화학적인 결합(변화, 분해))이 발생한다.
상기의 반응열은 세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먼저 유기성 폐기물의 유기물질의 활성도(活性度)를 진작시켜 칼슘 등 금속이온의 착화합물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두번째로는, 악취물질의 근원이 되는 성분을 분해하여 분해된 악취물질의 일부가 칼슘화합물을 형성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유기성 폐기물의 온도상승에 의해 일부 수분이 증발되고 반응종료 직후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기물과 칼슘-유기화합물에 수산화칼슘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 흡착시켰기 때문에 강알칼리성(pH11~12)을 나타내며 이 알칼리에 의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멸균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솔(Sol) 상태의 유기성 폐기물을 겔(Gel)화된 후, 하기와 같은 반응들을 통해 분해된 약취 성분이 칼슘화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2(CH3SH) + CaO -> (CH3S)2Ca + H2O
2(RCOOH) + CaO -> (R-COO)2Ca + H2O
-S-(유황화합물) + 2CaO -> CaS
이와 같은 화학적 탈취 방법외에도 휘산 및 물리적 탈취를 통해 악취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휘산은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트리메칠아민(CH3)3N 등 가스(Gas) 상태의 악취물질은 반응기에 부착된 ClO2를 이용한 탈취장치에 의해 악취를 저감시키는 방식이며, 물리적 탈취는 유기성 폐기물에 잔류한 악취물질을 석회반응 후 생성되는 입상구조물에 흡착시키는 방식이다.
상기 생석회의 혼합량은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의 20~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으면 충분한 수분 소화 및 살균, 살충 효과가 나오기 어렵고 이보다 크면 전체적인 공정의 경제성이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생석회와의 혼합 반응 단계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50~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석회 혼합 반응을 거친 유기성 폐기물은 부형제와 혼합되어 2차 수분 조절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부형제는 1차 수분 조절 단계에서 사용된 톱밥과 코코피트의 혼합물 등 다양한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최종 비료의 일부가 재사용된 리사이클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사이클 부형제는 최종 비료 100%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최종비료 65~75 중량% 및 피트머스 또는 휴믹산(humic acid) 25~35 중량%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부형제의 혼합량은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의 8~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으면 충분한 수분 조절 효과가 나오기 어렵고 이보다 크면 전체적인 공정의 경제성이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2차 수분 조절 단계까지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50~5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사용되는 비료는, 완성된 비료에 톱밥 및 미생물을 추가 투입한 후 교반 및 발효하는 과정을 추가로 거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비료의 수분 흡수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비료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투입되는 톱밥 및 미생물은 각각 재사용되는 비료의 4~6 중량%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입 후 5~15일 정도 교반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은 상업적으로 농작물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익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식물에게 해로운 미생물의 발현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미생물과 함께 포도 발효추출물을 투입되는 미생물의 1~30 중량%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포도를 일정한 조건 하에서 발효처리하면, 휴무스(humus)균을 함유하는 발효추출물이 생성되어,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할 뿐 아니라, 병해 방제효과를 갖추어 농작물의 생산성 증대뿐 아니라 토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발효추출물은 포도에서 수득된 포도씨, 껍질, 줄기를 포함하는 포도찌꺼기를 호기성 조건 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습도 57~84%, 온도 40~60℃에서 산도(pH) 5.5~7.0을 유지하면서 2~3주간 발효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효시킨 포도찌꺼기을 바로 사용하기 보다 당분 및 알코올을 제거하고 50~75℃에서 30~40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톱밥 및 미생물 투입 과정이 완료된 비료는 다시 별도의 숙성실에서 15~25일 정도 자연 숙성시키는 안정화 단계를 추가로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리싸이클 부형제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수분 조절 단계까지 거친 유기성 폐기물은 교반 건조기로 이송되어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석회 처리 비료로서 제조되며, 일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형제로 재사용된다. 상기 2차 건조 단계까지 거친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은 40~4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건조 단계에서 2차 화학 반응이 반복될 수 있다.교반 건조장(Sludge drying bed)에 설치된 회전식 교반발효기(rotary stirred dryer)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동하는 교반작업에 따라 수분이 증발되면서 당도를 높이는 주요원소인 칼슘염을 생성하고 하기 화학식과 같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유기성 폐기물의 수산화칼슘· 중탄산칼슘과의 화학반응에 의해 탄산칼슘을 생성한다. 탄산칼슘은 흡착력 강한 난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표면에 피막형성을 진행하며, 속효성 비료를 완효성 비료로 변환시키는 막중한 역할을 한다.
Ca(0H)2 + CO2 -> CaCO3 + H2O
Ca(HCO3)2 -> CaCO2 + H2O + CO2
한편, 상기 제조된 비료의 일부가 부형제로 재사용되기 전에 혹시라도 존재할 수 있는 유해균이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밥 및 미생물을 투입하기 전에, 마이크로파 조사단계를 추가로 거치게 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라디오파와 적외선 사이의 파장과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파로 보통 파장은 1cm~100cm이다. 특히,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파는 물(H2O) 분자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 물 분자에 상기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 물 분자는 강하게 회전하고, 이로 인해 진동, 마찰 에너지를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열적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비열적으로도 마이크로파가 세균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멸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유기성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한 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수분 조절제와 혼합하는 1차 수분 조절 단계; 상기 1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생석회와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2차 수분 조절 단계; 및 상기 2차 수분 조절된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조절제는 톱밥과 코코피트가 1:1~2(w/w)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며, 상기 수분조절제의 혼합량은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의 6~10 중량%이고,
    상기 부형제는 상기 건조 단계 후의 완성된 비료 65~75 중량% 및 피트머스 또는 휴믹산(humic acid) 25~35 중량%의 혼합물이며, 상기 부형제의 혼합량은 생석회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의 8~12 중량%이고,
    상기 부형제에 사용되는 완성된 비료는, 건조 단계 후의 완성된 비료에 톱밥 및 미생물을 추가 투입한 후 교반 건조하는 미생물 투입 단계; 및 상기 미생물 투입 단계 후에, 별도의 숙성실에서 자연 숙성시키는 안정화 단계;를 추가로 거치고,
    상기 투입되는 톱밥 및 미생물은 각각 부형제에 사용되는 완성된 비료의 4~6 중량%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1286A 2020-02-20 2020-02-20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216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86A KR102165458B1 (ko) 2020-02-20 2020-02-20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86A KR102165458B1 (ko) 2020-02-20 2020-02-20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458B1 true KR102165458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86A KR102165458B1 (ko) 2020-02-20 2020-02-20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33B1 (ko) * 2020-12-23 2021-04-28 농업회사법인 (주)중부바이오텍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2400600B1 (ko) * 2021-04-27 2022-05-20 김현진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공정시스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276A (ko)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창조바이오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20220106327A (ko)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창조바이오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조성물
KR102462972B1 (ko) * 2022-03-29 2022-11-04 한국에스피산업 주식회사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 방법
KR102479161B1 (ko) * 2022-07-11 2022-12-19 임성연 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제조 방법
KR102502684B1 (ko) * 2022-09-20 2023-02-23 주식회사 새솔 악취 발생을 저감한 유기성 오니 처리방법
KR102569706B1 (ko) * 2022-07-11 2023-08-24 (주)두비원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및 친환경 고기능성 퇴비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KR20240015250A (ko) 2022-07-27 2024-02-05 주식회사무계바이오농업회사법인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19A (ko) * 1999-10-02 2000-01-15 심연숙 정제형 부산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5804A (ko) 2000-07-10 2002-01-18 양경선 유기성쓰레기를 원료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100753069B1 (ko) * 2006-08-04 2007-08-31 양종국 남조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5435A (ko)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그린에프아이에스 축분 및 생석회를 이용한 토양개선제의 제조방법
KR101232291B1 (ko) * 2012-12-13 2013-02-12 김정호 다기능성 인산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8163A (ko) * 2014-09-03 2016-03-11 천호산업(주)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는 토양개량재의 제조 시스템
KR20170021645A (ko) *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이지테크환경시스템 음폐수를 무방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19A (ko) * 1999-10-02 2000-01-15 심연숙 정제형 부산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5804A (ko) 2000-07-10 2002-01-18 양경선 유기성쓰레기를 원료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100753069B1 (ko) * 2006-08-04 2007-08-31 양종국 남조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5435A (ko)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그린에프아이에스 축분 및 생석회를 이용한 토양개선제의 제조방법
KR101232291B1 (ko) * 2012-12-13 2013-02-12 김정호 다기능성 인산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8163A (ko) * 2014-09-03 2016-03-11 천호산업(주)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는 토양개량재의 제조 시스템
KR20170021645A (ko) *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이지테크환경시스템 음폐수를 무방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33B1 (ko) * 2020-12-23 2021-04-28 농업회사법인 (주)중부바이오텍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20220102276A (ko) 2021-01-13 2022-07-20 주식회사 창조바이오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20220106327A (ko)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창조바이오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조성물
KR102400600B1 (ko) * 2021-04-27 2022-05-20 김현진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공정시스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972B1 (ko) * 2022-03-29 2022-11-04 한국에스피산업 주식회사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 방법
KR102479161B1 (ko) * 2022-07-11 2022-12-19 임성연 버섯 폐배지를 이용한 친환경 비료의 제조 방법
KR102569706B1 (ko) * 2022-07-11 2023-08-24 (주)두비원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및 친환경 고기능성 퇴비
KR20240015250A (ko) 2022-07-27 2024-02-05 주식회사무계바이오농업회사법인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102502684B1 (ko) * 2022-09-20 2023-02-23 주식회사 새솔 악취 발생을 저감한 유기성 오니 처리방법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458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KR102153020B1 (ko)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US6793704B2 (en) Weak alkaline organic fertilizer from organic waste includ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319965B1 (ko)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고기능성 인공 부식토
Ozdemir et al. Composting of sewage sludge with mole cricket: stability, maturity and sanitation aspects
Logan et al. The alkaline stabilization with accelerated drying process (N‐Viro): An advanced technology to convert sewage sludge into a soil product
KR100997769B1 (ko) 혐기성 소화액을 이용하여 퇴비를 생산하는 방법
KR101767256B1 (ko) 음폐수를 무방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01558873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염분농도가 저감된 유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020062616A (ko)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를 원료로한 퇴비료 생산 방법
KR102223941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한 알칼리성 고 칼슘 비료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2277780B1 (ko) 토양미생물에 의한 오폐수처리제 제조방법
KR014461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0604217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소화방법에 의한 토양개량재의 제조방법
US7504035B2 (en) Treatment of putrescrible cakes
KR100533191B1 (ko) 생석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복토용화 방법
JP2001122684A (ja) 貝殻の農業用土壌カルシウム補給資材への資源化処理方法
KR102277781B1 (ko) 토양미생물에 의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R102249102B1 (ko)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고기능성 퇴비
CN1537831A (zh) 利用氢氧化钾处理植物材料生产肥料的方法
JP3490667B2 (ja) 食品廃棄物の処理方法
KR102256995B1 (ko) 유기성폐기물 자원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고기능성 인공 피트
KR102523887B1 (ko) 가축분을 활용한 바이오차 및 그 제조방법
JP2018075530A (ja) 有機廃棄物の分解促進剤及びこれを含む微生物資材
KR101947509B1 (ko)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