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833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833B1
KR102164833B1 KR1020170074546A KR20170074546A KR102164833B1 KR 102164833 B1 KR102164833 B1 KR 102164833B1 KR 1020170074546 A KR1020170074546 A KR 1020170074546A KR 20170074546 A KR20170074546 A KR 20170074546A KR 102164833 B1 KR102164833 B1 KR 10216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voice cal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054A (ko
Inventor
최지희
박정빈
최호룡
이경재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7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8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5/4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개인들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하여 특정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기능 및 통신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일종의 개인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개인 방송을 하고자 하는 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함과 아울러 적절한 멘트를 하면서 해당 촬영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고, 제3자는 이처럼 타인이 전송하는 개인 방송을 자신의 단말기나 또는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방송 송출자와 방송 시청자 간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텍스트에 기반하여 이루어짐으로써(예를 들어 방송 시청 중의 채팅창을 통한 대화) 방송 시청자의 의견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송 송출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3-005605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인 방송을 처리하면서도 그 개인 방송을 시청하는 자와 신속하게 정확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콘텐츠 생성부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하는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와;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된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생성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방송용 단말기가 송출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셋탑 박스를 통해 수신되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개인 방송용 단말기와 셋탑 박스 간에 별도로 양방향 음성 신호를 위한 통신 채널이 형성된 경우 개인 방송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음성 신호를 포함시키지 않고 전송함으로써, 전송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개인 방송용 단말기와 셋탑 박스 간의 양방향 음성 통화는 개인 방송용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채널과는 구별되는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 간에는 음성 통화를 지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 간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중계 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계 시스템(3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전송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중계 시스템(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 시스템(3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의 아이피 주소 등과 같은 네트워크 주소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구비하고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을 위한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계 시스템(300)이 수행하는 페어링 처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장치간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 나아가 중계 시스템(3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되도록 중간에서 처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중계 시스템(3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되도록 하는 통신 채널과는 별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 양방향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양방향 음성 통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이처럼 중계 시스템(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첫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하는 것이고, 둘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 양방향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시스템(300)은 상술한 첫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310)와, 상술한 두 번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화 서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 시스템(300)의 존재는 후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직접 통신하거나 다른 통신망 또는 종래의 레거시 서버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중계 시스템(300)이 구성될 필요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전송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중계 시스템(300)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되는 것이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의 양방향 음성 통화 역시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 가정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송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셋탑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셋탑박스(200)와 실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되는 텔레비전(210)으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셋탑박스(200)의 기능과 텔레비전(210)의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 통신 채널과 구별되는 별도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220)에 구비된 마이크(미 도시함)를 통해 음성을 입력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 전송하고, 그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기 구비된 스피커(미 도시함)를 통해 출력하거나 리모컨(220)에 전달하여 리모컨(220)에 구비된 별도의 스피커(미 도시함)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채널과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종료한 경우라도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은 남아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간에는 계속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 통신 채널과 구별되는 별도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사용자, 예를 들어 개인 방송을 하고자 하는 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으나, 이하 이러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채널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통신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개인 방송 송출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콘텐츠 생성부(110), 콘텐츠 전송부(120),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 카메라(150), 마이크(160), 스피커(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카메라(150)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고, 마이크(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스피커(17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150), 마이크(160), 스피커(170)의 구성 자체는 기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생성부(110)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상술한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됨에 따라 발생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자체 저장되어 있던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에 따라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콘텐츠 생성부(110)는 후술하는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배제하여 오직 영상 신호만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콘텐츠 전송부(120)는 콘텐츠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콘텐츠 전송부(120)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를 지정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전송부(120)는 미리 페어링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대응되는 가상 번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콘텐츠 전송부(120)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포트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양방향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그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호 연결 승인 신호를 수신되면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용으로 이용되는 프로토콜(예를 들어 RTSP)과는 구별되는 다른 프로토콜(일 예로 WebRTC : Web Real-Time Communication)에 따른 포트와 방식으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그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별도의 수동 승인 조작을 기다리지 않고,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생략함에 따라 신속한 음성 통화용 채널이 형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는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에 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된 경우, 앞서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부(110)가 카메라(1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형성된 경우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는 그 콘텐츠 생성부(110)를 제어하여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포함되지 않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즉, 카메라(1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만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호 연결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술한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의한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130)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한 시점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상호간 음성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는 음성 신호가 중복하여 포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국 통신 트래픽을 줄이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콘텐츠 생성 제어부(14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앞서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다시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음성 통화의 종료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의 통신 및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의 전체적인 통신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는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이 수립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1).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상호 페어링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기 구비된 카메라(150)를 영상이 촬영되고 기 구비된 마이크(160)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면(단계 S3) 그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단계 S5), 그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7, S9).
이에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한다(단계 S11).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상호간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형성되고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단계 S13)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단계 S15)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17, S19).
여기서 양방향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전원을 켜거나 기타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경우 자신의 식별자와 아이피 주소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 신호를 중계 시스템(300)에 전송하는데,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양방향 음성 통화가 가능한 장치라면 추가적으로 로그인 처리(일 예로 WebRTC 규격에 따른 로그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시스템(300)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 상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양방향 음성 통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양방향 음성 통화 로그인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알려 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중계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로그인에 성공했다는 정보)에 따라 양방향 음성 통화를 선택하기 위한 통화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촬영되는 영상들이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영역에 통화 버튼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만일 통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양방향 통화 요청 신호를 중계 시스템(300)에 전송하고, 이에 중계 시스템(300)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양방향 통화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사용자가 수락하게 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간에 중계 시스템(300)을 경유하여 양방향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양방향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다.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의 생성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출이 특정 앱(APP: Application)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그 앱이 내부에 구비된 WebRT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및 송출을 처리하기 위한 앱(제1 앱)이 설치되어 있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앱(제2 앱)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제1 앱과 제2 앱에는 각각 WebRTC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WebRTC 모듈(즉, 라이브러리)이 내장되어 있고, 제1 앱과 제2 앱은 이러한 WebRT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기존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수신을 위해 이용하던 프로토콜(예를 들어 RTSP)과는 구별되는 방식 및 포트를 이용하여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새로 형성하고, 그 새로 형성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호간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카메라(1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신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시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함은 물론이고,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지속적으로 재생 및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간의 음성 통화가 종료되어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해제되는 경우(단계 S21),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다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시켜(단계 S23)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하는 것이다(단계 S25, S27).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함과 아울러 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를 리모컨 등으로 출력하는데,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음성 통화 신호의 출력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만큼 음성 통화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과 아울러 양방향 음성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중간에 중계 시스템(300) 등을 통과하는 과정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양방향 음성 신호보다 더 늦게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음성 신호의 출력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호 연결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형성된 이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기본 모드로 영상 엔진을 시작한다(단계 S31).
여기서 영상 엔진은 상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영상 엔진은 기본 모드인 경우에는 카메라(1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영상 엔진은 음성/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하는데(단계 S33), 이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던 시청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하는 즉, 예를 들어 개인 방송을 하고 있는 상대방(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사용자)과 양방향 통화를 하기를 원할 수 있는데,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상의 버튼 등으로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 전화를 걸 수 있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신호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에 전화를 건다는 것은 WebRTC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것을 의미하는데, WebRTC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35), 자동으로 호 연결 처리를 수행하는데(단계 S37),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호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수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를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거쳐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사용자는 이미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자신의 음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오히려 이러한 확인 과정은 번거롭고 방송 송출에 방해가 될 뿐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 수립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서, 상술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음성 MUTE 모드로 영상 엔진을 재 시작하는데(단계 S39), 여기서 음성 MUTE 모드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영상 엔진이 음성 MUTE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마이크(1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배제되고, 오직 카메라(1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만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영상 신호만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하게 되고(단계 S41), 이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해 형성된 채널을 통해 통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채널과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종료한 경우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 채널은 남아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100)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간에는 계속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앱과 제2 앱은 그 내부의 WebRT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양방향 음성 통화를 형성하여 상호간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 종료 명령이 있는 경우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송/수신 동작은 종료하면서도 앱 전체를 종료하지는 않고 양방향 음성 통화는 가능하도록 하고, 만일 이 상태에서 양방향 음성 통화가 종료된다면 제1 앱과 제2 앱은 앱 전체를 종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이처럼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음성 통화함과 아울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로부터 음성 통화 종료 요청을 수신하면(단계 S43), 호 연결 해제를 처리한다(단계 S45).
이러한 호 연결 해제 처리 역시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이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는 영상 엔진을 기본모드로 재시작하여(단계 S47), 영상 엔진으로 하여금 음성 및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49).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200 :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
300 : 중계 시스템 110 : 콘텐츠 생성부
120 : 콘텐츠 전송부 130 :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
140 : 콘텐츠 생성 제어부 150 : 카메라
160 : 마이크 170 : 스피커

Claims (13)

  1. (a) 영상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상기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로부터 호 연결 승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제1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포트와 구별되는 제2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구별되는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한 이후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다시 포함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상기 양방향 음성 통화는 중계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 표시 장치가 상기 중계 시스템에 상기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로그인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중계 시스템이 해당 로그인 성공 결과 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 통화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9. 영상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콘텐츠 생성부에서 생성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송출하는 콘텐츠 전송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하는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와;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이 형성된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상기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통해 상기 음성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생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콘텐츠 생성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로부터 호 연결 승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부는 제1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제1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출하고,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포트와 구별되는 제2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구별되는 제2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채널 형성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에 의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그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생성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 장치와의 양방향 음성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다시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 장치.
KR1020170074546A 2017-06-14 2017-06-14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6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6A KR102164833B1 (ko) 2017-06-14 2017-06-14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6A KR102164833B1 (ko) 2017-06-14 2017-06-14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54A KR20180136054A (ko) 2018-12-24
KR102164833B1 true KR102164833B1 (ko) 2020-10-13

Family

ID=6501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46A KR102164833B1 (ko) 2017-06-14 2017-06-14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94B1 (ko) * 2020-02-18 2021-07-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333A (ja) * 2004-06-24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能の実行中に通話機能を実行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99B1 (ko) 2001-12-27 2009-03-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개인방송용 웹 카메라와, 그에 따른 인터넷 서버에서의개인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KR20050098717A (ko) * 2004-04-08 2005-10-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호 처리 방법
KR20070013067A (ko) * 2005-07-25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333A (ja) * 2004-06-24 200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能の実行中に通話機能を実行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54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18359B (zh) 直播互动视频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服务器
CN107371044B (zh) 电子设备互动方法、电子设备、用户终端及服务器
CN106303590B (zh) 邀请观看视频影片的实现方法和装置
US847399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709370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obtaining comment information when terminal users are watching programs
US201401184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a television for multimedia conferencing
CN105763832A (zh) 一种视频互动、控制方法及装置
JP2016535351A (ja) 動画情報共有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343476A (zh) 视频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5213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9398260B2 (en) Teleconference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server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terminal apparatus
US11943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10044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iewing video
US11451593B2 (en) Persistent co-presence group videoconferencing system
KR10216483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88601A (ko) 인터넷전화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아이피티브이 셋톱박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4048339A (ja) サーバ、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61715B1 (ja) 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を取り扱う方法及びサーバ
CN116320514A (zh) 一种音视频会议直播的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CN114374880A (zh) 联合直播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90046159A (ko) Epg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기기
US11272139B2 (en) User interface for video call with content sharing
JP2018101965A (ja) 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CN114765695A (zh) 一种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8110459A (ja) 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9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10

Effective date: 202006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